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프 카세트 및 테이프 인자기

申请号 KR1020117021954 申请日 2010-03-26 公开(公告)号 KR1020120024537A 公开(公告)日 2012-03-14
申请人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야마구찌고시로; 사고아끼라; 호리우찌다까시; 가또오즈또무; 이마마끼데루오; 시바따야스히로; 무라따스스무; 노다겐고;
摘要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30)는 카세트 케이스(31), 카세트 케이스(31)에 장착된 필름 테이프(59), 헤드 삽입부(39), 그리고 지지 수용부(391, 392)를 포함한다. 테이프 카세트(30)가 테이프 인자기(1) 내에 장착되면, 헤드 홀더(74)가 헤드 삽입부(39) 내에 삽입된다. 지지 수용부(391, 392)는 헤드 삽입부(39)와 대면하여 필름 테이프(59)의 이송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39)의 상류 단부 및 하류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헤드 홀더(74)는 우측 에지부와 좌측 에지부 상에 각각 카세트 지지부(741, 742)를 갖는다. 테이프 카세트(30)가 테이프 인자기(1) 내에 장착되면, 카세트 지지부(741, 742)는 각각 하부로부터 지지 수용부(391, 392)를 지지한다.
权利要求
  • 인쇄 헤드(10)를 갖는 헤드 홀더(74)를 포함하는 테이프 인자기(1)에 장착 및 제거될 수 있는 테이프 카세트(30)이며,
    상단면(301), 바닥면(302), 전방면 및 한 쌍의 측면을 갖는 하우징(31)과,
    하우징 내에 장착된 권취 테이프(55, 57, 59)와,
    수직 방향으로 하우징을 통해 연장되며 평면도에서 전방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긴 직사각 형상을 갖는 공간인, 헤드 홀더 삽입부(39)와,
    헤드 홀더 삽입부의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전방면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하며, 상기 제1 단부는 테이프의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상류측 상에 위치 설정된 단부이며, 바닥면으로부터 상단면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오목부인 제1 지지 수용부(391)를 포함하는, 테이프 카세트.
  •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 내에 장착된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와 제1 지지 수용부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제1 거리는 테이프의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한, 테이프 카세트.
  • 제1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제2 지지 수용부(39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제2 단부에 연결되고,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하며, 상기 제2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하류측 상에 위치 설정된 타단부이며, 상기 제2 지지 수용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단면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오목부인, 테이프 카세트.
  •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 내에 장착된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와 제1 지지 수용부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제1 거리는 테이프의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하고,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와 제2 지지 수용부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제2 거리는 테이프의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하고,
    제2 거리는 제1 거리와 동일한, 테이프 카세트.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후크 결합부(397)를 더 포함하고,
    후크 결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하고, 헤드 홀더 삽입부의 길이방향으로 제1 지지 수용부와 제2 지지 수용부 사이에 위치 설정된, 테이프 카세트.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압박 수용부(393)를 더 포함하고,
    압박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하고, 압박 수용부는 상단면으로부터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오목부이며, 압박 수용부는 수직 방향으로 제1 지지 수용부 상에 위치 설정되어 중첩된, 테이프 카세트.
  • 제6항에 있어서, 하우징 내에 장착된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와 압박 수용부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제3 거리는 테이프의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한, 테이프 카세트.
  • 제7항에 있어서, 하우징 내에 장착된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와 제1 지지 수용부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제1 거리는 테이프의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하고, 제3 거리는 제1 거리와 동일한, 테이프 카세트.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아암부(34)와 아암 표식부(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암부는 그 전방측 상에서 헤드 홀더 삽입부에 인접하고, 아암 전방면과 아암 후방면에 의해 한정되며, 아암 전방면은 하우징의 전방면의 일부이고, 아암 후방면은 아암 전방면의 후방에 별도로 제공되어 상단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연장되고 그로 인해 헤드 홀더 삽입부의 일부를 한정하며, 아암부는 배출될 테이프를 하우징의 전방면측 상의 외측에 헤드 홀더 삽입부를 연결시키는 개구(77)를 향해 지향시키며,
    아암 표식부는 테이프의 형태를 나타내도록 구성되며 개구 부근에 아암 전방면 내에 형성되고, 아암 표식부는 테이프의 형태에 따른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식을 포함하고, 복수의 표식 각각은 스위치 홀 및 표면부 중 하나인, 테이프 카세트.
  •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표식 각각을 연결하는 라인은 테이프 인자기에 대한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 및 제거의 방향과 교차하는, 테이프 카세트.
  • 제1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아암부(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암부는 그 전방측 상에서 헤드 홀더 삽입부에 인접하고 출구(341)와 전방면의 일부를 포함하며, 아암부는 테이프를 전방면과 평행하게 출구로 지향시키고,
    하우징은 상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벽(305)을 포함하는 상단 케이스(311)와,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벽(306)을 포함하는 바닥 케이스(312)를 포함하고,
    이송 방향으로 아암부의 상류측 상에서 일단부와 연결된, 제1 지지 수용부로서의 제1 오목부가 바닥벽을 상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제1 지지 수용부(391)는 제1 하부 편평면(391B)을 포함하고, 제1 하부 편평면은 제1 오목부의 천장벽부의 하부면이고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고,
    바닥 케이스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에 아암부 내에 제공된 제1 하부 규제부(381B, 382B)를 포함하고, 제1 하부 규제부는 제1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제1 하부 규제부는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테이프 카세트.
  • 제11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배출 안내부(49)를 더 포함하고,
    배출 안내부는 테이프의 이송 경로 상에 가장 하류 위치에 있고, 테이프가 출구를 통해 배출된 후에 테이프를 안내하고,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테이프를 배출하며,
    제1 하부 규제부와 제1 하부 편평면 사이의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는 테이프 배출 안내부와 아암부의 출구 사이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보다 더 짧은, 테이프 카세트.
  •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장착된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와 제1 하부 편평면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거리는 테이프의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한, 테이프 카세트.
  •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닥 케이스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제2 단부 부근에서 헤드 홀더 삽입부에 연결된 제2 지지 수용부(392)를 포함하고, 제2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하류측 상에 위치 설정된 타단부이고, 제2 지지 수용부는 바닥벽을 상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된 제2 오목부이고, 제2 지지 수용부는 제2 하부 편평면(392B)을 가지고, 제2 하부 편평면은 제2 오목부의 천장벽부의 하부면이고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으며,
    제1 하부 규제부는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 제2 하부 편평면과 제1 하부 편평면 사이의 위치에 있고,
    제1 하부 편평면과 제2 하부 편평면은 수직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이격된, 테이프 카세트.
  • 제14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테이프 안내부(361, 362)를 더 포함하고,
    테이프 안내부는 출구로부터 배출된 테이프를 안내하며, 헤드 홀더 삽입부의 제2 단부 부근에 그리고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하류측 상에 위치 설정되고,
    바닥 케이스는, 테이프 안내부 내에 제공되며 제2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제2 하부 규제부(363)를 포함하고, 제2 하부 규제부는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테이프 카세트.
  •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단 케이스는 압박 수용부(393)와 상부 규제부를 포함하고,
    압박 수용부는 이송 방향으로의 상류측 상에서 아암부의 단부에 연결되며, 압박 수용부는 상단벽을 하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된 제3 오목부이고, 압박 수용부는 상부 편평면(393A)을 가지고, 상부 편평면은 제3 오목부의 바닥 벽부의 상부면이고 제1 하부 편평면 상에 위치 설정되고 평면도에서 제1 하부 편평면과 중첩되며,
    상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에 아암부 내에 제공되고, 상부 규제부는 상부 편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부 규제부는 상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테이프 카세트.
