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 오일도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목재박스

申请号 KR1020090080886 申请日 2009-08-31 公开(公告)号 KR1020110023197A 公开(公告)日 2011-03-08
申请人 조춘남; 发明人 조춘남;
摘要 PURPOSE: A natural oil paint composition and a wood box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solve problems on harmfulness of paints and difficulty of maintenance and to prevent mold and insects, cracks of film, yellowing, and adhesion defects. CONSTITUTION: A natural oil paint composition comprises 40%-90% of base oil and 10%-60% of additional oil. The base oil comprises camellia oil, Lini Semen oil, and jojoba oil. The additional oil comprises olive oil, castor oil, injury bara seed oil, hamp seed oil, cherry seed oil, carnauba oil, cane oil, cuticle oil, soybean oil, palm oil, coconut oil, raisin seed oil, rice bran oil, sweet almond oil, evening primrose oil, safflower oil, persic oil, benne oil, aloe vera oil, shear oil, avocado oil, hazelnut oil, lanolin, borage oil, blueberry seed oil, broccoli seed oil, black currant seed oil, ostrich oil, almond oil, green tea seed oil, rose hip seed oil, macadamia oil, emu oil, wheat germ oil, lotus oil, and calendula oil.
权利要求
  • 천연 오일도료의 조성물에 있어서,
    동백오일 내지 아마인오일, 호호바오일을 중량비 40% 내지 90%의 주제오일(A)에;
    올리브오일, 피마자오일, 해바라씨오일, 햄프씨드오일, 체리씨드오일, 카르나우바오일, 사탕수수오일, 큐티클오일, 대두오일, 팜오일, 코코넛오일, 포도씨오일, 텀프킨씨드오일, 미강오일, 스위트아몬드오일, 달맞이꽃오일, 홍화오일, 살구씨오일, 세서미오일, 알로에베라오일, 시어오일, 아보카도오일, 헤이즐넛오일, 쿠쿠아넛오일, 라놀린, 보리지오일, 블루베리씨드오일, 아르간오일, 브로콜리씨드오일, 블랙커런트씨드오일, 타조오일, 아몬드오일, 녹차씨오일, 달맞이오일, 로즈힙오일, 로즈힙시드오일, 마카다미아오일, 에뮤오일, 윗점오일, 연꽃오일, 카렌듈라오일, 티마누오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일을 중량비 10% 내지 60%의 부제오일(B);을 혼합하여 제공된 천연의 베이스오일(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 도료 조성물(100).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오일(1)은, 중량비 3% 내지 40%의 천연의 에센스오일(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 도료 조성물(100).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센스오일(3)은, 창포 내지 황금, 감초, 황정, 목단피, 자몽, 카모마일, 녹차, 버드나무, 목련, 프로폴리스, 측백, 편백, 맥아, 청대, 자몽, 산초, 백두홍, 병풀, 차조기, 삽주나무, 금송, 회향, 싸리나무, 쑥, 참나무, 대나무, 송진, 유황 중,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오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 도료 조성물(100).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오일(1)은, 중량비 2% 내지 10%의 천연의 아로마오일(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 도료 조성물(100).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오일(4)은, 머틀 내지 그레이프룻, 네롤리, 니아울리, 딜, 라벤더, 라임, 레몬, 레몬그라스, 로즈, 로즈마리, 로즈우드, 쥬니퍼베리, 캐모마일로먼, 캐모마일저먼, 캐롯씨드, 카제풋, 커피, 클라리세이지, 클로브, 티트리, 탠저린, 페퍼민트, 패츌리, 펜널스윗, 파인, 프랑킨센스, 페티그레인, 팔마로사, 히솝, 코리앤더, 로즈제랴늄, 마조람스위, 마누카, 만다린엘로우, 미르, 바질스위, 베르가못칼라브리아, 사이프러스, 스위오렌지, 스피어민트, 시트로넬라, 시나몬, 시더우드, 윈터그린, 유칼립투스, 일랑일랑, 자스민, 제라늄 중,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오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 도료 조성 물(100).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오일(1)은, 천연의 유화제(5)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은 목재 내지 합판, 집성목, 섬유질 압축강화목, 인조목, 종이, 골판지 중 어느 하나에 도포되거나, 왁싱, 코팅, 침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
