专利汇可以提供강성을 가지는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专利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的服务。并且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condensing solar cell module panel and a light condens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having the same and, specifically, to a light condensing solar cell module panel which has stiffness in itself and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assembled, and to a light condens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having the same to minimize a frame structure for maintaining the stiffness and to simplify the entire constitution. The light condensing solar cell modul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consisting of a side plate and a lower plate; carriers which have solar cells and are mount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late; and a lens plate which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to condense incident light to each solar cell, wherein the side plate includes a horizontal plate and a vertical plate longer than the horizontal plate, and the vertical plate has a plurality of ribs to improve stiffness. Therefore, the light condensing solar cell modul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ribs on the vertical plate which has a long length to form the side plate of the frame, thereby having the stiffness in itself and minimizing a separately necessary support structure.,下面是강성을 가지는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专利的具体信息内容。
본 발명은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강성(stiffness)을 가지며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과, 이를 구비함으로써 강성유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를 최소화하여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태양광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Photovoltaic, PV) 장치가 많이 사용되어 지는데, 특히 실리콘 태양전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장치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고효율 Ⅲ-Ⅴ 화합물 반도체 다중접합 태양전지(multi-junction solar cell)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다중접합 태양전지에 저가의 집광장치를 사용하여 태양광을 집중시키는 방식의 집광형 태양광 발전(Concetrating Photovoltaic, CPV)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중접합 태양전지(multi-junction solar cell)는 실리콘 태양전지와 비교하여 높은 에너지 변환 효율을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다중접합 태양전지는 35%가 넘는 에너지 효율을 갖는 반면 실리콘 태양전지는 약 20% 효율을 갖는다. 특히 집광(concentration) 하에서, 현재 일부 다중접합 태양전지는 40%를 넘는 에너지 효율을 갖는다.
이러한 다중접합 태양전지를 이용한 집광형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전지, 태양광을 1차적으로 집광시키는 1차 렌즈, 상기 1차 렌즈로부터 집광된 광을 상기 태양전지로 2차적으로 집광시키는 2차 렌즈로 구성되며, 태양전지는 회로기판 등의 셀마운트(cell mount)에 장착되거나 또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3520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리시버(receiver)에 장착된다.
또한,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지지프레임에 다수의 집광형 태양전지 모듈을 어레이 형태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며, 다중접합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태양전지모듈이 태양과 직교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태양전지 모듈 어레이를 회전시키는 트래킹 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003539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에는 "지상용 태양전지 어레이"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은 Ⅲ-Ⅴ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태양전지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에 따른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중앙지지체(1), 지지프레임(2), 다수의 태양전지 서브어레이 또는 패널(3), 태양전지 어레이가 태양광선에 직교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중앙지지체(1)와 지지프레임(2)을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며, 서브어레이 또는 패널(3)은 모듈(4)을 적층함으로써 구성된다.
