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장치 및 그 방법

申请号 KR1020030047254 申请日 2003-07-11 公开(公告)号 KR1020050007686A 公开(公告)日 2005-01-21
申请人 주식회사 포스코; 发明人 허윤기;
摘要 PURPOSE: A harbor unloader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prevent fallen rocks from being lost in a rockfall prevention plate by driving the rockfall prevention plate upward and downward through a controller. CONSTITUTION: A harbor unloader contains a fixing bracket(20), a link portion(60), a driving device(80), a locking device(90), a controller and a distance detection sensor(100). The fixing bracket is fixed in one side of a connection beam(10) to support the unloader and combined with a rockfall prevention plate(30). The link portion is combin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beam and connected with the rockwall prevention plate through a link combination. The driving device moves the rockfall prevention plate by rotating the link portion through the downward pushing or the upward pulling of the link portion. The locking device fixes the link portion while the rockfall prevention plate is raised. The controller indicates or control the driving device and the locking device automatically or manually according to an operator¡~s control. The distance detection sensor measures a distance between the rockfall prevention plate and a ship(1) and offers the distance to the controller to be stuck in a shear portion of the rockfall prevention plate and to locate the rockfall prevention plate apart from the ship. Thereby, the damage of the ship by the contact with the rockfall prevention plate is prevented.
权利要求
  • 선박에 선적된 광물을 언로더의 컨베이어로 하역하는 과정에서 낙하되는 광물을 수집하는 낙광 방지판을 포함하는 항만하역장치에 있어서,
    상기 언로더를 지지하는 연결보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그 일단부에 상기 낙광 방지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연결보의 하부측 측면에 그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링크결합에 의해 상기 낙광 방지판에 연결되는 링크부와;
    상기 연결보에 고정되며, 상기 링크부의 일단측을 하부로 밀거나 상부로 당겨서 상기 링크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낙광 방지판을 승하강시키는 구동기와;
    상기 연결보에 고정되며, 상기 낙광 방지판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링크부를 고정하는 잠금장치와;
    상기 구동기의 작동과 상기 잠금장치의 작동을 운전원의 조작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지시하거나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낙광 방지판의 선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낙광 방지판이 상기 선박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낙광 방지판의 선단부와 상기 정박된 선박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에 제공하는 거리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감지센서는 3개가 설치되어, 상기 3개의 거리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가 곡면지게 형성되는 선박과 상기 낙광 방지판의 선단부 간의 최근접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장치.
  • 선박에 선적된 광물을 언로더의 컨베이어로 하역하는 과정에서 낙하되는 광물을 낙광 방지판으로 수집하는 항만하역방법에 있어서,
    상기 낙광 방지판에 연결된 링크부를 고정하는 잠금장치를 제어기로 작동시켜, 상기 링크부를 회전 가능하게 분리시키는 제1 단계와;
    상기 제어기의 지시에 따라 상기 링크부가 회전되도록, 구동기를 작동시켜 상기 링크부의 일측부를 상부로 올리는 제2 단계와;
    상기 링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크부의 타단부에 연결된 상기 낙광 방지판이 상기 선박 쪽으로 하강되는 제3 단계와;
    상기 낙광 방지판의 선단부에 부착된 거리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선박과 상기 낙광 방지판의 선단부 간의 거리 측정치와 상기 제어기에 입력된 거리 설정치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낙광 방지판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제4 단계와;
    상기 광물의 하역작업 후에 상기 제어기의 지시에 따라 상기 구동기를 작동시켜, 상기 링크부의 일측부를 하부로 밀어 내리는 제5 단계와;
    상기 링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어기에 입력된 상기 낙광 방지판의 상승한계치까지 상기 낙광 방지판이 상승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잠금장치의 작동으로 상기 낙광 방지판이 하강하지 못하도록 상기 링크부를 고정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방법.
  • 说明书全文

    낙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장치 및 그 방법{Harbor unloading apparatus for recovering fallen miner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박으로부터 철광석, 석탄 등의 광물을 하역하는 항만하역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광물을 선박으로부터 언로더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낙하하는 광물을 수집하여 해양오염과 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 등에 사용되는 철광석, 석탄 등과 같은 광물은 일반적으로 선박에 의해 외국으로부터 운반된다. 그러면, 선박에 선적된 광물은 제철소로 이송되기 위해 부두에 설치된 언로더(unloader)에 의해 하역된다.

