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수거 시스템

申请号 KR1020000009151 申请日 2000-02-24 公开(公告)号 KR1020010084266A 公开(公告)日 2001-09-06
申请人 최판식; 发明人 최판식;
摘要 PURPOSE: A waste collecting system is provided to impose a waste charge according to information on waste weight, and to collect and treat waste efficiently by reading an individual ID(identification) card and inputting waste. CONSTITUTION: A waste collecting system is composed of an administrative office(10) supplying an individual ID card(1) for waste discharge and a trash can(2) to inhabitants; a waste collecting module(20) reading the individual information of the ID card,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ID card display and waste weight by measuring the weight of waste; an on-line operating module(30) receiving the waste weight information from the waste collecting module, and outputting the waste charge according to the weight; a garbage truck(40) transferring the trash can to a garbage dump(4) by the on-line operating module; and an electric company or a telephone company receiving the information on the charge, and sending a notice with a bill(5). The waste is sorted and collected efficiently with imposing waste charge based on waste weight. The manpower is reduced with transmitting on-line information, and the collecting system is operated efficiently.
权利要求
  • 개개의 식별정보가 입력된 상태로 주민들에게 발급되는 쓰레기 배출용 ID(identification) 카드;
    주거지역의 적정 장소에 배치되어 판독기에 투입된 상기 ID 카드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쓰레기 수거함에 투입된 쓰레기는 계측기를 이용해 중량을 측정하여 표시기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며, 신호 전송기를 통해 상기 ID 카드별 쓰레기 중량정보를 온라인 송신하는 쓰레기 수집모듈;
    상기 ID 카드별 쓰레기 중량정보를 온라인 수신 받아 중량의 가중에 의거하여 쓰레기 배출료를 산출하는 온라인 운용모듈;
    상기 쓰레기 수거함을 쓰레기 처리장으로 이송하는 쓰레기 배송수단을 포함하여 된 쓰레기 수거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운용모듈에서 산출된 쓰레기 배출료 정보는 전기사업자와 전화사업자와 수자원공사 중 어느 한 곳에 온라인 전송되어 전기 사용료 청구서 또는 전화 사용료 청구서에 통합 부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쓰레기 수거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D 카드는 주민의 전입·전출 업무를 관장하는 행정 관청에서 발급되며, 상기 카드 발급 관청은 상기 쓰레기 수집모듈로 쓰레기 배출시 사용하는 전용 쓰레기통을 함께 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쓰레기 수거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운용모듈은 상기 신호 전송기를 통해 상기 쓰레기 수거함의 충만 여부를 신호 받아 상기 쓰레기 배송수단에 의한 이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쓰레기 수거 시스템.
  • 说明书全文

    쓰레기 수거 시스템{GARBAGE GATHER SYSTEM}

    본 발명은 쓰레기 수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개의 식별정보가 입력된 쓰레기 배출용 ID(identification) 카드를 주민들에게 발급하고, 주민들이 ID 카드를 판독기에 투입시킨 후에 쓰레기를 수거함에 투입하도록 하며, 온라인 운용모듈에서 ID 카드별 쓰레기 중량정보를 온라인 수신 받아 중량의 가중에 의거하여 쓰레기 배출료를 산출 및 부과하도록 한 쓰레기 수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가정 및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일반 쓰레기는 최근 인구증가·도시화·국민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급격히 발생량이 증가되어 환경오염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쓰레기 발생량의 증가에 따른 관리대책으로는 발생원의 감축, 수거·운반의 체계화, 소각시설의 설치, 쓰레기의 자원화 등으로 대별할 수가 있으며, 이를 위한 정부의 노력은 끈임 없이 계속되고 있다. 현재 실시 중인 규격봉투에 의한 쓰레기 종량제는 쓰레기 발생원의 감축을 위한 방안으로 마련되었다.

    환경부 폐기물정책과에서 통계를 낸 종량제 월별 추진실적을 살펴보면, 95년 1월1일 쓰레기 종량제가 전국 실시되면서 일일 배출량이 3만5천1백16톤으로 전년대비 34.4% 이상 크게 줄었으며 재활용품의 배출량은 월33만4천톤으로 39.8%의 기록적인 증가율을 보였다.

    그러나, 쓰레기 종량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첫째: 쓰레기의 부피(ℓ)에 따라 배출료가 부과되므로 재활용이 가능하면서도 부피가 작은 용품들이 다소 쓰레기에 혼입되어 배출되었으며, 특히 물에 젖은 음식물쓰레기의 분리수거에 난제를 갖는다. 음식물쓰레기의 다량 혼입으로 쓰레기의 소각시에 열량을 높이기 위하여 유류를 덧 태우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둘째: 쓰레기 수거를 담당하는 용역회사와 행정 관청 사이가 오프라인 상태이므로 모든 정보 전달을 서류에 의존하였다. 이로서 관리인력이 과다하게 소요되었으며, 수거노선·수거시간·수거회수 등에 대한 신속 및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웠다.