  • 천연의 목재를 가공하여 각각의 구성목재를 제공하고, 상기 구성목재로부터 제공된, 다양한 물품의 포장용 내지 보관용 목재박스에 있어서,
    읨의의 용적과 구성을 갖도록 제공된 기본박스(10)의 상단에, 덮개(40)가 제공되고, 필요에 따라서 추가박스1(11) 내지 추가박스2(12)가 적층된 목재박스와;
    동백오일 내지 아마인오일, 호호바오일을 중량비 40% 내지 90%의 주제오일(A)에;
    올리브오일, 피마자오일, 해바라씨오일, 햄프씨드오일, 체리씨드오일, 카르나우바오일, 사탕수수오일, 큐티클오일, 대두오일, 팜오일, 코코넛오일, 포도씨오일, 텀프킨씨드오일, 미강오일, 스위트아몬드오일, 달맞이꽃오일, 홍화오일, 살구 씨오일, 세서미오일, 알로에베라오일, 시어오일, 아보카도오일, 헤이즐넛오일, 쿠쿠아넛오일, 라놀린, 보리지오일, 블루베리씨드오일, 아르간오일, 브로콜리씨드오일, 블랙커런트씨드오일, 타조오일, 아몬드오일, 녹차씨오일, 달맞이오일, 로즈힙오일, 로즈힙시드오일, 마카다미아오일, 에뮤오일, 윗점오일, 연꽃오일, 카렌듈라오일, 티마누오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일을 중량비 10% 내지 60%의 부제오일(B)을 혼합하여 제공된, 천연의 베이스오일(1)로 구성된 천연 오일 도료 조성물(100)을 제공하여;
    상기 목재박스에, 상기 조성물(100)을 도포하여 부드러운 천으로 왁싱하는 공정을, 적어도 1회 이상 실시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을 이용한 목재박스(200).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오일(1)은, 중량비 3% 내지 40%의 천연의 에센스오일(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 도료 조성물(100)을 이용한 목재박스(200).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에센스오일(3)은, 창포 내지 황금, 감초, 황정, 목단피, 자몽, 카모마일, 녹차, 버드나무, 목련, 프로폴리스, 측백, 편백, 맥아, 청대, 자몽, 산초, 백두홍, 병풀, 차조기, 삽주나무, 금송, 회향, 싸리나무, 쑥, 참나무, 대나무, 송진, 유황 중,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오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 도료 조성물(100)을 이용한 목재박스(200).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오일(1)은, 중량비 2% 내지 10%의 천연의 아로마오일(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 도료 조성물(100)을 이용한 목재박스(200).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오일(4)은, 머틀 내지 그레이프룻, 네롤리, 니아울리, 딜, 라벤더, 라임, 레몬, 레몬그라스, 로즈, 로즈마리, 로즈우드, 쥬니퍼베리, 캐모마일로먼, 캐모마일저먼, 캐롯씨드, 카제풋, 커피, 클라리세이지, 클로브, 티트리, 탠저린, 페퍼민트, 패츌리, 펜널스윗, 파인, 프랑킨센스, 페티그레인, 팔마로사, 히솝, 코리앤더, 로즈제랴늄, 마조람스위, 마누카, 만다린엘로우, 미르, 바질스위, 베르가못칼라브리아, 사이프러스, 스위오렌지, 스피어민트, 시트로넬라, 시나몬, 시더우드, 윈터그린, 유칼립투스, 일랑일랑, 자스민, 제라늄 중, 어느 하나이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오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 도료 조성물(100)을 이용한 목재박스(200).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오일(1) 내지 에센스오일(3), 아로마오일(4)은, 천연의 유화제(5)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을 이용한 목재박스(200).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목재박스(200)는, 표면에 상표 내지 상품명 또는 임의의 도안을 인쇄 내지 마킹, 부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을 이용한 목재박스(200).
  •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 청구항 11, 청구항 13, 청구항 14, 청구항 15 중,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박스(200)는 기본박스(10)에 배냇저고리 또는 손도장, 발도장, 사진 등이 구분 내지 독립보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수단(21, 22) 중, 어느 하나에 더 포함되는 유아의 젖니 내지 손톱, 발톱, 배냇머리, 배꼽 등을 보관하는 보관수단(30)과, 덮개(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을 이용한 목재박스(200).
  • 说明书全文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목재박스{NATURAL OIL PAINT COMPOS ITE AND THEREBY WOOD BOX}