그러나,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은 서브어레이 또는 패널(3)이 다수의 모듈(4)을 적층하여 구성된다는 점에서, 서브어레이 또는 패널(3)을 제조 및 조립하기가 쉽지 않으며, 다수의 모듈(4) 중 지지프레임(2)을 기준으로 외곽에 위치하는 모듈(5)의 경우에는 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처짐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지지프레임(2)을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모듈(5)은 태양광선에 직교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모듈(4)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서브어레이 또는 패널(3)에는 지지프레임(2)을 기준으로 외곽에 위치하는 모듈(5)도 처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별도의 프레임구조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수평적으로 연속하는 패널(3)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도 패널(3)의 강성유지를 위하여 그 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전체구조는 복잡해지게 되고 전체적인 무게가 증가하여 액추에이터가 구동하여야 하는 무게 또한 증가하게 되어 보다 큰 용량의 액추에이터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체로 강성(stiffness)를 가지면서도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체로 강성을 가지는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을 구비하여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구조를 최소화하여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은 측면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태양전지(solar cell)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부에 소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캐리어(carrier); 및 상기 프레임 상부에 구비되어 입사된 광을 상기 각각의 태양전지로 집광시키는 렌즈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플레이트는 가로플레이트와, 상기 가로플레이트보다 길게 이루어지는 세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플레이트에는 강성(stiffness)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리브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은 프레임의 측면을 이루는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세로플레이트에 다수의 리브들을 형성시킴으로써 자체로 강성을 가지도록 하여 별도로 필요한 지지구조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브는 상기 세로플레이트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방열리브, 상기 세로플레이트의 내측면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반사리브 및 상기 세로플레이트의 내측면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지지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태양광 발전 장치는 강성(stiffness)을 가지는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을 포함하는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강성(stiffness)을 가지는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을 포함하는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고 자체로 강성(stiffness)을 가지며, 어느 일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태양전지모듈 패널; 상기 태양전지모듈 패널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브라켓; 및 태양으로부터의 태양광선에 상기 태양전지모듈 패널이 직교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트래킹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 패널은, 측면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태양전지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부에 소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캐리어(carrier); 및 상기 프레임 상부에 구비되어 입사된 광을 상기 각각의 태양전지로 집광시키는 렌즈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플레이트는 가로플레이트와, 상기 가로플레이트보다 길게 이루어지는 세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세로플레이트에는 강성(stiffness)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리브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브라켓에는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결합부와, 타측에 형성되며 결합리브홈이 형성되는 패널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세로플레이트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결합리브홈이 끼워져 결합하는 결합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는 상기 세로플레이트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방열리브, 상기 세로플레이트의 내측면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반사리브 및 상기 세로플레이트의 내측면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지지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은 길이방향(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며 자체로 강성(stiffness)을 가지는 하나의 프레임에 다수의 집광형 태양전지모듈이 일체로 구비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히 하면서도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은 강성(stiffness)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의 측면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압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조할 수 있으며, 압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조된 측면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쉽고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자체로 강성을 가지는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을 구비함으로써,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구조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자체로 강성을 가지는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을 브라켓에 의해 쉽게 지지프레임에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서, 전체적인 조립이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선행기술에 따른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의 가로방향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의 하부플레이트와 세로플레이트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의 하부플레이트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7은 하부플레이트를 이루는 조각하부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캐리어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2차 광학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을 나타내는 하부플레이트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의 가로방향의 부분 수직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의 세로방향의 부분 수직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의 하부플레이트에 캐리어가 배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1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이 브라켓에 의해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이 브라켓에 의해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두께 및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어진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상대적인 크기나 두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구성들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강성(stiffness)을 가지면서도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은 길이방향(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는 하나의 프레임에 다수의 집광형 태양전지모듈이 일체화된 패널로 정의될 수 있으며, 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는 매우 큰 형태의 집광형 태양전지모듈로도 정의될 수 있으며, 또는 트래킹 장치에 의해 태양광선에 직교하도록 구동되는 하나의 강성을 가지는 패널로도 정의될 수 있으며, 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는 하나의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의 공간에 다수의 태양전지가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다수 배열되는 패널로도 정의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패널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의 가로방향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5는 하부플레이트와 세로플레이트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10)은 프레임, 태양전지(solar cell)(11)가 구비되는 캐리어(carrier)(12), 렌즈플레이트(20)를 포함한다.
