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납상

申请号 KR1020017012754 申请日 2000-03-06 公开(公告)号 KR100475749B1 公开(公告)日 2005-03-10
申请人 파나소닉 주식회사; 发明人 구마쿠라가쓰히코; 오노다다시;
摘要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막대기 형상의 제품(2)들을 수용할 수 있고, 오래된 제품과 새 제품을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남은 제품들을 저장할 수 있는 수납상(1)이 개시되어 있다. 이 수납상은 평행하게 정렬된 복수의 막대기 형태의 제품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상자를 적층함으로써 단위 상자를 그 안에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되어 단위 상자를 삽입·인출하는 개구부(3)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와, 최하부 위치에서 단위상자에 상응하는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적출구를 형성하는 절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적출구는 단위 상자에서 막대기 형태의 제품의 일단에 대면하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형성된다. 많은 수의 제품들이 효과적으로 진열될 수 있고, 제품의 특정 수가 부드럽게 빼내어 질 수 있다.
权利要求
  • 적층된 단위상자를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한 4각의 관모양의 케이스이며, 각 단위상자는 상기 케이스의 앞벽과 평행하게 정렬된 복수의 막대기 형태의 제품을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4각의 관모양의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되어 단위상자를 입출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와,
    바닥부과,
    적출구 또는 단위 상자를 적출하는 적출구를 형성하는 절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상단면은 경사져서 바닥부의 앞쪽이 그 뒤쪽보다 더 낮고, 상기 적출구 또는 절개부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마련되어 바닥부의 상단면에 위치되는 단위상자는 단위상자에서 막대기 형태의 제품의 일단으로부터 적출구에서 빼내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상자는 케이스의 앞벽과 평행하게 정렬된 복수의 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가 장착판위에 독립하여 직립할 수 있는 바닥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를 매다는 현수 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
  •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케이스의 상기 앞벽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
  • 제 1 항에 있어서, 칸막이가 상기 케이스의 가장 높은 위치에서 상기 단위상자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케이스의 앞벽과 평행하게 정렬된 복수의 막대기 형태의 제품을 포함하는 단위상자를 적층하여 수용하기에 적합한 4각의 관모양의 케이스와, 베이스의 앞쪽이 그 뒤쪽보다 낮도록 경사지는 상단면을 가지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납상으로서,
    상기 케이스는 단일시트로 조립되며,
    상기 단일 시트는,
    4각의 관형상의 케이스를 형성하는 앞벽, 뒷벽, 좌우 측벽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플랩 및 덮개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벽과,
    베이스의 상단면에 위치되는 단위상자를 막대기 형태의 제품의 일단으로부터 적출구에서 빼낼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마련되는 적출구를 형성하는 절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상은 단일 시트로 조립되며,
    상기 단일 시트는
    4각의 관형상의 케이스를 형성하는 앞벽, 뒷벽, 좌우 측벽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플랩 및 덮개와,
    각각 좌우 측벽의 하부에 연결되는 바닥벽 조각, 직립편 및 상단면 조각을 포함하는 제 1 베이스 형성부분과,
    상기 앞벽의 하부에 연결되는 바닥벽과,
    각각 뒷벽에 연결되는 직립편, 상단면 조각 및 하향세움편을 포함하는 제 2 베이스 형성부분과,
    적출구를 형성하는 절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
  • 说明书全文

    수납상{DISPENSING PACKAGE}

    본 발명은 막대기 형태의 작은 제품들, 특히 판매용 AA 크기의 전지(AA size battery) 등과 같은 작은 크기의 원통형 전지를 수납하고 진열하기 위한 수납상(di spensing package)에 관한 것이다.