    본 발명은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목재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연의 식물성오일만으로 이루어진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과 그를 이용한 포장 및 보관용 목재박스에 관한 것이다.

    도료는, 주로 목재나 인테리어재, 내외장재 등, 피도장 물건의 보존과 심미감을 위하여 사용되어 왔으며, 그 종류와 도장방법 등이 매우 다양하다.

    한편, 목재박스는 귀중품 내지 소장품을 분류하거나, 포장 또는, 보관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수단이 이용되어 왔으며, 특히 목재를 가공하여 제공된 목재박스는 목재가 갖는 심미감과 보존성으로 인하여 예로부터 많이 활용되고 있다.

    목재의 소재에 있어서는 오크, 월넛, 메이플, 향나무, 오동나무, 스기 등등 그 수종이 매우 다양하였으며, 포장박스를 비롯하여, 보석함, 식기함, 인주함, 문방사우함, 서류함, 쌀통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도료는 페인트나 에나멜과 같이 고체 물질의 표면에 칠하여 고체막을 만들어 물체의 표면을 보호하고 아름답게 하는 유동성 물질의 총칭하며, 상 기 통상적인 도료는 용제(solvent)와 주제(solute)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제의 성분에 따라 크게 천연수지도료와, 합성수지도료, 수성도료, 유성도료로 구분되는데 상기한 도료의 특성과 화학적 구성은, 이미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천연목재로부터 제공된 목재박스는 목재가 갖는 목질과 색상, 특성 등으로 인하여 사용목적 및 빈도가 매우 많음에도 불구하고, 사용 중 외부 충격이나 수분 및 열기 등에 노출되면서 많은 하자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함수율의 변화에 따라, 곰팡이나 각종 균의 서식처가 되어 목재를 부패시키거나 변색에 이르러 사용할 수가 없게 되거나, 갈라지거나 트는 현상과 함께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변형을 반복하게 되면서 목재박스가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목재 및 목재박스의 보존성 및 심미감을 더욱 배가하기 위하여 각종 도료에 의한 다양한 도장이 실시되어 왔으며, 산업기술이 발달되기 이전에는 옻칠, 황칠, 콩기름 등의 도료나 오일을 사용한바 있으며, 근자에 이르러서는 각종 화학적 성분의 왁스 내지 도료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콩기름을 활용한 도료는, 해충으로부터 자유하지 못하였으며 수차례의 도장을 실시하여야 하였고, 따라서 건조하기까지 옷이나 신체에 묻어나는 등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어서 요즈음에는 거의 실시하지 있고 있다.

    또한, 천연나무의 수액으로부터 제공된 옻칠은 항균성 및 도막의 유지성이 매우 뛰어나 백여년이 지난 옻칠제품이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을 정도이나, 옻칠 을 얻기도 힘들거니와 도료자체가 갖는 불투명성으로 인하여 목질을 은폐하게 되고, 작업이 까다로우며, 매우 고가이고 작업량에 한계가 있으므로 특수한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한편,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사용되고 있는 합성도료는 왁스 및 니스나, 우레탄바니쉬 등, 매우 다양한 도료가 제공되고 있으며, 작업성과 사용성이 매우 간편하고 가격 또한 매우 저렴하여 많은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도료는 석유로부터 원재료를 제공받는 까닭에 특유의 냄새와 독성을 갖고 있는데,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적게는 단순 알레르기에서부터 심하게는 암 등을 유발하는 커다란 문제를 갖고 있다.

    한편, 특수 설비내에서만 가능한, 예를들어 U/V경화형도료와 같은 도료에 의한 제품을 사용하다가 도막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를 보수하거나 재도장하는 등의 해결할 방법이 거의 없으며, 최종 도막의 도료와 동일한 성분의 도료를 구하기도 매우 어렵다.

    때문에, 도막의 유지사이클이 매우 짧아서 사용 중, 도막이 갈라지거나, 들뜨게 되고, 색상이 누렇게 변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기 쉬운데도 불구하고, 상기한 문제점을 보수하거나 고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여, 제품자체를 페기하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 천연오일 내지 스테인, 왁스 등이 일부 유통되고 있으나, 순수 천연오일만으로 구성하지 못하고, 일부 화학성분 즉 안정제 내지 유화제, 방부제 등을 첨가하여 제공되고 있어서 사실상 천연 이라고 할 수가 없다.

    더욱이, 상기한 도료들은 건조시간이 약 3일 내지 10여일로 매우 길고, 건조 후에도 번들거리거나 묻어나는 등의 곤란한 점이 있다.

    일부, 작업성을 높이기 위하여 알콜로 구성된 용제를 제공하기도 하는데, 천연고착제와의 용해 내지 희석이 매우 어려워 도포시 얼룩이나 불균일한 도막을 제공하게 되며, 더욱이 목재의 함수율을 급격히 올리게 되어 목재의 변형 및 표면 거침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아마인유, 해바라기유, 대두유, 엉겅퀴유, 피마자유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천연고착제는 도포 및 건조 후에도 지속적으로 유분을 갖고 있어서 먼지나 티끌이 표면에 달라붙어 고착되거나, 옷이나 신체에 묻어나는 폐단이 있다.

    이처럼, 대부분의 도료가 목재와 같은 피도체와의 부착성과 균일한 도막성만을 강조하다보니, 목재의 표면에 도료를 고착시키게되고, 도막 또한 목재의 표면 전체를 두껍게 덮어 제공하고 있어서, 천연의 목재가 갖는 습도조절 및 방향력, 살충력 등의 효능을 전혀 이용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끈적이거나 묻어나지 않으면서 광택과 부착력, 발수 및 방수력, 보존성이 우수한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목재박스를 제공한다.

    화학방부제 및 용제, 주제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포름알데히드나 벤젠 과 같은 휘발성 발암물질 등이 용출되지 않는 도료를 제공한다.

    상기 도료는, 별도의 고착제 없이도 피도장체와의 부착력이 우수하고, 재도장시에도 부착을 위한 별도의 연마작업 없이도, 양호한 부착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어떠한 임의의 도료를 재 도장하더라도, 기존 도료에 도장이 용이하도록 한다.

    뛰어난 투명성 내지 색상, 내후성, 내구성이 우수하고, 보관중 명도 및 색상의 변색의 정도를 최소화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료 조성물을 도포, 코팅 내지 왁싱하는 것으로 달성되는, 항산화 및 방부, 방충, 항습, 항균 등의 보존을 위한 고기능을 제공하여, 목재박스뿐만 아니라, 그로부터 보관되는 물건의 부패 내지 오염, 훼손을 방지한다.

