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용도 직물 포대 및 이를 이용한 토양 충전용 직물 포대

申请号 KR1020100002636 申请日 2010-01-12 公开(公告)号 KR101040847B1 公开(公告)日 2011-06-14
申请人 한규희; 发明人 한규희;
摘要 PURPOSE: A multipurpose textile bag and a textile bag for filling soil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lower textile and upper textile from gapping even if a large quantity of sand or gravel is filled, to minimize the spill quantity of inside filler by supporting textile bag stably, and to prevent the damage of textile forming the outward shape of a textile bag. CONSTITUTION: A multipurpose textile bag is filled with filler(501) such as soil inward, and formed by stitching to penetrate upper textile(410a) and lower textile(410b) repeatedly from one end to the opposite end of upper textile and lower textile to prevent the lower textile and the upper textile from gapping and to provide bearing capacity to the textile bag even if filler is filled completely.
权利要求
  • 직물지의 재단 및 봉제를 통하여 제조되는 다용도 직물 포대(textile bag)로서,
    상기 직물 포대는 필름형태의 플라스틱 섬유가 직조되어 형성된 하부 직물지와 상부 직물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직물지와 상부 직물지 사이에 충전물이 충전되도록 상기 하부 직물지 및 상기 상부 직물지가 겹쳐져 있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하부 직물지 및 상기 상부 직물지 각각은 필름형태의 플라스틱 섬유가 직조되어 형성되며, 상기 플라스틱 섬유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 복수의 얀(yarn)이 상기 하부 직물지 및 상부 직물지의 한쪽 끝단에서 반대쪽 끝단까지 상기 하부 직물지 및 상부 직물지를 반복적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각각 스티칭(stiching)되어 상기 하부 직물지 및 상부 직물지의 이격을 방지함과 동시에 직물 포대에 지지력을 부여하며,
    상기 복수의 얀이 노출되는 부분은 상기 플라스틱 섬유로 적어도 일부가 커버되어 상기 하부 직물지 또는 상부 직물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직물 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얀은 상기 하부 직물지 및 상부 직물지의 특정한 방향을 따라서 각각 스티칭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직물 포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얀의 일부는 상기 하부 직물지 및 상부 직물지의 특정한 방향을 따라서 각각 스티칭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얀의 다른 일부는 상기 특정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각각 스티칭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직물 포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형태의 플라스틱 섬유는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직물 포대.
  • 경사면, 인공지반 및 벽면 중 어느 하나에서 식물을 식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토양 충전용의 직물 포대로서, 상부 직물지와 하부 직물지 사이에 토양이 충전되되,
    상기 상부 직물지와 상기 하부 직물지를 복수의 얀으로 연결시켜, 토양의 포화 충전시에도 균일한 두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충전용 직물 포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포대는 평직(plain weave)으로 형성되어 식물의 뿌리, 싹 및 줄기를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 직물지 또는 하부 직물지의 그물코 부분이 벌어짐으로써 모종의 식재 및 토양 주입용 노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충전용 직물 포대.
  • 说明书全文

    다용도 직물 포대 및 이를 이용한 토양 충전용 직물 포대{TEXTILE BAG FOR MULTIPURPOSE AND TEXTILE BAG FOR FILLING SOIL}

    본 발명은 토양, 모래, 자갈 등을 담을 수 있는 다용도 직물 포대(textile bag)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 등의 충전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물 포대를 구성함에 있어, 굵은 실에 해당하는 복수의 얀(yarn)을 직물지의 일방향 또는 이방향으로 스티칭(stitching)하여, 직물지들의 이격을 방지함과 동시에 지지력을 부여함으로써 직물 포대의 외형을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경사면 녹화, 인공지반 녹화, 벽면 녹화 등의 토양 충전의 용도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다용도 직물 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래 포대(snad bag)의 내부에는 모래나 자갈 등이 충전된다. 이러한 모래 포대는 모래 주머니, 샌드백, 마대(자루) 등의 용어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크기로 제조가 가능하다.

