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렛 상자 및 그 외측 블랭크

申请号 KR1020087005274 申请日 2006-08-18 公开(公告)号 KR1020080044849A 公开(公告)日 2008-05-21
申请人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토사카마사히코; 나카무라테츠야;
摘要 A cigarette box has a box body (2), a lid (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ox body (2), an outer wall (10) superposed on a rear wall of the box body (2) and forming a pocket (P) in cooperation with the rear wall, and a sheet-shaped pouch (6) removably received in the pouch (P). The pouch (6) is used as a portable ashtray.
权利要求
  • 시가렛 상자는,
    개구(開口)된 상단(上端), 배벽(背壁) 및 바닥을 갖는 상자 몸체와,
    상기 상자 몸체의 배벽에 힌지(hinge)를 통하여 접속되어, 상자 몸체의 상단을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상자 몸체 내에 수용된 내측 팩(inner pack)으로서, 시가렛의 다발 및 이 다발을 감싸는 포장재를 갖는 내측 팩과,
    상기 상자 몸체의 배면(背面)에 제공된 포켓(pocket)과,
    상기 포켓 안에서 빼낼수 있게 삽입된 시트(sheet)형상의 물품을 구비하는 시가렛 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상자 몸체의 배벽에 겹쳐져, 이 배벽과의 사이에 포켓 공간의 형성을 허용하는 어넥스벽(annex wall)을 포함하고, 상기 포켓의 출입구는 상기 뚜껑 측에 위치한 상기 넥스벽의 가장자리와 상기 배벽의 사이에 형성되고 있는 시가렛 상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 몸체의 상기 배벽은 상기 포켓 공간을 확장하는 오목부를 갖는 시 가렛 상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자 형상을 이루고, 상기 상자 몸체의 상기 배벽에 상기 힌지를 통하여 인접하는 배면을 갖는 시가렛 상자.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포켓 공간으로부터 상기 뚜껑의 상기 배면으로 연장되어 있는 시가렛 상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공간 내에서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뚜껑의 상기 배면에서의 깊이보다 큰 시가렛 상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의 출입구는 상기 힌지 위 또는 상기 힌지보다 상기 상자 몸체의 바닥 측에 위치되어 있는 시가렛 상자.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의 출입구는 상기 상자 몸체의 바닥벽을 향하여 들어간 만입(灣入, cove) 형상을 이루고 있는 시가렛 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시트 형상의 물품은 재떨이로서 사용 가능한 쌈지(pouch)인 시가렛 상자.
  • 힌지 리드형(hinge lid type) 시가렛 상자를 형성하기 위한 외측 블랭크(outer blanl)는,
    길이방향 축선을 갖는 메인 섹션(main section) 및 상기 상자에 포켓(pocket)을 제공하기 위한 서브 섹션(sub suction)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 섹션은,
    상기 상자의 배벽, 바닥벽 및 전벽(前壁)을 각각 형성하기 위한 제1 후방패널(rear panel), 제1 바닥 패널(bottom panel) 및 제1 전방패널(front panel)로서, 이들 패널이 상기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상기한 순서대로 일렬로 정렬되고, 또한 인접하는 패널이 접기선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제1 후방패널, 제1 바닥 패널 및 제1 전방패널과,
    상기 제1 후방패널의 양 측연(側緣)에 접기선을 통하여 각각 접속된 제1 내측사이드플랩(inner side flap)과,
    상기 제1 전방패널의 양 측연에 접기선을 통하여 각각 접속되어, 상기 제1 내측사이드플랩과 협동하여 상기 상자의 양 측벽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외측사이드플랩(outer side flap)과,
    상기 제1 바닥 패널과는 반대측의 상기 제1 후방패널의 가장자리에 상기 상자의 힌지로 되는 힌지 라인(hinge line)을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뻗고, 또한 상기 상자의 뚜껑을 형성하기 위한 리드 부분
    을 포함하며,
    상기 리드 부분은,
    상기 뚜껑의 배벽, 상벽 및 전벽을 형성하기 위해 백패널(back panel), 상단패널(top panel) 및 제2 전방패널로서, 이들 패널이 상기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상기한 순서대로 일렬로 정렬되고, 또한 인접하는 패널이 접기선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백패널, 톱 패널 및 제2 전방패널과,
    상기 백패널의 양측에 접기선을 통하여 각각 접속된 제2 내측사이드플랩과,
    상기 제2 전방패널의 양측에 접기선을 통하여 각각 접속되어, 상기 제2 내측사이드플랩과 협동하여 상기 뚜껑의 양 측벽을 형성하는 제2 외측사이드플랩
    을 가지며,
    상기 서브 섹션은,
    한 쪽의 상기 제1 외측사이드패널의 측연에 접기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상자의 상기 배벽에 겹쳐지는 제2 후방패널과,
    상기 한 쪽의 제1 외측사이드패널과는 반대 측에 위치된 상기 제2 후방패널의 측연에 접기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상자의 대응하는 측벽에 겹쳐지는 제2 외측 플랩과,
    상기 제1 바닥 패널 측에 위치한 상기 제2 후방패널의 단연(端椽)에 접기선 을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상자의 바닥벽에 겹쳐지는 제2 바닥 패널
    을 포함하는 외측 블랭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방패널은, 상기 상자의 배벽에 상기 제2 후방패널이 겹쳐졌을 때, 상기 힌지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후방패널의 단연(端緣)이 상기 힌지 위 또는 상기 힌지보다 상자의 바닥벽 측에 위치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외측 블랭크.
  • 힌지 리드형 시가렛 상자를 위한 어넥스 블랭크(annex blank)는,
    상기 상자의 배벽에 겹쳐지는 후방패널과,
    상기 후방패널의 양 측연에 접기선을 통하여 각각 접속되어, 상기 상자의 양 측벽에 각각 겹쳐지는 제2 외측 플랩과,
    상기 후방패널의 단연에 접기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상자의 바닥벽에 겹쳐지는 바닥 패널
    을 포함하는 어넥스 블랭크.
  • 说明书全文