    이 때, 광물은 크랩(crab)에 의해 선박으로부터 옮겨지고, 언로더의 호퍼(hopper)에 담겨져, 호퍼의 하부에 위치한 이송용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다. 하지만, 이런 하역작업 중에는 선박과 언로더 사이를 옮기는 크랩으로부터 광물이 낙하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특히, 광물은 부두 안벽과 선박간의 거리가 크거나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해 크랩의 이동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는 경우에 더 많이 낙하되며, 이로 인해 부두 근처의 해양이 오염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선박과 부두 사이에 천막이나 캔버스 등을 설치하고, 광물의 하역작업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광물을 대량 선적한 선박의 경우에는 부두와 선박간의 거리가 커서 천막이나 캔버스 등을 설치 고정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낙하된 광물이 일정량 모여진 경우에 이를 회수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연속식 언로더의 낙광회수장치가 일본 특개평11-59915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런 연속식 언로더의 낙광회수장치는 연속식 언로더의 선회 붐의 선단에 선회 가능한 버킷 엘리베이터와 이송용 벨트 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이송용 벨트 컨베이어 하측에 낙광 회수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낙화물을 회수한다. 하지만, 상기 연속식 언로더에서 낙광회수장치는 선박 안으로 낙광되는 광물만을회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언로더용 낙광방지장치가 일본 특개평06-286883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런 언로더용 낙광방지기는 와이어 로프에 의해 상하로 구동되는 낙광 방지판을 설치하고, 낙광 방지판에 낙하되는 광물을 수집한다. 하지만, 상기 언로더용 낙광방지기는 선박의 부상이나 롤링에 따라 낙광 방지판이 민첩하게 대응하면서 구동되어야 하는데, 와이어 로프에 의한 작동은 그 응답성이 느려서 낙광 방지판이 선박에 충돌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항만 하역작업에서 크랩에 의해 선박으로부터 언로더로 옮겨지는 광물이 낙하되어, 해양이 오염되지 않도록 낙광 방지판을 설치하고, 상기 낙광 방지판이 부상 또는 롤링하는 선박에 충돌하지 않도록 제어기를 통해 상기 낙광 방지판을 상하로 신속하게 대응 구동시키면서, 낙광 방지판에 낙하된 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낙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낙광 방지판을 지지하는 고정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항만하역장치의 낙광 방지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낙광 방지판에 부착되는 고무 롤러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낙광 방지판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선박에 접하는 고무 시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낙광 방지판을 승하강시키는 링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링크부가 회전 구동되도록 지지하는 링크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링크부를 구동시키는 구동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낙광 방지판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체인을 일부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링크부를 고정하는 잠금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항만하역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2 및 도 13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낙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장치의 작동 순서에 관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선박 2 : 부두

    20 : 고정 브라켓 30 : 낙광 방지판(side skirt)

