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종반송 장치

申请号 KR1020157020319 申请日 2013-11-08 公开(公告)号 KR1020150100897A 公开(公告)日 2015-09-02
申请人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슈지이와카미; 마사노부슈가; 타카노부호리; 히로아키시라이; 마사유키다카하시;
摘要 쓰레기 수용체(5)를 하강시키는 슈트(21)는, 제 1 슈트(21a)와, 제 1 슈트(21a)에 대해 비(非)고정으로 설치된 제 2 슈트(21b)를 포함한다. 종반송 장치는, 제 2 슈트(21b)의 하단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문(81)을 가지고, 개폐문(81)은, 제 2 슈트(21b)의 하단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슈트(21a, 21b) 내를 하강되어 온 쓰레기 수용체를 받아냄과 동시에, 제 2 슈트(21b)의 하단개구를 엶으로써, 받아낸 쓰레기 수용체(5)를, 슈트(21)의 하방에 배출하는 하부 게이트 장치(80)를 구비한다. 제 2 슈트(21b)를 상향으로 바이어싱(biasing)하면서 지지함과 동시에, 쓰레기 수용체(5)를 개폐문(81)에 의해 받아낸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지지부재(9)를 추가로 구비한다.
权利要求
  • 고층 건축물의 각 플로어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슈트를 구비하며 또한, 어느 한 상기 플로어로부터 배출된 쓰레기 수용체를 상기 슈트 내에서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쓰레기의 종(縱)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슈트(chute)는, 상기 각 플로어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 1 슈트와, 이 제 1 슈트의 하단에 연속하도록, 상기 제 1 슈트에 대해 비(非)고정 상태로 설치된 제 2 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슈트의 하단부에 장착 고정되며 또한, 이 제 2 슈트의 하단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하부 게이트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게이트 장치는, 상기 제 2 슈트의 하단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문을 가지고, 이 개폐문은, 상기 제 2 슈트의 하단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슈트 내를 하강되어 온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받아냄과 동시에, 상기 제 2 슈트의 하단 개구를 엶으로써, 받아낸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상기 슈트의 하방에 배출하고,
    상기 제 2 슈트가 상기 제 1 슈트에 맞대어지도록, 상기 제 2 슈트를 상향으로 바이어싱(biasing)하면서, 상기 하부 게이트 장치가 장착 고정된 이 제 2 슈트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슈트 내를 하강되어 온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상기 개폐문에 의해 받아낼 시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지지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쓰레기 종반송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슈트로부터 하방에 배출되는 쓰레기 수용체는, 반송차의 짐받이에 탑재되고,
    상기 하부 게이트 장치는, 상기 제 2 슈트의 하단 개구를 통과한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상기 반송차의 상기 짐받이에 탑재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개폐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축소되며 또한, 상기 개폐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하향으로 신장(伸長)하도록, 상기 개폐문의 개폐에 연동하여, 축소된 상태와 신장된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쓰레기 종반송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쓰레기 수용체의 외주(外周)를 둘러싸는 내측 치수(internal dimension)를 갖는 통형상의 내측 부재와, 이 내측 부재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통형상의 외측 부재를 포함하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가지고,
    상기 내측 부재는, 그 상단 개구 가장자리에, 외방(外方)을 향해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외측 부재는, 그 하단 개구 가장자리에, 내방(內方)을 향해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신장상태에서 서로 겹쳐지는, 상기 내측 부재의 플랜지부와 상기 외측부재의 플랜지부와의 사이를 실링(sealing)하는 실링 부재를 갖는 쓰레기 종반송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은, 상기 제 2 슈트의 상기 하단 개구를 닫도록 수평방향에 대향함과 동시에, 상향의 탑재면 상에 하강되어 온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탑재 가능한 상태와, 각각 반대방향의 하향으로 회동(pivot)함으로써, 상기 제 2 슈트의 상기 하단 개구를 개방하는 좌우 여닫이식으로 구성된 한 쌍의 문 부재를 가지고,
    상기 각 문 부재는, 상기 개폐문이 열리고 또한, 상기 안내부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부재 내에서, 상기 탑재면이 상기 제 2 슈트의 상기 하단개구와 상기 내측 부재의 상단 개구를 연결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쓰레기 수용체의 상하방향의 통과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쓰레기 종반송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각 문 부재에는, 상기 대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 각각에, 가이드벽이 세워 설치되고,
    상기 각 가이드벽은, 상기 개폐문이 열리고 또한, 상기 안내부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부재 내에서, 상기 제 2 슈트의 상기 하단 개구와 상기 내측 부재의 상기 상단 개구와의 사이에서, 상기 쓰레기 수용체의 상하방향의 통과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쓰레기 종반송 장치.
  •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게이트 장치는, 좌우 여닫이식으로 구성된 상기 개폐문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문 부재 각각이 동기하여 회동하도록, 각 문 부재의 회동축을 서로 연결하는 무단체(無端體)를 가지며,
    상기 무단체는, 상기 각 문 부재의 회동 방향이 반대방향이 되도록 8자 모양으로 크로스하여, 상기 각 회동축에 감아 걸리는 쓰레기 종반송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문 부재 내의, 어느 한쪽의 문 부재의 회동축은, 구동원에 대해 구동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원과, 이 구동원에 구동 연결된 상기 회동축과의 사이에 설치된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토크 리미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슈트 내를 하강되어 온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상기 개폐문으로 받아낼 시에, 소정 이상의 토크가 상기 구동원 측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쓰레기 종반송 장치.
  •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는, 그 상단부로부터 흡인(吸引)함으로써, 빈 쓰레기 수용체를 흡상(吸上)하여 상기 각 플로어에 회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신장(伸長)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부재의 하단 가장자리가, 상기 반송차의 짐받이에 탑재된 상기 쓰레기 수용체의 상단 가장자리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쓰레기 종반송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슈트에는,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검지하는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개폐문은, 상기 센서의 검지에 기초하여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쓰레기 종반송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지지부재는, 상기 제 2 슈트에 대한 바이어싱력을 발생하는 압축 스프링과, 이 압축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을 조정하는 조정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쓰레기 종반송 장치.
  • 说明书全文

    쓰레기 종반송 장치{VERTICAL REFUSE CONVEYOR}

    여기에 개시하는 기술은, 쓰레기의 종(縱)반송 장치에 관하며, 특히 고층 건축물에서 각 플로어(floor)로부터 배출되는, 쓰레기를 수용한 쓰레기 수용체를, 슈트(chute) 내에서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종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고층 건축물의 각 플로어로부터 배출된 쓰레기를, 슈트 내에서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쓰레기의 종반송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에 기재된 종반송 장치에서는, 폐기하는 쓰레기를 소정 치수의 비닐봉지에 수용한 상태로, 슈트 내에 투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성 3-72158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특허문헌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폐기하는 쓰레기를 비닐 봉투에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러닝 코스트의 저감과 환경보호의 관점에서, 재사용 가능한 쓰레기 수용체에 쓰레기를 수용한 상태로, 슈트 내를 하강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슈트 내를 하강한 쓰레기 수용체가, 슈트의 하단에 도달한 때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어 버리거나, 큰 소음이 발생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이 점에 대해,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되는 종반송 장치에서는, 슈트 내부에, 복수의 개폐 가능한 쓰레기 받이 선반을 설치하여, 이들 쓰레기 받이 선반에 의해, 슈트의 내부를 복수의 저류(貯留)실로 구획하도록 한다. 즉, 슈트 내에 투입된 쓰레기 수용체는, 복수의 쓰레기 받이 선반을 순차 개폐함에 따라, 순차, 하방(下方)의 저류실로 이송되도록 되어, 쓰레기 수용체에 큰 충격을 주는 일 없이, 슈트 내를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슈트 내 복수의 쓰레기 받이 선반을 순차 개폐하는 제어가 필요하게 되고, 종반송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진다.

    여기에 개시하는 기술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쓰레기 수용체를 슈트 내에서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쓰레기의 종반송 장치에 있어서, 쓰레기 수용체가 슈트의 하단에 도달한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구성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실현하는 데 있다.

    여기에 개시하는 기술은, 고층 건축물의 각 플로어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슈트를 구비하며 또, 어느 한 상기 플로어로부터 배출된 쓰레기 수용체를 상기 슈트 내에서 하강시키도록 구성된 쓰레기의 종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슈트(chute)는, 상기 각 플로어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제 1 슈트와, 이 제 1 슈트의 하단에 연속하도록, 상기 제 1 슈트에 대해 비고정 상태로 설치된 제 2 슈트를 포함하고, 상기 종(縱)반송 장치는, 상기 제 2 슈트의 하단부에 장착 고정되며 또한, 이 제 2 슈트의 하단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하부 게이트 장치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게이트 장치는, 상기 제 2 슈트의 하단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문을 가지고, 이 개폐문은 상기 제 2 슈트의 하단 개구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슈트 내를 하강되어 온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받아냄과 동시에, 상기 제 2 슈트의 하단 개구를 엶으로써, 받아낸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상기 슈트의 하방에 배출한다.

