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게비온

申请号 KR1020080126176 申请日 2008-12-11 公开(公告)号 KR1020100067565A 公开(公告)日 2010-06-21
申请人 진혜경; 发明人 진혜경;
摘要 PURPOSE: An eco gabion is provided to provided various gabion shapes, and to apply natural materials and recycled materials to the gabion, and to stabilize the structure of the gabion. CONSTITUTION: An eco gabion is composed as follows. A net type gabion net(2-2), a flat type gabion net(2-3), a net type gabion bag, or a flat type gabion bag is used as the eco gabion. The gabion net or the gabion bag is filled with filler or mixture, and the filler or the mixture is covered by the gabion net or the gabion bag.
权利要求
  • 건설공사, 토목공사, 건축공사, 도로공사, 환경공사, 조경공사에 적용되는 것으로,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내부에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담겨지거나, 또는 상기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의하여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감싸여지는 것으로,
    상기 게비온망은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담거나 또는 감쌀 수 있는 망으로서, 이는 격자망으로 구성되고, 이에는 망태형게비온망 및 평면형게비온망이 있고,
    상기 격자망은 격자형상을 가진 망으로서, 이는 철망을 기본으로 하나, 필요시 철망 대신에 강재망, 알루미늄망, SUS(steel use stainless)망, STS(stainless steel)망, 도금망, 기타금속망, 플라스틱망, 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망, PE(polyethylene)망, PP(polypropylene)망, 기타고분자합성망 중의 어느 하나도 가능하고,
    상기 도금망은 철망, 강재망, 알루미늄망, SUS망, STS망, 기타금속망 중 어느 하나의 표면을 아연, 니켈, 크롬 중의 어느 하나로 도금한 망이고,
    상기 기타금속망은 상기 철망, 강재망, 알루미늄망, SUS망, STS망, 도금망을 제외한 기타의 금속재로 된 금속망을 나타내고,
    상기 기타고분자합성망은 플라스틱망, FRP망, PE망, PP망을 제외한 기타의 고분자합성재로 된 고분자합성망을 나타내고,
    상기 망태형게비온망은 내부는 가운데가 빈 중공이고 외부는 격자망으로 형성된 일정한 입체형상을 가지는 망태형의 게비온망으로서, 이는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담는 기능을 하고,
    상기 평면형게비온망은 평면의 격자망으로 형성된 일정한 평면형상을 가지는 평면형의 게비온망으로서, 이는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감싸는 기능을 하고,
    상기 게비온마대는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담거나 또는 감쌀 수 있는 마대로서, 이는 마대포로 구성되고, 이에는 망태형게비온마대 및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있고,
    상기 마대포는 시트형상을 가진 포 또는 막으로서, 이는 섬유포, 섬유막, 종이포, 종이막, 고무포, 고무막, 비닐포, 비닐막, 플라스틱포, 플라스틱막, FRP포, FRP막, PE포, PE막, PP포, PP막, 기타고분자합성포, 기타고분자합성막 중의 어느 하나이고, 이는 재질이 불투수성 또는 투수성의 성질을 가지고,
    상기 섬유포 또는 섬유막은 천연섬유 또는 인공섬유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만들어진 포 또는 막이고,
    상기 기타고분자합성포 또는 기타고분자합성막은 고무포, 고무막, 비닐포, 비닐막, 플라스틱포, 플라스틱막, FRP포, FRP막, PE포, PE막, PP포, PP막을 제외한 기타의 고분자합성재로 된 고분자합성포 또는 기타고분자합성막을 나타내고,
    상기 불투수성은 상기 마대포의 재질 자체가 불투수성이거나, 또는 상기 마대포에 방수액을 함침(1)시키거나 또는 방수막이 덧대어져 조성된 것이고,
    상기 방수액은 우레탄, 에폭시, 아크릴, 레진, 몰탈, 본드, 폴리머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함침(1)은 상기 마대포에 상기 방수액을 혼입 또는 주입 또는 흡입시킨 것이고,
    상기 방수막은 비닐, 셀루로즈필름, 고무막, 방수종이, 기름종이, 방수시이트, 고분자합성막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덧대어져 조성된 것은 망태형게비온마대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방수막이 추가로 겹치어 덧대어져서 불투수성이 조성된 것이고,
    상기 투수성은 상기 마대포의 재질 자체가 투수성이거나, 또는 상기 마대포에 일정한 크기의 구멍 또는 슬롯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조성된 것이고,
    상기 구멍은 원형, 타원형, 둥근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중의 어느 하나 형상이고,
    상기 슬롯은 일정한 길이 및 폭을 가진 절개 형상이고,
    상기 둥근형은 원형, 타원형을 제외한 기타의 둥근모양을 가진 구멍이고,
    상기 다각형은 사각형, 삼각형을 제외한 기타의 다각모양을 가진 구멍이고,
    상기 구멍 또는 슬롯은 식생 또는 배수 또는 공기소통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망태형게비온마대는 내부는 가운데가 빈 중공이고 외부는 마대포로 형 성된 일정한 입체형상을 가지는 망태형의 게비온마대로서, 이는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담는 기능을 하고,
    상기 평면형게비온마대는 평면의 마대포로 형성된 일정한 평면형상을 가지는 평면형의 게비온마대로서, 이는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감싸는 기능을 하고,
    상기 입체형상의 종류에는 통형, 박스형, 톤백형, 비닐백형, 일반백형, 가마니형, 자루형, 가방형이 있고,
    상기 입체형상에는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주입될 수 있는 입구가 있고,
    상기 입체형상은 입체의 외곽을 형성하는 가두리 형태에 따라 일부가두리형 및 전체가두리형이 있고,
    상기 통형의 종류에는 원통형, 타원통형, 둥근통형, 사각통형, 삼각통형, 다각통형이 있고,
    상기 둥근통형은 원통형, 타원통형을 제외한 기타의 둥근모양 단면을 가진 통이고,
    상기 다각통형은 사각통형, 삼각통형을 제외한 기타의 다각모양 단면을 가진 통이고,
    상기 박스형의 종류에는 원박스형, 타원박스형, 둥근박스형, 사각박스형, 삼각박스형, 다각박스형이 있고,
    상기 둥근박스형은 원박스형, 타원박스형을 제외한 기타의 둥근모양 단면을 가진 박스이고,
    상기 다각박스형은 사각박스형, 삼각박스형을 제외한 기타의 다각모양 단면을 가진 박스이고,
    상기 톤백형은 1톤 이상의 대용량을 담을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비닐백형은 비닐백 형상을 가진 것이고,
    상기 일반백형은 일반백 형상을 가진 것이고,
    상기 가마니형은 가마니 형상을 가진 것이고,
    상기 자루형은 자루 형상을 가진 것이고,
    상기 가방형은 가방 형상을 가진 것이고,
    상기 일부가두리형은 상기 입체형상을 형성하는 전체 외곽 부분 중에 일부 외곽 부분만 가두리가 있고 일부 외곽 부분은 가두리가 없는 것이고,
    상기 가두리가 없는 부분은 개방된 것이고,
    상기 전체가두리형은 상기 입체형상을 형성하는 전체 외곽 부분이 모두 가두리가 있는 것이고,
    상기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의 평면형상은 롤형 또는 판넬형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롤형은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두루마리의 롤형식으로 말아진 것이고,
    상기 판넬형은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일정의 크기의 판넬형식으로 판넬화된 것이고,
    상기 혼합재는 채움재와 식생포가 합쳐진 재료이고,
    상기 채움재는 암석, 돌, 쇄석, 자갈, 골재, 순환골재, 토사, 흙, 모래, 연약토, 고화토, 시멘트몰탈, 시멘트콘크리트, 아스팔트콘크리트, 레미콘, 준설토, 슬러지, 슬래그, 소각회, 굴껍질, 조개껍질, 폐콘크리트, 폐석회, 폐석고, 폐주물사, 폐토석, 폐기물, 석분, 돌가루, 버력, 잔토, 자생식물, 표토, 심토, 자생씨앗, 현지부엽토 중의 어느 하나로 된 하나재료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혼합재료이고,
    상기 혼합에서 혼합비율은 상기 혼합되는 각각의 하나재료가 중량비로 1-99%의 범위를 가지고 전체 혼합비율은 100%가 되고,
    상기 순환골재는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성된 재생골재이고,
    상기 고화토는 토사, 흙, 모래, 연약토, 준설토, 폐토석, 석분, 돌가루, 버력, 잔토 중의 어느 하나에 고화제를 첨가하여 단단하게 고형화한 것이고,
    상기 폐기물은 생활폐기물, 상업폐기물, 산업폐기물, 지정폐기물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자생식물은 해당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식물이고,
    상기 표토는 해당지역을 덮고 있는 표층의 토사이고,
    상기 심토는 해당지역을 덮고 있는 표층 하부의 토사이고,
    상기 표층은 지표에서부터 1m 까지의 깊이이고,
    상기 자생씨앗은 해당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식물의 씨앗이고,
    상기 현지부엽토는 해당지역의 표면에 쌓여 있는 부엽토이고,
    상기 식생포는 섬유포 자체 또는 섬유포에 영양분 및 종자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함침된 것이고,
    상기 섬유포는 고분자합성섬유포 또는 천연섬유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1겹 또는 2겹 또는 2겹 이상으로 구성된 일정한 크기를 가진 포이고,
    상기 천연섬유포는 나무줄기, 나무잎, 볏짚, 마, 코이어넷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만들어진 것이고,
    상기 섬유포가 1겹 시에는 상기 영양분 및 종자가 1겹의 섬유포 내부에 함침(2)되고,
    상기 섬유포가 2겹 시에는 상기 영양분 및 종자가 각각 1겹의 섬유포 내부에 함침(2)되거나 또는 2겹의 섬유포 사이에 내재되고,
    상기 섬유포가 2겹 이상 시에는 상기 영양분 및 종자가 각각 1겹의 섬유포 내부에 함침(2)되거나 또는 2겹 이상 다수겹의 섬유포 사이에 내재되고,
    상기 함침(2)은 상기 섬유포에 영양분 및 종자를 혼입 또는 주입 또는 흡입시킨 것이고,
    상기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또는 식생포는 모양 또는 글자의 형성여부에 따라 문양형 및 일반형이 있고,
    상기 문양형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또는 식생포의 전체 또는 일정 부위에 모양 또는 글자가 인쇄되거나, 또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또는 식생포의 전체 또는 일정 부위에 모양 또는 글자가 성형된 것이고,
    상기 성형된 것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또는 식생포의 전체 또는 일정 부위에 모양 또는 글자가 판금된 것으로서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또는 식생포의 전체 또는 일정 부위가 모양 또는 글자의 형상을 따라 굴곡을 이루는 것이고,
    상기 일반형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또는 식생포 표면에 모양 또는 글자가 인쇄되거나 판금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게비온
  • 건설공사, 토목공사, 건축공사, 도로공사, 환경공사, 조경공사에 적용되는 것으로,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어 1층 이상 적층되고,
    상기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또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상호 간에 연결고리, 연결선,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결합키, 배수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되거나 또는 가미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연결고리, 연결선,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결합키의 재질은 철재, 강재, 알루미늄재, SUS재, STS재, 도금재, 프라스틱재, FRP재, 나일론재, 목재, 콘크리트재 중의 어느 하나로 된 하나재료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혼합재료이고,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일정한 부위에 형성된 고리로서, 상기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상호간에 연결선이 끼워져 상호 연결될 때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상기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결합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연결될 때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연결고리에 끼워져 다수의 연결고리를 결합시키거나 또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일정부위에 결속되어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결합키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연결되어 배면 지반속에 묻히거나 또는 배면 지반 표면에 포설되어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인발, 활동, 전단에 저항하는 것이고,
    상기 그리드는 격자망으로 구성된 망형 보강재이고, 이에는 지오그리드, 철망그리드, 와이어메쉬가 있고,
    상기 그리드는 배면 지반 속에 묻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거나 또는 배면 지반 표면에 포설되어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고,
    상기 스트립은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크고 또한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형상을 가진 판형 보강재이고,
    상기 앵카는 철봉, 강봉, 알루미늄봉, STS봉, 플라스틱봉, FRP봉, 나일론봉 중의 어느 하나가 배면지반에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천공 삽입되고 천공구멍이 그라우팅 된 보강재이고,
    상기 보강봉은 철봉, 강봉, 알루미늄봉, STS봉, 플라스틱봉, FRP봉, 나일론봉 중의 어느 하나가 배면지반에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천공 삽입되고 천공구멍이 그라우팅 되지 않은 보강재이고,
    상기 네일은 철근, 철선, 강선 중의 어느 하나가 배면지반에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천공 삽입된 보강재이고,
    상기 파일은 콘크리트말뚝, 철재말뚝, 목재말뚝 중의 어느 하나가 배면지반에 수직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천공 삽입된 보강재이고,
    상기 볼트는 배면이 콘크리트인 경우 콘크리트못, 강재볼트 중의 어느 하나가 콘크리트면에 천공되어 삽입되거나 기 삽입된 보강재이고,
    상기 전단키(shear key)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봉에 저항키가 1개 이상 부착된 보강재이고,
    상기 저항키는 소정의 길이 및 두께를 가진 막대 또는 소정의 면적 및 두께를 가진 판이고,
    상기 미끄럼방지키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봉에 브러시침이 1개 이상 다발형태로 부착된 보강재이고,
    상기 브러시침은 소정의 길이 및 두께를 가진 침이고,
    상기 결합키는 상하 및 좌우로 서로 이웃하는 게비온망 및 게비온마대 간에 설치되어 게비온망 간의 또는 게비온마대 간의 또는 게비온망 및 게비온마대 간의 결합을 도모하는 것이고,
    상기 결합키에는 봉형결합키, 격자형결합키, 판형결합키가 있고,
    상기 봉형결합키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결합봉에 결합핀이 1개 이상 부착된 것이고,
    상기 격자형결합키는 소정의 면적을 가진 결합격자에 결합핀이 1개 이상 부착된 것이고,
    상기 판형결합키는 소정의 면적을 가진 결합판에 결합핀이 1개 이상 부착된 것이고,
    상기 결합핀은 뾰족한 형상을 가진 것으로, 뾰족한 형상의 아래부분은 결합봉, 결합격자, 결합판에 정착되고 뾰족한 형상의 선단부분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침투되어 결합을 도모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정착은 상기 결합봉, 결합격자, 결합판의 둘레, 주변, 선단, 표면, 일면, 양면, 측면의 어디에도 가능하고,
    상기 배수재에는 내부배수재, 측면배수재, 배면배수재가 있고,
    상기 배수재로는 무공관, 유공관, 섬유포, 다발관, 섬유포유공관, 섬유포다발관, 자갈, 모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상기 내부배수재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내부에 설치되는 배수재이고,
    상기 측면배수재는 이웃하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사이의 측면에 설치되는 배수재이고,
    상기 배면배수재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배면에 설치되는 배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게비온
  • 건설공사, 토목공사, 건축공사, 도로공사, 환경공사, 조경공사에 적용되는 것으로,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상기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 내부에 채움재가 담겨지거나, 또는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의하여 채움재가 감싸여지는데 있어서, 굴착장치, 파쇄장치, 선별장치, 포설장치,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굴착장치는 지중 또는 지상에 놓여진 채움재를 굴착하는 장치이고, 이에는 포크레인, 페이로더, 쇼벨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이는 파쇄장치, 선별장치, 포설장치,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채움재를 공급하고,
    상기 파쇄장치는 채움재를 원래 크기보다 더 작은 크기로 파쇄하는 장치이고, 이에는 파쇄기가 사용되고, 이는 선별장치, 포설장치,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채움재를 공급하고,
    상기 선별장치는 채움재를 입도선별하는 장치이고, 이에는 원형트롬멜선별기 또는 평면스크린선별기가 사용되고, 이는 포설장치,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채움재를 공급하고,
    상기 포설장치는 채움재를 포설하는 장치이고, 이는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 면형게비온마대에 의하여 채움재가 감싸여지는 경우에 적용되고, 이에는 포크레인, 도쟈, 그레이더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포설장치 대신에 인력의 적용도 가능하고,
    상기 포설은 바닥에 깔려진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의 위에 채움재가 펼쳐 놓이는 것이고,
    상기 적재장치는 채움재를 뜨거나 퍼서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공급하는 장치이고, 이에는 포크레인, 페이로더, 쇼벨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이송장치는 채움재를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공급하는 장치이고, 이에는 벨트콘베이어가 사용되고,
    상기 저장장치는 채움재를 저장하여 투입장치 또는 깔대기장치로 공급하는 장치이고, 이는 저장박스 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저장박스, 게이트, 게이트조절기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저장박스는 채움재를 저장하는 박스이고,
    상기 게이트는 저장박스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개폐문이고,
    상기 게이트조절기는 게이트의 개폐를 조절하는 장치이고,
    상기 투입장치는 슈트장치 또는 호스장치 중의 어느 하나이고, 이는 채움재를 깔대기장치로 투입시키거나 또는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주입시키는 것이고,
    상기 슈트장치는 미끄럼틀과 같은 형상으로 미끄럼틀을 통하여 채움재를 투 입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호스장치는 가운데가 중공인 호스를 통하여 채움재를 투입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투입장치 대신에 인력의 적용도 가능하고,
    상기 인력은 사람이 직접 손, 삽, 쟁기, 갈고리, 호미, 널판, 쇼벨 등을 사용하는 것이고,
    상기 깔대기장치는 투입틀 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투입틀, 깔대기, 투입구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이는 채움재를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주입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투입틀은 격자봉이 조합되어 만들어진 자립성의 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게비온
  • 건설공사, 토목공사, 건축공사, 도로공사, 환경공사, 조경공사에 적용되는 것으로,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굴착장치, 파쇄장치, 선별장치, 포설장치,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되어 채움재 또는 식생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담겨지거나 또는 감싸여지고, 연결고리, 연결선,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결합키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 또는 가미된 것이 1층 이상 적층된 게비온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가 사용되어 형성되는 게비온구조체는, 상기 굴착장치, 파쇄장치, 선별장치의 전체 또는 부분에 의하여 채움재가 현지에서 획득되는 공정, 상기 채움재가 현지가 아닌 외부에서 반입되는 공정, 상기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의 전체 또는 부분에 의하여 채움재가 이송저장되는 공정, 상기 식생포가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투입되는 공정, 상기 투입장치, 깔대기장치의 전체 또는 부분에 의하여 채움재가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투입되는 공정, 상기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채움재가 담겨지는 공정, 채움재가 담겨진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를 봉합하는 공정, 상기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가 적층되는 공정, 상기 결� �키가 서로 이웃하는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 사이에 설치되는 공정, 상기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하나 이상이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가 적층되는 배면에 설치되는 공정, 상기 설치된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하나 이상이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연결되는 공정, 상기 설치된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하나 이상에 토사가 성토되는 공정으로 구성되고,
    상기 봉합하는 공정에서 봉합은 엮는방식, 묶는방식, 쟈크방식, 단추방식, 호크방식 중의 어느 하나 방식으로 되고,
    상기 엮는방식은 철선 또는 끈으로 엮어서 봉합하는 것이고,
    상기 묶는방식은 철선 또는 끈으로 묶어서 봉합하는 것이고,
    상기 쟈크방식은 쟈크를 닫아 봉합하는 것이고,
    상기 단추방식은 단추를 끼워 봉합하는 것이고,
    상기 호크방식은 암놈 및 수놈의 호크를 서로 끼워 봉합하는 것이고,
    상기 엮는방식, 묶는방식, 쟈크방식, 단추방식, 호크방식에 적용되는 철선 또는 끈, 쟈크, 단추, 호크는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기성제품으로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봉합시 부착이 되고,
    상기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이용되어 형성되는 게비온구조체는, 상기 굴착장치, 파쇄장치, 선별장치의 전체 또는 부분에 의하여 채움재가 현지에서 획득되는 공정, 상기 채움재가 현지가 아닌 외부에서 반입되는 공정, 상기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의 전체 또는 부분에 의하여 채움재가 이송저장되는 공정, 상기 식생포가 상기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부착되는 공정, 상기 포설장치에 의하여 채움재가 포설되는 공정, 상기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포설된 채움재를 감싸는 공정, 상기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적층되는 공정, 상기 결합키가 서로 이웃하는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 사이에 설치되는 공정, 상기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하나 이상이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적층되는 배면에 설치되는 공정, 상기 설치된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하나 이상이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 게비온마대에 연결되는 공정, 상기 설치된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하나 이상에 토사가 성토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게비온
  •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1층 이상 적층되어 형성된 게비온구조체가 흙막이구조체, 낙석유출방지구조체, 침식방지구조체, 화단조성대, 옹벽구조체, 도로중앙분리대, 사면보호구조체, 사면보강구조체, 어류서식소, 동물이동통로, 충격흡수대, 방호벽, 제방, 호안보호층, 호안식생대, 폐기물매립장차수재보호층, 폐기물매립장차수보호재보호층, 폐기물매립장사면보호층, 폐기물매립장사면복토층, 폐기물매립장침출수배수층, 폐기물매립장가스배제층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흙막이구조체는 흙에 의한 토압을 지탱하는 구조체이고,
    상기 게비온구조체가 흙막이구조체로 사용되는 경우 이는 게비온구조체가 기존의 시이트파일흙막이, H파일토류판흙막이, 슬러리월흙막이 중의 어느 하나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낙석유출방지구조체는 암석이 낙석되어 멀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체이고,
    상기 침식방지구조체는 바람, 물, 홍수, 쓰나미, 산사태 등에 의하여 흙이나 구조물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체이고,
    상기 화단조성대는 화단을 조성하는 조성대이고,
    상기 옹벽구조체는 옹벽 기능을 하는 구조체이고,
    상기 게비온구조체가 옹벽구조체로 사용되는 경우 이는 석축, 축대, 콘크리트옹벽, 보강토옹벽 대신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도로중앙분리대는 도로의 중앙을 분리하는 분리대이고,
    상기 사면보호구조체는 사면을 보호하는 구조체이고,
    상기 사면보강구조체는 사면을 보강하는 구조체이고,
    상기 사면보호구조체 및 사면보강구조체에서 사면은 토사사면, 암반사면, 콘크리트사면, 고분자합성재사면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토사사면은 사면의 표면이 토사로 이루어진 사면이고,
    상기 암반사면은 사면의 표면이 암반으로 이루어진 사면이고,
    상기 콘크리트사면은 사면의 표면이 콘크리트로 된 사면이고,
    상기 고분자합성재사면은 사면의 표면이 고분자합성재로 된 사면이고,
    상기 고분자합성재는 지오텍스타일, 지오그리드, 지오콤포지트, 지오멤브레인, 지오셀, 지오네트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어류서식소는 어류가 서식하는 구조체이고,
    상기 동물이동통로는 동물이 이동하는 통로이고,
    상기 충격흡수대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흡수대이고,
    상기 방호벽은 방호를 위한 벽체이고,
    상기 제방은 둑을 형성하는 구조체이고,
    상기 호안보호층은 호안을 보호하는 구조체이고,
    상기 호안식생대는 호안에 식생을 조성하는 식생대이고,
    상기 폐기물매립장차수재보호층은 폐기물매립장 내부에 설치된 차수재를 보호하는 층이고,
    상기 차수재는 점토차수층, 흙벤토나이트차수층, 고화차수층, 지오멤브레인, 벤토나이트매트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폐기물매립장차수보호재보호층은 폐기물매립장에 설치된 차수보호재를 보호하는 층이고,
    상기 차수보호재는 차수재 상부에 놓이는 지오콤포지트, 지오텍스타일, 지오네트, 지오셀, 지오그리드, 폐타이어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폐기물매립장사면보호층은 폐기물매립장토사사면부 또는 폐기물매립장폐기물사면부의 보호를 위한 층이고,
    상기 폐기물매립장사면복토층은 폐기물매립장토사사면부 또는 폐기물매립장폐기물사면부의 복토를 위한 층이고,
    상기 폐기물매립장토사사면부는 폐기물매립장의 지하부분 및 지상부분에서 토사로 이루어진 사면부를 나타내고,
    상기 폐기물매립장폐기물사면부는 폐기물매립장의 지하부분 및 지상부분에서 폐기물로 이루어진 사면부를 나타내고,
    상기 폐기물매립장침출수배수층은 폐기물매립장의 침출수 배수를 위한 층이 고,
    상기 폐기물매립장가스배제층은 폐기물매립장의 가스 배제를 위한 층이고,
    상기 폐기물매립장침출수배수층 및 폐기물매립장가스배제층은 수평방향, 경사방향, 수직방향 중의 어느 하나 이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게비온
  •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는 1층 이상 적층되어 사용시 독립사용 또는 복합사용 중의 어느 하나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독립사용은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가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복합사용은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상호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상호결합은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순서에 관계없이 혼용되어 적층되거나, 또는 망태형게비온망 및 망태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의 내부에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삽입되거나, 또는 평면형게비온망 및 평면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하여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 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이상이 감싸여지는 것이고,
    상기 감싸여지는 것에는 한층감싸기방식 및 다층감싸기방식이 있고,
    상기 한층감싸기방식은 적층되는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개별 층별로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의하여 감싸여지는 것이고,
    상기 다층감싸기방식은 적층되는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의 2개 이상 층이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의하여 감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코게비온
  • 说明书全文

