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연결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장치

申请号 KR1020120015573 申请日 2012-02-15 公开(公告)号 KR1020130094150A 公开(公告)日 2013-08-23
申请人 성용상; 박수영; 发明人 성용상; 박수영;
摘要 PURPOSE: A food waste disposal machine using a direct connection method is provided to reduce installation costs because an additional installation work for a sump is not required. CONSTITUTION: A food waste disposal machine (10) using a direct connection method is formed on the end of a drainpipe (2), in which pulverized food waste is discharged, and comprises a collecting hopper (12) and a final processing device (15). A storage tank (15a) is formed on the bottom end of the final processing device. A water exhaust pipe connected to a sewer pipe (3) is formed in the storage tank. A motor pump (7) is formed in the water exhaust pipe.
权利要求
  •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에 의해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어 배출되는 배수관의 끝단에 형성되는 집하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하장치(10)는 집하호퍼(12)와 최종처리장치(15)로 형성되고, 상기 최종처리장치(12)의 하단에는 저장탱크(15a)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탱크(15a)에는 하수관(3)과 연결되는 퇴수관로(5)가 형성되고, 상기 퇴수관로(5)에는 모터펌프(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연결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퇴수관로(5)에 형성된 모터펌프(7)는 저장탱크(15a)에 일정수위 이상으로 물이 찰 경우 하수관(3)으로 물을 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연결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하호퍼(12)에는 다수개의 타공판(12a)가 설치되는데, 상기 타공판(12a)에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집하호퍼(12)의 내벽에서 가운데 부분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다수개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연결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장치.
  • 说明书全文

    직접연결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장치{GATHERING DEVICE FOR FOODRESIDUE DISPOSAL OF DIRECT CONNECTION TYPE}

    본 발명은 직접연결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 분쇄장치에 의해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수관을 통해서 최종처리장치가 형성된 집하장치로 모이되, 상기 최종처리장치에서 배출되는 물은 집수조에 저장되지 않고 펌프에 의해서 다시 하수관에 직접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시설을 간편하게 하고 집수조에 의해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극복한 직접연결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하루에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은 엄청난데, 우리나라에서 하루에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은 11,237톤이고, 연간 약 410만여 톤에 이른다.

    종래에는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퇴비나 거름 등으로 재활용되거나 대부분은 매립하여 처리한다.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싱크대의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에 정화조로 보내어 해결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란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하여 곧바로 정화조로 보내는 장치로, 대한민국에서는 이러한 장치가 하수관의 설치 등의 미흡으로 인해서 법으로 사용이 금지되어 오다가 최근에 하수관의 설치가 적당히 잘된 곳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점차 이러한 추세는 계속되어 앞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싱크대에서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분쇄한 다음 정화조로 보내면 수분은 하수도로 흘려보내고, 찌꺼기 부분은 최종처리장치에 의해서 건조되어 처리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종래의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공보 제1998-085231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에 의해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수관(2)을 통해 하수관(3)으로 연결되는데, 도 1과 같이 상기 배수관(2)의 끝단에는 집하장치(10)가 형성된다.

    상기 집하장치(10)는 상단에 집하호퍼(12)가 형성되고, 상기 집하호퍼(12)의 하단에는 연결관(13)에 의해서 연결되는 최종처리장치(15)가 형성된다.

    상기 집하장치(10)의 집하호퍼(12)의 상단에는 배수관(2)과 하수관(3)이 연결되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집하호퍼(12)의 하단으로 쌓이고, 물은 구배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하수관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연결 형성된다.