    전지나 기타 일상 생활용품의 수납용으로 다양한 종류의 상자들이 상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5,460,322호에는, 복수의 제품을 그 안에 수용하기에 적합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와, 바닥 끝단에 인접한 측벽에 마련된 적출구를 형성하는 절개 플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납 컨테이너가 개시되어 있다. 전지 분야에서는, 2개 또는 4개의 전지가 가열수축성(heat-shrinkable) 수지 튜브에 의해 포장되는 소위 수축상자(shrink-package)나 기포상자(blister-package)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제품수납용 상자들이 가게입구의 진열장에 진열되거나 매달려 전시되면, 고객들은 그 내용물의 타입, 등급, 상표명 등을 쉽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제품수납용 상자들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전지를 이용하는 고기능성 장치들의 발전과 함께, 사용되는 전지의 수가 증가하거나, 전지의 교환 횟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많은 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전지 상자가 점점 더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수축상자나 기포상자로는 그러한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수축상자나 기포상자에서 수납되는 전지의 수를 증가시키고 또한 많은 수의 전지를 적층하여 수납하는 투명한 플라스틱 케이스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전지의 수만 증가된다면, 상자를 개봉할 때 전지는 흩어져서 전지의 보관은 사용자들에게 귀찮은 일이 된다. 기포상자의 경우에, 전시될 수 있는 전지의 수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장착판의 헴스(hems)와 같은 불필요한 부분이 증가되어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결과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수납상들의 불편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고, 많은 수의 작은 제품들, 특히 전지를 수납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수납상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많은 수의 제품들을 효과적인 방식으로 전시할 수 있는 수납상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개수의 제품들을 저장하는 동안 체계적인 방식으로 수납상으로부터 빼낼 수 있는 수납상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개수의 제품들을 부드럽게 빼 낼 수 있는 수납상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동일한 실시예에서 채용된 전지 수납상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상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동일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상을 구성하는 시트(sheet)의 전개도이다.

    도 5는 상기 동일한 수납상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조립이 더욱 진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동일한 수납상의 변형예의 전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상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동일한 수납상과 결합되는 베이스(base)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동일한 수납상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동일한 수납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sheet)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본 발명은 적층(stacked)된 단위상자를 그 안에 수용(accommodating)하기에 적합한 4각의 관모양(square-tubular)의 케이스이며, 각 상자는 상기 케이스의 앞벽과 평행하게 정렬된 복수의 막대기 형태의 제품을 포함하는 케이스와, 상기 4각의 관모양의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되어 단위상자를 입출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lid)와,바닥부과,적출구(extracting outlet) 또는 단위 상자를 적출하는 적출구를 형성하는 절개부(tear-off portion)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상단면은 경사져서 바닥부의 앞쪽이 그 뒤쪽보다 더 낮고, 상기 적출구 또는 절개부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마련되어 바닥부의 상단면에 위치되는 단위상자는 단위상자에서 막대기 형태의 제품의 일단으로부터 적출구에서 빼내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전지 수납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새로운 특징은 특히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되겠지만, 본 발명의 구성 및 내용은, 그 기타의 목적 및 특징과 함께, 도면과 함께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납상은 복수의 단위 상자를 적층함으로써 평행하게 정렬된 복수의 제품을 포함하는 단위 상자를 수용하고, 상기 단위 상자를 적출하는 적출구를 형성하는 절개부는 최하부 위치에서 상기 단위 상자에 상응하는 측벽에 마련된다. 그러한 수납상을 구입한 소비자는 상기 절개부를 절개함으로써 상기 단위 상자에 대한 적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품들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적출구로부터 단위상자를 적출할 수 있다. 남은 단위 상자들은 수납상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의한 수납상은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제품들을 수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래된 제품과 새 제품을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남은 제품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에 있어서, 수용되는 제품들은 전지와 같은 원통형이고, 적출구는 최하부 위치에서 단위상자내의 제품의 일단에 대면하는 케이스의 측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상자를 적출할 때, 적출될 가장 낮은 위치의 단위상자에는 그 위에 적층된 단위 상자의 무게가 적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배치에서는, 단위 상자를 적출할 때, 상자내의 제품들은, 상자들을 쌓을 때에 제품의 축방향으로 활주됨으로써 분리된다. 그리하여, 그 위에 적층된 단위 상자들의 하중에도 불구하고, 최하부의 단위 상자는 부드럽게 빼내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위 상자들은 수용되어 케이스의 앞벽에 대면하는 쪽은 낮고 뒷벽에 대면하는 쪽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에 따르면, 수납상의 깊이는 감소될 수 있어 진열 밀도는 제한된 공간에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측벽에 적출구의 설치에 더하여, 단위 상자가 적출될 때에, 케이스의 앞벽에는 쌓아 올린 상자의 하중의 일부가 작용하여, 단위 상자는 더욱 용이하게 적출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케이스의 덮개를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덮개에 진열된 내용물의 타입, 등급 또는 브랜드에 관련된 표시는 전면에서 볼 수 있고, 따라서 진열 효과는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납상에는, 케이스가 독립하여 장착판에 직립할 수 있는 바닥벽이나 케이스의 상단에 상기 케이스를 매다는 현수 부분(suspending piece)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자를 데스크 탑(desktop) 방식 및/또는 현수 방식(s uspending-type)으로 배치함으로써, 제품은 눈으로 볼 수 있는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케이스의 앞벽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로써, 케이스 내의 단위상자는 외부로부터 확인될 수 있다. 특히, 단위 상자가 투명 수지를 사용하는 수축상자일 때에, 제품 그 자체가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써, 제품에 표시된 제품의 타입, 등급 또는 브랜드는 눈으로 볼 수 있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어, 진열효과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덮개에 디자인을 하거나 내용물이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는 배치를 함으로써, 진열효과는 더욱더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가장 높은 위치에서 단위 상자에 칸막이가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사용된 전지를 상기 칸막이에 둠으로써, 폐기물을 수집하기에 또한 편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납상은 단일 시트로 조립되며, 상기 단일 시트는

