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체 및 그 제조 방법

申请号 KR1020107019096 申请日 2009-02-18 公开(公告)号 KR101586102B1 公开(公告)日 2016-01-15
申请人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发明人 오노기아츠시; 오가키미츠코;
摘要 판상식품을컴팩트하게수납하여이루어지고, 한손이비어있지않은경우등에도판상식품을용이하게꺼내어간편하게먹을수 있는식품포장체및 그제조방법을제공한다. 본포장체는, 츄잉껌, 초콜릿등의판상식품의포장체로서, 복수의판상식품 (1) 의각각을, 포장시트 (2) 로서, 발취부 (4), 고정부 (5) 및양 부사이의취약부 (3) 로이루어지고, 그취약부 (3) 를절단하고, 그발취부 (4) 를그 판상식품 (1) 과함께발취함으로써개봉할수 있는포장시트 (2) 에의해포장하고, 그복수의포장된판상식품 (1) 을그 포장시트 (2) 의그 고정부 (5) 에서연결용대지 (6) 에의해연결하여일체로한 판상식품유닛 (1a) 을, 그연결용대지 (6) 에서포장기재 (7, 31, 41) 에고정시켜, 수납하여이루어지는것으로서, 본제조방법은판상식품유닛 (1a) 을포장기재 (7, 31, 41) 에승재하여상기포장체를제조하는것으로이루어진다.
权利要求
  • 츄잉껌, 초콜릿 등의 판상 식품을 포장 기재 (41) 에 고정시켜,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로서, 그 포장 기재 (41) 가, 주판 (8) 의 하측 가장자리에 저판 (9) 을 개재하여 프레임판 (10) 을, 그 주판 (8) 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결판 (11) 을 개재하여 덮개판 (12)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주판 (8)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3) 을 개재하여 지지판 (14)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5) 을 개재하여 지지판 (16)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한 대지로 이루어지고, 그 주판 (8), 측판 (13, 15), 지지판 (14, 16), 저판 (9) 및 프레임판 (10)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수납부 (42) 를 갖고 있고,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각각을, 포장 시트 (2) 로서, 발취부 (4), 고정부 (5) 및 양 부 사이의 취약부 (3) 로 이루어지고, 그 취약부 (3) 를 절단하고, 그 발취부 (4) 를 발취함으로써 개봉할 수 있는 � �장 시트 (2) 에 의해 포장하고, 그 복수의 포장한 판상 식품 (1) 이, 그 폭 방향으로 근접시켜 정렬된 상태에서, 그 포장 시트 (2) 의 그 고정부 (5) 에 있어서 연결용 대지 (6) 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판상 식품 유닛 (1a) 의 복수가, 서로 겹친 상태에서, 그 각 고정부 (5) 가 그 수납부 (42) 의 그 저판 (9) 측에 위치하도록 그 수납부 (42) 내에 수납되고, 그 연결용 대지 (6) 에서 그 수납부 (42) 의 내면에 고정되고, 연결용 대지 (6) 가 판상 식품 폭 방향의 양단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연장 부분을 내측으로 되접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 (9) 의 양단에 설상편 (43) 이 각각 연이어 형성되어 있고, 그 각 설상편 (43) 이 상기 수납부 (42) 를 형성하는 상기 각 측판 (13, 15) 과 상기 판상 식품 유닛 (1a)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 삭제
  • 츄잉껌, 초콜릿 등의 판상 식품을 포장 기재 (7) 에 고정시켜,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로서, 그 포장 기재 (7) 가, 주판 (8) 의 하측 가장자리에 저판 (9) 을 개재하여 프레임판 (10) 을, 그 주판 (8) 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결판 (11) 을 개재하여 덮개판 (12)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주판 (8)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3) 을 개재하여 지지판 (14)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5) 을 개재하여 지지판 (16)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프레임판 (10)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7) 을 개재하여 지지판 (18)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9) 을 개재하여 지지판 (20)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한 대지를 조립하여, 그 주판 (8), 측판 (13, 15), 지지판 (14, 16) 에 의해 제 1 수납부 (23) 를 둘러싸며 형성하고, 또한, 그 프레임판 (10), 측판 (17, 19), 지지판 (18, 20) 에 의해 제 2 수납부 (24) 를 둘러싸며 형성하고 있고, 또한,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각각을, 포장 시트 (2) 로서, 발취부 (4), 고정부 (5) 및 양 부 사이의 취약부 (3) 로 이루어지고, 그 취약부 (3) 를 절단하고, 그 발취부 (4) 를 발취함으로써 개봉할 수 있는 포장 시트 (2) 에 의해 포장하고, 그 복수의 포장한 판상 식품 (1) 이, 그 폭 방향으로 근접시켜 정렬된 상태에서, 그 포장 시트 (2) 의 그 고정부 (5) 에 있어서 연결용 대지 (6) 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판상 식품 유닛 (1a) 을, 상기 연결용 대지 (6) 에서 그 지지판 (14, 16, 18, 20) 에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포장 기재 (7) 의 그 각 수납부 (23, 24) 에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의 각 수납부 (23, 24) 에 상기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각각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저판 (9) 에 대해 상기 주판 (8) 과 상기 프레임판 (10) 을 기립시키고, 상기 양 수납부 (23, 24) 를 중첩시킴으로써, 상기 양 수납부 (23, 24) 내에 상기 판상 식품 (1) 을 전후 2 열로 늘어세운 상태로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 츄잉껌, 초콜릿 등의 판상 식품을 포장 기재 (31) 에 고정시켜,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로서, 그 포장 기재 (31) 가, 주판 (8) 의 하측 가장자리에 저판 (9) 을 개재하여 프레임판 (10) 을, 그 주판 (8) 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결판 (11) 을 개재하여 덮개판 (12)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주판 (8)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3) 을 개재하여 지지판 (14a)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5) 을 개재하여 지지판 (16a)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프레임판 (10)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7) 을 개재하여 지지판 (18a)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9) 을 개재하여 지지판 (20a)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한 대지를 조립하여, 그 주판 (8), 측판 (13, 15), 지지판 (14a, 16a) 에 의해 제 1 수납부 (23) 를 둘러싸며 형성하고, 또한, 그 프레임판 (10), 측판 (17, 19), 지지판 (18a, 20a) 에 의해 제 2 수납부 (24) 를 둘러싸며 형성하고, 또한 그 각 지지판 (18a, 20a) 의 유단 가장자리의, 그 수납부 (24) 에 수납된 상기 판상 식품 유닛 (1a) 의 연결용 대지 (6) 에 중첩되는 위치에, 취약부 (32) 를 개재하여 고착편 (33)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있고, 또한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각각을, 포장 시트 (2) 로서, 발취부 (4), 고정부 (5) 및 양 부 사이의 취약부 (3) 로 이루어지고, 그 취약부 (3) 를 절단하고, 그 발취부 (4) 를 발취함으로써 개봉할 수 있는 포장 시트 (2) 에 의해 포장하고, 그 복수의 포장한 판상 식품 (1) 이, 그 폭 방향으로 근접시켜 정렬된 상태에서, 그 포장 시트 (2) 의 그 고정부 (5) 에 있어서 연결용 대지 (6) 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판상 식품 유닛 (1a) 을, 상기 연결용 대지 (6) 에서 그 지지판 (14a, 16a, 18a, 20a) 에 각각 고정시켜, 그 각 수납부 (23, 24) 에 수�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의 각 수납부 (23, 24) 에 상기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각각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저판 (9) 에 대해 상기 주판 (8) 과 상기 프레임판 (10) 을 기립시키고, 상기 양 수납부 (23, 24) 를 중첩시킴과 함께, 상기 제 1 수납부 (23) 에 수납된 상기 판상 식품 유닛 (1a) 의 상기 연결용 대지 (6) 와, 이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수납부 (24) 의 상기 고착편 (33) 을 고착시킴으로써, 상기 양 수납부 (23, 24) 내에 상기 판상 식품 (1) 을 전후 2 열로 늘어세운 상태로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 포장체 (C) 의 제조 방법으로서,
