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용 접이식 침대

申请号 KR1019990053194 申请日 1999-11-26 公开(公告)号 KR100330752B1 公开(公告)日 2002-04-03
申请人 강준연; 发明人 강준연;
摘要 본발명은차량용접이식침대에관한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평상시에는접어서차량의트렁크에보관하다가필요시펼쳐서차량내에설치하여사용할수 있도록한 차량용접이식침대에관한것이다. 본발명의목적은차량내의조수석및 뒷좌석의공간을이용하여몸이피곤할때 편히쉴 수있고, 응급환자의발생시에는후송이용이하도록한 차량용접이식침대를제공하는데있다. 상기목적을달성하기위한본 발명은, 차량용침대에있어서, 제1 굴절부와제2 굴절부및 회절부를구비하고회절부의선단에회전부재가구비되며반대단에는고정부재가구비된두개의몸체와, 차량의트렁크내에설치되어상기몸체의회전부재와결합되는제1 고정부와, 차량의조수석전면에설치되어상기몸체의고정부재와결합되는제2 고정부와, 상기두개의몸체위에씌워져침대의표면을형성하는바닥천으로구성된것을특징으로한다.
权利要求
  • 차량용 침대에 있어서,
    제1 굴절부와 제2 굴절부 및 회절부를 구비하고 회절부의 선단에 회전부재가 구비되며 반대단에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두개의 몸체와, 차량의 트렁크내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의 회전부재와 결합되는 제1 고정부와, 차량의 조수석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의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두개의 몸체위에 씌워져 침대의 표면을 형성하는 바닥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이식 침대.
  • 说明书全文

    차량용 접이식 침대{A FOLDING BED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접이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접어서 차량의 트렁크에 보관하다가 필요시 펼쳐서 차량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접이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서 휴식을 취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을 뒤로 젖힌후 사용자가 젖혀진 시트위에 기대어 휴식을 취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굴곡으로 인해 편안한 상태의 휴식이 어렵고, 몸을 뒤척일 수 없어 행동에 제약이 따라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내의 조수석 및 뒷좌석의 공간을 이용하여 몸이 피곤할 때 편히 쉴 수 있고, 응급환자의 발생시 후송이 용이하도록 한 차량용 접이식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용 침대에 있어서, 제1 굴절부와 제2 굴절부 및 회절부를 구비하고 회절부의 선단에 회전부재가 구비되며 반대단에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두개의 몸체와, 차량의 트렁크내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의 회전부재와 결합되는 제1 고정부와, 차량의 조수석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의 고정부재와 결합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두개의 몸체위에 씌워져 침대의 표면을 형성하는 바닥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몸체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제1 굴절부가 굴절된 상태의 몸체 측면도,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제1 굴절부 및 제2 굴절부가 굴절된 상태의 몸체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제1 굴절부 및 제2 굴절부가 굴절되고 회절부가 회절된 상태의 몸체 측면도,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제1 굴절부 및 제2 굴절부가 굴절되고 회절부가 회절된 상태에서 트렁크에 수납된 상태의 몸체 측면도,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제1 굴절부 및 제2 굴절부가 굴절되고 회절부가 회절된 상태에서 상측에서 본 도면,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제1 굴절부 및 제2 굴절부가 굴절되고 회절부가 회절된 상태에서 트렁크에 수납된 상태의 도면,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제1 굴절부 및 제2 굴절부가 굴절되고 회절부가 회절된 상태에서 트렁크에 수납된 상태를 차량의 실내에서 본 도면.<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0: 몸체 11: 제1 굴절부12: 제2 굴절부 13: 회절 부14: 회전부재 15: 고정부재20: 바닥천 30: 제1 고정부40: 제2 고정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몸체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제1 굴절부가 굴절된 상태의 몸체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제1 굴절부 및 제2 굴절부가 굴절된 상태의 몸체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제1 굴절부 및 제2 굴절부가 굴절되고 회절부가 회절된 상태의 몸체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제1 굴절부 및 제2 굴절부가 굴절되고 회절부가 회절된 상태에서 트렁크에 수납된 상태의 몸체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제1 굴절부 및 제2 굴절부가 굴절되고 회절부가 회절된 상태에서 상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제1 굴절부 및 제2 굴절부가 굴절되고 회절부가 회절된 상태에서 트렁크에 수납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제1 굴절부 및 제2 굴절부가 굴절되고 회절부가 회절된 상태에서 트렁크에 수납된 상태를 차량의 실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는 제1 굴절부(11)와 제2 굴절부(12) 및 회절부(13)를 구비하고 회절부(13)의 선단에 회전부재(14)가 구비되며 반대단에는 고정부재(15)가 구비된 두개의 몸체(10)와, 차량의 트렁크내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의 회전부재(14)와 결합되는 제1 고정부(30)와, 차량의 조수석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의 고정부재(15)와 결합되는 제2 고정부(40)와, 상기 두개의 몸체(10)위에 씌워져 침대의 표면을 형성하는 바닥천(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량내에서 휴식을 위한 침대를 설치 하기 위해서는 먼저 조수석과 뒷좌석을 접어 눕히고, 뒷좌석을 접으면 노출되는 트렁크내에 설치된 제1 고정부(30)에 결합된 접이식 침대의 좌/우 몸체(10)를 도 6에 도시된 트렁크내로 수납할 때와는 반대로 실내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몸체(10)와 제1 고정부(30)를 연결하며 몸체(10)에 결합된 회전부재(14)의 회전에 의해 몸체(10)가 회전부재(14)를 축으로 실내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되는데, 몸체(10)를 덮고 형성된 바닥천(20)으로 좌/우 몸체(10)가 연결되어 있어 좌/우 몸체(1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후에 접혀진 몸체(10)의 회절부(13)를 90도 회전시켜 펴고, 접혀진 제2 굴절부(12) 및 제1 굴절부(11)를 펴면 몸체(10)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펴지게 되고, 몸체(10)를 덮고 형성된 바닥천(20)은 부드러운 재질로 되어 있어 몸체(10)를 펴면 같이 펴지게 되는데, 좌/우 두개의 몸체(10)는 바닥천(20)으로 덮여 연결되어 있어 동시에 펴지도록 되어 있고, 접을 때에도 동시에 접어야 한다. 좌/우 두개의 몸체(10)를 펴고난 후에 몸체(10)의 고정부재(15)를 조수석 전면에 설치된 제2 고정부(40)를 덮고 있는 덮개(미도시)를 열고 제2 고정부(40)에 고정하면 접이식 침대의 설치가 완료된다.