  • 제1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아암부(34)를 더 포함하고,
    아암부는 그 전방측 상에 헤드 홀더 삽입부에 인접하고 출구(341)와 전방면의 일부를 포함하고, 아암부는 테이프를 전방면에 평행하게 출구까지 지향하고,
    하우징은 상단 케이스(311)와 바닥 케이스(312)를 포함하고, 상단 케이스는 상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벽(305)을 포함하고, 바닥 케이스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벽(306)을 포함하고,
    상단 케이스는 이송 방향으로 상류측 상에 아암부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단벽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 제1 상부 돌출부(396)를 포함하고, 제1 상부 돌출부는 그 하부 단부 상에 상부 편평면(396A)을 가지고,
    제1 지지 수용부로서의 제1 오목부는 천장벽부의 하부면으로서 상부 편평면을 가지고,
    상단 케이스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에 아암부 내에 제공된 상부 규제부(381A, 382A)를 포함하고, 상부 규제부는 상부 편평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부 규제부는 상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테이프 카세트.
  • 제17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배출 안내부(49)를 더 포함하고,
    배출 안내부는 테이프의 이송 경로 상에 가장 하류 위치에 있고, 테이프가 출구를 통해 배출된 후에 테이프를 안내하고,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테이프를 배출하고,
    상부 편평면과 상부 규제부 사이의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는 테이프 배출 안내부와 아암부의 출구 사이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보다 더 짧은, 테이프 카세트.
  •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장착된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와 상부 편평면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거리는 테이프의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한, 테이프 카세트.
  •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닥 케이스는 하부 돌출부(395)와 하부 규제부(381B, 382B)를 포함하고,
    하부 돌출부는 이송 방향으로 하류측 상의 상부 편평면의 단부가 아닌 상부 편평면의 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바닥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고, 하부 돌출부는 그 상부 단부 상에 하부 편평면(395B)을 가지고, 하부 편평면은 상부 편평면과 접촉하는 편평면이고,
    하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에 아암부 내에 제공되고, 하부 규제부는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하부 규제부는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테이프 카세트.
  •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단 케이스는 제2 상부 돌출부(399)를 포함하고, 제2 상부 돌출부는 상단벽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고 이송 방향으로 하류측 상의 상부 편평면의 단부가 아닌 상부 편평면의 단부에 연결되고, 제2 상부 돌출부는 그 하부 단부 상에 상부 접촉 편평면(399A)을 가지고,
    바닥 케이스는 하부 돌출부(395)와 하부 규제부(381B, 382B)를 포함하고,
    하부 돌출부는 이송 방향으로 하류측 상의 상부 편평면의 단부가 아닌 상부 편평면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바닥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고, 하부 돌출부는 그 상부 단부 상에 하부 편평면(395B)을 가지고, 하부 편평면은 상부 접촉 편평면과 접촉하는 편평면이고,
    하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에 아암부 내에 제공되고, 하부 규제부는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하부 규제부는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테이프 카세트.
  • 테이프 카세트(30), 카세트 하우징부(8), 헤드 홀더(74) 및 제1 지지부(741)를 포함하는 테이프 인자기(1)이며,
    테이프 카세트는 하우징(31), 권취 테이프(55, 57, 59), 헤드 홀더 삽입부(39) 및 제1 지지 수용부(391)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상단면(301), 바닥면(302), 전방면 및 한 쌍의 측면을 가지고,
    권취 테이프는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헤드 홀더 삽입부는 수직 방향으로 하우징을 통해 연장되고 평면도에서 전방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긴 직사각 형상을 갖는 공간이고,
    제1 지지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카세트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전방면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하고, 카세트 제1 단부는 테이프의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상류측 상에 위치 설정된 단부이고, 제1 지지 수용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단면을 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오목부이고,
    테이프 카세트는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삽입 또는 제거되고,
    헤드 홀더는 카세트 하우징부에 대한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 및 제거 방향으로 카세트 하우징부로부터 연장되고 인쇄 헤드(10)를 지지하며, 헤드 홀더는 헤드 홀더 삽입부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제1 지지부는 테이프 카세트의 제1 지지 수용부로서의 제1 오목부의 천장벽부를 지지하도록 헤드 홀더 상에 제공되며, 제1 지지부는 헤드 홀더가 헤드 홀더 삽입부 내에 삽입될 때 이송 방향으로 인쇄 헤드의 상류측 상에 제공된, 테이프 인자기.
  • 제22항에 있어서, 헤드 홀더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형 부재이고,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장착될 때 헤드 홀더 삽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헤드 홀더의 헤드 제1 단부는 헤드 홀더가 헤드 홀더 삽입부 내에 삽입될 때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카세트 제1 단부의 상류측 상에 위치 설정되고, 헤드 제1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의 상류측 상에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위치 설정된 단부이고,
    제1 지지부는 헤드 홀더의 헤드 제1 단부의 상부를 절단함으로써 헤드 홀더의 소정의 높이 위치에 형성된 단차부인, 테이프 인자기.
  •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제2 지지 수용부(392)를 더 포함하고, 제2 지지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카세트 제2 단부에 연결되고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하고, 카세트 제2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하류측 상에 위치 설정된 타단부이고, 제2 지지 수용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단면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오목부이고,
    테이프 인자기는 테이프 카세트의 제2 지지 수용부로서의 제2 오목부의 천장벽부를 지지하도록 헤드 홀더 상에 제공된 제2 지지부(742)를 더 포함하고, 제2 지지부는 헤드 홀더가 헤드 홀더 삽입부에 삽입될 때 이송 방향으로 인쇄 헤드의 하류측 상에 제공된, 테이프 인자기.
  • 제24항에 있어서, 헤드 홀더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형 부재이고,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장착될 때 헤드 홀더 삽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제2 지지부는 헤드 홀더가 배열된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 위치에 헤드 홀더의 헤드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된 연장편이고, 헤드 제2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인쇄 헤드의 하류측 상에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위치 설정된 타단부인, 테이프 인자기.
  • 제22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제2 지지 수용부(392)를 더 포함하고, 제2 지지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카세트 제2 단부에 연결되고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하고, 카세트 제2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하류측 상에 위치 설정된 타단부이고, 제2 지지 수용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단면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오목부이고,
    하우징 내에 장착된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와 제1 지지 수용부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거리인 제1 거리와,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와 제2 지지 수용부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거리인 제2 거리는 서로 동일하고,
    테이프 인자기는 테이프 카세트의 제2 지지 수용부로서의 제2 오목부의 천장벽부를 지지하도록 헤드 홀더 상에 제공된 제2 지지부(742)를 더 포함하고, 제2 지지부는 헤드 홀더가 헤드 홀더 삽입부 내에 삽입될 때 이송 방향으로 인쇄 헤드의 하류측 상에 제공되고,
    헤드 홀더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형 부재이고,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장착될 때 헤드 홀더 삽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헤드 홀더의 헤드 제1 단부는 헤드 홀더가 헤드 홀더 삽입부 내에 삽입될 때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카세트 제1 단부의 상류측 상에 위치 설정되고,헤드 제1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인쇄 헤드의 상류측 상에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위치 설정된 단부이고,
    제1 지지부는 헤드 홀더의 헤드 제1 단부의 상부를 절단함으로써 헤드 홀더의 소정의 높이 위치에 형성된 단차부이고,
    제2 지지부는 헤드 홀더가 배열된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 위치에 헤드 홀더의 헤드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된 연장편이고, 헤드 제2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인쇄 헤드의 하류측 상에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위치 설정된 타단부이고,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평면도에서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헤드 홀더 상에 동일한 높이 위치에 제공된, 테이프 인자기.