    시가렛 상자 및 그 외측 블랭크{CIGARETTE BOX AND OUTER BLANK OF THE SAME}

    본 발명은 시가렛 상자(cigarette box) 및 이 시가렛 상자를 형성하기 위한 외측 블랭크(outer blank)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한 장의 시트(sheet) 형상의 물품을 지지할 수 있는 시가렛 상자 및 그 외측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시가렛 상자에는, 통상, 힌지 리드형(hinge lid)의 시가렛 상자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가렛 상자는 그 내부에 내측 팩(inner pack)을 수용하고 있고, 이 내측 팩은 시가렛의 다발과, 이 다발을 감싸는 포장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시가렛 상자 안에는, 내측 팩과 함께 시트 형상의 물품, 즉, 쿠폰을 수용한 시가렛 상자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가렛 상자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8-25327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의 시가렛 상자가 열렸을 때, 쿠폰은 시가렛 상자로부터 돌출한다.

    최근에, 공공(公共)장소의 대부분이 금연구역으로 지정되는 경향에 있고, 이 때문에, 건물 안팎을 불문하고, 재떨이가 설치되어 있는 흡연구역은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흡연환경을 감안하여, 흡연자는 개별적으로 재떨이를 휴대할 필요를 느끼고 있다.

    그러나, 재떨이가 비록 휴대형으로 작아도, 흡연자에게 있어서 시가렛 상자에 덧붙여, 재떨이의 휴대는 매우 번거롭다. 그러므로, 시가렛 상자 안에 상기 공보에 개시된 쿠폰 대신에 휴대 재떨이를 수납하는 일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휴대 재떨이는 시가렛 상자에 요구되는 크기를 증가시킨다. 또한, 사용 후의 휴대 재떨이는 이상한 냄새를 발생하므로, 사용 후의 휴대 재떨이가 시가렛 상자 안으로 다시 되돌려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가렛 상자의 크기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고, 쿠폰이나 휴대 재떨이 등의 시트 형상의 물품을 시가렛 상자와 함께 용이하게 지니고 다닐 수 있는 시가렛 상자 및 그 외측 블랭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형상의 물품이 휴대 재떨이인 경우, 사용 후의 휴대 재떨이를 시가렛 상자와 함께 지니고 다니는데 어떤 불편도 초래할 수 없는 시가렛 상자 및 그 외측 블랭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가렛 상자는 개구(開口)된 상단 (上端), 배벽(背壁) 및 바닥을 갖는 상자 몸체와, 이 상자 몸체의 배벽에 힌지를 통하여 접속되어, 상자 몸체의 상단을 개폐하는 뚜껑과, 상자 몸체 내에 수용된 내측 팩으로서, 시가렛의 다발 및 이 다발을 감싸는 포장재를 갖는 내측 팩과, 상자 몸체의 배면(背面)에 제공된 포켓(pocket)과, 포켓 안에서 빼낼 수 있게 삽입된 시트 형상의 물품을 구비한다.