    (ⅰ)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각각을, 포장 시트 (2) 로서, 발취부 (4), 고정부 (5) 및 양 부 사이의 취약부 (3) 로 이루어지고, 그 취약부 (3) 를 절단하고, 그 발취부 (4) 를 발취함으로써 개봉할 수 있는 포장 시트 (2) 에 의해 포장하는 개별 포장 공정 ;
    (ⅱ) 그 개별 포장된 복수의 판상 식품 (1) 을 그 폭 방향으로 근접시켜 정렬시키는 정렬 공정 ;
    (ⅲ) 정렬된 그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그 각 포장 시트 (2) 의 그 고정부 (5) 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연결용 대지 (6) 를 승재하고, 연결용 대지 (6) 가 판상 식품 폭 방향의 양단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어 이 연장 부분을 내측으로 되접어 고정시킴으로써, 판상 식품 유닛 (1a) 을 형성하는 유닛 형성 공정 ;
    (ⅳ) 주판 (8) 의 하측 가장자리에 저판 (9) 을 개재하여 프레임판 (10) 을, 그 주판 (8) 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결판 (11) 을 개재하여 덮개판 (12)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주판 (8)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3) 을 개재하여 지지판 (14)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5) 을 개재하여 지지판 (16)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한 포장 기재 (41) 의 대지의 그 주판 (8) 상에, 복수의 그 판상 식품 유닛 (1a) 을, 서로 겹친 상태에서, 그 각 연결용 대지 (6) 가 그 저판 (9) 측에 위치하도록 승재하는 대지 승재 공정 ;
    (ⅴ) 그 주판 (8) 에 대해, 그 측판 (13, 15), 지지판 (14, 16), 저판 (9) 및 프레임판 (10) 을 절곡하여 그 판상 식품 유닛 (1a) 을 포위하고, 그 프레임판 (10) 을 그 지지판 (14, 16) 에 고정시켜 수납부를 형성하는 수납 공정 ;
    (ⅵ) 그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그 연결용 대지 (6) 에 있어서 그 주판 (8), 측판 (13, 15), 지지판 (14, 16), 저판 (9) 및 프레임판 (1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에 고정시키는 고정 공정 ; 및
    (ⅶ) 그 주판 (8) 에 대해, 그 연결판 (11) 및 덮개판 (12) 을 절곡하여 그 프레임판 (10) 과 덮개판 (12) 을 중첩시키는 중첩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C) 의 제조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기재 (41) 의 상기 주판 (8) 상에, 복수의 상기 판상 식품 유닛 (1a) 을, 상기 각 연결용 대지 (6) 가 상기 저판 (9) 측에 위치하도록 중첩시켜 승재하는 것, 그리고 그 복수의 판상 식품 유닛 (1a) 의 각각을, 상기 주판 (8), 측판 (13, 15), 지지판 (14, 16), 저판 (9), 프레임판 (10) 및 다른 판상 식품 유닛 (1a)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C) 의 제조 방법.
  • 포장체 (A) 의 제조 방법으로서,
    (ⅰ)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각각을, 포장 시트 (2) 로서, 발취부 (4), 고정부 (5) 및 양 부 사이의 취약부 (3) 로 이루어지고, 그 취약부 (3) 를 절단하고, 그 발취부 (4) 를 발취함으로써 개봉할 수 있는 포장 시트 (2) 에 의해 포장하는 개별 포장 공정;
    (ⅱ) 그 개별 포장된 복수의 판상 식품 (1) 을 그 폭 방향으로 근접시켜 정렬시키는 정렬 공정;
    (ⅲ) 정렬된 그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그 각 포장 시트 (2) 의 그 고정부 (5) 의 상면에 연결용 대지 (6) 를 승재하고 고정시킴으로써, 판상 식품 유닛 (1a) 을 형성하는 유닛 형성 공정;
    (ⅳ) 주판 (8) 의 하측 가장자리에 저판 (9) 을 개재하여 프레임판 (10) 을, 그 주판 (8) 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결판 (11) 을 개재하여 덮개판 (12)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주판 (8)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3) 을 개재하여 지지판 (14)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5) 을 개재하여 지지판 (16)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프레임판 (10)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7) 을 개재하여 지지판 (18)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9) 을 개재하여 지지판 (20)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한 포장 기재 (7) 의 대지의 그 프레임판 (10) 에, 제 1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그 연결용 대지 (6) 가 그 저판 (9) 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하여 승재하고, 제 2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그 포장 기재 (7) 의 대지의 그 주판 (8) 에, 그 연결용 대지 (6) 가 그 저판 (9) 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하여 승재하 는 대지 승재 공정;
    (ⅴ) 그 각 지지판 (14, 16, 18, 20) 을 절곡하고, 그것들의 내면을 그 주판 (8) 및 그 프레임판 (10) 상의 그 판상 식품 유닛 (1a) 의 그 연결용 대지 (6) 의 상면에 각각 고정시키는 지지판 고정 공정; 및
    (ⅵ) 그 주판 (8), 측판 (13, 15), 지지판 (14, 16)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 1 수납부 (23) 와, 그 프레임판 (10), 측판 (17, 19), 지지판 (18, 20)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 2 수납부 (24) 를 중첩시키는 중첩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A) 의 제조 방법.
  • 포장체 (B) 의 제조 방법으로서,
    (ⅰ)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각각을, 포장 시트 (2) 로서, 발취부 (4), 고정부 (5) 및 양 부 사이의 취약부 (3) 로 이루어지고, 그 취약부 (3) 를 절단하고, 그 발취부 (4) 를 발취함으로써 개봉할 수 있는 포장 시트 (2) 에 의해 포장하는 개별 포장 공정;
    (ⅱ) 그 개별 포장된 복수의 판상 식품 (1) 을 그 폭 방향으로 근접시켜 정렬시키는 정렬 공정;
    (ⅲ) 정렬된 그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그 각 포장 시트 (2) 의 그 고정부 (5) 의 상면에 연결용 대지 (6) 를 승재하고 고정시킴으로써, 판상 식품 유닛 (1a) 을 형성하는 유닛 형성 공정;
    (ⅳ) 주판 (8) 의 하측 가장자리에 저판 (9) 을 개재하여 프레임판 (10) 을, 그 주판 (8) 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결판 (11) 을 개재하여 덮개판 (12)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주판 (8)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3) 을 개재하여 지지판 (14a)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5) 을 개재하여 지지판 (16a)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프레임판 (10)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7) 을 개재하여 지지판 (18a)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9) 을 개재하여 지지판 (20a)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또한, 그 각 지지판 (18a, 20a) 의 유단 가장자리에 취약부 (32) 를 개재하여 고착편 (33)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한 포장 기재 (31) 의 대지의 그 프레임판 (10) 에, 제 1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그 연결용 대지 (6) 가 그 저판 (9) 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하여 승재하고, 제 2 판상 식품 유닛 (1a) 을 , 그 포장 기재 (31) 의 대지의 그 주판 (8) 에, 그 연결용 대지 (6) 가 그 저판 (9) 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하여 승재하는 대지 승재 공정;
    (ⅴ) 그 각 지지판 (14a, 16a, 18a, 20a) 을 절곡하고, 그것들의 내면을 그 주판 (8) 및 그 프레임판 (10) 상의 그 판상 식품 유닛 (1a) 의 그 연결용 대지 (6) 의 상면에 각각 고정시키는 지지판 고정 공정; 및
    (ⅵ) 그 주판 (8), 측판 (13, 15), 지지판 (14a, 16a)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 1 수납부 (23) 와, 그 프레임판 (10), 측판 (17, 19), 지지판 (18a, 20a)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 2 수납부 (24) 를 중첩시키고, 그 제 2 수납부 (24) 측의 상기 각 고착편 (33) 과, 이에 대향하는 그 제 1 수납부 (23) 에 수납된 판상 식품 유닛 (1a) 의 그 연결용 대지 (6) 를 고착시키는 중첩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B) 의 제조 방법.
  • 说明书全文

