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 이송장치

申请号 KR1020040027042 申请日 2004-04-20 公开(公告)号 KR100591710B1 公开(公告)日 2006-06-22
申请人 미래산업 주식회사; 发明人 이병훈; 박용근; 송호근;
摘要 소형 카메라 모듈들이 수납된 트레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레이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트레이 이송부; 상부에 상기 트레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을 따라서 구비된 가이드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다층으로 적재된 트레이들을 상하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수단; 그리고 상기 상하 이동수단의 상부에 상기 다층으로 적재된 트레이들을 구속하기 위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수직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트레이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소형카메라모듈, 트레이, 이송장치, 가변형구속부
权利要求
  • 트레이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트레이 이송부;
    상부에 상기 트레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을 따라서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다층으로 적재된 트레이들을 상하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수단; 그리고
    상기 가이드윌 각각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다층으로 적재된 트레이들의 수평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수직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안내부는
    상기 가이드월의 양측면에 상측으로 돌출되고, 다층으로 적재된 트레이들을 구속하는 구속부가 형성된 제1안내부재와;
    상기 제1안내부재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단부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부에 트레이들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가변형 구속부가 구비된 제2안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구속부는
    상기 제2안내부재의 구비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트레이 이동경로의 내측으로 돌출되거나 해제되는 구속편;
    일단이 상기 구속편에 고정되고, 'ㄱ'자 형상으로 밴딩된 절곡부; 그리고
    상기 절곡부의 일면을 자성에 의하여 결합하도록 상기 제2안내부재에 고정된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 및 자성체는 상기 구속편의 상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일측의 절곡부 및 자성체는 상기 걸림편이 상기 트레이 이동경로의 내측으로 돌출된 경우에 결합되고, 타측의 절곡부 및 자성체는 상기 구속편이 해제된 경우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일면에는 돌출된 핸들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부재의 구속부와 상기 제2안내부재의 가변형 구속부는 상기 안내부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상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 및 구속편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컨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는 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절곡부 및 구속편이 선택적으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종방향 길이가 짧은 트레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속편이 상기 트레이 이동경로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종방향 길이가 긴 트레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속편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장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월의 외측면을 따라서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한 쌍의 수직부재;
    상기 각 수직부재의 상부에 다수개가 장착되어 상기 트레이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걸이부;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를 2단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2단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수직부재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의 측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을 전후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의 전후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는 'T'자 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2단 실린더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면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존재유무를 판별하기 위하여, 상기 양측 걸이부에 각각 구비된 투광부 및 수광부로 이루어진 빔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구비된 레일과;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1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구비된 다수개의 레일과;
    상기 가이드월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가이드 블록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다수 개의 안내홈과;
    상기 가이드월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돌출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면에 트레이가 적재되도록 상기 트레이 이동경로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측면을 따라서 소정간격을 가지고 상기 트레이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에 각각 장착된 풀리들;
    상기 풀리들을 연결하는 제1밸트;
    상기 풀리와 제2밸트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장 착되는 모터; 그리고
    상기 제1밸트의 일측과 클램핑되어 이동되는 트레이 운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운반부는
    상기 제1밸트의 일측을 클램핑되는 클램핑부를 구비한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트레이의 이동경로 방향을 따라서 분리가능하게 구비된 제2몸체; 그리고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또는 제2몸체에는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된 로드를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운반부의 양단에는 각각 로터리 액츄에이터가 구비되고, 상기 각 로터리 엑츄에이터의 단부에는 상기 트레이를 선택적으로 구속하기 위하여 회전가능한 푸싱부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운반부의 상부에는 상기 트레이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트레이 홀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종방향을 따라서 레일이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 운반부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월의 상부 양단에는 각각 트레이를 구속하는 스토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상기 상하 이동수단의 걸림편 상측에 적재된 트레이들을 2단 하강시켜 상기 가이드월 상부의 안내부에 적재하는 제1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의 걸림편을 상기 트레이와 결합된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제2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1단 상승시키는 제3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의 걸림편을 트레이와 결합시키는 제4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1단 상승시켜 최하측 트레이와 나머지 트레이들을 분리시키는 제5단계; 그리고
    상기 가이드월의 상부에 적재된 최하측 트레이를 이송유닛에 의하여 이동시키는 제6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의 작동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1단 상승 및 하강은 상기 트레이의 두께만큼 상승 및 하강시키면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의 작동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상기 트레이 운반부의 양단에 장착된 푸싱부들을 회전시켜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 그리고
    상기 최하측 트레이를 상기 푸싱부들의 사이에 구속하여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의 작동방법.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빔센서에 의하여 상기 걸림편 상측에 적재된 트게이의 유무를 파악하고, 상기 트레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
  • 작업이 완료된 트레이가 이송유닛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단으로 이동되는 제1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1단 하강시켜 걸림편 상측에 적재된 트레이들을 상기 이동된 트레이의 상부에 적재하는 제2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의 걸림편을 상기 트레이와 결합된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제2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1단 하강시키는 제3단계;
    상기 상하 이동수단의 걸림편을 상기 이동된 트레이와 결합시키는 제4단계; 그리고
    상기 상하 이동수단을 2단 상승시켜 상기 이동된 트레이와 나머지 트레이들을 합쳐서 적재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의 작동방법.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1단 상승 및 하강은 상기 트레이의 두께만큼 상승 및 하강시키면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의 작동방법.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트레이 운반부의 양단에 장착된 푸싱부들을 회전시켜 수평으로 눕히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이송장치의 작동방법.
  • 说明书全文

