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량불출장치

申请号 KR1020100065986 申请日 2010-07-08 公开(公告)号 KR1020120005306A 公开(公告)日 2012-01-16
申请人 주식회사 포스코; 发明人 양경식; 문근식;
摘要 PURPOSE: A fixed quantity feed apparatus is provided to continuously feed a fixed amount of materials and prevent cost rise and the reduction of work efficiency. CONSTITUTION: A fixed quantity feed apparatus comprises a chute member(200) in which materials are put and a release unit(300) whose one end is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chute member and the other end forms a material release port. The size of the material release port is within a fixed range in order to release a fixed amount of the materials continuously.
权利要求
  • 원료(R)가 투입되는 슈트부재(200); 및
    일측은 상기 슈트부재(200)에 탄성연결되고 타측은 원료불출구(D)을 이루며 상기 원료불출구(D)의 크기가 일정 범위 내에 있도록 구성되어 투입된 원료(R)가 연속으로 일정량씩 불출되도록 하는 불출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량불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불출구(D)의 크기는 상기 슈트부재(200)의 출구(200b)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불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부(300)는
    상기 슈트부재(200)에 일측이 연결되는 탄성부재(310); 및
    대향 배치되며 일측은 상기 탄성부재(310)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원료불출구(D)를 이루는 불출부재(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불출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부(300)는
    상기 탄성부재(31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슈트부재(200)에 연결된 이동제한부재(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불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부재(200)에는 원료(R)의 부착을 방지하고 상기 불출부(300)에 원료(R)가 편적(偏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부재(40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불출장치.
  • 说明书全文

    정량불출장치{APPARATUS FOR CONSTANT QUANTITY DISCHARGING}

    본 발명은 원료를 연속으로 일정량씩 불출하여 원료의 성분편차를 감소할 수 있는 정량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결광 제조를 위한 블렌딩광 등과 같은 원료(R)는 이송되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클레이머 등과 같은 원료공급원(S) 근처에 적치된다. 도시된 리클레이머 등의 원료공급원(S)에는 복수개의 버킷(B)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버킷(B)이 회전되면서 버킷(B)에 원료(R)가 담기고 버킷(B)에 담긴 원료(R)는 버킷(B)과 함께 회전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공급원(S)에 설치된 불출장치(10)로 원료(R)를 공급한다.

    종래, 불출장치(10)는 예컨대, 슈트(chute)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불출장치(10)로 공급된 원료(10)는 곧 바로 불출되어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송장치(F)에 쌓이게 된다. 그리고, 이송장치(F)에 쌓인 원료(R)는 이송장치(F)에 의해서 소결공정 등의 제조공정(도시되지 않음)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이송장치(F)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Fa)와 이송벨트(Fb)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원료공급원(S)으로부의 불출장치(10)로의 원료(R)의 공급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불규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 불출장치(1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에 공급된 원료(R)를 이송장치(F)로 곧 바로 불출시키기 때문에, 이송장치(F)에 쌓이는 원료(R)도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하게 된다. 따라서, 제조공정에서 원료의 성분편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원료의 성분편차에 의해서, 예컨대 부원료 사용량의 편차나 이로 인한 원가상승 및 조업능률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불출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원료를 연속으로 일정량씩 불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원료의 성분편차를 감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원료의 성분편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예컨대, 부원료 사용량의 편차나 이로 인한 원가상승 및 조업능률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원료불출구를 이루는 불출부재가 원료가 투입되는 슈트부재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며 원료불출구의 크기가 일정 범위 내에 있도록 하여 원료가 연속으로 일정량씩 불출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량불출장치는 원료가 투입되는 슈트부재; 및 일측은 슈트부재에 탄성연결되고 타측은 원료불출구을 이루며 원료불출구의 크기가 일정 범위 내에 있도록 구성되어 투입된 원료가 연속으로 일정량씩 불출되도록 하는 불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료불출구의 크기는 슈트부재의 출구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출부는 슈트부재에 일측이 연결되는 탄성부재; 및 대향 배치되며 일측은 탄성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원료불출구를 이루는 불출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불출부는 탄성부재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슈트부재에 연결된 이동제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슈트부재에는 원료의 부착을 방지하고 불출부에 원료가 편적(偏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료를 연속으로 일정량씩 불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료의 성분편차를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료의 성분편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예컨대, 부원료 사용량의 편차나 이로인한 원가상승 및 조업능률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불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불출장치의 일실시예가 원료공급원인 리클레이머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정량불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종래 리클레이머에 설치된 원료불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정량불출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원료불출구를 이루는 불출부재가 원료가 투입되는 슈트부재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며 원료불출구의 크기가 일정 범위 내에 있도록 하여 원료가 연속으로 일정량씩 불출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량불출장치(100)는 슈트부재(200)와, 불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슈트부재(20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원료(R)가 투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슈트부재(200)에는 입구(200a)와 출구(200b)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슈트부재(200)의 입구(200a)의 크기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출구(200b)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클레이머 등의 원료공급원(S)으로부터 공급된 원료(R)의 슈트부재(200)로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슈트부재(200)에 투입된 원료(R)가 모아져서 불출부(300)로 이동할 수 있다.