    포장체 및 그 제조 방법 {PACKAGING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껌이나 초콜릿 등의 판상 (板狀) 식품을 수납한 포장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껌이나 초콜릿 등의 판상 식품을 수납하는 포장 용기로서, 일본 특허 제 3955355 호 및 일본 특허 제 3955356 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들 특허문헌에 기재된 포장 용기는, 판상 식품을 세운 상태에서, 또한, 전열 (前列) 보다 후열 (後列) 측이 높아지도록 단차 (段差) 를 형성하여 2 열로 겹쳐 컴팩트하게 수납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포장 용기 내의 판상 식품의 높이가 전열보다 후열측이 높아지기 때문에, 식품을 꺼내기 용이해진다. 또, 판상 식품이 포장 용기 내에 임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전열의 판상 식품을 꺼낼 때 후열의 내용물이 요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렇게 하여 꺼낸 개개의 판상 식품은, 그 포장지를 박리하고 먹는다.

    또, 상기 일본 특허 제 3955356 호에는, 상기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각 특허문헌에 기재된 포장 용기에서는, 먹을 때에는 개개의 판상 식품을 꺼낸 후에 포장지를 박리해야 하기 때문에, 한 손이 비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먹기 어렵다.

    또, 상기 일본 특허 제 3955356 호에 기재된 포장 용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포장 용기의 제조를 자동 라인에서 실시할 수 있지만, 먹을 때에는, 개개의 판상 식품을 꺼낸 후에 그 포장지를 박리해야 한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는다.

    그래서, 본 발명은, 판상 식품을 컴팩트하게 수납하여 이루어지고, 한 손이 비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판상 식품을 용이하게 꺼내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식품 포장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하면, 츄잉껌, 초콜릿 등의 판상 식품의 포장체로서,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각각을, 포장 시트 (2) 로서, 발취 (拔取) 부 (4), 고정부 (5) 및 양 부 사이의 취약부 (3) 로 이루어지고, 그 취약부 (3) 를 절단하고, 그 발취부 (4) 를 발취함으로써 개봉할 수 있는 포장 시트 (2) 에 의해 포장하고, 그 복수의 포장된 판상 식품 (1) 을 그 포장 시트 (2) 의 그 고정부 (5) 에서 연결용 대지 (臺紙) (6) 에 의해 연결하여 일체로 한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그 연결용 대지 (6) 에서 포장 기재 (器材) (7, 31, 41) 에 고정시켜,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하면, 상기 포장 기재 (41) 가, 주판 (主板) (8) 의 하측 가장자리에 저판 (底板) (9) 을 개재하여 프레임판 (10) 을, 그 주판 (8) 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결판 (11) 을 개재하여 덮개판 (12)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주판 (8)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3) 을 개재하여 지지판 (14)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5) 을 개재하여 지지판 (16)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한 대지로 이루어지고, 그 주판 (8), 측판 (13, 15), 지지판 (14, 16), 저판 (9) 및 프레임판 (10)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수납부 (42) 에, 상기 판상 식품 유닛 (1a) 을, 상기 연결용 대지 (6) 에서 그 수납부 (42) 의 그 저판 (9) 측의 내면에 고정시켜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하면, 상기 저판 (9) 의 양단 (兩端) 에 설상편 (舌狀片) (43) 이 각각 연이어 형성되어 있고, 그 각 설상편 (43) 이 상기 수납부 (42) 를 형성하는 상기 각 측판 (13, 15) 과 상기 판상 식품 유닛 (1a)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의하면, 복수의 판상 식품 유닛 (1a) 이 겹쳐진 상태에서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의하면, 상기 포장 기재 (7) 가, 주판 (8) 의 하측 가장자리에 저판 (9) 을 개재하여 프레임판 (10) 을, 그 주판 (8) 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결판 (11) 을 개재하여 덮개판 (12)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주판 (8)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3) 을 개재하여 지지판 (14)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5) 을 개재하여 지지판 (16)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프레임판 (10)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7) 을 개재하여 지지판 (18)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9) 을 개재하여 지지판 (20)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한 대지를 조립하여, 그 주판 (8), 측판 (13, 15), 지지판 (14, 16) 에 의해 제 1 수납부 (23) 를 둘러싸며 형성하고, 또한, 그 프레임판 (10), 측판 (17, 19), 지지판 (18, 20) 에 의해 제 2 수납부 (24) 를 둘러싸며 형성하고, 또한, 상기 판상 식품 유닛 (1a) 을, 상기 연결용 대지 (6) 에서 그 지지판 (14, 16, 18, 20) 에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포장 기재 (7) 의 그 각 수납부 (23, 24) 에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의 각 수납부 (23, 24) 에 상기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각각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저판 (9) 에 대해 상기 주판 (8) 과 상기 프레임판 (10) 을 기립시키고, 상기 양 수납부 (23, 24) 를 중첩시킴으로써, 상기 양 수납부 (23, 24) 내에 상기 판상 식품 (1) 을 전후 2 열로 늘어세운 상태로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의하면, 상기 포장 기재 (31) 가, 주판 (8) 의 하측 가장자리에 저판 (9) 을 개재하여 프레임판 (10) 을, 그 주판 (8) 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결판 (11) 을 개재하여 덮개판 (12)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주판 (8)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3) 을 개재하여 지지판 (14a)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5) 을 개재하여 지지판 (16a)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프레임판 (10)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7) 을 개재하여 지지판 (18a)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9) 을 개재하여 지지판 (20a)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한 대지를 조립하여, 그 주판 (8), 측판 (13, 15), 지지판 (14a, 16a) 에 의해 제 1 수납부 (23) 를 둘러싸며 형성하고, 또한, 그 프레임판 (10), 측판 (17, 19), 지지판 (18a, 20a) 에 의해 제 2 수납부 (24) 를 둘러싸며 형성하고, 또한 그 각 지지판 (18a, 20a) � �� 유단 (遊端) 가장자리의, 그 수납부 (24) 에 수납된 상기 판상 식품 유닛 (1a) 의 연결용 대지 (6) 에 중첩되는 위치에, 취약부 (32) 를 개재하여 고착편 (33)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또한, 그 판상 식품 유닛 (1a) 을, 상기 연결용 대지 (6) 에서 그 지지판 (14a, 16a, 18a, 20a) 에 각각 고착시켜, 그 각 수납부 (23, 24) 에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8 관점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의 각 수납부 (23, 24) 에 상기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각각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저판 (9) 에 대해 상기 주판 (8) 과 상기 프레임판 (10) 을 기립시키고, 상기 양 수납부 (23, 24) 를 중첩시킴과 함께, 상기 제 1 수납부 (23) 에 수납된 상기 판상 식품 유닛 (1a) 의 상기 연결용 대지 (6) 와, 이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수납부 (24) 의 상기 고착편 (33) 을 고착시킴으로써, 상기 양 수납부 (23, 24) 내에 상기 판상 식품 (1) 을 전후 2 로 늘어세운 상태로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9 관점에 의하면, 포장체 (C) 의 제조 방법으로서,