    트레이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tra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소형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 전체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장치의 분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상측 가변형 구속부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측 가변형 구속부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이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형 카메라 모듈 30 : 베이스 플레이트

    40 : 가이드월 50 : 상하 이동수단

    60 : 제2안내부재 61 : 제1안내부재

    70 : 트레이 이송부

    본 발명은 소형 카메라 모듈의 핸들러에 사용되는 트레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효율적으로 소형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는 트레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선 이동 통신 분야에서는 무선 통신의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자체에 디지털 카메라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영상 촬영 기능을 구현하는 소형 카메라 모듈(CCM : Compact Camera Module)은 렌즈와 CCD 또는 CMOS 등의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렌즈부는 CCD 또는 CCM과 같은 촬영소자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렌즈부가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소형 카메라 모듈의 초점이 조절된다. 상기 소형 카메라 모듈은 제작 후 초점이 조정된 상태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장착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소형 카메라 모듈을 제작한 후 별도의 초점 조정 장치에 소형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여 초점을 조정한 다음, 초점 조정된 소형 카메라 모듈을 별도의 에폭시 도포 장치로 반송하여 에폭시를 도포하고, 이를 경화장치에서 경화시켜 초점 조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기 소형 카메라 모듈을 각 공정단계를 따라서 하나씩 이동시킬 경우 작업속도가 느리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소형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는 트레이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레이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트레이 이송부; 상부에 상기 트레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을 따라서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다층으로 적재된 트레이들을 상하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수단; 그리고 상기 가이드윌 각각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다층으로 적재된 트레이들의 수평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수직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트레이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을 돕기 위하여, 소형 카메라 모듈(CCM : Compact Camera Module)의 구조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소형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형 카메라 모듈(10)은 내부에 복수개의 렌 즈(11)가 적층된 렌즈부(12)와, 렌즈부(12)의 하측에 설치되어 입사된 빛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예컨대 CCD 또는 CMOS와 같은 촬상소자가 내장된 촬상소자부(13)로 이루어지며, 상기 렌즈부(12)는 초점 조정이 가능하도록 촬상소자부(13)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초점 조정시 촬상소자부(13)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렌즈부(12)를 회전시키면 렌즈부(12) 내의 렌즈(11)와 촬상소자(13) 간의 거리가 조정되면서 초점이 조정된다. 상기 모듈(10)의 초점이 조정된 후에는 상기 렌즈부(12)가 더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접착용 수지에 의하여 고정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용 수지는 상기 렌즈부(12)와 촬영소자부(13)의 사이에 도포되고 경화됨으로써 초점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소형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카메라 모듈용 핸들러는 로딩부(22), 초점조정부(23), 리젝트부(24), 수지도포 및 경화부(25), 언로딩부(26), 그리고 반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로딩부(22)는 핸들러 본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21)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면에 초점이 조정될 소형 카메라 모듈들이 수납된 트레이(22a,22b)들이 놓여진다. 상기 로딩부(22)와 리젝트부(24) 사이에는 소형 카메라 모듈의 초점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초점조정부(23)가 설치된다. 상기 초점조정부(23)에서는 소형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를 회전시키면서 초점을 조정한다.