    40 : 고무 롤러 50 : 고무 시트

    60 : 링크부 70 : 링크 연결부

    80 : 구동기 100 : 거리 감지센서

    110 : 체인 120 : 회수 트레이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항만하역장치는 선박에 선적된 광물을 언로더로 하역하는 과정에서 하부로 낙하되는 광물을 낙광 방지판이 수집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언로더를 지지하는 연결보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그 일단부에 상기 낙광 방지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연결보의 하부측 측면에 그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링크결합에 의해 상기 낙광 방지판에 연결되는 링크부와; 상기 연결보에 고정되며, 상기 링크부의 일단측을 하부로 밀거나 상부로 당겨서 상기 링크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낙광 방지판을 승하강시키는 구동기와; 상기 연결보에 고정되며, 상기 낙광 방지판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링크부를 고정하는 잠금장치와; 상기 구동기의 작동과 상기 잠금장치의 작동을 운전원의 조작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지시하거나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낙광 방지판의 선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낙광 방지판이 상기 선박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낙광 방지판의 선단부와 상기 정박된 선박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에 제공하는 거리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리 감지센서는 3개가 설치되어, 상기 3개의 거리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가 곡면지게 형성되는 선박과 상기 낙광 방지판의 선단부 간의 최근접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항만하역방법은 선박에 선적된 광물을 언로더로 하역하는 과정에서 하부로 낙하되는 광물을 낙광 방지판으로 수집한다. 이 항만하역방법은 상기 낙광 방지판에 연결된 링크부를 고정하는 잠금장치를 제어기로 작동시켜, 상기 링크부를 회전 가능하게 분리시키는 제1 단계와; 상기 제어기의 지시에 따라 상기 링크부가 회전되도록, 구동기를 작동시켜 상기 링크부의 일측부를 상부로 올리는 제2 단계와; 상기 링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크부의 타단부에 연결된 상기 낙광 방지판이 상기 선박 쪽으로 하강되는 제3 단계와; 상기 낙광 방지판의 선단부에 부착된 거리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선박과 상기 낙광 방지판의 선단부 간의거리 측정치와 상기 제어기에 입력된 거리 설정치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낙광 방지판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제4 단계와; 상기 광물의 하역작업 후에 상기 제어기의 지시에 따라 상기 구동기를 작동시켜, 상기 링크부의 일측부를 하부로 밀어 내리는 제5 단계와; 상기 링크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어기에 입력된 상기 낙광 방지판의 상승한계치까지 상기 낙광 방지판이 상승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잠금장치의 작동으로 상기 낙광 방지판이 하강하지 못하도록 상기 링크부를 고정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낙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가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낙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낙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장치는 부두(2)에서 하역작업을 수행하는 크랩에서 낙하되는 광물을 회수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언로더의 기둥역할을 하는 연결보(10)에 고정 브라켓(20)이 고정되고, 이런 고정 브라켓(20)에 낙광 방지판(30)이 선박(1)이 정박된 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결합된다. 그러면, 낙광 방지판(30)에는 하역작업 중에 낙하되는 광물이 수집되고, 수집된 광물은 회수 트레이(120)에 의해 상부측에 위치한 언로더의 컨베이어로 회수 조치된다.

