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트 컨베이어 및 그의 부대 장치

申请号 KR1020027014939 申请日 2002-03-13 公开(公告)号 KR100619357B1 公开(公告)日 2006-09-05
申请人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发明人 코타키,타카시; 고토,츄네토시; 니시다,요시키;
摘要 Disclosed is a belt conveyor capable of greatly reducing friction resistance between side portions of a belt and troughs, comprising troughs ( 5 ), a belt moving above the troughs ( 5 )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belt bending members ( 12 ) provided outside on both sides of the belt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be located upstream of an entrance ( 5 a) of the troughs, for abutting with both side portions of the belt to be bent upwardly, load cells ( 14 ) for detecting a reactive force exerted by the belt with which the belt bending members ( 12 ) make contact, guide rails ( 16 ) engaged to cause the belt bending members ( 12 ) to be displaced to be fixed at a desired position so as to bend the side portions of the belt or restore the bent belt, and rails ( 20 ) for moving the guide rails ( 16 )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lt.
权利要求
  • 삭제
  •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접속된 트로프에 있어서,
    상기 트로프가 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트로프가 슬라이드하게 되면 서로 결합하게 되는 요철부가 상기 트로프의 접속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의 슬라이드 방향 단부들 사이에 형성된 극간과, 상기 요철부들 사이에 있어서 슬라이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미소 극간과, 상기 트로프의 접속부분에 상기 극간과 상기 미소 극간을 아래로부터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트로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판을 포함하는 미로형 시일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트로프.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로형 시일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미소 극간이 상기 벨트의 단부보다 내측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트로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로형 시일 기구를 가지는 슬라이드 가능한 접속부분이 상기 트로프의 길이방향에 다단계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트로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에 부상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 챔버가 설치되고, 슬라이드를 허용하기 위한 상기 극간과 상기 급기 챔버를 연통하는 급기공이 상기 가이드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트로프.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을 한쪽의 트로프에 고정하고, 다른 쪽의 트로프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판에 형성된 장공 또는 큰 직경의 구멍에 끼워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트로프.
  • 컨베이어 벨트의 귀환측에서 상기 벨트 단부의 잔류 부착물을 제거하는 장치에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전진로측에서의 벨트의 굴곡되려는 성질과는 반대로 역굴곡시키기 위한 탈수 롤러 또는 스크레이퍼를 벨트 단부에 밀착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부착물 제거 장치.
  • 컨베이어 벨트의 귀환측에서 상기 벨트 단부의 잔류 부착물을 제거하는 장치에있어서,
    상기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전진로측에서의 벨트의 굴곡되려는 성질과는 반대로 역굴곡시키기 위해 탈수 롤러 및 스크레이퍼를 각각 벨트 단부에 밀착시키고,
    상기 탈수 롤러와 스크레이퍼를 벨트 진행방향으로 병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부착물 제거 장치.
  • 컨베이어 벨트의 귀환측에서 상기 벨트 단부의 잔류 부착물을 제거하는 장치에있어서, 상기 귀환측 벨트가 트로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트로프 형상 보다 더욱 벨트 단부를 내측으로 밀어 급격하게 굴곡시키기 위한 탈수 롤러 또는 스크레이퍼를 상기 벨트 단부에 밀착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부착물 제거 장치.
  • 컨베이어 벨트의 귀환측에서 상기 벨트 단부의 잔류 부착물을 제거하는 장치에있어서, 상기 귀환측 벨트가 트로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트로프 형상 보다 더욱 벨트 단부를 내측으로 밀어 급격하게 굴곡시키기 위한 탈수 롤러 또는 스크레이퍼를 상기 벨트 단부에 밀착시키고,
    상기 탈수 롤러와 스크레이퍼를 벨트 진행방향으로 병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부착물 제거 장치.
  •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전체 길이에 걸쳐서 벨트 중앙부 범위에 물받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부착물 제거 장치.
  •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수 롤러 또는 스크레이퍼의 벨트 진행 방향 하류측에 벨트를 횡단하는 직선 누름 롤러 또는 벨트 클리너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부착물 제거 장치.
  • 컨베이어의 반송로상에 설치된 슈트의 하단으로 배치되고, 피반송물을 벨트 위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에 있어서,
    하방을 향해서 전방으로 경사짐과 동시에 축소부착된 저판과,
    상기 저판의 양측변을 따라 설치된 측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장치용 안내 부재.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측판이 상방을 향하여 상호 벌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장치용 안내 부재.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과 측판이 연속하여 일체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에 의해, 그의 수평단면이 원호모양을 띠고, 이 원호상 단면의 평균 곡률이 반송로 면으로 갈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 장치용 안내 부재.
  • 컨베이어의 반송로상에 피반송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장치에 있어서,
    낙하하는 피반송물의 통로를 구성하는 슈트와,
    상기 슈트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안내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컨베이어 적재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슈트의 하단에 형성된 개구의 양측변 후부에 상기 안내부재의 양측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적재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가, 슈트의 하단 개구의 전,후방을 따라서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적재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가, 슈트의 하단 개구의 전,후방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적재 장치.
  •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반송물을 적재하여 이동하는 긴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 상방으로 설치된, 반송로상으로 피반송물을 적재하기 위한 상기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한 항에 기재된 적재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좌우 양측에, 적재 장치가 위치하는 범위를 전후 방향으로 커버하도록 스커트 부재가 입설되고, 상기 안내부재의 상단이 스커트 부재의 상단보 다 하방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 트로프와,
    상기 트로프 위를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벨트와,
    트로프 입구의 상류부에서, 상기 벨트의 폭방향 양측 바깥쪽에 설치된 벨트 굴곡부재와,
    상기 벨트 굴곡부재가 밀착된 벨트로부터 받는 반력을 검출하기 위한 제1반력 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 굴곡부재가, 벨트의 양측변에 밀착하여 그것을 상방으로 굴곡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 트로프와,
    상기 트로프 위를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벨트와,
    트로프 입구의 상류부에서, 상기 벨트의 폭방향 양측 바깥쪽에 설치된 벨트 굴곡부재와,
    상기 벨트 굴곡부재로부터 독립하여 떨어져서, 상기 벨트의 측변으로 밀착한 상태에서 벨트로부터 받는 반력을 검출하는 제2반력검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 굴곡부재가, 벨트의 양측변에 밀착하여 그것을 상방으로 굴곡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굴곡부재가,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트로프 입구에 접근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굴곡부재가, 이동하는 벨트의 측변을 따라 회전되도록 설치된 롤러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굴곡부재가, 이동하는 벨트의 측변이 미끄럼 접촉하도록 설치된 미끄럼 부재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 삭제
  •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굴곡부재가, 벨트의 측변을 굴곡시키는 방향과 굴곡된 벨트가 복원하는 방향으로 변위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굴곡부재를 벨트의 측변을 굴곡시키는 방향과 굴곡된 벨트가 복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변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변위 장치가 변위한 임의의 위치에서 벨트 굴곡부재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굴곡부재를 벨트의 측변을 굴곡시키는 방향과 굴곡된 벨트가 복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변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변위 장치가 변위한 임의의 위치에서 벨트 굴곡부재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변위장치가 상기 제1반력 검출기에 의해서 검출된 반력치에 대응하여 벨트 굴곡부재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굴곡부재를 벨트의 측변을 굴곡시키는 방향과 굴곡된 벨트가 복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변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변위 장치가 변위한 임의의 위치에서 벨트 굴곡부재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변위장치가 상기 제2반력 검출기에 의해서 검출된 반력치에 대응하여 벨트 굴곡부재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 트로프와,
    상기 트로프 위로 부상되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벨트와,
    트로프 외부에서 상기 벨트를 아래로부터 지탱하도록 설치된 제1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가, 벨트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 설치되고, 각 제1지지부재가, 벨트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지지요소를 가지며,
    적어도 인접하는 제1지지부재끼리가, 그의 지지요소끼리의 간극의 위치가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바라 볼 때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 제33항에 있어서,
    전체 제1지지부재 중 임의의 하나의 제1지지부재에 있어서의 지지요소끼리의 간극의 위치가,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바라 볼 때, 나머지 전체 지지부재에 있어서의 지지요소끼리의 간극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도록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가, 벨트의 폭방향의 축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취부된 롤러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요소가 미끄럼부재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 제33항에 있어서,
    전체 제1지지부재를 구성하는 지지요소 중 일부가 제35항에 기재된 롤러로써 구성되고,
    나머지 부분이 제36항에 기재된 미끄럼부재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 트로프와,
    상기 트로프 위로 부상되어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벨트와,
    트로프 외부에서 상기 벨트를 아래로부터 지탱하도록 설치된 제2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지지부재가, 벨트의 폭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는 미끄럼부재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가, 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 제38항에 있어서,
    트로프 외부에서 상기 벨트를 아래로부터 지탱하도록 설치된 제1지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가 벨트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지지요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 중 하나가 트로프 단부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 说明书全文

    벨트 컨베이어 및 그의 부대 장치{BELT CONVEYOR AND AUXILIARY EQUIPMENT THEREOF}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 및 그의 부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트로프(trough) 위를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반송용 벨트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이 벨트 컨베이어에 설치된 트로프,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에 부착된 반송물의 잔류물을 제거하는 제거 장치, 컨베이어 상에 반송물을 적재하기 위한 각종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러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일례가 도 30에 나타나 있다.

    이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201)(이하, '벨트 컨베이어'로 약칭한다)에 있어서는, 벨트 컨베이어(201)의 양단에 그의 축이 수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엔드 풀리(203,204) 사이에 무단 벨트(202)(이하, '벨트'로 약칭한다)가 감겨져 있다. 이 풀리(203,204)가 도면중 회살표(H)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벨트(202)가 화살표(F) 방향으로 순환 이동 된다. 그리고, 상측에 위치하는 벨트 부분 즉, 포워 드(Forward)측("전진로측" 이라고도 함)의 벨트 하방에 근접해서, 단면이 원호 형태를 띠는 트로프(205)(도 31 병행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벨트(202)는, 일반적으로, 면, 비닐론,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스틸코드 등의 심체와, 이 심체를 감싸는 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트로프 입구측의 엔드 풀리(203)와 트로프(205)의 입구(205a) 사이에는, 전진로측 벨트(202)를 아래로부터 지탱하는 트로프 롤러, 임팩트 롤러 등의 상단 지지롤러 열(206)이 설치되어 있다. 어떤 상단 지지롤러 열(206)도 트로프 각을 이루고 있다. 즉, 상단 지지롤러 열(206)은 도 3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202)를 폭방향으로 만곡시킴으로써 그의 단면 곡률을 트로프(205)의 단면(도 31b 참조)곡률에 일치시키도록 복수개의 롤러(206a)가 원호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트로프(205) 하방의 벨트 부분 즉, 리턴(Return)측('귀환로측' 이라고도 함)의 하방에는, 귀환로측 벨트 부분을 평탄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평탄 롤러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단 지지롤러 열(20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귀환로측의 하단 지지롤러열(207)도 전진로측과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롤러를 원호상으로 배열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상단 지지롤러 열(206)과 하단 지지롤러 열(207) 모두 벨트(2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면서 복수열로 설치되어 있다.