    여기서, 상기 초점 조정이 실패된 불량품은 리젝트부(24)로 이동되어 외부로 반출된다. 상기 리젝트부(24)의 상부에는 초점 조정에 실패하여 불량으로 판정된 소형 카메라 모듈들이 수납되는 트레이들이 적재된다.

    반면에, 초점이 조정된 모듈은 수지도포 및 경화부(25)로 이동되고, 상기 모듈에 접착용 수지가 도포된 후 상기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초점이 조정된 상태가 고정된다. 이후, 상기 초점이 고정된 모듈은 반송수단(27)에 의하여 언로딩부(26)로 이동되어 다음 공정으로 진행된다. 상기 언로딩부(26)에는 상기 모듈들이 재수납되는 트레이들이 적재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상측에는 횡방향으로 단축 프레임(27)이 설치되고, 다수개의 픽커(28)가 소형 카메라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단축 프레임(27)을 따라서 수평하게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픽커(28)는 소형 카메라 모듈을 흡착하거나 집게 등으로 집어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한편, 상기 로딩부(22), 리젝트부(24), 그리고 언로딩부(26)에 적재된 트레이는 트레이 이송장치에 의하여 종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이송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 이송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30), 트레이 이송부(70), 가이드월(40), 상하 이동수단(50), 그리고 수직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는 상기 소형 카메라 모듈들이 수납되는 트레이의 이동경로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트레이 이송부(70)는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를 이동시킨다.

    상기 가이드월(40)은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월(40)의 상부에는 트레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안내부(41)를 따라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된다.

    상기 상하 이동수단(50)은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일측에 구비되어 다층으로 적재된 트레이들을 상하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킨다. 상기 수직안내부는 상기 상하 이동수단(50)의 상부에 다층으로 적재된 트레이들을 구속하기 위하여 상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월(40)의 양단에는 각각 스토퍼(93)가 장착된다. 상기 스토퍼(93)와 상기 수직안내부 사이에는 이송을 대기하는 트레이가 다층으로 적층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안내부는 상기 다층으로 적층된 트레이의 양측 모서리를 구속하여 정렬시킨다.

    한편, 상기 수직 안내부는 상기 가이드월(40)의 외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제1안내부재(61)와 제2안내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안내부재(61)는 가이드월(40)의 양측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장착되고, 그의 상부에 다층으로 적재된 트레이들을 구속하는 구속부(61a)가 형성된다. 상기 구속부(61a)는 트레이 이동경로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안내부재(60)는 상기 제1안내부재(61)로부터 베이스 프레임(40)의 단부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고, 그의 상부에 트레이들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가변형 구속부가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소형 카메라 모듈들이 수납되는 트레이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트레이는 정사각형 형상의 제1트레이(22a)와 직사각형 형상의 제2트레이(22b)로 나뉜다. 작업자는 상기 2종류의 트레이들 중 원하는 트레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트레이(22a)의 횡방향 폭이 제2트레이(22b)보다 넓지만, 제1트레이(22a)의 종방향 길이는 상기 제2트레이(22b)보다 길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 이송장치는 상기 제1트레이(22a) 및 제2트레이(22b)를 모두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93)로부터 제1안내부재(61)까지의 길이보다 상기 스토퍼(93)로부터 제2안내부재(60)까지의 길이가 짧다. 여기서, 상기 길이가 짧은 제1트레이(22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안내부재(60)가 트레이를 구속시킨다. 반면에, 상기 제2트레이(22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안내부재(61)가 트레이를 구속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안내부재(22b)에는 가변형 구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변형 구속부는 구속편(62), 절곡부(63), 그리고 자성체(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속편(62)은 상기 제2안내부재(60)의 구비된 회동축(66)을 중 심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트레이 이동경로의 내측으로 돌출되거나 해제된다. 상기 절곡부(63)는 일단이 상기 구속편(62)에 고정되고, 'ㄱ'자로 밴딩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자성체(64)는 상기 절곡부(63)의 일면을 자성에 의하여 결합하도록 상기 제2안내부재(6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절곡부(63) 및 구속편(62)은 일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곡부(63)의 일면에는 작업자가 상기 절곡부(63)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핸들(65)이 돌출되어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63) 및 자성체(64)는 상기 구속편(62)의 상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일측의 절곡부 및 자성체는 상기 걸림편(62)이 상기 트레이 이동경로의 내측으로 돌출된 경우에 결합되고, 타측의 절곡부 및 자성체는 상기 구속편이 해제된 경우에 결합된다.

