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베이어

申请号 KR2020050011924 申请日 2005-04-28 公开(公告)号 KR200390581Y1 公开(公告)日 2005-07-21
申请人 이윤문; 发明人 이윤문;
摘要 본 고안은 벨트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로울러의 구조를 개량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그에 따르는 제작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며, 고장 수리가 용이한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광물, 곡물, 시멘트, 모래, 석재 등의 운반이 가능하게 V형 컨베이어로써, 처리 용량에 따라 적당한 길이를 가지며 수평 혹은 경사지게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브라켓트를 관통하여 회전축이 구비되고, 이 회전축의 양단 각각에 끼워져 서로 마주보는 테이퍼 롤러로 이루어진 로울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하단부에 설치된 전동롤에 감아지며 상기 테이퍼 롤러에 밀착되어 중앙 부위가 오목하게 V 형태로 함몰되어 광물, 곡물 등이 운반되도록 하는 벨트; 상기 전동롤에 동력을 전달하여 벨트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로 구성된 전동부;가 갖추어진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权利要求
  • 광물, 곡물, 시멘트, 모래, 석재 등의 운반이 가능하게 V형 컨베이어로써,
    처리 용량에 따라 적당한 길이를 가지며 수평 혹은 경사지게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브라켓트를 관통하여 회전축이 구비되고, 이 회전축의 양단 각각에 끼워져 서로 마주보는 테이퍼 롤러로 이루어진 로울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하단부에 설치된 전동롤에 감아지며 상기 테이퍼 롤러에 밀착되어 중앙 부위가 오목하게 V 형태로 함몰되어 광물, 곡물 등이 운반되도록 하는 벨트;
    상기 전동롤에 동력을 전달하여 벨트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로 구성된 전동부;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는 베이스 프레임의 양단 각각에 설치되는 브라켓트를 관통하여 회전축을 구비하되, 이 회전축의 양단 각각에 대향 설치된 테이퍼 로울러는 내측단의 외경이 점착 작아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 광물, 곡물, 시멘트, 모래, 석재 등의 운반을 가능하게 하는 V형 컨베이어로써,
    처리 용량에 따라 적당한 길이를 가지며 수평 혹은 경사지게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브라켓트를 관통하여 회전축이 구비되고, 이 회전축의 양단 각각에 끼워져 서로 마주보는 테이퍼 롤러를 구비하되, 이 테이퍼 롤러는 내측단의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테이퍼 롤러의 양측단에 베어링이 구비된 로울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단 내측에 설치된 원동롤과 하단 내측에 설치된 종동롤에 감아지도록 하되, 상기 테이퍼 롤러에 밀착되어 중앙 부위가 오목하게 V 형태로 함몰되어 광물, 곡물 등이 운반되도록 하는 벨트;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원동롤에 체인 구동 방식으로 전달하는 전동부;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 说明书全文

    컨베이어{conveyor}

    본 고안은 분말 형태 예컨대, 광물, 곡물 혹은 모래, 시멘트, 석재 등을 이송하는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로울러의 구조를 개량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그에 따르는 제작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며, 고장 수리가 용이한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원자재·기계부품·포장된 화물 등을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운반 기계로, 생산공장 내에서는 부품 및 반제품의 운반에 이용되는 한편 작업원과 결합하여 움직이는 작업대로도 사용됨으로써 대량생산방식의 기초를 형성하고, 광산이나 항만 등에서는 석탄·광석·화물 등의 운반에 이용되며, 건설 공사장에서는 토사(土沙)·돌 등의 운반에 널리 사용된다.

    통상, 이러한 컨베이어는 프레임에 설치된 로울러의 상면에 밸트를 설치하여 구동 모터로 이들을 강제로 회전시켜 이송물을 운반하는 구동식 컨베이어와 프레임을 수평 혹은 경사지게 설치하여 로울러에 올려진 이송물의 자중에 의해 이동하도록 하는 무동력 컨베이어로 대별되며, 전동 방식에 따라 혹은 벨트 및 벨트의 유무에 따라 여러 종류의 컨베이어로 구분된다.

