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콘수납기

申请号 KR2020030021548 申请日 2003-07-04 公开(公告)号 KR200328083Y1 公开(公告)日 2003-09-26
申请人 이영사; 发明人 이영사;
摘要 본 고안은 리모콘수납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각종 리모콘을 꽂아 세울 수 있는 다수의 리모콘수용구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하여 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리모콘수납기는, 각종 리모콘을 한곳에 집중적으로 모아 보관할 수 있어 리모콘을 찾아다녀야 하는 불편이 없으며 특히 각각의 리모콘을 별도로 구획된 각자의 수용구내에 세워 꽂아 놓음으로써 원하는 리모콘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리모콘수납기에 메모지 및 필기구를 꼽을 수 있어 예컨대 텔레비전을 시청하다가 필요한 정보를 바로 메모할 수 있게 한다.
权利要求
  • 각종 리모콘을 꽂아 세울 수 있는 다수의 리모콘수용구(13)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하부에 결합하여 본체(21)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수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수용구(13)는 소정깊이의 바닥면(13a)을 가지며 상부로 개방되어 있는 수용공간으로서 상기 바닥면(13a)은 삽입된 리모콘의 하단부를 바닥면(13a)의 중앙부로 유도하도록 중앙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수납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수용구(13)의 측부에는 비디오테입을 수용 할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를 갖는 다목적 수용구(15)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수납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수용구(13)의 또 다른 측부에는 메모지 및 필기구를 세워 수용할 수 있는 메모지 및 필기구수용구(17,19)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수납기.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3)의 저면에는 베이스플레이트(23)에 쿠션을 제공하는 패드(3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수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수용구(13)의 리모콘이 지지되는 벽은 기대어진 리모콘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만곡되어 곡면벽(40)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수납기.
  • 说明书全文

    리모콘수납기{Remote controller keeping stand}

    본 고안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각종 리모콘을 한 곳에 모아 보관할 수 있게 하는 리모콘수납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출시되는 텔레비전이나 오디오, 비디오, 에어컨 등은 거의 모두 리모트콘트롤 핸드세트(이하, 리모콘)를 통해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리모콘은 멀리서 해당 전자제품의 동작을 원하는 대로 제어하게 함으로써 매우 편리하다.

    그러나, 상기 리모콘은 전자제품을 사용할 때에는 편리하고 좋으나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마땅히 둘 곳이 없어, 다음에 사용할 때에 리모콘을 찾아다녀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리모콘을 놔둔 위치를 정확히 기억하고 있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바쁘게 생활하는 사람들이 리모콘의 위치까지 신경 쓰기는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니다. 특히 근래들어 홈시어터의 보급으로 리모콘의 개수가 많아져 리모콘을 관리하는 일이 더욱 번거로워 졌다.

    또한 두세 개 많게는 그 이상의 리모콘이 방이나 거실의 여기 저기에 무신경하게 굴러다니게 되면 지저분하고 언젠가 리모콘을 잃어버릴 수 도 있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각종 리모콘을 한곳에 집중적으로 모아 보관할 수 있어 리모콘을 찾아다녀야 하는 불편이 없으며 특히 각각의 리모콘을 별도로 구획된 각자의 수용구내에 세워 꽂아 놓음으로써 원하는 리모콘을 쉽게 찾을 수 있고, 또한 더 나아가 리모콘수납기에 메모지 및 필기구를 꼽을 수 있어 예컨대 텔레비전을 시청하다가 필요한 정보를 바로 메모할 수 있게 하는 리모콘수납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수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리모콘수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수납기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의 리모콘수납기의 사용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리모콘수납기 13:리모콘수용구

    13a:바닥면 13b:경사면

    15:다목적수용구 17:메모지수용구

    19:필기구수용구 21:본체

    23:베이스플레이트 25:결합돌기

    27:관통구멍 29:고정나사

    31a,32a:중공로드 31b,32b:나사구멍

    33:패드 35a,35b:걸림턱

    40:곡면벽

    A:필기구 B:메모지

    R:리모콘 V:비디오테입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각종 리모콘을 꽂아 세울 수 있는 다수의 리모콘수용구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하여 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모콘수용구는 소정깊이의 바닥면을 가지며 상부로 개방되어 있는 수용공간으로서 상기 바닥면은 삽입된 리모콘의 하단부를 바닥면의 중앙부로 유도하도록 중앙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리모콘수용구의 측부에는 비디오테입을 수용 할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를 갖는 다목적 수용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모콘수용구의 또 다른 측부에는 메모지 및 필기구를 세워 수용할 수 있는 메모지 및 필기구수용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에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쿠션을 제공하는 패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모콘수용구의 리모콘이 지지되는 벽은 기대어진 리모콘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만곡되어 곡면벽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수납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수납기(11)는, 바닥(미도시)에 놓여지며 그 테두리부 및 결합돌기(도 2의 25)로 소정 높이를 제공하는 베이스플레이트(23)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3)의 상부에 결합하는 본체(21)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정두께를 가지며 그 테두리가 상부로 벤딩된 사각판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3)의 에지부에는 본체(21) 하단의 에지부에 맞물리는 걸림턱(35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3)는 공지의 사출성형의 방법에 의해 제작한다.