    도 5a는 상측 가변형 구속부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5b는 하측 가변형 구속부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5a의 좌측도 및 도 5b의 좌측도는 상기 가변형 구속부가 상기 트레이 이동경로로 돌출되어 트레이를 구속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의 우측도 및 도 5b의 우측도는 상기 가변형 구속부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속편(62)이 트레이 이동경로에 돌출된 경우에는 하측 절곡부(63b)의 일면이 하측 자성체(64b)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반면에, 상기 구속편(62)이 해제된 경우에는 상측 절곡부(63a)의 일면이 상측 자성체(64a)에 고정된다. 즉, 상기 구속편(62)이 회동축(66)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트레이를 구속하는 상태 또는 해제된 상태로 변경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방향 길이가 짧은 제1트레이(22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안내부재(60)가 트레이를 구속한다. 즉, 상기 구속편(62)이 상기 트레이 이동경로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반면에, 종방향 길이가 긴 제2트레이(22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안내부재(60)의 구속편(62)이 해제된다.

    여기서, 상기 제1안내부재 또는 제2안내부재를 종방향을 따라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게 구성하면 다양한 길이를 갖는 트레이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절곡부(63)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되는 실린더(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절곡부(63) 및 구속편(62)이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속부(61a) 및 상기 구속편(62)은 가이드월(40)에 형성된 안내부(41)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상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부(41)와 상기 구속부(61a) 또는 구속편(62)의 사이 간격을 통하여 트레이가 이동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이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 이동장치는 수평부재(51), 한쌍의 수직부재(52), 걸이부(53), 그리고 2단 실린더(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재(51)는 베이스 플레이트(3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재(51)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월(40)의 외측면을 따라서 상기 한쌍의 수직부재(52)가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수직부재(52)는 측면에서 볼 때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수직부재(52)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걸이부(5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53)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2단 실린더(56)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수평부재(51), 수직부재(52) 및 걸이부(53)가 상하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부(53)의 상면에 적층된 트레이들이 2단으로 상하 이동된다.

    상기 좌우측 수직부재(52)의 상부를 따라서 걸이부들(53)이 3개씩 상호 대향되게 장착된다. 상기 걸이부(53)는 걸림편(54)과 실린더(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걸림편(54)은 상기 수직부재(52)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의 측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의 측부에는 상기 걸림편(54)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편(54)은 공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실린더(55)에 의하여 전후이동된다.

    한편, 상기 걸림편(54)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편(54)의 전후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57)가 장착된다. 상기 센서(57)는 상기 걸림편(54)이 전진 또는 후진 여부를 판별하여 컨트롤러(미도시)로 전달한다.

    상기 걸림편들(54) 중 상호 대향하는 걸림편들(54)은 동일한 밸브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된다. 따라서, 일측의 걸림편들(54)의 작동만 측정하면, 타측의 걸림편들(54)도 동일하게 작동되므로, 상기 센서(57)는 양측의 걸림편 들(54) 모두에 장착될 필요는 없고, 일측의 걸림편들(54)의 상부에만 장착된다.

    도 3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2단 실린더(56)는 고정수단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30)의 하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지지플레이트(58)와 다수개의 지지바들(59)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8)는 상기 2단 실린더(56)의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58)는 다수개의 지지바들(59)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하면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한편, 작업자는 상기 수직안내부와 스토퍼(93)의 사이 공간에 트레이들을 다층으로 적층시킨다. 작업이 진행되면서 모든 트레이들이 이동된 후에는 상기 공간이 비어 있으므로, 새로운 트레이들이 보충될 때까지 작업이 중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공간에 트레이의 존재유무를 판별하는 빔센서가 장착된다. 상기 빔센서는 상기 양측 걸이부(53)에 각각 구비된 투광부(80a) 및 수광부(80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투광부(80a)에서는 빛이 발산되고, 상기 수광부(80b)에서는 상기 빛을 흡수함으로써 그 사이 공간에 트레이가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투광부(80a)와 수광부(80b)의 사이에 트레이가 존재한다면, 상기 투광부(80a)에서 발산된 빛이 상기 수광부(80b)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빔센서는 컨트롤러(미도시)에 트레이가 존재한다는 제어신호를 보낸다.

