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료 이송 컨베이어

申请号 KR1020140023575 申请日 2014-02-27 公开(公告)号 KR1020150101816A 公开(公告)日 2015-09-04
申请人 현대제철 주식회사; 发明人 정태화; 명재구; 이태연;
摘要 원료 이송 컨베이어가 개시된다.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중앙측을 이동시키는 센터 롤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양 사이드측을 이동시키는 사이드 롤러;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굴곡이 발생하도록, 상기 센터 롤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원료 이송 컨베이어가 제공된다.
权利要求
  •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중앙측을 이동시키는 센터 롤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양 사이드측을 이동시키는 사이드 롤러;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굴곡이 발생하도록, 상기 센터 롤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원료 이송 컨베이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센터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센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원료 이송 컨베이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상기 지지대 사이에 결합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원료 이송 컨베이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한 쌍의 상기 지지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센터 롤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받침대의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이송 컨베이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센터 롤러와 결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이송 컨베이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의 원료 유무를 감지하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측에설치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상기 원료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원료 이송 컨베이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상기 원료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센터 롤러를 하강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이송 컨베이어.
  • 说明书全文

    원료 이송 컨베이어{RAW MATERIAL TRANSPORT CONVEYOR}

    본 발명은 원료 이송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는 일정한 거리 사이에 설치되어 원료 등을 자동으로 연속 이송하는 장치로서, 제철소나 발전소 또는 제분공장에서는 원료를 이송하기 위해 벨트 컨베이어를 널리 사용한다.

    수송되는 원료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벨트 컨베이어를 오목현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를 오목한 형태로 이동시키는 롤러의 기울기가 커질수록, 벨트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커지게 된다. 이러한 스트레스 가중은 벨트 손상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3869호(2013.11.13, 컨베이어용 원료 이송방향 전환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베이어 벨트의 굴곡을 조절할 수 있는 원료 이송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중앙측을 이동시키는 센터 롤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양 사이드측을 이동시키는 사이드 롤러;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굴곡이 발생하도록, 상기 센터 롤러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원료 이송 컨베이어가 제공된다.

    상기 센터 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센터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롤러를 지지하며, 상기 센터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상기 지지대 사이에 결합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한 쌍의 상기 지지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센터 롤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받침대의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센터 롤러와 결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의 원료 유무를 감지하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측에설치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상기 원료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상기 원료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가 상기 센터 롤러를 하강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베이어 벨트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감소되어 컨베이어 벨트의 수명이 증가되고 설비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 컨베이어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 컨베이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료 이송 컨베이어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 컨베이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 컨베이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 컨베이어(100)는, 컨베이어 벨트(110), 센터 롤러(120), 사이드 롤러(130), 구동부를 포함하고, 센터 프레임(121), 스탠드(122), 사이드 프레임(131), 지지부, 센서(150)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10)는 원료(10)를 받쳐주는 벨트이다. 여기서 원료(10)는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모든 연료와 재료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벨트(110)는 롤러 상에 배치되어,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일 방향으로 직선이동을 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10)를 이동시키는 롤러는 센터 롤러(120)와 사이드 롤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롤러(120)는 컨베이어 벨트(110)의 중앙측을 이동시키는 롤러이고, 사이드 롤러(130)는 컨베이어의 양 사이드측을 이동시키는 롤러이다.

    센터 롤러(120)는 센터 프레임(121)에 결합되고 지지될 수 있다. 즉, 센터 프레임(121)은 고정된 상태에서 센터 롤러(120)가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컨베이어 중앙측이 이동될 수 있다. 센터 롤러(120)는 센터 프레임(12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센터 프레임(121)은 스탠드(1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롤러(130)는 사이드 프레임(131)에 결합되고 지지될 수 있다. 사이드 롤러(130)는 사이드 프레임(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자리에서 회전하여 컨베이어 벨트(110)의 사이드측을 이동시킬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31)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센터 프레임(12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이드 프레임(131)은 센터 프레임(121)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31)이 센터 프레임(121)에 힌지결합되는 경우, 센터 프레임(121)과 센터 롤러(120)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힌지를 중심으로 센터 프레임(121)이 회전할 수 있다. 센터 프레임(121)이 회전하게 되면, 센터 프레임(121)과 센터 롤러(120)가 이루는 각도가 변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31)은 상기의 스탠드(1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131)은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으며, 지지부는 스탠드(1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31)은 지지부에 의하여 스탠드(122)에 대해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는, 지지대(132)와 받침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32)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31) 중, 한 개의 사이드 프레임(131)을 기준으로, 한 쌍으로 존재하여 사이드 프레임(131)의 양측을 지지한다. 한 쌍의 지지대(132)는 사이드 프레임(131)의 폭방향으로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받침대(133)는 한 쌍의 지지대(132) 사이에 결합되어 사이드 프레임(131)의 하측을 지지한다. 받침대(133)는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대(13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받침대(133)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133)가 지지대(1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센터 롤러(120)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센터 롤러(120)와 사이드 롤러(130)가 이루는 각도가 변화할 때, 사이드 프레임(131)이 받침대(133)와 함께 회전할 수 있어 안정적인 움직임이 가능해진다.

    구동부는 센터 롤러(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센터 롤러(120)가 센터 프레임(121)에 결합되는 경우, 구동부는 센터 프레임(121)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는 스탠드(12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에 의하면, 센터 롤러(120)를 필요에 따라 이동시켜 컨베이어 벨트(110)의 굴곡 생성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는 실린더(141)와 모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41)는 센터 롤러(12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센터 롤러(120)가 센터 프레임(121)에 결합되는 경우, 실린더(141)는 센터 프레임(121)에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141)는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142)는 실린더(141)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유압모터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 컨베이어(100)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서와 같이 원료(10)가 컨베이어 벨트(110) 상에 안착된 경우, 구동부가 실린더(141)를 수축시키고, 센터 프레임(121)은 하강하며, 센터 프레임(121)에 결합된 센터 롤러(120)도 함께 하강한다. 이에 따라, 양 사이드 프레임(131)은 내측으로 기울도록 각각 회전하게 되어 컨베이어 벨트(110)에 굴곡이 생기게 된다. 즉, 중앙측이 함몰되는 컨베이어 벨트(110) 형상이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원료(10)가 컨베이어 벨트(110) 상에 안착되지 않은 경우에, 구동부가 실린더(141)를 팽창시켜, 센터 롤러(120)와 사이드 롤러(130)를 평행하게 위치시키며, 컨베이어 벨트(110)도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 컨베이어(100)는 센서(150)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150)는 컨베이어 벨트(110) 상측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110) 상의 원료(10) 유무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센서(150)의 감지 여부에 따라 구동부를 제어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센서(150)가 원료(10)의 존재를 감지한 경우, 제어부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구동부가 센터 롤러(120)를 하강시키도록 한다. 또한, 센서(150)가 원료(10)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제어부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센터 롤러(120)를 상승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 컨베이어에 의하면, 원료가 있는 경우에만 컨베이어 벨트 중앙을 함몰시킬 수 있으므로, 원료가 컨베이어 벨트 바깥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한편, 컨베이어 벨트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감소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원료
    100: 원료 이송 컨베이어
    110: 컨베이어 벨트
    120: 센터 롤러
    121: 센터 프레임
    122: 스탠드
    130: 사이드 롤러
    131: 사이드 프레임
    132: 지지대
    133: 받침대
    140: 구동부
    141: 실린더
    142: 모터
    150: 센서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