    (ⅰ)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각각을, 포장 시트 (2) 로서, 발취부 (4), 고정부 (5) 및 양 부 사이의 취약부 (3) 로 이루어지고, 그 취약부 (3) 를 절단하고, 그 발취부 (4) 를 발취함으로써 개봉할 수 있는 포장 시트 (2) 에 의해 포장하는 개별 포장 공정;

    (ⅱ) 그 개별 포장된 복수의 판상 식품 (1) 을 그 폭 방향으로 근접시켜 정렬시키는 정렬 공정;

    (ⅲ) 정렬된 그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그 각 포장 시트 (2) 의 그 고정부 (5) 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연결용 대지 (6) 를 승재 (乘載) 하고 고정시킴으로써, 판상 식품 유닛 (1a) 을 형성하는 유닛 형성 공정;

    (ⅳ) 주판 (8) 의 하측 가장자리에 저판 (9) 을 개재하여 프레임판 (10) 을, 그 주판 (8) 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결판 (11) 을 개재하여 덮개판 (12)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주판 (8)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3) 을 개재하여 지지판 (14)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5) 을 개재하여 지지판 (16)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한 포장 기재 (41) 의 대지의 그 주판 (8) 상에, 그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그 각 연결용 대지 (6) 가 그 저판 (9) 측에 위치하도록 승재하는 대지 승재 공정;

    (ⅴ) 그 주판 (8) 에 대해, 그 측판 (13, 15), 지지판 (14, 16), 저판 (9) 및 프레임판 (10) 을 절곡하여 그 판상 식품 유닛 (1a) 을 포위하고, 그 프레임판 (10) 을 그 지지판 (14, 16) 에 고정시키는 수납 공정;

    (ⅵ) 그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그 연결용 대지 (6) 에서 그 주판 (8), 측판 (13, 15), 지지판 (14, 16), 저판 (9) 및 프레임판 (1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시키는 고정 공정; 및

    (ⅶ) 그 주판 (8) 에 대해, 그 연결판 (11) 및 덮개판 (12) 을 절곡하여 그 프레임판 (10) 과 덮개판 (12) 을 중첩시키는 중첩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C) 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0 관점에 의하면, 상기 포장 기재 (41) 의 상기 주판 (8) 상에, 복수의 상기 판상 식품 유닛 (1a) 을, 상기 각 연결용 대지 (6) 가 상기 저판 (9) 측에 위치하도록 중첩시켜 승재하는 것, 그리고 그 복수의 판상 식품 유닛 (1a) 의 각각을, 상기 주판 (8), 측판 (13, 15), 지지판 (14, 16), 저판 (9), 프레임판 (10) 및 다른 판상 식품 유닛 (1a)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C) 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1 관점에 의하면, 포장체 (A) 의 제조 방법으로서,

    (ⅰ)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각각을, 포장 시트 (2) 로서, 발취부 (4), 고정부 (5) 및 양 부 사이의 취약부 (3) 로 이루어지고, 그 취약부 (3) 를 절단하고, 그 발취부 (4) 를 발취함으로써 개봉할 수 있는 포장 시트 (2) 에 의해 포장하는 개별 포장 공정;

    (ⅱ) 그 개별 포장된 복수의 판상 식품 (1) 을 그 폭 방향으로 근접시켜 정렬시키는 정렬 공정;

    (ⅲ) 그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그 각 포장 시트 (2) 의 그 고정부 (5) 의 상면에 연결용 대지 (6) 를 승재하고 고정시킴으로써, 판상 식품 유닛 (1a) 을 형성하는 유닛 형성 공정;

    (ⅳ) 주판 (8) 의 하측 가장자리에 저판 (9) 을 개재하여 프레임판 (10) 을, 그 주판 (8) 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결판 (11) 을 개재하여 덮개판 (12)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주판 (8)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3) 을 개재하여 지지판 (14)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5) 을 개재하여 지지판 (16)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프레임판 (10)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7) 을 개재하여 지지판 (18)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9) 을 개재하여 지지판 (20)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한 포장 기재 (7) 의 대지의 그 프레임판 (10) 에, 제 1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그 연결용 대지 (6) 가 그 저판 (9) 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하여 승재하고, 제 2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그 포장 기재 (7) 의 대지의 그 주판 (8) 에, 그 연결용 대지 (6) 가 그 저판 (9) 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하여 승재하 는 대지 승재 공정;

    (ⅴ) 그 각 지지판 (14, 16, 18, 20) 을 절곡하고, 그것들의 내면을 그 주판 (8) 및 그 프레임판 (10) 상의 그 판상 식품 유닛 (1a) 의 그 연결용 대지 (6) 의 상면에 각각 고정시키는 지지판 고정 공정; 및

    (ⅵ) 그 주판 (8), 측판 (13, 15), 지지판 (14, 16)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 1 수납부 (23) 와, 그 프레임판 (10), 측판 (17, 19), 지지판 (18, 20)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 2 수납부 (24) 를 중첩시키는 중첩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A) 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2 관점에 의하면, 포장체 (B) 의 제조 방법으로서,

    (ⅰ)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각각을, 포장 시트 (2) 로서, 발취부 (4), 고정부 (5) 및 양 부 사이의 취약부 (3) 로 이루어지고, 그 취약부 (3) 를 절단하고, 그 발취부 (4) 를 발취함으로써 개봉할 수 있는 포장 시트 (2) 에 의해 포장하는 개별 포장 공정;

    (ⅱ) 그 개별 포장된 복수의 판상 식품 (1) 을 그 폭 방향으로 근접시켜 정렬시키는 정렬 공정;

    (ⅲ) 그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그 각 포장 시트 (2) 의 그 고정부 (5) 의 상면에 연결용 대지 (6) 를 승재하고 고정시킴으로써, 판상 식품 유닛 (1a) 을 형성하는 유닛 형성 공정;

    (ⅳ) 주판 (8) 의 하측 가장자리에 저판 (9) 을 개재하여 프레임판 (10) 을, 그 주판 (8) 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결판 (11) 을 개재하여 덮개판 (12)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주판 (8)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3) 을 개재하여 지지판 (14a)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5) 을 개재하여 지지판 (16a)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프레임판 (10)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7) 을 개재하여 지지판 (18a)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9) 을 개재하여 지지판 (20a)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또한, 그 각 지지판 (18a, 20a) 의 유단 가장자리에 취약부 (32) 를 개재하여 고착편 (33)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한 포장 기재 (31) 의 대지의 그 프레임판 (10) 에, 제 1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그 연결용 대지 (6) 가 그 저판 (9) 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하여 승재하고, 제 2 판상 식품 유닛 (1a) 을 , 그 포장 기재 (31) 의 대지의 그 주판 (8) 에, 그 연결용 대지 (6) 가 그 저판 (9) 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하여 승재하는 대지 승재 공정;

    (ⅴ) 그 각 지지판 (14a, 16a, 18a, 20a) 을 절곡하고, 그것들의 내면을 그 주판 (8) 및 그 프레임판 (10) 상의 그 판상 식품 유닛 (1a) 의 그 연결용 대지 (6) 의 상면에 각각 고정시키는 지지판 고정 공정; 및