    시트 형상의 물품은 필요에 따라 시가렛 상자의 포켓으로부터 인출된다. 시트 형상의 물품은 상자 몸체의 두께를 약간 증가시킬 뿐이며, 본 발명의 시가렛 상자는 통상의 시가렛 상자와 마찬가지로 자동 판매기에서의 판매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포켓은 상기 상자 몸체의 배벽에 겹쳐져, 이 배벽과의 사이에 포켓 공간의 형성을 허용하는 어넥스벽(annex wall)을 포함하고, 포켓의 출입구는 뚜껑 측에 위치한 넥스벽의 가장자리와 배벽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자 몸체의 배벽은 상기 포켓 공간을 확장하는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오목부는 포켓 내에 시트 형상의 물품이 수용되었을 때, 외측으로의 어넥스벽의 돌출을 줄인다. 그러므로, 시가렛 상자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배면을 가지므로, 시가렛 상자가 자동 판매기로부터 불출(拂出)될 때, 시가렛 상자가 자동 판매기 내에서 막히는 일도 없다. 이 결과, 시가렛 상자는 자동 판매기로부터가 안정되게 불출된다.

    시가렛 상자가 힌지 리드 패키지인 경우, 상술한 오목부는 포켓 공간으로부터 뚜껑의 배면으로 뻗어나가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포켓 공간 내에서의 오목부의 깊이는 뚜껑의 배면에서의 깊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포켓의 출입구는 뚜껑의 힌지 위 또는 이 힌지보다 상자 몸체의 바닥 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 경우, 포켓의 출입구가 뚜껑의 개폐에 방해가 될 일은 없다.

    또한, 포켓의 출입구는 상자 몸체의 바닥 측으로 들어간 만입(灣入)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출입구는 포켓 내의 시트 형상의 물품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포켓으로부터의 물품의 취득이 용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형상의 물품은 재떨이로서 사용가능한 쌈지(pouch)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쌈지는 흡연에 앞서 포켓으로부터 꺼내져 재떨이로서 사용된다. 흡연 후, 쌈지 내의 재나 담배꽁초는 배출되고 그리고, 쌈지는 시가렛 상자의 포켓 안에서 다시 되돌려져 시가렛 상자와 함께 흡연자에 의해 휴대된다.

    포켓은 시가렛 상자의 외측에 있으므로, 사용 후의 쌈지로부터 이상한 냄새가 발생하여도, 시가렛 상자의 뚜껑이 닫혀 있는 한, 이상한 냄새가 시가렛 상자 내의 시가렛의 풍미(風味)나 미각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시가렛 상자나 포켓을 형성하기 위한 외측 블랭크 및 어넥스 블랭크도 또한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시가렛 상자를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가렛 상자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가렛 상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시가렛 상자의 외벽을 제외하고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시가렛 상자를 위한 외측 블랭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내측 프레임(inner frame)을 형성하기 위한 내측 블랭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외측 블랭크의 이면(裏面) 상에 내측 팩이 재치(載置)된 상태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로부터 내측 팩의 주위로 외측 블랭크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상태로부터 외측 블랭크의 접기가 진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로부터 서브 섹션(sub section)의 외측후방패널(outer rear panel) 및 외측사이드플랩(outer side flap)이 순차적으로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상태로부터 서브 섹션의 외측바닥플랩(outer bottom flap)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의 외측 블랭크 중, 메인 부분(main part)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2 실시예의 외측 블랭크 중, 서브 부분(sub part)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의 메인 부분 및 서브 부분을 사용하여 완성된 시가렛 상자의 전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시가렛 상자(CB)는 소위, 힌지 리드형 패키지라고 불리워지며, 길이방향 축선을 갖는 직방체(直方體)이다. 시가렛 상자(CB) 는 내측 팩(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고 있고, 이 내측 팩은 필터 시가렛 또는 시가렛의 다발과, 이 다발을 감싸는 포장재를 포함한다.

    또한, 시가렛 상자(CB) 자체는 투명한 필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감싸지고, 이 필름은 개봉 테이프를 갖는다.