    이 때, 낙광 방지판(30)은 링크부(60)의 작동에 따라 승하강되며, 체인(110)에 의해 급격한 하강이 방지된다. 또한, 낙광 방지판(30)의 선단에는 선박(1)의 부상 또는 롤링에 의해 낙광 방지판(30)이 선박(1)에 충돌하지 않도록, 낙광 방지판(30)과 선박(1)과의 거리를 인지하는 거리 감지센서(100)가 부착된다. 그러면, 항만하역장치의 제어기는 거리 감지센서(100)에 의해 인지된 거리에 따라 구동기(80)를 작동시켜, 신속하게 낙광 방지판(30)을 승하강시킨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낙광 방지판을 지지하는 고정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 브라켓(20)은 승하강되는 낙광 방지판(30)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언로더의 양쪽 교각을 연결하는 연결보(10)의 측부에 설치된다. 이 고정 브라켓(20)은 제1 고정부(21)가 연결보(10)에 고정되며, 제1 고정부(21)의 하부측 끝단에 제 2고정부(22)의 일측이 직각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 브라켓(20)은 제 2고정부(22)의 타측에 낙광 방지판(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23)가 설치되고, 제1, 제2 고정부(21, 22) 사이에는 연결부(24)가 결합되어, 낙광 방지판(30)의 중량에 의한 처짐을 지지하도록 보강 연결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항만하역장치의 낙광 방지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낙광 방지판(side skirt ; 30)은 철광석 또는 석탄 등과 같은 광물이 바다로 유실되지 않도록, 낙하되는 광물을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낙광 방지판(30)은 선박(1)과 부두(2) 사이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는데, 가장 양호하게 각 낙광 방지판(30)는 그 크기가 전폭 3800mm, 전장 16000mm을 갖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낙광 방지판(30)에는 낙하되는 광물을 수집하는 커버천(35)이 설치된다. 이런 커버천(35)은 낙화된 광물의 충격을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우수한 FRP 재질을 사용한다. 그리고, 커버천(35)은 횡프레임(32)과 종프레임(33)이 교차 연결된 프레임 일측면에 고정된다. 이 때, 횡프레임(32)과 종프레임(33)에는 C형강 또는 L(angle)형강이 사용되는데, 이렇게 교차 연결된 횡프레임(32)과 종프레임(33) 사이 사이에는 중앙부의 처짐을 억제시키기 위해 4각 파이프로 보강한다. 그리고, 낙광 방지판(30)의 선단부(31)에는 선박(1)과의 접촉시 충격 완화를 위해 고무 롤러(40) 및 고무 시트(50)가 결합되고, 낙광 방지판(30)의 하단부(34)에는 고정 브라켓(20)의 결합부(23)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낙광 방지판에 부착되는 고무 롤러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무 롤러(40)는 낙광 방지판(30)의 하강시 또는 광물의 하역작업에서 선박(1)의 부상으로 인해 낙광 방지판(30)이 선박(1)에 접촉하여 선박(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낙광 방지판(30)에 설치된다. 즉, 고무 롤러(40)는 가장 양호하게 낙광 방지판(30)의 선단부(31) 하면측에 등간격으로 6개가 결합된다. 이런 고무 롤러(40)는 그 외주에 탄성체 링(43)이 감겨져 있으며, 그 크기가 300mm의 직경과 500mm의 길이를 갖는다. 이를 위해, 고무 롤러(40)에는 중심축(42)이 고정되고, 중심축(42)의 양 단부는 낙광 방지판(30)의 선단부(31)에 고정된 지지체(41)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낙광 방지판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선박에 접하는 고무 시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무 시트(50)는 두께 100mm를 갖는 탄성체 재질로서, 낙광 방지판(30)과 선박 사이의 틈새로 광물이 유실되지 않도록, 낙광 방지판(30)의 선단부(31)에 결합된다. 이런 고무 시트(50)는 선박(1)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선박(1)과의 접촉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무 시트(50)는 하부로 처지거나 접히지 않도록, 선단부(31)의 상면측에 고정 플레이트(51)가 부착되고, 체결수단(52)인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광 방지판(30)의 선단부(31)에 거리 감지센서(100)가 고무 롤러(40)와 고무 시트(50) 사이에 설치된다. 이런 거리 감지센서(100)는 낙광 방지판(30)의 선단부(31)와 선박(1)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선박(1)이 손상되지 않도록 낙광 방지판(30)의 과도한 하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3개의 거리 감지센서(100)가 설치된다. 이런 3개의 거리 감지센서(100) 중 어느 하나는 곡면지게 형성된 선박(1)과의 가장 최근접 거리를 측정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어기가 낙광 방지판(30)의 승하강을 제어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낙광 방지판을 승하강시키는 링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링크부가 회전 구동되도록 지지하는 링크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링크부(60)는 낙광방지판(30)에 연결되어, 링크 연결부(7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낙광 방지판(30)을 상하로 구동시킨다. 이런 링크부(60)는 링크 몸체(62)의 양 단부가 일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그 중심부가 링크 연결부(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링크 연결부(70)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연결 플레이트(71) 사이에 링크 몸체(62)가 삽입되고, 한 쌍의 연결 플레이트(71)와 링크 몸체(62)가 연결핀(7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링크부(60)의 절곡된 일 끝단부(61)에는 낙광 방지판(30)에 연결되는 제1 링크(64)가 자유운동을 하도록 결합되고, 링크부(60)의 절곡된 타측 끝단부에는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 63)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링크부(60)는 구동기(80)의 작동에 의해 링크 연결부(70)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링크부(60)에 연결된 낙광 방지판(30)은 링크부(60)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링크부를 구동시키는 구동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낙광 방지판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체인을 일부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동기(80)는 너클 연결부(81)가 링크 몸체(62)에 결합되고, 실린더 몸체(83)가 연결보(10)의 타면측에 고정된다.