    모래 등이 충전된 다용도 직물 포대는 주로 경사면이나 평지에 적층하여 유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다용도 직물 포대란, 상기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모래 포대 외에, 포대의 크기나 용도에 따라서 식물의 식재를 위하여 토양을 충전하는 토양 충전용 직물 포대, 쌀 등의 곡물을 충전하는 곡물 저장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기타 직물 포대 내에 다양한 물질이 충전될 수 있는 직물 포대를 의미한다.

    이러한 다용도 직물 포대는 주로 1장 또는 2장의 직물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직물지를 원하는 크기로 재단한 후 및 봉제하는 과정을 거친다.

    도 1은 종래의 2장의 직물지로 다용도 직물 포대를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다용도 직물 포대의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직조되어 공급된 코일형태이 직물지의 일부를 절단하고, 주로 직사각형의 형태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2장의 직물지(110a,11b)로 재단한 후 겹친 상태로 배치한다. 이후, 모래나 자갈 등이 충전되는 한쪽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를 거의 틈이 없도록 봉제하여 원하는 크기의 다용도 직물 포대를 제작하게 된다. 모래 등의 충전이 상부를 통하여 이루어질 경우, 봉제는 양 측면 및 하부를 봉제하게 된다.

    최근에는 모래나 자갈 등이 충전되는 한쪽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접착제를 통하여 접착하기도 하는데, 이는 봉제 과정이 있은 후에 추가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봉제 과정을 거치지 아니하고 직접 접착을 하기도 한다.

    1장 또는 2장의 직물지 만으로 다용도 직물 포대를 제조할 경우, 제조 단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점은 있으나, 제조된 다용도 직물 포대에 다량의 토양 등의 충전물을 충전할 경우, 다용도 직물 포대가 내부에 충전된 충전물의 중량을 극복하지 못하고, 직물지의 틈을 통하여 충전물이 이탈하게 되며, 한번 충전물이 이탈하기 시작하면 틈을 통하여 계속하여 충전물이 이탈하게 되고, 결국에는 다용도 직물 포대의 외형이 유지되지 못하여 다용도 직물 포대 자체가 훼손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량의 충전물을 충전할 경우에도 충전된 모래 등이 이탈되지 않도록, 다용도 직물 포대를 구성하는 직물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다용도 직물 포대가 요구된다.

    한편, 빌딩이나 맨션 등의 건물이나 자동차에서 나오는 배기열, 아스팔트로부터의 방열 등이 큰 도시지역에서는, 교외에 비하여 기온이 높아지는 열섬 현상이 문제되고 있다.

    이러한 열섬 현상을 완화하는 방법으로서 에너지 절약이나 건물의 단열화, 또는 건물의 옥상과 같은 인공지반이나 벽면 등에 녹화하는 것이 추진되고 있다. 이는 건물 내에 전달하는 열을 큰 폭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최근 매우 주목 받고 있다.

    건물의 녹화를 추진하기 위하여, 옥상 녹화를 중심으로 다양한 녹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옥상 녹화용 시스템으로서 개발되고 있는 자재는, 원래 하중이 그다지 나가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한 경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많다. 식재 기반도 지상에서 이용하는 일반적인 식재토가 아닌, 화산암이나 유리를 발포 가공한 펄라이트와 같이 비중이 가벼운 것을 채용하려고 하고 있다.