프레임은 길이방향(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며, 자체로 강성(stiffness)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하부플레이트(30)와 측면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방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플레이트는 가로방향으로 짧게 이루어지는 가로플레이트(25)와, 세로방향으로 가로플레이트(25)보다 길게 이루어지는 세로플레이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태양전지(11)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구성으로서, 고효율 Ⅲ-Ⅴ 화합물 반도체 다중접합 태양전지(multi-junction solar cell)가 사용될 수 있으며, 캐리어(12)는 회로기판 위에 다른 부품들과 함께 태양전지(11)가 실장된 형태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리시버(receiver)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캐리어(12)는 회로기판 위에 태양전지(11)가 구비된 구성으로서, 그 실시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리시버를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또한, 캐리어(12)는 하부플레이트(30)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며, 캐리어(12)에는 커넥터가 구비되어 이러한 커넥터가 전선(wire)(13)에 의해 병렬 또는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다수의 캐리어(12)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
렌즈플레이트(20)는 프레임 상부에 구비되어 입사된 태양광을 태양전지(11)로 집광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렌즈플레이트(20)에는 입사된 태양광을 다수의 태양전지(11) 각각으로 집광하는 다수의 패턴부(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패턴부(22)는 프레넬 렌즈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렌즈플레이트(20)는 플레이트(plate)에 다수의 프레넬(Fresnel) 렌즈 패턴이 형성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렌즈플레이트(20)는 다수의 프레넬 렌즈 패턴이 형성된 하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다수의 패턴부(22)가 구비되어 프레임 상부에 배열되는 다수의 조각(piece)렌즈플레이트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10)은 자체로 강성을 가지는 하나의 프레임에 다수의 집광형 태양전지모듈을 일체로 구비시켜 처짐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강성유지를 위한 지지프레임의 구성을 최소화시킨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은 길이방향(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면서도 자체로 강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는데, 이하 이러한 프레임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프레임은 하부플레이트(30)와 측면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측면플레이트는 가로방향으로 짧게 이루어지는 가로플레이트(25)와, 세로방향으로 가로플레이트(25)보다 길게 이루어지는 세로플레이트(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면서도 자체로 강성(stiffness)을 가지도록 세로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는 세로플레이트(50)에는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리브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러한 다수의 리브는 세로플레이트(50)의 외측면에 소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방열리브(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로플레이트(50)의 외측면에 다수의 방열리브(51)가 돌출형성되면 자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방열리브(51)에 의해 외부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밀폐된 프레임 내부에서 발생하여 세로플레이트(50)로 전달된 열이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전도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집광형 태양전지모듈(10)의 밀폐된 내부는 온실효과에 의해 온도가 매우 높게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집광형 태양전지모듈에 태양전지(11)로 주로 사용되는 고효율 Ⅲ-Ⅴ 화합물 반도체 다중접합 태양전지(multi-junction solar cell)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 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10)에서와 같이, 세로플레이트(50)의 외측면에 다수의 방열리브(51)를 형성하면 자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밀폐된 프레임 내부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켜 태양전지(11)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가로플레이트(25)의 외측면에도 세로플레이트(5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프레임의 양 끝단에 2개의 가로플레이트(25)가 구비된 형태가 도시되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하지 않으며 프레임의 강성 향상을 위하여 가로플레이트(25)가 중간에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세로플레이트(50)에는 상단 내측면에 형성되어 렌즈플레이트(20)가 걸림되는 단턱부(53)와, 하단 내측면에 형성되어 하부플레이트(30)와 결합하는 결합부(54)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단턱부(53)와 결합부(54)는 단차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로플레이트(50)의 