    상기 종반송 장치는, 상기 제 2 슈트가 상기 제 1 슈트에 맞대어지도록, 상기 제 2 슈트를 상향으로 바이어싱(biasing)하면서, 상기 하부 게이트 장치가 장착 고정된 이 제 2 슈트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슈트 내를 하강되어 온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상기 개폐문에 의해 받아낼 시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지지부재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층 건축물의 각 플로어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슈트는, 그 하단부에서, 제 1 슈트와 제 2 슈트로 분할하여 구성된다. 제 2 슈트는, 제 1 슈트에 대해 비(非)고정인 상태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2 슈트는, 완충 지지부재에 의해, 제 1 슈트에 대해 맞대어지도록, 상향으로 바이어싱되면서 지지된다. 이에 따라, 통상의 상태에서는, 제 1 슈트와 제 2 슈트는 서로 밀착하여, 연속된 슈트를 구성함과 동시에, 슈트 내로부터의 악취 누설이 회피된다.

    제 2 슈트의 하단부에는, 하부 게이트 장치가 장착 고정된다. 하부 게이트 장치의 개폐문은, 제 2 슈트의 하단 개구를 개폐한다. 쓰레기 수용체가 슈트로의 투입을 대기하고 있을 시에는, 개폐문은, 제 2 슈트의 하단 개구를 닫는다. 이로써, 제 1 및 제 2 슈트 내를 하강되어 온 쓰레기 수용체를 받아내기 가능한 상태로 함과 동시에, 슈트 내로부터의 악취 누설을 방지한다.

    이렇게 하여, 어느 한 플로어로부터, 쓰레기를 수용한 쓰레기 수용체가 투입되어, 이 쓰레기 수용체가 제 1 및 제 2 슈트 내를 하강되어 온 때에는, 제 2 슈트의 하단 개구를 닫고 있는 개폐문이, 쓰레기 수용체를 받아낸다. 이 때, 개폐문을 갖는 하부 게이트 장치가 제 2 슈트에 장착 고정됨과 동시에, 이 제 2 슈트가, 완충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충격력은, 이 완충 지지부재에 의해 흡수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쓰레기 수용체로의 충격이 흡수되고, 쓰레기 수용체의 파손이 회피됨과 동시에, 소음의 발생도 억제된다.

    여기서, 쓰레기 수용체가 개폐문에 의해 받아내진 때에는, 제 1 슈트에 대해 비고정인 제 2 슈트가, 일시적으로 제 1 슈트로부터 멀어지는 것도 일어날 수 있으나, 매우 단시간인 점과, 이 멀어지는 타이밍은, 쓰레기 수용체가 제 1 슈트와 제 2 슈트와의 맞대어지는 위치를 통과한 후이므로 문제가 없다.

    또, 완충 지지부재를 구비한 구성이 아니라, 쓰레기 수용체를 받아내는 개폐문의 부분에 충격 흡수구조를 마련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그 경우는, 개폐문을 개폐하는 기구에 대해, 충격 흡수구조를 추가로 부가해야 하고, 개폐문 부근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 이에 반해, 하부 게이트 장치를 장착 고정한 제 2 슈트를, 완충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하는 구성은, 개폐문 부근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는 일 없이, 간단하고 용이한 구성으로 쓰레기 수용체를 받아내는 때의 충격 흡수를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종반송 장치는, 예를 들어 슈트 내의 압력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슈트 내에서 하강하는 쓰레기 수용체의 속도를 조정하는 기구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완충 지지부재에 의한 충격 흡수와 더불어, 하강 속도의 조정에 의해, 쓰레기 수용체를 개폐문으로 받아낸 때의 충격 자체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쓰레기 수용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더욱 작게 하여, 쓰레기 수용체의 파손 방지에 있어서 유리하게 됨과 동시에, 소음의 억제에도 유리하게 된다.

    상기 슈트로부터 하방에 배출되는 쓰레기 수용체는, 반송차의 짐받이에 탑재되고, 상기 하부 게이트 장치는, 상기 제 2 슈트의 하단 개구를 통과한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상기 반송차의 상기 짐받이에 탑재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개폐문이 닫힌 상태에서는 축소되며 또한, 상기 개폐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하향으로 신장(伸長)하도록, 상기 개폐문의 개폐에 연동하여, 축소된 상태와 신장된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슈트로부터 배출된 쓰레기 수용체를, 반송차의 짐받이에 탑재하여, 예를 들어, 쓰레기 수집을 행하는 쓰레기 처리실까지 반송하는 구성에서는, 쓰레기 수용체를 확실하게, 반송차의 짐받이에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게이트 장치의 안내부는, 개폐문이 닫힌 상태의 경우, 환언하면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을 대기하고 있는 때나, 쓰레기 수용체를 받아내는 때에는, 축소된 상태로 됨으로써, 슈트 하방을 주행하는 반송차와의 간섭을 회피하여, 반송차의 자유로운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종반송 장치 및 반송차를 포함한 쓰레기 반송 시스템의 운용을 원활하게 하여, 운용효율을 높이는 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한편으로, 개폐문이 열린 때, 예를 들어 받아낸 쓰레기 수용체를 하방에 배출하여 반송차의 짐받이에 탑재하는 경우에는, 안내부는 하방으로 신장(伸長)함으로써, 쓰레기 수용체를 반송차의 짐받이에 확실하게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쓰레기 수용체의 외주(外周)를 둘러싸도록 내측 치수(internal dimension)를 갖는 통형상의 내측부재와, 이 내측부재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통형상의 외측 부재를 포함하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가지고, 상기 내측 부재는, 그 상단 개구 가장자리에, 외방(外方)을 향해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외측 부재는, 그 하단 개구 가장자리에, 내방(內方)을 향해 넓어지는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신장상태에서 서로 겹쳐지는, 상기 내측부재의 플랜지부와 상기 외측부재의 플랜지부와의 사이를 실링(sealing)하는 실링부재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문이 열림에 연동하여 안내부가 신장되나, 텔레스코픽 구조를 갖는 안내부가 신장한 때에, 내측 부재의 플랜지부와, 외측 부재의 플랜지부와의 사이를, 실링부재가 실링됨으로써, 개폐문이 열리고 제 2 슈트의 하단 개구가 개방된 때에, 이 제 2 슈트에 연속되는 안내부에서 밀폐성이 유지된다. 이는, 악취 누설의 억제에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종반송 장치가, 슈트 내를 흡인(吸引)함으로써 쓰레기 수용체를 흡상(吸上)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신장된 안내부재에서의 밀폐성을 유지하는 것은, 부압(負壓)의 누설을 방지하여 쓰레기 수용체를 확실하게 흡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개폐문은, 상기 제 2 슈트의 상기 하단 개구를 닫도록 수평방향에 대향함과 동시에, 상향인 탑재면 상에 하강되어 온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탑재 가능한 상태와, 각각 반대방향인 하향으로 회동(pivot)함으로써, 상기 제 2 슈트의 상기 하단 개구를 개방하는 좌우 여닫이식으로 구성된 한 쌍의 문 부재를 가지고, 상기 각 문 부재는, 상기 개폐문이 열리고 또한, 상기 안내부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부재 내에서, 상기 탑재면이 상기 제 2 슈트의 상기 하단개구와 상기 내측부재의 상단 개구를 연결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쓰레기 수용체의 상하방향의 통과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폐문은, 제 2 슈트의 하단 개구를 개폐하는 기능, 쓰레기 수용체를 받아내는 기능, 및 하방에 배출할 시에, 쓰레기 수용체를 안내하는 기능을 겸용하게 됨으로써, 간단하고 용이한 구성으로, 받아낸 쓰레기 수용체를, 반송차의 짐받이에 확실하게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종반송 장치가, 슈트 내를 흡인함으로써 쓰레기 수용체를 흡상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에 의해 반송차의 짐받이로부터 흡상한 쓰레기 수용체를, 안내부 내를 확실하게 통과시켜 슈트 내로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각 문 부재에는, 상기 대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 각각에, 가이드벽이 세워 설치되고, 상기 각 가이드벽은, 상기 개폐문이 열리고 또한, 상기 안내부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부재 내에서, 상기 제 2 슈트의 상기 하단 개구와 상기 내측 부재의 상기 상단 개구와의 사이에서, 상기 쓰레기 수용체의 상하방향의 통과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각 문 부재의 탑재면은, 개폐문을 연 때에는, 안내부의 외측 부재 내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 쓰레기 수용체에 대해, 대향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데 반해, 각 문 부재의 각 가이드벽은, 외측 부재 내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 쓰레기 수용체에 대해, 대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된다. 이렇게 하여, 쓰레기 수용체는, 외측 부재 내를 상하방향으로 확실하게 이동하도록 되고, 반송차의 짐받이에 확실하게 탑재하는 것, 또한 슈트 내로 확실하게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하부 게이트 장치는, 좌우 여닫이식으로 구성된 상기 개폐문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문 부재 각각이 동기(同期)하여 회동하도록, 각 문 부재의 회동축을 서로 연결하는 무단체(無端體)를 가지고, 상기 무단체는, 상기 각 문 부재의 회동 방향이 반대방향이 되도록 8자 모양으로 크로스하여, 상기 각 회동축에 감아 걸린다.

