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용 박스

申请号 KR1020030054314 申请日 2003-08-06 公开(公告)号 KR1020050015482A 公开(公告)日 2005-02-21
申请人 삼성전자주식회사; 发明人 김정훈; 문삼환;
摘要 PURPOSE: Provided is an improved structure of a packing box for electronic appliances, to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pack/unpack a number of parts composing an electronic appliance. CONSTITUTION: The packing box for parts of an electronic appliance includes a body(100), a cover(200), and a cushion(300). The body(100) includes a main body(110), and two sub-bodies(120,130) rotatab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110) to be able to selectively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110), in which each body stores parts of the appliance, and contains a protection cushion for protecting the appliance from external shocks. The cover(200) includes a main cover(210) f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110) and sub-covers(220,230) for cover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sub-bodies(120,130), respectively.
权利要求
  • 수 개의 파트로 이루어진 전자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품의 일부 파트가 수납되는 메인바디;
    상기 전자제품의 나머지 파트가 수납되며, 상기 메인바디와 포개어져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선회가능하도록 결합된 서브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서브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전자제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쿠션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메인커버; 및
    상기 서브바디의 상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서브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서브바디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메인커버 및 상기 서브커버는 커버판과, 상기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커버판의 일단에 결합된 고정부와, 상기 결합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판의 타단에 결합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 수 개의 파트로 이루어진 전자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포장용 박스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품의 본체가 수납되는 메인바디;
    상기 전자제품의 일부 파트가 수납되며, 상기 메인바디와 포개어져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 반쪽을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선회가능하도록 결합된 제 1 서브바디;
    상기 전자제품의 또다른 일부 파트가 수납되며, 상기 메인바디와 포개어져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 나머지 반쪽을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에 선회가능하도록 결합된 제 2 서브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전자제품의 본체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 1 보호쿠션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바디의 내부에는 제 2 및 제 3 보호쿠션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호쿠션은 상기 전자제품의 본체가 수납되는 하부쿠션 및 상기 하부쿠션을 덮는 상부쿠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쿠션의 상면에는 매뉴얼이 수납되는 요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메인커버;
    상기 제 1 서브바디의 상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 1 서브커버; 및
    상기 제 2 서브바디의 상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 2 서브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바디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메인커버,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커버는 커버판과, 상기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결합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 说明书全文

