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专利库 / 电脑零配件 / 手持设备 / 移动电话 /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阅读:983发布:2023-12-25

专利汇可以提供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专利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的服务。并且본발명은사용자가차량응급상황을신속하게판단및 처리할수 있는텔레매틱스단말기의차량제어장치및 그방법에관한것이다. 이를위하여본 발명에따른차량제어방법은차량응급상황을알리는이벤트가발생했을때 상기이벤트에대응하는알림정보및 상기이벤트를처리하기위해미리결정된제어정보를무선통신망을통해이동단말기에전송하는단계와, 상기이동단말기로부터상기알림정보에대한사용자요청정보가수신되었을때 상기수신된사용자요청정보에따라차량을제어하는단계로이루어진다.,下面是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专利的具体信息内容。

  • 차량에 장착되고,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결정된 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배터리 잔량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및 상기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서로 다른 다수의 차량 시동 시간 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알림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차량 시동 시간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다수의 차량 시동 시간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요청하는 사용자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차량 시동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을 시동시킴으로써 상기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요청 정보가 미리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다수의 차량 시동 시간 정보 중에서 미리결정된 제1 차량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을 시동시킴으로써 상기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실내 온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실내 온도 정보에 대응하는 실내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일 때 상기 실내 온도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는,
    상기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선루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코드 번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코드 번호들 중에서 특정 코드 번호가 상기 사용자 요청 정보로서 수신될 때 상기 특정 코드 번호를 근거로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선루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빗물 또는 눈 검출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선루프가 열려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선루프가 열려있을 때 상기 빗물 또는 눈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또는 눈을 차단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는,
    상기 빗물 또는 눈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선루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코드 번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코드 번호들 중에서 특정 코드 번호가 상기 사용자 요청 정보로서 수신될 때 상기 특정 코드 번호를 근거로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선루프를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차량에 장착되고,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와;
    상기 차량의 배터리 잔량이 미리결정된 기준값 이하일 때 상기 배터리 잔량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및 상기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서로 다른 다수의 차량 시동 시간 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알림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차량 시동 시간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다수의 차량 시동 시간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요청하는 사용자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차량 시동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을 시동시킴으로써 상기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 정보가 미리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다수의 차량 시동 시간 정보 중에서 미리결정된 제1 차량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을 시동시킴으로써 상기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실내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일 때 상기 실내 온도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는,
    상기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선루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코드 번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코드 번호들 중에서 특정 코드 번호가 상기 사용자 요청 정보로서 수신될 때 상기 특정 코드 번호를 근거로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선루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 삭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빗물 또는 눈 검출 신호가 수신될 때 차량의 도어 및 선루프가 열려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선루프가 열려있을 때 상기 빗물 또는 눈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빗물 또는 눈을 차단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빗물 또는 눈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선루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코드 번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코드 번호들 중에서 특정 코드 번호가 상기 사용자 요청 정보로서 수신될 때 상기 특정 코드 번호를 근거로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선루프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说明书全文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VEHICLE FOR TELEMATICS TERMINAL}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적용된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및 지도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그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센터(3)와; 차량 내에 장착되고, 무선 통신망(2)을 통해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인공위성(1)을 통해 수신된 GPS 신호 및 상기 교통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차량 응급 상황을 신속하게 판단 및 처리할 수 있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내부 온도가 기준값 이상일 때 차량의 실내 온도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및 상기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응급 상황을 신속하게 판단 및 처리할 수 있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빗물(또는 눈) 검출 신호가 검출되었을 때 빗물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및 빗물을 차단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응급 상황을 신속하게 판단 및 처리할 수 있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 이하일 때 배터리 잔량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및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응급 상황을 신속하게 판단 및 처리할 수 있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 응급 상황을 알리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및/또는 상기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수신된 사용자 요청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의 실내 온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실내 온도 정보에 대응하는 실내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일 때 상기 실내 온도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의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 상기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코드 