  • 제24항 내지 제26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후크 결합부(397)를 더 포함하고, 후크 결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하고 헤드 홀더 삽입부의 길이 방향으로 제1 지지 수용부와 제2 지지 수용부 사이에 위치 설정되고,
    테이프 인자기는,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장착될 때 후크 결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되고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 및 제거 방향으로 카세트 하우징부로부터 연장된, 후크(75)를 더 포함하고, 후크는 후크 결합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테이프 인자기.
  •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압박 수용부(393)를 더 포함하고, 압박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카세트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하고, 압박 수용부는 상단면으로부터 바닥면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오목부이고, 압박 수용부는 수직 방향으로 제1 지지 수용부 상에 위치 설정되어 중첩되고,
    테이프 인자기는 커버(6)와 가압 부재(7)를 더 포함하고,
    커버는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의 상단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되고,
    가압 부재는 커버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압박 수용부로서의 제3 오목부의 바닥 벽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테이프 인자기.
  • 제2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아암부(34)와 아암 표식부(800)를 더 포함하고,
    아암부는 전방측 상에서 헤드 홀더 삽입부에 인접하고 아암 전방면과 아암 후방면에 의해 한정되고, 아암 전방면은 하우징의 전방면의 일부이고, 아암 후방면은 아암 전방면의 후방에 별도로 제공되어 상단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연장되고 그로 인해 헤드 홀더 삽입부의 일부를 한정하고, 아암부는 배출될 테이프를 하우징의 전방면측 상의 외측에 헤드 홀더 삽입부를 연결시키는 개구(77)를 향해 지향시키고,
    아암 표식부는 테이프의 형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개구 부근에 아암 전방면 내에 형성되고, 아암 표식부는 테이프의 형태에 따른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식을 포함하고, 복수의 표식 각각은 스위치 홀 및 표면부 중 하나이고,
    테이프 인자기는 복수의 검출 스위치(210)와 테이프 형태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검출 스위치는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의 아암 표식부와 대면하도록 돌출되고, 복수의 검출 스위치 각각은 오프 상태인 아암 표식부 내의 스위치 홀과 대면하거나 온 상태인 표면부와 대면하도록 구성되고,
    테이프 형태 식별부는 복수의 검출 스위치의 온 및 오프 상태의 조합에 기초하여 테이프의 형태를 식별하는, 테이프 인자기.
  • 제29항에 있어서, 복수의 표식 각각을 연결하는 라인은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 및 제거 방향과 교차하고, 복수의 검출 스위치 각각을 연결하는 라인은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 및 제거 방향과 교차하는, 테이프 인자기.
  • 제22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아암부(34)를 더 포함하고, 아암부는 그 전방측 상에서 헤드 홀더 삽입부에 인접하고, 출구(341)와 전방면의 일부를 포함하고, 아암부는 테이프를 전방면과 평행하게 출구까지 지향시키고,
    하우징은 상단 케이스(311)와 바닥 케이스(312)를 포함하고, 상단 케이스는 상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벽(305)을 포함하고, 바닥 케이스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벽(306)을 포함하고,
    이송 방향으로 아암부의 상류측 상에서 일단부와 연결된, 제1 지지 수용부로서의 제1 오목부는 바닥벽을 상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되고,
    제1 지지 수용부는 제1 하부 편평면(391B)을 포함하고, 제1 하부 편평면은 제1 오목부의 천장벽부의 하부면이고,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고,
    제1 지지부는 제1 하부 편평면을 지지하고,
    바닥 케이스는 제1 하부 규제부(381B, 382B)를 포함하고, 제1 하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에 아암부 내에 제공되고, 제1 하부 규제부는 제1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제1 하부 규제부는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테이프 인자기.
  • 제31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배출 안내부(49)를 더 포함하고, 배출 안내부는 테이프의 이송 경로 상에 가장 하류 위치에 있고, 테이프가 출구를 통해 배출된 후에 테이프를 안내하고,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테이프를 배출하고,
    제1 하부 편평면과 제1 하부 규제부 사이의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는, 아암부의 출구와 테이프 배출 안내부 사이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보다 더 짧은, 테이프 인자기.
  •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바닥 케이스는 제2 지지 수용부(392)를 포함하고, 제2 지지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카세트 제2 단부 부근에서 헤드 홀더 삽입부에 연결되고, 카세트 제2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하류측 상에 위치 설정된 타단부이고, 제2 지지 수용부는 바닥벽을 상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된 제2 오목부이고, 제2 지지 수용부는 제2 하부 편평면(392B)을 가지고, 제2 하부 편평면은 제2 오목부의 천장벽부의 하부면이고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고,
    제1 하부 규제부는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 제1 하부 편평면과 제2 하부 편평면 사이의 위치에 있고,
    제1 하부 편평면과 제2 하부 편평면은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고,
    테이프 인자기는 제2 지지부(742)를 더 포함하고, 제2 지지부는 테이프 카세트의 제2 하부 편평면을 지지하도록 헤드 홀더 상에 제공되고, 제2 지지부는 헤드 홀더가 헤드 홀더 삽입부 내에 삽입될 때 이송 방향으로 인쇄 헤드의 하류측 상에 제공되고,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헤드 홀더 상에 동일한 높이 위치에 제공된, 테이프 인자기.
  • 제33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테이프 안내부(361, 362)를 더 포함하고, 테이프 안내부는 출구로부터 배출된 테이프를 안내하고,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하류측 상에 그리고 헤드 홀더 삽입부의 카세트 제2 단부 부근에 위치 설정되고,
    바닥 케이스는 제2 하부 규제부(363)를 포함하고, 제2 하부 규제부는 테이프 안내부 내에 제공되고, 제2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제2 하부 규제부는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테이프 인자기.
  • 제3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단 케이스는 압박 수용부(393) 및 상부 규제부를 포함하고,
    압박 수용부는 이송 방향으로 상류측 상에서 아암부의 단부에 연결되고, 압박 수용부는 상단벽을 하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된 제3 오목부이고, 압박 수용부는 상부 편평면(393A)을 가지고, 상부 편평면은 제3 오목부의 바닥 벽부의 상부면이고 제1 하부 편평면 상에 위치 설정되어 평면도에서 제1 하부 편평면과 중첩되고,
    상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에서 아암부에 제공되고, 상부 규제부는 상부 편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부 규제부는 상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테이프 인자기는 커버(6) 및 가압 부재(7)를 더 포함하고, 커버는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의 상단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되고, 가압 부재는 커버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부 편평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테이프 인자기.
  • 제22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아암부(34)를 더 포함하고, 아암부는 그 전방측 상에서 헤드 홀더 삽입부에 인접하고, 출구(341)와 전방면의 일부를 포함하고, 아암부는 테이프를 전방면과 평행하게 출구까지 지향시키고,
    하우징은 상단 케이스(311)와 바닥 케이스(312)를 포함하고, 상단 케이스는 상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벽(305)을 포함하고, 바닥 케이스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벽(306)을 포함하고,
    상단 케이스는 제1 상부 돌출부(396)를 포함하고, 제1 상부 돌출부는 이송 방향으로 상류측 상에서 아암부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단벽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며, 제1 상부 돌출부는 그 하부 단부 상에 상부 편평면(396A)을 가지고, 제1 지지 수용부로서의 제1 오목부는 천장벽부의 하부면으로서 상부 편평면을 가지고,
    제1 지지부(741)는 상부 편평면을 지지하고,
    상단 케이스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에 아암부 내에 제공된 상부 규제부(381A, 382A)를 포함하고, 상부 규제부는 상부 편평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부 규제부는 상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테이프 인자기.