    8자 모양으로 크로스하여 각 회동축에 감아 건 무단체(예를 들어, 체인)에 의해, 간단하고 용이한 구성으로, 한 쌍의 문 부재를, 동기시키면서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개폐문에 의해 받아낸 쓰레기 수용체를 하방으로 배출할 시에, 쓰레기 수용체를 안정적으로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반송차의 짐받이에 확실하게 탑재시키는 데 있어서 유리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문 부재 내의, 어느 한쪽의 문 부재의 회동축은, 구동원에 대해 구동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원과, 이 구동원에 구동 연결된 상기 회동축과의 사이에 설치된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를 추가로 가지고, 상기 토크 리미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슈트 내를 하강되어 온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상기 개폐문으로 받아내는 때에, 소정 이상의 토크가 상기 구동원 측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슈트가 완충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쓰레기 수용체가 개폐문에 의해 받아내진 때의 충격은, 완충 지지부재가 흡수하지만, 예를 들어 규정 이상의 중량인 쓰레기 등이 슈트 내에 투입된 때에는, 완충 지지부재에 의해 충격을 완전히 흡수하지 못하는 것도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서로 구동 연결된 구동원과 문 부재의 회동축과의 사이에 토크 리미터를 설치함으로써, 구동원 측에 소정 이상의 토크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구동원을 확실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슈트는, 그 상단부로부터 흡인함으로써, 빈 쓰레기 수용체를 흡상하여 상기 각 플로어에 회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부재의 하단 가장자리가, 상기 반송차의 짐받이에 탑재된 상기 쓰레기 수용체의 상단 가장자리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슈트 상단부로부터 흡인을 함으로써, 빈 쓰레기 수용체를 흡상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안내부가 신장된 때에, 이 내측 부재의 하단 가장자리가, 반송차의 짐받이에 탑재된 쓰레기 수용체의 상단 가장자리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흡인을 한 때에, 쓰레기 수용체에 흡인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반송차의 짐받이에 탑재된 쓰레기 수용체를 확실하게 흡상하여, 슈트 내로 원활하게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슈트에는, 상기 쓰레기 수용체를 검지하는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개폐문은, 상기 센서의 검지에 기초하여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 센서는, 제 1 및 제 2 슈트 내를 하강되어 온 쓰레기 수용체가, 개폐문에 의해 받아내진 것을 검지 가능하므로, 이 센서의 검지에 기초하여 개폐문을 엶으로써, 받아낸 쓰레기 수용체를 하방에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센서는, 흡상되어 상승하는 쓰레기 수용체가, 제 2 슈트의 하단 개구를 통과한 것을 검지 가능하므로, 이 센서의 검지에 기초하여 개폐문을 닫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완충 지지부재는, 상기 제 2 슈트에 대한 바이어싱력을 발생하는 압축 스프링과, 이 압축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을 조정하는 조정기구를 구비하고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완충 지지부재는, 쓰레기 수용체를 개폐문에 의해 받아낼 시의 충격을, 압축 스프링이 압축됨에 따라 흡수하므로, 큰 충격력에 대해서도 충분히 흡수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압축 스프링의 바이어싱력을 조정함으로써, 충격의 흡수능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종반송 장치의 설치환경과 사용환경에 따라, 충격 흡수능력을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쓰레기의 종반송 장치에 의하면, 슈트의 하단부를 제 1 슈트와 제 2 슈트로 분리한 후에, 개폐문을 갖는 하부 게이트 장치가 장착 고정된 제 2 슈트를, 완충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쓰레기 수용체의 투입을 대기하고 있는 때나, 쓰레기 수용체가 슈트 내를 하강되어 온 때에는, 제 1 슈트와 제 2 슈트를 서로 맞대어, 악취 누설을 방지하면서, 슈트를 연속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한편, 개폐문에 의해 쓰레기 수용체를 받아낸 때에는, 완충 지지부재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쓰레기 수용체의 파손 등을 간단하고 용이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쓰레기 반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종반송 장치의 하단부 부근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은, 하부 게이트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문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안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6은, 상측의 도는, 동기 체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하측의 도는, 동기 체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완충 지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다.
    도 8은, 쓰레기 수용체를 받아내는 때의, 하부 게이트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개폐문을 열어 쓰레기 수용체를 하방에 배출하는 도중의, 하부 게이트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개폐문을 열어 쓰레기 수용체를 하방에 배출한 때의, 하부 게이트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쓰레기 수용체를 받아내어 배출할 때의, 하부 게이트 장치의 동작 제어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쓰레기 수용체를 흡상하여 상승하는 때의, 하부 게이트 장치의 동작제어의 흐름도이다.

    이하, 쓰레기의 종반송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은 예시이다. 도 1은, 쓰레기 반송 시스템(1)의 전체도를 나타낸다. 이 쓰레기 반송 시스템(1)은, 고층 건축물(도시 생략)에 있어서, 각 플로어로부터 배출되는 쓰레기를, 지하층에 마련된 쓰레기 처리실(4)에까지 반송(搬送)하는 시스템이다. 쓰레기 반송 시스템(1)은, 종(縱)반송 장치(2)와, 종반송 장치(2)가 접속되는 횡(橫)반송 장치(3)가 조합되어 구성된다. 고층 건축물은, 예를 들어 맨션 등 사람이 거주하는 건축물이나, 이른바 사무실 빌딩 등의 건축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그 종류와 용도의 제한은 없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맨션을 예로, 거기에 설치된 쓰레기 반송 시스템(1)에 대해 설명한다.

    종반송 장치(2)는, 고층 건축물의 각 플로어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를, 각 플로어로부터 지하층에 효율 좋게 반송하는 장치이다. 종반송 장치(2)는, 고층 건축물에 대해 하나만 설치되어도 되고, 고층 건축물의 각소(各所)에 복수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맨션에서는, 각 플로어에 복수의 거주 공간이 형성되는 때에는, 하나의 거주 공간이 하나의 종반송 장치(2)를 점유하도록, 거주 공간마다 종반송 장치(2)를 설치하여도 되고, 복수의 거주 공간에서 하나의 종반송 장치(2)를 공유하도록 종반송 장치(2)를 설치하여도 된다. 도 1의 예에서는, 제 1 및 제 2의 2개의 종반송 장치(2)를 설치하나, 제 2 종반송 장치(2)는, 그 일부만을 도시한다. 종반송 장치(2)는, 고층 건축물을 따르도록,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이에 반해, 횡(橫)반송 장치(3)는, 각 종반송 장치(2)에 의해 지하층에 반송된 쓰레기를, 쓰레기 처리실(4)에 반송하는 장치이다. 횡반송 장치(3)는, 고층 건축물의 지하층(여기서는 일례로써 지하 주차장으로 하나, 횡반송 장치가 배치되는 장소는, 지하 주차장에 한정되지 않는다)에서, 수평으로 확대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이 예에서는, 각 플로어로부터 배출되는 쓰레기는, 재사용 가능한 상자형 용기인 쓰레기 수용체(5)(도 2 등도 참조)에 수용되고, 종반송 장치(2) 및 횡반송 장치(3)는, 쓰레기를 수용한 쓰레기 수용체(5) 또는 빈 쓰레기 수용체(5)를 반송한다.

    종반송 장치(2)는, 각 플로어로부터 배출되는 쓰레기 수용체(5)를 지하층에까지 하강시키는 슈트(21), 슈트(21)에 대해 쓰레기 수용체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장치(22), 슈트(21)에 병렬이 되도록 설치되며 또한, 빈 쓰레기 수용체(5)를 지하층으로부터 각 플로어에까지 상승시키는 덕트(23) 및 덕트(23)에 의해 반송되어 온 빈 쓰레기 수용체(5)를 회수하는 회수장치(24) 등을 구비하고 구성된다. 슈트(21) 및 투입장치(22)는, 쓰레기 수용체(5)를 하강시키는 하강기구를 구성하고, 덕트(23) 및 회수장치(24)는, 후술과 같이 쓰레기 처리실(4)에서 쓰레기를 버린 후의, 빈 쓰레기 수용체(5)를 상승시키는 상승기구를 구성한다.

    슈트(21)는, 통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도 1에서는 가상적으로 나타내는 각 플로어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에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슈트(21)의 내측 치수는, 쓰레기 수용체(5) 외측 치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슈트(21)의 상단부는,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나, 고층 건축물의 상부 기계실에 돌출되고 슈트(21)의 하단부는, 지하층에 도달한다.

    슈트(21)의 상단부는 개구됨과 동시에, 이 상단 개구를 개폐하는 흡기부(25)가, 슈트(21)의 상단부에 장착된다. 흡기부(25)는, 예를 들어, 슈트(21)의 상단 개구를 개폐 가능하며 또한, 그 개방도가 조정 가능한 개방도 조정 댐퍼(damper)에 의해 구성된다. 흡기부(25)의 댐퍼 개방도는, 후술하는 서브 제어기(62)에 의해 제어되고, 통상의 상태, 환언하면 무통전(無通電) 상태에서는, 흡기부(25)의 댐퍼는 닫혀 있다.