번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다수의 코드 번호들 중에서 특정 코드 번호가 사용자 요청 정보로서 수신될 때 상기 특정 코드 번호를 근거로 상기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빗물 또는 눈 검출 신호가 수신될 때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가 열려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가 열려있을 때 상기 빗물 또는 눈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 진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빗물 또는 눈을 차단하기 위해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코드 번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다수의 코드 번호들 중에서 특정 코드 번호가 상기 사용자 요청 정보로서 수신될 때 상기 특정 코드 번호를 근거로 상기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닫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의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배터리 잔량이 기준 값 이하일 때 상기 배터리 잔량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코드 번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다수의 코드 번호들 중에서 특정 코드 번호가 상기 사용자 요청 정보로서 수신될 때 상기 특정 코드 번호를 근거로 미리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을 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차량 응급 상황을 알리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와, 상기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읽는 제어부와; 상기 알림 정보 및 상기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수신된 사용자 요청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차량의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 상기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코드 번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다수의 코드 번호들 중에서 특정 코드 번호가 상기 사용자 요청 정보로서 수신될 때 상기 특정 코드 번호를 근거로 상기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빗물 또는 눈 검출 신호가 수신될 때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가 열려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가 열려있을 때 상기 빗물 또는 눈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빗물 또는 눈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코드 번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다수의 코드 번호들 중에서 특정 코드 번호가 상기 사용자 요청 정보로서 수신될 때 상기 특정 코드 번호를 근거로 상기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차량의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고, 상기 차량의 배터리 잔량이 기준 값 이하일 때 상기 배터리 잔량에 대응하는 알림 신호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코드 번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다수의 코드 번호들 중에서 특정 코드 번호가 상기 사용자 요청 정보로서 수신될 때 상기 특정 코드 번호를 근거로 미리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을 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는, 차량 내부 온도가 기준값 이상일 때 차량의 실내 온도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및 상기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응급 상황을 신속하게 판단 및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는, 빗물(또는 눈) 검출 신호가 검출되었을 때 빗물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및 빗물을 차단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응급 상황을 신속하게 판단 및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는, 차량의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 이하일 때 배터리 잔량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및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응급 상황을 신속하게 판단 및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차량 응급 상황을 신속하게 판단 및 처리할 수 있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의 실시예들을 도2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등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그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 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미리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및/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로서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i-Fi Positioning System) 및/또는 하이브리드 위치추적 시스템(Hybrid Positioning System)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 형태에 따라 2개 이상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상기 통화 모드일 때,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방위, 이동 통신 단 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때,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단말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알람부(153)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그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차량에서 사용자와의 접촉이 빈번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휠, 변속 기어 레버, 좌석 시트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상기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수신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된 구성 요소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 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된 네비게이션 세션(session)(300)은,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의 구성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는 텔레매틱스 단말기(2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212)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13)와, 각종 키 신호를 제어하는 키 제어부(211)와, LCD를 제어하는 LCD 제어부(214)를 내장한 메인 보드(210)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213)는 길 안내 정보를 디지털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한 지도 정보(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213)는 차량이 현재 주행하는 도로 상황에 따른 교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제어 알고리즘 및 상기 알고리즘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메인 보드(210)는 고유의 기기번호가 부여되어 차량에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인 CDMA 모듈(206), 차량의 위치 안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추적 등을 위한 GPS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수집된 교통정보를 GPS 신호로 송신하는 GPS 모듈(207), CD(compact disk)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CD 데크(208), 자이로 센서(209)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CDMA 모듈(206), GPS 모 듈(207)은 안테나(204, 205)를 통해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TV 모듈(222)은 상기 메인 보드(210)에 연결되고, TV 안테나(223)를 통해서 TV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메인보드(210)에는 인터페이스 보드(203)를 통해서 상기 LCD 제어부(214)의 제어를 받는 LCD(201)와, 키 제어부(211)의 제어를 받는 프론트 보드(202)가 연결된다. 상기 LCD(201)는, 각종 비디오 신호, 문자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프론트 보드(202)는 각종 키 신호 입력을 위한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진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메인 보드(210)에 제공한다. 