  • 제36항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는 배출 안내부(49)를 더 포함하고, 배출 안내부는 테이프의 이송 경로 상에 가장 하류 위치에 있고, 테이프가 출구를 통해 배출된 후에 테이프를 안내하여 테이프를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배출하고,
    상부 규제부와 상부 편평면 사이의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는, 테이프 배출 안내부와 아암부의 출구 사이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보다 더 짧은, 테이프 인자기.
  •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바닥 케이스는 하부 돌출부(395)와 하부 규제부(381B, 382B)를 포함하고,
    하부 돌출부는 이송 방향으로 하류측 상의 상부 편평면의 단부가 아닌 상부 편평면의 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바닥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고, 하부 돌출부는 그 상부 단부 상에 하부 편평면(395B)을 가지고, 하부 편평면은 상부 편평면과 접촉하는 편평면이고,
    하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에 아암부 내에 제공되고, 하부 규제부는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하부 규제부는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테이프 인자기.
  •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단 케이스는 상단벽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 제2 상부 돌출부(399)를 포함하고, 제2 상부 돌출부는 이송 방향으로 하류측 상의 상부 편평면의 단부가 아닌 상부 편평면의 단부에 연결되고, 제2 상부 돌출부는 그 하부 단부 상에 상부 접촉 편평면(399A)을 가지고,
    바닥 케이스는 하부 돌출부(395)와 하부 규제부(381B, 382B)를 포함하고,
    하부 돌출부는 이송 방향으로 하류측 상의 상부 편평면의 단부가 아닌 상부 편평면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바닥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고, 하부 돌출부는 그 상부 단부 상에 하부 편평면(395B)을 가지고, 하부 편평면은 상부 접촉 편평면과 접촉하는 편평면이고,
    하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의 아암부에 제공되고, 하부 규제부는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하부 규제부는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테이프 인자기.
  • 说明书全文

    테이프 카세트 및 테이프 인자기{TAPE CASSETTE AND TAPE PRINTER}

    본 발명은 테이프 인자기 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프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내부에 테이프 카세트를 탈착 가능하게 수납하도록 구성되고, 테이프 카세트 내에 포함된 테이프 상에 인쇄를 수행하는 테이프 인자기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 인자기의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테이프 카세트가 공지되어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박스형 형상을 갖고, 인쇄 매체 및 잉크 리본인 테이프를 수납한다. 테이프 인자기에서, 인쇄 헤드는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인출된 테이프 상에 알파벳과 같은 문자를 인쇄한다.

    테이프 카세트는, 테이프 카세트의 바닥벽이 카세트 하우징부에 대향하도록, 상향 방향으로 개구를 갖는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삽입된다. 공지된 테이프 카세트 및 공지된 테이프 인자기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될 때,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제공된 위치 설정 핀을 테이프 카세트의 바닥벽 내에 제공된 핀 홀 내로 삽입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의 테이프 카세트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4-133756호

    전술한 공지의 테이프 카세트에서, 핀 홀은 바닥벽의 주연 근방에 2개의 위치에 제공된다. 위치 설정 핀은 핀 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테이프 인자기의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2개의 위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공지의 테이프 카세트에서,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 카세트를 위치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위치는, 테이프 상에 인쇄를 하기 위한 인쇄 헤드가 배치되는 위치와 분리된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가 위치 설정 핀을 핀 홀 내에 삽입시킴으로써 위치 설정되더라도,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의 중심 위치와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중심 위치는 어긋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양호한 인쇄 결과가 달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 카세트가 테이프 인자기 내에 장착될 때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 카세트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가능한 테이프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이프 카세트가 테이프 인자기 내에 장착될 때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 카세트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가능한 테이프 인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는 인쇄 헤드를 갖는 헤드 홀더를 포함하는 테이프 인자기에 장착 및 제거될 수 있고, 테이프 카세트는 하우징, 테이프, 헤드 홀더 삽입부 및 제1 지지 수용부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상단면, 바닥면, 전방면 및 한 쌍의 측면을 갖는다. 테이프는 하우징 내에서 권취 및 장착된다. 헤드 홀더 삽입부는 수직 방향으로 하우징을 통해 연장된 공간이며, 평면도에서 전방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긴 직사각 형상을 갖는다. 제1 지지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전방면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한다. 제1 단부는 테이프의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상류측 상에 위치 설정된 단부이다. 제1 지지 수용부는 상단면을 향한 방향으로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오목부이다.

    테이프 카세트는 헤드 삽입부의 제1 단부에 연결되어 헤드 삽입부와 대면하는 제1 지지 수용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지지 수용부로서 제1 오목부의 천장벽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지지부를 갖는 테이프 인자기 내에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되면, 테이프 카세트는 인쇄 매체로서의 테이프 상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헤드 부근에 제1 지지 수용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가 인쇄 헤드 부근에 테이프 인자기 내에 장착될 때, 수직 방향으로의 테이프 카세트의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직 방향으로의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의 중심 위치와,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중심 위치는 정확하게 정합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에서, 하우징 내에 장착된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와 제1 지지 수용부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제1 거리는 테이프의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프 카세트가 지지될 수 있는 위치는 테이프의 형태에 상관없이 특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테이프 카세트가 동일한 테이프 인자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의 프로세싱 정확도가 특정 위치의 프로세싱 정확도를 개선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제2 지지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제2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한다. 제2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하류측 상에 위치된 타단부이다. 제2 지지 수용부는 상단면을 향한 방향으로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제2 오목부일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프 카세트는 상류측 단부(제1 단부)와 하류측 단부(제2 단부) 상에 2개의 지지 수용부를 갖는다. 따라서, 제2 지지 수용부로서 제2 오목부의 천장벽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테이프 인자기 내에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되면, 테이프 카세트는 이송 방향으로 상류측 및 하류측 모두 상에 2개의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의 테이프 카세트의 위치는 더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직 방향으로의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의 중심 위치와,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중심 위치는 더 정확하게 정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수용부와 제2 지지 수용부는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한다. 따라서, 제1 지지 수용부와 제2 지지 수용부가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에 의해 각각 지지될 때, 헤드 홀더 삽입부와 인쇄 헤드 사이의 위치 관계는 수직 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도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에서, 하우징 내에 장착된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와 제1 지지 수용부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제1 거리는 테이프의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와 제2 지지 수용부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제2 거리는 테이프의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거리는 제1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프 카세트가 제1 및 제2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위치는 테이프의 형태에 상관없이 특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테이프 카세트가 동일한 테이프 인자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의 프로세싱 정확도는 특정된 위치의 프로세싱 정확도를 개선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후크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크 결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할 수 있고, 헤드 홀더 삽입부의 길이방향으로 제1 지지 수용부와 제2 지지 수용부 사이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프 카세트가 후크 결합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후크를 더 포함하는 테이프 인자기 내에 장착되면,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된 후에 기립 방향, 즉 상향 방향으로의 테이프 카세트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테이프의 이송과 인쇄가 안정적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압박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박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할 수 있다. 압박 수용부는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단면으로부터 연장된 제3 오목부일 수 있다. 압박 수용부는 수직 방향으로 제1 지지 수용부 상에 위치 설정되어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프 카세트가 테이프 인자기 내에 장착되면, 테이프 카세트는 테이프 인자기의 제1 지지부에 의해 인쇄 헤드 부근에 있는 제1 지지 수용부 상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인자기가, 커버 상에 제공된 가압 부재 및 테이프 카세트의 상단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되고 압박 수용부로서의 제3 오목부의 바닥 벽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면, 테이프 카세트는 가압 부재에 의해 또한 인쇄 헤드 부근에 있는 압박 수용부 상에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는 테이프 카세트가 테이프 인자기 내에 장착될 때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 카세트의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테이프 카세트가 테이프 인자기 내에 장착된 후에 상향 방향으로의 테이프 카세트의 이동(소위 기립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직 방향으로의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의 중심 위치와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중심 위치 사이의 적절한 관계가 유지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에서, 하우징 내에 장착된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와 압박 수용부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제3 거리는 테이프의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테이프 카세트가 수직 방향으로 상이한 높이를 갖더라도, 테이프 카세트가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위치가 특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높이를 갖는 테이프 카세트가 동일한 테이프 인자기에 사용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에서, 하우징 내에 장착된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와 제1 지지 수용부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제1 거리는 테이프의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거리는 제1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테이프 카세트가 수직 방향으로 상이한 높이를 갖더라도, 테이프 카세트가 제1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위치와 테이프 카세트가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위치는 모두 특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높이를 갖는 테이프 카세트가 동일한 테이프 인자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거리와 제3 거리가 서로 동일하므로, 아래로부터의 지지와 위로부터의 가압이 균형을 잘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직 방향으로의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의 중심 위치와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중심 위치 사이의 적절한 관계가 안정된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아암부와, 테이프의 형태를 나타내도록 구성된 아암 표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암부는 전방측 상에서 헤드 홀더 삽입부에 인접하고, 아암 전방면과 아암 후방면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아암 전방면은 하우징의 전방면의 일부이고, 아암 후방면은 아암 전방면의 후방에 별도로 제공되어 상단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연장되고, 그로 인해 헤드 홀더 삽입부의 일부를 한정한다. 아암부는 배출될 테이프를 하우징의 전방면측 상의 외측에 헤드 홀더 삽입부를 연결시키는 개구를 향해 지향시킬 수 있다. 아암 표식부는 개구 부근에 아암 전방면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아암 표식부는 테이프의 형태에 따른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식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표식 각각은 스위치 홀 및 표면부 중 하나이다.

