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회절 및 간섭을 이용한 발광티켓

申请号 KR1020130030860 申请日 2013-03-22 公开(公告)号 KR1020130133660A 公开(公告)日 2013-12-09
申请人 김명종; 发明人 김명종;
摘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emitting ticket using the diffraction and interference of light which freely changes issue order with instant issue, secures economic feasibility with low manufacturing costs, does not contain any harmful elements, and enables a user to easily identify a seat number and content on a ticket in a dark place by making the number and the content lightened only with light of a theater or a stand. Various images or characters and numbers are formed on a ticket by making a plurality of fine holes (Hr) having a diameter of 0.1 to 0.3 mm and then light of an image projected to a screen penetrates the holes (Hr) in order to make the images or the characters and the numbers lightened with the diffraction and interference of light so that the seat number or the content on the ticket can be identified with eyes in the dark place.
权利要求
  • 종이재질의 티켓 표면에 0.1 내지 0.3mm의 직경을 갖는 다수의 미세구멍(Hr) 으로 각종 이미지나 문자 및 숫자를 형성하고, 스크린에 투영된 영상 불빛이 상기 미세구멍(Hr)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미지나 문자 및 숫자가 빛의 회절 및 간섭에 의해 발광되어 어두운 곳에서도 티켓의 좌석번호나 관련 내용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빛의 회절 및 간섭을 이용한 발광티켓.
  • 종이재질의 티켓 표면에 0.5 내지 0.8mm의 폭을 갖는 다수의 슬릿 각종 이미지나 문자 및 숫자를 형성하고, 스크린에 투영된 영상 불빛이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미지나 문자 및 숫자가 빛의 회절 및 간섭에 의해 발광되어 어두운 곳에서도 티켓의 좌석번호나 관련 내용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빛의 회절 및 간섭을 이용한 발광티켓.


  • 说明书全文

    빛의 회절 및 간섭을 이용한 발광티켓{The luminous ticket use diffraction and interference of light}

    본 발명은 빛의 회절 및 간섭을 이용한 발광티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광원없이 영화 상영관이나 연극 객실의 불빛만으로도 티켓에 표시되는 좌석번호나 관련 내용이 발광하여 관람객이 어두운 공간에서 쉽게 티켓의 좌석번호 및 관련 내용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고, 피부 접촉에 따른 인체 유해요소를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제작단가가 저렴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고, 즉시 발급이 가능해 발급 순서의 변경이 자유로운 빛의 회절 및 간섭을 이용한 발광티켓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영화 상연관이나 연극 객실은 스크린의 영상이나 무대의 연극을 관객이 집중해서 관람할 수 있도록 어두운 공간 환경을 제공하고, 상영 또는 공연시간에 늦은 관객은 어두운 공간에서 티켓의 좌석번호를 확인해야만 되는데, 이때 주변이 어두워 티켓의 좌석번호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결국 조명등을 휴대한 안내원의 도움을 받아 좌석번호를 확인하고 좌석을 찾아 영화 또는 연극을 관람해야만 되는 번거로움 및 불편성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근래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야광 티켓이 2010년 키노막스 러시아 멀티플렉스 영화관에서 도입한 바 있으나, 야광 티켓에 사용되는 물질은 피부를 자극하는 페닐옥살레이트라는 발암물질로써 인체에 유해하고, 상기 발암물질의 피부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그 발암물질 위에 코팅이 이루어져야만 하므로 제조단가의 상승에 따른 경제성이 떨어지며, 상영관 현장에서 즉시 발급이 어려워 발급 순서를 변경할 수 없게 됨에 따라 티켓 발급의 어려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별도의 광원없이 영화 상영관이나 연극 객실의 불빛만으로도 티켓에 표시되는 좌석번호나 관련 내용이 발광하여 관람객이 어두운 공간에서 손쉽게 티켓의 좌석번호 및 관련 내용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고, 피부 접촉에 따른 인체 유해요소를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제작단가가 저렴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고, 즉시 발급이 가능해 발급 순서의 변경이 자유로운 빛의 회절 및 간섭을 이용한 발광티켓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빛의 회절 및 간섭을 이용한 발광티켓의 한 형태는, 종이재질의 티켓 표면에 0.1 내지 0.3mm의 직경을 갖는 다수의 미세구멍(Hr) 으로 각종 이미지나 문자 및 숫자를 형성하고, 스크린에 투영된 영상 불빛이 상기 미세구멍(Hr)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미지나 문자 및 숫자가 빛의 회절 및 간섭에 의해 발광되어 어두운 곳에서도 티켓의 좌석번호나 관련 내용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종이재질의 티켓 표면에 0.5 내지 0.8mm의 폭을 갖는 다수의 슬릿 각종 이미지나 문자 및 숫자를 형성하고, 스크린에 투영된 영상 불빛이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이미지나 문자 및 숫자가 빛의 회절 및 간섭에 의해 발광되어 어두운 곳에서도 티켓의 좌석번호나 관련 내용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이 재질로 형성된 티켓의 표면에 다수의 미세구멍 또는 슬릿으로 각종 이미지나 문자 및 숫자를 형성하여 별도의 광원없이 영화 상영관이나 연극 객실의 불빛만으로도 티켓에 표시되는 좌석번호나 관련 내용이 발광되어 어두운 공간에서 관람객이 좌석번호 및 관련 내용을 쉽게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간편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접촉에 따른 인체 유해요소를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아 신체의 부작용이 없으며, 제작단가가 저렴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고, 즉시 발급이 가능해 발급 순서의 변경이 자유로워 티켓 발급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기 실시된 바 있는 외국의 야광 티켓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일반적인 종이 티켓을 나타낸 사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발광티켓의 이미지나 문자가 어두운 공간에서 발광에된 현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빛의 회절 및 간섭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 5의 "G"자를 확대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미세 구멍에 의한 빛의 회절 현상을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영화 상영관이나 연극의 입장권으로 사용되는 티켓(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영화제목(1)과 상영관 번호(2) 및 좌석번호(3), 상영일자/회차 시간(4)이 표시된다.