    (ⅵ) 그 주판 (8), 측판 (13, 15), 지지판 (14a, 16a)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 1 수납부 (23) 와, 그 프레임판 (10), 측판 (17, 19), 지지판 (18a, 20a)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 2 수납부 (24) 를 중첩시키고, 그 제 2 수납부 (24) 측의 상기 각 고착편 (33) 과, 이에 대향하는 그 제 1 수납부 (23) 에 수납된 판상 식품 유닛 (1a) 의 그 연결용 대지 (6) 를 고착시키는 중첩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B) 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체에 의하면, 판상 식품을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음과 함께, 한 손이 비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판상 식품을 용이하게 꺼내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의 포장체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포장체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상기 포장체의 포장 기재의 대지와 연결용 대지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포장체의 포장 기재의 대지와 연결용 대지의 평면도이다.
    도 4a 는 포장 시트에 의해 포장된 판상 식품을 연결용 대지에 지지시켜 대지에 승재하고, 수납부의 지지판을 절곡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며, 도 4b 는 일단 조립한 포장 기재의 양 수납부의 중첩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포장체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상기 포장체의 포장 기재의 대지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판상 식품의 포장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관련된 포장체로부터 판상 식품을 꺼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츄잉껌, 초콜릿 등의 판상 식품의 포장체로서,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각각을, 포장 시트 (2) 로서, 발취부 (4), 고정부 (5) 및 양 부 사이의 취약부 (3) 로 이루어지고, 그 취약부 (3) 를 절단하고, 그 발취부 (4) 를 발취함으로써 개봉할 수 있는 포장 시트 (2) 에 의해 포장하고, 그 복수의 포장된 판상 식품 (1) 을 그 포장 시트 (2) 의 그 고정부 (5) 에서 연결용 대지 (6) 에 의해 연결하여 일체로 한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그 연결용 대지 (6) 에서 포장 기재 (7, 31, 41) 에 고착시켜,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포장체 (C) 의 제조 방법으로서,

    (ⅰ)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각각을, 포장 시트 (2) 로서, 발취부 (4), 고정부 (5) 및 양 부 사이의 취약부 (3) 로 이루어지고, 그 취약부 (3) 를 절단하고, 그 발취부 (4) 를 발취함으로써 개봉할 수 있는 포장 시트 (2) 에 의해 포장하는 개별 포장 공정;

    (ⅱ) 그 개별 포장된 복수의 판상 식품 (1) 을 그 폭 방향으로 근접시켜 정렬시키는 정렬 공정;

    (ⅲ) 정렬된 그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그 각 포장 시트 (2) 의 그 고정부 (5) 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연결용 대지 (6) 를 승재하고 고정시킴으로써, 판상 식품 유닛 (1a) 을 형성하는 유닛 형성 공정;

    (ⅳ) 주판 (8) 의 하측 가장자리에 저판 (9) 을 개재하여 프레임판 (10) 을, 그 주판 (8) 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결판 (11) 을 개재하여 덮개판 (12)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하고, 그 주판 (8)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3) 을 개재하여 지지판 (14)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5) 을 개재하여 지지판 (16) 을 각각 연이어 형성한 포장 기재 (41) 의 대지의 그 주판 (8) 상에, 그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그 각 연결용 대지 (6) 가 그 저판 (9) 측에 위치하도록 승재하는 대지 승재 공정;

    (ⅴ) 그 주판 (8) 에 대해, 그 측판 (13, 15), 지지판 (14, 16), 저판 (9) 및 프레임판 (10) 을 절곡하여 그 판상 식품 유닛 (1a) 을 포위하고, 그 프레임판 (10) 을 그 지지판 (14, 16) 에 고정시키는 수납 공정;

    (ⅵ) 그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그 연결용 대지 (6) 에서 그 주판 (8), 측판 (13, 15), 지지판 (14, 16), 저판 (9) 및 프레임판 (1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시키는 고정 공정; 및

    (ⅶ) 그 주판 (8) 에 대해, 그 연결판 (11) 및 덮개판 (12) 을 절곡하여 그 프레임판 (10) 과 덮개판 (12) 을 중첩시키는 중첩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C) 의 제조 방법이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관련된 포장체 (C) 를 도 5 ∼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1 은 츄잉껌, 초콜릿 등의 판상 식품이고, 2 는 판상 식품 (1) 을 포장하는 종이,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등 중 어느 것이거나, 혹은 그들 중 2 종 이상을 라미네이트한 포장 시트이고,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시트 (2) 의 일측을 되접어 판상 식품 (1) 의 폭 방향 일측 절반부를 덮고, 계속해서 포장 시트 (2) 의 길이 방향 양단부 (端部) 를 되접고, 마지막으로 포장 시트 (2) 의 타측을 되접어 포장하는 것이다. 또한, 도 7 에 있어서는, 그 일측을 되접었을 때 판상 식품 (1) 의 길이 방향 양단 외측에 생기는 포장 시트 (2) 의 접음선의 모서리부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내측으로 비스듬히 접어 넣어져 있다.

    또, 포장 순서는 상기의 순서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판상 식품 (1) 의 외주를 횡 방향 (폭 방향) 으로 싸고, 그 길이 방향 양단부를 되접음으로써 포장하는 순서에 따를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포장 시트 (2) 에 의한 포장에는, 예를 들어, 판상 식품 (1) 을 얇은 플라스틱제의 용기 내에 봉입하거나 하는 것도 포함된다.

    포장 시트 (2) 의 길이 방향의, 예를 들어, 중앙으로부터 약간 일단 (一端) 에 가까운 위치에는, 판상 식품 (1) 의 폭 방향을 따르도록, 취약부 (3) 로서의 절취선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 절취선을 따라 포장 시트 (2) 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일단측에 위치하는 고정부 (5) 와 타단측에 위치하는 발취부 (4) 를 떼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취약부 (3) 는, 포장 시트 (2) 의 양단부 사이에 인장력을 가했을 때 거기에서 절단되는 것이라면 절취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장 시트 (2) 의 재질, 두께, 단면 형상 등에 따라, 홈이나 중공의 공극 등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판상 식품 (1) 을 플라스틱제의 용기 내에 봉입하는 경우에는, 그 용기에 홈이나 중공의 공극 등을 형성함으로써 취약부 (3) 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 중, 6 은, 6 장의 판상 식품 (1) 을 그 폭 방향으로 근접시켜 정렬시키고, 그들 판상 식품의 각 포장 시트 (2) 의 고정부 (5) 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고착시킴으로써, 그들 식품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의 판상 식품 유닛 (1a) 으로 하기 위한 직사각형의 연결용 대지이다.