    슈트부재(200)에 원료(R)를 공급하는 전술한 리클레이머 등의 원료공급원(S)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어 적치된 원료(R)를 회전되는 복수개의 버킷(B)에 담겨지게 한 후, 슈트부재(200)에 낙하되도록 하여 슈트부재(200)에 원료(R)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슈트부재(200)에 원료(R)를 공급하는 원료공급원(S)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슈트부재(200)에 원료(R)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슈트부재(200)에는 회전부재(40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부재(400)는 슈트부재(200)의 출구(200b)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재(400)는 슈트부재(200)에 투입된 원료(R)가 슈트부재(200)의 출구(200b)를 통해 불출부(300)로 이동되면서, 원료(R)의 자중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슈트부재(200)에 원료(R)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불출부(300)의 일측에 원료(R)가 편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불출부(300)는 일측이 슈트부재(200)에 탄성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타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원료불출구(D)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원료공급원(S)으로부터 공급되어 슈트부재(200)에 투입된 원료(R)는 불출부(300)로 이동되어 불출부(300)의 원료불출구(D)를 통해 불출될 수 있다.

    이러한 원료불출구(D)의 크기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슈트부재(200)의 출구(200b)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리클레이머 등의 원료공급원(S)으로부터 원료(R)가 슈트부재(200)에 불연속적으로 공급되어도, 슈트부재(200)에 투입되어 불출부(300)로 이동된 원료(R)가 원료투입구(D)를 통해 모두 불출되지 않고 일부는 불출부(300)에 남고 일부만 불출되게 된다. 따라서, 원료(R)가 슈트부재(200)에 불연속으로 공급되어도, 연속적으로 불출될 수 있다.