    이러한 티켓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한 이미지나 문자를 0.1mm의 미세구멍으로 다수 형성하여 그 이미지나 문자의 형태를 이루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고, 이러한 미세공들은 육안이나 손의 촉감으로 식별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며, CO 2 레이저를 이용해 천공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발광티켓의 이미지나 문자가 어두운 공간에서 발광에된 현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도 4는 영화 상영관의 티켓(10)이고, 도 5는 티켓(20)에 기업의 홍보를 위한 광고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티켓(10)의 상단 좌측부에 광으로 표시된 "7-K5"는 제 7 상영관, 좌석번호 K열 5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영관(32) 및 좌석번호(33)을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중앙부의 로고 "SAMSUNG"은 기업 홍보를 위한 광고이고, 하단 좌측의 특정 이미지는 복권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상기 이미지는 문자, 기호, 아라비아 숫자 등으로 이미지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티켓(20) 역시 "Google"의 문자로 형성하여 기업 홍보를 위한 광고용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빛의 회절 및 간섭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 5의 "G"자를 확대 도시한 예시도로서, 여기서, 'Hr'은 "G"의 문자 형태를 이루도록 천공된 다수의 미세구멍이고, 'Hi'는 스크린에 투영된 불빛에 의해 상기 미세구멍(Hr)을 통과한 빛이 회절 및 간섭에 의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타공된 미세 구멍(Hr)의 직경 0.1mm 보다 더 크고 선명하게 보이는 빛이다.

    이같이 "G"의 문자는 상기한 미세구멍(Hr)의 빛들이 모여 실제 관람객들의 눈에 발광 글자로 인식되는 것이며, 미세구멍(Hr)은 CO 2 레이저를 이용하여 천공되고, 0.1 내지 0.3mm(0.004 - 0.012in)의 직경으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단일 구멍에 의한 빛의 회절은 빛이 구멍을 지나면서 회절되고, 회절된 빛이 서로 간섭하기 때문에 회절 무늬가 나타난다. 이때, 회절 무늬 간격이 넓을수록 회절이 잘 일어나는데, 구멍이 폭이 좁을수록, 구멍과 눈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빛의 파장이 길수록 회절 무늬 간격이 넓어져 회절이 잘 일어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구멍에 의한 회절 무늬와 같이 밝고 어두운 무늬가 동심원상으로 교대로 나타나고, 이러한 현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멍이 폭이 좁을수록, 구멍과 눈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빛의 파장이 길수록 회절 무늬 간격이 넓어진다.

