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 entrance locking apparatus

申请号 KR20100125370 申请日 2010-12-09 公开(公告)号 KR20120064232A 公开(公告)日 2012-06-19
申请人 LG N SYS INC; 发明人 CHOI JANG WOOK; PARK SE HOON; YEON JE SUNG; CHO WOO YOUN; KO KWANG HUN;
摘要 PURPOSE: A locking apparatus of an input slot and automatic teller machine are provided to prevent a media or other foreign materials from flowing into an automatic teller machine due to carelessness of a user or other reasons when a media process module is removed from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CONSTITUTION: A locking apparatus of an input slot comprises a panel(110), an upper bracket(200), a lower bracket(120), and a locking unit. The panel forms the input slot for inputting a media. The upper bracket is combined with one side of the panel and opens and closes the input slot while moving to the top and bottom with the contact of the media. The lower bracke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bracket and blocks the input slot by cooperating with the upper bracket. The locking device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upper bracket according to the mount of a media process module while being combined with the upper bracket.
权利要求
  • 매체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일면에 결합되고, 매체와의 접촉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상부브라켓;
    상기 상부브라켓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브라켓과 협력하여 상기 투입구를 차단하는 하부브라켓; 그리고
    상기 상부브라켓에 결합하여 매체처리모듈의 장착여부에 따라 상기 상부브라켓의 이동을 규제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매체 투입구 잠금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라켓은,
    매체와 접촉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패널의 일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헤드부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매체 투입구 잠금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는 회전축에 결합되어 매체처리모듈의 장착 및 탈착에 따라 회전가능한 스토퍼와;
    상기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상부브라켓의 이동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매체 투입구 잠금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서 상기 패널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림단;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상기 패널 내부로 연장되는 눌림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 중앙에서 형성되는 지지부; 그리고
    상기 걸림단과 상기 눌림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공을 포함하는 매체 투입구 잠금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판상의 몸체면과;
    상기 몸체면의 하단에서 위쪽으로 벤딩된 탄성면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면은 상기 스토퍼의 지지부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매체 투입구 잠금장치.
  • 说明书全文

    매체 투입구 잠금 장치 {Media entrance 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매체 투입구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처리모듈을 제거했을 때, 매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매체의 투입구를 차단하는 투입구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 수표, 전표, 영수증, 각종 용지 등을 지급하거나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는 은행 창구를 거치지 않고 고객이 직접 현금이나 수표 등을 입금 또는 출금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는, 은행 업무의 효율화와 고객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가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투입된 매체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식별부에서 식별된 매체를 처리 또는 프린트하는 처리부,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매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는 기기 전체가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으나, 매체를 투입하는 투입부와 사용자의 조작부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고, 나머지 처리부나 저장부는 건물의 내측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외부 모습을 보인 부분사시도이고, 도 2는 매체의 투입구를 나타낸 부분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금융자동화기기(1)의 외부 구성은 매체자동지급기내로 현금이나 수표 등을 투입하거나 회수하는 인출부(30)와, 신용카드나 현금카드 등의 매체를 금융자동화기기내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10), 사용자가 금융자동화기기내로 명령이나 기타 입력을 위해 사용되는 입력부(20), 그리고 금융자동화기기의 상태를 나타내거나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사용되는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는 매체를 처리하는 매체처리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매체처리모듈은 투입된 매체를 내부로 이송하고, 매체를 식별하며, 식별된 매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가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매체 투입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기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투입구 닫힘장치가 구비된다.