    이 경우, 헤드 홀더 삽입부의 제1 단부에 연결되는 제1 지지 수용부는 또한, 테이프의 형태를 나타내는 아암 표식부가 제공된 아암부에 연결된다. 아암 표식부는, 각각 스위치 홀 또는 표면부인 복수의 표식을 포함한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가 테이프 인자기 내에 장착될 때, 테이프 인자기는 수직 방향으로 적절하게 위치 설정된다. 테이프 인자기가 아암 표식부와 대면하는 복수의 검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경우, 아암 표식부와 검출 스위치 사이의 정확한 위치 관계가 보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검출 스위치에 의한 잘못된 검출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에서, 복수의 표식 각각을 연결하는 라인은 테이프 인자기에 대한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 및 제거의 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표식은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 및 제거 방향으로 서로 일렬로 되지 않도록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검출 스위치에 의한 잘못된 검출 가능성은 더 감소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아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암부는 그 전방측 상에서 헤드 홀더 삽입부에 인접할 수 있고, 출구와 전방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부는 테이프를 전방면과 평행하게 출구로 지향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은 상단 케이스와 바닥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케이스는 상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벽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케이스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방향으로 아암부의 상류측 상에서 일단부와 연결된, 제1 지지 수용부로서의 제1 오목부는 바닥벽을 상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수용부는 제1 하부 편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편평면은 제1 오목부의 천장벽부의 하부면일 수 있고, 하우징의 바닥벽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바닥 케이스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에 아암부 내에 제공된 제1 하부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수직 방향으로 제1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케이스에서, 제1 하부 규제부와 제1 하부 편평면은 기준점으로서 아암부와 상호 기단 위치에 제공된다. 수직 방향으로의 제1 하부 규제부의 위치는 제1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서 사용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조시 제1 하부 규제부의 치수 정확도가 개선되고, 그에 따라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조 후, 제1 하부 규제부의 치수 제어는 제1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배출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안내부는 테이프의 이송 경로 상에 가장 하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배출 안내부는 테이프가 출구를 통해 배출된 후에 테이프를 안내하고,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테이프를 배출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와 제1 하부 편평면 사이의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는 테이프 배출 안내부와 아암부의 출구 사이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하부 규제부와 제1 하부 편평면의 치수 정확도는 더 높아지고,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에서, 하우징에 장착된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와 제1 하부 편평면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거리는 테이프의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프 카세트들이 각각 상이한 테이프 폭을 갖는 테이프를 수납하더라도, 제1 하부 편평면의 동일 위치가 기준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의 치수 측정 및 부품의 생산물 제어가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에서, 바닥 케이스는 제2 지지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제2 단부 부근에서 헤드 홀더 삽입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하류측 상에 위치 설정된 타단부이다. 제2 지지 수용부는 바닥벽을 상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된 제2 오목부일 수 있다. 제2 지지 수용부는 제2 하부 편평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하부 편평면은 제2 오목부의 천장벽부의 하부면일 수 있고,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 제2 하부 편평면과 제1 하부 편평면 사이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1 하부 편평면과 제2 하부 편평면은 수직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케이스에서, 수직 방향으로의 제1 하부 규제부의 위치는 제1 하부 편평면과 제2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하부 편평면과 제2 하부 편평면은 각각 헤드 홀더 삽입부의 상류측 단부(제1 단부)와 하류측 단부(제2 단부) 부근에, 제1 하부 규제부를 개재한 상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제조시 제1 하부 규제부의 치수 정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조 후, 제1 하부 규제부의 치수 제어가 제1 하부 편평면과 제2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훨씬 더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테이프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 안내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제2 단부 부근에 그리고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하류측 상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테이프 안내부는 출구로부터 배출된 테이프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바닥 케이스는 테이프 안내부 내에 제공된 제2 하부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부 규제부는 제2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2 하부 규제부는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케이스에서, 제2 하부 편평면과 제2 하부 규제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제2 단부 부근에 제공되고, 수직 방향으로의 제2 하부 규제부의 위치는 제2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2 하부 규제부의 제조시 제2 하부 규제부의 치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고, 제조 후, 치수 제어가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부 편평면과 제2 하부 편평면은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의 중심 위치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이격된 각각의 위치에 있다. 따라서, 제1 하부 규제부와 제2 하부 규제부의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는 동일하다. 따라서,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은 규제부 각각에 의해 제한될 수 있고, 테이프는 아암부로부터 테이프 안내부까지 테이프의 수직 방향으로의 중심 위치와 평행하게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의 바닥 케이스가 제1 하부 규제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단 케이스는 압박 수용부와 상부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압박 수용부는 이송 방향으로의 상류측 상에서 아암부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압박 수용부는 상단벽을 하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된 제3 오목부일 수 있다. 압박 수용부는 상부 편평면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편평면은 제3 오목부의 바닥 벽부의 상부면일 수 있고, 제1 하부 편평면 상에 위치 설정될 수 있고, 평면도에서 제1 하부 편평면과 중첩될 수 있다. 상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의 출구의 상류측 상에 아암부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부 규제부는 상부 편평면으로부터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부 규제부는 상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단 케이스에서, 상부 규제부와 상부 편평면은 기준점으로서 아암부와 상호 기단 위치에 제공되고, 수직 방향으로의 상부 규제부의 위치는 상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조시 상부 규제부의 치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아암부 내에서의 테이프의 하향 및 상향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1 하부 규제부와 상부 규제부에 의해 정확하게 제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는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조 후, 상부 규제부의 치수 제어가 상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더욱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아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암부는 그 전방측 상에 헤드 홀더 삽입부에 인접하고, 출구와 전방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부는 테이프를 전방면에 평행하게 출구까지 지향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은 상단 케이스와 바닥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케이스는 상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벽을 포함할 수 있고, 바닥 케이스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케이스는 제1 상부 돌출부와 상부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돌출부는 이송 방향으로 상류측 상에 아암부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상단벽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다. 제1 상부 돌출부는 그 하부 단부 상에 상부 편평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 수용부로서의 제1 오목부는 천장벽부의 하부면으로서 상부 편평면을 가질 수 있다. 