    에코게비온{Eco gabion}

    본 발명은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에코게비온에 관한 것이다.

    토목공사 또는 도로공사에서 암석의 붕락방지 및 노출사면의 보강을 위하여 부분적으로 돌망태형의 게비온이 사용되고 있다. 게비온돌망태는 철망으로 된 가두리망에 현장에서 취득이 용이한 돌이나 암석의 채움재를 담아 조성되는 돌망태이다. 게비온돌망태는 현재에 암석의 고갈 및 암석 채취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채움재의 취득이 용이하지 않아 적용성이 급감하고 있다. 또한 게비온돌망태는 식생의 착상 및 성장이 매우 어려운 구조로 식생이 전혀 살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철망 및 암석 덩어리만 외관으로 보이므로 미관상 삭막한 느낌을 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의 공법개발이 절실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로 구성된 게비온망 및 게비온마대에 관한 에코게비온을 해결과제로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 및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게비온망 및 게비온마대에 속하는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내부에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담겨지거나, 또는 상기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의하여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감싸여지는 에코게비온을 개발하고자 한다.

    여기서 채움재는 암석, 돌, 쇄석, 자갈, 골재, 순환골재, 토사, 흙, 모래, 연약토, 고화토, 시멘트몰탈, 시멘트콘크리트, 아스팔트콘크리트, 레미콘, 준설토, 슬러지, 슬래그, 소각회, 굴껍질, 조개껍질, 폐콘크리트, 폐석회, 폐석고, 폐주물사, 폐토석, 폐기물, 석분, 돌가루, 버력, 잔토, 자생식물, 표토, 심토, 자생씨앗, 현지부엽토 중의 어느 하나로 된 하나재료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혼합재료가 되도록 고안한다.

    그리고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또는 게비온망 또 는 게비온마대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상호 간에 연결고리, 연결선,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결합키, 배수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되거나 또는 가미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고안한다.

    또한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 내부에 채움재가 담겨지거나, 또는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의하여 채움재가 감싸여지는데 있어서, 굴착장치, 파쇄장치, 선별장치, 포설장치,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되도록 고안한다.

    그리고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형성된 게비온구조체가 흙막이구조체, 낙석유출방지구조체, 침식방지구조체, 화단조성대, 옹벽구조체, 도로중앙분리대, 사면보호구조체, 사면보강구조체, 어류서식소, 동물이동통로, 충격흡수대, 방호벽, 제방, 호안보호층, 호안식생대, 폐기물매립장차수재보호층, 폐기물매립장차수보호재보호층, 폐기물매립장사면보호층, 폐기물매립장사면복토층, 폐기물매립장침출수배수층, 폐기물매립장가스배제층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되도록 고안한다.

    본 발명은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 등과 같이 다양한 게비온형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에코게비온의 채움재로서 암석, 돌, 쇄석, 자갈, 골재, 순환골 재, 토사, 흙, 모래, 연약토, 고화토, 시멘트몰탈, 시멘트콘크리트, 아스팔트콘크리트, 레미콘, 준설토, 슬러지, 슬래그, 소각회, 굴껍질, 조개껍질, 폐콘크리트, 폐석회, 폐석고, 폐주물사, 폐토석, 폐기물, 석분, 돌가루, 버력, 잔토, 자생식물, 표토, 심토, 자생씨앗, 현지부엽토 중의 어느 하나로 된 하나재료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혼합재료가 사용되어 자연재료 및 재활용재료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에코게비온에 식생포를 적용하여 식생이 가능하게 하여 녹색성장 및 에코그린환경 조성에 이바지한다.