상기 프론트 보드(202)는 교통정보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메뉴 키를 구비하며, 상기 메뉴 키는 키 제어부(211)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상기 메인 보드(210)와 연결되고, 각종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오디오 보드(217)의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컴퓨터(219),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218),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19)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6), 각종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21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안테나(220)와, 오디오 테이프를 재생하기 위한 테이프 데크(221)로 구성된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상기 오디오 보드(217)에서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앰프(226)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앰프(226)는 차량 인터페이스(224)에 연결된다. 즉, 상기 오디오 보드(217)와 메인 보드(210)는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224)에 연결된다. 상기 차량 인 터페이스(224)는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핸즈프리(225a), 탑승자 안전을 위한 에어백(225b),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 센서(225c) 등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속도 센서(225c)는 차량 속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차량 속도 정보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212)에 제공한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네비게이션 세션(300)은,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비게이션 세션(300)의 기능은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의 중앙처리장치(제어부)(212)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를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navigation apparatus)(400)는,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신호를 근거로 네비게이션 장치(텔레매틱스 단말기(200)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동일한 위치인 것으로 간주함)의 제1 차량 위치 데이터를 발생하는 GPS 수신기(401)와;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상기 차량의 속도를 근거로 제2 차량 위치 데이터를 발생하는 DR(Dead-Reckoning) 센서(402)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404)와; 상기 제1 차량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제2 차량 위치 데이터를 근거로 차량 추정 위치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차량 추정 위치와 상기 저장 부(404)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 내의 링크(지도 정합 링크 또는 지도 정합 도로)를 정합(matching)하고, 상기 정합된 지도 정보(지도 정합 결과)를 출력하는 지도 정합부(403)와; 무선 통신망(410)을 통해, 정보 제공 센터로부터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408)와; 상기 정합된 지도 정보(지도 정합 결과)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는 제어부(407)와; 상기 길 안내 정보에 포함된 길 안내 지도를 표시하는 표시부(405)와; 상기 길 안내 정보에 포함된 길 안내 음성 정보(길 안내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40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GPS 수신기(401)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GPS 모듈(207)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404)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메모리(213)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405)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LCD(201)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 출력부(406)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앰프(226)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도 정합부(403), 제어부(407)의 기능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중앙 처리 장치(CPU)(212)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GPS 수신기(401)에 의해 발생된 제1 차량 위치 데이터와 상기 DR 센서(402)에 의해 발생된 제2 차량 위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차량 추정 위치를 발생하여길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텔레매틱스 단말기(200)에 적용된 차량 제어 장치를 도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다수의 이벤트들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이벤트들을 처리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404)와; 차량 응급 상황을 알리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및 상기 발생된 이벤트들을 처리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상기 저장부(404)로부터 읽는(Reading) 제어부(407)와; 상기 알림 정보 및 상기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망(410)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부(40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무선 통신망(410)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었을 때 그 수신된 사용자 요청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미리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분) 동안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7)는 차량 응급 상황을 알리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및 상기 발생된 이벤트들을 처리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표시부(405)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7)는 표시부(405) 상에 표시된 제어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그 선택된 제어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500)에 적용된 온도 검출부(501), 레인 감지기(502), 배터리 검출부(503)는 차량 응급 상황을 알리는 이벤트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407)는 온도 검출부(501), 레인 감지기(502), 배터리 검출부(503)로부터 출력된 검출 신호를 근거로 차량 응급 상황을 알리는 이벤트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차량 응급 상황을 알리는 이벤트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온도 검출부(501), 레인 감지기(502), 배터리 검출부(503)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치가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차량 제어 장치에 추가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저장부(404)는 다수의 이벤트들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및 상기 다수의 이벤트들을 처리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미리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407)는 차량 응급 상황을 알리고, 처리하기 위한 차량 응급 상황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 차량 응급 상황을 알리는 이벤트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S11). 예를 들면, 운전자가 특정 장소에 차량을 주차한 후 집이나 특정 장소로 이동한 후에도 차량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해,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차량 응급 상황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407)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차량 응급 상황을 알리는 이벤트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내부 또는 외부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7)는 차량 응급 상황을 알리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및 상기 발생된 이벤트들을 처리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상기 저장부(404)로부터 독출(Reading)한다(S12, S13).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독출된(읽은) 알림 정보 및 상기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망(410)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14).