    포장용 박스{PACKING BOX}

    본 발명은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 개의 파트로 나뉘어 하나의 제품을 이루는 전자제품을 용이하게 수납하고 꺼낼 수 있는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오디오, VCR 등의 전자제품을 수납하는 포장용 박스는 전자제품의 보관이나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전자제품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개폐가 가능한 수납 공간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포장용 박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종래의 포장용 박스는, 바닥면(미도시) 및 복수의 측면(11)으로 이루어져 전자제품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바디부(10)와, 바디부(10)의 상부 개방부(10a)를 덮기 위해 각 측면(11)에서 연장된 커버부(20)와, 전자제품에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제품을 감싸는 보호쿠션(30)을 포함한다. 이러한 포장용 박스는 바디부(10)에 전자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의 공간이 마련되고 바디부(10)의 상부 개방부(10a)를 통해 전자제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제품은 보호쿠션(30)에 감싸여진 상태로 바디부(10)에 수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포장용 박스는, 바디부(10)에 전자제품을 수납할 수 있는 하나의 공간만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수 개의 파트로 나누어져 하나의 제품을 이루는 전자제품,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영상정보 저장매체를 가지는 영상 수신/기록/재생 장치(2003년 07월 25일 출원)"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전자제품처럼 커다란 본체와 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전원케이블, 안테나 및 리모콘으로 이루어진 전자제품을 수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즉, 본체, 전원케이블, 안테나, 리모콘 등의 모든 파트를 하나의 공간에 수납할 경우, 각 파트가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개개의 파트를 수납하기 위해 서로 다른 포장용 박스를 사용할 경우,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보관이나 운반이 불편한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 개의 파트로 나뉘어 하나의 제품을 이루는 전자제품을 용이하게 수납하고 꺼낼 수 있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박스는, 전자제품의 일부 파트 예컨대, 본체가 수납되는 메인바디; 전자제품의 나머지 파트 예컨대, 부속품이 수납되며, 상기 메인바디와 포개어져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에 선회가능하도록 결합된 서브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하나의 박스에 수 개의 파트로 이루어진 전자제품의 각 파트가 각각 수납될 수 있는 다른 공간이 구비되기 때문에, 제품의 수납 및 분리가 용이하고 공간의 활용이 효율적인 포장용 박스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서브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전자제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쿠션이 각각 구비된 것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박스는,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메인커버; 및 상기 서브바디의 상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서브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서브바디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메인커버 및 상기 서브커버는 커버판과, 상기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커버판의 일단에 결합된 고정부와, 상기 결합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커버판의 타단에 결합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박스는, 전자제품의 본체가 수납되는 메인바디; 상기 전자제품의 일부 파트가 수납되며, 상기 메인바디와 포개어져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 반쪽을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선회가능하도록 결합된 제 1 서브바디; 전자제품의 또다른 일부 파트가 수납되며, 상기 메인바디와 포개어져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 나머지 반쪽을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에 선회가능하도록 결합된 제 2 서브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전자제품의 본체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제 1 보호쿠션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바디의 내부에는 제 2 및 제 3 보호쿠션이 각각 구비된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제 1 보호쿠션은 상기 전자제품의 본체가 수납되는 하부쿠션 및 상기 하부쿠션을 덮는 상부쿠션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상부쿠션의 상면에는 매뉴얼이 수납되는 요홈이 구비된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박스는,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메인커버; 상기 제 1 서브바디의 상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 1 서브커버; 및 상기 제 2 서브바디의 상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 2 서브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바디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메인커버,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커버는 커버판과, 상기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결합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박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박스의 바디부 및 커버부에 대한 전개도이고,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박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박스의 개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박스는, 크게 바디부(100)와, 커버부(200)와, 쿠션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부(100)는 전자제품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바디(110)와, 제 1 및 제 2 서브바디(120)(130)로 이루어지며, 이들 메인바디(110), 제 1 및 제 2 서브바디(120)(130)는 모두 전자제품의 일부 파트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메인바디(110)는 전자제품의 여러 파트 중에서 본체와 같이 크기가 가장 큰 파트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2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바닥면(111)과, 전/후벽(112)(113)과, 좌/우측벽(114)(115)으로 이루어진다.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는 바닥면(111)의 일측 모서리에는 외전벽(116)이 연장 형성되고 외전벽(116)에는 외전벽(116)에 대응되는 내전벽(117)이 연장형성된다. 외전벽(116)과 내전벽(117) 사이에는 절곡부(116a)가 구비되고, 이 절곡부(116a) 상에는 두 개의 결합홈(110a)(110b)이 형성된다. 내전벽(117)의 일단에는 바닥면(111)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삽입홈(111a)(111b)에 대응되는 두 개의 돌출부(117a)(117b)가 구비된다. 그리고, 외전벽(116)의 맞은 편 바닥면(111)의 모서리에는 외후벽(118)이 연장형성되며, 외후벽(118)에는 외후벽(118)의 크기와 유사한 내후벽(119)이 연장형성된다. 내후벽(119)에는 바닥면(111)의 삽입홈(111c)(111d)에 대응되는 두 개의 돌출부(119a)(119b)가 구비된다. 외후벽(118)과 내후벽(119) 사이에는 절곡부(118a)가 구비되고, 이 절곡부(118a) 상에는 두 개의 결합홈(110a)(110b)에 대응되는 두 개의 고정홈(110c)(110d)이 형성된다. 또한, 도 2a 상에서와 같이 바닥면(111)의 좌측 모서리에는 좌측벽(114)이 연장형성되고 그 맞은 편 모서리에는 우측벽(115)이 연장형성된다. 좌측벽(114)의 양단부에는 오버랩부(114a)(114b)가 구비되고, 우측벽(115)의 양단부에도 오버랩부(115a)(115b)가 각각 구비된다. 외전/후벽(116)(118)과 좌/우측벽(114)(115)이 바닥면(111)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세워지고, 좌/우측벽(114)(115)의 오버랩부(114a)(114b)(115a)(115b)가 외전/후벽(116)(118)에 접한 상태에서 내전벽(117) 및 내후벽(119)이 각 절곡부(116a)(118a)를 중심으로 굽혀지면 메인바디(110)는 수납 공간을 갖는 박스 형태가 된다. 여기에서, 네 개의 돌출부(117a)(117b)(119a)(119b)가 각각의 대응되는 삽입홈(111a)(111b)(111c)(111d)에 삽입됨으로써, 전/후벽(112)(113) 및 좌/우측벽(114)(115)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메인바디(110)의 일측 모서리 상부에는 두 개의 결합홈(110a)(110b)이 상부를 향해 노출되고, 메인바디(110)의 맞은 편 모서리 상부에는 두 개의 고정홈(110c)(110d)이 상부를 향해 노출된다.

