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

申请号 KR1020140141833 申请日 2014-10-20 公开(公告)号 KR101527924B1 公开(公告)日 2015-06-10
申请人 동병길; 发明人 동병길;
摘要 본발명은건축폐기물처리시스템에관한것이다. 본발명에의하면건축물공사현장에서높은곳에위치한건축폐기물을낙하속도제어장치를통하여지면까지이송함으로써, 신속하게건축폐기물을처리할수 있고, 분진과소음을최소화할수 있으며, 건축폐기물을지면으로이송시키는데따른시간과인건비등의비용을절감할수 있을뿐만아니라, 이송장치와리프트장치를통하여최소의인원으로신속하게건축폐기물을적재함에적재함으로써, 시간과인건비등의비용을절감할수 있는효과가있다.
权利要求
  •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건축 폐기물의 낙하되는 속도가 충돌하며 감속 되도록 측벽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와, 상기 건축 폐기물이 상기 완충부에 충돌되도록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가 구비된 낙하속도 제어장치;
    상기 건축 폐기물이 상기 낙하속도 제어장치에서 낙하되어 적재되는 수거박스와, 상기 수거박스에 적재된 상기 건축 폐기물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거박스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레가 구비된 이송장치; 및
    상기 수거박스를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장치와, 상기 승하강장치가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장치에 의해 상승된 상기 수거박스의 적재된 상기 건축 폐기물을 적재함에 투입하거나 또는 상기 수거박스를 상기 수레에 장착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회전지지장치가 구비된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수거박스는 상기 낙하속도 제어장치에서 낙하되는 상기 건축 폐기물이 담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담긴 상기 건축 폐기물이 배출되도록 개폐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받침판, 상기 받침판이 열리지 않도록 구속하거나 또는 열리도록 구속 해지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이 상기 본체의 하단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하나의 받침판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받침판에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닫았을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중첩되며,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힌지축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상기 수용부가 형성된 상기 받침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받침판을 구속하거나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받침판을 구속하지 않도록 형성된 락킹부 및 상기 회전축과 수직을 이루며 단부에 형성되는 지지축으로 이루어진 제1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건축 폐기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완충부를 향하는 반대방향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탈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속도 제어장치는 상기 건축 폐기물의 낙하와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분진과 소음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상기 완충부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가이드부를 감싸는 가림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일측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제1레버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제1레버를 지지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레버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레버를 지지하지 않는 제1레버 회동방지부로 이루어진 제2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장치는,
    상기 적재함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로부터 회전부의 경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아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아암에 결합 또는 고정되며, 모터, 변속기, 윈치가 연계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권치부재;
    상기 윈치에 권취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후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아암에 결합 또는 고정되며, 모터, 변속기, 윈치가 연계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권치부재;
    상기 윈치에 권취되는 쇠사슬; 및
    상기 쇠사슬에 연결된 후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
  • 说明书全文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Construction waste disposal system}

    본 발명은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공사 현장에서 높은 곳에 위치한 건축 폐기물을 낙하속도 제어장치를 통하여 지면까지 이송함으로써, 신속하게 건축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고, 분진과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건축 폐기물을 지면으로 이송시키는데 따른 시간과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장치와 리프트장치를 통하여 최소의 인원으로 신속하게 건축 폐기물을 적재함에 적재함으로써, 시간과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을 신축하거나 철거할 때 발생되는 건축 폐기물이나 남는 건축자재의 처리에 있어서, 사람이 마대자루에 건축 폐기물이나 건축자재를 담아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옴기거나, 창밖으로 직접 투척하였으며, 이와는 다른 방법으로 건물의 창밖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게 가설되는 슈퍼 데크에서 크레인등을 이용하여 지면으로 옮기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또 다른 방법으로 1992.11.20 일자로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2-0020043의 "다층건물의 쓰레기 분리 수거 장치"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건축 폐기물은 중량이 무거워 이동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경우 큰 중량과 분진발생 등으로 엘리베이터 고장에 따른 사고가 발생될 수도 있고, 소량만을 옮길 수 있어 건축 폐기물 처리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건축 폐기물을 창밖으로 직접 투척하는 경우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잇점이 있지만 분진과 소음 및 낙하되는 건축 폐기물과 그 조각들로 인하여 주변 사람들의 부상 유발 및 주변 건물의 손상 우려가 있다.

