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

申请号 KR1020120092810 申请日 2012-08-24 公开(公告)号 KR101220119B1 公开(公告)日 2013-01-11
申请人 박순천; 옥인호; 发明人 박순천; 옥인호; 김영달;
摘要 PURPOSE: A wheel block device for conveying a transformer is provided to efficiently move a transformer while wheels stably drive even on an obliquely installed rail by designing the wheels of the wheel block device as a movable structure when the wheel block device moves the transformer. CONSTITUTION: A wheel block device for conveying a transformer comprises a frame(10), wheels(20), and a hinge block(30). In the frame, a pair of side plates is formed in both sides of a top plate. The wheels are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side plates by a pair of rotary shafts and are arranged in a same line. The cross section of the hinge block is a reversed U-shape and the hinge block is movably coupled to the frame by a hinge pin penetrating the body of the hinge block in a state w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hinge block is adjacent to the exterior of the frame.
权利要求
  • 직사각판 형태를 갖는 한 쌍의 측판이 상판을 매개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한 쌍의 측판에 관통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되,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한 쌍이 배열 설치되는 휠 및;
    단면이 "┏┓" 형상을 갖으며, 그 내면에 상기 프레임의 외면이 인접한 상태에서 그 몸체를 관통하는 힌지핀을 매개로 상기 프레임과 유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힌지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휠의 중심홀 및, 상기 힌지핀이 관통되는 측판의 회전홀 내주면에는 원활한 회전을 위한 부싱 또는 베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및 힌지핀의 외주면 하측부분은 그 일부가 제거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 및 힌지핀의 양단이 위치하는 측판 및 힌지블럭의 외면에는 상기 회전축 및 힌지핀에 인가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한 쌍의 측판 사이의 내면 중앙부분에는 격벽이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측판의 전단 및 후단에는 보강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블럭의 상부에는 그 상면에 변압기가 고정 설치되는 변압기 설치판이 수평상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
  • 说明书全文

    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WHEEL BLOCK APPARATUS FOR CONVEYING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압기에 장착되는 휠블럭으로서 변압기의 현장 설치 시 레일 위를 주행하면서 해당 변압기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력 수요의 증대에 따라, 송전 계통의 고전압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변압기 등의 정지 유도 전기도 대용량화 및 대형화 등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200톤 이상의 고중량을 갖는 변압기의 현장 설치 시에는 변압기 하부에 이송용 휠블럭 장치가 일체로 장착되어, 상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가 레일 위를 주행함에 따라, 해당 변압기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200톤 이상의 고중량을 갖는 변압기 한 대에는 4개의 휠블럭 장치가 장착되게 되는데, 상기 변압기에 장착되는 종래의 이송용 휠블럭 장치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용 휠블럭 장치 각각에 2개의 휠(20)이 한조로 배열되어 구성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송용 휠블럭 장치는 휠의 유동을 위한 별도의 힌지장치가 없이 2개의 휠이 직접 프레임 측에 설치된 구조이므로, 상기 휠블럭 장치의 레일(100) 주행을 매개로 한 변압기의 이동 시, 해당 레일(100)에 경사가 있는 경우(도 1b)에는 하중이 일측 휠(20)로 편중되면서 휠의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013598호(발명의 명칭: 피시비함유 폐 변압기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중량의 변압기 이송을 위해 변압기에 장착되는 휠블럭 장치에서 힌지 구조를 통해 휠을 유동 가능하게 설계하여 경사진 레일 상에서도 변압기를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는, 직사각판 형태를 갖는 한 쌍의 측판이 상판을 매개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한 쌍의 측판에 관통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되,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한 쌍이 배열 설치되는 휠 및; 단면이 "┏┓" 형상을 갖으며, 그 내면에 상기 프레임의 외면이 인접한 상태에서 그 몸체를 관통하는 힌지핀을 매개로 상기 프레임과 유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힌지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휠의 중심홀 및, 상기 힌지핀이 관통되는 측판의 회전홀 내주면에는 원활한 회전을 위한 부싱 또는 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축 및 힌지핀의 외주면 하측부분은 그 일부가 제거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 및 힌지핀의 양단이 위치하는 측판 및 힌지블럭의 외면에는 상기 회전축 및 힌지핀에 인가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의 한 쌍의 측판 사이의 내면 중앙부분에는 격벽이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측판의 전단 및 후단에는 보강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힌지블럭의 상부에는 그 상면에 변압기가 고정 설치되는 변압기 설치판이 수평상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휠블럭 장치를 이용한 변압기 이동 시, 휠블럭 장치의 휠을 유동 가능한 구조로 설계하므로서, 경사지게 설치된 레일 상에서도 휠이 레일 위를 안정적으로 주행하면서 변압기를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 이를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 변압기 이송용 레일의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은 종래의 변압기 이송용 휠블록 장치의 주행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이송용 휠블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이송용 휠블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이송용 휠블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이송용 휠블록 장치의 주행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이송용 휠블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이송용 휠블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이송용 휠블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이송용 휠블록 장치의 주행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는, 200톤 이상의 고중량의 변압기의 이동 시, 변압기 한 대에 4개가 장착되어 변압기 설치현장에 구비된 레일 (100) 위를 주행하면서 변압기를 이동시키는 휠블럭 장치에 있어서, 각 휠블럭 장치에 구비되는 휠(20)을 유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경사진 레일(100) 상에서도 보다 원활한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이송용 휠블럭 장치는, 한 쌍의 휠(20)이 설치되는 프레임(10)이 힌지블럭(30)을 매개로 시소 형태로 유동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휠블럭 장치는 고중량의 변압기가 탑재되므로, 임의적인 변형이나 파손이 방지되도록 고강도의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대략 직사각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측판(12)이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판(16)을 매개로 일체로 형성되어 그 단면이 대략 "┏┓" 형상의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측판(12)에는 각각 회전축(40)의 설치를 위한 한 쌍의 관통홀(13) 및 힌지핀(50)의 설치를 위한 한 개의 회전홀(14)이 대응되게 천공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프레임(10)의 한 쌍의 측판(12) 사이의 내면 중앙부분의 하측에는 격벽(18)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측판(12)의 전단부 및 후단부 측에는 상기 한 쌍의 측판(12)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부재(19)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휠(20)은 레일(100) 위를 주행하도록 레일(100)과 대응되는 소정 규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0)의 한 쌍의 측판(12)에 구비되는 관통홀(13)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40)을 매개로 상기 측판(12) 사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한 쌍이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이 휠(20)은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배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40)이 관통되는 휠(20)은 주행 시 상기 회전축(40)을 중심으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중심홀(22)에 부싱(22a)이나 베어링 등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블럭(30)은 그 단면이 대략 "┏┓"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상태에서, 그 내면에 상기 프레임(10)의 상판(16) 및 한 쌍의 측판(12) 외면 중앙부분이 맞닿는 위치에 설치되되, 그 몸체에는 상기 측판(12)의 회전홀(14)과 대응되게 힌지핀 관통홀(32)이 천공되어 구성된다.