상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에 아암부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부 규제부는 상부 편평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부 규제부는 상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단 케이스에서, 상부 규제부와 상부 편평면은 기준점으로서 아암부와 상호 기단 위치에 제공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의 상부 규제부의 위치는 상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조시 상부 규제부의 치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조 후, 상부 규제부의 치수 제어가 상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배출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안내부는 테이프의 이송 경로 상에 가장 하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배출 안내부는 테이프가 출구를 통해 배출된 후에 테이프를 안내하고,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테이프를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편평면과 상부 규제부 사이의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는 테이프 배출 안내부와 아암부의 출구 사이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편평면과 상부 규제부의 치수 정확도는 더 높아질 수 있고, 그에 따라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도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에서, 하우징에 장착된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와 상부 편평면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거리는 테이프의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프 카세트들이 각각 상이한 테이프 폭을 갖는 테이프를 수납하더라도, 상부 편평면의 동일 위치가 기준면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의 치수 측정 및 부품의 생산물 제어가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의 상단 케이스가 상부 규제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바닥 케이스는 하부 돌출부와 하부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돌출부는, 이송 방향으로 하류측 상의 상부 편평면의 단부가 아닌 상부 편평면의 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바닥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부 돌출부는 그 상부 단부 상에 하부 편평면을 가질 수 있다. 하부 편평면은 상부 편평면과 접촉하는 편평면일 수 있다. 하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에 아암부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하부 규제부는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하부 규제부는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케이스에서, 하부 규제부와 하부 편평면이 기준점으로서 아암부와 상호 기단 위치에 제공되고, 수직 방향으로의 하부 규제부의 위치는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조시 하부 규제부의 치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아암부 내에서 테이프의 하향 및 상향 방향으로의 이동은 하부 규제부 및 상부 규제부에 의해 정확하게 제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조 후, 하부 규제부의 치수 제어는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의 상단 케이스가 제1 상부 돌출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단 케이스는 제2 상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부 돌출부는 상단벽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고, 이송 방향으로 하류측 상의 상부 편평면의 단부가 아닌 상부 편평면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상부 돌출부는 그 하부 단부 상에 상부 접촉 편평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닥 케이스는 하부 돌출부와 하부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돌출부는 이송 방향으로 하류측 상의 상부 편평면의 단부가 아닌 상부 편평면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바닥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부 돌출부는 그 상부 단부 상에 하부 편평면을 가질 수 있다. 하부 편평면은 상부 접촉 편평면과 접촉하는 편평면일 수 있다. 하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에 아암부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하부 규제부는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하부 규제부는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케이스에서, 하부 규제부와 하부 편평면이 기준점으로서 아암부와 상호 기단 위치에 제공된다. 수직 방향으로의 하부 규제부의 위치는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조시 하부 규제부의 치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아암부 내에서 테이프의 하향 및 상향 방향으로의 이동은 하부 규제부 및 상부 규제부에 의해 정확하게 제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조 후, 하부 규제부의 치수 제어는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테이프 인자기는 테이프 카세트, 카세트 하우징부, 헤드 홀더 및 제1 지지부를 포함한다. 테이프 카세트는 하우징, 테이프, 헤드 홀더 삽입부 및 제1 지지 수용부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상단면, 바닥면, 전방면 및 한 쌍의 측면을 가진다. 테이프는 하우징 내에 권취 및 장착될 수 있다. 헤드 홀더 삽입부는 수직 방향으로 하우징을 통해 연장된 공간이며, 평면도에서 전방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긴 직사각 형상을 갖는다. 제1 지지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카세트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전방면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한다. 카세트 제1 단부는 테이프의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상류측 상에 위치 설정된 단부이다. 제1 지지 수용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단면을 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오목부이다. 테이프 카세트는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삽입 또는 제거될 수 있다. 헤드 홀더는 카세트 하우징부에 대해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 및 제거 방향으로 카세트 하우징부로부터 연장되고, 인쇄 헤드를 지지한다. 헤드 홀더는 헤드 홀더 삽입부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제1 지지부는 테이프 카세트의 제1 지지 수용부로서의 제1 오목부의 천장벽부를 지지하도록 헤드 홀더 상에 제공된다. 제1 지지부는, 헤드 홀더가 헤드 홀더 삽입부 내에 삽입될 때, 이송 방향으로 인쇄 헤드의 상류측 상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장착될 때, 테이프 인자기의 제1 지지부는 테이프 카세트의 제1 지지 수용부를 지지한다. 따라서, 테이프 인자기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의 테이프 카세트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직 방향으로의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 중심 위치와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중심 위치는 정확하게 정합될 수 있다.

    테이프 인자기에서, 헤드 홀더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형 부재일 수 있고,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장착될 때 헤드 홀더 삽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홀더의 헤드 제1 단부는, 헤드 홀더가 헤드 홀더 삽입부 내에 삽입될 때,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카세트 제1 단부의 상류측 상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헤드 제1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의 상류측 상에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위치 설정된 단부이다. 제1 지지부는 헤드 홀더의 헤드 제1 단부의 상부를 절단함으로써 헤드 홀더의 소정의 높이 위치에 형성된 단차부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부는 테이프 카세트의 제1 지지 수용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헤드 홀더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테이프 인자기에서, 테이프 카세트는 제2 지지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카세트 제2 단부에 연결되고,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할 수 있다. 카세트 제2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하류측 상에 위치 설정된 타단부이다. 제2 지지 수용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단면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오목부일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인자기는 테이프 카세트의 제2 지지 수용부로서의 제2 오목부의 천장벽부를 지지하도록 헤드 홀더 상에 제공된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는, 헤드 홀더가 헤드 홀더 삽입부에 삽입될 때, 이송 방향으로 인쇄 헤드의 하류측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프 카세트는 테이프 상에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헤드에 대한 이송 방향으로의 상류측과 하류측상 모두에 2개의 위치에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인자기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의 테이프 카세트의 위치 설정은 정확하게 실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직 방향으로의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 중심 위치와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중심 위치는 더 정확하게 정합될 수 있다.

    테이프 인자기가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경우, 헤드 홀더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형 부재일 수 있고,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장착될 때 헤드 홀더 삽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는 헤드 홀더가 배열된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 위치에 헤드 홀더의 헤드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된 연장편일 수 있다. 헤드 제2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인쇄 헤드의 하류측 상에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위치 설정된 타단부이다.