    또한, 슈퍼데크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크레인과 같은 고비용의 장비를 사용해야 하며 철거 현장 높이에 제약을 받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건축 현장에서 소음과 분진이 발생되지 않고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며 간편하게 건축 폐기물을 지면으로 옮겨 적재함에 적재할 수 있는 수단과 방법이 요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건축물 공사 현장에서 높은 곳에 위치한 건축 폐기물을 낙하속도 제어장치를 통하여 지면까지 이송함으로써, 신속하게 건축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고, 분진과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건축 폐기물을 지면으로 이송시키는데 따른 시간과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장치와 리프트장치를 통하여 최소의 인원으로 신속하게 건축 폐기물을 적재함에 적재함으로써, 시간과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건축 폐기물의 낙하되는 속도가 충돌하며 감속 되도록 측벽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와, 건축 폐기물이 완충부에 충돌되도록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가 구비된 낙하속도 제어장치; 건축 폐기물이 낙하속도 제어장치에서 낙하되어 적재되는 수거박스와, 수거박스에 적재된 건축 폐기물을 이동할 수 있도록 수거박스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레가 구비된 이송장치; 및 수거박스를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장치와, 승하강장치가 결합되어 승하강장치에 의해 상승된 수거박스의 적재된 건축 폐기물을 적재함에 투입하거나 또는 수거박스를 수레에 장착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회전지지장치가 구비된 리프트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 공사 현장에서 높은 곳에 위치한 건축 폐기물을 낙하속도 제어장치를 통하여 지면까지 이송함으로써, 신속하게 건축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고, 분진과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건축 폐기물을 지면으로 이송시키는데 따른 시간과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장치와 리프트장치를 통하여 최소의 인원으로 신속하게 건축 폐기물을 적재함에 적재함으로써, 시간과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을 기준으로 도면상 왼쪽은 일측, 이와 반대쪽은 타측으로 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특징적인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배출구(20)를 통해 배출되는 건축 폐기물(30)의 낙하되는 속도가 충돌하며 감속 되도록 측벽(1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110)와, 건축 폐기물(30)이 완충부(110)에 충돌되도록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30)가 구비된 낙하속도 제어장치(100); 건축 폐기물(30)이 낙하속도 제어장치(100)에서 낙하되어 적재되는 수거박스(220)와, 수거박스(220)에 적재된 건축 폐기물(30)을 이동할 수 있도록 수거박스(22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레(210)가 구비된 이송장치(200); 및 수거박스(220)를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장치(370)와, 승하강장치(370)가 결합되어 승하강장치(370)에 의해 상승된 수거박스(220)의 적재된 건축 폐기물(30)을 적재함(500)에 투입하거나 또는 수거박스(220)를 수레(2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회전지지장치(310)가 구비된 리프트장치(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낙하속도 제어장치(100)는 배출구(20)를 통해 배출되는 건축 폐기물(30)의 낙하되는 속도가 충돌하며 감속 되도록 측벽(1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110)와, 건축 폐기물(30)이 완충부(110)에 충돌되도록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30)가 구비된다.

    완충부(110)는 건축 폐기물(30)이 쌓일 수 있도록 측벽(10)에 대략 수직하게 설치되며, 본 발명에서는 각층에 하나의 완충부(110)가 설치된다.

    따라서, 낙하하는 건축 폐기물(30)이 각층에 설치된 완충부(110)에 충돌하며 낙하함으로써, 낙하 속도가 감소되는 것이다.

    가이드부(130)는 건축 폐기물(30)이 완충부(110a)에 쌓여 넘칠 때 하측에 위치한 완충부(110b)로 건축 폐기물(30)이 충돌하며 감속 되도록 대략 경사지게 설치되며, 본 발명에서는 완충부(110)와 대응되도록 각층에 하나의 가이드부(130)가 설치된다.

    여기서, 가이드부(130)에는 건축 폐기물(3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완충부(110)를 향하는 반대방향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탈방지부(120)가 형성된다.

    이탈방지부(120)는 배출구(20)를 통하여 투입되는 건축 폐기물(30) 뿐만 아니라, 완충부(110)에 쌓여 넘치는 건축 폐기물(3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낙하속도 제어장치(100)에는 건축 폐기물(30)의 낙하와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분진과 소음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완충부(110)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130)를 감싸는 가림막(140)이 구비된다.

    즉, 각층에 설치된 완충부(110)와 가이드부(130)를 감싸는 가림막(140)이 구비되어 건축 폐기물(30)의 반복적인 낙하와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분진과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이송장치(200)는 건축 폐기물(30)이 낙하속도 제어장치(100)에서 낙하되어 적재되는 수거박스(220)와, 수거박스(220)에 적재된 건축 폐기물(30)을 이동할 수 있도록 수거박스(22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레(210)가 구비된다.