    시가렛 상자(CB)는 개구된 상단을 갖는 상자 몸체(2)와, 이 상자 몸체(2)의 상단을 개폐하는 상자 모양의 뚜껑(4)을 포함하고, 이 뚜껑(4)은 상자 몸체(2)의 배면(背面)에 힌지, 즉, 셀프 힌지(self hinge)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뚜껑(4)은 셀프 힌지의 주위로 회동하여, 상자 몸체(2)의 상단, 즉, 개구를 개폐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자 몸체(2)는 적어도 한 장의 시트 형상의 물품, 예를 들면, 재떨이로서의 기능을 갖는 사각형의 시트 형상을 이루는 쌈지(6)를 지지하고 있고, 이 쌈지(6)는 가요성을 가지며, 상자 몸체(2)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자 몸체(2)는 2중 구조의 배벽을 포함하며, 이 배벽은 상술한 셀프 힌지(7)를 통하여 뚜껑(4)의 배벽에 접속된 내벽(8)과, 이 내벽(8)을 덮는 외벽(10)을 갖는다. 이들 내벽(8) 및 외벽(10)은 서로 협동하여 포켓(P)을 형성하고, 이 포켓(P)은 위쪽(뚜껑(4)측)으로 향해진 개구를 갖는다. 즉, 외벽(10)의 상연(上椽)(12)은 포켓(P)의 개구연(開口椽)을 형성한다.

    시트 형상의 쌈지(6)는 포켓(P)의 개구로부터 포켓(P) 안에서 빼낼 수 있게 삽입되어 포켓(P)의 개구로부터 돌출한 상부를 갖는다. 쌈지(6)의 상부는 뚜껑(4)의 배벽에 겹쳐져 있다.

    도 2 및 도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외벽(10)의 상연(12)은 셀프 힌지(7) 위 또는 셀프 힌지(7)보다 아래쪽(상자 몸체(2)의 바닥측)에 위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셀프 힌지(7) 주위의 뚜껑(4)의 회동, 즉, 뚜껑(4)의 개폐가 외벽(10)에 의해 방해되는 경우는 없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형상의 쌈지(6)는 가요성을 가지므로, 뚜껑(4)의 배벽에 쌈지(6)의 상부가 겹쳐져 있는 상태로, 뚜껑(4)이 개폐되어도, 쌈지(6)가 뚜껑(4)의 개폐에 큰 저항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뚜껑(4)의 원활한 개폐가 소망되는 경우, 쌈지(6)는 포켓(P) 내에 완전하게 수용되는 크기를 가져야 한다.

    또한,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외벽(10)의 상연(12)에는, 액세스 커브(access cove)(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액세스 커브(14)는 상연(12)의 양단부를 제외하고, 상자 몸체(2)의 바닥으로 향하여 테이퍼(taper) 형상을 이루는 얕은 오목부(14a)와, 이 오목부(14a)의 중앙으로부터 상자 몸체(2)의 바닥으로 향하여 더 뻗는 깊은 오목부(14b)를 갖는다. 이러한 액세스 커브(14)는 포켓(P)으로부터의 쌈지(6)의 노출 면적을 증가시켜, 포켓(P)으로부터 쌈지(6)를 빼내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시트 형상의 쌈지(6)는 내면 전역(全域)이 내열층(耐熱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덮여지고, 그 한 면에만 슬릿(slit)(6s)(도 2 참조)를 갖는다. 이 슬릿(6s)은 쌈지(6)의 상부에 위치되어, 쌈지(6)의 폭방향으로 뻗어 있다. 슬릿(6s)이 크게 열렸을 때, 슬릿(6s)은 쌈지(6)의 개구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필터 시가렛 또 는 시가렛의 흡연시, 흡연자는 시가렛의 재나 담배꽁초를 쌈지(6)의 개구를 통하여, 쌈지(6) 안에 떨어뜨릴 수 있다.