    이 경우, 제2 지지부는 테이프 카세트의 제2 지지 수용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헤드 홀더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테이프 인자기에서, 테이프 카세트는 제2 지지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카세트 제2 단부에 연결되고,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할 수 있다. 카세트 제2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하류측 상에 위치 설정된 타단부이다. 제2 지지 수용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단면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오목부일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내에 장착된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와 제1 지지 수용부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거리인 제1 거리와,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와 제2 지지 수용부 사이의 수직 거리인 제2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인자기는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는 테이프 카세트의 제2 지지 수용부로서의 제2 오목부의 천장벽부를 지지하도록 헤드 홀더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지지부는, 헤드 홀더가 헤드 홀더 삽입부 내에 삽입될 때 이송 방향으로 인쇄 헤드의 하류측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헤드 홀더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형 부재일 수 있고,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장착될 때 헤드 홀더 삽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헤드 홀더의 헤드 제1 단부는, 헤드 홀더가 헤드 홀더 삽입부 내에 삽입될 때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카세트 제1 단부의 상류측 상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헤드 제1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인쇄 헤드의 상류측 상에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위치 설정된 단부이다. 제1 지지부는 헤드 홀더의 헤드 제1 단부의 상부를 절단함으로써 헤드 홀더의 소정의 높이 위치에 형성된 단차부일 수 있다. 제2 지지부는, 헤드 홀더가 배열된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 위치에 헤드 홀더의 헤드 제2 단부로부터 연장된 연장편일 수 있다. 헤드 제2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인쇄 헤드의 하류측 상에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위치 설정된 타단부이다.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평면도에서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헤드 홀더 상에 동일한 높이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 수용부와 제2 지지 수용부가 각각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때, 헤드 홀더 삽입부와 인쇄 헤드 사이의 위치 관계는 수직 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도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테이프 인자기에서, 테이프 카세트는 후크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크 결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할 수 있고, 헤드 홀더 삽입부의 길이 방향으로 제1 지지 수용부와 제2 지지 수용부 사이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인자기는 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크는, 테이프 카세트가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장착될 때 후크 결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되고,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 및 제거 방향으로 카세트 하우징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후크는 후크 결합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프 카세트의 기립 방향, 즉 상향 방향으로의 이동은, 테이프 카세트가 테이프 인자기 내에 장착된 후에 제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테이프의 이송과 인쇄가 안정적인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테이프 인자기에서, 테이프 카세트는 압박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박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카세트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와 대면한다. 압박 수용부는 바닥면을 향한 방향으로 상단면으로부터 연장된 제3 오목부일 수 있다. 압박 수용부는 수직 방향으로 제1 지지 수용부 상에 위치 설정되어 중첩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인자기는 커버와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의 상단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압 부재는 커버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압박 수용부로서의 제3 오목부의 바닥 벽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프 카세트는 제1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인쇄 헤드 부근에서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테이프 인자기는, 테이프 카세트가 테이프 인자기 내에 장착될 때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 카세트의 위치 설정 뿐만 아니라, 테이프 카세트가 테이프 인자기 내에 장착된 후에 상향 방향으로의 테이프 카세트의 이동(즉, 기립 이동)의 제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직 방향으로의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 중심 위치와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중심 위치 사이의 적절한 관계가 유지될 수 있다.

    테이프 인자기에서, 테이프 카세트는 아암부와 아암 표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암부는 전방측 상에서 헤드 홀더 삽입부에 인접하고, 아암 전방면과 아암 후방면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아암 전방면은 하우징의 전방면의 일부이다. 아암 후방면은 아암 전방면의 후방에 별도로 제공되어 상단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연장되고, 그로 인해 헤드 홀더 삽입부의 일부를 한정한다. 아암부는 배출될 테이프를 하우징의 전방면측 상의 외측에 헤드 홀더 삽입부를 연결시키는 개구를 향해 지향시킬 수 있다. 아암 표식부는 테이프의 형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개구 부근에 아암 전방면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아암 표식부는 테이프의 형태에 따른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표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표식 각각은 스위치 홀 및 표면부 중 하나이다. 또한, 테이프 인자기는 복수의 검출 스위치와 테이프 형태 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검출 스위치는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의 아암 표식부와 대면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검출 스위치 각각은 오프 상태인 아암 표식부 내의 스위치 홀과 대면하거나, 온 상태인 표면부와 대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테이프 형태 식별부는 복수의 검출 스위치의 온 및 오프 상태의 조합에 기초하여 테이프의 형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 홀더 삽입부의 제1 단부에 연결된 제1 지지 수용부는 또한 테이프의 형태를 표시하는 아암 표식부가 제공된 아암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가 테이프 인자기 내에 장착될 때, 테이프 카세트는 제1 지지부에 의해 아암 표식부 부근에 제공된 제1 지지 수용부 상에 지지되고, 그에 따라 테이프 카세트는 수직 방향으로 적절하게 위치 설정된다. 결과적으로, 아암 표식부와 아암 표식부와 대면하는 복수의 검출 스위치 사이의 정확한 위치 관계가 보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검출 스위치에 의한 잘못된 검출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테이프 인자기에서, 테이프 카세트의 아암 표식부 내의 복수의 표식 각각을 연결하는 라인은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 및 제거 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검출 스위치 각각을 연결하는 라인은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 및 제거 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표식 및 복수의 검출 스위치는 각각,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 및 제거 방향으로 서로 일렬로 되지 않도록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검출 스위치에 의한 잘못된 검출 가능성은 더 감소될 수 있다.

    테이프 인자기에서, 테이프 카세트는 아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암부는 그 전방측 상에서 헤드 홀더 삽입부에 인접할 수 있고, 출구와 전방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부는 테이프를 전방면과 평행하게 출구까지 지향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은 상단 케이스와 바닥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케이스는 상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벽을 포함할 수 있고, 바닥 케이스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방향으로 아암부의 상류측 상에서 일단부와 연결된, 제1 지지 수용부로서의 제1 오목부는 바닥벽을 상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수용부는 제1 하부 편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편평면은 제1 오목부의 천장벽부의 하부면일 수 있고,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1 지지부는 제1 하부 편평면을 지지할 수 있다. 바닥 케이스는 제1 하부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에 아암부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제1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케이스에서, 제1 하부 규제부와 제1 하부 편평면은 기준점으로서 아암부와 상호 기단 위치에 제공된다. 수직 방향으로의 제1 하부 규제부의 위치는 제1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1 하부 규제부의 제조시 치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인쇄가 실행될 때, 테이프 카세트는 제1 지지부에 의해 기준면으로서의 제1 하부 편평면 상에 지지될 수 있다. 테이프는,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이송된다. 따라서,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테이프 인자기에서, 테이프 카세트는 배출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안내부는 테이프의 이송 경로 상에 가장 하류 위치에 있을 수 있고, 테이프가 출구를 통해 배출된 후에 테이프를 안내하고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테이프를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부 편평면과 제1 하부 규제부 사이의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는, 아암부의 출구와 테이프 배출 안내부 사이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하부 편평면과 제1 하부 규제부의 치수 정확도가 더 높아질 수 있고, 그에 따라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테이프 인자기에서, 테이프 카세트의 바닥 케이스는 제2 지지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카세트 제2 단부 부근에서 헤드 홀더 삽입부에 연결될 수 있다. 카세트 제2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하류측 상에 위치 설정된 타단부이다. 제2 지지 수용부는 바닥벽을 상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된 제2 오목부일 수 있다. 제2 지지 수용부는 제2 하부 편평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하부 편평면은 제2 오목부의 천장벽부의 하부면일 수 있고,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 제1 하부 편평면과 제2 하부 편평면 사이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1 하부 편평면과 제2 하부 편평면은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인자기는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는 테이프 카세트의 제2 하부 편평면을 지지하도록 헤드 홀더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지지부는, 헤드 홀더가 헤드 홀더 삽입부 내에 삽입될 때, 이송 방향으로 인쇄 헤드의 하류측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헤드 홀더 상에 동일한 높이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케이스에서, 제1 하부 규제부의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는 제1 하부 편평면과 제2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하부 편평면 및 제2 하부 편평면은 제1 하부 규제부를 개재하여, 각각 헤드 홀더 삽입부의 상류측 단부(제1 단부) 및 하류측 단부(제2 단부) 부근에 제공된다. 