    그 결과, 이러한 자재나 식재 기반을 이용하여 옥상 녹화를 한 현장에서는 시공 중이나 준공 후에 식재 기반이 풍우 등으로 유출해버리는 예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 이것은 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유출한 토양이 배수관을 막는 등의 폐해를 가져오고 있다. 또한 비중이 가벼운 토양은 대체로 공극율이 높아 식물의 뿌리가 토양에 고착하기 어렵고 식재 후의 식물이 고사할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에 따라서 모래나 자갈을 충전하여 평지나 경사면 등에 적층하여 임시 제방 등의 역할을 하거나, 인공지반이나 벽 등의 식물 식생용 등으로 이용되는 다용도 직물 포대에 있어, 상부 직물지와 하부 직물지를 겹쳐서 포대를 형성하되, 굵은 실에 해당하는 복수의 얀을 어느 하나의 방향 또는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부 직물지 및 하부 직물지를 반복적으로 관통하도록 스티칭하여, 다량의 모래나 자갈이 충전되는 경우에도 하부 직물지와 상부 직물지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직물 포대를 지지하여 내부에 충전된 토양 등의 충전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직물 포대의 외형을 구성하는 직물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외형 유지 특성이 향상된 다용도 직물 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물 포대에 토양을 포화 충전하더라도 중앙부와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를 최대한 일정하게 하여, 포대의 표면 등에서 힘을 가해도 포대 내부에서 토양이 유동하지 않으며, 식물의 뿌리가 엉키기 쉬운 토양 충전용 직물 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는 직물지의 재단 및 봉제를 통하여 제조되는 다용도 직물 포대(textile bag)로서, 하부 직물지와 상부 직물지 사이에 충전물이 충전되도록 상기 하부 직물지 및 상기 상부 직물지가 겹쳐져 있는 구조를 가지되, 상기 하부 직물지 및 상기 상부 직물지 각각은 필름형태의 플라스틱 섬유가 직조되어 형성되며, 상기 플라스틱 섬유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 복수의 얀(yarn)이 상기 하부 직물지 및 상부 직물지의 한쪽 끝단에서 반대쪽 끝단까지 상기 하부 직물지 및 상부 직물지를 반복적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각각 스티칭(stiching)되어 상기 하부 직물지 및 상부 직물지의 이격을 방지함과 동시에 직물 포대에 지지력을 부여하며, 상기 복수의 얀이 노출되는 부분은 상기 플라스틱 섬유로 적어도 일부가 커버되어 상기 하부 직물지 또는 상부 직물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충전용 직물 포대는 경사면, 인공지반 및 벽면 중 어느 하나에서 식물을 식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토양 충전용의 직물 포대로서, 상부 직물지와 하부 직물지 사이에 토양이 충전되되, 상기 상부 직물지와 상기 하부 직물지를 복수의 얀으로 연결시켜, 토양의 포화 충전시에도 균일한 두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는 하부 직물지와 상부 직물지 사이에 토양 등의 충전물이 충전되도록 하부 직물지와 상부 직물지가 겹쳐져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지고, 또한, 굵은 실에 해당하는 복수의 얀(yarn)을 직물지의 일방향 또는 이방향으로 스티칭(stitching)하여 하부 직물지와 상부 직물지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포대에 지지력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는 포대의 외형을 구성하는 직물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상부 직물지와 하부 직물지 사이에 충전물을 충전하여 사용 중에 또는 다시 사용할 때에도 포대 외형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2장의 직물지로 다용도 직물 포대를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를 구성하는 직물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외측의 직물지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내측의 직물지를 나타낸 것이며, (c)는 복수의 얀이 일정한 방향을 따라서 스티칭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복수의 얀이 스티칭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의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다용도 직물 포대의 AA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상부 직물지와 하부 직물지 사이에 충전물이 충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4a에 도시된 다용도 직물 포대의 배치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 및 토양 충전용 직물 포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를 구성하는 직물지를 나타낸 것으로, 도 2의 (a)는 상부 직물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b)는 하부 직물지를 나타낸 것이며, 도 2의 (c)는 복수의 얀이 일정한 방향을 따라서 스티칭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상부 직물지 또는 하부 직물지에 복수의 얀이 스티칭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는 일반적인 모래 포대 등과 마찬가지로 직물지의 재단 및 봉제를 통하여 제조된다.

    삭제

    직물 포대는 상부 직물지(210a) 및 하부 직물지(210b)가 겹쳐져서 형성된다. 상부 직물지(210a) 및 하부 직물지(210b)는 각각 필름 형태의 플라스틱 섬유가 직조되어 형성된다.

