엽연초용 전개 이송 컨베이어

申请号 KR2020040022916 申请日 2004-08-11 公开(公告)号 KR200368313Y1 公开(公告)日 2004-11-18
申请人 이인준; 发明人 이인준;
摘要 본 고안에 따른 엽연초 전개이송컨베이어는, 장치틀의 상측에 서스팬션을 고정시키고 서스팬션의 상/하측에 트레이와 웨이트바를 구비하고, 트레이와 서스팬션 및 웨이트바의 측면을 텐션장치가 구비된 텐션작동바를 등 간격으로 설치하며, 웨이트바에는 진동드라이브헤드를 설치하고 모터의 회전축에는 편심플라이휠을 설치하여 진동드라이브헤드와 편심플라이휠을 로드로 연결시켜서 된 것으로서, 모터에 의해 웨이트바만을 작동시키고 장치틀의 위에 고정되는 서스팬션을 기준으로 그의 상/하측에서 트레이와 웨이트바가 작동틀에 의해 반복적으로 전/후진시키므로 모터의 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작동틀의 상단과 하단 및 중간부 하측에 설치된 텐션장치를 서스팬션과 그의 상/하측에 설치되는 트레이 및 웨이트바의 측면을 연결시키고 � ��치틀의 저면을 진동패드로 받쳐 지지하여 주므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权利要求
  • 모터(14)의 회전력을 왕복으로 전환시킨 전후진 작동장치에 의해 트레이(10)를 전/후진 왕복 작동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받침대(6)가 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장치틀(2)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대(3)에 의해 상기 장치틀(2)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서스팬션(4)과,
    서스팬션(4)의 상측과 하측에 구비되는 통상의 트레이(10) 및 웨이트바(13)와,
    상기 서스팬션(4)과 그의 상/하측에 구비되는 트레이(10) 및 웨이트바(13)의 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작동틀(21)의 상하 및 중간에 텐션장치(22)가 장착된 텐션장치(22)와,
    웨이트바(13)의 일단에 장착되는 진동드라이브헤드(18)와 모터(14)에 의해 회전되는 편심플라이휠(17)을 링크(19)로 연결시킨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연초 전개이송컨베이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텐션작동바(20)의 작동틀(21)의 상단과 하단 및 중간부의 하측에 장착되는 텐션장치(22)는,
    사각고정바(23)의 내부에 사각작동바(24)를 교차되게 삽입하고, 사각고정바(23)의 모서리와 사각작동바(24)의 평면과의 사이에 루버(25)를 밀접하게 장입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연초 전개이송컨베이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서스팬션(4)의 상측에 설치되는 트레이(10)는,
    내부의 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플레이트(11)를 설치하고, 그 플레이트(11)에는 네트(12)를 다중으로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연초 전개이송컨베이어.
  • 청구항 1에 있어서, 장치틀(2)은, 밑면에 설치된 받침대(6)의 저면에 진동패드(7)를 깔아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연초 전개이송컨베이어.
  • 说明书全文