    셋째: 쓰레기가 일정 주기로 수거되므로 노상 방치로 인하여 악취 등의 공해요소가 발생되며, 곤충 기생에 의한 병균 발생의 우려가 높고, 쓰레기 배출량이 가변되는 지역에서는 그 수거작업이 매우 비효율적이다.

    넷째: 쓰레기 수송 차량이 일정 시간대에 집중 운용되므로 쓰레기 매립지 부근에서 교통체증이 유발된다.

    다섯째: 규격봉투의 제조 및 유통과정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므로 그 제조비 및 유통마진이 결과적으로는 주민들에게 부과되며, 재활용이 불가능한 규격봉투는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의 모순을 갖는다.

    이상과 같은 현행 쓰레기 종량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쓰레기 수거가 보다 체계화되어야 한다. 우선 수거노선·수거시간·수거회수 등에 대한 수거·운반의 체계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재활용이 가능한 수거 및 보관용기의 개발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개의 식별정보가 입력된 쓰레기 배출용 ID 카드를 주민들에게 발급하고, 주민들이 ID 카드를 판독기에 투입시킨 후에 쓰레기를 수거함에 투입하도록 하며, 온라인 운용모듈에서 ID 카드별 쓰레기 중량정보를 온라인 수신 받아 중량의 가중에 의거하여 쓰레기 배출료를 산출 및 부과함으로써, 쓰레기 분리수거율 및 관리체계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ID 카드 2 : 전용 쓰레기통

    10 : 행정 관청 20 : 쓰레기 수집모듈

    30 : 온라인 운용모듈 40 : 쓰레기 수거자

    50 : 전기사업자 또는 전화사업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 시스템은, 개개의 식별정보가 입력된 상태로 주민들에게 발급되는 쓰레기 배출용 ID(identification) 카드; 주거지역의 적정 장소에 배치되어 판독기에 투입된 상기 ID 카드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쓰레기 수거함에 투입된 쓰레기는 계측기를 이용해 중량을 측정하여 표시기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며, 신호 전송기를 통해 상기 ID 카드별 쓰레기 중량정보를 온라인 송신하는 쓰레기 수집모듈; 상기 ID 카드별 쓰레기 중량정보를 온라인 수신 받아 중량의 가중에 의거하여 쓰레기 배출료를 산출하는 온라인 운용모듈; 상기 쓰레기 수거함을 쓰레기 처리장으로 이송하는 쓰레기 배송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온라인 운용모듈에서 산출된 쓰레기 배출료 정보는 전기사업자와 전화사업자와 수자원공사 중 어느 한 곳에 온라인 전송되어 전기 사용료 청구서 또는 전화 사용료 청구서에 통합 부과된다.

    상기 ID 카드는 주민의 전입·전출 업무를 관장하는 행정 관청에서 발급되며, 상기 카드 발급 관청은 상기 쓰레기 수집모듈로 쓰레기 배출시 사용하는 전용 쓰레기통을 함께 배포하고, 상기 온라인 운용모듈은 상기 신호 전송기를 통해 상기 쓰레기 수거함의 충만 여부를 신호 받아 상기 쓰레기 배송수단에 의한 이송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쓰레기 수거 시스템은, 개개의 식별정보가 입력된 상태의 쓰레기 배출용 ID 카드(1)를 주민들에게 발급하며, 쓰레기 배출시 사용하는 전용 쓰레기통(2)을 배포하는 행정 관청(10)과; 주거지역의 적정 장소에 배치되어 ID 카드(1)에 입력된 식별정보를 인식하며, 쓰레기 수거함에 수집되는 쓰레기의 중량을 계측하여 ID 카드별로 표시 및 그 중량정보는 온라인 송신하는 쓰레기 수집모듈(20)과; 이 쓰레기 수집모듈(20)로부터 ID 카드별 쓰레기 중량정보를 온라인 수신 받아 중량의 가중에 의거하여 쓰레기 배출료를 산출하는 온라인 운용모듈(30)과; 이 온라인 운용모듈(30)의 이송 결정에 따라 쓰레기 수거차(3)와 같은배송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쓰레기 수거함을 쓰레기 처리장(4)으로 이송하는 쓰레기 수거자(40)와; 온라인 운용모듈(30)에서 산출된 쓰레기 배출료 정보를 온라인 전송 받아 전기 사용료 청구서 또는 전화 사용료 청구서(5)에 통합 고지하는 전기사업자 또는 전화사업자(50)로 이루어진다.

    행정 관청(10)은 주민의 전입·전출 업무를 관장하는 읍,면,동사무소가 적합하며, 전용 쓰레기통(2)은 외통(2a)과 내통(2b)으로 이루어진 이중형상으로 제작되며, 내통(2b)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배수구가 마련되어 내통(2b)에 버려진 쓰레기의 수분이 외통(2a)으로 빠져나가도록 되어 있다.

    쓰레기 수집모듈(20)은 투입된 ID 카드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판독기와, 쓰레기 수거함에 투입된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는 계측기와, 측정된 중량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기와, ID 카드별 쓰레기 중량 정보를 온라인 송신하는 신호 전송기로 이루어지며; 모든 구성을 일체로 제작하거나 쓰레기 수거함은 독립된 구조로 제작하여 이송상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도 있다.

