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보호용 포장구

申请号 KR1020030013224 申请日 2003-03-04 公开(公告)号 KR1020040078323A 公开(公告)日 2004-09-10
申请人 정관선; 发明人 정관선;
摘要 PURPOSE: Provided is a packing tool for protecting fruits being made of soft sheet materials of plastic foam which makes it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pack the fruits by a guide portion, without turning over the packing tool; to pack the upper part of the fruits to maximumly prevent the fruits from being damaged; and to arouse customers' interests by the guide portion being bent outward to look better with respect to the appearance of the fruits. CONSTITUTION: The packing tool for protecting fruits made of soft sheet materials of plastic foam comprises an container portion of hemisphere shape for safely receiving fruits; a number of elastic pieces(130) being formed in an arc shape and extend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portion and having elasticity; and a guide portion(140) being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pieces(130) and being bent toward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portion.
权利要求
  • 합성수지 발포체를 주체로 하는 연질시이트로 제조되어 과일을 감싸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구에 있어서,
    과일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반구형의 용기부(110)와, 상기 용기부(110)의 상단에 용기부(110)의 안쪽방향을 향해 호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다수개의 탄력편(130)과, 상기 탄력편(130)의 상단에 형성되어지되 용기부(110)의 바깥방향으로 절곡된 안내부(14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포장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40)의 경사면(140a)이 수평방향으로 살짝 틀어져 비틀림 안내부(141)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포장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탄력편(130)이 비틀림 절개부(121)에 의해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보호용 포장구.
  • 说明书全文

    과일보호용 포장구{Package for protecting fruit}

    본 발명은 과일보호용 포장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형상(球形狀)을 갖는 과일의 보관 및 운반시 외부로 부터의 충격에 과일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일보호용 포장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과일보호용 포장구는 크게 그물망 형태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2-0019413호와 같은 컵형태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3-023890호와 같은 코스모스형태로 구분되어진다.

    첫째, 그물망형태의 포장구는 합성수지재를 실처럼 압출함과 동시에 서로 얽히도록 형성하므로써 신축성을 갖도록 하여 과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그물망형태의 포장구는 제조를 위해서는 대규모의 성형설비를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가지며, 특히 작업자들이 신축성을 갖는 망체의내부에 과일을 밀어넣기란 결코 용이한 일이 아니다.

    둘째, 컵형태의 포장구는 커버본체의 상단둘레에 주름형 접촉부를 형성하여 상단이 내향으로 오므려지도록 하고 커버의 벽체에는 통기홈을 형성하되 바닥까지 연결되게하며 통기홈의 외측이 돌출되어 돌출선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컵형태의 포장구는 과일을 감싸서 보관하는 구조가 아니고 단순히 과일을 포장구 위에 얹어두는 것에 불과한 것이어서 과일의 중간 아랫부분만 커버가 가능하고, 과일의 윗부분에 대한 보호는 곤란한 단점을 갖는 것이다.

    세째, 코스모스형태의 포장구(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된 중앙좌부(22)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좌부의 외측으로 포착편(24)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좌부에 작업자가 과일이 얹게되면 반전경사부(23)에 의해 중앙좌부와 포착편이 뒤집어 지면서 결국 과일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코스모스형태의 포장구는 과일의 상부 일부분까지 포장이 가능하게 되어 과일의 손상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코스모스형태의 포장구는 작업자가 한손에는 포장구를 들고 다른 손에는 과일을 든 다음, 과일로 상기 포장구의 중앙좌부를 누르면서 반전경사부를 뒤집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반전경사부의 반전이 대개 한번에 이루어지지 않게되어 두어번 반전경사부를 작업자가 매만져 주어야만 하므로 포장작업이 더뎌지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의 포장구들이 갖는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합성수지 발포체를 주체로 하는 연질시이트를 재질로 하며, 과일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반구형의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단에 용기부의 안쪽방향을 향해 호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다수개의 탄력편과 상기 탄력편의 상단에 형성되어지되 용기부의 바깥방향으로 절곡된 안내부로 이루어지는 과일보호용 포장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 종래의 과일보호용 포장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도 1의 작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단면도.