    복수의 단위 상자를 적층함으로써 단위상자를 수용하는 4각의 관형상의 케이스를 형성하는 앞벽, 뒷벽, 좌우 측벽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플랩(flap) 및 덮개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벽과,

    상기 좌측벽 또는 우측벽의 어느 한 쪽에 마련되어 상기 케이스의 가장 낮은 위치에서 단위 상자를 적출하는 적출구를 형성하는 절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경우, 현수 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상단, 예를 들면 뒷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단위상자를 그 위에 위치시키는 베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수납상은 단일 시트로 조립되며, 상기 단일 시트는

    복수의 단위 상자를 적층함으로써 단위상자를 수용하는 사각의 관형상의 케이스를 형성하는 앞벽, 뒷벽, 좌우 측벽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플랩(flap) 및 덮개와,

    각각 좌우 측벽의 하부에 연결되는 바닥벽 조각(bottom wall piece), 직립편 (upstanding piece) 및 상단면 조각(top surface piece)을 포함하는 제 1 베이스 형성부분과,

    앞벽의 하부에 연결되는 바닥벽과,

    각각 뒷벽에 연결되는 직립편, 상단면 조각 및 하향세움편(down-standing piece)을 포함하는 제 2 베이스 형성부분과,

    상기 좌측벽 또는 우측벽의 어느 한 쪽에 마련되어 상기 케이스의 가장 낮은 위치에서 단위 상자를 적출하는 적출구를 형성하는 절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에 따르면, 단위 상자가 그 위에 위치하는 베이스는 상기 케이스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에는 직립편과 하향세움편으로 구성된 다리(le g)가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는 적층된 단위 상자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현수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상단, 예를 들면 뒷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수납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제품의 단위 상자로서, 예를 들면, 4개의 원통형 AA크기의 전지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수지 튜브 (resin tube)의 열수축에 의해 수납되는 투명 수지 튜브(8)로 된 수축상자의 단위 상자(6)를 나타낸다.

    수납상(1)은 복수의 단위상자(6)를 적층하는 4각의 관형상의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4)은 케이스(2)의 바닥부에 삽입된다. 상기 베이스(4)는 플라스틱으로 된 것이며, 개방된 바닥면과 경사진 상단면을 가지는 4각의 관모양으로 형성되어 앞쪽이 낮고 뒤쪽이 높다. 단위 상자(6)는 상기 케이스(2)내에서 상기 베이스(4)에 경사지는 방식으로 적층되어 그 앞쪽이 낮다. 가장 낮은 위치에서 단위상자를 적출하는 적출구 (5)는 상기 케이스(2)의 우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적출구(5)는 상기 케이스의 우측벽을 구성하는 부분에 펀칭하여 예비적으로 표시해 놓은 절개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된다. 수납상은 그로써 테이블 위에 독립적으로 직립할 수 있는 바닥벽을 갖는다. 필요한 경우, 현수구멍(suspending hole)을 가지며 상기 케이스를 매다는 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일부에, 예를 들면, 뒷벽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수납상(1)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투명한 플라스틱 시트로 된 것이다. 단위 상자(6)는 적층되어 전지의 끝부분이 수납상의 측벽에 대면하고, 그리하여 전지의 몸통부분이 수납상의 전면에 위치되며, 따라서 전지에 표시된 타입, 등급 또는 브랜드를 수납상의 전면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각각의 단위 상자를 적출하는 적출구(5)는 단위 상자(6)에서 전지의 일단에 대면하는 측벽에 마련되어, 단위 상자는, 상기 단위상자를 적출할 때, 그 안에 포함된 전지의 축방향으로 빼내어 진다. 이 때에, 적출되는 단위 상자의 전지의 몸통부분은 축방향에서 적층되는 단위상자의 전지의 몸통부분으로 활주하도록 되어, 단위 상자는 적층된 단위상자의 하중에도 불구하고 용이하게 적출될 수 있다. 단위 상자가 전지의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적출된다면, 적출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요철이 단위상자의 상단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적출될 수 없다.