    이런 구동기(80)는 피스톤 로드(82)가 하부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면서, 링크부(60)에 외력을 가한다. 그러면, 링크부(60)는 링크 연결부(70)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낙광 방지판(30)이 상부로 구동된다. 그리고, 구동기(80)의 피스톤 로드(82)는 구동기(80)의 작동과 낙광 방지판(30)의 자중에 의해 상부방향인 실린더 몸체(83)의 내부로 들어 가고, 낙광 방지판(30)은 하부로 구동된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인해, 본 발명의 구동기(80)에는 작동유로 인해 해양오염 가능성이 있는 유압 실린더보다 신속하게 작동되며, 낙광 방지판(30)의 자중과 같은 외력에도 상당한 충격흡수 능력이 있는 공기(air) 실린더가 적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항만하역장치에는 이상 작동으로 낙광 방지판(30)이 한계값 이상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보(10)와 낙광 방지판(30) 사이에 체인(110)이 연결 설치된다. 이런 체인(110)은 낙광 방지판(30)의 자중을 지지할 수 있는 인장력을 가지고 있으며, 낙광 방지판(30)의 상승시에 느슨해지지 않도록 연결보(10)의 내측에 감겨진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링크부를 고정하는 잠금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잠금장치(90)는 언로더의 운휴상태에서 낙광 방지판(30)을 고정하기 위해 연결보(10)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연결보(10)의 일 측면에는 제1 체결 플레이트(91)가 직립되게 부착되고, 링크 몸체(62)에는 한 쌍의 제2 체결 플레이트(65)가 직립되게 부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링크부(60)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체결 플레이트(91)가 한 쌍의 제2 체결 플레이트(65)의 내측에 위치하고, 연결보(10)에 고정된 잠금장치(90)의 잠금핀(92)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낙광 방지판(30)이 상승한 상태에서는 링크부(60)가 연결보(10)에 잠금장치(90)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즉, 잠금장치(90)는 제어기의 지시에 따라 피스톤 로드(93)를 직선운동시켜, 피스톤 로드(93)에 연결된 잠금핀(92)을 제1, 제2 체결 플레이트(91, 65)의 각 홈에 체결 고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항만하역장치에는 운전원이 각 구성요소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런 인터페이스 장치에는 TP(Touch Panel) 및 TFP(Touch Fault Panel)가 사용된다. TP는 자동상태 또는 수동상태로 PLC 제어기에 명령을 지시할 수 있고, TFP는 TP와 PLC 제어기 간의 통신 불량 또는 고장으로 지속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에 TP로부터 명령체계가 변경되어, PLC 제어기에 명령을 지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어기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동작 명령신호를 전달 받고, 여러 구성요소들을 동작시키고, 여러 신호들을 감지 처리한다. 즉, 본 발명의 제어기는 잠금장치(90), 낙광 방지판(30)의 상승과 하강, 구동기(80), 센서(100)의 경고음 등의 작동을 지시하고, 센서(100)를 통해 선체와의 거리를 인식하며, 구동기(80)의 공기압 저하여부 및, 위험상황과 고장 등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도 11참조).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낙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낙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장치의 작동 순서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원은 선박(1)이 부두(2)에 정박된 상태에서 선박(1)의 광물을 하역하기 위해 항만하역장치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크랩은 광물을 선박(1)으로부터 언로더의 호퍼로 옮겨 담는데, 이런 크랩의 이송 중에는 광물이 낙하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운전원은 선박(1)과 부두(2) 사이에 항만하역장치의 낙광 방지판(30)을 배열 설치한다.