    상기 제 1 서브바디(120)는 메인바디(110)와 같이, 바닥면(121)과, 전/후벽(122)(123)과, 좌/우측벽(124)(1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 크기는 메인바디(110)의 대략 반이 된다. 제 1 서브바디(120)의 구성 및 구조는 메인바디(110)의 구성 및 구조와 유사하며, 다만, 내전벽(127) 및 내후벽(129)에는 메인바디(110)의 돌출부 및 삽입홈에 대응되는 밀착부(127a)(129a)가 각각 구비되고 결합홈(120a) 및 고정홈(120b)의 개수가 한 개씩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외전/후벽(126)(128), 좌/우측벽(124)(125) 및 내전/후벽(127)(129)이 굽혀져 제 1 서브바디(120)가 수납공간을 갖는 박스 형태가 되면 밀착부(127a)(129a)는 바닥면(121)에 밀착되어 전/후벽(122)(123) 및 좌/우측벽(124)(125)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 1 서브바디(120)의 상부 모서리 일측에는 결합홈(120a)이 상부를 향해 노출되고, 그 맞은 편 모서리에는 고정홈(120b)이 상부를 향해 노출된다. 그리고, 제 1 서브바디(120)의 우측벽(125) 단부는 메인바디(110)의 좌측벽(114)에 결합되고 이들 좌/우측벽(114)(125) 사이에는 절곡부(114c)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 1 서브바디(120)는 이 절곡부(114c)를 중심으로 선회되어 메인바디(110)와 포개어지면서 메인바디(110)의 상부 반쪽을 덮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서브바디(130)는 제 1 서브바디(120)와 같이, 바닥면(131)과, 외전/후벽(136)(138)과, 내전/후벽(137)(139)과, 좌/우측벽(134)(135)을 포함하며, 그 크기는 메인바디(110)의 대략 반이 되어 제 1 서브바디(120)의 크기와 같다. 제 2 서브바디(130)는 전/후벽(132)(133)의 밀착부(137a)(139a)가 바닥면(131)에 밀착됨으로써 전/후벽(132)(133) 및 좌/우측벽(134)(135)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 1 서브바디(120)와 같이 제 2 서브바디(130)의 전후측 상부 모서리 각각에는 결합홈(130a) 및 고정홈(130b)이 상부를 향해 노출된다. 그리고, 제 2 서브바디(130)의 좌측벽(134) 단부는 메인바디(110)의 우측벽(115) 단부에 결합되며, 이 좌/우측벽(134)(115) 사이에는 절곡부(115c)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 2 서브바디(130)는 이 절곡부(115c)를 중심으로 선회되어 메인바디(110)와 포개어지면서 메인바디(110)의 상부 나머지 반쪽을 덮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부(200)는 바디부(100)를 덮기 위한 것으로,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메인커버(210)와, 제 1 및 제 2 서브커버(220)(230)를 포함한다. 메인커버(210)는 메인바디(110)의 상부를 덮기 위한 것으로 메인바디(110)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커버판(211)과, 커버판(211)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결합부(212)(213)와, 커버판(211)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고정부(214)(215)로 이루어진다. 결합부(212)(213) 및 고정부(214)(215)는 커버판(211)에 대해 굽혀질 수 있다. 따라서, 메인커버(210)의 고정부(214)(215)가 메인바디(110)의 고정홈(111c)(111d)에 각각 삽입되면 커버판(211)은 메인바디(110)에 대해 선회 가능하여 메인바디(110)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결합부(212)(213)는 메인바디(110)의 결합홈(110a)(110b)에 삽입되어 메인커버(210)가 메인바디(110)를 덮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결합부(212)(213) 각각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돕는 조작홈(212a)(213a)이 형성된다. 또한, 메인커버(210)의 상부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포장용 박스의 개봉 순서를 안내해주는 안내서(40)가 놓일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커버(220)는 제 1 서브바디(120)를 덮기 위한 것으로 제 1 서브바디(120)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커버판(221)과, 커버판(221)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결합부(222)와, 커버판(221)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고정부(223)로 이루어진다. 제 1 서브커버(220)의 구성 및 구조는 메인커버(210)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 서브커버(230)는 제 2 서브바디(130)를 덮기 위한 것으로 제 2 서브바디(130)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커버판(231)과, 커버판(231)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결합부(232)와, 커버판(231)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고정부(233)로 이루어진다. 제 2 서브커버(230)의 구성 및 구조 역시 메인커버(210)와 같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쿠션부(300)는 바디부(100)에 수용되는 전자제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바디(110)에 수용되는 제 1 보호쿠션(310)과, 제 1 서브바디(120)에 수용되는 제 2 보호쿠션(220)과, 제 2 서브바디(130)에 수용되는 제 3 보호쿠션(230)을 포함한다. 제 1 보호쿠션(210)은 전자제품의 본체와 같이 크기가 가장 큰 파트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제품이 놓이는 하부쿠션(311)과, 하부쿠션(311)을 덮는 상부쿠션(3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부쿠션(311)에는 수납홈(311a)가 형성되고 상부쿠션(312)의 상부에는 매뉴얼(50)을 수납하기 위한 요홈(312a)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보호쿠션(312)은 제 1 서브바디(120)에 수용되며, 리모콘과 같이 전자제품의 본체에 비해 작은 파트를 수용하여 이를 보호한다. 제 2 보호쿠션(320)에는 전자제품의 각종 파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홈(320a)(320b)이 형성된다. 수납홈(320a)(320b)의 수나 형상은 수납되는 전자제품의 파트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 3 보호쿠션(330)은 제 2 서브바디(130)에 수용되며, 안테나와 전원케이블 등 전자제품 본체에 비해 크기가 작은 다른 파트가 수용되어 이를 보호한다. 제 3 보호쿠션(330) 역시 제 2 보호쿠션(320)과 마찬가지로 전자제품의 각종 파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홈(330a)(330b)을 가지며, 수납홈(330a)(330b)의 수나 형상은 수납되는 전자제품의 파트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박스의 개봉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박스는 전자제품의 각 파트가 수납된 후 메인바디(110)에 제 1 및 제 2 서브바디(120)(130)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랩핑되어 운반 및 저장된다.