하부에는 하부플레이트(30)와 나사결합을 위한 체결홀(56)이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부(54)에는 실리콘 등과 같은 실링재가 충진되는 실링홈(55)이 형성되고, 세로플레이트(50)는 실링홈(55)에 실링재가 충진된 상태에서 하부플레이트(3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프레임 내부가 더욱 밀폐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세로플레이트(50)는 방열리브(51), 단턱부(53), 결합부(54) 및 실링홈(55)이 일정한 단면으로 세로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져 압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단면을 가지는 세로플레이트(50)를 압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조하여 프레임을 조립하면 되므로 제조 및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세로방향의 길이는 가로방향의 길이보다 대략 3 ~ 10배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높이는 세로방향의 길이보다 대략 1/20~ 1/10배의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세로플레이트(50)의 길이(L1)는 가로플레이트(25)의 길이(L2)보다 대략 5 ~ 10배의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로플레이트(50)의 높이(H)는 길이(L1)보다 대략 1/20 ~ 1/10배의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의 높이 즉, 세로플레이트(50)의 높이(H)는 렌즈플레이트(20)와 태양전지(11)의 거리인데, 상기 거리는 렌즈플레이트(20)에 구비된 하나의 패턴부(22)의 크기와 태양전지(11)의 크기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프레임의 높이는 압출성형으로 제조가능한 세로플레이트(50)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실제로, 현재 압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제조가능한 세로플레이트(50)의 높이는 대략 25 ~ 50cm 이며, 길이는 대략 4 ~ 6m이므로, 제조 및 프레임의 강성유지를 고려할 때 가장 최적화된 프레임의 크기는 압출성형으로 일체로 제조가능한 세로플레이트(50)의 크기 즉, 길이가 대략 4 ~ 6m이며, 높이가 대략 25 ~ 50cm 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가로플레이트(25)의 길이는 대략 1 ~ 1.2m의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이 이와 같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가로방향으로 대략 6개의 캐리어(12)가 배열되는 가로방향어레이가 세로방향으로 대략 20개 배열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대략 총 120개 이상의 태양전지(11)가 구비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목적에 따라 또는 압출성형 기술의 발전에 따라 프레임 및 세로플레이트(50)의 크기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프레임을 이루는 하부플레이트(30), 세로플레이트(50) 및 가로플레이트(25)는 가벼우면서도 자체적인 강성을 가지며,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하지 않는다.
하부플레이트(30)는 세로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며, 세로방향으로 배열되어 결합하는 다수의 조각(piece)하부플레이트(31)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의 조각하부플레이트(31) 각각은 세로플레이트(50) 하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가로플레이트(25)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의 하부플레이트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7은 하부플레이트를 이루는 조각하부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캐리어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조각하부플레이트(31)에는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방열리브(33)와, 상부에 돌출형성되어 세로플레이트(50)와 나사결합하기 위한 체결부(35)가 형성되는 결합리브(34)가 구비될 수 있다.
조각하부플레이트(31)는 방열리브(33)와 결합리브(34)에 의해 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방열리브(33)에 의해 외부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밀폐된 프레임 내부에서 발생하여 조각하부플레이트(31)로 전달된 열을 원활하게 외부로 전도시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세로플레이트(50)와 나사결합하기 위한 체결부(35)를 결합리브(34)에 형성시킴으로써,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는 조각하부플레이트(31)에 체결부(35)을 쉽게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10)은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캐리어(12)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캐리어(12)가 고정되도록 가로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는 캐리어프레임(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프레임(60)은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캐리어(12) 중 일부가 고정되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캐리어(12) 모두가 하나의 캐리어프레임(60)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각하부플레이트(31)의 상부에는 캐리어프레임(60)이 안착되는 안착홈(36)과, 안착홈(36)의 양측에 형성되어 안착홈(36)에 안착된 캐리어프레임(60)을 조각하부플레이트(31)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15)가 삽입되어 상방으로 이탈방지되도록 하는 T-홈(37)이 구비될 수 있다.