    적출구가 상기 케이스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지만, 또한 케이스의 앞벽이나 뒷벽에 형성되어도 좋다. 케이스의 재료는 플라스틱에 한정되지 않으며, 종이 등을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 따른 베이스 부분이 또한 수납상을 구성하는 시트로 조립된다.

    도 3은 조립된 수납상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상자를 구성하는 시트의 전개도이다.

    수납상을 구성하는 시트(10)는 특정한 몰드를 사용하여 펀칭 가공된 종이나 플라스틱 시트로 된 것이고, 후술하는 접는 표시와 천공이 동시에 시트에 형성되어 있다.

    숫자 11은 앞벽을 가리키고, 좌측벽(12)은 접는 표시(11a)를 통하여 앞벽(11)의 좌측에, 우측벽(13)은 접는 표시(11b)를 통하여 앞벽(11)의 우측에 각각 연결된다. 뒷벽(14)은 또한, 접는 표시(13a)을 통하여 우측벽(13)의 우측에, 페이스트용 마진(margin)(15)은 접는 표시(12a)를 통하여 좌측벽(12)에 연결된다.

    상부벽(21)과 바닥벽(31)은 앞벽(11)의 위아래에 각각 접는 표시(11c, 11d)를 통하여 연결된다. 또한, 삽입편(41)은 접는 표시(21c)를 통하여 상부벽(21)에 연결되고, 삽입편(51)은 접는 표시(31d)를 통하여 바닥벽(31)에 연결된다. 접는 표시(21c)의 양단에는 커트(cut)(21e)가 마련되고, 접는 부분(31d)의 중앙과 양단에는 커트(31e)가 마련된다.

    플랩(22)은 접는 표시(12c)를 통하여 좌측벽(12)의 상부에 마련되고, 좌측벽 (12)의 아래부분에는 접는 표시(12d), 바닥벽 조각(32), 접는 표시(32d), 직립편 (52), 접는 표시(52d), 및 상부면 조각(62)이 연속하여 마련된다.

    우측벽(13)의 윗부분에는, 플랩(23)이 접는 표시(13c)를 통하여 마련되고, 우측벽(13)의 하부에는, 접는 표시(13), 바닥벽 조각(33), 접는 표시(33d), 직립편 (53), 접는 표시(53d) 및 상부면 조각(63)이 연속하여 마련된다.

    뒷벽(14)의 하부에는, 접는 표시(14d), 직립편(54), 접는 표시(54d), 상부면 조각(34), 접는 표시(34d) 및 하향세움편(55)이 연속하여 마련된다.

    절개부(16)는 천공(13e, 13f)에 의하여 우측벽(13)에 표시되고, 구멍(apertu re)(17, 18)은 각각 절개부의 좌우에 인접하여 앞벽(11)과 뒷벽(14)에 마련된다. 구멍(19)은 좌측벽(12)에 형성되어 있다.

    시트(10)를 사용하여 수납상을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앞벽(11)의 측면에서 볼 때의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선, 좌측벽(12), 페이스트용 마진(15), 우측벽(13) 및 뒷벽(14)은 오른쪽 각도로 각각의 인접하는 부분으로 굽어져, 접는 표시(11a, 11b, 12a, 13a)는 바깥쪽으로 향한다. 페이스트용 마진(15)은 조립의 적당한 단계에서 뒷벽(14)의 내면에 접착된다.