    도 32a의 평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상단 지지롤러 열(206)에 있어서의 지지롤러(206a)의 배열은, 롤러 사이의 간극(G)이 벨트의 길이방향에서 바라볼 때 일직선상으로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단 지지롤러 열(207)에 있어서의 지지롤러(207)의 배열도 동일하다.

    따라서, 벨트(202)에는 롤러 사이의 간극(G)에 대응하는 위치에 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굴곡하려는 성질이 생긴다(도 32b에서의 화살표 참조). 굴곡하려는 성질은, 벨트가 일단 어떤 방향으로 굴곡되면, 그의 굴곡력이 해방된 후에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더라도, 동일방향의 굴곡에 대해서는 저항력이 감소하는 성질이 있다. 한편, 미리 굴곡시킨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굴곡될 때에는 저항력은 증대한다. 이 성질은, 벨트(202)의 재료인 고무의 점탄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도 3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롤러(부재번호 '206a'로서 대표적으로 나타냄)에 의해, 양 롤러의 간극(G)을 중심축으로 하여 양측의 벨트(202)부분이 상방으로 굴곡된다. 그 후, 이 굴곡이 해방된 후에 벨트 형상이 복원되어도 상방으로는 굴곡이 쉽게 이루어진다.

    그 결과, 벨트(202)의 이 부분이 트로프(205) 위에 도달하게 되고, 압축공기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 올려질 때, 도 3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202)의 폭방향 단면이 매끄러운 원호를 이루지 않고 각부(C)를 가지게 된다(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제 보다 극단적인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각부(C)가 트로프(205)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기압을 높여 부상력을 크게할 수 밖에 없다. 그렇게 하면, 벨트(202)의 측변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공기량이 많아지는 문제가 생길 염려가 있다.

    한편, 트로프 입구측의 엔드 풀리(203)와 트로프(205)의 입구(205a) 사이에, 벨트(202) 위로 피반송물을 투하하기 위한 슈트(208)가 설치되어 있다.

    도 3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슈트(208)의 하단 개구(208a)의 폭, 요컨대, 벨트 폭방향의 하단 개구(208a)의 치수는, 벨트(202)의 폭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이것은, 폭을 너무 좁게하면 피반송물로 인해 슈트(208)가 막힐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슈트(208)가 설치된 근방에 있어서, 벨트(202)의 폭방향 양측에는 피반송물이 벨트 바깥으로 넘치지 않도록 스커트(20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슈트(208)의 위치에 대응하는 벨트 부분의 하방으로 설치된 상기 지지롤러 열(206)은, 투하된 피반송물의 낙하 하중을 받기 위한 임팩트 롤러(206)로서 기능한다. 임팩트 롤러(206)는, 전술한 대로 벨트(202)를 폭방향으로 만곡시킴으로써, 그의 단면 곡률을 트로프(205)의 단면(도 31b 참조)곡률에 일치시키도록 복수개의 롤러(206a)가 원호상으로 배열된 것이다. 상기 양측 엔드 풀리(203,204) 사이의 벨트 부분은 덕트(210)에 의해 둘러쌓여져 있다.

    도 3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로프(205)의 저부에는 급기공(2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벨트(202)를 트로프(205)로부터 부상시키기 위해, 급기공(211)을 통해 벨트(202)와 트로프(205) 사이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급기 장치(212)가 설치되어 있다.

    벨트 컨베이어에서는, 특히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에서는, 그 벨트 위의 폭방향 중앙부를 중심으로 해서 피반송물이 좌우로 균일하게 적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의 폭방향으로 편재(치우져서 적재)되면, 트로프 위에서 공기의 부상력과 피반송물의 중력과의 힘 방향이 서로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벨트가 사행(蛇行)해 버릴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전술한 슈트(208)의 개구폭이 큰 벨트 컨베이어(201)에 있어서는, 피반송물이 슈트(20)의 가운데로 낙하해오는 상태에 의해서는 벨트(202) 위의 폭방향으로 편재하고, 벨트(202)를 사행시켜버릴 염려가 있다.

    그 점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일본 특개평 제7-125826호 공보 및 특개평9-169423호 공보에 개시된 벨트 컨베이어가 제안되어 있다.

    이 벨트 컨베이어에서는, 벨트의 사행을 검출하는 센서, 슈트 또는 슈트 하단의 댐퍼를 벨트의 폭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사행 검출 센서의 검출신호를 슈트(댐퍼) 요동기구에 피이드 백하여 사행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피반송물의 적재위치를 변화시키도록 한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에서는 기구가 복잡해지고, 부품수도 대폭적으로 증가한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상부 지지롤러 열(206)에 의해 벨트(202)의 단면 곡률을 트로프(205)의 단면곡률에 일치되도록 만곡시켜도, 그 후 벨트는 평탄한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한다. 그 결과, 벨트(202)가 트로프(205) 위로 진입했을 때, 벨트(202)의 양측변이 트로프(205)에 접촉하고, 벨트(202)와 트로프(205) 사이에 부상용 압축공기 쳄버가 형성된다.

    그러나, 벨트(202)가 그의 양측변을 트로프(205)에 접촉하여 미끄럼 이동할 때에는, 벨트 측변과 트로프의 마찰저항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지게 된다. 그 결과, 풀리(203,204)를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동기도 출력이 큰 것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되게 된다. 더욱이, 벨트 측변과 트로프의 마찰은 벨트(202)의 수명을 단축시 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또한,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트로프에는, 컨베이어 전체 길이의 도중에 트로프의 열팽창, 제작 오차, 설치 오차 등을 흡수하기 위한 신축대가 설치되어 있다.

    도 33a, 도33b 및 도33c는 이를 위한 일반적인 트로프의 접속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각각 평면도, 종단면도, 측단면도이다.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는, 원호 형상의 트로프(205)와 이의 내측에 설치된 벨트(202) 사이에, 트로프(205) 하부의 급기 쳄버(213)로부터 급기공(211)을 통해 부상용 공기가 공급되어 벨트(202)가 부상해서 주행하는 것인 바, 트로프(205)가 긴 반송로를 형성하는 경우, 트로프(205)의 접속부에는 신축대로서의 극간(2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극간(214)을 덮기 위하여 가이드판(217)이 이웃하는 트로프(205) 사이에 설치되고, 트로프(205) 사이의 극간(214)과 가이드판(217)의 표면 사이에 작은 공기로(홈)(218)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벨트(202)와 트로프(205) 사이를 유동하는 부상용 공기는, 상기 공기로(홈)(218)를 따라 트로프(205)의 폭방향으로 유출되어 단부에서 외부로 빠져나간다. 그 결과, 벨트(202)의 부상이 불안정하게 되어 주행저항이 증대하기 때문에, 블로어의 능력을 증대시켜 부상용 공기 공급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트로프(205)가 열 등에 의해 신축하여 슬라이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트로프(205) 사이의 극간(214) 즉, 공기로(홈)(218)도 변화하고, 이 공기로(218)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부상용 공기의 누설량이 변화하게 된다. 그 때문에 벨트(202)의 부상이 불안정하게 되고, 벨트(202)가 트로프(205)에 접촉하여 벨트 주행저항이 증대하는 폐단이 생긴다.

    일본 특개평10-316244호 공보에서는, 트로프의 접속작업을 간단화할 목적으로, 하나의 트로프 이면의 단부면으로부터 접속 가이드 부재를 소정량 돌출설치하고, 접속 가이드 부재의 상측에 나머지의 트로프를 위치시켜, 양 트로프 단면 사이에 접착제를 충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에서는, 부상용 공기가 빠져나가는 홈은 없게 되는 반면, 열신축 등에 의한 트로프의 슬라이드는 허용되지 않게 되는 폐단이 있다.

    또한, 반송물이 벨트(202)에 부착하고, 이 부착 잔류물이 벨트(202)의 진행과 함께 반송되어 귀환측의 벨트 주행로 주변으로 낙하, 비산, 부착, 오탁, 부식, 퇴적, 그리고 주행저항 변화의 원인이 된다.

    그런 점에서, 종래에는 귀환측에서 벨트의 부착물을 제거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부착물 제거 수단으로는, 클리너에 의해 긁어내거나, 또는 탈수롤러(벨트와 롤러를 압착하는 것)에 의한 것이 있다.

    예를 들면, 특공평7-20767호 공보에는, 스크레이퍼를 구성하는 블레이드가 벨트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향한 축선 둘레에 회동조정 가능하게 지지되고, 블레이드의 벨트 표면에 접촉하는 상연부가 벨트의 양단부로부터 중앙으로 이르러 점차 축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만곡되어 형성되고, 축선 둘레에서 회동기립할 때, 블레이드의 상연부가 상방으로 팽출하는 활모양의 긁기부를 구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 다. 이것에 의하면, 벨트에 활모양으로 트로프 성질(굴곡되려는 성질)이 부여되어 있을 때에도 블레이드의 긁기부와 벨트 표면 사이에 극간을 생성함이 없이 긁기부를 벨트 표면으로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벨트 표면의 잔류 부착물을 알맞게 긁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특개평6-271045호 공보에는, 벨트 컨베이어의 반송로 종단부 근방에, 반송 종단부에서 반전된 벨트를 사행 모양으로 진행하도록 안내하는 제1 ~ 제3 처리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벨트 컨베이어의 반송로 종단부에서 반전한 벨트를 제1 ~ 제3 처리 롤러를 사행으로 통과하는 사이에, 잔류물을 벨트와 제1처리롤러 사이에 끼워 눌러서, 탈수하면서 층상 혼화시키고, 이 층상 혼화물에 처리롤러에 의해 굴곡을 부여하고, 크랙을 생성한 다음, 이 층상 형태의 파괴물을 벨트와 제3처리롤러의 접촉에 의해 막음작용으로써 벨트 표면으로부터 박리 제거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벨트에는 지지롤러열에 의해 굴곡되려는 성질이 부여되어 있다. 왜냐하면, 벨트는 반송물을 적재해 가는 전진로측에 있어서의 반송물을 안정적으로 적재시키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트로프 각을 가지는 가이드 롤러에 의해서 벨트 단면이 활모양이 되도록 지지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어떤 수단도, 벨트 단면을 일직선상으로 유지하면서 제거를 해행하기 때문에, 벨트의 굴곡하려는 성질, 또는 벨트 단부에서의 가압력의 저하에 의해, 벨트 중앙부에서는 부착물 제거 기능이 크더라도 벨트 단부에서의 부착물 제 거 기능은 저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래, 벨트 단부에서의 잔류 부착물은 벨트 중앙부에 비해 통상의 경우 소량이므로, 종래에는 단부에 있어서의 부착물 제거에는 관심이 없고, 효과적인 제거수단의 제안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것이 실상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벨트에 굴곡하려는 성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특별히 공기압력을 상승시킬 필요 없이 충분한 부상량을 얻을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피반송물의 편재를 방지하여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및 이러한 컨베이어에 사용되는 적재 장치 및 안내부재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벨트와 트로프 사이에 부상용 압축공기의 방을 확보하면서, 벨트 측변과 트로프의 마찰저항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킨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벨트의 안정적인 부상과 그의 주행을 확보하기 위하여 트로프 접속부로부터의 부상용 공기의 누출이 적은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트로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이외에도,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에서의 부착물 제거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트로프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상호간에 접속되는 트로프에 있어서, 이 트로프가 그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호간에 극간을 설치하여 슬라이드 구조를 형성하고, 트로프가 슬라이드하여 상기 극간이 변화하여도 부상용 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시일 기구를 상기 트로프 접속 부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트로프가 슬라이드하더라도 부상용 공기의 누설이 방지되므로, 공급 공기량이 저감될 수 있음과 동시에, 트로프 접속부분에 있어서의 부상용 공기 부족하지 않게 되고, 안정적인 트로프의 부상이 달성되며, 주행저항이 경감된다.