    본 발명의 에코게비온에 연결고리, 연결선,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결합키, 배수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되거나 또는 가미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구조적으로 안정된 게비온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 내부에 채움재가 담겨지거나, 또는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의하여 채움재가 감싸여지는데 있어서, 굴착장치, 파쇄장치, 선별장치, 포설장치,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가 적용되어 자동화 공정 및 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형성된 게비온구조체는 흙막이구조체, 낙석유출방지구조체, 침식방지구조체, 화단조성대, 옹벽구조체, 도로중앙분리대, 사면보호구조체, 사면보강구조체, 어류서식소, 동물이동통로, 충격흡수대, 방호벽, 제방, 호안보호층, 호안식생대, 폐기물매립장차수재보호층, 폐기물매립장차수보호 재보호층, 폐기물매립장사면보호층, 폐기물매립장사면복토층, 폐기물매립장침출수배수층, 폐기물매립장가스배제층 등으로 사용되어 건설, 토목, 건축, 환경, 조경 등의 분야에 대하여 다양한 적용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설공사, 토목공사, 건축공사, 도로공사, 환경공사, 조경공사에 적용되는 것으로,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에코게비온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내부에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담겨지거나, 또는 상기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의하여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감싸여지는 것으로, 상기 게비온망은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담거나 또는 감쌀 수 있는 망으로서, 이는 격자망으로 구성되고, 이에는 망태형게비온망 및 평면형게비온망이 있고, 상기 격자망은 격자형상을 가진 망으로서, 이는 철망을 기본으로 하나, 필요시 철망 대신에 강재망, 알루미늄망, SUS(steel use stainless)망, STS(stainless steel)망, 도금망, 기타금속망, 플라스틱망, 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망, PE(polyethylene)망, PP(polypropylene)망, 기타고분자합성망 중의 어느 하나도 가능하고, 상기 도금망은 철망, 강재망, 알루미늄망, SUS망, STS망, 기타금� �망 중 어느 하나의 표면을 아연, 니켈, 크롬 중의 어느 하나로 도금한 망이고, 상기 기타금속망은 상기 철망, 강재망, 알루미늄망, SUS망, STS망, 도금망을 제외한 기타의 금속재로 된 금속망을 나타내고, 상기 기타고분자합성망은 플라스틱망, FRP 망, PE망, PP망을 제외한 기타의 고분자합성재로 된 고분자합성망을 나타내고, 상기 망태형게비온망은 내부는 가운데가 빈 중공이고 외부는 격자망으로 형성된 일정한 입체형상을 가지는 망태형의 게비온망으로서, 이는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담는 기능을 하고, 상기 평면형게비온망은 평면의 격자망으로 형성된 일정한 평면형상을 가지는 평면형의 게비온망으로서, 이는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감싸는 기능을 하고, 상기 게비온마대는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 �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담거나 또는 감쌀 수 있는 마대로서, 이는 마대포로 구성되고, 이에는 망태형게비온마대 및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있고, 상기 마대포는 시트형상을 가진 포 또는 막으로서, 이는 섬유포, 섬유막, 종이포, 종이막, 고무포, 고무막, 비닐포, 비닐막, 플라스틱포, 플라스틱막, FRP포, FRP막, PE포, PE막, PP포, PP막, 기타고분자합성포, 기타고분자합성막 중의 어느 하나이고, 이는 재질이 불투수성 또는 투수성의 성질을 가지고, 상기 섬유포 또는 섬유막은 천연섬유 또는 인공섬유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만들어진 포 또는 막이고, 상기 기타고분자합성포 또는 기타고분자합성막은 고무포, 고무막, 비닐포, 비닐막, 플라스틱포, 플라스틱막, FRP포, FRP막, PE포, PE막, PP포, PP막을 제외한 기타의 고분자합성재로 된 고분자합성포 또는 기타고분자� ��성막을 나타내고, 상기 불투수성은 상기 마대포의 재질 자체가 불투수성이거나, 또는 상기 마대포에 방수액을 함침(1)시키거나 또는 방수막이 덧대어져 조성된 것이고, 상기 방수액은 우레탄, 에폭시, 아크릴, 레진, 몰탈, 본드, 폴리머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함침(1)은 상기 마대포에 상기 방수액을 혼입 또는 주입 또는 흡입시킨 것이고, 상기 방수막은 비닐, 셀루로즈필름, 고무막, 방수종이, 기름종이, 방수시이트, 고분자합성막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덧대어져 조성된 것은 망태형게비온마대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방수막이 추가로 겹치어 덧대어져서 불투수성이 조성된 것이고, 상기 투수성은 상기 마대포의 재질 자체가 투수성이거나, 또는 상기 마대포에 일정한 크기의 구멍 또는 슬롯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조성된 것이고, 상기 구멍은 원형, 타원형, 둥근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중의 어느 하나 형상이고, 상기 슬롯은 일정한 길이 및 폭을 가진 절개 형상이고, 상기 둥근형은 원형, 타원형을 제외한 기타의 둥근모양을 가진 구멍이고, 상기 다각형은 사각형, 삼각형을 제외한 기타의 다각모양을 가진 구멍이고, 상기 구멍 또는 슬롯은 식생 또는 배수 또는 공기소통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망태형게비온마대는 내부는 가운데가 빈 중공이고 외부는 마대포로 형성된 일정한 입체형상을 가지는 망태형의 게비온마대로서, 이는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담는 기능을 하고, 상기 평면형게비온마대는 평면의 마대포로 형성된 일정한 평면형상을 가지는 평면형의 게비온마대로서, 이는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 � 이상을 감싸는 기능을 하고, 상기 입체형상의 종류에는 통형, 박스형, 톤백형, 비닐백형, 일반백형, 가마니형, 자루형, 가방형이 있고, 상기 입체형상에는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주입될 수 있는 입구가 있고, 상기 입체형상은 입체의 외곽을 형성하는 가두리 형태에 따라 일부가두리형 및 전체가두리형이 있고, 상기 통형의 종류에는 원통형, 타원통형, 둥근통형, 사각통형, 삼각통형, 다각통형이 있고, 상기 둥근통형은 원통형, 타원통형을 제외한 기타의 둥근모양 단면을 가진 통이고, 상기 다각통형은 사각통형, 삼각통형을 제외한 기타의 다각모양 단면을 가진 통이고, 상기 박스형의 종류에는 원박스형, 타원박스형, 둥근박스형, 사각박스형, 삼각박스형, 다각박스형이 있고, 상기 둥근박스형은 원박스형, 타원박스형을 제외� �� 기타의 둥근모양 단면을 가진 박스이고, 상기 다각박스형은 사각박스형, 삼각박스형을 제외한 기타의 다각모양 단면을 가진 박스이고, 상기 톤백형은 1톤 이상의 대용량을 담을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비닐백형은 비닐백 형상을 가진 것이고, 상기 일반백형은 일반백 형상을 가진 것이고, 상기 가마니형은 가마니 형상을 가진 것이고, 상기 자루형은 자루 형상을 가진 것이고, 상기 가방형은 가방 형상을 가진 것이고, 상기 일부가두리형은 상기 입체형상을 형성하는 전체 외곽 부분 중에 일부 외곽 부분만 가두리가 있고 일부 외곽 부분은 가두리가 없는 것이고,상기 가두리가 없는 부분은 개방된 것이고, 상기 전체가두리형은 상기 입체형상을 형성하는 전체 외곽 부분이 모두 가두리가 있는 것이고, 상기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의 평면� ��상은 롤형 또는 판넬형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롤형은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두루마리의 롤형식으로 말아진 것이고, 상기 판넬형은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일정의 크기의 판넬형식으로 판넬화된 것이고, 상기 혼합재는 채움재와 식생포가 합쳐진 재료이고, 상기 채움재는 암석, 돌, 쇄석, 자갈, 골재, 순환골재, 토사, 흙, 모래, 연약토, 고화토, 시멘트몰탈, 시멘트콘크리트, 아스팔트콘크리트, 레미콘, 준설토, 슬러지, 슬래그, 소각회, 굴껍질, 조개껍질, 폐콘크리트, 폐석회, 폐석고, 폐주물사, 폐토석, 폐기물, 석분, 돌가루, 버력, 잔토, 자생식물, 표토, 심토, 자 생씨앗, 현지부엽토 중의 어느 하나로 된 하나재료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혼합재료이고, 상기 혼합에서 혼합비율은 상기 혼합되는 각각의 하 나재료가 중량비로 1-99%의 범위를 가지고 전체 혼합비율은 100%가 되고, 상기 순환골재는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성된 재생골재이고, 상기 고화토는 토사, 흙, 모래, 연약토, 준설토, 폐토석, 석분, 돌가루, 버력, 잔토 중의 어느 하나에 고화제를 첨가하여 단단하게 고형화한 것이고, 상기 폐기물은 생활폐기물, 상업폐기물, 산업폐기물, 지정폐기물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자생식물은 해당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식물이고, 상기 표토는 해당지역을 덮고 있는 표층의 토사이고, 상기 심토는 해당지역을 덮고 있는 표층 하부의 토사이고, 상기 표층은 지표에서부터 1m 까지의 깊이이고, 상기 자생씨앗은 해당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식물의 씨앗이고, 상기 현지부엽토는 해당지역의 표면에 쌓여 있는 부엽토이고, 상기 식생포는 섬유포 자체 또는 섬유포에 영양분 및 종자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함침된 것이고, 상기 섬유포는 고분자합성섬유포 또는 천연섬유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1겹 또는 2겹 또는 2겹 이상으로 구성된 일정한 크기를 가진 포이고, 상기 천연섬유포는 나무줄기, 나무잎, 볏짚, 마, 코이어넷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만들어진 것이고, 상기 섬유포가 1겹 시에는 상기 영양분 및 종자가 1겹의 섬유포 내부에 함침(2)되고, 상기 섬유포가 2겹 시에는 상기 영양분 및 종자가 각각 1겹의 섬유포 내부에 함침(2)되거나 또는 2겹의 섬유포 사이에 내재되고, 상기 섬유포가 2겹 이상 시에는 상기 영양분 및 종자가 각각 1겹의 섬유포 내부에 함침(2)되거나 또는 2겹 이상 다수겹의 섬유포 사이에 내재되고, 상기 함침(2)은 상기 섬유포에 영양분 및 종자를 혼입 또는 주입 또는 흡입시킨 것 이고, 상기 게비온망 또 는 게비온마대 또는 식생포는 모양 또는 글자의 형성여부에 따라 문양형 및 일반형이 있고, 상기 문양형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또는 식생포의 전체 또는 일정 부위에 모양 또는 글자가 인쇄되거나, 또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또는 식생포의 전체 또는 일정 부위에 모양 또는 글자가 성형된 것이고, 상기 성형된 것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또는 식생포의 전체 또는 일정 부위에 모양 또는 글자가 판금된 것으로서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또는 식생포의 전체 또는 일정 부위가 모양 또는 글자의 형상을 따라 굴곡을 이루는 것이고, 상기 일반형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또는 식생포 표면에 모양 또는 글자가 인쇄되거나 판금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공사, 토목공사, 건축공사, 도로공사, 환경공사, 조경공사에 적용되는 것으로,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어 1층 이상 적층되고, 상기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또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상호 간에 연결고리, 연결선,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결합키, 배수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되거나 또는 가미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연결고리, 연결선,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결합키의 재질은 철재, 강재, 알루미늄재, SUS재, STS재, 도금재, 프라스틱재, FRP재, 나일론재, 목재, 콘크리트재 중의 어느 하나로 된 하나재료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 합된 혼합재료이고, 상기 연결고리는 상기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일정한 부위에 형성된 고리로서, 상기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상호간에 연결선이 끼워져 상호 연결될 때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상기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결합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연결될 때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연결고리에 끼워져 다수의 연결고리를 결합시키거나 또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일정부위에 결속되어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결합키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연결되어 배면 지반속에 묻히거나 또는 배면 � ��반 표면에 포설되어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인발, 활동, 전단에 저항하는 것이고, 상기 그리드는 격자망으로 구성된 망형 보강재이고, 이에는 지오그리드, 철망그리드, 와이어메쉬가 있고, 상기 그리드는 배면 지반 속에 묻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거나 또는 배면 지반 표면에 포설되어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고, 상기 스트립은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크고 또한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형상을 가진 판형 보강재이고, 상기 앵카는 철봉, 강봉, 알루미늄봉, STS봉, 플라스틱봉, FRP봉, 나일론봉 중의 어느 하나가 배면지반에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천공 삽입되고 천공구멍이 그라우팅 된 보강재이고, 상기 보강봉은 철봉, 강봉, 알루미늄봉, STS봉, 플라스틱� �, FRP봉, 나일론봉 중의 어느 하나가 배면지반에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천공 삽입되고 천공구멍이 그라우팅 되지 않은 보강재이고, 상기 네일은 철근, 철선, 강선 중의 어느 하나가 배면지반에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천공 삽입된 보강재이고, 상기 파일은 콘크리트말뚝, 철재말뚝, 목재말뚝 중의 어느 하나가 배면지반에 수직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천공 삽입된 보강재이고, 상기 볼트는 배면이 콘크리트인 경우 콘크리트못, 강재볼트 중의 어느 하나가 콘크리트면에 천공되어 삽입되거나 기 삽입된 보강재이고, 상기 전단키(shear key)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봉에 저항키가 1개 이상 부착된 보강재이고, 상기 저항키는 소정의 길이 및 두께를 가진 막대 또는 소정의 면적 및 두께를 가진 판이고, 상기 미끄럼방지키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봉에 브 러시침이 1개 이상 다발형태로 부착된 보강재이고, 상기 브러시침은 소정의 길이 및 두께를 가진 침이고, 상기 결합키는 상하 및 좌우로 서로 이웃하는 게비온망 및 게비온마대 간에 설치되어 게비온망 간의 또는 게비온마대 간의 또는 게비온망 및 게비온마대 간의 결합을 도모하는 것이고, 상기 결합키에는 봉형결합키, 격자형결합키, 판형결합키가 있고, 상기 봉형결합키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결합봉에 결합핀이 1개 이상 부착된 것이고, 상기 격자형결합키는 소정의 면적을 가진 결합격자에 결합핀이 1개 이상 부착된 것이고, 상기 판형결합키는 소정의 면적을 가진 결합판에 결합핀이 1개 이상 부착된 것이고, 상기 결합핀은 뾰족한 형상을 가진 것으로, 뾰족한 형상의 아래부분은 결합봉, 결합격자, 결합판에 정착되고 뾰족한 형상의 선단부분은 게� �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침투되어 결합을 도모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정착은 상기 결합봉, 결합격자, 결합판의 둘레, 주변, 선단, 표면, 일면, 양면, 측면의 어디에도 가능하고, 상기 배수재에는 내부배수재, 측면배수재, 배면배수재가 있고, 상기 배수재로는 무공관, 유공관, 섬유포, 다발관, 섬유포유공관, 섬유포다발관, 자갈, 모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상기 내부배수재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내부에 설치되는 배수재이고, 상기 측면배수재는 이웃하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사이의 측면에 설치되는 배수재이고, 상기 