    도 4는 외벽(10)을 제외한 상자 몸체(2)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자 몸체(2)의 내벽(8)에는, 사각형 형상의 얕은 오목부(16)가 형성되며, 이 오목부(16)는 뚜껑(4)의 배벽까지 뻗어 있다. 오목부(16)는 시트 형상의 쌈지(6)를 받아들일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오목부(16)의 깊이에 관하여, 내벽(8)에서의 오목부(16) 깊이는, 뚜껑(4)의 배벽에서의 오목부(16)의 깊이보다 깊고, 오목부(16)의 바닥은 단차(段差)형태이다. 또한, 오목부(16)는 내벽(8)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시가렛 상자(CB)에 의하면, 흡연에 앞서, 시가렛 상자(CB)로부터 쌈지(6)를 빼내어, 이 쌈지(6)는 흡연시, 재떨이로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흡연자는 시가렛 상자와는 별도로, 쌈지(6) 이외의 재떨이를 휴대하지 않아도 된다.

    쌈지(6)는 얇으므로, 시가렛 상자(CB)의 크기는 통상의 시가렛 상자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하게 된다. 그러므로, 시가렛 상자(CB)의 판매에 자동 판매기가 사용될 때, 자동 판매기에 의한 판매에 어떠한 지장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더 상세하게는, 시가렛 상자(CB)의 내벽(8)에는, 상술한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포켓(P)에 쌈지(6)가 수용되어 있어도, 시가렛 상자(CB)의 외벽(10)이 내벽(8)으로부터 크게 부풀어 나오는 일은 없다. 이 결과, 자동 판매기는 통상의 시가렛 상자와 마찬가지로, 시가렛 상자(CB)의 불출을 확실하면서 안정되게 실시할 수 있다.

    흡연 후, 사용된 쌈지(6) 안의 재나 담배꽁초는 쌈지(6)로부터 배출되고, 그리고, 사용된 쌈지(6)는 시가렛 상자(CB)의 포켓(P) 안으로 다시 수용된다. 이와 같이 사용된 쌈지(6)가 시가렛 상자(CB)로 되돌려져도, 시가렛 상자(CB)의 뚜껑(4)이 닫혀 있는 한, 시가렛 상자(CB) 안에 사용이 끝난 쌈지(6)로부터 발생한 악취가 침입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 결과, 쌈지(6)의 악취가 내측 팩 안의 필터 시가렛이나 시가렛의 풍미나 미각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없다.

    시가렛 상자(CB)의 포켓(6)은 복수매의 쌈지(6)를 수용할 수 있는 용적을 가지고 있어도 좋고, 이 경우, 각 쌈지(6)를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는 전술한 상자 몸체(2) 및 뚜껑(4)을 형성하기 위한 외측 블랭크를 그 이면(裏面)에서 본 도면이다.

    외측 블랭크는 메인 섹션(main section)(18) 및 서브 섹션(sub section)(20)을 포함하고, 이들 섹션(18, 20)은 파선의 접기선(22)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메인 섹션(18)은 일반적인 힌지 리드형 패키지를 위한 외측 블랭크가 갖는 패널 및 플랩의 요소와 같은 요소를 가지며, 서로 인접하는 요소는 파선의 접기선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섹션(18)은 도 5에서 보아 상하 방향으로 뻗는 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그 중앙에 후방패널(24)을 포함한다. 이 후방패널(24)의 아래쪽에는, 내측바닥패널(26) 및 전방패널(28)이 이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패널(24, 26, 28)은 상자 몸체(2)의 내벽(8), 내측 바닥벽 및 전벽(前壁)을 각각 형 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후방패널(24)의 양측에는, 내측사이드플랩(30)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또한, 전방패널(28)의 양측에는 중간 사이드플랩(32a) 및 외측사이드플랩(32b)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내측사이드플랩(30)의 하단에는, 내측 바닥 플랩(34)이 접속되며, 이들 내측 바닥 플랩(34)은 내측바닥패널(26)의 양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들 사이드플랩(30, 32a, 32b)은 상자 몸체(2)의 내측벽, 중간 측벽 및 외측벽을 각각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며, 내측 바닥 플랩(34)은 상기 내측 바닥벽의 보강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5에서 보아 메인 섹션(18)은 후방패널(24)의 위쪽에 리드 부분(38)을 포함하고, 이 리드 부분(38)은 리드 패널(24)의 상연에 상기 셀프 힌지(7)를 형성하기 위한 힌지 라인(hinge line)(7a)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리드 부분(38)은 백패널(back panel)(40), 상단패널(top panel)(42), 전방패널(front panel)(44), 전방 내측 플랩(46)을 포함한다. 이들 패널(40, 42, 44)은 후방패널(24)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뚜껑(4)의 배벽, 상벽, 전벽을 각각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며, 전방 내측 플랩(46)은 뚜껑(4)의 전벽을 위한 보강 부재이다.