    수거박스(220)는 낙하속도 제어장치(100)에서 낙하되는 건축 폐기물(30)이 담기는 본체(226)와, 본체(226)에 담긴 건축 폐기물(30)이 배출되도록 개폐 가능한 받침판(250) 및 받침판(250)이 열리지 않도록 구속하거나 또는 열리도록 구속 해지하는 개폐장치(60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수거박스(220)는 상부가 개방된 본체(226)와 받침판(250)으로 이루어진 함체형상으로 낙하속도 제어장치(100)에서 배출되는 건축 폐기물(30)이 내부에 쌓이게 된다.

    즉, 본체(226)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사각기둥 형상이며, 4개의 측면이 보다 더 견고히 지지되도록 각각의 외측면에 다수의 사각파이프(228)가 가로와 세로로 덧대어지게 된다.

    그리고, 받침판(250)은 본체(226)에 담긴 건축 폐기물(30)이 배출되도록 본체(226)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 또한, 받침판(250)이 보다 더 견고히 지지되도록 외측면에 다수의 사각파이프(256)가 가로와 세로로 덧대어지게 된다.

    개폐장치(600)는 받침판(250)이 열리지 않도록 구속하거나 또는 열리도록 구속 해지하는 것으로, 받침판(25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받침판(250)이 열리지 않도록 본체(226)에 지지되어 구속하거나, 또는, 본체(226)에 지지되지 않고 열리도록 구속 해지하는 제1레버(650)와,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레버(650)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거나 또는 제1레버(650)가 회전하도록 구속 해지하는 견인부재(610)가 결합된 제2레버(630) 및 본체에 결합되어 견인부재(610)를 당길때 제2레버(630)가 회전하도록 견인부재(610)를 지지하는 견인부재걸이부(62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받침판(250)은 본체(226)의 하단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본체(226)의 하단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받침판(250)이 본체(226)의 하단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254a, 254b)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하나의 받침판(250)에는 돌출부(252a)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받침판(250)에는 수용부(252b)가 형성되어 닫았을 때 돌출부(252a)가 수용부(252b)에 수용되도록 중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받침판(250)을 닫았을 때 돌출부(252a)가 형성된 제1받침판(250a)은 수용부(252b)가 형성된 제2받침판(250b)에 의해 돌출부(252a)가 수용부(252b)에 수용되어 열리지 않게 되며, 제2받침판(250b)이 열리면 제1받침판(250a)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2받침판(250b)의 수용부(252b)가 형성된 일측에 힌지축(254b) 방향으로 덧대어진 받침판 사각파이프(256) 내측에 제1레버(650)가 결합되어 제2받침판(250b)이 열리지 않도록 구속하거나 또는 열리도록 구속 해지하는 것이다.

    즉, 개폐장치(600)는 힌지축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수용부(252b)가 형성된 받침판(2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축(670)과, 제1회전축(670)의 양측에 경방향으로 돌출되되 본체에 지지되어 받침판(250)을 구속하거나 제1회전축(67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받침판(250)을 구속하지 않도록 형성된 락킹부(660) 및 제1회전축(670)과 수직을 이루며 단부에 형성되는 지지축(651)으로 이루어진 제1레버(650)를 포함한다.

    제1레버(650)는 제2받침판(250b)의 수용부(252b)가 형성된 일측에 힌지축(254b) 방향으로 덧대어진 받침판 사각파이프(256) 내측에 삽입되어 받침판 사각파이프(256)의 양측 단부로 돌출되는 제1회전축(670)과, 제1회전축(670)의 돌출된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굽어지게 형성된 락킹부(660) 및 제1회전축(670)과 수직을 이루며 단부에 형성되는 지지축(651)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체의 하측 사각파이프(228) 중간측에는 하측으로 연통된 홀(229)이 형성되며, 홀(229)에 락킹부(660)가 끼워져 제1회전축(670)이 회전함에 따라 본체의 하측 사각파이프(228)에 지지되거나 또는 지지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개폐장치(600)는 일측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축(632)이 구비되고, 타측은 제1레버(650)가 회전하지 않도록 제1레버(650)를 지지하거나 또는 제2회전축(63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레버(650)가 회동 가능하도록 제1레버(650)를 지지하지 않는 제1레버 회동방지부(634)로 이루어진 제2레버(630)를 포함한다.