    먼저, 운전원은 선단부(31)와 선박(1)과의 거리 실정치(A)를 입력하고, 자동버튼 또는 수동버튼을 눌러 동작을 지시한다.

    자동 작동의 경우에는 PLC 제어기가 잠금장치(90)를 작동시키고(S1), 링크부(60)를 고정하고 있던 잠금장치(90)의 잠금핀(92)을 분리시킨다(S2).

    그러면, 링크부(60)는 낙광 방지판(30)의 자중과 구동기(80)의 작동에 따라 하부로 회전하고(S3), 낙광 방지판(30)은 링크부(60)의 회전에 따라 하강한다(S4). 이 때, 거리 감지센서(100)는 선단부(31)와 선박(1)과의 거리 실측치(B)를 제어기에 제공한다.

    제어기는 거리 실측치(B)가 입력된 거리 설정치(A)보다 큰 경우에 낙광 방지판(30)을 지속적으로 하강시킨다. 그리고, 제어기는 거리 감지센서(100)에서의 거리 실측치(B)가 입력된 거리 설정치(A)보다 작거나 동일한 경우에 구동기(80)를 정지시켜 낙광 방지판(30)의 하강을 방지하고, 필요에 따라 낙광 방지판(30)을 미세하게 상승시킨다(S5).

    이 때, 선단부(31)와 선박(1)과의 거리 실측치(A)는 26cm 또는 93cm로 설정 입력된다. 즉, 본 발명은 선박(1)을 정박하는 로프가 묶여진 지점에서 작업하는경우에 로프가 설치되는 거리를 고려하여, 선단부(31)와 선박(1)과의 거리 실측치(A)를 93cm로 입력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반적인 작업시에 고무 시트(50)가 선박(1)에 접촉할 정도인 선단부(31)와 선박(1)과의 거리 실측치(A)를 26cm로 입력한다.

    또한, 낙광 방지판(30)에 설치된 체인(110)은 이상 작동에 의해 낙광 방지판(30)이 과도하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면, 낙광 방지판(30)은 그 상부에서 낙하되는 광물을 수집하고, 낙광 방지판(30)의 하단부측에 설치된 회수 트레이(120)는 수집된 광물을 상부 컨베이어로 이송한다.

    광물의 하역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낙광 방지판(30)을 운휴상태로 복귀시킨다(도 12참조). 즉, 제어기는 구동기(80)의 피스톤 로드(82)를 하부로 직선운동하도록 작동시키고(S6), 낙광 방지판(30)을 상승시킨다(S7). 그리고, 제어기는 낙광 방지판(30)의 상승 한계값에서 구동기(80)를 정지시킨다. 그런 다음에는 잠금장치(90)의 잠금핀(92)을 제1, 제2 체결 플레이트(91, 65)의 홈에 삽입시켜(S8), 낙광 방지판(30)에 연결된 링크부(60)를 연결보(10)에 고정한다(S9).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낙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장치는 부상 또는 롤링하는 선박과 광물을 수집하는 낙광 방지판이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성됨으로, 낙광 방지판의 접촉으로 인해 선박이 손상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TP 또는 TFP와 같은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PLC 제어기에 여러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지시하고, 여러 신호들을 PLC 제어기가 인지하여 대응하기 때문에, 여러 신호들을 신속하게 전달 처리하고 고장 또는 정지 상태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낙광 방지판에 체인이 연결 설치되기 때문에, 낙광 방지판의 과도한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낙광 방지판에 연결된 링크부를 고정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되기 때문에, 운휴상태에서 낙광 방지판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기의 피스톤 로드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링크부를 회전시킴으로, 가장 적은 힘으로 낙광 방지판을 가장 효율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낙광물의 유실을 방지하는 항만하역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