    이후,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무선 통신망(410)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5).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무선 통신망(410)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었을 때 그 수신된 사용자 요청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한다(S16). 반면,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알림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미리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5분) 동안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한다(S17).

    또한, 상기 제어부(407)는 차량 응급 상황을 알리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및 상기 발생된 이벤트들을 처리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표시부(405)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407)는 표시부(405) 상에 표시된 제어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그 선택된 제어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도5 및 도7-도8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407)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차량 응급 상황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 차량 내부에 장착된 온도 검출부(501)로부터 차량 내부 온도 정보를 수신한다(S21).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차량 내부에 장착된 온도 검출부(501)로부터 수신된 차량 내부 온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 온도 이상(예를 들면, 40도)인지를 판단한다(S22). 여기서, 차량을 한 여름에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닫은 상태(오프(Off) 상태)에서 오랫동안 방치한 경우 차량 내부 온도가 상승한다. 이때, 차량 내부에 화기 제품(예를 들면, 휴대용 라이터, 부탄 가스)이 존재할 경우 상당히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내부 온도를 근거로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제어하여 차량 실내 온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차량 내부에 장착된 온도 검출부(501)로부터 수신된 차량 내부 온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 온도 이상(예를 들면, 40도)일 때 상기 실내 온도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예를 들면, "차량의 실내온도가 높습니다" 라는 문자 정보) 및 상기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예를 들면, 차량의 도어/선루프를 오픈(open)하시겠습니까?"라는 제어 정보)를 상기 저장부(404)로부터 독출(Reading)한다(S23, S24).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독출된 알림 정보 및 상기 제어 정보를 통신부(408)에 출력한다.