    또한,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상호간에 접속되는 트로프에 있어서, 이 트로프가 그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호간에 극간을 설치하여 슬라이드 구조를 형성하고, 트로프가 슬라이드하여 상기 극간이 변화하여도 부상용 공기의 누설량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미로형 시일 구조를 상기 트로프 접속부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공급 공기량이 저감됨과 동시에, 부상용 공기의 누설량도 안정되므로, 벨트의 부상이 안정되고, 주행 저항이 경감된다.

    이 경우,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트로프 접속부분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극간을 부여하여 트로프를 요철결합시킴에 의해 슬라이드 구조를 형성함과 동시에, 트로프가 슬라이드하여도 슬라이드 방향과 평행한 미소 극간을 형성하는 것에서, 미로형 시일 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이 된다. 트로프 접속부분에 미로 형 시일 기구를 설치함에 따라 트로프간의 극간이 변화하여도 미로부에서의 공기유로 폭은 일정하게 되기 때문에, 부상용 공기의 누설량도 일정하게 되는 결과, 벨트의 부상을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미로형 시일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미소극간을 벨트의 단부보다 내측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부상용 공기의 누설이 확실하게 방지되고, 트로프가 슬라이드하여도 부상용 공기의 누설량은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에서, 시일기구 또는 미로형 시일 기구를 가지는 슬라이드 구조를 트로프의 길이방향으로 다단계로 설치한 경우, 트로프의 슬라이드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 긴 반송로를 가지는 컨베이어 장치에서 발생하는 큰 슬라이드량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트로프의 접속부분에 트로프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판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가이드판에 부상용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 쳄버를 설치하고, 슬라이드를 허용하기 위한 극간과 급기 쳄버를 연통하는 급기공을 가이드판에 설치한다. 그렇게 하면, 트로프 접속부분에서도 부상용 공기가 충분히 확보되고, 이 부위의 벨트를 안정적으로 부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을 한쪽의 트로프에 고정하고, 다른 쪽의 트로프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가이드판에 설치한 장공 또는 큰 직경의 구멍을 개재하여 결합시키면, 트로프의 슬라이드가 원활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부착물 제거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의 귀환측에서 벨트 단부의 잔류 부착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 컨베이어 벨트의 전진로측에서의 벨트의 굴곡되려는 성질과는 반대로 역굴곡시키기 위한 탈수 롤러 또는 스크레이퍼를 벨트 단부에 압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벨트 단부만을 독립하여 부착물 제거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벨트의 성질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또한 밀착력의 저하 없이, 효과적인 부착물 제거가 가능해진다. 또한, 벨트 폭방향 단부의 탈수제거(긁어냄)가 확실하게 되기 때문에, 컨베이어 하부에 낙수, 낙분 받이(이하, '물받이'라 함)를 설치하는 경우, 벨트 폭 중앙부에만 설치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상기 탈수롤러와 스크레이퍼를 벨트 진행방향으로 병설하는 것에 의해, 벨트 단부의 부착물 제거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귀환측 벨트가 트로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 트로프 형상보다 더욱 벨트 단부를 내측으로 밀어 급격하게 굴곡시키기 위한 탈수 롤러 또는 스크레이퍼를 벨트 단부에 밀착시키는 것에 의해, 밀착력의 저하없이 효과적인 벨트 단부의 부착물 제거가 가능해 진다.

    이 경우, 탈수 롤러와 스크레이퍼를 벨트 진행 방향으로 병설하는 것에 의해, 벨트 단부의 부착물 제거가 한층 확실해 진다.

    상기의 경우, 컨베이어 전체 길이에 걸쳐서 벨트 중앙부 범위에 물받이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협소 공간에서의 장치의 간소화가 가능하다.

    또한, 탈수 롤러 또는 스크레이퍼의 벨트 진행 방향으로 하류측에 벨트를 횡단하는 직선 누름 롤러 또는 벨트 클리너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대부분의 벨트 중앙부의 부착물도 제거할 수 있는 결과, 벨트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부착물 제거 기 능이 발휘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적재 장치용 안내부재는, 컨베이어의 반송로상으로 설치된 슈트의 하단에 배치되고, 피반송물을 벨트 위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에 있어서, 하방을 향해 전방으로 경사짐과 동시에 축소 부착된 저판과, 이 저판의 양측변을 따라 설치된 측판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안내부재에 의하면, 피반송물의 대부분이 폭이 좁게 이루어진 저판의 전단부 테두리로부터 벨트 등의 반송로에 적재된다. 따라서, 피반송물의 대부분이 벨트의 중앙부분으로 모이고, 그 곳을 산봉우리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균일하게 감소해 가도록 분포한다. 더욱이, 상기 안내부재는 슈트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 있어서, 슈트의 하단에 취부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안내부재에 있어서, 양 측판을 상방을 향하여 상호 벌어지도록 형성함에 의해, 슈트를 통해 낙하해오는 피반송물이 확산하더라도, 양 측판에 의해 자연적으로 중앙부로 모이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를 그의 수평단면이 원호모양을 띠도록 상기 저판과 측판을 연속해서 일체로 만곡시켜 형성하고, 이 원호상 단면의 평균 곡률이 반송로 면을 향해 갈수록 커지게 구성함으로써, 원형 단면의 슈트나 타원형 단면의 슈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재 장치는, 컨베이어의 반송로상에 피반송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장치에 있어서, 낙하하는 피반송물의 통로를 구성하는 슈트와, 이 슈트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전술한 것들 중 하나의 안내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적재 장치에 의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안내부재의 작용 효과를 누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양측판을, 슈트의 하단에 형성시킨 개구의 양측변 후부에 취부하는 것에 의해, 피반송물의 슈트로부터의 출구로서, 안내부재의 전면 개구의 바깥에, 슈트 하단의 개구 중간의 앞부분이 존재한다. 따라서, 피반송물의 양이 매우 많은 경우에도 막힐 염려는 없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를, 슈트의 하단 개구 전,후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설치하는 것에 의해, 극히 대량의 피반송물이 낙하해 온 경우, 또는 피반송물이 슈트내에서 확산하면서 낙하해 온 경우 등에 있어서도, 전체 안내부재에 의해 이들을 반송로 중앙으로 모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재를, 슈트의 하단 개구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임으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안내부재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절 할 수 있다. 따라서, 슈트내를 확산하여 낙하하는 피반송물에 대해서 낙하량이 많은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운전 상황에 따라서 낙하량이 많은 위치로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는, 피반송물을 적재하여 이동하는 긴 반송로와, 이 반송로의 상방으로 설치된, 반송로상에 피반송물을 적재하기 위한 전술한 적재 장치중 하나의 적재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에 따르면, 종래의 컨베이어와 같은 벨트의 사행 검출 장치나 슈트 요동 장치 등의 복잡한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반송로의 사행을 방지 할 수가 있다.

    이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좌우 양측에, 적재 장치가 위치하는 범위를 전후 방향으로 커버하도록 스커트 부재를 입설하고, 상기 안내부재를, 그의 상단이 스커트 부재의 상단보다 하방으로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피반송물이 반송로의 측방으로 넘치는 것이 방지되고, 또, 안내부재를 스커트에 취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말하는, "전" 및 "후"는,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 방향을 "전"으로 하고, 그의 역방향을 "후"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는, 트로프와, 이 트로프 위를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벨트와, 트로프 입구의 상류부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폭방향 양측의 바깥쪽에 설치된 벨트 굴곡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벨트 굴곡부재가, 벨트의 양측변에 밀착하여 그것을 상방으로 굴곡시키도록(벨트의 폭방향 중앙을 향하도록 한 굴곡도 포함)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에 의히면, 벨트의 양측변을 일시적으로 상방으로 굴곡시키므로, 벨트의 양측변에는 상방으로의 굴곡되려는 성질이 생긴다. 즉, 굴곡부가 해방된 후에 벨트 형상이 복원되어도 상방으로는 굴곡이 쉽게 이루어진다. 바꾸어 말하면, 상방으로의 굴곡에 대해서는, 굴곡되어 있지 않은 벨트 보다도 저항력이 저하되어 있다. 그 결과, 트로프 상에 진입하여 벨트의 양측변이 트로프에 접촉해도 벨트의 이동에 대한 트로프로부터의 마찰저항이 감소하고, 구동원의 출력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설비 비용이나 운정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벨트의 장수명화를 꽤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말하는, "상류부"는, 벨트의 이동을 기준으로 하여, 어떤 점에서부터 바라 볼 때 벨트 진행측이 하류이고, 그의 반대측이 상류이다.