    한편, 강한 표면과 풍부한 광택으로 용도에 따른 고광택의 도장면을 실현하고, 높은 인화점을 제공하여, 방수 및 발수기능이 우수하고,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단열효과를 갖는 목재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백오일과 호호바오일, 아마인오일을 주제오일로 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의의 부제오일를 혼합한 베이스오일 도료로 구성된,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천연오일 조성물은, 방부, 방충, 항균 등의 효능을 갖는 에센스오일 내지, 심신 안정과 치료, 방충, 탈취 등의 효능을 갖는 아로마오일을 소정량 혼합하 여 제공한다.

    상기 천연오일 조성물의 보존 및 보관과 도포작업의 용이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천연의 유화제를 더 포함시켜 젤 또는 왁스 등으로 고형화하여 제공한다.

    소정의 형상과 용적을 갖는 임의의 목재박스를 제공하고, 상기 목재박스의 표면에 상기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코팅하거나 왁싱한, 천연오일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목재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에 따르면, 식물에 의해 생성된 천연화학 재료로서, 재실자의 인체에 무해한 무독성 천연 식물성오일 사용하여 인간 및 환경에 유해한 물질인 중금속, 유기 용제 등이 전혀 없으므로, 안심하고 목재의 내,외장 마감 도료 및 목재박스에 이용이 적합하다.

    화학페인트에 비해 색상은 적어도 1.7배, 명도는 1.4배 이상으로서 내후성, 내구성이 우수하고, 기후에 다른 명도 및 색상의 변색의 정도가 최소화되어, 보수주기를 약 1.5배 연장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일도료가 피도장체에 깊숙이 스며들어, 부착력이 우수하여, 강한 표면과 풍부한 광택을 실현하고, 발수 및 방수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높은 인화점을 제공하여,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단열효과가 있다.

    150여 가지 천연 식물성오일을 원료를 사용하는 신기술로서, 기본 주제인 베이스오일에 의한 코팅효과와, 기능성 에센스오일에 의한 방부 및 보존효과, 방향성 오일에 의한 은은한 자연의 향에 의한 심신안정과 치료효과가 크다.

    수백년 전부터 알려져 안정적이고 안심할 수 있는 오일로 구성된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은, 환경오염과 인체의 악영향 없으며, 탄화수소와 같은 환경 오염 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며, 사람이나 동.식물에 접촉시 전혀 무해하고 토양에서 재분해되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조과정 및 사용 중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으며, 사람, 동물, 식물에 직접 접촉에도 무해하며, 토양에서 생분해가 될 수 있는 오일도료이다.

    한편,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목재박스에 따르면, 목재가 호흡할 수 있는 기공을 차단하지 않으면서, 목재 및 목재박스가 갖는 고유한 목재의 특성을 살리고, 아름다움을 더욱 분명하게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습기에 취약한 소재의 내부에 깊숙이 스며들어 발수 및 방수기능을 수행하므로서, 목재박스의 형질과 형태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곰팡이와 같은 균질의 서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목재박스가 부패하거나, 썩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크다.

    또한, 에센스오일에 의하여, 목재 내지 목재박스의 취약점인 방수, 방부, 항균, 항충 등으로부터 목재박스를 보호하여 보존성이 월등하게 뛰어나게 되며, 천연의 아로마오일로부터 제공되는 심리적, 신체적 안정 및 병리치료 효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로 왁싱된 목재박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 최고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목재박스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주제오일(A)과 부제오일(B)이 혼합되어, 베이스오일(1)로 제공된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을 예시하고 있다.

    동백오일 내지 아마인오일, 호호바오일을 중량비 40% 내지 90%의 주제오일(A)로 하고, 올리브오일, 피마자오일, 해바라씨오일, 햄프씨드오일, 체리씨드오일, 카르나우바오일, 사탕수수오일, 큐티클오일, 대두오일, 팜오일, 코코넛오일, 포도씨오일, 텀프킨씨드오일, 미강오일, 스위트아몬드오일, 달맞이꽃오일, 홍화오일, 살구씨오일, 세서미오일, 알로에베라오일, 시어오일, 아보카도오일, 헤이즐넛오일, 쿠쿠아넛오일, 라놀린, 보리지오일, 블루베리씨드오일, 아르간오일, 브로콜리씨드오일, 블랙커런트씨드오일, 타조오일, 아몬드오일, 녹차씨오일, 달맞이오일, 로즈힙오일, 로즈힙시드오일, 마카다미아오일, 에뮤오일, 윗점오일, 연꽃오일, 카렌듈라오일, 티마누오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일을 중량비 10% 내지 60%의 부제오일(B)로 구성된, 천연 베이스 오일(1)로 구성된, 천연 오일 도료 조성물(100)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은, 동백오일과 아마인유 및 호호바오일을 주제오일(A)로 구성하는 베이스오일(1)을 제공하게 되는데, 그외, 여러가지 부제오일(B)을 첨가하여 혼합하게 되는데, 이때 부제오일(B)은 각각의 용도와 특성 에 따라 첨삭 가감하여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의 주요한 기술적 특성 및 배합비율에 있어 베이스오일(1)은, 동백나무의 열매를 압착하여 제공되는 동백오일이 주성분으로 구성하게 되는데, 이는 불건성유(不乾性油)로서, 이 오일은 대기중에 개방하여 방치해 두어도 증발하는 일이 거의 없고, 비중은 약 0.916으로 물과 비슷하다.

