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봉투 파봉장치

申请号 KR1020090016374 申请日 2009-02-26 公开(公告)号 KR1020100097437A 公开(公告)日 2010-09-03
申请人 이상웅; 发明人 이상웅;
摘要 PURPOSE: A device for tearing a garbage bag is provided to prevent malfunction by preventing garbage from getting jammed in tearing units. CONSTITUTION: A device for tearing a garbage bag comprises an inlet hopper(100), a main body(200), tearing units, and an outlet(220). Garbage bags flow into the inlet hopper.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inlet hopper and has a receiving space for the garbage bags. The tearing units are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and tear the garbage bags. The outlet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discharges the torn garbage bag.
权利要求
  • 쓰레기봉투가 유입되는 유입호퍼와;
    상기 유입호퍼와 연결되어 형성되되, 유입된 쓰레기봉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형성되어 유입호퍼로 유입되는 쓰레기봉투를 파봉하되, 복수의 파봉수단이 상호 교차되어 쓰레기봉투를 파봉하는 파봉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파봉유닛에 의해 파봉된 쓰레기봉투를 배출하는 배출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파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봉유닛은,
    상기 본체 수용공간의 상부 측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 파봉수단과;
    상기 유입호퍼의 하부 측에 형성되어 상부 파봉수단 각각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연결된 선형구동수단에 의해 선형방향으로 왕복이동되어 쓰레기봉투를 상부 파봉수단 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파봉시키는 복수의 하부 파봉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파봉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봉수단은 톱날형태의 커터이되, 상호 대향되게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파봉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구동수단은 유압실린더 또는 모터의 회전력을 선형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크랭크축 또는 렉, 피니언 기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파봉장치.
  • 说明书全文

    쓰레기봉투 파봉장치 {THE APPARATUS FOR TEARING THE WASTE ENVELOPE}

    본 발명은 쓰레기봉투 파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봉투 파봉장치의 파봉유닛을 복수의 파봉수단이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쓰레기봉투 파봉시 쓰레기봉투 또는 쓰레기가 파봉유닛에 걸리지 않는 쓰레기봉투 파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음식물을 비롯한 각종 생활쓰레기들 중 자원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는 통상 가정에서 종량제봉투라 불리우는 일정 규격을 가진 봉투에 봉입되어 매립지로 운반된 후, 다시 산업에너지원으로 재활용된다.

    즉, 각종 생활쓰레기 중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는 일차적으로 파쇄공정을 거쳐 잘게 부서진 후, 자력이나 기타 스크린 등의 선별방식을 통해 쓰레기를 선별하여 제거하고 재활용 가능한 상태로 변환된다.

    이때, 파쇄공정에 투입되는 쓰레기봉투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하나씩 일일이 개봉하여 파쇄장치에 투입하거나, 파봉장치에 의해 쓰레기봉투를 분리한 후 파쇄장치에 투입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쓰레기봉투 파봉장치는 유입부를 통해 쓰레기봉투를 원 통형 몸체 내부로 투입시키고, 원통형 몸체 내부에 회전 스크류를 구동모터에 연결시켜 회전시킴으로써 유입되는 쓰레기봉투를 파봉하여 배출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쓰레기봉투 파봉장치는 스크류 형태의 칼날을 사용하여 쓰레기봉투를 파봉하기 때문에 쓰레기봉투 또는 쓰레기가 스크류의 회전축에 감겨 파봉장치가 정지하거나 오작동을 일으키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쓰레기봉투 파봉장치는 회전하는 스크류에 의해 쓰레기봉투가 파봉되기 때문에, 쓰레기봉투 안에 들어있는 유리병 등이 깨지게 되어 유리병 등은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쓰레기봉투 파봉장치의 파봉유닛을 복수의 파봉수단이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쓰레기봉투 파봉시 쓰레기봉투 또는 쓰레기가 파봉유닛에 걸리지 않는 쓰레기봉투 파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쓰레기봉투가 유입되는 유입호퍼와, 상기 유입호퍼와 연결되어 형성되되, 유입된 쓰레기봉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형성되어 유입호퍼로 유입되는 쓰레기봉투를 파봉하되, 복수의 파봉수단이 상호 교차되어 쓰레기봉투를 파봉하는 파봉유닛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파봉유닛에 의해 파봉된 쓰레기봉투를 배출하는 배출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파봉유닛은 상기 본체 수용공간의 상부 측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 파봉수단과, 상기 유입호퍼의 하부 측에 형성되어 상부 파봉수단 각각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되, 일측에 연결된 선형구동수단에 의해 선형방향으로 왕복이동되어 쓰레기봉투를 상부 파봉수단 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파봉시키는 복수의 하부 파봉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봉수단은 톱날형태의 커터이되, 상호 대향되게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구동수단은 유압실린더 또는 모터의 회전력을 선형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크랭크축 또는 렉, 피니언 기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쓰레기봉투 파봉장치의 파봉유닛을 복수의 파봉수단이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쓰레기봉투 파봉시 쓰레기봉투 또는 쓰레기가 파봉유닛에 걸리지 않게 되어 쓰레기봉투 파봉장치의 오작동 또는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봉수단의 각 커터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때문에, 이 사이로 유리병 등이 통과할 수 있어 유리병 등을 깨지 않고 유리병 등이 담겨져 있는 쓰레기 봉투를 파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파봉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봉투(110)가 유입되는 유입호퍼(100)와, 유입호퍼(100)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유입된 쓰레기봉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10)을 갖는 본체(200)와, 본체(200)의 수용공간(210)에 형성되어 유입호퍼(100)로 유입되는 쓰레기봉투를 파봉하는 파봉유닛과, 본체(200)에 설치되어 파봉유닛에 의해 파봉된 쓰레기봉투를 배출하는 배출 구(220)로 구성된다.