    그리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벨트 굴곡부재가 벨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트로프 입구에 접근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는 이하의 점에서 좋다. 즉, 순환 이동하고 있는 벨트는 굴곡된 후, 서서히 그 굴곡 부분의 형상이 복원된다. 그리고, 트로프 위에 진입할 때에는 트로프의 단면 형상에 거의 일치하는 형상까지 복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 의하면 트로프 입구에서 상기한 바람직한 복원이 달성되도록, 벨트 굴곡부재의 설정 위치를, 트로프 입구로부터 적정한 거리를 이루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굴곡부재를, 이동하는 벨트의 측변을 따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롤러로써 구성하면, 순환 이동하는 벨트에 대한 저항이 작아지므로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굴곡부재를, 이동하는 벨트의 측변이 미끄럼 접촉하도록 설치된 미끄럼 부재로써 구성하면, 롤러와 마찬가지로 벨트에 대한 저항이 감소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또 유지 보수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벨트 굴곡부재가 밀착된 벨트로부터 받는 반력을 검출하는 제1반력 검출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는, 트로프로부터 받는 벨트 이동 저항이 최소로 되는 굴곡 정도를, 벨트로부터의 반력을 변수 로 하여 파악,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벨트 굴곡부재로부터 독립적으로 떨어져서, 상기 벨트의 측변에 밀착한 상태에서 벨트로부터 받는 반력을 검출하는 제2반력검출기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는, 마찬가지로, 트로프로부터 받는 벨트의 이동 저항이 최소로 되는 굴곡 정도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벨트 굴곡부재가, 벨트의 측변을 굴곡시키는 방향과 굴곡된 벨트가 복원하는 방향으로 변위한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는, 벨트 굴곡부재를 상기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벨트 측변의 바람직한 굴곡 정도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굴곡 정도는, 트로프로부터 받는 저항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성질이 생겨 굴곡된다.

    또한,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벨트 굴곡부재를 벨트의 측변을 굴곡시키는 방향과 굴곡한 벨트가 복워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변위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이 변위 장치가 변위한 임의의 위치에서 벨트 굴곡부재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는, 상기 변위 장치의 동작에 의해, 변위때마다 인력에 의해 벨트 굴곡부재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다. 변위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 유압 실린더, 서보 모터 및 볼 나사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제1반력 검출기 및 제2반력 검출기 중 어느 하나의 반력 검출기와, 전술한 변위장치를 구비하고, 이 변위장치가, 상기 하나의 반력검출기에 의해서 검출된 반력치에 대응하여 벨트 굴곡부재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벨트 컨베이 어에 있어서는, 자동적으로 벨트에 효과적인 굴곡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는, 트로프와, 이 트로프 위에 부상되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벨트와, 트로프 외부에 있어서의 상기 벨트를 아래로부터 지탱하도록 설치된 제1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제1지지부재가, 벨트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 설치되고 있고, 각 제1지지부재가, 벨트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지지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적어도 인접하는 제1지지부재끼리가, 그의 지지요소끼리의 간극의 위치가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바라볼 때 서로 일치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에 의하면, 벨트의 굴곡되려는 성질이, 다음에 배치된 지지부재에 의해 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굴곡되려는 성질의 영향이 해소되고, 벨트가 공기에 의해 부상될 때에 각부가 생기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전체 제1지지부재 중 임의의 하나의 제1지지부재에 있어서의 지지요소끼리의 간극의 위치가,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바라볼 때, 나머지 전체 지지부재에 있어서의 지지요소끼리의 간극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도록 배열된 것에 있어서는, 굴곡하려는 성질이 한층 완화되고, 또한, 이 굴곡하려는 성질의 생성 위치가 벨트의 폭방향으로 한층 증가하기 때문에, 벨트에는 각부(모서리부)가 생기지 않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요소가 벨트의 폭 방향의 축둘레에 회전자재하게 취부된 롤러로써 구성된 것에 있어서는, 순환 이동하는 벨트에 대한 저항이 감소하므로 바람 직하다.

    또는, 상기 지지요소가 미끄럼부재로써 구성되는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는, 가동부분이 없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또는, 전체 제1지지부재를 구성하는 지지요소 중 일부가 전술한 롤러로써 구성되고, 다른 부분이 전술한 미끄럼부재로써 구성되는 벨트 컨베이어 즉, 전체 제1지지부재를 바라볼 때 롤러와 미끄럼부재가 혼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롤러와 미끄럼부재는 임의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는, 트로프와, 이 트로프 위에 부상되어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벨트와, 트로프 외부에 있어서의 상기 벨트를 아래로부터 지탱하도록 설치된 제2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제2지지부재가 벨트의 폭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미끄럼부재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간극이 없으므로 벨트에 굴곡되려는 성질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를 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재를 가지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트로프 외부에 있어서의 상기 벨트를 아래로부터 지탱하도록 설치된 제1지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이 제1지지부재가 벨트의 폭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지지요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도, 벨트에 굴곡되려는 성질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재를 가지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 제2지지부재 중 하나가 트로프 단부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는, 이 제2지지부재가 트로프와 벨트 사이의 공간을 가로막는 작용을 연출하기 때문에, 이 공간내의 압축 기체의 흐트러짐이 억제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벨트 부상력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입구측 풀리 근방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ⅡA -ⅡA 선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의 밀착 롤러 및 반력 검출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a는 도 1의 벨트 컨베이어에 있어서의 벨트 굴곡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상기 벨트 굴곡부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취 사시도이다.

    도 6은 벨트 단부에서의 부착물 제거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원리도이다.

    도 7은 벨트 단부에서의 부착물 제거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원리도이다.

    도 8a는 귀환측의 벨트가 트로프 형상인 경우에 벨트 단부를 탈수롤러에 의해 통상의 트로프 형상의 것보다 더 내측으로 구부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스크레이퍼에 의해 벨트 단부를 더욱 내측으로 구부릴 때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단부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에 설치된 본 발명에 대한 부착물 제거수단의 요부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부착물 제거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부착물 제거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ⅩⅣ - ⅩⅣ 선 화살표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15a는 도 14의 ⅩⅤA - ⅩⅤA 선 단면도이다.

    도 15b는 도 14의 ⅩⅤB - ⅩⅤB 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의 다른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ⅩⅦB - ⅩⅦB 선 단면도이다.

    도 17c는 도 17a의 ⅩⅦC - ⅩⅦC 선 화살표에 따른 도면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ⅩⅧB - ⅩⅧB 선 단면도이다.

    도 18c는 도 18a의 ⅩⅧC - ⅩⅧC 선 단면도이다.

    도 18d는 도 18a의 ⅩⅧD - ⅩⅧD 선 화살표에 따른 도면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b는 도 19a의 ⅩⅠⅩB - ⅩⅠⅩB 선 화살표에 따른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일례의 개략도이다.

    도 21a는 본 발명의 미로형 시일 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드 구조의 접속부 평면도이다.

    도 21b는 급기 쳄버가 있는 부위의 종단면도이다.

    도 21c는 급기 쳄버가 있는 부위의 측단면도이다.

    도 22a는 가이드판에도 급기 쳄버를 설치한 경우의 측단면도이다.

    도 22b는 도 22a의 배면도이다.

    도 23a는 트로프와 가이드판을 장공 등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한 경우의 스터드 볼트의 예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23b는 접시머리볼트의 예를 나타내는 요부단면도이다.

    도 24a는 트로프의 슬라이드 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미로기구를 가지는 슬라이드 구조의 접속부분을 다단계로 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4b는 트로프의 슬라이드 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미로기구를 가지는 슬라이드 구조의 접속부분을 다단계로 한 예를 나타내는 이면도이다.

    도 25는 도 1에 있어서의 안내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a는 도 1에 있어서의 적재 장치를 통해 오는 피반송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6b는 슈트 이면을 나타내는 도 26a의 ⅩⅩⅥB - ⅩⅩⅥB 선 단면도이다.

    도 26c는 안내부재 내부를 나타내는 ⅩⅩⅥC - ⅩⅩⅥC 선 단면도이다.

    도 26d는 벨트위를 나타내는 ⅩⅩⅥD - ⅩⅩⅥD 선 단면도이다.

    도 27a는 본 발명의 적재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7b는 도 27a의 평면도이다.

    도 27c는 도 27a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적재 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적재 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1a는 도 30의 ⅩⅩⅩⅠA - ⅩⅩⅩⅠA 선 단면도이다.

    도 31b는 도 30의 ⅩⅩⅩⅠB - ⅩⅩⅩⅠB 선 단면도이다.

    도 32a는 도 30의 ⅩⅩⅩⅠⅠA - ⅩⅩⅩⅠⅠA 선 화살표에 따른 도면이다.

    도 32b는 도 30의 ⅩⅩⅩⅠⅠB - ⅩⅩⅩⅠⅠB 선 화살표에 따른 도면이다.

    도 32c는 트로프 위의 벨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3a는 종래의 트로프 접속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3b는 종래의 트로프 접속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33c는 종래의 트로프 접속부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및 그의 부대 장치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벨트 컨베이어(1)는, 그 전체 구성이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낸 종래의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201)와 유사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급기공 및 급기공을 통과하여 컨베이어 벨트(20)(이하, '벨트'로 약칭함)와 트로프(5) 사이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급기장치도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201)와 다른 제1점은, 입구측의 엔드 풀리(3)와 트로프(5)의 입구(5a) 사이에 있어서, 벨트(2)의 폭방향 양측의 바깥으로 각각 벨트 굴곡부재(12) 및 반력검출기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제2의 상위점은, 벨트의 귀환측에 벨트의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 기구를 설치한 점이다. 제3의 상위점은, 제1지지부재로서의 지지부재열(예를들면, 롤러 열이나 미끄럼부재 열) 및 제2지지부재로서의 지지 미끄럼부재의 구성이다. 제4의 상위점은 트로프끼리의 접속부 기구이다. 제5의 상위점은 슈트(8) 하단의 위치에 피반송물을 위한 안내부재(103,115)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이다. 슈트(8,102,114)와 안내부재(103,115)가 적재 장치(101,111,113)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 30 및 도 31의 벨트 컨베이어(201)과 동일 구성 부품 및 그의 작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벨트 굴곡부재(12)는, 벨트(2)의 양측변에 대해 그것을 내측(상방)으로 굴곡하도록 압압하는데, 이것은 벨트(2)의 양측변에, 말하자면 "굴곡하려는 성질"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벨트(2)의 굴곡하려는 성질은, 벨트가 일단 어떤 방향으로 굴곡되면, 그 굴곡력이 해방된 후에 본래의 형상(일반적으로 평탄 형상)으로 복원하더라도, 동일 방향의 굴곡에 대해서는 저항력이 감소하는 성질이 있다. 한편, 이미 굴곡된 방향과 역방향으로 구부릴 때에는 저항력은 증대한다. 이 성질은, 벨트(2) 재료인 고무의 점탄성이라는 성질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벨트(2)가 트로프(5)에 진입하기 전에 벨트(2)의 양측변을 일시적으로 내측으로 굴곡시키면, 형상이 복원되어서도 트로프(5)에 접촉한 벨트(2)의 양측변은 내측으로의 굴곡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하므로 내측으로의 굴곡이 쉽게 이루어진다. 그 결과, 트로프(5)와 벨트(2) 사이의 압축공기의 작용과 더불어, 벨트(2)의 이동에 대한 마찰저항이 감소하고, 구동원의 출력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설비 비용이나 운전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지고, 또한, 벨트(2)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벨트 굴곡부재(12)는 벨트(2)의 측변에 밀착하는 밀착롤러(13)로 구성된다. 이 밀착롤러(13)는, 제1 반력 검출기로서의 공지의 레버식 로드 셀(14)(이하, '로드 셀'로 약칭함)의 레버(14a)에 회전가능하게 부착 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 셀(14)은 부착용 브라켓(15)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벨트의 길이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가이드레일(16)이 부설되어 있다. 브라켓(15)은 벨트(2)의 측변에 접근 및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 가이드레일(16)에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6)에는, 그의 벨트측과 반대측 단부에 있는 외측단 근방에 변위장치로서의 에어 실린더(17)가 설치되어 있고, 에어 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17a) 선단이 상기 브라켓(15)에 고정되어 있다. 이 에어실린더(17)에 의해서 브라켓(15)이, 결과적으로 밀착롤러(13)가, 벨트(2)의 측변으로 접근 및 멀어지게 된다. 에어 실린더를 대신하여 유압실린더도 좋고, 또한 서보모터 및 볼 나사 등을 사용해도 된다. 도시된 가이드레일(16)은 전진로의 벨트(2a)의 하방으로 부설되어 있으나, 특별히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벨트의 상방에, 요컨대, 천정측에 설치하고, 브라켓을 이동가능하게 현가시킨 구성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에어 실린더(17)에 의해 밀착롤러(13)를 전진시켜 벨트(2)의 측변을 압압하여 내측으로 굴곡시킬 수 있고, 또한, 전진후퇴에 따라 압압력을 조절하는 것도, 그리고 해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밀착롤러(13)가 벨트(2)의 측변을 압압하여 굴곡시킬 때, 벨트로부터 받는 반력을 로드 셀(14)이 검출한다.