    반면에, 트레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투광부(80a)에서 발산된 빛이 상기 수광부(80b)로 입사된다. 이때, 상기 빔센서는 컨트롤러에 트레이가 없음을 알 리는 제어신호를 보낸다.

    한편, 상기 상하 이동수단(50)은 트레이의 폭에 따라서 호환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재(51)의 상면에는 횡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레일(8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52)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81)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가이드 블록(82)이 장착된다.

    즉, 좁은 폭을 가진 트레이가 사용될 경우에는 상기 일측의 수직부재(52)를 상기 레일(81)을 따라서 이동시킨 후 고정한다. 따라서, 트레이의 폭이 변화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이의 폭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월(40) 사이의 폭도 가변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는 횡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다수개의 레일(85)이 구비된다. 상기 레일들(85)은 종방향으로 소정간격을 가지고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월(40)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85)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가이드 블록(86)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의 폭이 변화되면, 상기 가이드월(40)을 레일(85)을 따라서 이동시킨 후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트레이 이송장치는 다양한 폭의 트레이에 호환가능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는 횡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안내홈(8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월(40)의 하부에는 상기 안내홈(87)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돌출부들(8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 드월(40)이 상기 레일(85)을 따라서 이동될 때, 상기 안내홈(87) 및 돌출부(88)에 의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가 유지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는 가이드월(40)의 상부에 형성된 안내부(41)의 상면을 따라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의 측면이 상기 가이드월(41)의 내측면을 따라서 슬라이딩되면서 마찰된다.

    상기 트레이와 가이드월(40)이 마찰될 때 파티클이 발생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월의 상부를 따라서 소정간격을 가지고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89)가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 롤러(89)는 상기 트레이의 측면과 접촉되어 회전됨으로써 마찰로 인한 파티클의 발생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트레이를 이동경로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송부(70)는 풀리들(71a,71b), 제1밸트(72), 모터(미도시), 그리고 트레이 운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풀리들(71a,71b)은 베이스 플레이트(30) 상면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제1밸트(72)는 상기 풀리들을 연결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일측의 풀리(71a)는 제2밸트(73)에 의하여 모터(미도시)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모터는 베이스 플레이트(30)의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트레이 운반부(76)는 상기 제1밸트(72)의 일측과 클램핑되어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제1밸트(72)가 회전되면서 상기 트레이 운반부가 이동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운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 운반부는 제1몸체(74), 제2몸체(75), 그리고 로드(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몸체(74)에는 상기 제1밸트(72)의 일측과 클램핑되는 클램핑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밸트(72)가 회전되면 상기 제1몸체(74)가 함께 이동된다.

    상기 제2몸체(75)는 제1몸체(74)와 트레이의 이동경로 방향을 따라서 분리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몸체(74)와 제2몸체(75)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로드(76)에 의하여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76)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금속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몸체(74) 또는 제2몸체(75)에는 로드(76)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다. 또한, 각 몸체에는 상기 삽입된 로드(76)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도 4의 77)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장치는 스크류 등을 사용하여 상기 로드(76)를 가압함으로써 고정하는 장치이다.

    한편, 상기 트레이 운반부의 양단에는 각각 로터리 액츄에이터(78a,78b)가 구비된다. 상기 각 로터리 엑츄에이터의 단부에는 상기 트레이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푸싱부(79a,79b)가 장착된다. 상기 푸싱부(79a,79b)는 로터리 엑츄에이터(78a,78b)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푸싱부(79a,79b)는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회전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진다. 상기 푸싱부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 운반부의 양단에 장착된 푸싱부의 사이에 트레이가 구속된다. 이때, 상기 모터가 구동되어 트레이 운반부가 이동되면, 상기 트레이는 상기 푸싱부(79a,79b)에 의하여 밀림으로써 이동된다.