배면배수재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배면에 설치되는 배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공사, 토목공사, 건축공사, 도로공사, 환경공사, 조경공사에 적용되는 것으로,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상기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 내부에 채움재가 담겨지거나, 또는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의하여 채움재가 감싸여지는데 있어서, 굴착장치, 파쇄장치, 선별장치, 포설장치,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굴착장치는 지중 또는 지상에 놓여진 채움재를 굴착하는 장치이고, 이에는 포크레인, 페이로더, 쇼벨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이는 파쇄장치, 선별장치, 포설장치,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 ��에 채움재를 공급하고, 상기 파쇄장치는 채움재를 원래 크기보다 더 작은 크기로 파쇄하는 장치이고, 이에는 파쇄기가 사용되고, 이는 선별장치, 포설장치,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채움재를 공급하고, 상기 선별장치는 채움재를 입도선별하는 장치이고, 이에는 원형트롬멜선별기 또는 평면스크린선별기가 사용되고, 이는 포설장치,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채움재를 공급하고, 상기 포설장치는 채움재를 포설하는 장치이고, 이는 평 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의하여 채움재가 감싸여지는 경우에 적용되고, 이에는 포크레인, 도쟈, 그레이더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포설장치 대신에 인력의 적용도 가능하고, 상기 포설은 � �닥에 깔려진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의 위에 채움재가 펼쳐 놓이는 것이고, 상기 적재장치는 채움재를 뜨거나 퍼서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공급하는 장치이고, 이에는 포크레인, 페이로더, 쇼벨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이송장치는 채움재를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공급하는 장치이고, 이에는 벨트콘베이어가 사용되고, 상기 저장장치는 채움재를 저장하여 투입장치 또는 깔대기장치로 공급하는 장치이고, 이는 저장박스 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저장박스, 게이트, 게이트조절기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저장박스는 채움재를 저장하는 박스이고, 상기 게이트는 저장박스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개폐문이고, 상기 게이트조절기는 게이트의 개폐를 조� �하는 장치이고, 상기 투입장치는 슈트장치 또는 호스장치 중의 어느 하나이고, 이는 채움재를 깔대기장치로 투입시키거나 또는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주입시키는 것이고, 상기 슈트장치는 미끄럼틀과 같은 형상으로 미끄럼틀을 통하여 채움재를 투입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호스장치는 가운데가 중공인 호스를 통하여 채움재를 투입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투입장치 대신에 인력의 적용도 가능하고, 상기 인력은 사람이 직접 손, 삽, 쟁기, 갈고리, 호미, 널판, 쇼벨 등을 사용하는 것이고, 상기 깔대기장치는 투입틀 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투입틀, 깔대기, 투입구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이는 채움재를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주입시키는 장치이고, 상기 투입틀은 격자봉이 조합되어 만들어진 자립성의 틀인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공사, 토목공사, 건축공사, 도로공사, 환경공사, 조경공사에 적용되는 것으로,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굴착장치, 파쇄장치, 선별장치, 포설장치,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되어 채움재 또는 식생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담겨지거나 또는 감싸여지고, 연결고리, 연결선,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결합키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 또는 가미된 것이 1층 이상 적층된 게비온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가 사용되어 형성되는 게비온구조체는, 상기 굴착장치, 파쇄장치, 선별장치의 전체 또는 부분에 의하여 채움재가 현지에� � 획득되는 공정, 상기 채움재가 현지가 아닌 외부에서 반입되는 공정, 상기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의 전체 또는 부분에 의하여 채움재가 이송저장되는 공정, 상기 식생포가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투입되는 공정, 상기 투입장치, 깔대기장치의 전체 또는 부분에 의하여 채움재가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투입되는 공정, 상기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채움재가 담겨지는 공정, 채움재가 담겨진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를 봉합하는 공정, 상기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가 적층되는 공정, 상기 결합키가 서로 이웃하는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 사이에 설치되는 공정, 상기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하나 이� ��이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가 적층되는 배면에 설치되는 공정, 상기 설치된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하나 이상이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연결되는 공정, 상기 설치된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하나 이상에 토사가 성토되는 공정으로 구성되고, 상기 봉합하는 공정에서 봉합은 엮는방식, 묶는방식, 쟈크방식, 단추방식, 호크방식 중의 어느 하나 방식으로 되고, 상기 엮는방식은 철선 또는 끈으로 엮어서 봉합하는 것이고, 상기 묶는방식은 철선 또는 끈으로 묶어서 봉합하는 것이고, 상기 쟈크방식은 쟈크를 닫아 봉합하는 것이고, 상기 단추방식은 단추를 끼워 봉합하는 것이고, 상기 호크방식은 암놈 및 수놈의 호크를 서로 끼워 봉 합하는 것이고, 상기 엮는방식, 묶는방식, 쟈크방식, 단추방식, 호크방식에 적용되는 철선 또는 끈, 쟈크, 단추, 호크는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기성제품으로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봉합시 부착이 되고, 상기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이용되어 형성되는 게비온구조체는, 상기 굴착장치, 파쇄장치, 선별장치의 전체 또는 부분에 의하여 채움재가 현지에서 획득되는 공정, 상기 채움재가 현지가 아닌 외부에서 반입되는 공정, 상기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의 전체 또는 부분에 의하여 채움재가 이송저장되는 공정, 상기 식생포가 상기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부착되는 공정, 상기 포설장치에 의하여 채움재가 포설되는 공정, 상기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포설된 채움재를 감싸� � 공정, 상기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적층되는 공정, 상기 결합키가 서로 이웃하는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 사이에 설치되는 공정, 상기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하나 이상이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적층되는 배면에 설치되는 공정, 상기 설치된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하나 이상이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연결되는 공정, 상기 설치된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하나 이상에 토사가 성토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1층 이상 적층되어 형성된 게비온구조체가 흙막이구조체, 낙석유출방지구조체, 침식방지구조체, 화단조성대, 옹벽구조체, 도로중앙분리대, 사면보호구조체, 사면보강구조체, 어류서식소, 동물이동통로, 충격흡수대, 방호벽, 제방, 호안보호층, 호안식생대, 폐기물매립장차수재보호층, 폐기물매립장차수보호재보호층, 폐기물매립장사면보호층, 폐기물매립장사면복토층, 폐기물매립장침출수배수층, 폐기물매립장가스배제층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흙막이구조체는 흙에 의한 토압을 지탱하는 구조체이고, 상기 게비온구조체가 흙막이구조체로 사용되는 경우 이는 게비온구조체가 기존의 시이트파일흙막이, H파일토류판흙막이, 슬러리월흙막이 중의 어느 하나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낙석유출방지구조체는 암석이 낙석되어 멀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체이고, 상기 침식방지구조체는 바람, 물, 홍수, 쓰나미, 산사태 등에 의하여 흙이나 구조물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체이고, 상기 화단조성대는 화단을 조성하는 조성대이고, 상기 옹벽구조체는 옹벽 기능을 하는 구조체이고, 상기 게비온구조체가 옹벽구조체로 사용되는 경우 이는 석축, 축대, 콘크리트옹벽, 보강토옹벽 대신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도로중앙분리대는 도로의 중앙을 분리하는 분리대이고, 상기 사면보호구조체는 사면을 보호하는 구조체이고, 상기 사면보강구조체는 사면을 보강하는 구조체이고, 상기 사면보호구조체 및 사면보강구조체에서 사면은 토사사면, 암반사면, 콘크리트사면, 고분자합성재사면 중 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토사사면은 사면의 표면이 토사로 이루어진 사면이고, 상기 암반사면은 사면의 표면이 암반으로 이루어진 사면이고, 상기 콘크리트사면은 사면의 표면이 콘크리트로 된 사면이고, 상기 고분자합성재사면은 사면의 표면이 고분자합성재로 된 사면이고, 상기 고분자합성재는 지오텍스타일, 지오그리드, 지오콤포지트, 지오멤브레인, 지오셀, 지오네트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어류서식소는 어류가 서식하는 구조체이고, 상기 동물이동통로는 동물이 이동하는 통로이고, 상기 충격흡수대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흡수대이고, 상기 방호벽은 방호를 위한 벽체이고, 상기 제방은 둑을 형성하는 구조체이고, 상기 호안보호층은 호안을 보호하는 구조체이고, 상기 호안식생대는 호안에 식생을 조성하는 식생대이고, 상� � 폐기물매립장차수재보호층은 폐기물매립장 내부에 설치된 차수재를 보호하는 층이고, 상기 차수재는 점토차수층, 흙벤토나이트차수층, 고화차수층, 지오멤브레인, 벤토나이트매트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폐기물매립장차수보호재보호층은 폐기물매립장에 설치된 차수보호재를 보호하는 층이고, 상기 차수보호재는 차수재 상부에 놓이는 지오콤포지트, 지오텍스타일, 지오네트, 지오셀, 지오그리드, 폐타이어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폐기물매립장사면보호층은 폐기물매립장토사사면부 또는 폐기물매립장폐기물사면부의 보호를 위한 층이고, 상기 폐기물매립장사면복토층은 폐기물매립장토사사면부 또는 폐기물매립장폐기물사면부의 복토를 위한 층이고, 상기 폐기물매립장토사사면부는 폐기물매립장의 지하부분 및 지상부분에서 토사로 이� ��어진 사면부를 나타내고, 상기 폐기물매립장폐기물사면부는 폐기물매립장의 지하부분 및 지상부분에서 폐기물로 이루어진 사면부를 나타내고, 상기 폐기물매립장침출수배수층은 폐기물매립장의 침출수 배수를 위한 층이고, 상기 폐기물매립장가스배제층은 폐기물매립장의 가스 배제를 위한 층이고, 상기 폐기물매립장침출수배수층 및 폐기물매립장가스배제층은 수평방향, 경사방향, 수직방향 중의 어느 하나 이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는 1층 이상 적층되어 사용시 독립사용 또는 복합사용 중의 어느 하나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독립사용은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가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복합사용은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상호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상호결합은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순서에 관계없이 혼용되어 적층되거나, 또는 망태형게비온망 및 망태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의 내부에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삽입되거나, 또는 평면� ��게비온망 및 평면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하여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이상이 감싸 여지는 것이고, 상기 감싸여지는 것에는 한층감싸기방식 및 다층감싸기방식이 있고, 상기 한층감싸기방식은 적층되는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개별 층별로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의하여 감싸여지는 것이고, 상기 다층감싸기방식은 적층되는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의 2개 이상 층이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의하여 감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도면 및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1은 게비온망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에코게비온은 건설공사, 토목공사, 건축공사, 도로공사, 환경공사, 조경공사에 적용되는 것으로,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게비온망은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담거나 또는 감쌀 수 있는 망으로서, 이는 격자망으로 구성되고, 이에는 망태형게비온망 및 평면형게비온망이 있다. 격자망은 격자형상을 가진 망으로서, 이는 철망을 기본으로 하나, 필요시 철망 대신에 강재망, 알루미늄망, SUS(steel use stainless)망, STS(stainless steel)망, 도금망, 기타금속망, 플라스틱망, 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망, PE(polyethylene)망, PP(polypropylene)망, 기타고분자합성망 중의 어느 하나도 가능하다. 도금망은 철망, 강재망, 알루미늄망, SUS망, STS망, 기타금속망 중 어느 하나의 표면을 아연, 니켈, 크롬 중의 어느 하나로 도금한 망이고, 기타금속망은 상기 철망, 강재망, 알 루미늄망, SUS망, STS망, 도금망을 제외한 기타의 금속재로 된 금속망을 나타내고, 기타고분자합성망은 플라스틱망, FRP망, PE망, PP망을 제외한 기타의 고분자합성재로 된 고분자합성망을 나타낸다. 망태형게비온망은 내부는 가운데가 빈 중공이고 외부는 격자망으로 형성된 일정한 입체형상을 가지는 망태형의 게비온망으로서, 이는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담는 기능을 한다. 평면형게비온망은 평면의 격자망으로 형성된 일정한 평면형상을 가지는 평면형의 게비온망으로서, 이는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감싸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망내형게비온망의 입체형상의 종류에는 통형, 박스형, 톤백형, 비닐백형, 일반백형, 가마니형, 자루형, 가방형이 있고, 입체형상에는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주입될 수 있는 입구가 있다. 통형의 종류에는 원통형, 타원통형, 둥근통형, 사각통형, 삼각통형, 다각통형이 있고, 둥근통형은 원통형, 타원통형을 제외한 기타의 둥근모양 단면을 가진 통이고, 다각통형은 사각통형, 삼각통형을 제외한 기타의 다각모양 단면을 가진 통이다. 박스형의 종류에는 원박스형, 타원박스형, 둥근박스형, 사각박스형, 삼각박스형, 다각박스형이 있고, 둥근박스형은 원박스형, 타원박스형을 제외한 기타의 둥근모양 단면을 가진 박스이고, 다각박스형은 사각박스형, 삼각박스형을 제외한 기타의 다각모양 단면을 가진 박스이다. 톤백형은 1톤 이상의 대용량을 담을 수 있는 것이고, 비닐백형은 비닐백 형상을 가진 것이고, 일반백형은 일반백 형상을 가진 것이다. 가마니형은 가마니 형상을 가진 것이고, 자루형은 자루 형상을 가진 것이고, 가방형은 가방 형상을 가진 것이다.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의 평면형상은 롤형 또는 판넬형 중 의 어느 하나이고, 롤형은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두루마리의 롤형식으로 말아진 것이고, 판넬형은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일정의 크기의 판넬형식으로 판넬화된 것이다.