    슈트(21)의 하단부도 또한, 상단부와 마찬가지로 개구됨과 동시에, 이 하단부에는 하부 게이트 장치(80)가 설치된다. 하부 게이트 장치(80)는, 이 구성의 상세한 것은 후술하나, 슈트(21)의 하단 개구를 개폐 가능한 개폐문(81)을 가지고(도 8 등을 참조), 개폐문(81)이 닫힌 상태에서는, 슈트(21) 내를 하강되어 온 쓰레기 수용체(5)를 받아낼 수 있는 한편, 개폐문(81)이 열림으로써, 받아낸 쓰레기 수용체(5)를, 후술하는 무인 반송차(예를 들어 Rail Guided Vehicle : RGV)(7)에 적재할 수 있다. 또, 슈트(21)의 하단부에는, 측방에 개구하는 배기구(211)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배기구(211)는, 후술과 같이, 쓰레기 수용체(5)가 슈트(21) 내를 하강하는 중에, 이 쓰레기 수용체(5)보다 하측을, 적어도 대기압으로 유지하고, 슈트(21)로부터의 악취 누설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슈트(21)의 측면에는 또, 도시는 생략하나, 쓰레기 수용체(5)를 슈트 내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플로어마다 형성된다. 투입장치(22)는, 투입구에 인접하여 각 플로어에 설치되어 있고,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나, 이용자에 의해 반입(搬入)된 쓰레기 수용체(5)를, 투입구를 통해 슈트(21) 내에 투입하는 기능을 갖는다. 투입장치(22)는 또한, 쓰레기를 버리는 이용자가 조작을 하는 조작반(操作盤)을 구비한다. 이 조작반은, 적어도 이용자가 쓰레기의 종류(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 등을 포함한 가연성(可燃性) 쓰레기, 불연성(不燃性) 쓰레기, 및 병ㅇ캔 등이고, 후술과 같이, 쓰레기 처리실(4)에서의 쓰레기 분별에 관계하는 종류이다)를 입력하기 위한, 쓰레기 종류 선택 스위치와, 투입 스위치를 갖는다. 이용자는, 선택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투입장치(22)에 세팅한 쓰레기 수용체(5) 내의 쓰레기 종류를 입력한 후에, 투입 스위치를 온(ON)으로 조작한다. 이에 따라 투입장치(22)는, 슈트(21)에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를 일시적으로 열어, 이용자가 세팅한 쓰레기 수용체(5)를 슈트(21) 내에 투입하고, 그 투입 후에, 투입구를 닫는 동작을 행한다. 투입장치(22)는 또, 입력된 쓰레기 종류의 정보와, 쓰레기 수용체(5)를 투입한 투입장치(22)의 식별정보(즉, 쓰레기 수용체(5)를 투입한 플로어 및 슈트에 관한 정보)를, 서브 제어기(62)에 출력한다.

    슈트(21)에는, 수직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구체적으로는 각 플로어에, 통과 센서(28)가 설치된다. 각 통과센서(28)는, 슈트(21) 내를 하강하는 쓰레기 수용체(5)가 통과한 것을 검지한다. 각 통과센서(28)는, 도 1에 파선으로 나타내듯이, 서브 제어기(62)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검지신호를 서브 제어기(62)에 출력한다. 서브 제어기(62)는, 투입장치(22)와 각 통과센서(2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흡기부(25) 및 하부 게이트 장치(80) 등의 구동을 제어하고, 쓰레기 수용체(5)를 지하층까지 하강시킨다.

    구체적으로 종반송 장치(2)의 하강기구는, 쓰레기 수용체(5)가 슈트(21) 내에 투입될 시에는, 흡기부(25)의 개방도 조정 댐퍼를 닫아 둔다. 이렇게 함으로써, 쓰레기 수용체(5)의 하강 시에는, 이 슈트(21) 내의 쓰레기 수용체(5)보다 상방(上方)의 공간은, 공기의 유입이 제한되어 부압이 된다. 한편, 슈트(21) 하단의 배기구(211)는 열어 둔다. 이에 따라, 쓰레기 수용체(5)가 하강되어도 그 하측의 공간은, 공기가 저항 없이 슈트(21)로부터 유출된다. 따라서, 슈트(21) 하방의 공간은 대기압으로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쓰레기 수용체(5)의 하강 시에, 슈트(21)의 내압(內壓)은 대기압이 그 이하로 유지되므로, 악취 누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쓰레기 수용체(5)보다 상방 공간의 부압에 의한 흡인력(吸引)에 의해 쓰레기 수용체(5)의 하강 속도는 감소된다. 때문에, 흡기부(25)의 개방도 조정 댐퍼의 개방도를 조정하여, 부압을 조정함으로써, 쓰레기 수용체(5)의 질량에 따라, 하강 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서브 제어기(62)는, 각 통과센서(28)로부터의 검지신호에 기초하여, 쓰레기 수용체(5)의 하강속도를 산출하고, 이 하강속도의 고저(高低)에 기초하여, 개방도 조정 댐퍼의 개방도를 조정한다.

    또한, 쓰레기 수용체(5)가, 슈트(21)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기준위치에 도달한 것을, 통과센서(28)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해 검지한 때에는, 서브 제어기(62)는, 흡기부(25)의 개방도 조정 댐퍼를 전폐쇄로 한다. 이에 따라, 쓰레기 수용체(5)의 하강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어, 하부 게이트 장치(80)의 개폐문(81)이 쓰레기 수용체(5)를 받아낼 시의 충격을 완화시켜, 소음 발생과 쓰레기 수용체(5)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쓰레기 수용체(5)가 개폐문(81)에 의해 받아내진 후, 서브 제어기(62)는, 개폐문(81)을 엶으로써, 후술과 같이, 쓰레기 수용체(5)를 RGV(7)에 적재한다.

    이에 대해 덕트(23)는, 슈트(21)와 마찬가지로, 통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각 플로어를 관통하여 수직방향에 직선상(狀)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덕트(23)의 내측 치수는, 쓰레기 수용체(5)의 외측 치수보다 약간 크다. 덕트(23)의 상단부도, 고층 건축물의 상부 기계실에 돌출되며, 덕트(23) 하단부는, 지하층에 도달한다.

    덕트(23)의 상단부도 또한 개구됨과 동시에, 그 상단부에는, 슈트(21)와는 달리, 덕트(23) 내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에 배출하는 배기장치(27)가 장착된다. 배기장치(27)는, 예를 들어 팬에 의해 구성되며, 팬은 서브 제어기(62)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덕트(23)의 하단부에는,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나, RGV(7)에 적재되어 있는 빈 쓰레기 수용체(5)를 흡상하여, 덕트(23) 내로 끌어 들이기 위한 하부 게이트 장치(80)가 설치된다. 전술한 슈트(21)의 하단부에 장착된 하부 게이트 장치(80)와, 덕트(23)의 하단부에 장착된 하부 게이트 장치(80)와는, 서로 동일 구성이다. 또, 덕트(23)의 하단부에는, 측방에 개구하는 흡기구(231)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흡기구(23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기장치(27)가 구동을 하여 덕트 내의 공기를 상측으로부터 강제 배출하는 때에, 덕트(23)의 하측으로부터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기능을 한다.

    덕트(23)의 측면에는 또한, 도시는 생략하나, 덕트(23) 내의 쓰레기 수용체(5)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구가, 플로어마다 형성된다. 회수장치(24)는, 회수구에 인접하여 각 플로어에 설치되며,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나, 덕트(23) 내를 상승하여 온 빈 쓰레기 수용체(5)를, 회수구를 통해 덕트(23) 밖으로 인출하여 회수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회수장치(24)는, 도시는 생략하나, 덕트(23)의 내주면(內周面)을 따르도록 기립하는 대기위치와, 덕트(23) 내를 횡단하도록 도복(倒伏)하는 지지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搖動)하도록 설치된 지지장치를 갖는다.

    또, 덕트(23)에도 통과센서(29)가 설치되고, 덕트(23)의 통과센서는, 각 플로어에 설치된다. 각 통과센서(29)는, 덕트(23) 내를 상승하는 쓰레기 수용체(5)가 통과한 것을 검지한다. 각 통과센서(29)는, 도 1에 파선으로 나타내듯이, 서브 제어기(62)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 검지신호를 서브 제어기(62)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반송 장치(2)의 상승기구는, 서브 제어기(62)의 제어에 의해, 다음과 같이 동작하고, 빈 쓰레기 수용체(5)를 상승시킨다. 즉, 빈 쓰레기 수용체(5)를 적재한 RGV(7)가, 덕트(23)의 하방 위치에서 정지하면, 배기장치(27)가 작동을 함으로써, 덕트(23) 내가 부압이 되어, 후술과 같이, 하부 게이트 장치(80)를 통해, 빈 쓰레기 수용체(5)가 덕트(23) 내에 흡상됨과 동시에, 빈 쓰레기 수용체(5)는 덕트(23) 내를 상승한다. 서브 제어기(62)는, 통과 센서(29)의 검지신호에 기초하여, 덕트(23) 내를 상승하고 있는 쓰레기 수용체(5)가, 이 쓰레기 수용체(5)가 배출된 플로어(이하, 배출 플로어라 함)를 통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쓰레기 수용체(5)가 덕트(23) 내를 상승하는 중에는, 각 플로어의 지지장치는 대기위치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쓰레기 수용체(5)는, 지장 없이 덕트(23) 내를 상승한다.