캐리어프레임(60)에는 안착홈(36)에 안착되는 안착부(61)와, 안착부(6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T-홈(37)을 덮는 날개부(62)가 구비되며, 날개부(62)에는 T-홈(37)에 삽입된 체결부재(15)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홀(6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15)가 볼트 또는 T-볼트인 경우에는 상기 볼트 또는 T-볼트를 체결부재홀(63)에 끼운 후 별도의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캐리어프레임(60)을 고정하거나, 체결부재(15)가 너트 또는 T-너트인 경우에는 별도의 볼트를 체결부재홀(63)에 끼워 상기 너트 또는 T-너트와 체결함으로써 캐리어프레임(6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는 캐리어프레임(60)을 더 포함하여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캐리어(12)를 캐리어프레임(60)에 고정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조각하부플레이트(31)에 캐리어프레임(6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면, 복수의 캐리어(12)를 각각 별도로 고정할 필요 없이 캐리어프레임(60)만을 고정하면 되므로, 전체적인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조각하부플레이트(31)의 양 측면부에는 인접하는 다른 조각하부플레이트(31)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38)가 형성되고, 결합부(38)에는 실링재가 충진되는 실링홈(39)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실링홈(39)에 실링재를 충진시킨 상태에서 다수의 조각하부플레이트(31)를 결합하여 조립할 수 있게 되어 프레임 내부가 더욱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조각하부플레이트(31)는 방열리브(33), 결합리브(34), 안착홈(36), T-홈(37), 결합부(38) 및 실링홈(39)이 일정한 단면으로 가로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져 압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단면을 가지는 조각하부플레이트(31)를 압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조한 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프레임을 조립하면 되므로 제조 및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10)은 그 구조상 상술한 바와 같은 단면의 형상이 하부플레이트(30)는 가로방향으로, 세로플레이트(50)는 세로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부플레이트(30)와 세로플레이트(50)의 결합 및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하부플레이트(30)는 가로방향의 수직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지고, 세로플레이트(50)는 세로방향의 수직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져야 압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한번에 제조될 수 있어서 제조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를 압출성형으로 일체로 한번에 제조할 수 있는 크기는 한정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10)은 강성(stiffness) 향상을 위하여 세로플레이트(50)는 압출성형으로 일체로 제조하고, 하부플레이트(30)는 압출성형 가능한 폭을 가지는 다수의 조각하부플레이트(31)를 세로방향으로 배열하여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플레이트의 제조 및 전체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 경우 하부플레이트(30)를 압출성형으로 길게 일체로 제조한 후 필요한 길이만큼 잘라 조각플레이트(31)를 제조하면 되므로 편리하다.
한편,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10)은 렌즈플레이트(20)와 태양전지(11) 사이에 구비되어 렌즈플레이트(20)의 패턴부(22)에서 집광된 광을 태양전지(11)로 2차적으로 집광시키는 2차 광학 구성요소(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차 광학구성요소(16)는 렌즈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반사코팅된 리플렉터(reflector)의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2차적 광학구성요소(16)의 구제적인 형태에 의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패널(1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서의 상세한 설명을 원용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의 가로방향의 부분 수직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의 세로방향의 부분 수직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의 하부플레이트에 캐리어가 배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70)은 측면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30)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태양전지(solar cell)(11)가 구비되며 하부플레이트(30) 상부에 소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캐리어(carrier)(12), 프레임 상부에 구비되어 입사된 태양광을 태양전지(11)로 집광하는 렌즈플레이트(20)를 포함한다.
측면플레이트는 가로플레이트(25)와 세로플레이트(50)로 이루어지며, 렌즈플레이트(20)는 프레임 상부에 배열되는 다수의 조각렌즈플레이트(21)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플레이트(30)는 세로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며 세로방향으로 배열되어 결합하는 다수의 조각하부플레이트(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70)은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캐리어(12)가 고정되는 캐리어프레임(60), 다수의 캐리어(12)를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는 전선(wire)(13), 렌즈플레이트(20)와 태양전지(11) 사이에 구비되어 렌즈플레이트(20)에서 집광된 광을 태양전지(11)로 2차적으로 집광시키는 2차 렌즈(secondary lens, SOE)(16)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70)은 전선(13)을 덮는 전선덮개(wire cover)(74), 조각렌즈플레이트(21)를 지지하는 지지대(80), 지지대(80)에 지지된 조각렌즈플레이트(21)를 지지대(80)에 고정시키는 탄성부재(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세로플레이트(50)에는 강성 향상을 위한 다수의 리브들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리브들 중에는 세로플레이트(50)의 외측면에 소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부와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방열효과를 향상시키는 방열리브(51)가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세로플레이트(50)의 내측면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렌즈플레이트(20)에서 옵셋(upset)된 태양광(S)을 반사시키는 반사리브(71)가 포함될 수 있다.