    엽연초용 전개 이송 컨베이어 {A Extend And Transfer Conveyer For Tobacco}

    본 고안은 담배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통상의 컨베이어에 의해 투입되어지는 건조된 엽연초를 펼쳐 전개시키면서 이송시켜 주도록 하는 엽연초 전개이송컨베이어를 개선하여서 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장치틀의 상측에 서스팬션을 고정시키고 서스팬션의 상/하측에 트레이와 웨이트바를 구비하여, 트레이와 서스팬션 및 웨이트바의 측면을 텐션장치가 구비된 텐션작동바를 등 간격으로 설치하고, 웨이트바를 모터에 의해 편심플라이휠이 회전되는 진동장치에 의해 진동시켜 주면 텐션작동바에 의해 연결된 트레이가 진동하면서 트레이의 일측으로 투입되는 엽연초가 고르게 전개(펼쳐)되면서 타측으로 이동되어지도록 된 엽연초 전개이송컨베이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엽연초전개이송컨베이어(30)는 받침대(31)위에는 코일스프링(33)을 이용하여 웨이트바(33)가 설치되어 있고, 웨이트바(33)의 상측에는 트레이(34)가 등 간격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판스프링(35)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34)와 웨이트바(33)에 각각 설치되는 로드(40-1)(41-1)의 편심플라이휠(40)(41)은 풀리(38)가 장착된 동일한 편심축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풀리(38)는 모터(36)의 회전축에 설치된 풀리(37)와 벨트(39)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엽연초전개이송컨베이어(30)는 모터(37)가 작동하여 풀리(37)가 회전하게 되면 벨트(39)와 연결된 풀리(38)가 회전하면서 편심플라이휠(40)(41)을 회전시켜 로드(40-1)(41-1)를 교호로 전후진 작동시키게 되고, 잔후진 작동되는 로드(40-1)(41-1)에 의해 트레이(34)와 웨이트바(32)는 반복적으로 전후진 작동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트레이(34)와 웨이트바(32)가 전후진 작동할 때에 이들의 양 측면에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판스프링(35)의 텐션(진동)작용에 의해 트레이(34)의 상면 일측으로 투입되는 엽연초는 진동에 의해 전개되면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게 되며, 전개되면서 트레이(34)의 타측으로 이동하는 엽연초는 통상의 벨트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장치에 의해 차기공정으로 이송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종래의 엽연초전개이송컨베이어(30)는 편심플라이휠(40)(41)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모터(30)에 의해 상하로 설치되는 트레이(34)와 웨이트바(32)를 직접 작동시켜야 하므로 용량이 큰 모터(30)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하나의 모터(30)에 의해 트레이(34)와 웨이트바(32)를 직접 전후진 작동시키고 받침대(31)의 위에 설치되는 웨이트바(32)가 코일스프링(33)에 의해 지지되므로 소음과 진동이 극심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웨이트바판스프링(35)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른 부품들이 복잡하게 설치되어지므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판스프링(35)은 극심한 진동력에 의해 장기간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쉽게 파손되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뿐만 아니라 판스프링(35)이 파손되어지면 판스프링(35)을 재사용하지 못하고 � ��체하여야 하므로 운용비용이 많이 소용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엽연초 전개이송컨베이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장치틀의 상측에 서스팬션을 고정시키고 서스팬션의 상/하측에 트레이와 웨이트바를 구비하고, 트레이와 서스팬션 및 웨이트바의 측면을 텐션장치가 구비된 텐션작동바를 등 간격으로 설치하며, 웨이트바에는 진동드라이브헤드를 설치하고 모터의 회전축에는 편심플라이휠을 설치하여 진동드라이브헤드와 편심플라이휠을 로드로 연결시켜서 된 엽연초 전개이송컨베이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터에 의해 웨이트바만을 작동시켜 주고, 장치틀의 위에 고정되는 서스팬션을 기준으로 그의 상/하측에서 트레이와 웨이트바가 작동틀에 의해 반복적으로 전/후진되어지도록 하여 모터의 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된 엽연초 전개이송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작동틀의 상단과 하단 및 중간부 하측에 설치된 텐션장치를 서스팬션과 그의 상/하측에 설치되는 트레이 및 웨이트바의 측면을 연결시키되, 텐션장치는 사각고정바와 내측의 사각작동바와의 사이에 루버를 장입시켜 형성하며, 장치틀의 저면을 진동패드로 받쳐 지지하여 줌으로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된 엽연초 전개이송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목적은,