    주성분은 올레산(酸)으로 약 80% 내지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리놀레산 10%, 팔미트산 8%, 스테아르산 3% 좌우, 리놀레산 0.4% 좌우, 응고점 25℃, 빙점-15℃이며, 황색의 맑은 기름으로, 주로 머리기름, 정밀기계유, 의약계의 올리브유 대용 과, 정제한 것은 담백한 맛이 있어 요리에 쓰이고 있다.

    침투력이 우수하고 향균과 같은 방부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왁싱 후 신체나 옷 등에 쉬 묻어나지 않는 특성이 있다.

    호호바오일은, 호호바 식물의 씨를 압착하여 추출한 오일로서, 콜드프레스로 제공되었으며, 보존, 방부력이 약 15년 이상 유지될 정도로 잘 산화되지 않으므로, 목재도장시 목재의 보존 및 방부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천연 유상제(natural emulsitying property)로서의 효능이 월등하여, 오일의 퍼짐성과 흡수력이 매우 뛰어나서, 베이스오일뿐만 아니라 에센스오일 및 아로마오일의 홉합과 도장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주로 목재의 표면에 도포 될 경우, 목재 깊숙이 침전되어 그 성질이 변화되지 않고 유지되어야 하며, 도포량의 정도에 상관없이 양호한 투명성과 광택이 우수하고, 발수 및 방수력이 좋은 것들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별도의 용제 없이도 도포하기에 적당한 점도와 온도와 습도의 변화에도 변화가 적어서, 매우 안정적인 도막을 유지할 수가 있으며, 사용중 어떠한 천연 식물성오일을 재도포하더라도 거부반응 없이 융화될 수 있는 역활을 하게 된다.

    전제되었듯이 목재와의 융화력이 좋고, 흡수가 빠를 뿐만 아니라, 침투력이 좋아 깊숙이 스며드는 것들이며, 광택이 부드러우면서도 목재의 결을 입체감 있게 표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주제오일(A) 자체가 갖는 방부, 방충, 발수 및 방수기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도포 후 끈적이거나 묻어나지 않는 특성을 갖는 오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상기 베이스오일(1)에 에센스오일(3)과, 아로마오일(4), 유화제(5) 등이 더 포함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오일(1)로 구성된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에 중량비 3% 내지 40%의 천연 에센스오일(3)을, 부제오일(B)로서 더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항곰팡이 내지 항균, 방부, 항충, 항산화를 위한 부제오일(B)로서, 오일축출방법에 의해 제공된 창포 내지 황금, 감초, 황정, 목단피, 자몽, 카모마일, 녹차, 버드나무, 목련, 프로폴리스, 측백, 편백, 맥아, 청대, 자몽, 산초, 백두홍, 병풀, 차조기, 삽주나무, 금송, 회향, 싸리나무, 쑥, 참나무, 대나무, 소나무, 유황, 티트리 등의 에센스오일(3)을 베이스오일(1)에 소정량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에센스오일(3)의 배합비율은 목재와 보존기간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되는데 통상 베이스오일(1) 대비 중량비로 최고 50%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오일 특유의 냄새나 도막 특성상 바람직하다.

    한편, 항곰팡이 내지 항균, 방부, 항충, 항산화를 위한 부제오일(B)로서의 에센스오일(3)은, 오일축출방법에 의해 제공된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나, 창포 내지 황금, 감초, 황정, 목단피, 자몽, 카모마일, 녹차, 버드나무, 목련, 프로폴리스, 측백, 편백, 맥아, 청대, 자몽, 산초, 백두홍, 병풀, 차조기, 삽주나무, 금송, 회향, 싸리나무, 쑥, 참나무, 대나무, 소나무, 유황, 티트리 등의 재료를 베이스오일(1)에 약 10일 내지 60일 정도 침전시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에센스오일(3)의 재료들은, 항곰팡이 내지 항균, 방부, 항충, 항산화기능을 원천적으로 갖고 있는 것들로, 그로부터 제공된 오일 역시 상기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학술논문에 따르면, 티트리오일 2종과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천연오일을 합성방부제인 methylpar aben과 항균력을 비교한 자료에 의하면, 합성방부제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방부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증명된바 있다.

    대상 균주로 그람양성균인 S. aureus (KCTC 1916)와 그람음성균인 E. coli (KCTC 2571)와 P. aeruginosa (KCTC 2513)를 사용하였으며, 진균류인 C. albicans (KCTC 7965)와 A. niger (KCTC 6911), 그리고 여드름균인 P. acnes (KCTC 3314)를 사용하였다.

    그람양성균의 항균력실험에서 천연오일은 합성방부제보다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그람음성균에서는 유사한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진균과 여드름균에 대해서는 합성물질에 비해 천연오일에서 월등한 활성을 볼 수 있다.