    상기 통신부(408)는 상기 독출된 알림 정보 및 상기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망(410)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25).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화면상에 표시된 알림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나타낸 도이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차량 제어 장 치로부터 수신된 알림 정보(예를 들면, "차량의 실내온도가 높습니다" 라는 문자 정보) 및 상기 제어 정보(예를 들면, 차량의 도어/선루프를 오픈(open)하시겠습니까?"라는 제어 정보)(8-1)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정보는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100% 오픈하기 위한(열기 위한) 코드번호 [001]와,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50% 오픈하기 위한 코드번호 [002]와,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10% 오픈하기 위한 코드번호 [0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때 차량의 도난을 예방하기 위해 차량 도어 구동부 및/또는 선루프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량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10%만 오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 정보를 확인한 후,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100% 오픈하기 위한 코드번호 [001]와,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50% 오픈하기 위한 코드번호 [002]와,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10% 오픈하기 위한 코드번호 [003] 중에서 어느 하나의 코드 정보(사용자 요청 정보로 칭함)를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무선 통신망(410)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6).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7)는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100% 오픈하기 위한 코드번호 [001]와,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50% 오픈하기 위한 코드번호 [002]와,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10% 오픈하기 위한 코드번호 [003] 중에서 어느 하나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무선 통신망(410)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었을 때 그 수신된 사용자 요청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한다(S27).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7)는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100% 오픈하기 위한 코드번호 [001]가 수신되었을 때 차량 도어 구동부 및/또는 선루프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량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100% 오픈한다. 상기 제어부(407)는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50% 오픈하기 위한 코드번호 [002]가 수신되었을 때 차량 도어 구동부 및/또는 선루프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50%만 오픈한다. 상기 제어부(407)는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10% 오픈하기 위한 코드번호 [003]가 수신되었을 때 차량 도어 구동부 및/또는 선루프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10%만 오픈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 구동부 및/또는 선루프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량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제어하는 기술 자체는 공지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미리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5분) 동안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 중에서 기준 제어 정보(예를 들면,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10% 오픈)에 따라 차량을 제어한다(S28).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도5 및 도9-도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407)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차량 응급 상황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 차량 내부에 장착된 레인(Rain) 검출부(502)로부터 빗물 검출 신호를 수신한다(S31). 상기 레인 검출부(502)는 빗물감지기 또는 빗물감지센서라고도 한다. 상기 레인 검출부(502)는 빗물이 차량의 앞유리에 떨어지면, 앞유리 위쪽 가운데 부분에 설치된 센서가 적외선을 통해 빗물의 양과 속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레인 검출부(502)는 빗물뿐만 아니라 눈을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레인 검출부(502)로부터 빗물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가 오픈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32).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가 오픈되어 있을 때 상기 빗물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예를 들면, "비가 오고 있습니다" 라는 문자 정보) 및 상기 빗물을 차단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예를 들면, 차량의 도어/선루프를 오프(off)하시겠습니까?"라는 제어 정보)를 상기 저장부(404)로부터 독출(Reading)한다(S33, S34).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독출된 알림 정보 및 상기 제어 정보를 통신부(408)에 출력한다.

    상기 통신부(408)는 상기 독출된 알림 정보 및 상기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망(410)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35).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화면상에 표시된 알림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나타낸 도이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알림 정보(예를 들면, "비가 오고 있습니다" 라는 문자 정보) 및 상기 제어 정보(예를 들면, 차량의 도어/선루프를 오프하시겠습니까?"라는 제어 정보)(10-1)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정보는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제어하기 위한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100% 오프하기 위한(닫기 위한) 코드번호 [0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때 차량을 보호하기 위해 차량 도어 구동부 및/또는 선루프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량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오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무선 통신망(410)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6).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7)는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오프하기 위한 코드번호 [010]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무선 통신망(410)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었을 때 그 수신된 사용자 요청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한다(S37).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7)는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오프하기 위한 코드번호 [010]가 수신되었을 때 차량 도어 구동부 및/또는 선루프 구동부를 제어하여 차량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100% 오프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5분) 동안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 중에서 기준 제어 정보(예를 들면, 차량의 도어 및/또는 선루프를 100% 오프)에 따라 차량을 제어한다(S38).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도5 및 도11-도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407)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차량 응급 상황 아이콘이 선택되었을 때, 차량의 배터리 잔량을 검출하는 배터리 검출부(503)로부터 배터리 잔량 신호를 수신한다(S41).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 검출부(503)로부터 수신된 배터리 잔량 신호에 대응하는 배터리 잔량이 미리 결정된 기준값 이하(예를 들면, 배터리 총 용량의 10%~20%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42). 여기서, 차량의 배터리가 부족한 상태에서 차량을 방치한 경우 차량의 시동을 걸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배터리 잔량이 부족할 때 배터리를 신속히 충전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배터리 잔량이 미리 결정된 기준 값 이하(예를 들면, 배터리 총 용량의 10%~20% 이하)일 때 상기 배터리 잔량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예를 들면, "배터리가 부족합니다" 라는 문자 정보) 및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예를 들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차량을 20분간 시동하시겠습니까?"라는 제어 정보)를 상기 저장부(404)로부터 독출(Reading)한다(S43, S44).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독출된 알림 정보 및 상기 제어 정보를 통신부(408)에 출력한다.

    상기 통신부(408)는 상기 독출된 알림 정보 및 상기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망(410)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45).