    또한, 불출부(300)는 원료불출구(D)의 크기가 일정 범위 내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료불출구(D)을 통해 원료(R)가 일정량씩 불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원료공급원(S)으로부터 공급되어 슈트부재(200)에 투입된 원료(R)는 불출부(300)로 이동된 후 원료투입구(D)를 통해 연속으로 일정량씩 불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불출부(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310)와, 불출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310)는 슈트부재(200)에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슈트부재(200)에 연결된 연결부재(310a)에 탄성부재(310)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310)의 일측이 슈트부재(200)에 연결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310a)에 의한 것 이외에도 탄성부재(310)가 슈트부재(200)에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슈트부재(200)에 일측이 연결되는 탄성부재(31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슈트부재(200)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라면 코일 스프링 등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불출부재(32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2개가 서로 대향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불출부재(320)의 일측은 탄성부재(31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출부재(320)가 탄성부재(310)에 의해서 슈트부재(200)에 탄성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원료공급원(S)으로부터 원료(R)가 불규칙적으로 슈트부재(200)에 공급되어 불출부재(320)로 이동되어도 탄성부재(310)에 의해서 원료(R)의 자중이 완충될 수 있다. 또한,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출부재(320)로 이동된 원료(R)의 자중에 의해서 불출부재(320)가 양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정도 원료(R)의 불출이 이루어지면, 탄성부재(310)의 탄성에 의해서 불출부재(320)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이러한 불출부재(320)의 이동에 의해서 원료불출구(D)로 통한 원료(R)의 불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불출부재(320)의 타측은 원료불출구(D)를 이룰 수 있다. 즉, 대향 배치된 불출부재(320)의 타측이 이루는 간극이 원료불출구(D)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불출부(300)는 이동제한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제한부재(330)는 슈트부재(2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동제한부재(33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310)의 뒤에 위치되도록 슈트부재(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31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원료(R)의 하중에 의한 불출부재(320)의 양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불출부재(320)의 타측이 이루는 원료불출구(D)의 크기가 일정 범위 내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료불출구(D)를 통해서 원료(R)가 일정량씩 불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출된 원료(R)를 소결공정 등의 제조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F)에 원료(R)가 일정량씩 쌓여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소결공정 등의 제조공정에 일정량의 원료(R)가 연속으로 공급되어 원료(R)의 성분편차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료(R)의 성분편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예컨대, 부원료 사용량의 편차나 이로인한 원가상승 및 조업능률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료(R)를 제조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F)는 롤러(Fa)와 이송벨트(F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송장치(F)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료불출구(D)로부터 이송된 원료(R)를 제조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하, 도3과 도4a 내지 도4c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량불출장치(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원료(R)가 이송되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클레이머 등의 원료공급원(S)에 적치되면, 원료공급원(S)은 이에 구비된 복수개의 버킷(B)이 회전되도록 하여 적치된 원료(R)가 버킷(B)에 담겨지도록 한 후 낙하시켜서 슈트부재(200)에 공급한다.

    슈트부재(200)에 공급된 원료(R)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부재(200)의 입구(200a)를 통해 슈트부재(200)에 투입된 후, 자중에 의해서 회전부재(400)를 회전시키면서 슈트부재(200)의 출구(200b)를 통해 불출부재(320)로 이동한다.

    불출부재(320)로 이동한 원료(R)의 자중은 탄성부재(310)에 의해서 완충된다. 그리고,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R)의 자중에 의해서 탄성부재(310)와 불출부재(320)는 양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10)와 불출부재(320)의 이동은 이동제한부재(330)가 위치된 곳까지 이루어진다.

    또한, 불출부재(320)로 이동한 원료(R) 중 일정량은 원료불출구(D)를 통해 불출되어 이송장치(F)의 이동되고 있는 이송벨트(Fb)에 쌓여서 소결공정 등의 제조공정(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원료불출구(D)로 먼저 불출되지 못하고 불출부재(320)에 남아 있던 원료(R)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일정량의 원료(R)가 불출된 후 일정량씩 원료불출구(D)를 통해 불출되며, 이송장치(F)를 통해 제조공정으로 이송된다.

    원료불출구(D)를 통한 원료(R)의 불출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면, 탄성부재(310)와 불출부재(320)는 탄성부재(310)의 탄성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원료공급원(S)을 통한 원료(R)의 공급이 불규칙적이더라도 계속해서 이루어지면,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10)와 불출부재(320)가 이동되면서 원료불출구(D)를 통해서 원료(R)가 연속으로 일정량씩 불출된다.

    이와 같이, 연속적으로 일정량씩 불출된 원료(R)는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F)를 통해 소결공정 등의 제조공정으로 연속으로 일정량씩 공급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량불출장치(100)를 사용하면, 원료(R)를 연속으로 일정량씩 불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료(R)의 성분편차를 감소할 수 있고, 원료(R)의 성분편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예컨대, 부원료 사용량의 편차나 이로 인한 원가상승 및 조업능률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정량불출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불출장치 100 : 정량불출장치
    200 : 안내부재 200a : 입구
    200b : 출구 300 : 불출부
    310 : 탄성부재 310a : 연결부재
    320 : 불출부재 330 : 이동제한부재
    400 : 회전부재 R : 원료
    D : 원료불출구 S : 원료공급원
    B : 버킷 F : 이송장치
    Fa : 롤러 Fb : 이송벨트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