    도 2는 게비온마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게비온마대는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담거나 또는 감쌀 수 있는 마대로서, 이는 마대포로 구성되고, 이에는 망태형게비온마대 및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있다. 마대포는 시트형상을 가진 포 또는 막으로서, 이는 섬유포, 섬유막, 종이포, 종이막, 고무포, 고무막, 비닐포, 비닐막, 플라스틱포, 플라스틱막, FRP포, FRP막, PE포, PE막, PP포, PP막, 기타고분자합성포, 기타고분자합성막 중의 어느 하나이고, 이는 재질이 불투수성 또는 투수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섬유포 또는 섬유막은 천연섬유 또는 인공섬유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만들어진 포 또는 막이다. 기타고분자합성포 또는 기타고분자합성막은 고무포, 고무막, 비닐포, 비닐막, 플라스틱포, 플라스틱막, FRP포, FRP막, PE포, PE막, PP포, PP막을 제외한 기타의 고분자합성재로 된 고분자합성포 또는 기타고분자합성막을 나타낸다. 게비온마대가 불투수성인 것은 마대포의 재질 자체가 불투수성이거나, 또는 상기 마대포에 방수액을 함침(1)시키거나 또는 방수막이 덧대어져 조성된 것이고, 방수액은 우레탄, 에폭시, 아크릴, 레진, 몰탈, 본드, 폴리머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고, 함침(1)은 상기 마대포에 상기 방수액을 혼입 또는 주입 또는 흡입시킨 것이고, 방수막은 비닐, 셀루로즈필름, 고무막, 방수종이, 기름종이, 방수시이트, 고분자합성막 중의 어느 하나이고, 덧대어져 조성된 것은 망태형게비온마대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방수막이 추가로 겹치어 덧대어져서 불투수성이 조성된 것이다. 게비온마대가 투수성인 것은 마대포의 재질 자체가 투수성이거나, 또는 상기 마대포에 일정한 크기의 구멍 또는 슬롯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조성된 것이고, 구멍은 원형, 타원형, 둥근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중의 어느 하나 형상이고, 슬롯은 일정한 길이 및 폭을 가진 절개 형상이고, 둥근형은 원형, 타원형을 제외한 기타의 둥근모양을 가진 구멍이고, 다각형은 사각형, 삼각형을 제외한 기타의 다각모양을 가진 구멍이고, 구멍 또는 슬롯은 식생 또는 배수 또는 공기소통 공간을 제공한다. 망태형게비온마대는 내부는 가운데가 빈 중공이고 외부는 마대포로 형성된 일정한 입체형상을 가지는 망태형의 게비온마대로서, 이는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담는 기능을 하고, 평면형게비온마대는 평면의 마대포로 형성된 일정한 평면형상을 가지는 평면형의 게비온마대로서, 이는 상기 채움재 또는 혼합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감싸는 기능을 한다.