    이렇게 하여, 통과센서(29)의 검지신호에 의해, 빈 쓰레기 수용체(5)가 배출 플로어를 통과한 것을 검지한 때에는, 서브 제어기(62)는, 이 배출 플로어의 회수장치(24)를 통해 지지장치를 대기위치에서 지지위치로 변위(變位)시킴과 동시에, 그 변위 후에, 배기장치(27)를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흡인력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빈 쓰레기 수용체(5)는 하강되어 지지위치로 변위한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되도록 된다. 회수장치(24)는,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된 빈 쓰레기 수용체(5)를, 회수구를 통해 덕트(23) 밖으로 인출한다. 이렇게 하여, 빈 쓰레기 수용체(5)의 회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이 쓰레기 반송 시스템(1)에서는, 각 플로어에서 투입장치(22)를 통해 배출한 쓰레기 수용체(5)가, 이 플로어의 회수장치(24)를 통해 빈 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여기서, 도면의 예에서는, 쓰레기 수용체(5)를 하강시키는 슈트(21)와, 빈 쓰레기 수용체(5)를 상승시키는 덕트(23)를 개별로 설치하나, 하나의 슈트(또는 덕트)에 의해, 쓰레기 수용체(5)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빈 쓰레기 수용체(5)를 상승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전술과 같이, 슈트(21)의 하단부에 장착된 하부 게이트 장치(80)와, 덕트(23)의 하단부에 장착된 하부 게이트 장치(80)는, 서로 동일 구성이고, 쓰레기 수용체(5)를 받아내어 배출하는 기능, 및 쓰레기 수용체(5)를 흡상하여 끌어 들이는 기능의 쌍방을 갖는다.

    횡반송 장치(3)는, 지하 주차장의 지면에 소정의 경로가 되도록 형성된 주행로(31)와, 주행로(31)를 따라 주행하는 RGV(7)를 구비하고 구성된다. 주행로(31)는, 각 종반송 장치(2)와, 쓰레기 처리실(4)과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주행로(31)는, 각 종반송 장치(2)의 슈트(21)와, 쓰레기 처리실(4)을 연결하는 왕로(往路)(311)와, 쓰레기 처리실(4)과 각 종반송 장치(2)의 덕트(23)를 연결하는 귀로(歸路)(312)가 무단(無端)이 되도록 접속된 루프형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1에서는, 도시의 관계상, 왕로(311)와 귀로(312)를, 일점 쇄선보다 상측을 왕로(311)로 하고, 일점 쇄선보다 하측을 귀로(312)로 하도록 상하로 위치를 어긋나게 나타내나, 왕로(311)와 귀로(312)는, 실제는 동일 높이 위치에 형성된다. RGV(7)는, 루프형 주행로(31)를 따라, 도 1에서 시계방향으로(즉, 일방향으로) 주행한다. RGV(7)는, 각 슈트(21)로부터 배출된 쓰레기 수용체(5)를 적재한 상태로, 쓰레기 처리실(4)까지 이를 반송함과 동시에, 쓰레기 처리실(4)에서 쓰레기를 버림으로써 비어진 쓰레기 수용체(5)를 적재한 상태로, 이를 덕트(23)에까지 반송한다. 여기서, 도 1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다수의 RGV(7)를 도시하나, RGV(7)의 수는, 적절한 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주행로(31)는 루프형으로 구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쓰레기 처리실(4)은, 고층 건축물의 각 플로어로부터 배출된 쓰레기를, 그 종류에 따라 분별한 상태에서, 쓰레기 수집차가 수집을 하러 올 때까지 일시적으로 저류(貯留)하는 공간이고, 이 예에서는, 고층 건축물의 지하 주차장 일곽에 마련된다. 이 쓰레기 처리실(4)에는, 도면의 예에서는 제 1∼제 3의 3개의 저류용기(41, 42, 43)가, RGV(7)의 주행방향으로 나열 설치된다. 각 저류용기(41, 42, 43)는, 쓰레기를, 그 종류마다 저류하는 용기이다. 쓰레기 처리실(4)에는 또한, RGV(7)에 적재된 쓰레기 수용체(5) 내의 쓰레기를, 제 1∼제 3 저류용기(41, 42, 43) 각각에 투입하기 위한, 제 1∼제 3의 반전(反轉)장치(44, 45, 46)가, 각 저류용기(41, 42, 43)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쓰레기 처리실(4) 내에 설치하는 저류용기 및 반전장치의 수는, 분별해야 할 쓰레기 종류의 수에 따라, 적절한 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RGV(7)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사륜(四輪)으로 구성된 섀시(chassis)(71)와, 섀시(71)의 전부(前部)에 배치되며 또한, 후술하는 제어기 등을 수용하는 차체(車體)(72)와, 차체(72) 후측에 설치되며 또한, 쓰레기 수용체(5)가 적재되는 짐받이(73)를 구비한다. RGV(7)는, 주행로(31)를 따라 형성된 레일(32)에 안내되면서, 주행로(31)를 따라 자동 주행을 한다. 즉, 각 슈트(21)와 쓰레기 처리실(4)과의 사이에서, 쓰레기를 수용한 쓰레기 수용체(5)를 반송함과 동시에, 쓰레기 처리실(4)과 각 덕트(23)와의 사이에서, 빈 쓰레기 수용체(5)를 반송한다.

    쓰레기 반송 시스템(1)은, 메인 제어기(61)와, 각 종반송 장치(2)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서브 제어기(62)(도 1에서는, 한 개만 도시함)에 의해 제어된다. 메인 제어기(61)는, 쓰레기 반송 시스템(1) 전체의 제어를 행하고, 서브 제어기(62)는, 주로 종반송 장치(2)에 대한 제어를 행한다. 메인 제어기(61)에는 PC(63)가 접속되고, 메인 제어기(61)는, 쓰레기 반송 시스템(1)의 가동상황(쓰레기의 총 투입량이나, 투입이력 등)에 관한 정보를 PC(63)에 제공한다. 쓰레기 반송 시스템(1)의 관리자는, PC(63)를 통해, 쓰레기 반송 시스템(1)의 가동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8∼도 10은, 슈트(21)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부 게이트 장치(8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덕트(23)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부 게이트 장치(80)도 동일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 3을 하부 게이트 장치(80)의 정면, 도 2를 하부 게이트 장치(80)의 배면으로 하고, 도 2, 도 3에서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한다. 또, 도 3의 지면에서 우측을 "우", 좌측을 "좌"로하고, 지면에서의 상측을 "상", 하측을 "하"로 한다.

    상기 슈트(21)는, 각 플로어를 관통하고 설치된 제 1 슈트(21a)와, 제 1 슈트(21a)의 하단에 연속하도록 설치된 제 2 슈트(21b)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제 1 슈트(21a)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에는 플랜지부(21c)가 형성되고, 제 2 슈트(21b)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에도 마찬가지로, 플랜지부(21d)가 형성된다. 통상 시(즉, 후술과 같이, 슈트(21) 내로의 쓰레기 수용체(5)의 투입을 대기하고 있는 때, 슈트(21) 내에서 쓰레기 수용체가 하강하고 있는 때를 포함)에는, 제 1 슈트(21a)의 플랜지부(21c)와 제 2 슈트(21b)의 플랜지부(21d)가 서로 밀착함으로써, 연속된 슈트(21)가 구성된다. 단, 제 1 슈트(21a)와 제 2 슈트(21b)는 결합되지 않고, 단지 접촉하고 있을 뿐이다. 제 2 슈트(21b)의 지지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2 슈트(21b)의 하단 개구에는, 도 8∼도 10에 나타내듯이, 이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문(81)이 장착된다. 개폐문(81)은,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문 부재(811, 811)에 의해, 하향으로 열리는 좌우 여닫이식으로 구성된다. 각 문 부재(811)는, 그 기단부(基端部)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82L, 82R) 주변에서 회동(pivot)하도록, 하부 게이트 장치(80)의, 후술하는 외측 부재(852)에, 장착된다.

    각 문 부재(811)는, 도 4에 나타내듯이, 개략 판형상의 부재이고, 제 2 슈트(21b)의 하단 개구를 닫는 때에 상향이 되고, 쓰레기 수용체(5)를 받아내는 탑재면(812)을 갖는다. 또 문 부재(811)에는, 좌우방향에 직교하는 전후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벽(813, 813)이 각각 세워 설치된다. 탑재면(812) 및, 각 가이드벽(813)은, 후술하도록, 쓰레기 수용체(5)가 하강할 때(그리고, 덕트(23)의 하단부에 장착한 하부 게이트 장치(80)에서는, 쓰레기 수용체(5)가 상승할 때)에, 쓰레기 수용체(5)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각 문 부재(811)의 선단부에는, 개폐문(81)을 닫은 때에, 대향하는 문 부재(811)끼리가 서로 접촉하는 실링부(814)가 형성됨과 동시에, 각 문 부재(811) 상면의 소정위치에는, 개폐문(81)을 닫은 때에, 제 2 슈트(21b)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가 접촉하는 실링부(815)가 형성된다(도 8도 참조). 이들 실링부(814, 815)에 의해, 개폐문(81)이 제 2 슈트(21b)의 하단 개구를 닫은 때의, 슈트(21)의 밀폐성이 확보되어, 악취 누설 등이 회피된다.