    다음으로, 바닥벽 조각(32), 직립편(52) 및 상단면 조각(62)은 오른쪽 각도로 각각 인접하는 부분으로 굽어져, 접는 표시(12d, 32d, 52d)는 바깥쪽으로 향한다. 이와 유사하게, 바닥벽 조각(33), 직립편(53) 및 상단면 조각(63)은 접는 표시(13d, 33d, 53d)에서 오른쪽 각도로 각각 인접하는 부분으로 굽어진다.

    그리고 나서, 바닥벽(31)과 삽입편(51)은 접는 표시(11d, 31d)에서 오른쪽 각도로 굽어진다.

    게다가, 직립편(54)은 접는 표시(14d)에서 굽어져 뒷벽(14)의 내면에 덮어씌워지며, 상단면 조각(34)과 하향세움편(55)은 오른쪽 각도를 만들도록 인접하는 부분으로 굽어져, 접는 표시(54d, 34d)는 안쪽으로 향한다.

    그리고 나서, 바닥벽 조각(32)을 바닥벽(31)의 상단면 위에 위치시킴으로써, 상단면 조각(62)은, 앞벽(11)의 내면 위에 덮어씌워진 직립편(54)과 뒷벽(14)의 사이 및 바닥벽(31)의 좌측 절반 위에 다리로서 직립편(52)를 사용하여 낮은 앞쪽을 가지는 베이스 부분(31L)을 형성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단면 조각(63)은, 직립편 (54)과 뒷벽(14)의 사이 및 바닥벽(31)의 우측 절반 위에 다리로서 직립편(53)를 사용하여 낮은 전방측을 가지는 베이스 부분(31R)을 형성한다.

    베이스 부분(31L, 31R)의 상부면은 상단면 조각(34)에 의해 덮어지고, 상단면 조각(34)에 연결된 하향세움편(55)은 앞벽(11)과 베이스 부분(31L, 31R) 사이에 삽입되어 바닥벽(31)과 접촉한다. 바닥벽(31)에 연결된 삽입편(51)은 뒷벽(14)과 베이스 부분(31L,31R) 사이에 삽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이스는 바닥벽 조각(32), 직립편(52), 좌측벽(12)에 연결된 상단면 조각(62), 바닥벽 조각(33), 직립편(53), 우측벽(13)에 연결된 상단면 조각(63)을 사용하여 형성되고, 직립편(54), 상단면 조각(34), 뒷벽(14)에 연결된 하향세움편(55)은 베이스를 덮고, 직립편(54)과 하향세움편(55)은 다리로서 기능하여, 비록 얇은 시트로 제조된 것이라 하더라도, 그 위에 단위 상자들을 적층하기에 충분히 강한 베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통하여, 상부 개구부를 가지는 수납상을 조립할 수 있다. 플랩(22, 23)을 접는 표시(12c, 13c)에서 오른쪽 각도로 좌측벽(12)과 우측벽(13)으로 각각 구부리고, 상부벽(21)을 접는 표시(11c)에서 구부리며, 또한 삽입편(41)을 접는 표시(21c)에서 구부려 뒷벽(14)과 플랩(22, 23) 사이에 삽입되게 함으로써 이 개구부는 폐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이스 부분(31L, 31R)과 상기 베이스 부분을 덮는 상단면 조각(34)로 구성되어 그 위에 단위 상자를 적층하는지지 베이스를 포함하는 수납상이 완성된다. 5개의 단위상자(6)를 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적층하고, 덮개를 덮고 가게앞에 진열을 위한 밀봉(seal)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상술한 시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설상(ton gue-shaped) 조각(16a)이 접는 표시(13h)와 절단 표시(13g)를 절개부분(16)의 일부 위에 마련함으로써 형성되고, 절단 표시(34g)에서 절단되어 들어올려진 설상 조각 (34a)은 베이스 부분을 형성하는 상단면 조각(34)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서, 수납상을 조립할 때, 설상 조각(16a)은 안쪽으로 구부려지고, 상단면 조각(34)은 그 위에 덮어씌워지며, 설상 조각(16a)의 끝단은 삽입되어 설상 조각(34a)에 살짝 가압함으로써 상단면 조각(34)과 설상 조각(34a)의 사이에 조여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이스 부분은 강화될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그 위에 단위상자를 적층하는 베이스 부분이 상자를 조립하는 시트와 분리되어 형성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조립된 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베이스가 상자의 바닥부분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상자의 바닥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선, 상자를 구성하는 시트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숫자 111은 앞벽을 가리킨다. 좌측벽(112)은 접는 표시(111a)를 통하여 앞벽(111)의 좌측에 마련되고, 좌측벽(112)의 왼쪽에 페이스트용 마진(115)이 접는 표시(112a)를 통하여 마련된다. 우측벽(113)은 접는 표시(111b)를 통하여 앞벽의 오른쪽에 마련되고, 우측벽(113)의 오른쪽에 뒷벽(114)이 접는 표시(113a)를 통하여 마련된다.