    그러나 금융자동화기기의 운용중에 수리나 기타 작업을 위해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매체처리모듈을 제거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부주의나 기타 문제로 인해 매체의 투입부를 통해 매체가 투입되거나, 다른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구비된 매체처리모듈을 제거하는 경우에 매체의 투입구를 통해 매체나 다른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투입구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체 투입구 잠금 장치는, 매체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일면에 결합되고, 매체와의 접촉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상부브라켓, 상기 상부브라켓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브라켓과 협력하여 상기 투입구를 외부와 차단하는 하부브라켓, 그리고 상기 상부브라켓에 결합하여 매체처리모듈의 장착여부에 따라 상기 상부브라켓의 이동을 규제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브라켓의 실시예에 의하면, 매체와 접촉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패널의 후면과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헤드부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수단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패널의 후면에 구비되는 회전축에 결합되어 매체처리모듈의 장착 및 탈착에 따라 회전가능한 스토퍼와, 상기 패널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상부브라켓의 이동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의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서 상기 패널의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림단,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상기 패널 내부로 연장되는 눌림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 중앙에서 형성되는 지지부, 그리고 상기 걸림단과 상기 눌림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공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의 실시예에 의하면, 판상의 몸체면과, 상기 몸체면의 하단에서 위쪽으로 벤딩된 탄성면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면은 상기 스토퍼의 지지부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매체 투입구 잠금장치에 의하면,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의 매체처리모듈을 제거하는 경우, 매체의 투입구가 잠기도록 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나 기타 다른 이유로 금융자동화기기 내부로 매체나 다른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외부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투입구 잠금 장치를 외부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투입구 잠금 장치를 내부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투입구 잠금 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투입구 잠금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을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한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투입구 잠금 장치를 외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투입구 잠금 장치를 내부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투입구 잠금 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패널(110)을 기준으로 좌측을 외부, 우측을 내부로 칭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투입구 잠금 장치는, 매체의 투입구가 형성된 패널(110)과, 상기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하이동하는 상부브라켓(200), 상기 상부브라켓(200)과 협력하여 투입구를 개폐하는 하부브라켓(120), 그리고 상기 상부브라켓(200)의 일측에 결합되어 매체처리모듈의 장착여부에 따라 상기 상부브라켓의 이동을 규제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110)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외부 전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패널(110)의 내부에는 투입된 매체를 처리하기 위한 매체처리모듈(300)이 구비된다. 상기 투입구의 상단에는 후술할 헤드부(21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패널(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회피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브라켓(200)은 상기 패널(110)의 후면에 결합되어 매체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투입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브라켓(200)은 매체가 접촉하여 상기 상부브라켓(200)의 윗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헤드부(210)와, 상기 헤드부(210)의 상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패널(110)의 후면에 결합되는 결합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210)는, 사용자가 투입구로 매체를 집어넣거나, 상기 매체처리모듈(300)에서 처리된 매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매체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상기 헤드부(210)는, 매체를 외부에서 투입구 내부로 집어넣을 때 접촉되는 전면(212)과, 내부에서 투입구 외부로 배출시킬 때 접촉되는 후면(2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212)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외부에서 내부쪽으로 둥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214)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내부에서 외부쪽으로 둥글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212)과 후면(214)이 반드시 둥글게 형성될 필요는 없고, 경사지게 직선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매체와의 접촉에 따른 수평방향의 힘이 수직방향의 분력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면 충분하다.