    또, 도면 중, 41 은 포장 기재로, 그 대지는, 주판 (8) 의 하측 가장자리에 저판 (9) 을 개재하여 프레임판 (10) 을 연이어 형성하고, 또, 주판 (8) 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결판 (11) 을 개재하여 덮개판 (12) 을 연이어 형성하였다. 저판 (9) 의 양단에는 설상편 (43) 이 각각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판 (8)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3) 을 개재하여 지지판 (14)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5) 을 개재하여 지지판 (16) 이 각각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44 는 덮개판 (12) 의 유단 가장자리의 중앙부를 튀어나오게 형성한 걸어맞춤부이고, 45 는 프레임판 (10) 에 새김눈을 넣음으로써 형성한 걸어맞춤 구멍으로, 서로 걸어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포장 기재 (41) 는, 주판 (8), 측판 (13, 15), 지지판 (14, 16), 저판 (9) 및 프레임판 (10)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납부 (42) 에 판상 식품 유닛 (1a) 을, 연결용 대지 (6) 를 저판 (9) 측에 위치시켜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납부 (42) 에 수납된 판상 식품 유닛 (1a) 은, 그 연결용 대지 (6) 에서, 그 수납부 (42) 의 저판 (9) 측의 내면, 구체적으로는 주판 (8), 측판 (13, 15), 지지판 (14, 16), 저판 (9) 및 프레임판 (10) 중 적어도 하나의 저판 (9) 측의 내면에 1 점 또는 2 점 이상에서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구성하는 판상 식품 (1) 의 수는 6 장으로 했지만, 이 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고, 연결용 대지 (6) 와 포장 기재 (41) 의 치수는 그 판상 식품 (1) 의 수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판상 식품 유닛 (1a) 의 수는 2 장으로 했지만, 이 수도 적절히 변경할 수 있고, 측판 (13, 15), 저판 (9) 및 연결판 (11) 의 치수 (폭) 는 그 판상 식품 유닛 (1a) 의 수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이 수는, 식품으로서의 볼륨이나 포장체로서의 휴대성을 고려하면 2 장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1 장만 수납하고, 더욱 얇고, 휴대성이 양호한 포장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포장체 (C) 는, 주판 (8) 상에 2 장의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그 연결용 대지 (6) 를 저판 (9) 측에 위치시키고 중첩시켜 승재한 상태에서, 주판 (8) 에 대해 측판 (13, 15) 및 저판 (9) 을 기립시키고, 또한 측판 (13, 15) 및 저판 (9) 에 대해 지지판 (14, 16) 및 프레임판 (10) 을 각각 절곡하고,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시킴으로써, 형성된 수납부 (42) 내에 2 장의 판상 식품 유닛 (1a) 을 전후 2 열로 늘어세운 상태에서 수납한 것이다.

    또한, 그 상태에서 덮개판 (12) 을 접어 포개고, 그 걸어맞춤부 (44) 를 걸어맞춤 구멍 (45) 에 걸어맞춤으로써 덮개가 닫힌다.

    이 포장체 (C) 는 판상 식품 (1) 을 2 열로 겹쳐 수납한 컴팩트한 박판 형상을 가지므로 포재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상기 각 부의 고착은, 접착제나 점착 테이프 등의 점착재 등에 의한 접착 혹은 용착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판상 식품 (1) 을 먹을 때에는, 걸어맞춤부 (44) 와 걸어맞춤 구멍 (45) 의걸어맞춤을 해제하여 덮개판 (12) 을 열고, 판상 식품 (1) 을 포장하고 있는 포장 시트 (2) 의 상부를 집어 당김으로써,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시트 (2) 를 취약부 (3) 를 따라 절단하고, 발취부 (4) 를 뽑아낸다.

    이로써, 판상 식품 (1) 의, 포장 시트 (2) 의 고정부 (5) 내에 위치하였던 부분이 노출되기 때문에, 이 부분을 손가락으로 집어 올리거나 혹은 직접 입으로 물어 용이하게 꺼내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 따라서, 먹는 사람의 한 손이 비어 있지 않은 경우 등에도 식품을 직접 물어 용이하게 꺼내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된 포장체 (C) 는,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포켓이나 백에 넣어 휴대하기 쉬운 컴팩트한 박판 형상일 뿐만 아니라, 각 판상 식품 (1) 은, 그 포장 시트 (2) 의 고정부 (5) 를, 연결용 대지 (6) 를 개재하여 포장 기재 (41) 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 또한, 덮개판 (12) 에 의해 덮개가 닫혀 있기 때문에, 운반시에 포켓이나 백 안에서 식품이 따로따로 흩어지게 되는 문제도 없다.

    또, 판상 식품 (1) 을 꺼내는 것도, 포장 시트 (2) 를 취약부 (3) 에서 절단함으로써 식품의 일부를 간단하게 노출시킬 수 있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이 포장체 (C) 를 제조 라인에서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공정순으로 설명한다.

    (개별 포장 공정)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각각을 포장 시트 (2) 로 포장한다 (도 5 의 공정 (a)).

    (정렬 공정)

    개별 포장된 6 장의 판상 식품 (1) 을 그 폭 방향으로 근접시켜 정렬시킨다 (도 5 의 공정 (b)).

    (유닛 형성 공정)

    근접하여 정렬된 6 장의 판상 식품 (1) 의 각 포장 시트 (2) 의 고정부 (5) 의 상면 및 하면에, 1 장의 직사각형의 연결용 대지 (6) 를, 그 길이 방향 중심선 을 따라 절곡한 상태에서 각각 6 장의 판상 식품 (1) 에 걸쳐 연속적으로 맞닿게 하여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시키고, 각 포장 시트 (2) 의 길이 방향의 고정부 (5) 측, 약 1/2 의 길이 부분이 연결용 대지 (6) 에 의해 양면이 덮인 판상 식품 유닛 (1a) 을 형성한다 (도 5 의 공정 (c)). 이 고착은, 요구되는 고정 강도 등에 따라, 고정부 (5) 의 상면 및 하면의 양면에 대해 실시해도 되고, 어느 일방의 면에 대해 실시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연결용 대지 (6) 로는, 종이, 플라스틱 필름, 금속박, 혹은 그들 중 2 종 이상의 복합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과 종이를 라미네이트한 알루미늄 밴드지는, 알루미늄박의 강성에 의한 높은 형태 유지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후의 공정에 있어서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또 알루미늄의 높은 열전도율 때문에 핫멜트 접착제에 접착용 히터의 열이 잘 전달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각 포장 시트 (2) 의 고정부 (5) 의 양면에 연속적으로 고착된 연결용 대지 (6) 의 판상 식품 폭 방향의 양단부는, 연결된 6 장의 판상 식품 (1) 의 폭 방향 양단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것은, 이 연장 부분을 내측으로 되접음으로써 연결용 대지 (6) 에 의한 각 포장 시트 (2) 의 유지를 보다 강고하게 하고, 이후의 판상 식품 유닛 (1a) 의 중첩 공정 등에 있어서의 판상 식품 유닛 (1a) 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연결용 대지 (6) 에 두꺼운 종이 등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보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연장 부분은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반송 공정)

    판상 식품 유닛 (1a) 을 반송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180 °회전 (반전) 시켜, 2 장의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그것들의 연장 부분을 각각 내측으로 되접은 상태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2 단 겹치게 한다 (도 5 의 공정 (d)). 그 때, 양 판상 식품 유닛의 연결용 대지 (6) 끼리는 고착시켜도 되고 고착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반전 조작은, 판상 식품 유닛 (1a) 을 수납부 (42) 내에 수납한 상태에서, 판상 식품 (1) 을 포장 시트 (2) 로 포장할 때 생기는 포장 시트 (2) 의 이음매 (50) 가 정면에 나타나지 않도록, 심미성 유지의 관점에서 실시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대지 승재 공정)

    2 단 겹치게 한 판상 식품 유닛 (1a) 을, 상기 서술한 포장 기재 (41) 의 대지의 주판 (8) 상에, 각 연결용 대지 (6) 가 저판 (9) 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하여 승재하고, 하방의 판상 식품 유닛 (1a) 을 주판 (8) 에 고착시킨다 (도 5 의 공정 (e)).