    몸체(10)를 덮고 형성된 바닥천(20)은 몸체(10)와 연결되는 끝단부가 몸체(10)와 고정되어 있어 접이식 침대를 펴면 몸체(10)와 함께 펴지고 몸체(10)의 고정부재(15)와 제2 고정부(40)를 결합하여 고정하면 접이식 침대의 폭방향으로도 완전하게 펴져 사람이 누울 수 있는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본 발명에서는 고정부재(15)와 제2 고정부(40)의 연결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나사를 체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고정부재(15)와 제2 고정부(40)의 체결 방법은 고리식을 사용하거나 푸시버튼을 이용한 록커 등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침대를 이용한 휴식이 끝나면 설치시와 반대로 침대를 트렁크내로 수납하면 되는데, 먼저 몸체의 고정부재(15)를 제2 고정부(40)에서 해제시키면 몸체(1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르게 펴진 상태가 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샅이, 본 발명의 몸체(10)에 구비된 제1 굴절부(11)는 하측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되어있고, 제2 굴절부(12)는 반대로 상측방향으로 접힐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제1 굴절부(11)를 하측으로 접으면 몸체(10)는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는데, 몸체(10)를 덮고 형성된 바닥천(20)은 부드러운 재질로 되어 있어 몸체(10)를 접으면 같이 접혀지게 되고, 좌/우 두개의 몸체(10)는 바닥천(20)으로 덮여 연결되므로 동시에 접도록 되어 있다.제1 굴절부(11)를 하측으로 접은 후 제 2굴절부(12)는 반대방향으로 접으면 몸체(10)는 도 4와 같이 접혀진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좌측 몸체(10)의 회절부(13)를 우측으로 꺾어 접고, 우측 몸체(10)의 회절부(13)를 좌측으로 꺾어 접으면 도 5 및 도 7과 같은 상태가 되는데, 몸체(10)의 표면에 덮인 바닥천(20)도 몸� ��(10)와 함께 접히게 된다. 이후에 제1 고정부(30)에 연결된 몸체(10)의 회전부재(14)를 축으로 몸체(10)를 트렁크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도 6과 도 8 및 도 9와 같은 상태가 되어 트렁크내로 수납되게 된다.이후 접었던 뒷좌석과 조수석을 펴서 좌석을 원래의 위치로 복구하고, 제2 고정부(40)를 덮개로 덮고 차량을 운행하게 되는 것이다.각종 차량의 길이 차이에 따른 본 발명의 차량용 접이식 침대의 길이 문제는 몸체(10)의 제1 굴절부(11)와 제2 굴절부(12)간의 길이를 변경하거나, 회절부(13)와 회전부재(14)간의 길이와 바닥천(20)의 길이를 변경하여 모든 차량에 적용할 수 있고, 침대의 폭도 제1 고정부(30) 및 제2 고정부(40)의 설치폭과 바닥천(20)의 폭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승용차 뿐만 아니라 대형버스의 통로 바닥에 사각형상의 수납고를 설치하여 필요시에 꺼내어 사용할 수 있게 변경할 수 있고,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내의 조수석 및 뒷좌석의 공간을 이용하여 몸이 피곤할 때 편히 쉴 수 있고, 응급환자의 발생시에는 후송이 용이하도록 한 차량용 접이식 침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