    도 3은 전체가두리형 게비온망 및 게비온마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망태형 게비온망 및 게비온마대의 입체형상은 입체의 외곽을 형성하는 가두리 형태에 따라 일부가두리형 및 전체가두리형이 있다. 전체가두리형은 상기 입체형상을 형성하는 전체 외곽 부분이 모두 가두리가 있는 것이다.

    도 4는 일부가두리형 게비온망 및 게비온마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일부가두리형은 상기 입체형상을 형성하는 전체 외곽 부분 중에 일부 외곽 부분만 가두리가 있고 일부 외곽 부분은 가두리가 없는 것이다. 가두리가 없는 부분은 개방된 것이다.

    도 5는 격자망에 채움재가 담겨진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격자망에는 채움재 및 혼합재가 담겨진다. 혼합재는 채움재와 식생포가 합쳐진 재료이다. 채움재는 암석, 돌, 쇄석, 자갈, 골재, 순환골재, 토사, 흙, 모래, 연약토, 고화토, 시멘트몰탈, 시멘트콘크리트, 아스팔트콘크리트, 레미콘, 준설토, 슬러지, 슬래그, 소각회, 굴껍질, 조개껍질, 폐콘크리트, 폐석회, 폐석고, 폐주물사, 폐토석, 폐기물, 석분, 돌가루, 버력, 잔토, 자생식물, 표토, 심토, 자생씨앗, 현지부엽토 중의 어느 하나로 된 하나재료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혼합재료이다. 혼합에서 혼합비율은 상기 혼합되는 각각의 하나재료가 중량비로 1-99%의 범위를 가지고 전체 혼합비율은 100%가 된다. 순환골재는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성된 재생골재이고, 고화토는 토사, 흙, 모래, 연약토, 준설토, 폐토석, 석분, 돌가루, 버력, 잔토 중의 어느 하나에 고화제를 첨가하여 단단하게 고형화한 것이고, 폐기물은 생활폐기물, 상업폐기물, 산업폐기물, 지정폐기물 중의 어느 하나이다. 자생식물은 해당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식물이고, 표토는 해당지역을 덮고 있는 표층의 토사이고, 심토는 해당지역을 덮고 있는 표층 하부의 토사이고, 표층은 지표에서부터 1m 까지의 깊이인 것으로 한다. 자생씨앗은 해당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식물의 씨앗이고, 현지부엽토는 해당지역의 표면에 쌓여 있는 부엽토이다.

    도 6은 마대포에 채움재가 담겨진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마대포는 격자가 없기 때문에 채움재 중에서 미세한 입자까지도 담겨질 수 있다.

    도 7은 망태형게비온망 및 망태형게비온마대에 채움재 및 식생포가 담겨진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망태형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내부에 채움재 및 식 생포가 담겨진다. 식생포는 에코게비온의 외부 표면에 식생을 제공하는 근원이 된다.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가 사용되어 형성되는 게비온구조체는 굴착장치, 파쇄장치, 선별장치의 전체 또는 부분에 의하여 채움재가 현지에서 획득되는 공정, 상기 채움재가 현지가 아닌 외부에서 반입되는 공정, 상기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의 전체 또는 부분에 의하여 채움재가 이송저장되는 공정, 상기 식생포가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투입되는 공정, 상기 투입장치, 깔대기장치의 전체 또는 부분에 의하여 채움재가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투입되는 공정, 상기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채움재가 담겨지는 공정, 채움재가 담겨진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를 봉합하는 공정, 상기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가 적층되는 공정, 상기 결합키가 서로 이웃하는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 사이에 설치되는 공정, 상기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하나 이상이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가 적층되는 배면에 설치되는 공정, 상기 설치된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하나 이상이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연결되는 공정, 상기 설치된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하나 이상에 토사가 성토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도 8은 평면형게비온망 및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의하여 채움재 및 식생포가 층상으로 감싸여진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평면형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의하여 채움재 및 식생포가 감싸여진다. 식생포는 에코게비온의 외부 표면에 식생 을 제공하는 근원이 된다.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이용되어 형성되는 게비온구조체는 굴착장치, 파쇄장치, 선별장치의 전체 또는 부분에 의하여 채움재가 현지에서 획득되는 공정, 상기 채움재가 현지가 아닌 외부에서 반입되는 공정, 상기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의 전체 또는 부분에 의하여 채움재가 이송저장되는 공정, 상기 식생포가 상기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부착되는 공정, 상기 포설장치에 의하여 채움재가 포설되는 공정, 상기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포설된 채움재를 감싸는 공정, 상기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적층되는 공정, 상기 결합키가 서로 이웃하는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 사이에 설치되는 공정, 상기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 키 중의 하나 이상이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적층되는 배면에 설치되는 공정, 상기 설치된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하나 이상이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연결되는 공정, 상기 설치된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하나 이상에 토사가 성토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도 9는 평면형게비온망 및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의하여 채움재 및 식생포가 감싸여진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게비온망 내부에 채움재 및 식생포가 담겨지고 게비온망 외부로 식생이 자라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1은 게비온마대 내부에 채움재 및 식생포가 담겨지고 게비온마대 슬롯으 로 식생이 자라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2는 게비온마대 내부에 채움재가 담겨지고 게비온마대 슬롯으로 식생이 자라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3은 게비온마대 내부에 채움재가 담겨지고 게비온마대 구멍으로 식생이 자라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4는 마대포로 만들어진 망태형게비온마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5는 마대포로 만들어진 망태형게비온마대 내부에 방수막이 추가로 겹치어 덧대어진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마대포는 재질이 불투수성 또는 투수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불투수성을 위하여 망태형게비온마대 내부에 방수막이 추가로 겹치어 덧대어진 것을 나타낸다.

    도 16은 망태형게비온망에 식생이 자라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7은 망태형게비온마대 구멍에 식생이 자라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8은 망태형게비온마대 슬롯에 식생이 자라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9는 망태형게비온망 및 망태형게비온마대에 채움재가 담겨진 후 엮는방식으로 봉합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봉합하는 공정에서 봉합은 엮는방식, 묶는방식, 쟈크방식, 단추방식, 호크방식 중의 어느 하나 방식으로 되고, 엮는방식은 철선 또는 끈으로 엮어서 봉합하는 것이고, 묶는방식은 철선 또는 끈으로 묶어서 봉합하는 것이고, 쟈크방식은 쟈크를 닫아 봉합하는 것이고, 단추방식은 단추를 끼워 봉합하는 것이고, 호크방식은 암놈 및 수놈의 호크를 서로 끼워 봉합하는 것이다. 엮는방식, 묶는방식, 쟈크방식, 단추방식, 호크방식에 적용되는 철선 또는 끈, 쟈크, 단추, 호크는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기성제품으로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봉합시 부착이 된다.

    도 20은 망태형게비온망 및 망태형게비온마대가 엮는방식으로 봉합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1은 문양형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또는 식생포는 모양 또는 글자의 형성여부에 따라 문양형 및 일반형이 있다. 문양형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또는 식생포의 전체 또는 일정 부위에 모양 또는 글자가 인쇄되거나, 또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또는 식생포의 전체 또는 일정 부위에 모양 또는 글자가 성형된 것이고, 여기서 성형된 것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또는 식생포의 전체 또는 일정 부위에 모양 또는 글자가 판금된 것으로서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또는 식생포의 전체 또는 일정 부위가 모양 또는 글자의 형상을 따라 굴곡을 이루는 것이다. 일반형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또는 식생포 표면에 모양 또는 글자가 인쇄되거나 판금되지 않은 것이다.

    도 22는 문양형 에코게비온이 사면에 시공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3은 1겹 식생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식생포는 섬유포 자체 또는 섬유포에 영양분 및 종자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함침된 것이다. 섬유포는 고분자합성섬유포 또는 천연섬유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1겹 또는 2겹 또는 2겹 이상으로 구성된 일정한 크기를 가진 포이다. 천연섬유포는 나무줄기, 나무잎, 볏짚, 마, 코이어넷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섬유포가 1겹 시에는 상기 영양분 및 종자가 1겹의 섬유포 내부에 함침(2)된다. 함침(2)은 상기 섬유포에 영양분 및 종자를 혼입 또는 주입 또는 흡입시킨 것이다.

    도 24는 2겹 식생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섬유포가 2겹 시에는 상기 영양분 및 종자가 각각 1겹의 섬유포 내부에 함침(2)되거나 또는 2겹의 섬유포 사이에 내재된다. 섬유포가 2겹 이상 시에는 상기 영양분 및 종자가 각각 1겹의 섬유포 내부에 함침(2)되거나 또는 2겹 이상 다수겹의 섬유포 사이에 내재된다.