    먼저, 유입호퍼(100)는 깔때기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200)의 상부에 형성된다.

    유입호퍼(100)는 본체(200)의 내부로 쓰레기봉투(110)를 유입하기 위한 부분으로 깔때기 형상뿐만 아니라 본체(200)의 내부로 쓰레기봉투(110)를 유입시키기 용이하게 형성되는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본체(200)는 유입호퍼(100)와 연동되게 설치되는 사각형태의 구조물로, 내부에 유입되는 쓰레기봉투(11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10)이 형성되어 있고, 파봉유닛에 의해 파봉된 쓰레기봉투(110)가 배출되는 배출구(220)가 측면에 형성된다.

    배출구(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원활한 쓰레기봉투(110)의 배출을 위해 본체(200)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체(200)의 측면에 형성될 경우 원활한 배출을 위해 본체(200)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체(200)는 지지베이스(230)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베이스(230)는 지면 또는 고정대 등 본체(200)를 지지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포함된다.

    한편, 파봉유닛은 복수의 상부 파봉수단(300), 복수의 하부 파봉수단(320) 및 선형구동수단(340)으로 구성된다.

    상부 파봉수단(300)은 톱날 형태의 커터로서 본체(200) 수용공간(210)의 상부 측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부 파봉수단(3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정플레이트(310) 가 상부 파봉수단(300)과 본체(200) 수용공간(210)의 상부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310)는 본체(200) 수용공간(210)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너비로 형성되어 본체(200) 수용공간(210)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이 고정플레이트(310)에 상부 파봉수단(300)이 고정되는데, 이때 상부 파봉수단(300)은 복수로 형성되어 상호 이격되도록 고정되되, 상부 파봉수단(300)의 커터날이 배출구(220)가 형성된 방향을 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고정된다.

    하부 파봉수단(320)은 유입호퍼(100)의 하부 측에 형성되어 상부 파봉수단(300) 각각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하부 파봉수단(320)은 톱날 형태의 커터로서 본체(200) 수용공간(210)의 하부 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하부 파봉수단(32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송플레이트(330)가 하부 파봉수단(320)과 본체(200) 수용공간(210)의 하부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송플레이트(330)는 본체(200) 수용공간(210)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너비로 형성되어 본체(200) 수용공간(210) 하부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이송플레이트(330)에 하부 파봉수단(320)이 고정되는데, 이때 하부 파봉수단(320)은 복수로 형성되며 상부 파봉수단(300)이 상호 이격된 너비만큼 상호 이격되도록 고정되어 각 하부 파봉수단(320) 상부 파봉수단(300) 각각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고정된다.

    이때, 보다 원활한 쓰레기봉투(110)의 파봉를 위해 상부 파봉수단(300)과 하부 파봉수단(320)의 커터날은 상호 대향되게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선형구동수단(340)는 이송플레이트(330)의 일측에 연결되어 이송플레이트(330)를 선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선형구동수단(340)은 이송플레이트(330)를 선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미도시)의 회전력을 선형방향의 이동력으로 변환시키는 크랭크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렉, 피니언 기어 또는 유압실린더 등 이송플레이트(330)를 선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모든 구조를 포함한다.

    크랭크축, 유압실린더 및 렉, 피니언 기어는 종래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봉된 쓰레기봉투(110)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쓰레기봉투 파봉장치를 경사진 비탈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파봉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쓰레기봉투(110)가 수거되면 쓰레기봉투(110)를 유입호퍼(100)를 통해 본체(200)의 수용공간(210)으로 유입시킨다.

    유입된 쓰레기봉투(110)는 선형구동수단(340)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하부 파봉수단(320)에 의해 상부 파봉수단(300) 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부 파봉수 단(300)과 하부 파봉수단(320)이 교차됨에 의해 쓰레기봉투(110)가 파봉된다.

    그 후, 파봉된 쓰레기봉투(110)는 본체(200)의 배출구(220)로 배출되어 처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파봉장치는 쓰레기봉투(110)를 파봉하는 파봉유닛이 회전 스크류 방식이 아닌 선형 왕복 이동방식이기 때문에, 쓰레기봉투(110) 또는 쓰레기가 파봉유닛에 걸리지 않게 되어 쓰레기봉투 파봉장치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방지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파봉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파봉장치의 평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파봉장치의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입호퍼 110 : 쓰레기봉투

    200 : 본체 210 : 수용공간

    220 : 배출구 230 : 지지베이스

    300 : 상부 파봉수단 310 : 고정플레이트

    320 : 하부 파봉수단 330 : 이송플레이트

    340 : 선형구동수단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