    실험군에서 항균력은 티트리오일 > methylparaben > 편백정유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DPPH 법에 의한 항산화실험과 lipoxygenase를 이용한 항염증실험을 통해 천연오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과 그를 이용한 물건의 보존과 방부력이 월등히 좋아지게 되고, 이는 물건의 사용기간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오일(1)에 중량비 2% 내지 10%의 천연 아로마오일(4)을 더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는데, 천연 식물 내지 광물로부터 제공된 향기를 갖는 아로마오일(4)을 소정량 더 포함하여 제공한다.

    상기 아로마오일(4)은, 머틀 내지 그레이프룻, 네롤리, 니아울리, 딜, 라벤더, 라임, 레몬, 레몬그라스, 로즈, 로즈마리, 로즈우드, 쥬니퍼베리, 캐모마일로먼, 캐모마일저먼, 캐롯씨드, 카제풋, 커피, 클라리세이지, 클로브, 티트리, 탠저린, 페퍼민트, 패츌리, 펜널스윗, 파인, 프랑킨센스, 페티그레인, 팔마로사, 히솝, 코리앤더, 로즈제랴늄, 마조람스위, 마누카, 만다린엘로우, 미르, 바질스위, 베르가못칼라브리아, 사이프러스, 스위오렌지, 스피어민트, 시트로넬라, 시나몬, 시더우드, 윈터그린, 유칼립투스, 일랑일랑, 자스민, 제라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로마오일(4)은, 베이스오일(1) 및 에센스오일(3)의 총 중량비 대비 최저 0.5% 내지 최고 10%까지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사용량에 대해서는 목재의 밀도와 건조 정도에 따라 가감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목재 자체의 향뿐 아니라, 베이스오일(1) 및 에센스오일(3)이 자체의 고유한 향을 각각 가지고 있으므로, 도장하고자 하는 소재의 종류와 베이스오일(1) 및 에센스오일(3)의 종류 및 첨가량에 따라 아로마오일(4)의 종류와 첨가량을 결정한다.

    때에 따라서는,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이 본래 갖는 특정한 향을 희석하도록 구성하거나, 배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거나, 본래 갖는 향과 어울리도록 향을 혼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로마오일(4)을 구성하는 천연의 재료는 각각의 고유한 향과 특징을 갖는데, 인공향에 비하여 은은하고 깊은 향을 발산하여 심리적 신체적 안정과, 치료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아로마오일(4)은 자기방어적 기재에서 발산되는 고유한 향 및 물질의 휘발작용으로 인하여 방충, 방부의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는 베이스오일(1)과 에센스오일(3)이 갖는 성분적 작용과는 다른 것이지만, 그에 부가하여 방충, 방부의 효능이 월등하게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은 레시틴 내지 스테아르산, 이멀시파잉왁스, 밀랍, 칸데릴라 왁스, 솔루비라이저, 쟁탄검, 펙틴, 글리세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천연 유화제(5)를 더 포함하여 제공하기도 하는데, 상기 유화제(5)는 액체상태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을 젤이나, 왁스, 고형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서, 벌꿀로부터 제공되는 식용 및 화장품에 많이 사용되는 밀납 을 주 성분으로 하는 유화제(5)를 사용할 경우, 베이스오일(1) 내지 에센스오일(3), 아로마오일(4)의 총 중량비 3% 내지 15%의 밀납을 더 포함하여 고온에서 녹여 혼합한 다음, 냉각하여 사용하게 된다.

    밀도 내지 강도의 정도는 유화제(5)의 사용량에 따라 결정되는바, 이는 작업용도 및 작업방법에 따라 가감하여 사용하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천연오일도료 조성물(100)은 천연의 동백오일과 호호바오일, 아마인오일을 주제오일로 하고, 천연의 부제오일(B)을 혼합 첨가하여 제공되는 베이스오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 특징되는 기능을 갖고 있는 부제오일(B)로서, 에센스오일(3)과 아로마오일(4), 유화제(5)를 더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은, 순수 식물성 화학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천연도료를 구성하는 모든 원재료는 태양빛에서 제공하는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자연에서 얻는다.

    따라서, 생산공정 또한 식물내의 자연적인 광합성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낙엽 송진이나 잇꽃기름 등과 같이 매우 복잡한 분자구조를 가진 물질들을 얻어낸다.

    그리고, 이러한 천연 원료들은 최소한의 에너지를 투입하여 단순하고 포괄적인 과정들을 거쳐 유독가스를 배출하거나 생태계를 오염시키는 폐기물들을 만들어 내지 않고 천연도료로 변환되어 사용 후 인체 무독성, 정전기 방지, 항균성 등 건강과 생태학적 싸이클 안에서 생물학적 분해를 통하여 완전히 회복된다.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은 제공받고자하는 식물의 특성에 따 라, 여러가지 추출방법을 실행하게 되는데 압착법(Expressing), 추출법 (Extra cti on), 불휘발성용제 추출법, 냉침법 (Enfleurage), 온침법(Meceration), 휘발성 용제 추출법, 액화 가스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Hydro Distillation)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은, 주로 목재와 종이, 금속 등에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오일도료의 침투나 흡수가 용이한 소재일 경우, 더욱 그 효과가 뛰어나다.