    앞벽(111)의 상부에는, 상단벽(121)이 접는 표시(111c)를 통하여 마련되고, 상단벽(121)의 상부에는 삽입편(141)이 접는 표시(121c)를 통하여 마련된다. 앞벽(111)의 하부에는, 바닥벽 조각(131)이 접는 표시(111d)를 통하여 마련된다. 접는 표시(121c)의 양단에는 커트(121e)가 마련된다.

    플랩(122)은 접는 표시(112c)를 통하여 좌측벽(112)의 상부에 마련되고, 좌측벽(112)의 하부에는 바닥벽 조각(132)이 접는 표시(112d)를 통하여 마련된다.

    이와 유사하게, 플랩(123)이 접는 표시(113c)를 통하여 우측벽(113)의 상부에 마련되고, 우측벽(113)의 하부에는 바닥벽 조각(133)이 접는 표시(112d)를 통하여 마련된다.

    라펠(lapel) 조각(124)이 접는 표시(114c)를 통하여 뒷벽(114)의 상부에 마련되고, 라펠 조각(124)과 뒷벽(114)의 이에 상응하는 부분에는 펀칭에 의해 현수구멍(125A, 125B)이 마련된다. 뒷벽(114)의 하부에는, 바닥벽 조각(134)이 접는 표시(114d)를 통하여 마련된다.

    절개부(116)는 천공(113e, 113f)에 의해 우측벽(113)에 표시되고, 구멍(aper ture)(117, 118)은 각각 절개부의 좌우에 인접한 앞벽(111)과 뒷벽(114)에 마련된다. 구멍(119)이 좌측벽(112)에 형성되어 있다.

    시트(100)를 사용하여 수납상을 조립하기 위하여, 시트는 접는 표시(111a, 111b, 112a, 113a)에서 오른쪽 각도로 구부러져, 접는 표시는 바깥쪽으로 향하고, 페이스트용 마진(115)은 뒷벽(114)에 접착된다.

    그 이후에, 바닥벽 조각(131, 132, 133 및 134)은 접는 표시(111d, 112d, 113d, 114d)에서 오른쪽 각도로 안쪽으로 구부려진다. 이 때에, 바닥벽 조각(134)은 바닥벽 조각(132, 133)위에 위치되고, 바닥벽 조각(131)의 돌출편(131A)의 첨단 (tip end)은 바닥벽 조각(134)의 노치부분(notched portion)(134A)의 바닥부분으로부터 바닥벽 조각(134)의 안쪽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배치로써, 돌출편(131A)의 첨단은 바닥벽 조각(132, 133)과 바닥벽 조각(134)사이에 조여져서, 돌출편(131A)에 연결된 테이퍼 부분(tapered portion)(131B)은 바닥벽 조각(134)의 양 첨단 부분(134B)의 끝단 안쪽에 대하여 가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폐쇄된 바닥과 상부 개구부를 가지는 수납상이 제조된다.

    그리고 나서, 베이스(131)는 수납상으로 삽입된다. 베이스(131)는 상단면과 4개의 측벽이 몰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단면은 그 앞쪽이 더 낮고 뒤쪽이 더 높은 방식으로 경사진다.

    다음으로, 플랩(122, 123)은 접는 표시(112c, 113c)에서 안쪽으로 구부려지고, 상부벽(121)은 접는 표시(111c)에서 구부려지며, 삽입편(141)은 접는 표시(12 1c)에서 구부려지고 이어서 삽입되며, 삽입편(141)은 뒷벽(114)과 플랩(122, 123) 사이에 삽입되고, 그에 의해 수납상의 개구부는 폐쇄된다.

    여기에 설명한 수납상은, 예를 들면 서로 정렬된 AAA크기의 전지의 단위 상자를 적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제품을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품과 새로운 제품을 분리하여 제품을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우수한 진열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