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식 실내정원 조성용 조경 틀{Mobile interior garde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도면 부호의 설명] 10… 함체 12… 목재 편 20… 이동바퀴 30… 방수수단 40… 위치고정수단 42… 랙(rack) 44… 피니언 50… 배수구 60… 칸막이 70… 버킷
본 고안은 향수(鄕愁)가 깃든 옛날 우·마차 형태의 조경 틀에 관한 것으로서, 고급 원목(목재)을 사용하되 가급적 못이 사용되지 않는 조립식으로 제작하여 조경물품의 운반/보관/취급이 용이하고 주거용이나 사무용 공간에서 실내정원을 조 성하는 인테리어 용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설치장소의 바닥 상태에 따라 조경 틀의 모서리 높이를 임의조절하여 수평유지가 가능하게 한 이동식 실내정원 조성용 조경 틀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아파트 거실이나 베란다 혹은 빌딩 로비에 실내정원을 꾸미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실내정원은 예컨대 관상용 초본이나 꽃, 키 작은 관목, 분재, 물레방아 등의 옛 물건이나 바위 등의 자연물을 축소한 미니어처, 주변을 방수처리한 작은 연못, 조명시설 등이 조성공간 내에 보기 좋게 배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주거공간이나 사무공간 안으로 도입된 실내정원을 바라보고 있으면 심리적으로 안정되는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실내정원의 조성 시에 사용된 토양은 주위 습도가 높은 경우 습기를 빨아들이면서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습기를 분출하는 가습기의 역할을 하고, 토양에 식재된 식물은 광합성 등의 작용을 통해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의 역할을 함으로 우리의 생활환경을 쾌적하게 만들면서 우리에게 여러 가지 유익을 주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실내정원은 건물 한 모퉁이에 붙박이식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설치가 끝난 후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또한, 거실이나 베란다 등의 실내 바닥에 토양을 깔아 조성하기 때문에 배수(排水)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 붙박이식으로 조성되던 실내정원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① 설치장소를 쉽게 바꿀 수 있고 ② 배수가 잘 되며 ③ 가급적 못을 사용하지 않는 조립식으로 제작함으로써 물품의 운반/보관/취급이 용이한 이동식 실내정원 조성용 조경 틀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급 원목(목재)을 사용하여 향수(鄕愁)가 깃든 우·마차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④ 인테리어 용품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동식 실내정원 조성용 조경 틀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설치장소의 바닥 상태에 상관없이 ⑤ 토양으로 채워지는 함체가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 가능한 이동식 실내정원 조성용 조경 틀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가 해결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실내정원 조성용 조경 틀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A) 일 측에 배수구가 형성된 목재질의 함체와 B) 상기 함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합성수지재의 방수수단과 C) 상기 함체의 양 측부에 설치된 목재질의 이동바퀴 및 D) 상기 함체의 하단에 장착되어 설치장소의 바닥 상태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으로는 ① 랙-피니언 ② 스크루 잭 ③ 사무용 칸막이(파티션)의 하단 높이조절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체가 상호 조립이 가능한 다수의 목재 편으로 구성되고, 함체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가 상기 함체에 대해 삽입과 분리가 용이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청구항 2 및 3) 또한, 함체 일 측의 배수구에서 흘러나온 물이 임시저장되는 버킷을 상기 함체에 대해 분리 및 결합이 자유로운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청구항 4)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실내정원 조성용 조경 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조경 틀을 개략 도시한 모형도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의 함체(10)는 여러 개의 목재 편(12)으로 이루어진 밑판에 4장의 측판이 조립되어 장방형의 박스 형태로 구성된다. 