    따라서, 천연 목재, 합판, 집성목, 섬유질 압축강화목, 인조목, 종이, 골판지, 내.외장재 등의 초벌 내지 마감도료로 사용되는, 광범위한 도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고, 방법은, 왁싱 내지 도포, 코팅, 침전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은 접착제 내지 인쇄, 마킹, 부착 등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완제품을 만들기 전의 재료단계에서부터 완제품에 이르기까지, 전 공정에서 제한없이 도포작업의 실시가 가능한 특징이 있어 그 이용의 가치는 매우 높다.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은, 오로지 천연재료로 구성된 것들로 이루어지므로 인체와 환경에 전혀 무해하여, 특정 오일 외에는 소량의 섭취 내지 접촉 등으로 인하여 인체에 해로움이 전혀 없는 것이다.

    때문에, 제조 및 보관, 작업, 건조, 사용 중 어느 공정에서라도 인체에 무해하며 자연분해가 가능한 친환경적 특징을 갖는다.

    또한, 도막의 흡수력 및 보존력이 우수하여, 도장할 소재의 밀도와 표면을 단단하게 하여, 사용 중 하자의 염려가 거의 없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누구라 도 쉽게 재 도장 등의 작업을 통하여 새 제품과 같은 도막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오일(1)과 같은 천연오일로 구성된 에센스오일(3) 및 아로마오일(4), 유화제(5)를 이용하고 있어, 혼합이 용이하고, 베이스오일의 고유한 성질과 특성에 더하여 도장성을 배가하는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중 하나이다.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위험물질을 방출하는 포르말린과 달리,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은, 고유한 보존 및 방부기능과 고유한 향으로 인한 방충효과와 안정 및 치료 효과를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을 이용하여 도장한, 목재 그 목재로 만든 목재박스(200)를 제공한다.

    첨부된 도 3은, 통상의 일반적인 목재박스(200)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기본박스(10)의 상단에 덮개(30)가 제공되고, 하단에는 추가박스1(11)과 추가박스2(12)가 적층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추가박스1(11)과 추가박스2(12)를 더 포함하거나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며, 각 박스의 형태나 구성, 디자인은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목재박스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기본박스(10)에 배냇저고리 또는 손도장, 발도장, 사진 등이 구분 내지 독립보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수단(21, 22) 중, 어느 하나에 더 포함되는 유아의 젖니 내지 손톱, 발톱, 배냇머리, 배꼽 등을 보관하는 보관수단(30)과, 덮 개(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 도시하지 않음)이 도표되어 코팅되거나 왁싱된 목재박스(200)를 도시하고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목재박스(200)는, 특정물건의 포장이나 이동, 보관, 전시 등, 매우 광범위한 산업분야에서 이용 내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사용 목적과 이용의 정도는 익히 알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재박스(200)는, 특정물건의 포장이나 이동, 보관, 전시 등에 사용되는 목재박스에 대하여 그 용도와 구성, 디자인을 제한하고 있지 않는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이 목재의 표면에 도포되어 구성된 목재박스를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이다.

    동백오일 내지 아마인오일, 호호바오일을 중량비 40% 내지 90%의 주제오일(A)로 하고, 올리브오일, 피마자오일, 해바라씨오일, 햄프씨드오일, 체리씨드오일, 카르나우바오일, 사탕수수오일, 큐티클오일, 대두오일, 팜오일, 코코넛오일, 포도씨오일, 텀프킨씨드오일, 미강오일, 스위트아몬드오일, 달맞이꽃오일, 홍화오일, 살구씨오일, 세서미오일, 알로에베라오일, 시어오일, 아보카도오일, 헤이즐넛오일, 쿠쿠아넛오일, 라놀린오일, 보리지오일, 블루베리씨드오일, 아르간오일, 브로콜리씨드오일, 블랙커런트씨드오일, 타조오일, 아몬드오일, 녹차씨오일, 달맞이오일, 로즈힙오일, 로즈힙시드오일, 마카다미아오일, 에뮤오일, 윗점오일, 연꽃오일, 카렌듈라오일, 티마누오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일을 중량비 10% 내지 60%의 부제오일(B)로 구성된, 천연의 베이스오일(1)로 구성된 천연 오일 도료 조성물(100)을 제공하고, 상기 조성물(100)을 소정량 도포한 후, 부드러운 천으로 왁싱 하는 공정을, 적어도 1회 이상 실시한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을 이용한 목재박스(2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을 도장한 목재 및 목재박스(200)는 광택이 우수하고 끈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목재가 갖는 고유한 나뭇결을, 보다 선명하고 분명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나무의 강도를 높이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을 도장한 목재박스(200)는, 목재의 취약점인 함수율의 변화에 따른 오염, 훼손, 파손으로부터 매우 자유롭다.