    모터(14)의 회전력을 왕복으로 전환시킨 전후진 작동장치에 의해 트레이(10)를 전/후진 왕복 작동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받침대(6)가 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장치틀(2)과,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대(3)에 의해 상기 장치틀(2)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서스팬션(4)과, 서스팬션(4)의 상측과 하측에 구비되는 통상의 트레이(10) 및 웨이트바(13)와, 상기 서스팬션(4)과 그의 상/하측에 구비되는 트레이(10) 및 웨이트바(13)의 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며 작동틀(21)의 상하 및 중간에 텐션장치(22)가 장착된 텐션장치(22)와, 웨이트바(13)의 일단에 장착되는 진동드라이브헤드(18)와 모터(14)에 의해 회전되는 편심플라이휠(17)을 링크(19)에 연결시킨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연초전개이송컨베이어(1)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엽연초용 전개 이송 컨베이어장치의 정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엽연초용 전개 이송 컨베이어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엽연초용 전개 이송 컨베이어장치에 설치되어지는 텐션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와 정면도.

    도 4는 종래의 엽연초용 전개이송 컨베이어장치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엽연초전개이송컨베이어 2: 장치틀 3: 지지대

    4: 서스팬션 5: 동력받침틀 6: 받침대

    7: 진동패드 10: 트레이 14: 모터

    17: 편심플라이휠 18: 진동드라이브헤드 19: 로드

    20: 텐션작동바 21: 작동틀 22: 텐션장치

    23: 사각고정바 24: 사각작동바 25: 루버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엽연초전개이송컨베이어(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엽연초전개이송컨베이어장치(1)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엽연초전개이송컨베이어장치(1)에 설치되어지는 텐션장치(22)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엽연초전개이송컨베이어장치(1)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통상의 금속 빔을 이용하여 직육면체의 장치틀(2)을 형성하였고, 장치틀(2)의 저면에는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받침대(6)를 등 간격으로 설치하였으며, 각 받침대(6)는 저면에 진동패드(7)를 깔아 설치하도록 하였다.

    상기 장치틀(2)의 상측에는 양 측면에 서스팬션서포트(4-1)가 고정된 서스팬션(4)을 지지대(3)에 의해 고정 설치하되, 서스팬션서포트(4-1)를 지지대(3)로 고정 설치하였고, 서스팬션(4)의 상측에는 내면의 플레이트(11)에 네트(12)가 전후에 이중으로 설치된 트레이(10)를 구비하고 하측에는 통상의 웨이트바(13)를 구비하였으며, 상기 서스팬션(4)과 트레이(10) 및 웨이트바(13)의 양측 측면에는 텐션작동바(20)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상기 텐션작동바(20)는 길이가 긴 작동틀(21)의 상단과 하단 및 중간부의 하측에는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바와 같은 텐션장치(22)를 장착하였는데, 상기 텐션장치(22)는 사각고정바(23)의 내부에 사각작동바(24)를 교차되게 삽입하고, 사각고정바(23)의 모서리와 사각작동바(24)의 평면과의 사이에 루버(25)를 밀접하게 장입시켜 형성하였으며, 각 텐션장치(22)의 사각작동바(24)를 통상의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장착)수단을 이용하여 서스팬션(4)과 트레이(10) 및 웨이트바(13)의 측면에 각각 장착 고정시켰다.

    상기 장치틀(2)의 일면에는 동력받침틀(5)을 형성하였고, 그 동력받침틀(5)의 상면에서 외측 단부에는 회전축에 통상의 풀리(15)가 장착된 모터(14)를 설치하였고, 내측부에는 편심플라이휠(17)을 축(17-1)으로 굴대 설치하되 축(17-1)에는 풀리(15-1)를 장착하여 모터(14)의 풀리(15)와는 벨트(16)를 연결하였으며, 상기 편심플라이휠(17)과 웨이트바(13)의 단부에 장착된 진동드라이브헤드(18)를 링크(19)로 연결하였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엽연초전개이송컨베이어장치(1)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통상의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묶음부가 제거된 엽연초의 뭉치들을 동력장치틀(5)이 설치되어 있는 트레이(10)의 일 측으로 공급시키면서 작동시키게 된다.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조작하여 모터(14)에 전원을 공급시켜 주면 모터(14)의 작동에 의해 풀리(15)가 기동(회전)하게 되고, 풀리(15)가 회전하게 되면 벨트(16)가 공전하면서 풀리(15-1)를 연동(회전)시켜 주게 되며, 풀리(15-1)가 연동회전하게 되면 축(17-1)이 편심 된 플라이휠(17)이 회전하면서 링크(19)로 연결된 진동드라이브헤드(18)를 전/후진 진동시켜 주게 된다.