    상기 본체(21)도 베이스플레이트(23)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다. 상기 본체(21)에는 상부로 개방되며 소정깊이를 갖는 여섯 개의 리모콘수용구(13)와 다목적수용구(15)와 메모지수용구(17) 및 필기구수용구(19)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리모콘수용구(1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종 리모콘(도 4의 R)을 그 내부에 꽂아 세울 수 있는 수용구이다. 상기 리모콘수용구(13)의 평면형상이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여섯 개의 리모콘수용구(13)를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도 있고 제각기 다른 모양을 가지게 할 수 도 있다. 마찬가지로 각 리모콘수용구(13)의 깊이도 상호 다르게 형성하여 길이가 긴 리모콘이나 길이가 짧은 리모콘을 모두 안정적으로 또한 용이하게 수용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리모콘수용구(13)의 일측벽은 라운드 처리되어 곡면벽(40)을 이룬다. 이와같이 일측벽을 라운드 처리하여 곡면을 부여함으로써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곡면벽(40)에 기대어진 리모콘이 벽에 기대어진 채로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각 리모콘수용구(13)의 바닥면(도 3의 13a)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앙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두 개의 경사면(13b)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바닥면(13a)의 중앙부를 다른 부분보다 낮게 형성 함으로써 수납되어 있는 리모콘의 하단부를 중앙부로 유도하여 리모콘을 되도록 수직에 가깝게 세울 수 있는 것이다. 수평면에 대한 상기 경사면(13b)의 경사각은 1도 내지 5도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리모콘수용구(13)의 측부에는 다목적수용구(1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다목적수용구(15)는 예컨대 비디오테입(도 4의 V)이나 콤팩트디스크나 광디스크(DVD) 등을 꼽아 놓을 수 있는 수납공간이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다목적수용구(15)를 두 개 이상 형성할 수 도 있다.

    상기 리모콘수용부(13)의 또 다른 타측부에는 메모지수용구(17) 및 필기구수용구(19)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메모지수용구(17)는 메모지(도 4의 B)를 세워 수용하는 수용공간이다. 상기 메모지수용구(17)의 사이즈는 리모콘수납기(11)의 성형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필기구수용구(19)는 원통형 공간으로서 메모에 필요한 필기구(도 4의 A)를 끼우는 구멍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리모콘수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의미하며 그에 관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21)와 베이스플레이트(23)가 네 개의 고정나사(29)에 의해 결합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21)와 베이스플레이트(23)의 각각의 에지부에는 걸림턱(35a,35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35a,35b)은 상호 맞물려 베이스플레이트(23)에 대해 본체(21)가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토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3)의 네 귀퉁이부에는 결합돌기(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25)는 그 중심축부에 관통구멍(27)을 갖는 원통형 돌기로서 그 상단이 본체(21)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로드(도 3의 31a,32a)의 하단 저면에 대응하며 면접한다.

    상기 중공로드(도 3의 31a,32a)는 본체(21)에 일체로 형성된 나사관통로로서 결합돌기(25)의 연직 상부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그 중심축에 고정나사(29)가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공로드(31a,32a)는 메모지수용구(17)와 필기구수용구(19)와 다목적수용구(15) 및 한쪽 리모콘수용구(13) 바닥면의 저면에 위치한다.

    상기 고정나사(29)는 필기구수용구(19)와 다목적수용구(15) 및 리모콘수용구(13)의 중공로드(31a) 및 메모지수용구(17)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로드(32a)에 결합함으로서 본체(21)와 베이스플레이트(23)를 결합시킨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수납기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플레이트(23)의 상면에 결합돌기(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25)는 모두 네 개이며 높이는 상호 동일하다. 상기 결합돌기(25)는 각 중공로드(31a,31b)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며 중공로드에 결합할 고정나사(29)를 상향 통과시킨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3)의 저면에는 패드(3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패드(33)는 베이스플레이트(23)의 저면에 부착된 원판형 신축부재로서 베이스플레이트(23)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쿠션을 제공한다. 상기 패드(33)로 고무판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리모콘수용구(13)의 바닥면(13a)이 중앙부를 향하여 소정각도로 하향 경사진 두 개의 경사면(13b)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경사면(13b)에 의하여 수용구(13) 내에 삽입된 리모콘의 하단부는 바닥면(13a)에서 제일 낮은 부위인 중앙부로 자연스럽게 쏠려 위치하게 된다. 이와같이 리모콘의 하단부가 바닥면(13a)의 중앙부에 위치하므로 리모콘이 수용구(13) 내부에서 벽면에 기대어지더라도 그 기울기가 작아 거의 수직으로 서 있는 정도를 유지한다.

    도 4는 상기 도 1의 리모콘수납기의 사용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두 개의 리모콘수용구(13)에 리모콘(R)이 각각 삽입되어 있다. 상기 리모콘(R)은 그 하단부가 리모콘수용구(13)이 바닥면(13a)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로 리모콘수용구(13)의 곡면벽(40)에 기대어져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리모콘수용구(13)는 모두 여섯 개 이므로 네 개의 리모콘을 더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다목적수용구(15)에는 비디오테입(V)이 꽂혀져 있다. 상기 다목적수용구(15)의 깊이는 너무 깊지 않게 하여 비디오테입(V)을 용이하게 넣거나 뺄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메모지수용구(17)에는 다수의 메모지(B)가 꽂혀져 있고 필기구수용구(19)에는 한 자루의 필기구(A)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메모지수용구(17) 및 필기구수용구(19)도 너무 깊지 않게 하여 외부에서 메모지나 필기루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리모콘수납기는, 각종 리모콘을 한곳에 집중적으로 모아 보관할 수 있어 리모콘을 찾아다녀야 하는 불편이 없으며 특히 각각의 리모콘을 별도로 구획된 각자의 수용구내에 세워 꽂아 놓음으로써 원하는 리모콘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리모콘수납기에 메모지 및 필기구를 꼽을 수 있어 예컨대 텔레비전을 시청하다가 필요한 정보를 바로 메모할 수 있게 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