    상기 전면(212)과 후면(214)이 둥글게 형성되어, 매체가 상기 전면(212) 또는 후면(214)에 접촉될 때, 매체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헤드부(210)에는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힘의 분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방향의 분력으로 인해 상기 상부브라켓(200)이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상기 헤드부(210)의 전면(212)과 후면(214)이 맞닿는 곳에는 위쪽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홈부(216)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216)는 상기 하부브라켓(120)의 윗부분을 수용하는 곳이다. 상기 홈부(216)에는 탄력을 가지는 쿠션 등과 같은 완충부재(240)가 부착된다. 그러나 상기 쿠션(250)이 상기 홈부(216)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하부브라켓(120)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완충부재(240)가 구비됨으로 인해 상기 상부브라켓(200)의 홈부(216)가 상기 하부브라켓(120)과 틈새없이 밀착될 수 있어 외부로의 먼지나 이물질 등의 유입이 차단되고, 상기 상부브라켓(20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할 때 상기 하부브라켓(120)과의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헤드부(200)의 상측에는 걸림턱(218)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18)에는 후술할 스토퍼(500)가 걸어져 상기 상부브라켓(200)의 상하이동을 규제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220)는 상기 헤드부(210)의 상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상부브라켓(200)이 상기 패널(110)의 후면과 결합하는 곳이다. 상기 결합부(220)는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20)에는 상기 상부브라켓(200)이 이동하는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슬롯(2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널(110)의 후면에는 상기 슬롯(230)에 끼워지는 보스(11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스(110)에는 나사홀(113)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230)과 보스(111)가 협력하여 상기 상부브라켓(200)이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패널(110)의 후면에는 상기 상부브라켓(200)를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상부브라켓(200)이 매체에 의해 위쪽으로 올라갔다가 아래쪽으로 용이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스(111)의 상단에는 베이스(600)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600)는 얇은 판상의 것으로 결합면(610)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면(610)에는 상기 보스(111)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나사체결공(612)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체결공(612)를 통해 상기 베이스(600)가 상기 패널(110)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베이스(600)의 양단에는 내부로 직각 벤딩된 한 쌍의 벤딩면(620)이 형성된다. 상기 벤딩면(620)에는 한 쌍의 축공(622)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축공(622)은 동일 축 상에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축공(622)에는 회전축(800)이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800)에는 스토퍼(500)가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500)는 얇은 판상의 것으로 몸체부(510)와, 상기 몸체부(510)의 양단에서 내부로 직각 벤딩된 한 쌍의 벤딩부(530)가 형성된다. 상기 벤딩부(530)에는 상기 회전축(800)의 결합을 위한 한 쌍의 결합공(532)이 상기 벤딩부(53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결합공(532)은 동일 축 상에 위치한다.

    상기 몸체부(510)의 하단에는 내부로 직각 벤딩된 걸림단(52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단(520)이 상기 걸림턱(218)에 걸어져 상기 상부브라켓(200)의 상하이동을 규제하게 된다.

    상기 몸체부(510)의 상단 양측에는 내부로 직각 벤딩된 눌림부(540)가 형성된다. 상기 눌림부(540)는 매체처리모듈(300)의 전단에 의해 눌려져, 상기 스토퍼(500)를 회전시켜 상기 상부브라켓(20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한다. 상기 몸체부(510)의 상단 중앙에는 내부로 벤딩된 지지부(55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550)는 후술할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받는 곳이다.

    상기 베이스(600)와 상기 스토퍼(500) 사이에는 제2탄성부재(700)가 구비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700)는 얇은 판상의 것으로 탄성력을 가진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700)는 몸체면(710)과, 상기 몸체면(710)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벤딩된 탄성면(7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면(720)은, 상기 스토퍼(500)의 지지부(550)에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500)의 걸림단(520)이 상기 상부브라켓(200)의 이동을 규제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제2탄성부재(700)의 탄성면(720)이 상기 지지부(550)를 우측으로 밀어내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탄성부재는 판스프링을 사용하여 구현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코일스프링 등 기타 다른 방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투입구 잠금장치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은 투입구 잠금장치가 동작하는 모습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

    도 5의 (a)는 매체처리모듈(300)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제2탄성부재(700)의 탄성면(720)이 스토퍼(500)의 지지부(550)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500)는 회전축(80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500)의 걸림단(520)이 상부브라켓(200)의 걸림턱(218)에 걸어지게 되어, 상기 상부브라켓(20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도 5의 (b)는 매체처리모듈(300)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매체처리모듈(300)이 상기 스토퍼(500)의 눌림부(540)을 누르게 되면, 상기 스토퍼(500)는 상기 제2탄성부재(70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회전축(80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500)의 걸림단(520)이 상부브라켓(200)의 걸림턱(218)에서 벗어나게 되어, 상기 상부브라켓(200)이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내용은 금융자동화기기를 한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하여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폭이나 넓이에 비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매체의 투입구가 적용되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패널 111:가이드보스
    120:하부브라켓 200:상부브라켓
    210:헤드부 220:결합부
    230:슬롯 240:완충부재
    300:모듈 400:매체
    500:스토퍼 600:베이스
    700:탄성부재 800:회전축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