반사리브(71)는 렌즈플레이트(20)에서 태양전지(11)로 집광되지 않고 편심되어 입사되는 옵셋(upset)된 태양광(S)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옵셋된 태양광(S)은 하부플레이트(30)의 캐리어(12) 주위에 구비된 부품으로 입사되어 부품을 손상시키게 되는데, 반사리브(71)는 세로플레이트(50)의 내측면 하부에 내측 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어 옵셋된 태양광(S)을 반사시켜 옵셋된 태양광(S)이 부품으로 입사되지 않도록 한다.
옵셋된 태양광(S)은 태양광이 렌즈플레이트(20)로 수직으로 입사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옵셋된 태양광(S)에 의해서 손상될 수 있는 주된 부품으로는 다수의 캐리어(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wire)(13)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10,70)에서와 같이, 다수의 캐리어(12)가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어레이를 이루고, 이러한 어레이가 세로방향으로 배열되어 또 다른 어레이를 이루는 구조에서는 다수의 캐리어(12)를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전선(13)이 구비되므로, 이러한 다수의 전선(13)이 옵셋된 태양광(S)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본 실시 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 패널(70)은 세로플레이트(50) 하부 내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길게 돌출형성되는 반사리브(71)를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캐리어(12)는 가로방향으로 복수개의 캐리어(12)가 배열되는 가로방향어레이(122)와, 이러한 가로방향어레이(122)가 세로방향으로 다수 배열되는 세로방향어레이(124)의 형태로 구비되는데, 이러한 다수의 캐리어(12)는 전선(wire)(1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가로방향어레이(122)를 이루는 복수개의 캐리어(12)는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연결전선(132)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세로방향어레이(124)들 간의 연결은 어느 하나의 가로방향어레이(122)의 끝단에 위치하는 캐리어(12)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가로방향어레이(122)의 끝단에 위치하는 캐리어(12)를 연결하는 세로연결전선(13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로연결전선(132)은 와이어커버(wire cover)(74)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지만, 세로연결전선(132)은 패널(70)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조립구조상 와이어커버(74)를 결합시키기가 어려우며 따라서 세로연결전선(132)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방법이 필요하며, 본 실시 예에 따른 패널(70)은 세로플레이트(50)의 내측면 하부에 길게 돌출형성되는 반사리브(71)를 형성함으로써 세로플레이트(50)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세로연결전선(132)을 보호하도록 한 것이다.
반사리브(71)는 방열리브(51)와 마찬가지로 세로플레이트(50)를 압출성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수직단면이 일정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캐리어프레임(60)은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캐리어(12)를 하부플레이트(30)에 결합시키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캐리어(12)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킬 수 있는 히트파이프(미도시)가 내부에 내장된 형태의 히트파이프프레임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렌즈플레이트(20)는 다수의 패턴부(22)를 가지며 프레임 상부에 배열되는 다수의 조각렌즈플레이트(21)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다수의 조각렌즈플레이트(21)는 지지대(80)와 탄성부재(90)에 의해 프레임에 결합 고정된다.