    빛의 회절 및 간섭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절은 빛이 진행 도중에 슬릿이나 장애물을 만나면 빛의 일부분이 슬릿이나 장애물 뒤에까지 돌아 들어가는 현상으로서, 단일 슬릿에 의한 빛의 회절은 빛이 슬릿을 지나면서 회절되고, 회절된 빛이 서로 간섭하기 때문에 회절 무늬가 나타난다.

    빛이 슬릿이나 구멍을 통과할 때 직진하지 않고 동심원을 그리며 퍼져 나가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파장이 길수록 슬릿의 틈이 좁을수록 잘 일어나고, 빛은 음파나 전파보다 파장이 짧아서 회절이 약하다. 빛의 회절로 스크린에 나타난 명암의 무늬는 빛의 경로 차로 발생한 위상 차로 인해 생긴 간섭 현상으로 인한 것인데 이를 빛의 회절상이라고 한다. 광파는 파장이 짧기 때문에 음파나 전파보다 회절효과를 분명히 알 수 없으나, 도 7 및 도 8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늘 끝만한 작은 구멍이나 면도칼 끝에 수직으로 빛을 조사하면, 그림자가 되는 부분에도 빛이 들어가 그것이 동심원(同心圓)이나 평행한 명암(明暗)의 무늬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구멍이나 칼날 끝에서 회절된 빛의 광로차(光路差)에 의해 그 길이가 빛의 파장과 같은 정도로 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간섭현상의 일종으로서, 일반적으로 이것을 장애물에 의한 빛의 회절상이라 한다.

    회절의 정도는 틈의 크기와 파장에 영향을 받는다. 틈의 크기에 비해 파장이 길수록 회절이 더 많이 일어난다. 즉, 파장이 일정할 때 틈의 크기가 작을수록 회절이 잘 일어나, 직선의 파면을 가졌던 물결이 좁은 틈을 지나면 반원에 가까운 모양으로 퍼진다. 빛의 예로는 브래그의 법칙에 따라 n=2dsin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은 미세구멍(Hr)들의 규칙적인 배열에서 빛들이 보강 간섭이나 상쇄 간섭으로 산란되어 전체적으로 문자나 이미지 또는 숫자로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미세구멍은 고분자필름의 천공시 사용되는 레이저빔의 발생원으로는 CO2 레이저(laser), YAG 레이저(laser), 엑시머레이저 및 UV 레이저(laser)가 사용된다. 특히 상기 CO 2 레이저(laser)를 사용했을 경우 대상물의 두께와 특성에 따라 레이저는 파장의 장단에 따라 천공능력은 변화하게 되고, 이는 파장의 장단에 의해 가공대상물에 대한 레이저빔의 흡수계수가 변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대상물은 두께가 얇은 종이로 된 티켓인 점을 감안할 때, 미세구멍(Hr)을 0.1 내지 0.3mm(0.004 - 0.012in)의 직경으로 형성할 때, 빛의 회절 및 간섭에 의한 이미지의 선명도가 높게 나타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미세구멍과 함께 슬릿에 의한 빛의 회절 및 간섭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슬릿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0.5mm 내지 0.8mm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폭이 1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티켓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빛의 회절 및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선명도가 떨어진다.

    이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광원없이 영화 상영관이나 연극 객실에서 조사되는 빛만으로도 티켓에 표시되는 좌석번호나 관련 내용이 발광되게 하여 관람객이 어두운 공간에서 손쉽게 티켓의 좌석번호 및 관련 내용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고, 피부 접촉에 따른 인체 유해요소를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제작단가가 저렴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고, 즉시 발급이 가능해 발급 순서의 변경이 자유로울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빛의 회절 및 간섭을 이용한 발광티켓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영화제목 2: 상영관 번호
    3: 좌석번호 4: 상영일자/회차
    10,20: 티켓 Hr: 미세구멍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