    (고정 공정)

    저판 (9) 을, 그 주판 (8) 과의 경계선에서 절곡하고, 이어서 각 설상편 (43) 을 저판 (9) 에 대해 절곡하고, 또한 측판 (13, 15) 을, 그 주판 (8) 과의 각 경계선에서 각 설상편 (43) 을 덮도록 각각 절곡하고, 이어서 지지판 (14, 16) 을, 그 측판 (13, 15) 과의 각 경계선에서 절곡하고, 그것들의 내면을 주판 (8) 상에 승재되어 있는 상방의 판상 식품 유닛 (1a) 의 연결용 대지 (6) 의 상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시킨다 (도 5 의 공정 (f)). 또한, 상기 설상편 (43) 은, 수납부 (42) 를 형성했을 때 각 측판 (13, 15) 과 저판 (9) 사이에 공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서, 심미성, 위생상, 수납부 (42) 의 기계적 강도 유지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형성되지만, 생략해도 된다. 또한, 각 지지판 (14, 16) 의 형상, 치수 등에 대해서는, 그 길이 방향 저판 (9) 측 약 절반의, 상방의 판상 식품 유닛 (1a) 의 연결용 대지 (6) 에 중첩되는 부분은, 연결용 대지 (6) 및 프레임판 (10) 과의 충분한 고착을 확보할 수 있을 만큼의 폭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각 지지판 (14, 16) 의 나머지 부분, 즉 연결판 (11) 측 약 절반의 길이 부분은 고착용으로는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완성된 포장체로부터 각 판상 식품 (1), 특히 판상 식품 유닛 (1a) 의 양단에 위치하는 각 판상 식품 (1) 을 꺼낼 때의 장애가 되지 않도록 폭이 좁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부분은 형성하지 않아도 되지만, 심미성, 위생상, 포장체의 기계적 강도 유지 등의 관점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첩 공정)

    프레임판 (10) 을 저판 (9) 에 대해 절곡하고, 프레임판 (10) 의 양단부를, 상방의 판상 식품 유닛 (1a) 의 연결용 대지 (6) 상에 고착된 지지판 (14, 16) 에 접착제 등에 의해 각각 고착시킨다 (도 5 의 공정 (g)). 프레임판 (10) 의 판상 식품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의 길이는, 상기와 같이 고착시켰을 때, 연결용 대지 (6) 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여 심미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판상 식품 (1) 을 꺼낼 때의 장애가 되지 않는 길이로 되어 있다.

    (접어 겹침 공정)

    주판 (8) 에 대해 연결판 (11) 을 절곡하고, 연결판 (11) 에 대해 덮개판 (12) 을 절곡함으로써 덮개판 (12) 을 프레임판 (10) 상에 접어 겹친다 (도 5 의 공정 (h)).

    상기 서술한 포장체 (C) 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그 공정이 간소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실시할 수 있고, 또 개개의 판상 식품 (1) 을 따로따로 흩어지게 하지 않고 확실하게 포장 기재 (41) 에 수납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관련된 포장체 (A) 를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에 있어서 실시예 1 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5 ∼ 도 8 과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면 중, 1 은 실시예 1 과 동일한 판상 식품이고, 2 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포장 시트이다. 포장 시트 (2) 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취약부 (3) 로서의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6 은, 6 장의 판상 식품 (1) 을 그 폭 방향으로 근접시켜 정렬시키고, 그들 판상 식품의 각 포장 시트 (2) 의 고정부 (5) 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고착 시킴으로써, 그들 식품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의 판상 식품 유닛 (1a) 으로 하기 위한 직사각형의 연결용 대지이다.

    또, 도면 중, 7 은 포장 기재이고, 그 대지는, 주판 (8) 의 하측 가장자리에 저판 (9) 을 개재하여 프레임판 (10) 을 연이어 형성하고, 또, 주판 (8) 의 상측 가장자리에 연결판 (11) 을 개재하여 덮개판 (12) 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주판 (8)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3) 을 개재하여 지지판 (14)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5) 을 개재하여 지지판 (16) 이 각각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판 (10) 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7) 을 개재하여 지지판 (18) 을, 우측 가장자리에는 측판 (19) 을 개재하여 지지판 (20) 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21 은 덮개판 (12) 의 유단 가장자리에 돌출시켜 형성한 걸어맞춤 편이고, 22 는 저판 (9) 과 프레임판 (10) 사이에 새김눈을 넣음으로써 형성한 걸어맞춤 구멍으로, 서로 걸어맞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포장 기재 (7) 는, 주판 (8), 측판 (13, 15), 지지판 (14, 16)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 1 수납부 (23) 에 제 1 판상 식품 유닛 (1a) 을 수납하고, 또, 프레임판 (10), 측판 (17, 19), 지지판 (18, 20)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되는 제 2 수납부 (24) 에, 제 2 판상 식품 유닛 (1a) 을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수납부 (23, 24) 에 수납된 각 판상 식품 유닛 (1a) 은, 그 연결용 대지 (6) 에서, 절곡된 지지판 (14, 16, 18, 20) 의 내면에 각각 고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구성하는 판상 식품 (1) 의 수는 6 장으로 했지만, 이 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고, 연결용 대지 (6) 와 포장 기재 (7) 의 치수는 그 판상 식품 (1) 의 수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포장체 (A) 는, 제 1 및 제 2 수납부 (23, 24) 에 각각 판상 식품 유닛 (1a) 을 수납한 상태에서, 저판 (9) 에 대해 주판 (8) 과 프레임판 (10) 을 기립시키고, 양 수납부 (23, 24) 를 접어 포개어 중첩시킴과 함께, 서로 대향하게 되는 제 1 수납부 (23) 측의 지지판 (14, 16) 과 제 2 수납부 (24) 측의 지지판 (18, 20) 의 외면끼리를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시킴으로써, 합체된 수납부 (23, 24) 내에 판상 식품 (1) 을 전후 2 열로 늘어세운 상태에서 수납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지지판 (14, 16) 과 지지판 (18, 20) 의 상호 접착은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그 상태에서 덮개판 (12) 을 접어 포개고, 그 걸어맞춤편 (21) 을 걸어맞춤 구멍 (22) 에 걸어맞춤으로써 덮개가 닫힌다.

    이 포장체 (A) 는 판상 식품 (1) 을 2 열로 겹쳐 수납한 컴팩트한 박판 형상을 갖기 때문에 포재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상기 각 부의 고착은, 접착제나 점착 테이프 등과 같은 점착재 등에 의한 접착 혹은 용착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판상 식품 (1) 을 먹을 때에는, 실시예 1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 편 (21) 과 걸어맞춤 구멍 (22) 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덮개판 (12) 을 열고, 각 판상 식품 (1) 이 포장되어 있는 포장 시트 (2) 의 상부를 집어 당김으로써 포장 시트 (2) 를 취약부 (3) 를 따라 절단하고, 발취부 (4) 를 뽑아낸다.

    이로써, 판상 식품 (1) 의 상부가 노출되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집어 올리거나 혹은 직접 입으로 물어 용이하게 꺼내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 따라서, 먹는 사람의 한 손이 비어 있지 않은 경우 등에도 식품을 직접 입으로 물어 용이하게 꺼내어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된 포장체 (A) 는,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포켓이나 백에 넣어 휴대하기 쉬운 컴팩트한 박판 형상일 뿐만 아니라, 각 판상 식품 (1) 은 연결용 대지 (6) 를 개재하여 포장 기재 (7) 에 대해 고착되어 있고, 또한, 덮개판 (12) 에 의해 덮개가 닫혀 있기 때문에, 운반시에 포켓이나 백 안에서 따로따로 흩어지게 되는 문제도 없다.