    개폐문(81)은, 구동부(83)에 의해 개폐 구동된다. 구동부(83)는, 구동원으로서 전동모터(831)와, 한 쌍의 회동축(82L, 82R) 내, 좌측에 배치된 회동축(82L)의 정면측 단부에 고정된 스프로킷(sprocket)(832)과, 전동모터(831)와 좌측의 회동축(82L)을 스프로킷(832)을 개재하여 구동 연결하기 위한 동력 전달 체인(833)(도 3에서는 가상적으로 나타냄)과, 한 쌍의 회동축(82L, 82R) 각각의 배면측에서, 한 쌍의 회동축(82L, 82R)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또한, 동기하여 회동시키기 위한, 동기 체인(무단체의 일례)(834)(도 2 참조)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기 체인(834)은, 도 6에 나타내듯이, 동일 평면상(여기서는,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상)에서 8자 형상으로 크로스하여, 한 쌍의 회동축(82L, 82R)의 배면측 단부 각각에 장착된 스프로킷(835L, 835R)에 대해 감아 걸린다. 동기 체인(834)은, 우측의 스프로킷(835R)에 감아 걸리는 제 1 체인부(8341)와, 좌측의 스프로킷(835L)에 감아 걸리는 제 2 체인부(8342)와, 제 1 체인부(8341)의 일단과 제 2 체인부(8342)의 일단(一端)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크로스부(8343)와, 제 1 체인부(8341)의 타단(他端)과 제 2 체인부(8342)의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 2 크로스부(8344)를 구비하고 구성된다.

    이 중, 제 1 크로스부(8343)는, 전후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평행으로 배치된 2개의 봉(棒)재(8345, 834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 봉재(8345, 8345)의 양 단부(端部)는 각각, 장착편(8346)을 개재하여, 제 1 체인부(8341)의 일단 및 제 2 체인부(8342)의 일단에 결합된다. 2개의 봉재(8345, 8345)는 각각, 볼트와 너트의 나사결합량을 변경함으로써, 그 길이가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고, 이에 따라, 2개의 스프로킷(835L, 835R) 사이에 감아 걸리는 동기 체인(834)의 장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크로스부(8344)는, 그 양 단부가 각각, 제 1 체인부(8341)의 타단 및 제 2 체인부(8342)의 타단에 결합됨과 동시에, 제 1 크로스부(8343)를 구성하는 2개의 봉재(8345, 8345)의 사이를 지나는 봉재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동기 체인(834)은, 한 쌍의 회동축(82L, 82R)의 간격이 비교적 넓고, 톱니열에 의해 한 쌍의 회동축(82L, 82R)끼리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 곤란한 구성에 있어서, 비교적 저가로, 한 쌍의 회동축(82L, 82R)을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동기 체인(834)의 구성은,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제 1 및 제 2 크로스부(8343, 8344)의 구성으로는,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는 생략하나, 제 1 크로스부(8343)로서는, 병렬로 배치한 2개의 봉재(8345, 8345)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제 2 크로스부(8344)를 구성하는 봉재가 관통할 수 있는 긴 구멍이 형성된, 가늘고 긴 판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동모터(831)에 구동 연결된 스프로킷(832)에는,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나,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가 설치된다. 이 토크 리미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폐문(81)에 충격이 가해진 때에, 소정 이상의 토크가 전동모터(831)측에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토크 리미터는, 예를 들어 시판되는, 마찰판식의 슬라이딩 토크 리미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구동부(83)에 의해, 전동모터(831)를 구동한 때에는, 동력 전달체인(833)을 개재하여 좌측의 회동축(82L)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이 회동축(82L) 주변에서 문 부재(811)가 회동함과 동시에, 동기 체인(834)을 개재하여 우측의 회동축(82R)에는, 반대방향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이 회동축(82R) 주변에서 문 부재(811)가 반대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렇게 하여, 한 쌍의 문 부재(811)를 갖는 개폐문(81)은, 하향의 좌우 여닫이식으로 구성되고, 도 8에 나타내는 제 2의 슈트(21b)의 하단 개구를 전(全)폐쇄한 상태와, 도 10에 나타내는 제 2 슈트(21b)의 하단 개구를 전(全)개방한 상태로 전환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우측 회동축(82R)의 정면측 단부에는, 개폐문(81)의 전폐쇄 상태와, 개폐문(81)의 전개방 상태를 각각 검지하는 리밋 스위치(limit switch)(84)가 설치된다. 서브 제어기(6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밋 스위치(84)의 검지 결과를 받아, 하부 게이트 장치(80)의 작동제어를 행한다.

    또, 하부 게이트 장치(80)는, 안내부(85)를 갖는다. 안내부(85)는, 제 2 슈트(21b)와, RGV(7)의 짐받이(73)와의 사이에서, 쓰레기 수용체(5)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부분이다. 안내부(85)는, 도 8∼도 10에 나타내듯이, 내측부재(851)와, 외측부재(852)를 포함하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고, 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된다.

    즉, 외측부재(852)는, 그 상단과 하단의 각각이 개구한 중공(中空)의 통형상 부재이고, 제 2 슈트(21b)의 하단부에 연속하도록, 이 제 2 슈트(21b)에 대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 2 슈트(21b)의 내부와, 외측 부재(852)의 내부와는, 제 2 슈트(21b)의 하단 개구를 통해 서로 연통한다. 내측부재(851)는, 도 10을 보면 명백하듯이, 쓰레기 수용체(5)의 외주를 둘러싸는 내측 치수를 갖는, 상하 양단이 각각 개구한 통형상의 부재이고, 외측 부재(852)의 내측에 배치된다. 환언하면, 외측 부재(852)는, 내측 부재(851)를 둘러 싸도록 구성된다. 내측 부재(851)는, 외측 부재(852)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측 부재(851)의 대부분이 외측 부재(852)의 내부에 위치하는 축소상태(도 8 참조)와, 내측 부재(851)의 대부분이 외측 부재(852)의 하단 개구로부터 하방에 돌출하는 신장상태(도 2, 도 10 참조)로 전환된다. 여기서, 안내부(85)는, 신장상태에서는, 내측 부재(851)의 하단부가, RGV(7)의 짐받이(73)에 탑재된 쓰레기 수용체(5)의 상단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또, 내측 부재(851)의 하단부는 외방을 향해 확대된다. 이에 따라 특히, RGV(7)의 짐받이에 탑재되는 쓰레기 수용체(5)를 흡상할 시에, 안내부(85)를 신장한 때에는, 내측부재(851)가, 쓰레기 수용체(5)의 상단부에 바깥쪽에서 끼우기 쉽게 된다. 또, 도 2을 보면 명백하듯이, 안내부(85)가 신장 상태인 때에는, RGV(7)의 차체(72)와 간섭하여 버리는 바, 안내부(85)가 축소 상태인 때에는, RGV(7)와는 간섭하지 않고, RGV(7)는, 슈트(21)의 하방위치를 자유롭게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에 나타내듯이, 내측 부재(851)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에는, 외방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8511)가 형성되고, 외측 부재(852)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에는, 도 8 등에 나타내듯이, 안쪽을 향해 넓어지는 플랜지부(8521)가 형성된다. 이들 플랜지부(8511, 8521)는, 안내부(85)가 신장상태가 된 때에 상하로 겹쳐지도록 되나, 이 플랜지부(8511)와, 플랜지부(8521)와의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853)가, 외측 부재(852)의 하단 개구의 전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내부(85)가 신장상태가 되는 때에는, 개폐문(81)이 열리고, 슈트(21)의 하단 개구가 개방되나, 내측 부재(851)와 외측 부재(852)와의 사이를 실링하여 밀폐성을 확보하는 것은, 악취 누설의 억제에 있어서 유리하게 됨과 동시에, 덕트(23)의 하단부에 장착된 하부 게이트 장치(80)에 있어서는, 쓰레기 수용체(5)를 흡인하여 흡상할 시에, 내측 부재(851)와 외측 부재(852) 사이의 부압 누설을 방지하여, 쓰레기 수용체(5)를 효율 좋게 흡상하는 데 유리하게 된다.

    또, 내측 부재(851)에는, 도 5에 나타내듯이, 플랜지부(8511) 상면의 네 모퉁이에, 롤러(8512)가 장착된다. 각 롤러(8512)는, 외측부재(852)의 내벽면 상을 전동(轉動)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내측 부재(851)는, 안내부(85)가 축소상태와 신축상태와의 사이에서 원활하게 전환하도록, 외측 부재(85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내측 부재(851)는, 도 2, 도 3에 나타내듯이, 링크기구(85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링크 기구(854)는, 개폐문(81) 좌우의 회동축(82L, 82R)에 있어서, 정면측과 배면측과의 단부의 각각에 장착된, 합계 4개의 레버(8541)와, 각 레버(8541)에 회동(pivot)되도록 지지되고 또한 하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링크 바(8542)에 의해 구성된다. 내측부재(851)의 정면측 및 배면측 각각에서, 좌우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 링크 바(8542)의 하단은, 내측부재(851)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링크 기구(854)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동축(82L, 82R)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기하여 회동하는 데에 수반하여 각 레버(8541)가 회동함으로써, 각 링크바(8542)를 개재하여, 내측 부재(851)를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시킨다.