    또한, 백패널 (40) 및 전방패널(44)의 양측에는, 내측사이드플랩(48) 및 외측사이드플랩(50)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각 내측사이드플랩(48)에는, 내측상단플랩(52)이 접속되어 있고, 이들 내측상단플랩(52)은 상단패널(42)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있다.

    내측 및 외측의 사이드플랩(48, 50)은 뚜껑(4)의 내측벽 및 외측벽을 각각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며, 내측상단플랩(52)은 뚜껑(4)의 상벽의 보강 부재이다

    도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전술한 서브 섹션(20)은 외측후방패널(54)을 가지며, 이 외측후방패널(54)은 메인 섹션(18)의 외측사이드플랩(32b)에 전술한 접기선(22)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 5에서 보아, 외측후방패널(54)은 그 하연(下椽)에 전술한 액세스 커브(14)를 갖고, 상자 몸체(2)의 외벽(1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외측후방패널(54)의 외측연 및 상연에는, 외측사이드패널(56) 및 외측바닥패널(58)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이들 패널(56, 58)은 상자 몸체(2)의 외측벽 및 외측 바닥벽을 각각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6은 상자 몸체(2)를 위한 내측 블랭크(60)을 나타낸다. 이 내측 블랭크(60)는 중앙패널(center panel)(64)과, 이 중앙패널(64)의 양측에 접기선을 통하여 각각 접속된 사이드플랩(side flap)(66)을 포함한다. 도 6에서 보아, 중앙패널(64)은 그 상연에 액세스 커브(62)를 갖고, 이 액세스 커브(62)는 대략 U자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술한 내측 블랭크(60)는 상자 몸체(2)를 위한 내측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다음에, 도 7∼도 11을 참조하면서, 전술한 외측 블랭크의 접기 순서, 즉, 시가렛 상자(CB)의 제조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7은 외측 블랭크의 이면에 내측 프레임(IF)을 구비한 내측 팩(IP)가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내측 프레임(IF)은 전술한 내측 블랭크(60)로부터 형성되어, 내측 팩(IP)에 부착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내측 블랭크(60)는 먼 저, 내측 팩(IP)의 전면(前面)에 겹쳐져 내측 팩(IP)에 접착된다. 이때, 내측 블랭크(60)의 액세스 커브(62)는 내측 팩(IP)의 상단면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다. 이 후, 내측 블랭크(60)의 각 사이드플랩(66)은 내측 팩(IP)이 대응하는 측의 측면으로 향하여, 접기선을 따라 접혀져, 이 측면에 겹쳐져 서로 접착된다.

    한편, 외측 블랭크의 이면에는, 요구되는 복수 개소에 풀(도시하지 않음)이 이미 도포되어 있고, 내측 팩(IP)의 배면은 외측 블랭크에 접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내측 팩(IP)은 백패널(40) 및 후방패널(24) 상에 재치되며, 내측 팩(IP)의 상단면은 백패널(40)과 상단패널(42)의 사이의 접기선을 따라 위치되며, 그리고, 내측 팩(IP)의 바닥면은 후방패널(24)과 바닥 패널(26)의 사이의 접기선을 따라 위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외측 블랭크의 메인 섹션(18)의 각 패널 및 플랩은 공지와 같이 접혀지고, 이 결과, 메인 섹션(18)은 도 8에 도시되는 상태에 이른다.

    도 8의 상태에서는, 전방패널(28, 44)은 모두 내측 팩(IP)의 전면에 내측 프레임(IF)을 통하여 겹쳐져, 전방패널(28)은 내측 프레임(IF)에 접착된다. 또한, 전방패널(28)의 양측으로부터는, 중간 사이드플랩(32a) 및 외측사이드플랩(32a, 32b)이 각각 돌출하고, 그리고, 전방패널(44)의 양측으로부터도 외측사이드플랩(50)이 각각 돌출하여 있다. 이때, 전술한 서브 섹션(20)은 패널(28, 44) 및 플랩(32a, 32b, 50)과 함께 동일면 내에 위치되어 있다.