    이에, 상기 힌지블럭(30) 및 프레임(10)은 상기 힌지핀 관통홀(32) 및 회전홀(14)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힌지핀(50)을 매개로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힌지핀(50)을 매개로 일정 각도만큼 시소 형태로 유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의 회전홀(14) 내주면에는 프레임(10)이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부싱(14a)이나 베어링 등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휠(20)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축(40) 및 상기 프레임(10)이 시소 형태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핀(50)은 그 외주면의 하측부분 일부가 제거된 형태로 구성된다.

    또, 상기 회전축(40) 및 힌지핀(50)의 양단이 위치하는 상기 프레임(10)의 측판(120 및 힌지블럭(30)의 외면에는 상기 회전축(40) 및 힌지핀(50) 외주면의 제거된 하측부분과 대응되는 지점에 직사각판 형태의 지지부재(52,52)가 볼트체결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42,52)는 고중량의 변압기로부터 휠블럭 장치 측으로 인가되는 하중을 지지하여, 그 하중이 상기 회전축(40) 및 힌지핀(50) 측으로 과도하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를 통해 휠블럭 장치의 임의적인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힌지블럭(30)의 상부에는 수평을 이루도록 사각판 형태의 변압기 설치판(60)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변압기 설치판(60)의 상면을 통해 해당 변압기를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이송용 휠블록 장치를 매개로 이동되는 200톤 이상의 고중량을 갖는 변압기 하부에는 본 발명에 따라 일정 각도만큼 시소 형태로 유동 가능하게 설계된 4개의 휠블록 장치가 각각 장착되며, 해당 변압기의 설치현장의 바닥면에는 상기 휠블록 장치의 주행을 위한 레일(100)이 변압기의 이동 경로를 따라 설치된다.

    이에, 해당 변압기의 이동을 위한 외력이 휠블럭 장치 측으로 인가됨에 따라, 상기 휠블록 장치 각각에 구비된 한 쌍의 휠(20)은 회전축(40)을 기준으로 구르면서 레일(100) 위를 주행하여 해당 변압기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되도록 하게 된다(도 5a 참조).

    이때, 상기 한 쌍의 휠(20)이 설치된 프레임(10)은 상기 힌지블럭(30)에 시소 형태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이므로,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100)의 높이가 균일하지 않고 어느 정도 경사가 있는 경우에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휠(20)이 모두 레일(100) 위에 항상 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변압기로부터 휠블록 장치 측으로 인가되는 하중은 각각의 휠(20)에 균일하게 분산되면서 적은 힘으로도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10: 프레임, 12: 측판,
    13: 관통홀, 14: 회전홀,
    14a, 22a: 부싱, 16: 상판,
    18: 격벽, 19: 보강부재,
    20: 휠, 22: 중심홀,
    30: 힌지블럭, 32: 힌지핀 관통홀,
    40: 회전축, 42,52: 지지부재,
    50: 힌지핀, 60: 변압기 설치판,
    100: 레일.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