    여기서, 링크 기구(854)의 레버(8541)는, 개폐문(81)의 회동축(82L, 82R)에 고정되므로, 하부 게이트 장치(80)에 있어서, 개폐문(81)의 개폐와, 안내부(85)의 신축은 동기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듯이, 개폐문(81)이 닫혀 있는 때에는, 안내부(85)는, 축소상태가 되고, 그 상태로부터, 회동축(82L, 82R)이 회동하여 개폐문(81)이 점차 열림에 따라, 안내부(85)도 또한, 점차 신장을 하고(도 9 참조),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듯이, 개폐문(81)이 전개방이 된 때에, 안내부(85)가 신장상태가 된다. 개폐문(81)이 전개방이 되고 또한, 안내부(85)가 신장상태가 된 때에는, 외측부재(852)의 내부에서, 각 문 부재(811)의 탑재면(812)이, 제 2 슈트(21b)의 하단 개구와 내측 부재(851)의 상단개구를 연결하도록, 좌우방향으로 마주 보고 배치된다. 각 문 부재(811)의 가이드벽(813)도 또한, 제 2 슈트(21b)의 하단 개구와 내측부재(851)의 상단 개구를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외측부재(852) 내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 쓰레기 수용체(5)는, 각 문 부재(811)의 탑재면(812)과, 가이드벽(813)에 의해 안내되도록 된다.

    하부 게이트 장치(80)가 장착된 제 2 슈트(21b)는, 이 플랜지부(21d)가, 완충 지지부재(9)에 의해 지지된다. 완충 지지부재(9)는, 정면측과 배면측과의 각각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합계 4개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슈트(21a)는, 도시는 생략하나,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층 건축물에 대해 고정된다.

    완충 지지부재(9)는, 지면에 대해 간접적으로 고정된 프레임(90)과, 제 2 슈트(21b)의 플랜지부(21d)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완충 지지부재(9)는, 상세하게는 도 7에 나타내듯이, 프레임(90)에 고정되는 베이스대(91)와, 베이스대(91)에 일체로 설치되고 또한, 연직(鉛直) 상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샤프트(92)와, 지지 샤프트(92)의 상단부에, 이 지지 샤프트(9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바깥 쪽에서 끼움과 동시에, 제 2 슈트(21b)의 플랜지부(21d)의 하면에 고정되는 받침대(93)와, 베이스대(基臺)(91)와 받침대(93)와의 사이에서, 지지 샤프트(92)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압축 코일 스프링(94)과, 받침대(93)의 상측에서 지지 샤프트(92)에 대해 고정된 스토퍼(95)와, 압축 코일 스프링(94)의 하단에 접촉한 상태에서, 지지 샤프트(92)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조정 너트(96)를 구비하고 구성된다. 완충 지지부재(9)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대(91)가 프레임(90)에 고정되는 한편, 받침대(93)가, 제 2 슈트(21b)의 플랜지부(21d) 하면에 고정됨으로써, 압축 코일 스프링(94)이 압축 변형을 하고, 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 2 슈트(21b)를, 제 1 슈트(21a)에 대해 맞대어지도록, 상향으로 바이어싱을 하여, 제 2 슈트(21b)를 지지한다. 이렇게 하여, 제 2 슈트(21b)는, 통상 시에는, 제 1 슈트(21a)에 대해 밀착한 상태에서, 연속하도록 되어, 슈트(21) 내로부터 악취 누설 등이 방지된다.

    또, 제 2 슈트(21b)는, 완충 지지부재(9)의 압축 코일 스프링(94)에 의해 지지되므로, 슈트(21) 내를 하강되어 온 쓰레기 수용체(5)가, 개폐문(81)의 탑재면(812)에 의해 받아내진 때에는, 하부 게이트 장치(80) 및 제 2 슈트(21b)의 전체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그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94)의 압축을 이용하므로, 큰 충격력에 대해 충분한 흡수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완충 지지부재(9)가 충격을 흡수할 시에, 제 2 슈트(21b)는, 제 1 슈트(21a)에 대해, 일시적으로 멀어지는 경우도 있다. 단, 제 2 슈트(21b)가 제 1 슈트(21a)로부터 멀어진다 하더라도, 극히 단시간에, 극히 적은 양만 멀어질 뿐이고, 게다가, 제 1 슈트(21a)와 제 2 슈트(21b)가 멀어지는 타이밍은, 쓰레기 수용체(5)가, 제 1 및 제 2 슈트(21a, 21b)의 플랜지부(21c, 21d)를 통과한 후이므로, 이로 인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완충 지지부재(9)의 조정 너트(96)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받침대(93)(즉, 스토퍼(95))와 조정 너트(96)와의 사이의 압축 코일 스프링(94)의 압축량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완충 지지부재(9)에 의한 충격의 흡수 정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종반송 장치(2)를, 고층 건축물에 설치한 후에, 그 설치환경과 사용환경에 따라, 완충 지지부재(9)에 의한 충격의 흡수 정도를 조정하여도 된다.

    제 2 슈트(21b)에는 또한, 도 3에 나타내듯이, 쓰레기 수용체(5)를 검지하는 용기 검지센서(100)가 장착된다. 용기 검지센서(100)는, 제 2 슈트(21b)에 형성한 창(21e)을 통해 투과하는 광(즉, 도시를 생략하는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광)을 검지하는 광 검지센서에 의해 구성된다. 용기 검지 센서(100)는, 쓰레기 수용체(5)가 슈트(21) 내를 통과할 시에 빛이 차단되는 것을 검지하고, 쓰레기 수용체(5)를 검지한다. 용기 검지센서(100)는, 검지신호를 서브 제어기(62)에 출력한다. 이 용기 검지센서(100)에 의해, 슈트(21) 내를 쓰레기 수용체가 하강하는 때에는, 쓰레기 수용체(5)가 개폐문(81)에 의해 받아내진 것이 검지된다. 또, 덕트(23)에 있어서는, 이 용기 검지센서(100)에 의해, 쓰레기 수용체(5)를 상승시킬 시에, 쓰레기 수용체(5)가 개폐문(81)을 통과한 것이 검지된다.

    그리고, 도 8 등의 부호 101은, 완충 지지부재(9)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슈트(21b)에 대해, 상하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규제 롤러(101)이다. 또, 부호 102는, 전동모터(831)에 구동 연결된 안내부(85)가, 그 구동 시의 반력(反力)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롤러(102)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하부 게이트 장치(80)의 동작 제어에 대해,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흐름에 관한 제어는, 서브 제어기(62)가 행한다. 이 흐름은, 어느 한 플로어로부터 쓰레기 수용체(5)가 슈트(21) 내에 투입됨으로써 개시된다. 이 때에 하부 게이트 장치(80)는, 쓰레기 수용체(5)의 투입을 대기하는 상태이고,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내듯이, 개폐문(81)이 닫힌 상태이다. 슈트(21) 내에 투입되고 또한, 슈트(21) 내를 하강되어 온 쓰레기 수용체(5)는, 이 닫힌 상태의 개폐문(81)에 의해 받아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슈트(21) 내부의 압력 조정에 의해, 쓰레기 수용체(5)의 하강 속도가 제어되므로, 쓰레기 수용체(5)는, 개폐문(81)에 의해 받아내지는 시에, 큰 충격이 발생하는 것이 회피된다. 또, 쓰레기 수용체(5)의 중량이 무겁고, 충분히 감속이 되지 않아, 개폐문(81)에 의해 받아낸 때에, 어느 정도의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제 2 슈트(21b)가 완충 지지부재(9)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이 제 2 슈트(21b) 및 하부 게이트 장치(80)의 전체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쓰레기 수용체(5)가 파손되는 것은, 확실하게 회피된다. 또, 쓰레기 수용체(5)가 개폐문(81)에 받아내지는 때의 소음도 억제된다.

    또한, 규정 이상의 중량인 쓰레기 수용체(5)가 투입된 때에는, 완충 지지부재(9)에 의해서도 충분히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는 것도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스프로킷(832)에 장착된 토크 리미터가 작동함으로써, 충격력이 동력 전달 체인(833)을 개재하여 전동모터(831)에 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렇게 하여, 구동원이 보호되게 된다.

    개폐문(81)이 쓰레기 수용체(5)를 받아낸 것은, 용기 검지센서(100)에 의해 검지된다. 즉, 도 11 흐름도의 단계(S111)에서의 판정이 YES가 되어, 흐름은 단계(S112)로 이행한다.

    단계(S112)에서는, RGV(7)가 슈트(21)의 하방위치에 도착하고 있는 지 여부가 판정된다. 서브 제어기(62)는, 예를 들어 메인 제어기(61) 등으로부터, RGV(7)의 운행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RGV(7)가 슈트(21)의 하방위치에 도착하여, 그 준비가 완료되기까지 단계(S112)를 반복하고, RGV(7)의 준비가 완료된 후에, 흐름은 단계(S112)로부터 단계(S113)로 이행을 한다.