    한편, 로드 셀(14) 및 에어 실린더(17)의 급기원(18)에는 제어 장치(19)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19)는, 로드 셀(14)이 검출한 반력치에 대응하여 에어 실린더(17)로 보내지는 압축공기량을 제어하여 밀착롤러(13)에 의한 벨트의 압 압력을 조절한다. 이 구성에 의해, 미리 설정된 밀착롤러(13)에 의한 벨트의 적정한 압압력 범위로 자동적으로 조절 된다. 이 적정한 압압력의 범위는 벨트 컨베이어(1)의 시운전시에 알 수 있다. 그 하나의 기준이 되는 것은 벨트를 순환구동시키는 구동력(구동원의 소비전력 등)이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밀착롤러(13)에 의한 벨트의 압압력을 변화시키기 위해 에어 실린더(17)를 사용하여 밀착 롤러(13)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나,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로드 셀(14)을 브라켓(15)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로드 셀(14) 본체를 회전시켜, 본체를 중심으로 하는 임의의 레버(14a)의 각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되지 않은 원통상의 클램프를 브라켓(15)에 고정하고, 이 클램프 내에 로드 셀의 본체를 삽입한 다음 체결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로드 셀을 회전 변화시킬 때에는 클램프를 이완시키면 좋다. 그러한 것에 의해, 벨트의 측변을 굴곡하는 방향이 변화하는 바, 굴곡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회전변위와 상기 직선적 변위를 조합시킨 구성도 좋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1)의 양측방에는 입구측 풀리(3) 근방으로부터 트로프 입구(5a) 근방에 걸쳐서, 벨트(2)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레일(20)이 부설되어 있다. 레일(20)은 덕트(10) 내면 또는 외면 등에 설치하면 좋다. 이 레일(20)에는 전술한 가이드레일(16)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레일(20)상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밀착롤러(13)는 입구측 풀리(3) 근방으로부터 트로프 입구(5a)까지의 범위중 임의의 위치에서 벨트의 측변 을 압압하여 굴곡시킬 수 있다. 가이드레일(16)의 이동은,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모터를 이용해서 도시되지 않은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또, 인력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가이드레일(16)의 이동시에는 제어 장치(19)의 제어에 의해, 에어 실린더(17)가 밀착롤러(13)를 후퇴시킨다. 그 후, 제어 장치(19)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볼 나사가 회전하여 가이드레일(16)이 이동한다. 또한, 가이드레일(16)은 그의 이동에 즈음하여 상부 지지롤러 열(6)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 즉, 상부 지지롤러 열(6) 보다 하방 또는 외방으로 설치되어 있다.

    순환이동하고 있는 벨트(2)는 밀착롤러(13)에 의해 굴곡된 후, 서서히 그 굴곡부분의 형상이 복원된다. 그리고, 트로프(5)에 진입할 때에는 트로프(5)의 원호단면의 곡률을 거의 따른 것과 같은 형상으로 복원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트로프 입구(5a)에서 상기의 바람직한 복원이 달성되도록, 밀착롤러(13)의 설정위치를 트로프 입구(5a)로부터 적정한 이격거리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벨트 컨베이어(1)의 시운전시에 상기 적정한 이격거리를 알 수 있다. 그 하나의 기준이 되는 것은 벨트를 순환이동시키는 구동력(구동원의 소비전력) 등이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반력검출기로서의 로드 셀(14)이 밀착롤러(13)를 매개로 기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로드 셀(14)을 삭제하여 밀착 롤러(13)를 직접 설치용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제2반력검출장치를 바깥 위치에서 벨트의 측변에 밀착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도 4에는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21)가 나타나 있다. 이 벨트 컨베이어(21)에서는 제2반력검출기로서의 로드 셀(22)이, 트로프의 출구(5b) 근방에 있어서, 출구(5b)를 나온 후 벨트(2)에 밀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로드 셀(22)이 밀착롤러(13)로부터 독립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드 셀(22)과 에어 실린더(17)의 급기원(18)에 접속된 제어 장치(19)(도 2a)가, 로드 셀(22)이 검출한 반력치에 대응하여 에어 실린더(17)로 보내지는 압축 공기량을 제어해서 밀착롤러(13)에 의한 벨트(2)로의 압압력을 조절한다. 트로프 출구(5b)에 있어서의 벨트(2)의 굴곡에 대한 저항력을 피이드 백하고, 미리 예정된 밀착롤러(13)에 의한 벨트의 적정한 압압력 범위로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이 적정한 압압력의 범위는 벨트 컨베이어(1)의 시운전시에 알 수 있다. 그 하나의 기준이 되는 것은 벨트를 순환이동시키는 구동력(구동원의 소비전력) 등이다.

    상기 제2반력검출기로서의 로드 셀(22)의 설치위치는 특별히 트로프(5)의 출구 근방으로만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트로프 입구(5a) 근방이어도 좋다. 요컨대, 밀착 롤러(13)와는 독립해서 벨트(2)에 밀착하도록 설치하면 된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벨트 굴곡부재로서 회전가능한 롤러를 채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롤러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초 고분자 폴리에틸렌 등의 마찰계수가 적고도 내마모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한 미끄럼 부재를 사용해도 좋다. 이 미끄럼 부재의 형상은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한 미끄럼부재(23)이어도 좋다. 이 원기둥 모양의 미끄럼부재(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단을 'コ' 자 모양의 홀더(24)에 볼트(25) 등으로써 착탈가능하게, 동시에, 벨트의 측변에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할 수 있다. 다른 공지의 고정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분 원통 모양으로 형성시킨 금속제나 합성수지제의 브라켓(26)의 벨트측의 면을 따르도록, 마찬가지로 부분 원통상으로 형성된 미끄럼부재(27)를 설치해서 사용해도 좋다. 미끄럼부재(27)를 브라켓(26)에 설치할 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접시머리나사(28)를 사용하기 용이하게 나사의 머리부가 미끄럼부재(27)의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벨트의 전진로 즉, 도 1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윗부분의 벨트에 대해서 벨트 굴곡부재 및 반력검출기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진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귀환로에도, 즉, 도 1에 있어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아래 부분의 벨트에 대하여 설치해도 좋다. 이 귀환로에도 트로프가 설치되어 있으면, 벨트 굴곡부재 및 반력 검출기를 설치하여 벨트에 대한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도 6 및 도 7은 벨트 단부에서의 부착물 제거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원리도이다. 도면은 귀환측에 있어서의 벨트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6은, 벨트(2)의 귀환로측에 있어서의, 벨트(2)의 측단변(2c)에 탈수롤러(30)을 밀착시킨 것이다. 이 탈수롤러(30)는, 그 축(32)이 경사져 있고, 평면적으로 보면 벨트 진행 방향(지면(紙面)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축(32)을 향하여 일정한 밀착력으로 벨트 측단변(2c)를 밀어 올리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탈수롤러(30)는 접촉한 벨트(2)의 이동에 의해 축(32)의 둘레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탈수롤러(30)의 밀착에 의해, 벨트 측단변(2c)이 굴곡져서 지지되지만, 이 굴곡 방향은, 전진로측(포워드 측)에서 트로프 모양의 형태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 중앙부가 아래로 돌출되는 형태로 굴곡지려는 성질이 있는 것을 귀환측에서 이것과 반대의 '역굴곡'으로 되도록 하는 방향이다. 역굴곡하는 것으로, 탈수롤러(30)를 벨트 측단변(2c)으로 밀착하는 힘의 저하없이 확실히 밀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벨트 측단변(2c)의 부착물의 박리작용을 촉진한다. 박리되어 낙하한 것이나 물은 낙수, 낙분받이(물받이)(36)에 실린다.

    도 7은, 상기 탈수롤러(30)에 대해, 클리너(34)를 벨트(2)의 양단부에 배치한 것이다. 클러너(34)는 판상의 스크레이퍼(35)를 유지부재(33)의 상단부에 부착한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스크레이퍼(35)를 벨트(2)의 하방으로부터 밀어올리는 형태로 밀착시켜 벨트 측단변(2c)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굴곡되려는 성질의 반대 방향으로 '역굴곡' 하고 있다.

    상기 탈수롤러(30)와 스크레이퍼(34)는, 각각 단독으로 설치해도 좋고, 이들을 벨트 진행방향으로 병설해서, 벨트 측단변(2c)의 부착물 제거를 한층 효과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예는, 귀환로측이 평탄한 벨트인 것이나, 도 8a 및 도 8b와 같이 귀환로측 벨트(2)가 트로프 형상인 경우, 벨트 측단변(2c)을 통상의 트로프 형상(도 8a에 있어서의 가상선과 같이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형상)의 것 보다 더욱 내측으로 굴곡시켜, 벨트 측단변(2c)의 근방에서 변곡점(50)을 가질 정도로 급격하게 구부린다. 트로프 형상의 것을 더욱 급격하게 굴곡함에 따라, 밀착력의 저하없이, 효과적으로 벨트 단부의 부착물 제거가 가능해진다.