    도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화면상에 표시된 알림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나타낸 도이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알림 정보(예를 들면, "배터리가 부족합니다" 라는 문자 정보) 및 상기 제어 정보(예를 들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차량을 20분간 시동하시겠습니까?"라는 제어 정보)(12-1)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정보는 차량을 다양한 시간 동안 시동시킬 수 있는 코드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정보는 차량을 10분간 시동하기 위한 코드번호 [201]와, 차량을 20분간 시동하기 위한 코드번호 [202]와, 차량을 30분간 시동하기 위한 코드번호 [20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 정보를 확인한 후, 차량을 10분간 시동하기 위한 코드번호 [201]와, 차량을 20분간 시동하기 위한 코드번호 [202]와, 차량을 30분간 시동하기 위한 코드번호 [203] 중에서 어느 하나의 코드 정보(사용자 요청 정보로 칭함)를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무선 통신망(410)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6).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7)는 차량을 10분간 시동하기 위한 코드번호 [201]와, 차량을 20분간 시동하기 위한 코드번호 [202]와, 차량을 30분간 시동하기 위한 코드번호 [203] 중에서 어느 하나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무선 통신망(410)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었을 때 그 수신된 사용자 요청 정보에 따라 차량을 제어한다(S47).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7)는 차량을 10분간 시동하기 위한 코드번호 [201]이 수신되었을 때 차량의 시동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을 10분간 시동시킨 후 상기 10분이 경과하면 차량의 시동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을 끈다. 상기 제어부(407)는 차량을 20분간 시동하기 위한 코드번호 [202]이 수신되었을 때 차량의 시동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을 20분간 시동시킨 후 상기 20분이 경과하면 차량의 시동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을 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7)는 차량을 30분간 시동하기 위한 코드번호 [203]이 수신되었을 때 차량의 시동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을 30분간 시동시킨 후 상기 30분이 경과하면 차량의 시동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을 끈다. 여기서, 차량의 시동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기술 자체는 공지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미리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5분) 동안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 중에서 기준 제어 정보(예를 들면, 차량을 20분간 시동)에 따라 차량을 제어한다(S48). 즉,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청 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5분) 동안 수신되지 않을 때 차량을 20분간 시동한 후 차량의 시동을 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는, 차량 응급 상황을 알리는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상기 이벤트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및 상기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응급 상황을 신속하게 판단 및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는, 차량 내부 온도가 기준값 이상일 때 차량의 실내 온도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및 상기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응급 상황을 신속하게 판단 및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는, 빗물(또는 눈) 검출 신호가 검출되었을 때 빗물 검출 신호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및 빗물을 차단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응급 상황을 신속하게 판단 및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는, 차량의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 이하일 때 배터리 잔량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 및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 응급 상황을 신속하게 판단 및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 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

    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4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적용된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나

    타낸 블록도 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

    된 알림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나타낸 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

    된 알림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나타낸 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

    된 알림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나타낸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4: 저장부 405: 표시부

    406: 표시부 407: 제어부

    408: 통신부 501: 온도 검출부

    502: 레인 검출부 503: 배터리 검출부

    高效检索全球专利

    专利汇是专利免费检索,专利查询,专利分析-国家发明专利查询检索分析平台,是提供专利分析,专利查询,专利检索等数据服务功能的知识产权数据服务商。

    我们的产品包含105个国家的1.26亿组数据,免费查、免费专利分析。

    申请试用

    分析报告

    专利汇分析报告产品可以对行业情报数据进行梳理分析,涉及维度包括行业专利基本状况分析、地域分析、技术分析、发明人分析、申请人分析、专利权人分析、失效分析、核心专利分析、法律分析、研发重点分析、企业专利处境分析、技术处境分析、专利寿命分析、企业定位分析、引证分析等超过60个分析角度,系统通过AI智能系统对图表进行解读,只需1分钟,一键生成行业专利分析报告。

    申请试用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