    즉, 제1회전축(670)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축(651)에는 단부로부터 지지축(651)의 길이방향으로 홈(652)이 형성되어 제1레버(650)가 회전하지 않도록 홈(652)에 제1레버 회동방지부(634)가 결합되는 것이다.

    제2레버(630)는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축(632)과, 제1레버(650)가 회전하지 않도록 제1레버(650)의 홈(652)에 삽입되는 제1레버 회동방지부(634)가 절곡 형성되어 제1레버(650)의 홈(652)에 삽입되어 제1레버(650)가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레버(650)의 홈(652)에 제1레버 회동방지부(634)가 삽입되어 제1레버(650)가 회동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며, 제2회전축(632)을 중심으로 제2레버(630)가 회전시 제1레버 회동방지부(634)가 제1레버(650)의 홈(652)에서 빠지게 됨으로써, 제1레버(650)가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2레버(630)의 중간측에는 고리부(636)가 형성되어 견인부재(610)가 결합되고, 본체에는 고리부(636)에 결합된 견인부재(610)를 당겼을 때 제1레버 회동방지부(634)가 제1레버(650)의 홈(652)에서 빠지도록 제2레버(630)의 상측에 견인부재걸이부(620)가 형성되는 것으로, 견인부재(610)를 당겼을 때 제2레버(630)가 회전하도록 견인부재걸이부(620)에 견인부재(610)가 걸려 지게 된다.

    수레(210)는 건축 폐기물(30)이 적재된 수거박스(220)를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214)와 손잡이(212)가 구비되며, 수거박스(22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손잡이(212)를 잡고 바퀴(214)를 이용하여 수거박스(220)를 용이하게 이동하게 된다.

    리프트장치(300)는 수거박스(220)를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장치(370)와, 승하강장치(370)에 의해 상승된 수거박스(220)의 적재된 건축 폐기물(30)을 적재함(500)에 투입하거나 또는 수레(2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승하강장치(370)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지지장치(310)가 구비된다.

    회전지지장치(310)는 적재함(500)에 고정되는 고정부(350)와, 고정부(35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360) 및 회전부(360)로부터 회전부(360)의 경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아암(3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부(350)는 대략 원통 형상이며, 적재함(500)의 상부에 걸려 지지되는 지지부(354)가 구비되고, 적재함(500)의 외측에 고정부재(352)인 고정 브라켓으로 감싸고 볼트를 체결하여 지면(50)과 대략 수직하게 고정된다.

    이어서, 회전부(360)는 고정부(35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시 고정부(350)와 회전부(360) 사이에 베어링(356, 358)이 개재되어 회전부(360)가 원활하게 회전 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베어링(356, 358)은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제1베어링(356)과 경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제2베어링(358)으로 이루어져 회전부(360)를 원활하게 회전 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부(360)의 상측 단부에는 아암(362)이 회전부(360)의 경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아암(362)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회전부(360)와 아암(362)이 대략 T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아암(362)이 무게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부(360)와 아암(362) 사이에 보강대(364)가 구비되어 아암(362)을 받쳐주게 된다.

    그리고, 아암(362)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승하강장치(370)가 구비되는데, 승하강장치(370)는 아암(362)에 결합 또는 고정되며, 모터, 변속기, 윈치가 연계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권취부재(330)와, 권취부재(330)의 윈치에 권취되는 와이어(332) 및 와이어(332)에 연결된 후크(33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권취부재(330)의 모터에는 전원인가를 스위칭 하는 스위치(376)가 구비된다.

    이와는 다르게, 승하강장치(370)는 아암(362)에 결합되는 윈치(320)와, 윈치(320)에 권취되는 쇠사슬(322) 및 쇠사슬(322)에 연결된 후크(324)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승하강장치(370)는 아암(362)에 결합 또는 고정되며, 모터, 변속기, 윈치가 연계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는 권취부재(330)와, 권취부재(330)의 윈치에 권취되는 쇠사슬(322) 및 쇠사슬(322)에 연결된 후크(324)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측 제1아암(362a)에는 윈치(320)와 쇠사슬(322) 및 후크(324)로 이루어진 승하강장치(370)와 타측 제2아암(362b)에는 권취부재(330)와 와이어(332) 및 후크(334)로 이루어진 승하강장치(370)가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건축 폐기물 처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20)를 통해 배출되는 건축 폐기물(30)이 낙하속도 제어장치(100)의 완충부(110)에 쌓이게 된다.