    귀환로측이 트로프 형상인 경우에도, 상기 탈수롤러(30), 스크레이퍼(34)(도 9 참조)는, 각각 단독으로 설치해도 좋고, 이들을 벨트 진행방향으로 병설하여, 벨트 단부의 부착물 제거를 한층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경우, 벨트 폭방향 단부의 탈수제거가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컨베이어 하부에 설치된 상기 물받이(36)는, 컨베이어 전체 길이에 걸쳐서 벨트 폭 중앙부에만 설치해도 충분하다.

    다음, 본 발명의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의 적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 단부의 측면도이다. 이 컨베이어는, 덕트(10) 내부를 트로프 형상으로 만곡시킨 벨트(2)가 공기압으로 부상하면서 주행하는 것이다. 벨트(2)는 덕트(10) 내부를 지나서 양단부에서 엔드 풀리(3,4)를 개재하여 무단상으로 길게 걸쳐져 있다. 벨트(2)가 엔드 풀리(3)에 감긴 후, 가이드 풀리(37)를 경유하고, 벨트를 'U' 자 형으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대항하여 설치된 텐션풀리(38,39) 및 이들의 중간에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40)를 구비한 텐션 풀리(41)를 경유하여 다시 덕트(10) 안으로 지나가도록 되어 있다.

    엔드 풀리(3)의 둘레 종단부에서 반전하는 벨트(2) 부분의 근방에는 벨트(2)에 부착된 잔류물 제거를 위한 판상의 스크레이퍼부를 가지는 벨트 클리너(42)가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풀리(37)를 지나 텐션풀리(38)로 들어가기 전에 동일한 목적으로 수세(洗)노즐(43), 스크레이퍼(44, 벨트 클리너), 벨트(2)를 상방에서 누르는 누름 롤러(45), 아래로부터 밀어 올리는 누름롤러(46), 상방으로부터의 누름롤러(47), 및 스크레이퍼(48)(벨트 클리너)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으로써, 반전 직후에 클리너(42)에서 벨트(2)의 부착물을 긁어내고, 그 후, 수세 노즐(43)에서 벨트(2)에 부착된 잔류물을 씻어냄과 동시에, 고형화된 것을 유동화 해서, 바로 다음의 스크레이퍼(44)에서 긁어 탈락시킨다. 그리고, 벨트(2)는 3개의 누름 롤러(45~47)를 사행모양으로 통과하는 사이에 탈수됨과 동시에, 롤러와 벨트 사이로 협압되어 층상화 한 부착물을 그 후의 스크레이퍼(48)에서 긁어 떨어뜨린다.

    상기 누름롤러(45~47)는 벨트(2)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종래의 직선 롤러이기 때문에, 벨트 단부의 부착물 제거 기능이 부족할 염려가 있다. 그래서, 이들의 하류측에 있어서, 벨트(2)가 다시 트로프 모양이 되어 덕트(10) 내부로 들어가기 직전에 이하에 설명하는 벨트 단부의 부착물 제거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도 11은 이 부착물 제거수단의 요부사시도, 도 12는 정면도, 도 13은 평면도이다. 이러한 부착물 제거수단은, 전술한 도 8a 및 도 8b의 원리에 기초하는 것으로서, 케이싱(49)의 양측벽에 설치된 탈수롤러(31)로서 구성되어 있고, 벨트 단부(2c)를 변곡점(50)이 될 수 있을 정도로 급격하게 구부린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케이싱(49)의 양측벽에 한 쌍의 부착 브라켓(51)이 마주보게 설치되고, 이 부착 브라켓(51)에 연설판(52)을 개재하여 'コ' 자형 부재(53)가 설치되어 있다. 'コ' 자형 부재(53)를 구성하는 상하 마주보는 수평판(53a) 사이에 축(54)이 설치되 어 있고, 이 축(54)에 회전가능하게 탈수 롤러(31)가 설치되어 있다. 'コ'자 형 부재(53)를 구성하는 수직판(53b)의 배면측에 볼트고정된 연설판(52)이 케이싱(49)의 측벽방향으로 길게 나오며, 연설판(52)의 상하에는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55)이 설치되어 있다. 연설판(52)은 이 장공(55)을 매개로 부착 브라켓(51)에 볼트 너트(56)로 고정되어 있다. 장공(55)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설판(52)의 고정위치를 너트를 풀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탈수 롤러(31)가 벨트측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에 의해, 벨트 측단변(2c)에 대한 안정적인 밀착력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그 밀착력의 조정도 적당히 할 수 있다. 더욱이, 전진로 주행시의 벨트의 만곡형상과는 반대의 '역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벨트 단부에 부착된 잔류물의 박리가 촉진되어 그 제거가 확실해진다.

    도 14는 도 1의 ⅩⅣ - ⅩⅣ 선 화살표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15a는 도 14의 ⅩⅤA - ⅩⅤA 선 단면도이고, 도 15b는 도 14의 ⅩⅤB - ⅩⅤB 선 단면도이다.

    입구측 풀리(3)로부터 트로프(5)의 입구(5a)에 걸쳐(도 1), 벨트(2)의 전진로 방향 부분(도면중, 좌측으로 이동하는 상단의 벨트 부분)의 하방에 복수열의 지지롤러 열(6,60)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도 14,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요소로서의 8개의 롤러(59)가 벨트의 폭방향을 따라서 원호상으로 배열된 지지롤러 열(6)과, 9개의 롤러(59)가 벨트의 폭방향을 따라서 원호상으로 배열된 지지롤러 열(60)이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전체 지지롤러 열(6,60)에는 동일 형상의 롤러(59)가 설치되어 있 다. 8개 롤러의 지지롤러 열(6)에서는, 롤러(59)가 벨트의 폭방향 중앙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4개씩 동일 피치로 설치되어 있다. 9개 롤러의 지지롤러 열(60)에서는, 벨트의 폭방향 중앙 위치에 1개의 롤러(59)가 배치되고, 그의 좌우에 4개씩의 롤러(59)가 8개 롤러의 지지롤러 열(6)에 있어서와 동일한 피치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지지롤러 열(6,60)끼리는, 롤러(59) 사이의 간극(G)의 위치가 벨트(2)의 길이 방향으로 바라 보아서 일치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부여된 굴곡부가 완화된다. 또한, 각 지지롤러 열에 있어서의 롤러의 개수는 8개 및 9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8개 미만이거나 9개를 초과하여도 좋다. 그러나, 1열의 롤러(59)의 개수는 많을수록 굴곡되려는 성질이 완화되고, 동시에, 그의 위치가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롤러 간의 간극의 위치가 벨트(2)의 길이방향으로 보아서 일치하지 않는 특징은, 물론 트로프(5)의 출구측 지지롤러 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귀환로 방향 부분(도 1 중, 우측으로 이동하는 하단의 벨트 부분)의 하방에 설치된 하부 지지롤러 열(7)에도 적용할 수 있다. 벨트(2)의 귀환로 방향 부분이 평탄하고, 지지롤러 열이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탄 롤러이면 굴곡부는 문제되지 않으나, 귀환로 방향에서도 원호 단면의 트로프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지지롤러열(6,60)을 채용하면 좋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일렬로 동일구성의 지지롤러 열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열 또는 그 이상의 열을 두어서 동일 구성의 지지롤러 열을 배열해도 좋다. 즉, 3열 이상의 지지롤러 열에 대해서 롤러끼리의 간극이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보아서 일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전체 지지롤러 열에 대해서 롤러끼리의 간극이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보아서 일치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낸 벨트 컨베이어(61)는, 어떤 지지롤러 열(63)에도 동일 형상의 롤러(59)가 동일 개수 만큼 동일 피치로 배열된 것이다. 그러나, 벨트(2)의 폭방향 중앙점을 기준으로 하여, 전체 지지롤러 열(63)이 서로 벨트(2)의 폭방향으로 어긋나서 배치되어 있다. 실제로는, 지지롤러 열(63)에 가능한 한 많은 롤러(59)를 배열하는 편이 좋을 것이나, 이해가 쉽도록 하나의 지지롤러 열(63)에 5개의 롤러(4)가 배열된 것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길이(W)가 220mm인 롤러가 5개 사용되고 있는 지지롤러 열이 전부 6열 설치됨에 따라, 인접하는 지지롤러 열에 있어서의 롤러 위치를 순차적으로 벨트(2)의 폭방향에 d=44mm 씩 엇갈려 놓으면 된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롤러끼리의 간극(G)의 위치를 엇갈리게 하도록, 동일 형상의 롤러를 사용해서 지지롤러 열마다 롤러의 개수를 바꾸거나, 롤러의 배열 위치를 바꾸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롤러의 길이(W)를 바꿈에 따라서 간극(G)의 위치를 엇갈리게 하여도 좋다. 그러나, 제조비용을 고려하면 동일 형상의 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a에 나타낸 벨트 컨베이어(62)에는, 제1지지부재로서의 지지롤러 열 대신에, 미끄럼부재(64)가 벨트(2)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지지 미끄럼부재 열(66)과, 다른 미끄럼 부재(65)가 벨트(2)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지지 미끄럼 부재 열(6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미끄럼부재(64,65)가 말하자면 지지요소로서, 예를들면, 초 고분자 폴리에틸렌 등의 마찰계수가 적고, 그러면서도, 내마모성도 우수한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미끄럼부재의 형상은 여러가지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봉상의 미끄럼부재(64)가 채용될 수 있다. 이 미끄럼부재(64)에는 고정용 브라켓(64a)이 부설되어 있다. 또한,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2)의 그 중심축이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모양의 미끄럼부재(65) 등으로 할 수 있다. 원기둥 모양의 미끄럼부재(65)는 상기 수지를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해도 되고, 또한, 금속 원통 등의 표면에 수지층을 형성하여도 된다. 봉 형상 미끄럼부재(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C'자 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C'자 형 단면의 금속제 통의 표면에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해도 된다. 또한, 상기 수지를 봉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미끄럼 부재(64,65)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적어도 인접하는 지지 미끄럼부재 열 사이에서는, 양자의 미끄럼부재끼리의 간극(G)이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보아 일치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1개의 지지 미끄럼부재열에 봉형상의 미끄럼부재(64) 및 원기둥 형상의 미끄럼부재(65)를 혼재시켜도 된다.

    그 경우에는 원기둥형 미끄럼부재(65)의 개수를 한개의 봉형상 미끄럼부재(64)의 벨트 길이방향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로 연설하면 된다.

    나아가, 이들 미끄럼부재와 전술한 지지롤러를 혼재시켜도 된다. 또한, 지지 롤러열과 지지 미끄럼부재 열을 혼재시켜도 된다. 요컨대, 미끄럼부재나 롤러 상호간의 간극(G)이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보아 일치하지 않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도 18a에는 상이한 형상의 제2지지부재로서의 지지 미끄럼부재(68,69)가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82)가 나타나 있다.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쪽의 지지 미끄럼부재(68)는 판형상이 벨트(2)의 폭방향을 따라 원호상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벨트(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도 연장되어 있다.