    도 25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연결고리, 연결선,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전단키, 미끄럼방지키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에코게비온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어 1층 이상 적층되고,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또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상호 간에 연결고리, 연결선,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결합키, 배수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되거나 또는 가미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여기서 연결고리, 연결선,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결합키의 재질은 철재, 강재, 알루미늄재, SUS재, STS재, 도금재, 프라스틱재, FRP재, 나일론재, 목재, 콘크리트재 중의 어느 하나로 된 하나재료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혼합재료이다. 여기서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연결되어 배면 지반속에 묻히거나 또는 배면 지반 표면에 포설되어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인발, 활동, 전단에 저항하는 것이다. 그리드는 격자망으로 구성된 망형 보강재이고, 이에는 지오그리드, 철망그리드, 와이어메쉬가 있고, 그리드 는 배면 지반 속에 묻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거나 또는 배면 지반 표면에 포설되어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된다. 스트립은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폭이 크고 또한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형상을 가진 판형 보강재이다. 앵카는 철봉, 강봉, 알루미늄봉, STS봉, 플라스틱봉, FRP봉, 나일론봉 중의 어느 하나가 배면지반에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천공 삽입되고 천공구멍이 그라우팅 된 보강재이다. 보강봉은 철봉, 강봉, 알루미늄봉, STS봉, 플라스틱봉, FRP봉, 나일론봉 중의 어느 하나가 배면지반에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천공 삽입되고 천공구멍이 그라우팅 되지 않은 보강재이다. 네일은 철근, 철선, 강선 중의 어느 하나가 배면지반에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천공 삽입된 보강재이다. 파일은 콘크리트말뚝, 철재말뚝, 목재말뚝 중의 어느 하나가 배면지반에 수직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천공 삽입된 보강재이다.

    도 26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연결고리, 연결선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7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연결된 연결고리 및 연결선에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전단키, 미끄럼방지키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연결선은 상기 연결고리에 끼워져 다수의 연결고리를 결합시키거나 또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일정부위에 결속되어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결합키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것이다.

    도 28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통합적으로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 강봉, 네일, 전단키, 미끄럼방지키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9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개별적으로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전단키, 미끄럼방지키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여기서 연결고리는 상기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일정한 부위에 형성된 고리로서, 상기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상호간에 연결선이 끼워져 상호 연결될 때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상기 그리드,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결합키, 미끄럼방지키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연결될 때 사용되는 것이다.

    도 30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연결선,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전단키, 미끄럼방지키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1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상호 간에 연결선,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전단키, 미끄럼방지키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게비온마대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상호 간에 연결고리, 연결선,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볼트, 전단키, 미끄럼방지키, 결합키, 배수재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결합되거나 또는 가미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32는 배면 지반 표면에 포설된 그리드에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가 시공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그리드는 배면 지반 속에 묻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거나 또는 배면 지반 표면에 포설되어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된다.

    도 33은 배면 지반 표면에 포설된 그리드에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가 시공되고 식생이 자란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4는 배면 콘크리트 표면에 포설된 그리드에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가 시공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5는 배면 콘크리트에 천공 또는 기 삽입된 볼트에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가 시공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볼트는 배면이 콘크리트인 경우 콘크리트못, 강재볼트 중의 어느 하나가 콘크리트면에 천공되어 삽입되거나 기 삽입된 보강재이다.

    도 36은 전단키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전단키(shear key)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봉에 저항키가 1개 이상 부착된 보강재이고, 저항키는 소정의 길이 및 두께를 가진 막대 또는 소정의 면적 및 두께를 가진 판이다.

    도 37은 전단키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8은 미끄럼방지키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미끄럼방지키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봉에 브러시침이 1개 이상 다발형태로 부착된 보강재이고, 브러시침은 소정의 길이 및 두께를 가진 침이다.

    도 39는 결합키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결합키는 상하 및 좌우로 서로 이웃하는 게비온망 및 게비온마대 간에 설치되어 게비온망 간의 또는 게비온마대 간의 또는 게비온망 및 게비온마대 간의 결합을 도모하는 것이고, 결합키에는 봉형결합키, 격자형결합키, 판형결합키가 있다. 봉형결합키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결합봉에 결합핀이 1개 이상 부착된 것이고, 격자형결합키는 소정의 면적을 가진 결합격자에 결합핀이 1개 이상 부착된 것이고, 판형결합키는 소정의 면적을 가진 결합판에 결합핀이 1개 이상 부착된 것이다. 결합핀은 뾰족한 형상을 가진 것으로, 뾰족한 형상의 아래부분은 결합봉, 결합격자, 결합판에 정착되고 뾰족한 형상의 선단부분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침투되어 결합을 도모하는 기능을 한다. 결합핀의 정착은 상기 결합봉, 결합격자, 결합판의 둘레, 주변, 선단, 표면, 일면, 양면, 측면의 어디에도 가능하다.

    도 40은 양면에 결합핀이 부착된 결합키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1은 측면에 결합핀이 부착된 결합키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2는 결합키가 이웃하는 상하의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사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3은 결합키가 이웃하는 상하의 다수의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사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4는 결합키가 이웃하는 상하좌우의 다수의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사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5는 배수재 설치장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배수재에는 내부배수재, 측면배수재, 배면배수재가 있다. 내부배수재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내부에 설치되는 배수재이고, 측면배수재는 이웃하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사이의 측면에 설치되는 배수재이고, 배면배수재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배면에 설치되는 배수재이다.

    도 46은 배수재 종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배수재 재료로는 무공관, 유공관, 섬유포, 다발관, 섬유포유공관, 섬유포다발관, 자갈, 모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된다.

    도 47은 굴착장치, 파쇄장치, 선별장치, 포설장치,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의 흐름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 내부에 채움재가 담겨지거나, 또는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의하여 채움재가 감싸여지는데 있어서, 굴착장치, 파쇄장치, 선별장치, 포설장치,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된다. 굴착장치는 지중 또는 지상에 놓여진 채움재를 굴착하는 장치이고, 이에는 포크레인, 페이로더, 쇼벨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이는 파쇄장치, 선별장치, 포설장치,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채움재를 공급한다. 파쇄장치는 채움재를 원래 크기보다 더 작은 크기로 파쇄하는 장치이고, 이에는 파쇄기가 사용되고, 이는 선별장치, 포설장치,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채움재를 공급한다. 선별장치는 채움재를 입도선별하는 장치이고, 이에는 원형트롬멜선별기 또는 평면스크린선별기가 사용되고, 이는 포설장치,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채움재를 공급한다. 포설장치는 채움재를 포설하는 장치이고, 이는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의하여 채움재가 감싸여지는 경우에 적용되고, 이에는 포크레인, 도쟈, 그레이더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포설장치 대신에 인력의 적용도 가능하고, 포설은 바닥에 깔려진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 대의 위에 채움재가 펼쳐 놓이는 것이다. 적재장치는 채움재를 뜨거나 퍼서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공급하는 장치이고, 이에는 포크레인, 페이로더, 쇼벨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이송장치는 채움재를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공급하는 장치이고, 이에는 벨트콘베이어가 사용된다.

    도 48은 저장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저장장치는 채움재를 저장하여 투입장치 또는 깔대기장치로 공급하는 장치이고, 이는 저장박스 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저장박스, 게이트, 게이트조절기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저장박스는 채움재를 저장하는 박스이고, 게이트는 저장박스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개폐문이고, 게이트조절기는 게이트의 개폐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도 49는 투입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투입장치는 슈트장치 또는 호스장치 중의 어느 하나이고, 이는 채움재를 깔대기장치로 투입시키거나 또는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주입시키는 것이다. 슈트장치는 미끄럼틀과 같은 형상으로 미끄럼틀을 통하여 채움재를 투입시키는 장치이고, 호스장치는 가운데가 중공인 호스를 통하여 채움재를 투입시키는 장치이고, 투입장치 대신에 인력의 적용도 가능하다. 여기서 인력은 사람이 직접 손, 삽, 쟁기, 갈고리, 호미, 널판, 쇼벨 등을 사용하는 것이다.

    도 50은 깔대기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깔대기장치는 투입틀 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투입틀, 깔대기, 투입구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이는 채움재를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주입시키는 장치이다. 투입틀은 격자봉이 조합 되어 만들어진 자립성의 틀이다.

    도 51은 깔대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2는 다수개의 깔대기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3은 깔대기장치를 통하여 채움재를 담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4는 깔대기장치를 통하여 채움재를 담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5는 투입틀로만 구성된 깔대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6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가 다단으로 적층되는데 깔대기장치가 적용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7은 흙막이구조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하여 1층 이상 적층되어 형성된 게비온구조체가 흙막이구조체, 낙석유출방지구조체, 침식방지구조체, 화단조성대, 옹벽구조체, 도로중앙분리대, 사면보호구조체, 사면보강구조체, 어류서식소, 동물이동통로, 충격흡수대, 방호벽, 제방, 호안보호층, 호안식생대, 폐기물매립장차수재보호층, 폐기물매립장차수보호재보호층, 폐기물매립장사면보호층, 폐기물매립장사면복토층, 폐기물매립장침출수배수층, 폐기물매립장가스배제층 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흙막이구조체는 흙에 의한 토압을 지탱하는 구조체이고, 게비온구조체가 흙막이구조체로 사용되는 경우 이는 게비온구조체가 기존의 시이트파일흙막이, H파일토류판흙막이, 슬러리월흙막이 중의 어느 하나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도 58은 낙석유출방지구조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낙석유출방지구조체는 암 석이 낙석되어 멀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체이다.

    도 59는 침식방지구조체 및 호안보호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침식방지구조체는 바람, 물, 홍수, 쓰나미, 산사태 등에 의하여 흙이나 구조물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체이다. 호안보호층은 호안을 보호하는 구조체이다.

    도 60은 화단조성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화단조성대는 화단을 조성하는 조성대이다.

    도 61은 화단조성대의 전체에 식생이 자라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2는 옹벽구조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옹벽구조체는 옹벽 기능을 하는 구조체이고, 게비온구조체가 옹벽구조체로 사용되는 경우 이는 석축, 축대, 콘크리트옹벽, 보강토옹벽 대신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 63은 도로중앙분리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로중앙분리대는 도로의 중앙을 분리하는 분리대이다.

    도 64는 사면보호구조체 및 사면보강구조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사면보호구조체는 사면을 보호하는 구조체이고, 사면보강구조체는 사면을 보강하는 구조체이다. 사면보호구조체 및 사면보강구조체에서 사면은 토사사면, 암반사면, 콘크리트사면, 고분자합성재사면 중의 어느 하나이고, 토사사면은 사면의 표면이 토사로 이루어진 사면이고, 암반사면은 사면의 표면이 암반으로 이루어진 사면이고, 콘크리트사면은 사면의 표면이 콘크리트로 된 사면이고, 고분자합성재사면은 사면의 표면이 고분자합성재로 된 사면이다. 고분자합성재는 지오텍스타일, 지오그리드, 지오콤포지트, 지오멤브레인, 지오셀, 지오네트 중의 어느 하나이다.

    도 65는 어류서식소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어류서식소는 어류가 서식하는 구조체이다.

    도 66은 동물이동통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동물이동통로는 동물이 이동하는 통로이다.

    도 67은 아치형 동물이동통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8은 충격흡수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충격흡수대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흡수대이다.

    도 69는 방호벽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방호벽은 방호를 위한 벽체이다.

    도 70은 제방 전체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로 축조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제방은 둑을 형성하는 구조체이다.

    도 71은 제방 사면이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로 축조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72는 제방 측면이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로 축조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3은 제방 측면이 다수열의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로 축조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4는 호안식생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호안식생대는 호안에 식생을 조성하는 식생대이다.