    삭제

    상부 직물지(210a) 및 하부 직물지(210b)의 이격을 방지하고, 충전물이 가득 채워졌을 때의 포대의 두께를 균일하게 함과 동시에 다용도 직물 포대의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2의 (c)에 도시된 예와 같이, 굵은 실에 해당하는 복수의 얀(yarn, 220)이 상부 직물지(210a) 및 하부 직물지(210b)의 한쪽 끝단에서 반대쪽 끝단까지 상기 상부 직물지(210a) 및 하부 직물지(210b)를 반복적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각각 스티칭(stitching)되어 있다.

    즉, 복수의 얀(220)은 상부 직물지(210a) - 하부 직물지(210b) - 상부 직물지(210a) - 하부 직물지(210b) - 상부 직물지(210a) 등의 순으로 직물지(210)의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스티칭 작업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스티칭이라 함은 수작업 또는 기계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바느질을 의미한다. 복수의 얀(220) 각각의 끝단은 직물 포대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한편, 복수의 얀(220)이 노출되는 부분은, 도 2의 (c)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섬유로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얀(220)의 노출 부분은 상부 직물지(210a) 또는 하부 직물지(210b)에 밀착되어, 복수의 얀(210)이 불필요하게 직물 포대의 외부 또는 내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얀(220)은 상기와 같이 직물 포대에 지지력을 부여하여, 직물 포대 내부에 모래와 같은 충전물이 충전될 시에 직물 포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박스 등에 물건을 포장할 때 박스 외곽을 따라서 끈을 감아 박스를 지지함으로써, 박스 운반시에 박스 내부에 담겨져 있는 물건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과 비슷한 작용이라 할 수 있다.

    복수의 얀(220)을 통하여 다용도 직물 포대 내에 토양이나 모래, 자갈 등과 같은 충전물을 다량 충전하더라도, 복수의 얀(220)이 다용도 직물 포대를 지지함으로써, 포대의 외형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다용도 직물 포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 직물지(210a) 및 하부 직물지(210b)를 반복적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스티칭되어 있는 복수의 얀(220)을 통하여 다용도 직물 포대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얀(220)은, 직물 포대의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을 따라서 스티칭되는 것과 같이, 직물 포대의 어느 하나의 특정한 방향을 따라서 각각 스티칭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얀(220)이 배치되는 간격은 반드시 일치할 필요가 없으며, 각각의 얀을 스티칭하는 패턴 역시 조절 가능하다.