    도 18a 및 도 1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쪽의 지지 미끄럼부재(69)는, 봉형상이 벨트(2)의 폭방향을 따라서 원호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어떤 지지 미끄럼부재(68,69)도 단면은 대략 'C'자 형태를 띠고 있다. 즉, 벨트(2)를 횡단하는 방향의 변이 하방으로 만곡된 것에 의해, 벨트(2)에 대한 저항이 감소되고 있다. 또한, 각 지지 미끄럼부재(68,69)의 안쪽에는 고정용 브라켓(68a,69a)이 부설되어 있다.

    도 18d는 도 18a의 ⅥD - ⅥD 선 화살표에 따른 도면으로서, 봉 형상의 지지 미끄럼부재(69)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 방향에서 본 형상은 판상의 지지 미끄럼부재(66)도 동일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대의 벨트 컨베이어(82)에 양 지지 미끄럼부재(68,69)를 혼재시키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어떤 한 쪽의 지지 미끄럼부재(68,69)만을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해도 된다. 이들 지지 미끄럼부재(68,69)는 벨트(2)의 폭방향으로 연속해서 벨트를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간극(G)이 없어, 굴곡되려는 성질이 부여될 염려가 없다.

    또한, 도 19a 및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2종류의 지지 미끄럼부재(68,69)중 양측 또는 어떤 한 종류와, 전술한 지지롤러 열(6,60,63) 및 미끄럼부재 열(66,67)중 어떤 일부 또는 전부를 벨트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혼재시켜도 좋다. 이렇게 함에 따라, 지지롤러 열이나 미끄럼부재 열에 의해 발생한 벨트의 굴곡되려는 성질을 지지 미끄럼부재에 의해 펴는 작용이 생긴다. 이 의미에는, 트로프(5)의 입구(5a)에 가장 가까운 지지부재로서의 지지 미끄럼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종의 지지 미끄럼부재(68,69)중 양쪽 또는 어느 한 종류와, 종래의 지지롤러 열(206, 도 30)을 조합시켜도 된다.

    트로프(5)에 가장 가까운 지지 미끄럼부재 또는 지지롤러 열 등을 트로프(5)의 단부로부터 떨어뜨린 상태로 설치해도 좋으나,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미끄럼부재(68)(69도 가능)를 토로프(5)의 입구 단부에 접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면, 지지 미끄럼부재(68)에 의해 벨트(2)와 트로프(5) 사이의 압축공기의 방(R)을 외부로부터 밀봉하는 효과가 생기기 때문에(도 19b 참조), 벨트(2)의 양호한 부상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트로프(5)의 출구 단부에 접속하도록 지지 미끄럼부재(68)(69도 가능)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양호한 밀봉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트로프(5)의 입구단부에 접속하는 지지 미끄럼부재(68)의 단면 곡률을 트로프의 단면 곡률보다 약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은 도 1의 벨트 컨베이어(1)에 대한 트로프(5)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긴 반송로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덕트(10) 가운데에 반송측으로 이루어지는 만곡형 전진로 트로프(5)가 덕트(10)의 직경방향으로 가설되어 있고, 이 전진로 트로프(5) 상면에 전진로측의 벨트(2a)가 장치되어 있다. 전진로 트로프(5)의 하부 중앙에는 급기 쳄버(71)가 반송(트로프 길이) 방향으로 가설되어 있고, 전진로 트로프(5)에는 급기 쳄버(71)를 향하도록 급기공(70)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전진로 벨트(2a) 상에는, 반송물이 적재되지만, 급기 쳄버(71)로부터 급기공(70)을 매개로 분출된 부상용 공기에 의해 트로프(5)와 벨트(2a)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면서 부상하여 트로프(5) 위를 주행함에 따라서, 반송물을 목적하는 위치까지 반송한다. 전진로측 벨트(2a)는 반송로의 종단부에서 반전되어 귀환로 벨트(2b)로 되고, 이 귀환 벨트(2b)는 전진로 트로프(5) 하방의 덕트(10) 내면을 따라서, 덕트(10) 하부의 급기 쳄버(72)로부터 급기공(도시 생략)을 매개로 분출된 부상용 공기로써 부상하여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20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전진로 트로프(5)이나, 반송로를 형성하는 전진로 트로프(5)는 길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몇 개의 트로프(5)를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결합시키고 있다. 접속부(A)는 극간이 거의 없는 상태로 트로프(5)의 양단면끼리 맞대어 양측의 트로프 단면에 걸쳐 덧댐부재(75)를 트로프의 하면에 설치하고, 고정구인 볼트, 너트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접속한 경우이다.

    접속부(B)는, 한쪽의 트로프(5)가 가이드판(83)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트로프 사이에 극간(76)을 두고 접속된 슬라이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슬라이드 구조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미로형 시일 기구(L)로 형성되어 있다.

    도 21a, 도 21b 및 도 21c는 상기 접속부(B)를 알아보기 쉽게 표현한 개략도 로서, 도 21a는 평면도, 도 21b는 급기쳄버(71)가 있는 부위의 종단면도, 도 21c는 측단면도이다.

    도 2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의 트로프(57a) 중앙부가 직사각형의 오목부(78)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타측 트로프(57b)에는 이 오목부(78)에 끼워맞춤 가능한 직사각형의 볼록부(79)가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트로프(57a,57b)가, 그 중 하나의 트로프가 그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한 쪽의 트로프(57a)의 오목부(78)에 다른 쪽 트로프(57b)의 볼록부(79)가 삽입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한 쪽의 트로프의 필요 슬라이드량을 고려한 상기 극간(76)이 형성되도록, 오목부(78)와 볼록부(79)가 반정도 끼워맞춰지고, 동시에 오목부(78)의 측면(78a)과 볼록부(79)의 측면(79a) 사이에 미소한 극간(77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로는 볼록부(79)의 선단면(79b)과 오목부(78)의 내측단면(78b) 사이(중앙부)에 넓은 공기로(홈)(77b)가 형성된다. 또한, 오목부(78)를 가지는 상기 일측의 트로프(57a)의 선단면(78c)과, 이 선단면(78c)에 대향하는 타측의 트로프(57b)의 면(79c) 사이에도 상기 미소 극간(77a)에 수직한 넓은 공기로(77c)가 형성된다.

    트로프의 하부에는 이들 극간(76,82)을 덮도록 전체가 대략 'U'형으로 된 가이드판(83)이 양 트로프(57a,57b)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극간(76)은 전체로서, 중앙부의 넓은 공기로(홈)(77b)로부터 미소 극간(미소 공기로)(77a)으로 연통하고, 외측의 넓은 공기로(77c)에 연통되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극간(76)의 전체 구조로부터 이것을 미로 홈(76)이라고 일컬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공기로(77b, 77c)와 미소 극간(77a)에 의해 형성된 미로 홈(76) 및 이러한 미로 홈(76)을 덮도록 설치된 가이드판(83)에 의해 미로형 시일 기구(L)가 형성된다. 급기 쳄버(71)로부터 급기공(70)을 통해 중앙부의 공기로(홈)(77b)에 급기된 부상용 공기는, 상기 미소한 극간(77a)에 의해 효과적으로 그의 누설이 억제되는 것이다. 이 미소 극간(77a)은, 트로프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평행한 오목부(78)의 측면(78a)과 볼록부(79)의 측면(79a)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트로프가 슬라이드 하여도 극간(70a)의 단면적은 실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금의 공기누설량도 변화하지 않는다.

    상기 미소 극간(77a)이 벨트 단면(2c)으로부터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에 의해, 부상용 공기의 누설이 억제된다. 요컨대, 도 2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공(70)으로부터 분출한 부상용 공기는 트로프(5)와 벨트(2a)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벨트(2a)를 부상시키면서 트로프(5) 상면과 벨트 단면(2c) 사이의 미소 극간으로부터 부상용 공기가 빠져나오므로, 벨트(2a)의 사행 주행을 고려하여 벨트 단면(2c)로부터 조금 내측으로 상기 미소 간극(77a)을 위치시켜 놓으면 공기 누설 방지에 효과적이다.

    도 22a 및 도 22b는 가이드판(83)에도 급기 쳄버(73)를 설치한 경우의 측단면도와 이면도이다. 전체적으로 미로홈(76)에 대해 이것을 트로프(5)의 이면측으로부터 밀폐되도록 'U'형의 가이드판(83)이 설치되고, 이것에 의해 미로홈(76)이 생기는 것은 전술한 대로이다.

    도면상 우측의 트로프(57b)는 고정측, 요컨대 가이드판(83)과 트로프(57a)는 볼트, 너트 등의 고정구로써 고정된다. 좌측의 트로프(57a)는, 가이드판(83)에 설 치된 장공(86)을 통해 볼트.너트 고정구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즉, 도 2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로프(57a)의 하면에 스터드 볼트(85)가 용접에 의해 직접 설치되고, 가이드판(83)측에는 트로프(57a)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86)(또는 큰 직경 구멍)이 설치되고, 이것에 스터드 볼트(85)를 헐겁게 끼워 맞추고, 장공(86)(또는 큰 직경의 구멍)을 좌금(87)을 개재해서 너트(88)를 스터드 볼트(85)에 나사결합시키고 있다.

    또는. 도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로프(57a)측에 접시 형상의 구멍(89)을 형성해 놓고, 여기에 접시머리 볼트(90)를 끼워 접시머리 볼트(90)에 가이드판(83)에 설치된 장공(86)(또는 큰 직경의 구멍)으로부터 접시머리 볼트(90)의 머리를 돌출시키고, 접시머리 볼트(90)에 좌금(座金)(87)을 개재해서 너트(88)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도 22a 및 도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로프(5)의 하부에 급기 쳄버(71)가 설치되어 있지만, 가이드판(83)에도 급기 쳄버(73)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가이드판(83)에는 급기 쳄버(73)의 공기유로로 연통하는 급기공(74)이 개설되어 있다. 그리고, 트로프(57b)의 급기 쳄버(71)와 가이드판(83)의 급기 쳄버(73)에는 양자를 연통하기 위한 보스 내지 파이프(84)가 배관되고, 트로프의 접속 부분의 공기로(3,76)에도 부상용 공기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트로프 접속부분의 벨트의 안정적인 부상이 확보된다. 또한, 가이드판(83)의 급기 쳄버(73)와 고정측 트로프(57b)의 급기 쳄버(71)를 접속하는 것이 좋으나, 신축가능한 호스에 의해 슬라이드측 트로프(57a)의 급기 쳄버(71)와 접속하여도 지장이 없다.

    도 24a 및 도 24b는, 트로프의 슬라이드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미로 시일 기구를 가지는 슬라이드 구조를 다단으로 한 예이다. 도 24a는 측단면도, 도 24b는 이면도이다.