    온라인 운용모듈(30)은 ID 카드(1)를 발급하는 읍,면,동사무소의 상급 관청인 군,구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기사업자 또는 전화사업자(50)는 공공요금을 부과하는 수자원공사 등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 시스템에 의한 쓰레기 수거 흐름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읍,면,동사무소의 행정 관청(10)은 쓰레기 수집모듈(20)을 외주 제작하여 주거지역의 적정 장소에 배치하며, 주민들에게 개개의 식별정보가 입력된 쓰레기 배출용 ID 카드(1)와 전용 쓰레기통(2)을 발급·배포한다. 여기서 최초에는 ID 카드(1)를 세대별 또는 개인별로 일괄 발급하고, 이후에는 전입신고시에 개별적으로 발급하는 방안이 바람직할 것이다(S11∼S12).

    주민들은 전용 쓰레기통(2)을 집안에 비치하여 사용하다가 전용 쓰레기통(2)에 쓰레기가 다 차면 외통(2a)과 내통(2b)을 분리시켜 자신의 집과 가장 가까운 곳의 쓰레기 수집모듈(20) 배치장소로 이동한다.

    쓰레기 수집모듈(20)의 쓰레기 수거함에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하여 먼저 ID 카드(1)를 판독기에 투입하면 이 판독기에 의해 ID 카드(1)의 식별정도가 인식되어 쓰레기 수집모듈(20)의 쓰레기 수거함은 그 투입구가 자동으로 개방된다(S13).

    전용 쓰레기통(2)의 내통(2b)이 투입구 상부에 올려지면 계측기는 내통(2b)의 중량을 측정하며, 측정된 중량에서 내통(2b)의 중량을 제외한 쓰레기의 순수 중량은 표시기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고, 신호 전송기는 ID 카드별 쓰레기 중량정보를 온라인 운용모듈(3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계측기 및 신호 전송기의 동작 중에 쓰레기 수거함은 자동으로 내통(2b)에 충진된 쓰레기를 모두 수거하고 내통(2b)을 비운 체로 배출한다(S14).

    아울러, 쓰레기 수집모듈(20)은 쓰레기 수거함의 충만 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며, 적정 용량이 초과되어 충만 상태가 파악되면 이를 신호 전송기를 통해 온라인 운용모듈(30)로 신호 전송한다. 온라인 운용모듈(30)은 쓰레기 수집모듈(20)에 의한 수거함 충만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쓰레기 수거차(3)에 의한 쓰레기 수거함의 이송 여부를 결정한다(S15∼S17).

    온라인 운용모듈(30)에서 쓰레기 수거함의 이송을 결정하면 이는 곧바로 용역회사와 같은 쓰레기 수거자(40)에게 온라인 전송되며, 쓰레기 수거자(40)는 쓰레기 수거차(3)를 배차시켜 해당 쓰레기 수집모듈(20)의 쓰레기 수거함을 쓰레기 처리장(4)으로 이송하여 쓰레기를 매립 또는 소각한다(S18∼S19).

    아울러, 온라인 운용모듈(30)은 쓰레기 수집모듈(20)로부터 ID 카드별 쓰레기 중량정보가 전송되면 ID 카드 발급처인 행정 관청(10)으로부터 전송된 ID 카드 정보와 함께 데이터 가공하여 ID 카드별로 쓰레기 배출료를 산출한다(S21).

    온라인 운용모듈(30)에 의해 산출된 쓰레기 배출료 정보는 전기사업자와 전화사업자 중 어느 한 곳에 온라인 전송되며, 쓰레기 배출 요금 청구서는 해당 사업자에 의해 전기 사용료 청구서 또는 전화 사용료 청구서(5)에 통합 고지되어 발행 및 각 가정으로 발송된다(S2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쓰레기 중량의 가중에 의거하여 배출료를 산출 및 부과하므로 중량이 많이 나가는 용품들의 분리 배출을 최대한 유도할 수가 있어 분리수거율을 높일 수가 있다. 특히 물에 젖은 음식물쓰레기의 분리수거율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으므로 쓰레기의 소각시 유류를 덧 태울 필요성이 제거된다.

    아울러, 모든 정보 전달이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므로 관리인력을 대폭 삭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거노선·수거시간·수거회수 등에 대한 신속 및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쓰레기 수거함의 충만시에는 즉각적으로 이송되므로 쓰레기의 노상 방치로 인한 공해요소의 발생 우려가 배제 및 곤충 기생에 의한 병균 발생의 우려가 최소화된다.

    쓰레기 배출량이 가변되는 지역에서도 그 수거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쓰레기 수송 차량이 여러 시간대에 분산 운용되므로 쓰레기 매립지 부근의 원활한 교통 흐름을 돕는다.

    기존의 쓰레기 종량제에 의하면 규격봉투의 사용으로 제조비 및 유통마진이 주민에게 부과되며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의 모순을 갖는 반면, 본 발명은 오랜 기간동안 재활용할 수 있는 전용 쓰레기통이 채용되어 규격봉투 사용으로 인한 여러 문제점들이 말끔히 해소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