    이러한 컨베이어 중 특히 곡물이나 광물 혹은 시멘트, 자갈, 모래, 석재 등과 분말 형태의 이송물을 운반하는 컨베이어는 운반도중 컨베이어 외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 중앙이 오목한 즉 "V" 형태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이러한 V형 컨베이어(1)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3개의 로울러(2)를 1조로 구성하여 중앙에 위치하는 로울러(2a)는 수평으로 설치하고, 이 중앙 로울러의 양측 각각에 설치되는 측부 로울러(2b)는 외측단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이들 로울러 상면에 설치되는 벨트(4)가 V 형태가 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컨베이어는 1조가 3개의 로울러로 구성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그에 따르는 제작 시간 및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특히 각각의 로울러 양단에 베어링이 구비됨으로써 총 6개의 베어링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중앙 로울러에 설치된 베어링의 교체 시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부 로울러를 분리한 다음 다시 순차적으로 조립하게 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되며, 각각의 로울러가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전축 및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구조 또한 상당히 복잡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테이퍼 로울러를 이용하여 로울러의 구조를 간소화 하고, 그에 따르는 제작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베어링 및 롤러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 베어링의 갯수를 현격하게 감소시켜 그에 따르는 비용을 절감하며 동시에 조립 작업 또한 간편한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광물, 곡물, 시멘트, 모래, 석재 등의 운반이 가능하게 V형 컨베이어로써, 처리 용량에 따라 적당한 길이를 가지며 수평 혹은 경사지게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브라켓트를 관통하여 회전축이 구비되고, 이 회전축의 양단 각각에 끼워져 서로 마주보는 테이퍼 롤러로 이루어진 로울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하단부에 설치된 전동롤에 감아지며 상기 테이퍼 롤러에 밀착되어 중앙 부위가 오목하게 V 형태로 함몰되어 광물, 곡물 등이 운반되도록 하는 벨트; 상기 전동롤에 동력을 전달하여 벨트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로 구성된 전동부;가 갖추어진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로울러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의 일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본 고안의 컨베이어(10)는 구동 모터와 이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동부가 갖추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 예이고 이들 구동 수단이 없는 무동력 컨베이어에도 본 고안은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의 컨베이어(10)는 베이스 프레임(20)과 테이퍼 롤러(120)로 이루어진 로울러(100)와 상기 로울러(100)의 상면에 밀착 설치되어 광물 혹은 곡물 등을 운반하는 벨트(30)와 이 벨트를 회전시키는 전동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은 직사각형의 지지틀 형태로 구성되며 경사지거나 혹은 수평으로 설치되어 광물 혹은 곡물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면에 후술하는 로울러 브라켓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상,하단 내측에는 도면과 같이 벨트(30)가 감겨져 이 벨트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전동롤이 설치되는데, 먼저 상단부에는 상기 전동부(40)의 구동 모터(41)와 연결되는 원동롤(42)이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종동롤(43)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원동 및 종동롤(42)(43)은 마찰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외주연에 이빨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전동부(40)의 구동 모터(41)는 베이스 프레임(20)의 일측에 구비된 지지대(41a)에 안착되며, 그 회전축에 설치된 스프로켓(44a)과, 원동롤(42)에 설치된 스프로켓(44b)에 체인(44)을 감아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물론 상기한 체인 구동 방식 이외에도 컨베이어의 용량 및 구조에 따라 벨트 구동 및 기어 구동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벨트(30)는 로울러(10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원동 및 종동롤(42)(43)에 감아지며, 상기 로울러(100)는 상호 대향하는 테이퍼 롤러(120)와, 회전축(140) 그리고 이들을 지지하는 브라켓트(160)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트(160)는 베이스 프레임(20)의 상면 양단 각각에 입설되는데, 이때 브라켓트는 보울트에 의해 혹은 융착 방식에 의해 고정되며, 양측 브라켓트 (160)의 상단부에 상기 회전축(140)이 관통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트에는 도면과 같이 베어링(102)이 설치되며, 이 베어링을 관통하여 회전축이 축설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회전축(140)에 조립되는 테이퍼 롤러(120)는 내측단의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경사 롤러로써, 2개의 테이퍼 롤러가 상호 대향하여 회전축 양단에 각각 설치되도록 하되, 융착 고정 혹은 키(key)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이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브라켓트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회전축을 관통시키는 방식 이외에 상기 테이퍼 롤러(120)의 내측에 베어링(102)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컨베이어는 베이스 프레임(20)의 상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로울러(100)를 설치한 다음 그 상면으로 벨트를 설치하여 광물, 곡물, 모래, 시멘트 혹은 각종 석재를 운반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벨트(30)는 로울러(100)에 밀착되게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종동 및 종동롤에 감겨지며, 밀착된 벨트는 내측방으로 경사진 테이퍼 롤러(120)에 의해 중앙 부위가 오목하게 V 형태로 구성되어 운반물이 외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가 구동 모터(41)를 동작시키면 이와 체인으로 연결된 원동롤(42)이 회전하여 벨트를 회전시키는데, 이때 벨트와 밀착된 각 로울러(100)의 테이퍼 롤러(120)가 설치된 회전축이 베어링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벨트가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한쌍의 테이퍼 롤러를 이용하여 그 상면에 설치되는 벨트가 V형태로 구성되도록 하여 광물 혹은 곡물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한쌍의 테이퍼 롤러만 이용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컨베이어는 각 롤러에 설치되는 베어링의 갯수를 최소화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베어링 교체 시에도 어느 일측만을 빼내 교환 수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컨베이어 로울러의 구조를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다른 컨베이어의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켄베이어 20 : 프레임

    30 : 벨트 40 : 전동부

    100 : 로울러 102 : 베어링

    120 : 테이퍼 롤러 140 : 회전축

    160 : 브라켓트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