    전자제품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랩(400)을 제거한 후, 메인바디(110)에 포개어져 있는 제 1 및 제 2 서브바디(120)(130)를 선회시켜 도 5a 및 5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메인바디(110)로부터 펼친다. 이때, 메인커버(210)의 상부에 놓여 있는 안내서(40)가 노출된다. 사용자는 안내서(40)를 통해 메인바디(110)와 제 1 및 제 2 서브바디(120)(130)에 전자제품의 어떤 파트가 수납되어 있는지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커버(210)와 제 1 및 제 2 서브커버(220)(230)의 조작홈(212a)(213a)(222a)(232a)에 손가락을 걸어 각 결합부(212)(213)(222)(232)(도 2b참조)를 결합홈(110a)(110b)(120a)(130a)(도 3참조)에서 이탈시키고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각 커버(210)(220)(230)을 뒤쪽으로 젖혀 메인바디(110)와 제 1 및 제 2 서브바디(120)(130)를 개방시킨다. 이때, 메인바디(110)에는 제 1 보호쿠션(310)에 수납되어 있는 매뉴얼(50)이 노출되고, 제 1 및 제 2 서브바디(120)(130)에는 리모콘, 전원케이블, 안테나 등의 전자제품의 각 파트가 노출된다. 그리고, 제 1 보호쿠션(310)의 상부쿠션(311)을 들어내어 하부쿠션(312)에 놓여 있는 전자제품의 본체를 노출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제품의 각 파트를 서로 다른 수납 공간에 각각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제품의 수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수납 공간 활용이 효율적인 포장용 박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박스는, 전자제품의 각 파트가 메인바디와, 메인바디에 포개지도록 결합된 제 1 및 제 2 서브바디에 잘 정리되어 수납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개봉하는 즐거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을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포장용 박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박스의 바디부 및 커버부에 대한 전개도,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포장용 박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박스의 개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바디부 110;메인바디

    111;바닥면 112,113;전/후벽

    114,115;좌/우측벽 120,130;제 1,2 서브바디

    121,131;바닥면 122,132;전벽

    123,133;후벽 124,134;좌측벽

    125,135;우측벽 200;커버부

    210;메인커버 211;커버판

    212,213;결합부 214,215;고정부

    220,230;제 1,2 서브커버 221,231;커버판

    222,232;결합부 223,233;고정부

    300;쿠션부 310,320,330;제 1,2,3 보호쿠션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