    편심 된 플라이휠(17)의 회전에 의해 진동드라이브헤드(18)가 전/후진하게 되면 진동드라이브헤드(18)가 장착(고정)된 웨이트바(13)는 전/후진하면서 진동하게 되고, 웨이트바(13)가 전/후진 진동하게 되면 텐션작동바(20)는 서스팬션(4)에 장착된 텐션장치(22)를 축으로 하여 텐션작동바(20)의 상단과 하단이 좌우로 흔들리게 되며, 따라서 텐션작동바(20)의 상단과 하단에 장착된 텐션장치(22)가 각각 설치된 트레이(10)와 웨이트바(13)는 서로 반대방향의 전후로 흔들리면서 진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텐션작동바(20)가 중앙부의 텐션장치(22)를 기준으로 상단과 하단에 장착된 각 텐션장치(22)에 의해 트레이(10)와 웨이트바(13)가 서로 반대방향의 전후로 흔들리면서 진동할 때에 서스팬션(4)과 트레이(10) 및 웨이트바(13)에 고정(장착)된 사각작동바(24)가 작동틀(21)에 고정된 사각고정바(23)의 내부에서 정역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사각고정바(23)의 모서리와 사각작동바(24)의 평면과의 사이에 루버(25)들이 밀접하게 장입되어 사각고정바(23)와 사각작동바(24)가 접촉되지 않으므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또한 장입된 루버(25)들이 압축(일그러짐)되면서 진동을 소멸시키므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트레이(10)와 웨이트바(13)가 서로 반대방향의 전후로 흔들리면서 진동하게 되면 트레이(10)의 일측으로 플레이트(11)로 투입되어지는 엽연초의 뭉치들은 진동에 의해 흐트러져 펼쳐 전개되면서 네트(12)와 플레이트(11)의 위를 통과하면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흐트러지면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엽연초에 진동이 더욱 부가되어지므로 더욱 고르게 펼쳐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특히 엽연초가 플레이트(11)를 지나 네트(12)를 통과할 때에 엽연초의 내부에 섞여있는 작은 이물질들이 네트(12)의 하측으로 낙하하여 트레이(10)의 바닥에 수집되어지므로 깨끗하게 선별된 엽연초만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깨끗하게 선별된 엽연초를 차기 공정으로 공급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작업을 완료한 후에 엽연초전개이송컨베이어장치(1)의 작동(가동)을 중지시키고자 할 때에는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역으로 조작하여 모터(14)에 공급되는 전원(전기)을 차단시켜 모터(14)의 작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서 엽연초전개이송컨베이어장치(1)의 작동(가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장치틀의 상측에 서스팬션을 고정시키고 서스팬션의 상/하측에 트레이와 웨이트바를 구비하고, 트레이와 서스팬션 및 웨이트바의 측면을 텐션장치가 구비된 텐션작동바를 등 간격으로 설치하며, 웨이트바에는 진동드라이브헤드를 설치하고 모터의 회전축에는 편심플라이휠을 설치하여 진동드라이브헤드와 편심플라이휠을 로드로 연결시켜서 된 엽연초 전개이송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에 의해 웨이트바만을 작동시키고 장치틀의 위에 고정되는 서스팬션을 기준으로 그의 상/하측에서 트레이와 웨이트바가 작동틀에 의해 반복적으로 전/후진시키므로 모터의 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작동틀의 상단과 하단 및 중간부 하측에 설치된 텐션장치를 서스팬션과 그의 상/하측에 설치되는 트레이 및 웨이트바의 측면을 연결시키고 � �치틀의 저면을 진동패드로 받쳐 지지하여 주므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