    도 3 - 본 발명 과일보호용 포장구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 내지 도 7 - 본 발명 제 1실시예에 있어서 과일의 포장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계별 참고단면도.

    도 8 - 본 발명 과일보호용 포장구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 - 본 발명 제 2실시예에 있어서 과일의 포장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사시도.

    도 10 - 본 발명 과일보호용 포장구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 - 본 발명 제 3실시예에 있어서 과일의 포장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과일보호용 포장구(이하 포장구라 한다)

    110: 용기부(容器部)

    120: 절개부(切開部) 121: 비틀림 절개부

    130: 탄력편(彈片)

    140: 안내부(案內部) 141: 비틀림 안내부

    140a: 경사면(傾斜面)

    A: 과일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 과일보호용 포장구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 포장구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합성수지 발포체를 주체로 하는 연질시이트로 재질로 하되, 하부는 과일이 안착(安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반구형(半球形)의 용기부(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부(110)의 상단에는 용기부(110)의 안쪽방향을 향해 호(弧)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다수개의 탄력편(130)이 형성되어지는데, 이때 상기 탄력편(130)들은 용기부(110)의 상단에만 연결된 상태이고, 또한 각각의 탄력편(130)들은 절개부(120)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진 상태이므로 제자리로 복귀할려는 탄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탄력편(130)의 상단에는 탄력편(130)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 즉 용기부(110)의 바깥방향으로 절곡(折曲)된 안내부(140)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안내부(140)는 포장구(100)의 내부에 안착하기 위한 과일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과일(A)의 하부도 비스듬한 안내를 이루고 있어 상기 안내부(140)의 경사면(140a)과 과일의 하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윗방향으로 부터 압력을 받게 되면 상기 안내부(140)는 바깥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결국 탄력편(130)들이 바깥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과일이 포장구(100)의 내부로 쉽게 진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벌어졌던 탄력편(130)들은 도 7과 같이 과일(A)이 포장구(100)의 내부에 안착된 상태가 되면 탄성에 의해 다시 안쪽으로 오므라들면서 과일의 상부 외주면에 밀착되어져 결국 과일의 상부면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 1실시예의 경우 과일의 표면상태와 형상에 따라 안내부(140)의 밀착면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거나 걸림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과일의 원활한 진입을 위해서는 포장구(100)의 내부에 과일(A)을 단순하게 집어넣는 것 보다는 과일을 살짝 회전시키면서 집어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과일(A)과 안내부(140)의 경사면(140a)이 마찰되면서 탄력편(130)의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고 과일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므로 포장작업 자체를 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제 1실시예와 같은 구조의 안내부(140)는 과일의 하부면과 밀착됨에있어 마찰력이 최소상태가 되므로 상기 안내부(140)를 과일의 회전방향에 대해 마찰력을 최대로 살릴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자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140)를 수평방향으로 살짝 틀어져 비틀림 안내부(141)가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과일의 회전방향에 대해 마찰력을 최대로 살릴 수 있도록 하였고, 마찰에 의한 탄력편(130)의 벌어짐을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탄력편(130)의 벌어짐을 더욱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탄력편(130)이 비틀림 절개부(121)에 의해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과일의 회전방향에 대한 탄력편(130)의 벌어짐을 더욱 용이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포장구(100)에 사용되는 연질 시이트의 재질은 과실과 같은 피포장물품의 표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표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약간의 탄성을 갖는 재질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등으로 된 합성수지 발포체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당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장구는 여러가지 공지의 성형방법에 의하여 제조가 가능하나 성형성 및 경제성 등을 감안할 경우 진공성형방법이 가장 적합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탄력편 상부에 형성된 안내부에 의해 종래의 포장구처럼포장구를 뒤집을 필요가 없이 작업자가 단순하게 과일을 포장구에 밀어넣는 동작만으로도 과일의 포장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과일의 포장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포장구를 뒤집지 않으면서도 안내부를 구비하고 호형상을 갖는 탄력편에 의해 과일의 상부까지 포장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과일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과일의 상부면에 밀착되어지는 종래의 포장구와 달리 안내부가 바깥쪽으로 약간 젖혀진 상태로 과일의 상부를 감싸 과일의 때깔을 더욱 돋보이게 하므로써 진열시 미관과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