    도 75는 폐기물매립장차수재보호층, 폐기물매립장차수보호재보호층, 폐기물매립장사면보호층, 폐기물매립장사면복토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폐기물매립장차 수재보호층은 폐기물매립장 내부에 설치된 차수재를 보호하는 층이고, 차수재는 점토차수층, 흙벤토나이트차수층, 고화차수층, 지오멤브레인, 벤토나이트매트 중의 어느 하나이다. 폐기물매립장차수보호재보호층은 폐기물매립장에 설치된 차수보호재를 보호하는 층이고, 차수보호재는 차수재 상부에 놓이는 지오콤포지트, 지오텍스타일, 지오네트, 지오셀, 지오그리드, 폐타이어 중의 어느 하나이다. 폐기물매립장사면보호층은 폐기물매립장토사사면부 또는 폐기물매립장폐기물사면부의 보호를 위한 층이다. 폐기물매립장사면복토층은 폐기물매립장토사사면부 또는 폐기물매립장폐기물사면부의 복토를 위한 층이다. 폐기물매립장토사사면부는 폐기물매립장의 지하부분 및 지상부분에서 토사로 이루어진 사면부를 나타내고, 폐기물매립장폐기물사면부는 폐기물매립장의 지하부분 및 지상부분에서 폐기물로 이루어진 사면부를 나타낸다.

    도 76은 폐기물매립장침출수배수층, 폐기물매립장가스배제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폐기물매립장침출수배수층은 폐기물매립장의 침출수 배수를 위한 층이고, 폐기물매립장가스배제층은 폐기물매립장의 가스 배제를 위한 층이다. 폐기물매립장침출수배수층 및 폐기물매립장가스배제층은 수평방향, 경사방향, 수직방향 중의 어느 하나 이상 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77은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가 독립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는 1층 이상 적층되어 사용시 독립사용 또는 복합사용 중의 어느 하나로 사용된다. 독립사용은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 마대가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 78은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독립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9는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순서에 관계없이 혼용되어 적층되어 복합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복합사용은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상호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상호결합은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순서에 관계없이 혼용되어 적층되거나, 또는 망태형게비온망 및 망태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의 내부에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삽입되거나, 또는 평면형게비온망 및 평면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하여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이상이 감싸여지는 것이다.

    도 80은 망태형게비온망 및 망태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의 내부에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삽입되어 복합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1은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다층감싸기방식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2는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다수개의 다층감싸기방식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3은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한층감싸기방식 및 다층감싸기방식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감싸여지는 것에는 한층감싸기방식 및 다층감싸기방식이 있다. 한층감싸기방식은 적층되는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개별 층별로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의하여 감싸여지는 것이다. 다층감싸기방식은 적층되는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의 2개 이상 층이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의하여 감싸여지는 것이다.

    도 84는 다수열의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다층감싸기방식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5는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다층감싸기방식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6은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한층감싸기방식 및 다층감싸기방식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은 게비온망을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게비온마대를 나타낸 모식도

    도 3은 전체가두리형 게비온망 및 게비온마대를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일부가두리형 게비온망 및 게비온마대를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격자망에 채움재가 담겨진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마대포에 채움재가 담겨진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망태형게비온망 및 망태형게비온마대에 채움재 및 식생포가 담겨진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평면형게비온망 및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의하여 채움재 및 식생포가 층상으로 감싸여진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9는 평면형게비온망 및 평면형게비온마대에 의하여 채움재 및 식생포가 감싸여진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10은 게비온망 내부에 채움재 및 식생포가 담겨지고 게비온망 외부로 식생이 자라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11은 게비온마대 내부에 채움재 및 식생포가 담겨지고 게비온마대 슬롯으로 식생이 자라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12는 게비온마대 내부에 채움재가 담겨지고 게비온마대 슬롯으로 식생이 자라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13은 게비온마대 내부에 채움재가 담겨지고 게비온마대 구멍으로 식생이 자라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14는 마대포로 만들어진 망태형게비온마대를 나타낸 모식도

    도 15는 마대포로 만들어진 망태형게비온마대 내부에 방수막이 추가로 겹치어 덧대어진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16은 망태형게비온망에 식생이 자라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17은 망태형게비온마대 구멍에 식생이 자라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18은 망태형게비온마대 슬롯에 식생이 자라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19는 망태형게비온망 및 망태형게비온마대에 채움재가 담겨진 후 엮는방식으로 봉합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20은 망태형게비온망 및 망태형게비온마대가 엮는방식으로 봉합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21은 문양형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를 나타낸 모식도

    도 22는 문양형 에코게비온이 사면에 시공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23은 1겹 식생포를 나타낸 모식도

    도 24는 2겹 식생포를 나타낸 모식도

    도 25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연결고리, 연결선,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파일, 전단키, 미끄럼방지키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26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연결고리, 연결선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27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연결된 연결고리 및 연결선에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전단키, 미끄럼방지키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28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통합적으로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전단키, 미끄럼방지키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29는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개별적으로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전단키, 미끄럼방지키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30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에 연결선,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전단키, 미끄럼방지키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31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의 상호 간에 연결선, 그리드, 스트립, 앵카, 보강봉, 네일, 전단키, 미끄럼방지키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32는 배면 지반 표면에 포설된 그리드에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가 시공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33은 배면 지반 표면에 포설된 그리드에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가 시공되고 식생이 자란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34는 배면 콘크리트 표면에 포설된 그리드에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가 시공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35는 배면 콘크리트에 천공 또는 기 삽입된 볼트에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가 시공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36은 전단키를 나타낸 모식도

    도 37은 전단키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38은 미끄럼방지키를 나타낸 모식도

    도 39는 결합키를 나타낸 모식도

    도 40은 양면에 결합핀이 부착된 결합키를 나타낸 모식도

    도 41은 측면에 결합핀이 부착된 결합키를 나타낸 모식도

    도 42는 결합키가 이웃하는 상하의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사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43은 결합키가 이웃하는 상하의 다수의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사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44는 결합키가 이웃하는 상하좌우의 다수의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 사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45는 배수재 설치장면을 나타낸 모식도

    도 46은 배수재 종류를 나타낸 모식도

    도 47은 굴착장치, 파쇄장치, 선별장치, 포설장치, 적재장치, 이송장치, 저장장치, 투입장치, 깔대기장치의 흐름도를 나타낸 모식도

    도 48은 저장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49는 투입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50은 깔대기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51은 깔대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2는 다수개의 깔대기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53은 깔대기장치를 통하여 채움재를 담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54는 깔대기장치를 통하여 채움재를 담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55는 투입틀로만 구성된 깔대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6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가 다단으로 적층되는데 깔대기장치가 적용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57은 흙막이구조체를 나타낸 모식도

    도 58은 낙석유출방지구조체를 나타낸 모식도

    도 59는 침식방지구조체 및 호안보호층을 나타낸 모식도

    도 60은 화단조성대를 나타낸 모식도

    도 61은 화단조성대의 전체에 식생이 자라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62는 옹벽구조체를 나타낸 모식도

    도 63은 도로중앙분리대를 나타낸 모식도

    도 64는 사면보호구조체 및 사면보강구조체를 나타낸 모식도

    도 65는 어류서식소를 나타낸 모식도

    도 66은 동물이동통로를 나타낸 모식도

    도 67은 아치형 동물이동통로를 나타낸 모식도

    도 68은 충격흡수대를 나타낸 모식도

    도 69는 방호벽을 나타낸 모식도

    도 70은 제방 전체가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로 축조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71은 제방 사면이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로 축조된 것을 나타낸 모식 도

    72는 제방 측면이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로 축조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73은 제방 측면이 다수열의 게비온망 또는 게비온마대로 축조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74는 호안식생대를 나타낸 모식도

    도 75는 폐기물매립장차수재보호층, 폐기물매립장차수보호재보호층, 폐기물매립장사면보호층, 폐기물매립장사면복토층을 나타낸 모식도

    도 76은 폐기물매립장침출수배수층, 폐기물매립장가스배제층을 나타낸 모식도

    도 77은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가 독립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78은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가 독립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79는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가 순서에 관계없이 혼용되어 적층되어 복합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80은 망태형게비온망 및 망태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의 내부에 망태형게비온망, 평면형게비온망, 망태형게비온마대, 평면형게비온마대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이 삽입되어 복합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81은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다층감싸기방식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82는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다수개의 다층감싸기방식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83은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한층감싸기방식 및 다층감싸기방식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84는 다수열의 망태형게비온망 또는 망태형게비온마대에 다층감싸기방식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85는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다층감싸기방식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86은 평면형게비온망 또는 평면형게비온마대에 한층감싸기방식 및 다층감싸기방식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반 1-1 : 콘크리트

    2 : 게비온망 2-1 : 격자망

    2-2 : 망태형게비온망 2-21 : 중공

    2-22 : 엮는방식 2-23 : 전체가두리형

    2-24 : 일부가두리형 2-25 : 가두리

    2-26 : 개방 2-3 : 평면형게비온망

    2-31 : 롤형 2-32 : 판넬형

    3 : 게비온마대 3-1 : 마대포

    3-11 : 방수막 3-12 : 구멍

    3-13 : 슬롯 3-2 : 망태형게비온마대

    3-3 : 평면형게비온마대 4 : 문양형

    4-1 : 모양 또는 글자가 인쇄된 문양형 4-2 : 모양 또는 글자가 성형된 문형

    5 : 채움재 6 : 식생포

    6-1 : 영양분 6-2 : 종자

    7 : 식생 10 : 연결고리

    11 : 연결선 12 : 그리드

    13 : 스트립 14 : 앵카

    15 : 보강봉 16 : 네일

    17 : 파일 18 : 볼트

    19 : 전단키 19-1 : 봉

    19-2 : 저항키 20 : 미끄럼방지키

    20-1 : 브러시침 21 : 결합키

    21-1 : 봉형결합키 21-2 : 격자형결합키

    21-3 : 판형결합키 21-4 : 결합봉

    21-5 : 결합격자 21-6 : 결합판

    21-7 : 결합핀 22 : 배수재

    22-1 : 내부배수재 22-2 : 측면배수재

    22-3 : 배면배수재 22-4 : 무공관

    22-5 : 유공관 22-6 : 섬유포

    22-7 : 다발관 22-8 : 섬유포유공관

    22-9 : 섬유포다발관 30 : 굴착장치

    31 : 파쇄장치 32 : 선별장치

    33 : 포설장치 34 : 적재장치

    35 : 이송장치 36 : 저장장치

    36-1 : 저장박스 36-2 : 게이트

    36-3 : 게이트조절기 37 : 투입장치

    37-1 : 슈트장치 37-2 : 호스장치

    38 : 깔대기장치 38-1 : 투입틀

    38-2 : 깔대기 38-3 : 투입구

    40 : 흙막이구조체 41 : 낙석유출방지구조체

    42 : 침식방지구조체 43 : 화단조성대

    44 : 옹벽구조체 45 : 도로중앙분리대

    46 : 사면보호구조체 47 : 사면보강구조체

    48 : 어류서식소 49 : 동물이동통로

    50 : 충격흡수대 51 : 방호벽

    52 : 제방 53 : 호안보호층

    54 : 호안식생대 55 : 폐기물매립장차수재보호층

    55-1 : 폐기물 55-2 : 차수재

    56 : 폐기물매립장차수보호재보호층 56-1 : 차수보호재

    57 : 폐기물매립장사면보호층 57-1 : 폐기물매립장토사사면부

    57-2 : 폐기물매립장폐기물사면부 58 : 폐기물매립장사면복토층

    59 : 폐기물매립장침출수배수층 59-1 : 침출수

    60 : 폐기물매립장가스배제층 60-1 : 가스

    61 : 독립사용 62 : 복합사용

    62-1 : 한층감싸기방식 62-2 : 다층감싸기방식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