    2a 및 이 중간 사이드플랩(32a)에 인접한 외측사이드플랩(50)은 접기선을 따 라 내측 팩(IP)이 대응하는 한 쪽의 측면으로 향하여 접혀진다. 이때, 메인 섹션(18)의 내측사이드플랩(30, 48)은 이미 접혀져 있어, 내측 팩(IP)의 상기 한 쪽의 측면에 겹쳐져 서로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중간 사이드플랩(32a) 및 외측사이드플랩(50)의 접기는 이들 플랩(32a, 50)을 내측사이드플랩(30, 48)에 각각 겹쳐 서로 접착시킨다.

    한편, 플랩(32a, 50)의 접기와 동시에, 외측사이드플랩(32b) 및 이 플랩(32b)에 인접한 외측사이드플랩(50)도 또한, 접기선을 따라 내측 팩(IP)의 다른 쪽 측벽으로 향하여 접혀진다. 그러므로, 이들 사이드플랩(32b, 50)은 상기 다른 쪽 측벽 측으로 이미 접혀진 상태에 있는 내측사이드플랩(30, 48)이 각각 겹쳐져 서로 접착된다. 이 시점에서의 외측 블랭크 상태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 후,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방패널(24) 및 백패널(40)의 바깥 표면에 이미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6)에 적어도 한 장의 쌈지(6)가 배치되며, 그리고, 서브 섹션(20)의 외측후방패널(54)이 접기선(22)을 따라 후방패널(24), 즉, 쌈지(6)를 향하여 접혀져 쌈지(6)에 겹쳐진다. 그러므로, 쌈지(6)는 외측후방패널(54)과 후방패널(24)의 사이에 끼워진다.

    다음으로, 서브 섹션(20)의 외측사이드플랩(56)은 접기선을 따라 중간 사이드플랩(32a)을 향하여 접혀진다. 그러므로, 외측사이드플랩(56)은 중간 사이드플랩(32a)에 겹쳐지고, 그리고, 서로 접착된다. 이 상태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외측사이드플랩(56)의 접기와 동시에 또는 그 접기 후에, 서브 섹션(20)의 외측바닥패널(58)은 접기선을 따라 내측바닥패널(26)을 향하여 접혀진다. 이 결과, 외측바닥패널(58)은 내측바닥패널(26)에 겹쳐져서 서로 접착된다(도 11 참조). 이 시점에서, 도 1∼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시가렛 상자(CB)가 완성된다. 그리고 완성된 시가렛 상자(CB)는 또한 필름에 의해 포장된다.

    도 12 및 도 13은 제2 실시예의 외측 블랭크를 나타낸다.

    제2 실시예의 외측 블랭크는 도 12의 메인 부분(18')과, 도 13의 서브 부분(20')을 포함한다. 메인 부분(18')은 전방패널(28)의 양측에 중간 사이드플랩(32a)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메인 섹션(18)과 같은 패널 및 플랩을 갖는다. 이는, 메인 부분(18')이 통상의 힌지 리드형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에 상당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서브 부분(20')은 외측후방패널(54)의 양측에 외측사이드플랩(56)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점뿐으로, 전술한 서브 섹션(20)과는 다르다.

    또한, 도 12 및 도 13 중, 도 7의 패널 및 플랩과 각각 대응하는 패널 및 플랩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어 있다.

    도 12의 메인 부분(18')은 내측 프레임(IF)을 구비한 내측 팩(IP)의 주위로 공지와 같이 접혀져 시가렛 상자(CB')가 성형된다. 이 후,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가렛 상자(CB')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6) 안에 적어도 한 장의 쌈지(6)가 배치된다. 이 후, 서브 부분(20')이 쌈지(6) 위에 배치되고, 쌈지(6)는 시가렛 상자(CB')의 배면과 서브 부분(20')의 외측후방패널(54)의 사이에 끼워진다.

    이 후, 서브 부분(20')의 양 외측사이드플랩(56) 및 외측바닥패널(58)이 접 혀져, 제2 실시예의 시가렛 상자(CB)가 완성된다. 이 시가렛 상자(CB)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시가렛 상자(CB)는 이중구조를 이룬 양 측벽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포켓(P)은 힌지 리드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텅 리드형(tongue lid type)의 시가렛 상자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텅 리드 상자의 경우, 내측 프레임은 불필요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경우, 시트 형상의 물품으로서의 휴대 재떨이 즉, 쌈지(6)가 포켓(P)에 수용되지만, 이러한 쌈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쿠폰이나 광고 등의 다른 형태의 시트 형상의 물품이 포켓(P)에 수용되어도 좋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