지지대(80)는 대략 가로플레이트(25)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세로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세로플레이트(50)의 내측면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지지리브(7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세로플레이트(50)에 형성되는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수의 리브들에는 세로플레이트(50)의 내측면 상부에 돌출형성되어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지지대(80)를 지지하는 지지리브(7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지지리브(72)는 방열리브(51) 및 반사리브(71)와 마찬가지로 세로플레이트(50)를 압출성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수직단면이 일정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조각렌즈플레이트(21)가 지지대(80)와 탄성부재(90)에 의해 프레임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대(80)는 길이방향 즉, 가로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져 서로 마주하는 세로플레이트(50)의 상부에 형성된 지지리브(72)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대(80)에는 세로플레이트(50)와 나사결합을 위한 체결부(82)가 형성되며, 지지대(80)의 상단에는 조각렌즈플레이트(21)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부(23)가 걸림되는 걸림턱(8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80)에는 조각렌즈플레이트(21)를 고정하기 위한 탄성부재(90)가 결합하는 결합홈(8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80)는 압출성형으로 일체로 제조될 수 있도록 가로방향의 수직단면이 일정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90)는 하부에 결합홈(84)에 걸림되는 절곡부(91)와, 절곡부(91)로부터 탄성을 가지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길이부(92)와, 길이부(92)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지지대(80)에 지지된 조각렌즈플레이트(21)를 고정하는 고정단부(9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80)는 지지리브(72)에 얹혀진 상태에서 나사결합에 의해 세로플레이트(5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조각렌즈플레이트(21)는 걸림부(23)가 지지대(80)의 걸림턱(83)에 걸림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탄성부재(90)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조각렌즈플레이트(21)가 상기와 같이 프레임 상부에 결합고정되면,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조각렌즈플레이트(21)는 일측이 상기 어느 하나의 조각렌즈플레이트(21)가 지지되는 지지대(80)에 지지된 상태에서 다른 일측에 형성된 걸림부(23)가 상기 지지대(8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른 지지대(80)의 걸림턱(83)에 걸림되도록 한 상태에서 마찬가지로 탄성부재(90)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각렌즈플레이트(21) 사이의 공간에는 실리콘과 같은 실링부재(24)로 실링함으로써, 프레임 내부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가로플레이트(25)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세로플레이트(50)와 나사결합하기 위한 결합리브(26)가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가로플레이트(25)의 외측에는 필터부재(28)가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환기부(27)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결합리브(26)는 가로플레이트(25)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세로플레이트(50)와의 나사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환기부(27)는 밀폐된 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로서, 가로플레이트(25)의 외측면(25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면부(272)와, 2개의 측면부(272)를 연결하여 상기 외측면(252)과의 사이에 필터부재(28)가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면부(27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환기부(27)는 가로플레이트(2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로플레이트(25)가 압출성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결합리브(26)와 환기부(27)는 일정한 수직단면으로 가로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집광형 태양전지모듈의 경우에는 밀폐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환기장치를 장착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환기장치를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제조공정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패널(70)은 이러한 환기장치를 별도로 장착시킬 필요없이 가로플레이트(25) 제조시 가로플레이트(25)에 일체로 구비되도록 한 것이며, 또한 가로플레이트(25)를 압출성형으로 일체로 제조가능하도록 환기부(27)를 일정한 단면으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시킨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프레임 내부의 공기가 환기부(27)와 연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로플레이트(25)의 외측면(252)에는 환기구(미도시)가 형성되는데, 상기 환기구는 가로플레이트(25)를 압출성형으로 제작한 후에 별도의 공정으로 홀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환기구는 가로플레이트(25)를 압출성형으로 제작시 동시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일정한 단면으로 가로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도면상 환기부(27)의 전방과 후방의 개구부는 공간에 구비되는 필터부재(28)에 의해 막히게 되며, 프레임 내부의 공기는 상기 환기구를 통해 환기부(27)로 유입된 후 필터부재(2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이 브라켓에 의해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이 브라켓에 의해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100)은 지지부재(101), 지지부재(10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102), 어느 일 방향으로 배열되며 지지프레임(102)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패널(10), 태양전지모듈 패널(10)을 지지프레임(102)에 고정시키는 브라켓(110) 및 태양으로부터의 태양광선에 태양전지모듈 패널(10)이 직교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지지프레임(102)을 회전시키는 트래킹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 패널(10,7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고 자체로 강성(stiffness)을 가지도록 구비되는데, 태양전지모듈 패널(10,7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도면번호와 상세한 설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서의 도면부호와 상세한 설명을 원용한다.