    도 20~도 22에 있어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큰 슬라이드량(예를들면, 합계 60mm 정도)을 1개소의 접속부에서 흡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트로프와 트로프의 접속부분에 큰 간극을 필요로 하고, 부상용 공기의 부족이 발생시켜 벨트의 주행이 불안정해질 가능성도 있다.

    도 24a 및 도24b는 상기 도 22a 및 도 22b의 예에 있어서의 좌우 트로프(57a,57b) 사이에, 양측에 볼록부(81)를 형성한 트로프(58a)와 양측에 오목부(80)를 형성한 트로프(58b)를 개재시킴으로써 슬라이드 구조를 다단계로 한 예이다. 슬라이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접속 부분에는 어느 것이나 미로형 시일 기구(L)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급기쳄버(71)가 각 트로프의 하부에 설치되고, 각 급기쳄버(71)는 서로 호스 또는 배관(84a)으로써 접속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도 22a 및 도 22b의 예와 같이, 가이드판(83)에도 급기 쳄버를 설치해서 이것에도 호스 또는 배관으로 접속하여 접속부분의 부상용 공기 부족을 보충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본 발명의 미로형 시일 기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구조는, 도 20에 나타낸 덕트(10) 내의 귀환 트로프에도 이중 원통형의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의 트로프에도, 또한 상하로 한 쌍의 덕트(왕복관)를 구비한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의 트 로프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25는 도 1에 있어서의 안내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입구측 풀리(3)와 트로프 입구(5a) 사이의 벨트(2) 상방으로 상기 슈트(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슈트(8)는 연직 방향으로부터 약간 전방(벨트(2)의 이동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연직으로 설치해도 좋다. 슈트(8)의 하단은 직사각형의 개구(8a)로 이루어지고, 이 개구(8a)의 후부에는 상기 안내부재(103)가 부착되어 있다. 이 안내부재(103)와 슈트(8)가 반송물을 벨트(2) 위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장치(101)를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슈트(8)의 하단 개구 형상은 타원형 등, 직사각형 이외의 형상을 가져도 좋다.

    도 25에 이 안내부재(103)가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 안내부재(103)는, 하방을 향하여 전방으로 경사진 다이 형상의 저판(104)과, 저판(104)의 양측변에 입설된 측판(105)를 가지고 있다. 저판(8)은 슈트(8)의 경사보다 더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슈트(8) 내를 낙하해 오는 피반송물은 일단 저판(104) 위에 얹혀진 후, 벨트위에 적재된다. 다이 형상의 저판(104)은 전방이 폭이 좁게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저판(104)의 단부 둘레 중앙부를 벨트의 폭방향 중앙으로 대략 일치시켜 놓으면, 피반송물은 벨트의 중앙으로 모여서 그 곳을 산봉우리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균일하게 감소해가도록 분포함으로써, 벨트의 폭방향으로 편재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저판(104)의 하면에는 보강 리브(104a)가 설치되어 있다.

    측판(105)의 상단변에는 부착 볼트용 장공(106)이 형성된 플랜지(10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공(106)에 대응하도록, 슈트 하단의 양측변에는 플랜지부(108) 와 볼트구멍(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안내부재(103)는 슈트(8)의 개구(8a)에 대해 전후방향(벨트(2)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부착된다. 장공을 슈트(8)의 플랜지부(108)에 설치하고, 볼트 구멍을 안내부재(103)의 플랜지(107)에 설치해도 된다. 그렇게 하면, 장공을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안내부재(103)의 위치변경 범위를 길게 취할 수 있다. 양측판(105)은 그의 상단이 직사각형의 개구(8a) 측변에 일치하므로, 결과적으로 상방을 향해 서로 벌어진 형상으로 된다.

    도 26a 내지 도 2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재(103)에 의하면(도 26a), 슈트(8) 내를 폭방향으로 치우쳐 낙하해 오는 피반송물에 있어서도(도 26b), 그 대부분이 폭이 좁은 저판(104)의 전단 테두리로부터 벨트(2)로 적재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가이 양측판(105)이 상방으로 향해 서로 벌어져 있으므로, 슈트(8)를 통해 낙하해 오는 피반송물이 확산되더라도 자연적으로 중앙부로 모인다(도 26c). 따라서, 피반송물의 대부분이 벨트(2)의 폭방향 중앙부에 모이고(도 26d), 좌우로 균등하게 분포한다. 또한, 피반송물의 슈트(8)로부터의 출구로서, 안내부재(103)의 전단 개구(103a)의 바깥쪽에 슈트(8)의 개구(8a) 가운데의 앞부분이 존재한다. 따라서, 피반송물의 양이 비정상적으로 많은 경우에도 막힐 염려가 없다.

    도 27a 내지 도 27c에는, 슈트(8)의 단면 중심선과 안내부재(103)의 중심선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안내부재(103)의 전후방향 중심선은 벨트(2)의 중심선을 따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설치된 슈트(8)의 전후방향 중심선이 벨트(2)의 중심선으로부터 약간 어긋나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다. 이와 같은 슈트(8)에 대해서도 안내부재(103)를 벨트(2)의 중심선을 따라 설치하는 것은 용이하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103)의 플랜지(107)와 슈트(8)의 플랜지부(108)를, 상기 불일치를 커버하는 범위까지 연설하고, 그 위에서 상호 중첩시키면 좋다. 이 경우, 슈트(8)의 개구(8a)가 안내부재(103)의 가운데로 자리잡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8에 나타낸 적재 장치(111)는, 슈트(102)의 하단 개구(102a)에, 그 전후방을 따라서 복수개의 안내부재(103)가 설치된 것이다. 슈트(102)의 하단 개구(102a)의 전후방 치수가 도 1의 슈트(8)의 그것 보다 크기 때문에, 안내부재(103)의 구조 및 형상은 도 25의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각 안내부재(103)는 슈트의 하단 개구(102a)에 대해 전후방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부호 '118'은 슈트(102)의 '플랜지부'이다. 기타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슈트(102)의 하단 개구(102a)의 전후방 치수에 대응하여, 전후방향 치수가 작은 안내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이 적재 장치(111)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은 인접하는 안내부재(103)끼리의 사이에 이격거리(D)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슈트의 개구(102a)의 면적을 많이 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시된 안내부재의 배치에 대신하여, 복수개의 안내부재 하단 위치를 전방의 것 만큼 높게 배치해도 좋다. 즉, 후방의 안내부재로부터 적재된 피반송물이 전방의 안내부재 하단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각 안내부재를 인접하는 후방의 안내부재 보다 그 하단 위치가 약간 높게 되도록 배치해도 된다.

    이 적재 장치(111)에 의하면, 극히 대량의 피반송물이 낙하해 오는 경우, 또 한, 피반송물이 슈트내에서 확산하면서 낙하해 오는 경우 등에 있어서도, 전체 안내부재(103)에 의해 이들을 벨트(2) 중앙으로 모으는 것이 가능하다.

    도 29에 나타낸 적재 장치(113)는, 그 슈트(114)의 단면이 원형을 띠고, 안내부재(115)도 그의 슈트(114)에 알맞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의 외형이, 절두원추(원추대)형 통을 종으로 이분할 한 형상의 안내부재(115)가 사용되고 있다. 말하자면, 저판과 측판이 연속해서 일체로 만곡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안내부재(115)의 수평단면은 원호 형태를 띠고 있고, 원호형 단면의 평균 곡률은 반송로 면으로 향하여 크게 되어 있다(평균 곡률 반경이 적게 된다). 그리고, 그 안내부재(115)도 하방을 향해서 전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슈트(114)의 하단 후부에 취부되어 있다. 그 결과, 안내부재(115)의 상단 테두리의 원호는 슈트(114)의 하단 테두리의 원호와 동일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안내부재(115)와 슈트(114)와의 접속부에서 어긋남이 생기지만, 상호의 플랜지부(116,117)에 의해 약간 어긋난 간극을 없애는 것은 쉽다.

    이 안내부재(115)에 의해서도, 피반송물은 곡률 반경이 작은 전단 테두리로부터 벨트(2)위에 적재되므로, 피반송물의 대부분이 벨트(2)의 폭방향 중앙부로 모인다.

    상기 안내부재(115)는 원추대를 종으로 이분할 한 형상이나, 이 이분할의 의미는 특별히 단면의 직경을 포함하는 면에서 이분할한 것으로 한하지 않고,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원추대 중심으로부터 102도 각도, 150도 각도, 210도 각도 등, 임의의 각도로 벌려진 2반경을 포함하는 면에서 절단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타원형 원추대를 상기와 같이 절단한 형상의 것도 좋다.

    이상 설명한 적재 장치(101,111,113)에서는, 안내부재(103,115)가 슈트(8,114)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안내부재를 덕트(10)나 스커트(9)에 위치조절 가능하게 취부해도 된다.

    그에 더하여, 슈트를 그 하단이 안내부재의 내부로 약간 진입하도록 설치해도 된다. 이에 의하여, 안내부재를 벨트(2)의 중심선을 따르도록 덕트(10)나 스커트(9)에 취부해 놓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도 27), 슈트(8)의 단면 중심선이 벨트(2)의 중심선과 일치하지 않아도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은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에 한하지 않고, 어떠한 벨트 컨베이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벨트 컨베이어 이외의 컨베이어에 적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벨트와 컨베이어 사이에 부상용 압축공기 방을 확보하면서, 벨트 측변과 트로프의 마찰 저항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벨트 컨베이어의 설비 비용 및 운전 비용이 절감되고, 벨트의 장수명화도 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벨트 단부만을 독립해서 부착물 제거를 수행함에 따라, 벨트의 특성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또한 밀착력의 저하 없이, 효과적인 부착물 제거가 가능해 진다.

    또한, 벨트 폭방향 단부의 탈수 제거가 확실하게 되기 때문에, 컨베이어 하부에 낙수, 낙분받이(물받이)를 설치하는 경우, 벨트 폭 중앙부만 설치하여도 충분하고, 좁은 장소에서의 설치가 용이해 진다.

    게다가, 벨트에 굴곡부가 생기는 것이 완화 내지는 방지되고, 공기 압력을 상승시킬 필요 없이, 충분히 벨트를 부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부상용 공기의 누설량이 경감되고, 공급 공기량을 줄일 수 있다. 에어 누설량이 안정되기 때문에 부상이 안정되고, 주행 저항이 경감된다.

    트로프 접속부에 미로형 시일 기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트로프 간의 극간이 변화해도 미로부에서의 공기 유로 폭은 일정하게 됨으로써, 부상용 공기의 누설량도 일정하게 되는 결과, 벨트의 부상을 안정시킬 수 있고, 주행저항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 등의 컨베이어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써, 피반송물의 편재를 방지하여 벨트 등의 반송로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