    이때, 상부에서 낙하되는 건축 폐기물(30)과 합쳐져 완충부(110a)에 쌓인 건축 폐기물(30)이 넘치게되면, 가이드부(130)를 따라 하부에 위치한 완충부(110b)로 낙하하게 된다.

    여기서, 이탈방지부(120)가 건축 폐기물(3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하게 되며, 가림막(140)이 건축 폐기물(30)의 반복적인 낙하와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분진과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건축 폐기물(30)은 지면(50)에 위치한 이송장치(200)의 수거박스(220)에 쌓이게 되며, 이송장치(200)의 수레(210)에 형성된 손잡이(212)를 잡고 바퀴(214)를 이용하여 수거박스(220)를 리프트장치(300)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제1아암(362a)에 구비된 승하강장치(370)의 후크(324)에 수거박스(220)를 걸어 쇠사슬(322)로 수거박스(220)를 들어 올린다.

    이때, 리프트장치(300)의 균형을 잡기 위해 제2아암(362b)에 구비된 승하강장치(370)의 후크(334)에 무게추(400)를 걸어 권취부재(330)로 무게추(400)를 들어 올려 무게추(400)가 메달린 상태에서 수거박스(220)를 들어 올리게 된다.

    들어 올려진 수거박스(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어링(356)과 제2베어링(358)에 의해 회전부(360)를 중심으로 회전 하게 되며, 적재함(500)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수거박스(220)의 무게는 대략 400kg~500kg이 적재되며, 무게추(400)는 대략 100kg~200kg의 무게추(400)가 사용되어 균형을 잡게 된다.

    여기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500) 상부에 위치한 수거박스(220)의 견인부재걸이부(620)에 걸린 견인부재(610)를 당기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버(630)가 제2회전축(63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레버 회동방지부(634)가 지지축(651)의 홈(652)에서 빠지게 된다.

    이때,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축(670)이 회전하며,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하측 사각파이프(228) 홀(229)에 삽입되어 지지된 락킹부(660)가 홀(229)을 빠져나와 받침판(250)이 힌지축(254a, 254b)을 중심으로 열리게 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박스(220)에 담겨진 건축 폐기물(30)이 수거박스(220)의 하부로 쏟아져 나와 적재함(500)에 쌓이게 된다.

    여기서, 수거박스(220)에 담겨진 건축 폐기물(30)이 수거박스(220)의 하부로 쏟아져 나올때 분진과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승하강장치(370)를 통해 적재함(500)의 내부로 하강시킨 후 건축 폐기물(30)을 수거박스(220)에서 배출시킬 수도 있다.

    계속해서, 비어있는 수거박스(220)의 돌출부(252a)가 수용부(252b)에 수용되어 중첩되도록 받침판(250)을 닫고 제1레버(650)의 지지축(651)을 회전하여 본체의 하측 사각파이프(228) 홀(229)을 통해 본체의 하측 사각파이프(228)에 락킹부(660)를 걸어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2회전축(632)을 중심으로 제2레버(630)를 회전하여 제1레버 회동방지부(634)를 지지축(651)의 홈(652)에 삽입하여 제1레버(650)를 고정한다.

    그리고, 리프트장치(300)의 회전부(36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거박스(220)를 수레(210)에 장착한 다음 손잡이(212)를 잡고 바퀴(214)를 이용하여 이송장치(200)를 낙하속도 제어장치(100)의 하부로 이동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폐기물 처리 시스템은, 건축물 공사 현장에서 높은 곳에 위치한 건축 폐기물을 낙하속도 제어장치를 통하여 지면까지 이송함으로써, 신속하게 건축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고, 분진과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건축 폐기물을 지면으로 이송시키는데 따른 시간과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장치와 리프트장치를 통하여 최소의 인원으로 신속하게 건축 폐기물을 적재함에 적재함으로써, 시간과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측벽 20 : 배출구
    30 : 건축 폐기물 100 : 낙하속도 제어장치
    110 : 완충부 120 : 이탈방지부
    130 : 가이드부 140 : 가림막
    200 : 이송장치 210 : 수레
    212 : 손잡이 220 : 수거박스
    250a : 제1받침판 250b : 제2받침판
    300 : 리프트장치 320 : 윈치
    322 : 쇠사슬 324 : 후크
    330 : 권취부재 332 : 와이어
    334 : 후크 350 : 고정부
    352 : 고정부재 354 : 지지부
    356 : 제1베어링 358 : 제2베어링
    360 : 회전부 362a : 제1아암
    362b : 제2아암 400 : 무게추
    500 : 적재함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