    단계(S113)에서는, 전동모터(831)의 구동을 개시하고, 좌우 여닫이식으로 구성되는 개폐문(81)을 열기 시작한다. 이에 의해, 도 9에 나타내듯이, 쓰레기 수용체(5)는, 한 쌍의 문 부재(811) 사이를 지나, 점차 하강한다. 이와 함께, 안내부(85)가 점차 신장을 한다. 동기 체인(834)에 의해, 한 쌍의 문 부재(811)가 동기하여 회동을 하므로, 쓰레기 수용체(5)를 안정되게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계속되는 단계(S114)에서는, 리밋 스위치(84)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개폐문(81)이 전개방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개폐문(81)이 전개방이 되기까지, 단계(S113) 및 (S114)를 반복한다. 개폐문(81)이 전개방이 되면, 단계(S114)로부터 단계(S115)로 이행을 하여, 전동모터(831)를 정지하고, 개폐문(81)을 정지한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개폐문(81)이 전개방이 되고 또한, 안내부(85)가 신장상태가 되면, 각 문 부재(811)의 탑재면(812)이, 제 2 슈트(21b)의 하단 개구와, 내측부재(851)의 상단개구와의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각 문 부재(811)의 가이드벽(813)도 또한,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제 2 슈트(21b)의 하단 개구와, 내측 부재(851)의 상단개구와의 사이가 연속하도록 되고, 쓰레기 수용체(5)는, 이들 탑재면(812)과 가이드벽(813)에 의해 안내되면서 하강을 한다. 그 결과, 쓰레기 수용체(5)는, RGV(7)의 짐받이(73)에, 확실하게 탑재되도록 된다(도 2도 참조).

    RGV(7)의 짐받이(73)에 쓰레기 수용체(5)가 탑재되면, 용기 검지센서(100)는, 쓰레기 수용체(5)를 검지하지 않게 되므로, 단계(S116)의 판정은 YES가 된다. 흐름은 단계(S116)로부터 (S117)로 이행을 한다. 이에 반해, 단계(S116)의 판정에서 NO로 되면(예를 들어 개폐문(81)이 전개방이 된 이후로, 용기 검지센서(100)가, 쓰레기 수용체(5)를 검지한 상태인 경우 등), 개폐문(81)이 열림에도 불구하고, 쓰레기 수용체(5)가, 어딘가에 걸려, 하강하지 않는 등 이상(異常)의 가능성도 있으므로, 단계(S1111)로 이행을 하여, 고장 경보를 발한다.

    단계(S117)에서는, 전동 모터(831)의 구동을 개시하여 개폐문(81)을 닫기 시작하고, 계속되는 단계(S118)에서, 리밋 스위치(84)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개폐문(81)이 전폐쇄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개폐문(81)이 전폐쇄가 되기까지는, 단계(S117) 및 (S118)를 반복하고, 전폐쇄가 되면, 단계(S118)로부터 단계(S119)로 이행을 하고, 전동모터(831)를 정지하고, 개폐문(81)을 정지한다. 이렇게 하여, 단계(S1110)에서, 쓰레기 수용체(5)의 투입을 대기하고, 리턴을 한다.

    도 12는, 덕트(23)의 하단부에 장착한 경우의, 하부 게이트 장치(80)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다. 이 흐름은, 빈 쓰레기 수용체(5)를 짐받이(73)에 탑재한 RGV(7)가, 덕트(23)의 하방위치에 도착한 때에 개시를 한다. 이 때에, 개폐문(81)은 닫은 상태가 되고, 안내부(85)는 축소상태이다. 따라서, RGV(7)는 안내부(85)와 간섭하는 일 없이, 주행 가능하다. 흐름 개시 후의 단계(S121)에서는, 쓰레기 수용체(5)를 흡인하는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흡인준비가 되면, 흐름은, 단계(S121)로부터 단계(S122)로 이행한다.

    단계(S122)에서는, 전동모터(831)의 구동을 개시하고 개폐문(81)을 열기 시작하여, 단계(S123)에서 개폐문(81)이 전개방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문(81)을 엶에 연동하여, 안내부(85)가 신장을 개시하고, 개폐문(81)이 전개방이 되면, 안내부(85)가 신장상태가 되어, 내측부재(851)의 하단부가, RGV(7)의 짐받이(73)에 탑재된 쓰레기 수용체(5)의 상단부에 바깥 쪽에서 끼워지도록 된다(도 10 참조).

    리밋 스위치(84)의 검지결과에 기초하여, 개폐문(81)이 전개방이 된 것을 검지하면, 흐름은, 단계(S123)로부터 단계(S124)로 이행하고, 전동모터(831)를 정지한다. 그 후, 단계(S125)에서, 덕트(23)의 상단부에 장착된 배기장치(27)를 기동한다. 이렇게 하여, 덕트(23) 내를 부압으로 함으로써, 내측 부재(851)의 하단 개구로부터 쓰레기 수용체(5)를 흡상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부(85)가, 신장상태로 된 때에 밀폐성이 유지됨과 동시에, 내측부재(851)의 하단부가, 쓰레기 수용체(5)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하므로, 배기장치(27)를 기동한 때의 부압의 누설을 방지하고, 빈 쓰레기 수용체(5)를, 효율 좋게 흡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안내부(85)를 신장상태로 한 때에, 내측부재(851)의 하단부가, 쓰레기 수용체(5)의 상단과 동일 위치가 되도록 하여도 된다.

    흡상된 쓰레기 수용체(5)는, 안내부(85)의 외측 부재(852) 내를, 각 문 부재(811)의 탑재면(812)과 가이드벽(813)에 안내되면서 상승을 하고, 제 2 슈트(21b) 내로 이동한다. 쓰레기 수용체(5)는, 안내부(85) 내를 원활하게 상승하게 된다. 단계(S126)에서는, 용기 검지센서(100)가, 온(ON)으로부터 오프(OFF)로 전환됨으로써, 쓰레기 수용체(5)의 통과를 검지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쓰레기 수용체(5)의 통과를 검지한 때에는, 흐름은 단계(S126)로부터 (S127)로 이행한다. 한편, 용기 검지센서(100)의 검지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지 않을 때(예를 들어 배기장치(27)를 기동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용기 검지센서(100)가 온(ON)이 되지 않거나, 용기 검지센서(100)가 온(ON)이 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오프(OFF )로 되지 않았을 때)에는, 단계(S1212)로 이행을 하고, 고장경보를 발한다.

    단계(S127)에서는, 상승하는 쓰레기 수용체(5)가, 덕트(23)의 하부에 형성된 흡기구(231)를 통과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통과하기까지, 이 단계에서 대기한다. 쓰레기 수용체(5)가 통과한 후는, 단계(S128)로 이행하고, 전동모터(831)의 구동을 개시하여 개폐문(81)을 닫기 시작한다. 이렇게 하여, 계속되는 단계(S129)에서, 개폐문(81)이 전폐쇄로 되었는지를 판정하고, 개폐문(81)이 전개방이 되기까지, 문의 닫음 동작을 계속하고(단계(S128, S129)), 개폐문(81)이 전폐쇄가 되면, 단계(S1210)로 이행을 하고, 전동모터(831)를 정지한다. 이와 같이, 개폐문(81)을 조기에 닫음으로써, 안내부(85)가 축소상태가 되므로, RGV(7)가 덕트(23)의 하방을 자유롭게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종반송 장치(2) 및 횡반송 장치(3)를 포함하는 쓰레기의 반송 시스템의 운용을 원활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그 후 흐름은, 단계(S1211)에서, 다음 RGV(7)의 도착을 기다린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의 종반송 장치(2)에 의하면, 하부 게이트 장치(80)에서, 개폐문(81)의 장착 부분은, 그 개폐문(81)을 개폐하는 기구나, 안내부(85)를 신축하는 기구 등이 설치되어 복잡하게 되는 바, 이러한 복잡한 부분에는, 충격 흡수를 위한 구성을 부가하지 않고, 제 2 슈트(21b) 부분에서, 쓰레기 수용체(5)의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지지부재(9)를 배치한다. 이로써, 구성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완충 지지부재(9)에 의해, 쓰레기 수용체(5)가 개폐문(81)에 의해 받아내진 때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쓰레기 수용체(5)의 파손 등을 확실하게 회피함과 동시에,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2 : 종반송 장치 21a : 제 1 슈트
    21b : 제 2 슈트 21 : 슈트
    5 : 쓰레기 수용체 81 : 개폐문
    811 : 문 부재 812 : 탑재면
    813 : 가이드벽 82L, 82R : 회동축
    831 : 전동 모터(구동원)
    832 : 스프로킷(토크 리미터를 갖는 스프로킷)
    834 : 동기 체인(무단체) 85 : 안내부
    851 : 내측 부재 8511 : 플랜지부
    852 : 외측 부재 8521 : 플랜지부
    853 : 실링 부재 9 : 완충 지지부재
    94 : 압축 코일 스프링 96 : 조정 너트(조정기구)
    100 : 용기 검지센서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