    상부 직물지(210a)에서 하부 직물지(210b) 쪽으로 혹은 하부 직물지(210b)에서 상부 직물지(210a) 쪽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얀의 각도는 대략 35~55° 정도가 바람직하고, 복수의 얀은 흡수성이 높으면서도, 실이 늘어져서 쳐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단섬유계 실을 이용하여 꼬임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를 형성하는 상부 직물지(210a) 및 하부 직물지(210b)는 각각 필름 형태의 플라스틱 섬유(201)를 직조하여 제조한 것으로, 필름 형태의 플라스틱 섬유는 복수개의 얇은 섬유 가닥이 뭉쳐 형성된 것이다. 이때, 플라스틱 섬유(201)는 가벼우면서도 인장강도가 우수한 폴리에틸렌(Poly Ethylene)이나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혹은 이들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며, 증량제인 칼펫(calpet)과 색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 섬유(201)에 포함되는 색소는 특정한 색을 구현하기 위하여 포함되는데, 플라스틱 섬유 전체에 1가지 색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의 플라스틱 섬유에는 어느 하나의 색을 구현할 수 있는 색소를 포함하고, 다른 일부의 플라스틱 섬유에는 다른 색을 구현할 수 있는 색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지는 2가지 색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를 잔디나 초화류 등의 식재를 위한 토양 충전용 포대로 이용할 경우, 직물 포대를 구성하는 날실과 씨실은 비생분해성 섬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생분해성 섬유의 경우 식물이 뿌리를 내리기 이전에 직물포대가 분해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여, 충전된 토양을 계속 보관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직물지 및 하부 직물지를 구성하는 섬유는 장섬유계로, 뿌리나, 싹, 줄기가 성장하여 굵어져도, 융착하지 않으며, 그물코를 쉽게 벌어질 수 있으므로, 식물의 생장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고목의 식재 등, 경년 변화에 수반하여 식물이 성장해 커지는 경우에는, 직물포대를 일부 생분해성의 섬유로 형성함으로써 의도적으로 그물코를 벌어지게 하여 생육을 방해하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얀(220) 각각의 두께는 필름 형태의 플라스틱 섬유(201)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 것이 좋다. 복수의 얀(220) 각각의 두께가 상기 필름 형태의 플라스틱 섬유(201)의 폭보다 더 두꺼울 경우, 그만큼 직물 포대의 지지력을 더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는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4측면 중 충전물이 충전되는 어느 하나의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이 봉제되어 있을 수 있으며, 나아가 봉제될 부분이 미리 접착된 후에 봉제되어 있을 수 있다. 봉제가 매우 촘촘하게 이루어진다면, 별도의 접착없이 봉제만 하더라도 거의 틈이 없으므로 충전물이 포대의 가장자리를 통해 포대 밖으로 빠져나가는 경우가 거의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봉제만으로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봉제 과정이 촘촘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직물 포대 가장자리의 봉제 부분 사이에 틈이 생겨 직물 포대 내의 토양과 같은 충전물이 직물 포대 가장자리에 발생된 틈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봉제가 이루어질 부분을 미리 접착시키고, 그 후 봉제를 행함으로써 직물 포대 가장자리의 봉제 부분을 통하여 모래나 자갈과 같은 충전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미리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4측면 중 충전물이 충전되는 어느 하나의 측면은 충전물이 포대 내에 충전된 상태에서 접착 및 봉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가 토양 충전용일 경우, 모든 가장자리 부분이 모두 봉제 혹은 접착 및 봉제된 상태에서, 상부 직물지 혹은 하부 직물지의 그물코를 약간 벌린 상태에서 토양 충전용 노즐을 끼워놓은 후에 토양을 직물 포대 내에 주입할 수 있다. 이때, 토양은 현장의 상황이나 식물에 맞추어서 식재토, 피트모스류, 버크 퇴비, 펄라이트 등 인공 경량 토양, 경석, 제올라이트 등 각종 토양 또는 단열재류(예를들면, 우레탄, 폴리에칠렌 등)을 배합하고, 물을 더하여 혼합, 점도를 갖게한 다음, 펌프에 의하여 주입, 충전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의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다용도 직물 포대는 상부 및 하부 직물지(410a, 410b)로부터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 직물지는 날실(411a)과 씨실(411b)이 직조되어 그물코를 형성한다.