    또, 판상 식품 (1) 을 꺼내는 것도, 포장 시트 (2) 를 취약부 (3) 에서 절단함으로써 식품의 상부를 간단하게 노출시킬 수 있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이 포장체 (A) 를 제조 라인에서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를 공정순으로 설명한다.

    (개별 포장 공정)

    복수의 판상 식품 (1) 의 각각을 포장 시트 (2) 로 포장한다 (도 1 의 공정 (a)).

    (정렬 공정)

    개별 포장된 6 장의 판상 식품 (1) 을 그 폭 방향으로 근접시켜 정렬시킨다 (도 1 의 공정 (b)).

    (유닛 형성 공정)

    근접하여 정렬된 6 장의 판상 식품 (1) 의 각 포장 시트 (2) 의 고정부 (5) 의 상면에 연결용 대지 (6) 를 연속적으로 승재하고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시켜, 판상 식품 유닛 (1a) 을 형성한다 (도 1 의 공정 (c)). 또한, 도면 중, 25 는 연결용 대지 (6) 를 공급하기 위한 대지 매거진이다.

    (반송 공정)

    1 쌍의 판상 식품 유닛 (1a) 을 2 열로 하여 평행하게 반송하면서, 그 일방을 수평 방향으로 180 °회전시켜 타방의 판상 식품 유닛 (1a) 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방향을 전환시킨다 (도 1 의 공정 (d)).

    (대지 승재 공정 1)

    별도 반송 중인 포장 기재 (7) 의 대지의 프레임판 (10) 에, 상기 2 열 상태에서 반송 중인 일방의 열의 판상 식품 유닛 (1a) 을, 연결용 대지 (6) 가 저판 (9) 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하여 승재한다. 또, 대지의 측판 (13, 15, 17, 19) 을 그 주판 (8) 및 프레임판 (10) 과의 각 경계선에서, 지지판 (14, 16, 18, 20) 과 함께 기립시킨다 (도 1 의 공정 (e)).

    (대지 승재 공정 2)

    이어서, 타방의 열로 하여 반송 중인 판상 식품 유닛 (1a) 을, 포장 기재 (7) 의 대지의 주판 (8) 에, 그 연결용 대지 (6) 가 저판 (9) 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하여 승재한다.

    (지지판 고정 공정)

    지지판 (14, 16, 18, 20) 을, 그 측판 (13, 15, 17, 19) 과의 각 경계선에서 절곡하고, 그것들의 내면을 주판 (8) 및 프레임판 (10) 상에 승재되어 있는 각 판상 식품 유닛 (1a) 의 연결용 대지 (6) 의 상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시킨다 (도 1 의 공정 (f)).

    (중첩 공정)

    수납부 (24) 를 수납부 (23) 상에 접어 포개어 중첩시키고, 필요하게 따라 서로 대향하는 지지판 (18) 과 지지판 (14), 지지판 (20) 과 지지판 (16) 을 각각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시킨다 (도 1 의 공정 (g)).

    (접어 겹침 공정)

    주판 (8) 에 대해 연결판 (11) 을, 연결판 (11) 에 대해 덮개판 (12) 을, 각각 절곡함으로써 덮개판 (12) 을 프레임판 (10) 상에 접어 겹친다 (도 1 의 공정 (h)).

    상기의 포장체 (A) 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그 공정이 간소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실시할 수 있고, 또 개개의 판상 식품 (1) 을 따로따로 흩어지게 하지 않고 확실하게 포장 기재 (7) 에 수납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2 에 관련된 포장체 (A) 와는 포장 기재의 형태가 상이한 본 실시예에 관련된 포장체 (B) 를 도 3, 도 4a 및 도 4b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포장 기재 (31) 의 실시예 2 의 포장 기재 (7) 와의 주된 차이점은, 지지판의 형상이기 때문에, 도면 중에서 실시예 2 의 포장 기재 (7) 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 와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본 포장 기재 (31) 의 대지의 지지판 (14a, 16a, 18a, 20a) 에는, 각각 그 상측에 노치 (14b, 16b, 18b, 20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판 (18a, 20a) 의 각 유단 가장자리에는, 제 2 수납부 (24) 에 수납되는 판상 식품 유닛 (1a) 의 연결용 대지 (6) 에 중첩되는 위치에, 취약부 (32) 를 개재하여 고착편 (33) 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이 포장 기재 (31) 의 제조에 있어서는, 실시예 2 의 포장 기재 (7) 와 동일한 제조 공정에 의해, 2 개의 판상 식품 유닛 (1a) 을 각각 각 수납부 (23, 24) 에 수납한다.

    실시예 2 의 포장체 (A) 에 대한 제조 공정과의 차이점은, 중첩 공정에 있어서, 수납부 (23) 와 수납부 (24) 를 접어 포개어 중첩시킬 때, 지지판 (18a, 20a) 과, 이들에 대향하는 지지판 (14a, 16a) 을 고착시키지 않고, 상기 각 고착편 (33) 의 상면과 수납부 (23) 에 수용된 판상 식품 유닛 (1a) 의 연결용 대지 (6) 를 고착시키는 점이다.

    그리고 실시예 1 의 제조 공정과 동일하게 접어 겸침 공정을 거쳐, 포장체 (B) 에는, 양 수납부 (23, 24) 내에 판상 식품 (1) 이 2 열로 겹쳐 수납된 상태가 된다.

    본 포장체 (B) 의, 실시예 2 에 관련된 포장체 (A) 와 비교한 경우의 이점은 이하와 같다.

    즉, 본포장체 (B) 에 있어서는, 고착편 (33) 과 제 1 수납부 (23) 측의 연결용 대지 (6) 가 접착됨으로써 양 수납부 (23, 24) 의 중첩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 고착, 중첩된 수납부 (23) 와 수납부 (24) 를 다시 열면, 고착편 (33) 이 취약부 (32) 에서 절단되고, 제 1 수납부 (23) 측의 연결용 대지 (6) 에 고착된 상태로 남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양 수납부 (23, 24) 의 대향면에 접착제 등을 벗겨낸 흔적이 남지 않는다 (도 4b). 따라서, 중첩된 양 수납부 (23, 24) 를 열어 판상 식품 (1) 을 꺼내는 경우에도 포장 기재 (31) 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청결감, 신선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출원은 2008년 2월 1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8-036714 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그 내용을 인용하여 본 출원의 일부로 하는 것이다.

    A, B : 포장체 1 : 판상 식품
    1a : 판상 식품 유닛 2 : 포장 시트
    3 : 취약부 4 : 발취부
    5 : 고정부 6 : 연결용 대지
    7 : 포장 기재 8 : 주판
    9 : 저판 10 : 프레임판
    11 : 연결판 12 : 덮개판
    13 : 측판 14 : 지지판
    14a : 지지판 14b : 노치
    15 : 측판 16 : 지지판
    16a : 지지판 16b : 노치
    17 : 측판 18 : 지지판
    18a : 지지판 18b : 노치
    19 : 측판 20 : 지지판
    20a : 지지판 20b : 노치
    21 : 걸어맞춤편 22 : 걸어맞춤 구멍
    23 : 수납부 24 : 수납부
    25 : 대지 매거진 31 : 포장 기재
    32 : 취약부 33 : 고착편
    41 : 포장 기재 42 : 수납부
    43 : 설상편 44 : 걸어맞춤부
    45 : 걸어맞춤 구멍 50 : 이음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