    상기 집하호퍼(12)의 하단에 형성된 최종처리장치(15)는 내부에 스크류가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짜서 음식물 찌꺼기만 배출하고, 짜진 물은 집수조로 보내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건물의 지하실에 집하장치가 설치될 경우 집하장치의 상단은 지면으로부터 1.5m~1.8m 깊이에 매설된 하수관과 연결되어야 하므로, 집하장치의 하단은 지하실 바닥에 거의 맞닿게 되고, 최종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물을 배출하는 집수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하실바닥 보다 더 깊게 파서 묻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집수조에는 오염된 물이 저장되기 때문에 부패되어 냄새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에 의해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어 배출되는 배수관의 끝단에 형성되는 집하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하장치는 집하호퍼와 최종처리장치로 형성되고, 상기 최종처리장치의 하단에는 저장탱크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탱크에는 하수관과 연결되는 퇴수관로가 형성되고, 상기 퇴수관로에는 모터펌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직접연결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장치에 의하면 집수조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설치작업이 필요없어서 설치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집수조로 인하여 발생하는 냄새 또는 부패 등의 문제점이 극복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싱크대에 음식물분쇄기가 설치된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장치의 설치개념도.
    도 2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형성된 직접연결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장치의 개념도.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에 의해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어 배출되는 배수관의 끝단에 형성되는 집하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하장치(10)는 집하호퍼(12)와 최종처리장치(15)로 형성되고, 상기 최종처리장치(12)의 하단에는 저장탱크(15a)가 형성되며, 상기 저장탱크(15a)에는 하수관(3)과 연결되는 퇴수관로(5)가 형성되고, 상기 퇴수관로(5)에는 모터펌프(7)가 형성된다.

    상기 최종처리장치(15)는 원통형의 몸체(10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압축스크류(11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상단에는 투입구(10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2)의 전방에는 배출구(104)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는 배수부(106)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하단을 감싸는 저장탱크(15a)가 형성된다.

    상기 집하호퍼(12)에는 다수개의 타공판(12a)가 설치되는데, 상기 타공판(12a)은 배수관(2)으로부터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상부로 부유되지 않고 물만 하수관(3)으로 빠져나가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타공판(12a)에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집하호퍼(12)의 내벽에서 가운데 부분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다수개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타공판(12a)이 경사지게 설치되면 음식물쓰레기와 타공판(12a)이 만나는 면적이 넓어져서 저장량이 많아진다.

    상기 몸체(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압축스크류(110)가 포함되고, 전방에는 배출구(104)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배출구(104)의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져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구(104)로 빠져나올 때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 음식물 찌꺼기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부(106)로는 음식물 쓰레기가 압축스크류(110)에 의해서 짜질 때 물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형성된 저장탱크(15a)는 몸체(100)의 하단을 감싸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저장탱크(15a)의 후방은 퇴수관로(5)와 연결되는데, 상기 퇴수관로(5)는 하수관(3)과 연결된다.

    상기 퇴수관로(5)에는 모터펌프(7)가 형성되어 저장탱크(15a)에 일정수위 이상으로 물이 찰 경우 하수관(3)으로 물을 배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직접연결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집하장치의 작동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세대 주택의 각 세대에 형성된 싱크대에는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는 각각 배수관(2)과 연결된다.

    상기 배수관(2)의 건물의 지하실 또는 지하바닥에 형성되는 집하장치(10)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집하장치(10)의 또다른 면의 상단은 하수관(3)과 연결되어, 분쇄된 음식물이 가라앉은 집하호퍼(2)로부터 분리되는 물이 자연스럽게 흘러나가도록 형성된다.

    상기 집하장치(10)의 최종처리장치(15)에는 저장탱크(15a)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탱크(15a)는 퇴수관로(5)에 의해서 하수관(3)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각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할 경우 배수관(2)을 따라서 집하장치(10)로 유입되고, 물은 자연스럽게 하수관(3)으로 배출되고, 음식물 쓰레기는 집하호퍼(12)의 하단으로 가라앉는다.

    적당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집하호퍼(12)로 가라앉았을 때 연결관을 통해 최종처리장치(15)가 작동하게 되고, 최종처리장치(15)가 작동하면서 건조된 음식물 찌꺼기가 배출구(104)로 빠져나온다.

    이때, 배수부(106)로부터 빠져나오는 물은 저장탱크(15a)에 모이다가 일정수위에 이를 때 모터펌프(7)가 작동하여 하수관(3)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집수조(16)를 설치하지 않고도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물을 배출할 수 있어서 냄새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도 현저히 감소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한 설명을 하였으나, 권리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2 : 배수관 3 : 하수관
    5 : 퇴수관로 7 : 모터펌프
    10 : 집하장치 12 : 집하호퍼
    12a : 타공판 15 : 최종처리장치
    15a : 저장탱크 100 : 몸체
    102 : 투입구 104 : 배출구
    106 : 배수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