    한편, 상기 베이스오일(1)에 중량비 3% 내지 40%의 천연 에센스오일(3)을 더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항곰팡이 내지 항균, 방부, 항충, 항산화를 위한 부제오일(B)로서, 오일축출방법에 의해 제공된 창포 내지 황금, 감초, 황정, 목단피, 자몽, 카모마일, 녹차, 버드나무, 목련, 프로폴리스, 측백, 편백, 맥아, 청대, 자몽, 산초, 백두홍, 병풀, 차조기, 삽주나무, 금송, 회향, 싸리나무, 쑥, 참나무, 대나무, 소나무, 유황 등으로부터 제공된 에센스오일(3)을, 베이스오일(1)에 소정량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에센스오일(3)의 배합비율은 도장하고자 하는 목재의 수종과 그 보존기간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되는데 통상 베이스오일(1) 대비 중량비로 최고 50%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오일 특유의 냄새나 도막 특성상 바람직하다.

    한편, 항곰팡이 내지 항균, 방부, 항충, 항산화를 위한 에센스오일(3)을 베이스오일(1)에 소정량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나, 상기 에센스오일(3)을 제공하는 재료를 생화 내지 생초, 건조, 분말로 가공하여, 베이스오일에 약 10일 내지 60일 정도 침전, 또는 가열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베이스오일(1)은, 목재의 표면과 내부에 일정한 피막을 형성하여 발수 및 방수의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더 포함되는 에센스오일(3) 및 아로마오일(4)이 제공하는 방충, 방부의 기능과 심신안정 및 치료의 효과를 부가하여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오일(1)에 중량비 2% 내지 10%의 천연 아로마오일(4)을 더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는데, 천연 식물 내지 광물로부터 제공된 향기를 갖는 아로마오일(4)을 소정량 더 포함하여 제공한다.

    상기 아로마오일(4)은, 머틀 내지 그레이프룻, 네롤리, 니아울리, 딜, 라벤더, 라임, 레몬, 레몬그라스, 로즈, 로즈마리, 로즈우드, 쥬니퍼베리, 캐모마일로먼, 캐모마일저먼, 캐롯씨드, 카제풋, 커피, 클라리세이지, 클로브, 티트리, 탠저린, 페퍼민트, 패츌리, 펜널스윗, 파인, 프랑킨센스, 페티그레인, 팔마로사, 히솝, 코리앤더, 로즈제랴늄, 마조람스위, 마누카, 만다린엘로우, 미르, 바질스위, 베르가못칼라브리아, 사이프러스, 스위오렌지, 스피어민트, 시트로넬라, 시나몬, 시더우드, 윈터그린, 유칼립투스, 일랑일랑, 자스민, 제라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로마오일(4)은, 베이스오일(1) 및 에센스오일(3)과, 목재 특유의 냄새와 목재박스(200)의 제조상, 어쩔 수 없이 사용되는 접착제 등의 냄새를 희석하거나 중화하는 효과와, 아울러 사용자로 하여금 심신안정과 치료 등의 유익한 효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재박스(200)에 도포 되는,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은 레시틴 내지 스테아르산, 이멀시파잉왁스, 밀랍, 칸데릴라 왁스, 솔루비라이저, 쟁탄검, 펙틴, 글리세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천연의 유화제(5)를 더 포함하여 제공하기도 한다.

    상기 유화제(5)는 액체상태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은 젤이나, 왁스 등으로 고형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예로서, 벌꿀로부터 제공되는 식용 및 화장품에 많이 사용되는 밀납을 사용할 경우, 상기 베이스오일(1) 및 에센스오일(3), 아로마오일(4)의 총 중량비 3% 내지 15%의 밀납을 더 포함하여 고온에서 녹여 혼합한 다음, 냉각하여 사용하게 된다.

    밀도 내지 강도의 정도는 밀납의 사용량에 따라 결정되는바, 이는 작업용도 및 작업방법에 따라 가감하여 사용하면 될 것이다.

    상기 구성목재 내지 목재박스(100)는, 표면에 상표 내지 상품명 또는 임의의 도안을 인쇄 내지 마킹, 부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을 이용한 목재박스(2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을 이용한 목재박스(200)는, 액체 내지 젤, 왁스, 고형 된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을 표면에 도포하고, 부드러운 천 등으로 문질러주는, 왁싱작업을 적어도 1회 이상 실시하여 제공하게 된다.

    상기 도포 횟수는, 목재의 종류와 도막 내지 광택의 정도에 따라 차등하여 적용될 것은 자명할 것이므로, 이는 실시자의 선택 사항이다.

    상기 도포방법은 스프레이분무나, 천, 침적, 침전, 로라, 붓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것인바,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의 형태와 목재의 종류에 따라 달리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동 내지 나왕, 발사 등과 같이 특성상 매우 소프트하여 물리적 압력 및 충격에 쉬 찌그러지거나 함몰되는 등 폐단이 많은 목재의 경우,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100)을 수차례 도포 내지 왁싱하면, 목재의 강도를 높아지게 되어, 취급이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천연오일 도료 조성물은 이용한 일 실시예의 목재박스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목재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천연오일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목재박스의 측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A : 주제오일 B : 부제오일 1 : 베이스오일

    3 : 에센스오일 4 : 아로마오일 5 : 유화제 10: 기본박스 11: 추가박스1 12 : 추가박스2 30 : 보관수단 21, 22 : 수납수단 40 : 덮개 100 : 천연 오일도료 조성물 200 : 목재박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