    토양 충전용 직물 포대의 경우, 잔디나 초화류, 수목 등 식물의 뿌리는 직물 포대 표면의 날실(411a)과 씨실(411b)에 엉키면서 그물코 안으로 침투하고, 또한 복수의 얀(420)에 엉겨 붙으면서, 직물 포대 내의 충전된 토양에 뿌리를 내리게 된다. 또한, 종자로부터 발아한지 얼마 되지 않은 상태의 부드러운 근모도 직물포대 표면의 그물코에서 용이하게 내부로 침입할 수 있고, 발아한 싹과 줄기도 그물코로부터 용이하게 밖으로 나올 수 있다. 그물코는 싹과 줄기의 성장과 함게 늘어날 수 있으며, 직물포대 상에 잔디 등을 식재하는 것 뿐만 아니라, 직물포내 내에 종자를 혼합한 토양을 충전하여 녹화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토양은 펄라이트와 같은 인공 경량 토양만이라도 무방하나, 흑토와 인공 경량토나 경석 등을 혼합한 개량토 쪽이 식물이 뿌리를 내리기 쉬우므로 더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도 4a는 복수의 얀이 포대의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을 따라서 스티칭되는 것과 같이, 직물 포대의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서만 스티칭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도 4b는 일부의 복수의 얀(420a)은 포대의 상하방향으로 스티칭되고, 다른 일부의 복수의 얀(420b)은 상기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포대의 좌우방향으로 스티칭되어, 전체적으로 복수의 얀이 포대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를 따라서 스티칭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4b에 도시된 예의 경우,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스티칭되어 있는 복수의 얀(420a,420b) 각각을 통하여 하부 직물지 및 상부 직물지의 이격이 발생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력도 더 부여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으로 다용도 직물 포대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다용도 직물 포대의 AA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상부 직물지와 하부 직물지 사이에 충전물이 충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용도 직물 포대의 내부에는 토양과 같은 충전물(501)이 충전되어 있고, 상부 직물지(410a) 및 하부 직물지(410b)의 한쪽 끝단에서 반대쪽 끝단까지, 상부 직물지(410a) 및 하부 직물지(410b)를 반복적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각각 스티칭(stiching)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물이 완전히 충전된 상태에서도 하부 직물지(410b) 및 상부 직물지(410a)의 이격을 방지함과 동시에 직물 포대에 지지력을 부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4a에 도시된 다용도 직물 포대의 배치 예들을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옥상에 배치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경사면에 배치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6c는 벽면에 배치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는 도 6a 내지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면, 옥상과 같은 인공지반, 벽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를 배치하기 이전에 옥상 등에 미리 뿌리가 건축물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등의 재질로 제작된 방근시트(610)와 보수 및 배수를 위하여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보수재(620)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는 토양 충전용으로 이용하는 경우, 상부 직물지와 하부 직물지를 복수의 얀으로 연결시켜, 토양의 포화 충전시에도 균일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이 있어, 옥상 등의 인공지반 뿐만 아니라, 돔 형상의 둥근지붕, 경사면, 벽면 등 종래의 토양 포설에 의한 식재 기반으로는 곤란한 장소에도 얼마든지 배치될 수 있다.

    직물 포대의 배치 위치가 옥상 등 수평한 위치일 경우, 여러 직물 포대를 별도로 연결할 필요가 없으나, 경사면이나 벽면 등에서는 직물포대의 가장자리 부분에 와이어를 통하여 앵커 등을 타설하는 방식 등으로 서로 연결하여 경사면이나 벽면 등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물 포대는 평직(plain weave)으로 형성되어 식물의 뿌리, 싹 및 줄기를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상부 직물지 또는 하부 직물지의 그물코 부분이 벌어짐으로써 모종의 식재 및 토양 주입용 노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배치된 직물 포대에는 잔디, 꽃, 수목 등의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물 포대는 식물의 식재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는 인공지반 녹화, 경사면 녹화, 벽면 녹화 등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는 종래의 모래 포대 등과 외형은 유사하나, 복수의 얀이 하부 직물지 및 상부 직물지를 반복적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스티칭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다용도 직물 포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다량의 충전물을 직물 포대 내에 충전하더라도 직물 포대 외부로 빠져나오는 충전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직물 포대는 종래의 충전물이 빠져나오면서 직물지의 틈이 점점 커져 직물지가 훼손되어버리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결국 포대의 외형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의 다용도 직물 포대는 충전물을 최대한 충전한 상태에서도 균일한 두께로 벽면, 경사면 등에 배치가 가능하여, 식재 기반을 평탄하게 할 수 있으며, 직물 포대 내에서 토양이 유동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식재의 뿌리가 상부 또는 하부 직물지와 복수의 얀에 얽히게 됨으로써, 식재가 토양에 활착하기 이전에, 식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도 함께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201 : 플라스틱 섬유
    210a, 410a : 상부 직물지
    210b, 410b : 하부 직물지
    220, 420 : 얀
    411a : 날실
    411b : 씨실
    501 : 충전물
    610 : 방근시트
    620 : 보수재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