브라켓(110)은 어느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패널(10,70) 각각을 상기 배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프레임(102)에 결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브라켓(110)에는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2)에 결합하는 지지프레임결합부(112)와, 타측에 형성되어 예를 들어, 지지프레임결합부(112)와 수직하게 형성되어 태양전지모듈 패널(10)에 결합하는 패널결합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결합부(112)와 패널결합부(114)는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각각 지지프레임(102)과 패널(10)에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 구체적인 구성에 의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세로플레이트(50)에는 브라켓(110)에 결합하는 결합리브(52)가 형성되고, 패널결합부(114)에는 결합리브(52)가 끼워지는 결합리브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리브(52)와 결합리브홈(116)에 의하면,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10)은 보다 견고하게 지지프레임(102)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10,70)은 세로플레이트(50)의 강성 향상을 위하여 다수의 리브들이 형성되는데, 상기 리브들에는 패널결합부(114)의 결합리브홈(116)과 결합하도록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리브(52)가 포함될 수 있다.
결합리브(52)는 도 15 및 도 1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세로플레이트(50)의 외측면에 형성된 방열리브(51)보다 외측으로 길게 돌출형성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방열리브(51)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1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결합리브(52)는 세로플레이트(50) 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가 짧으면서도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10,70)이 무게가 상당하여 결합리브(52)에 가해지는 하중이 크기 때문에 그러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집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100)은 상기 일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패널(10,70)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서브프레임(103)을 더 포함하고, 태양전지모듈 패널(10,70) 각각의 세로프레임(50)에는 서브프레임(103)이 결합되는 연장부(58)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58)에는 서브프레임(103)이 삽입되는 삽입홀(59)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느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패널(10,70)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서브프레임(103)을 더 포함하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며 어느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패널(10,7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 끝단에서의 처짐 현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태양전지모듈 패널(10,7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02)의 구성을 더욱 간단히 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성(stiffness)을 가지면서도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집광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그 실시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경 가능한 모든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70 : 집광형 태양전지모듈 패널 11 : 태양전지
12 : 캐리어 20 : 렌즈플레이트
25 : 가로플레이트 30 : 하부플레이트
50 : 세로플레이트 51 : 방열리브
52 : 결합리브 71 : 반사리브
72 : 지지리브 60 : 캐리어프레임
100 : 집광형 태양광 발전 장치 101 : 지지부재
102 : 지지프레임 103 : 서브프레임
110 : 브라켓 116 : 결합리브홈
标题 | 发布/更新时间 | 阅读量 |
---|---|---|
一种偏轴式聚光太阳能系统及其使用方法 | 2020-05-14 | 373 |
光伏动力生成系统和相关方法 | 2020-05-16 | 682 |
磁重力风能太阳能综合绿色能源自发电装置 | 2020-05-19 | 265 |
一种聚光光伏电热联供电站 | 2020-05-22 | 1001 |
固定单板式反光聚光太阳能集热发电装置 | 2020-05-23 | 609 |
太阳能接收器、发电系统和流体流动控制装置 | 2020-05-26 | 584 |
太阳能接收器、发电系统和流体流动控制装置 | 2020-05-12 | 546 |
一种阵列式环路热管冷却聚光太阳能电池装置 | 2020-05-14 | 505 |
太阳能超临界二氧化碳循环发电耦合水蒸汽电解制氢系统 | 2020-05-15 | 52 |
태양에너지 집열 및 집광 통합 발전 모듈 | 2020-05-24 | 617 |
高效检索全球专利专利汇是专利免费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国家发明专利查询检索分析平台,是提供专利分析,专利查询,专利检索等数据服务功能的知识产权数据服务商。
我们的产品包含105个国家的1.26亿组数据,免费查、免费专利分析。
专利汇分析报告产品可以对行业情报数据进行梳理分析,涉及维度包括行业专利基本状况分析、地域分析、技术分析、发明人分析、申请人分析、专利权人分析、失效分析、核心专利分析、法律分析、研发重点分析、企业专利处境分析、技术处境分析、专利寿命分析、企业定位分析、引证分析等超过60个分析角度,系统通过AI智能系统对图表进行解读,只需1分钟,一键生成行业专利分析报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