이들 측판 중 하나에는 배수구(50)가 설치되고, 동 배수구(50)에 대응하는 구멍을 가진 플라스틱 박스 형태의 방수수단(30)이 상기 함체(10) 내에 삽입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함체(10)의 양 측부에 고급 원목으로 만든 3쌍의 이동바퀴(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함체(10)의 사방 모서리에 각각 랙(42)과 피니언(44)으로 이루어진 위치고정수단(4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바퀴는 밑판 아래로 연장된 측판의 하부 또는 밑판의 하면 양측에 돌출된 브래킷(미도시)을 관통한 굴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고급 원목으로 제작되어 풍부한 질감과 고급스러움이 자연스레 표현된다. 또한, 상기 함체(10)에 방수수단(30)을 설치한 다음 그 위에 성토(盛土)하므로 토양과 고급 원목이 직접 맞닿을 때 생기는 반복적인 흡습과 건조로 인한 함체의 비틀림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이동바퀴(20)에 의해 실내 어디로든 이동할 수 있으며, 위치고정수단(40)을 이용하여 실내의 임의지점에 놓아 둘 수 있다. 더욱이, 위치고정수단(40)의 랙(42)은 맞물려 있는 피니언(44)에 의해 위·아래로 승강하기 때문에, 조경 틀의 사방 모서리에 설치된 각각의 위치고정수단(40)을 작동시키게 되면 실내 바닥이 굴곡지거나 비스듬히 경사진 경우에도 상기 조경 틀을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도꼭지 형태의 배수구(50)에 고무호스를 끼운 후 그 끝을 하수구 쪽에 놓아두면 별다른 수고 없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함체를 구성하는 밑판과 측판이 다수의 목재 편(12)으로 분리 가능하 므로 이의 운반/보관/취급이 용이하다. 실시예 2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조경 틀을 개략 도시한 모형도이다. 도면에 나타나 있듯이, 본 실시예의 함체(10)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여러 개의 목재 편(12)으로 이루어진 밑판에 4장의 측판이 조립된 박스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측판 중 하나에는 수도꼭지 형상의 배수구(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50)에 대응하는 구멍을 가진 방수수단(30)이 함체(10) 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함체(10)의 양 측면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쪽에 고급 원목으로 만든 이동바퀴(20)가 설치되어 있고, 가구에서 흔히 사용되는 높이조절구가 함체(10)의 각 모서리 하단에 위치고정수단(40)으로 채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경 틀 내부를 여러 칸으로 구획하는 공간구획용의 칸막이(60)가 상기 방수수단(30)의 내부에 추가로 삽입되어 있으며, 배수구(50)의 바로 아래쪽에 버킷(70)이 놓여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술한 실시예 1의 작용·효과뿐 아니라 추가구성요소인 칸막이(60)와 버킷(70)에 의해 다음과 같은 새로운 작용·효과가 부가적으로 구현된다. 예컨대, 상기 칸막이(60)로 구획한 각각의 작은 공간 내에 화분이나 각종 미니어처 또는 어항 등을 배치할 경우 상기 칸막이가 장소이동 시의 흔들거림을 어느 정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배수구(50)가 잠긴 상태에서 버킷(70)으로 실내정원에 물을 뿌려 줄 수 있고, 물이 다 뿌려진 후에는 상기 버킷(70)을 배수구(50) 아래에 놓아둔 채 배수구를 열어 상기 배수구에서 흘러나온 물을 버킷에 받아 둘 수 있다. 따라서 베란다나 욕실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실내정원에서 흘러나온 물을 쉽게 모아서 내버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바퀴가 달린 조경 틀의 설치장소를 쉽게 바꿀 수 있고, 실내 바닥과 함체 밑판 사이의 높이 차이에 의해 배수가 잘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성과 원활한 배수에 의해 실내정원에 식재된 식물은 건강하게 육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가급적 못을 사용하지 않는 조립식으로 조경 틀을 제작함으로써 운반/보관/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위치고정수단의 높이조절작용에 의해 실내 바닥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도 조경 틀을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대부분의 구성요소가 고급 원목으로 제작됨으로써 고급 인테리어 용품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