    여기서, 길이가 긴 트레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몸체(74)와 제2몸체(75) 사이의 간격을 넓힌 상태에서 상기 로드(76)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트레이가 상기 푸싱부들(79a,79b)의 사이로 삽입되도록 조정된다. 반면에, 길이가 짧은 트레이가 사용된다면, 상기 제1몸체(74)와 제2몸체(75) 사이의 간격을 줄인 상태에서 상기 로드(76)를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분리가능한 몸체들(74,75) 및 로드(76)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트레이 이송장치는 다양한 길이의 트레이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운반부의 상부에는 상기 트레이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트레이 홀더(90)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의 양측단만이 가이드월(40)의 안내부(41)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그의 중앙부가 하측으로 쳐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트레이 홀더(90)는 상기 트레이의 하면 중앙부를 지지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는 종방향을 따라서 레일(91)이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 운반부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91)이 삽입되는 홈(9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 운반부는 상기 레일(91)을 따라서 직진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다층으로 적재된 트레이들 중에서 하나의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상하 이동수단(50)의 걸림편(54) 상측에 적재된 트레이들을 2단 하강시켜 상기 가이드월 상부의 안내부(41)에 적재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편(54)의 상부에 장착된 빔센서(80a,80b)에 의하여 상기 걸림편(54) 상측에 트레이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트레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새로운 트레이를 보충할 때까지 동작이 중지된다. 반면에, 트레이가 존재하는경우에는 동작이 계속 진행된다.

    한편, 상기 최하측 트레이의 양측면에는 상기 상하 이동수단(50)의 걸림편(54)이 걸려있는 상태이다. 상기 걸림편(54)을 상기 트레이와 결합된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면, 상기 트레이들 중 최하측 트레이의 양측단이 상기 안내부(41)에 안착된다.

    이후, 상기 상하 이동수단(50)을 1단 상승시킨 후, 상기 걸림편(54)을 최하단에서 2번째 트레이와 결합시킨다. 즉, 최하단의 트레이는 걸림편(54)과의 결합상태에서 해제되고, 대신에 상기 2번째 트레이가 걸림편(54)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1단의 상승 또는 하강은 상기 트레이의 두께만큼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수행된다.

    이후, 상기 상하 이동수단(50)을 1단 상승시켜 최하측 트레이와 나머지 트레이들을 분리시킨다.

    따라서, 상기 최하측 트레이는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트레이 운반부의 양단에 장착된 푸싱부들(79a,79b)을 회전시켜 수직으로 세우면, 상기 최하측 트레이는 상기 푸싱부들(79a,79b)의 사이에 구속된다. 이후, 상기 최하측 트레이는 상기 안내부(40)를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중앙부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된 트레이에 수납된 소형 카메라 모듈은 픽커(도 2의 28)에 의하여 다음 공정으로 반송된다.

    한편, 상기 작업이 완료된 트레이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0)의 반대측에 다시 다층으로 적재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이 완료된 트레이가 운반부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일단으로 이동되면, 상기 상하 이동수단(50)을 1단 하강시켜 걸림편(54) 상측에 적재된 트레이들을 상기 이동된 트레이의 상부에 적재한다. 이때, 상기 트레이 운반부의 양단에 장착된 푸싱부들(79a,79b)을 회전시켜 수평으로 눕혀 준다.

    이후, 상기 걸림편(54)을 상기 원래 적재되어 있던 트레이와 결합된 상태로부터 해제시키고, 상기 상하 이동수단(50)을 1단 하강시킨다.

    이후, 상기 걸림편(54)을 상기 이동된 트레이와 결합시킨 후 상기 상하 이동수단(50)을 2단 상승시켜 상기 이동된 트레이와 나머지 트레이들을 합쳐서 적재한다. 여기서, 상기 1단 상승 또는 하강은 상기 트레이의 두께만큼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수행된다.

    이상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이동된 트레이들을 수직안내부 및 스토퍼(93) 사이의 공간에 차례로 적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는 다수개의 소형 카메라 모듈들을 상기 트레 이에 수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트레이의 길이가 변경된 경우에도 손 쉬운 조작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이송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제2수직부재의 가변형 구속부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이송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 운반부의 분리가능한 몸체들이 상기 로드를 따라서 이동 및 고정됨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트레이를 운반할 수 있다.

    셋째, 상기 트레이의 폭이 변경된 경우에도 가이드월을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이드월 사이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송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월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상하 이동수단의 수직부재 사이의 폭도 조절이 가능하다.

    넷째, 상기 가변형 구속부의 절곡부가 자성체와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게 상기 가변형 구속부를 조작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2단실린더를 사용함으로서 보다 간편하게 다층을 이루는 트레이들 중 하나의 트레이를 이동시키거나 이동된 트레이를 다층으로 적층시킬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