따라서, 제조시 제1 하부 규제부의 치수 정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인쇄가 실행되면, 테이프 카세트가 제1 및 제2 지지부에 의해 기준면으로서의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 상에 각각 지지되면서, 테이프가 이송된다. 제1 및 제2 지지부는 각각 상류측 및 하류측 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테이프 인자기에서, 테이프 카세트는 테이프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 안내부는 출구로부터 배출된 테이프를 안내할 수 있다. 테이프 안내부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하류측 상에, 그리고 헤드 홀더 삽입부의 카세트 제2 단부 부근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 케이스는 제2 하부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부 규제부는 테이프 안내부 내에 제공되고, 제2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2 하부 규제부는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케이스에서, 제2 하부 편평면과 제2 하부 규제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제2 단부 부근에 제공되고, 수직 방향으로의 제2 하부 규제부의 위치는 제2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2 하부 규제부 제조시 제2 하부 규제부의 치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는 제1 및 제2 지지부에 의해 기준면으로서의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 상에 지지될 수 있다. 테이프는, 제1 및 제2 하부 규제부에 의한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이동동안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테이프 인자기에서, 테이프 카세트의 바닥 케이스가 제1 하부 규제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단 케이스는 압박 수용부 및 상부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압박 수용부는 이송 방향으로 상류측 상에서 아암부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압박 수용부는 상단벽을 하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된 제3 오목부일 수 있다. 압박 수용부는 상부 편평면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편평면은 제3 오목부의 바닥 벽부의 상부면일 수 있고, 제1 하부 편평면 상에 위치 설정되어 평면도에서 제1 하부 편평면과 중첩될 수 있다. 상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에서 아암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부 규제부는 상부 편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부 규제부는 상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인자기는 커버 및 가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카세트 하우징부 내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의 상단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압 부재는 커버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부 편평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단 케이스에서, 상부 규제부와 상부 편평면은 기준점으로서 아암부와 상호 기단 위치에 제공되며, 수직 방향으로 상부 규제부의 위치는 상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조시 상부 규제부의 치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인쇄가 실행되면, 테이프 카세트는 제1 지지부에 의해 기준면으로서의 제1 하부 편평면 상에 지지된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는 가압 부재에 의해 상부 편평면 상에 가압된다. 따라서, 테이프는 제1 하부 규제부 및 상부 규제부에 의해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이송될 수 있고, 테이프 카세트의 기립 이동은 가압 부재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테이프 인자기에서, 테이프 카세트는 아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암부는 그 전방측 상에서 헤드 홀더 삽입부에 인접하고, 출구와 전방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부는 테이프를 전방면과 평행하게 출구까지 지향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은 상단 케이스와 바닥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케이스는 상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벽을 포함할 수 있고, 바닥 케이스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케이스는 제1 상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돌출부는 이송 방향으로 상류측 상에서 아암부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단벽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제1 상부 돌출부는 그 하부 단부 상에 상부 편평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 수용부로서의 제1 오목부는 천장벽부의 하부면으로서 상부 편평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부는 상부 편평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단 케이스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에 아암부 내에 제공된 상부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규제부는 상부 편평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부 규제부는 상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단 케이스에서, 상부 규제부와 상부 편평면은 기준점으로서 아암부와 상호 기단 위치에 제공되고, 수직 방향으로 상부 규제부의 위치는 상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조시 상부 규제부의 치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인쇄가 실행되면, 테이프 카세트는 제1 지지부에 의해 기준면으로서의 상부 편평면 상에 지지된다. 테이프는,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상부 규제부에 의해 제한되면서, 이송된다. 따라서,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테이프 인자기에서, 테이프 카세트는 배출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안내부는 테이프의 이송 경로 상에 가장 하류 위치에 있을 수 있고, 테이프가 출구를 통해 배출된 후에 테이프를 안내하여 테이프를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규제부와 상부 편평면 사이의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는, 테이프 배출 안내부와 아암부의 출구 사이의 좌우 방향으로의 거리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편평면과 상부 규제부의 치수 정확도가 더 높아지고, 그에 따라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테이프 인자기에서, 테이프 카세트의 상단 케이스가 상부 규제부를 포함하는 경우, 바닥 케이스는 하부 돌출부와 하부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돌출부는 이송 방향으로 하류측 상의 상부 편평면의 단부가 아닌 상부 편평면의 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바닥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부 돌출부는 그 상부 단부 상에 하부 편평면을 가질 수 있다. 하부 편평면은 상부 편평면과 접촉하는 편평면일 수 있다. 하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에 아암부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하부 규제부는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하부 규제부는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케이스에서, 하부 규제부와 하부 편평면은 기준점으로서 아암부와 상호 기단 위치에 제공되고, 수직 방향으로의 하부 규제부의 위치는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조시 하부 규제부의 치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은 상부 규제부와 하부 규제부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테이프 인자기에서, 테이프 카세트의 상단 케이스가 제1 상부 돌출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단 케이스는 상단벽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 제2 상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부 돌출부는 이송 방향으로 하류측 상의 상부 편평면의 단부가 아닌 상부 편평면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상부 돌출부는 그 하부 단부 상에 상부 접촉 편평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바닥 케이스는 하부 돌출부와 하부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돌출부는 이송 방향으로 하류측 상의 상부 편평면의 단부가 아닌 상부 편평면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바닥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부 돌출부는 그 상부 단부 상에 하부 편평면을 가질 수 있다. 하부 편평면은 상부 접촉 편평면과 접촉하는 편평면일 수 있다. 하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 상의 아암부에 제공될 수 있다. 하부 규제부는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하부 규제부는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케이스에서, 하부 규제부와 하부 편평면은 기준점으로서 아암부와 상호 기단 위치에 제공되고, 수직 방향으로의 하부 규제부의 위치는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조시 하부 규제부의 치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은 상부 규제부 및 하부 규제부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카세트 커버(6)가 폐쇄되었을 때, 테이프 인자기(1)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카세트 커버(6)가 개방되었을 때, 테이프 인자기(1)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부 구조 요소가 제거된 상태로 카세트 커버(6)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30) 및 카세트 하우징부(8)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플래튼 홀더(12)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적층식 테이프 카세트(30)를 내부에 설치한 카세트 하우징부(8)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플래튼 홀더(12)가 인쇄 위치에 있을 때, 적층식 테이프 카세트(30)를 내부에 설치한 카세트 하우징부(8)의 평면도이다.
    도 7은 플래튼 홀더(12)가 인쇄 위치에 있을 때, 리셉터식 테이프 카세트(30)를 내부에 설치한 카세트 하우징부(8)의 평면도이다.
    도 8은 플래튼 홀더(12)가 인쇄 위치에 있을 때, 서멀식 테이프 카세트(30)를 내부에 설치한 카세트 하우징부(8)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헤드 홀더(74)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헤드 홀더(74)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헤드 홀더(74)의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아암 검출부(200)가 제공된 카세트 대향면(122)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II-II 선을 따르며 화살표의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5에 도시된 II 선을 따르며 화살표의 방향에서 본 단면도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도면이다.
    도 15는 테이프 인자기(1)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광폭 테이프 카세트(30)의 아암 전방벽(35)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협폭 테이프 카세트(30)의 아암부(34)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협폭 테이프 카세트(30)의 아암 전방벽(35)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카세트 케이스(3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바닥 케이스(312)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바닥면(302) 측에서 보았을 때의 테이프 카세트(30)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1 원통형 부재(861)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바닥 케이스(312)가 제조된 경우의 도 20에 도시된 IV-IV 선을 따르며 화살표의 방향에서 본 단면을 도시하며, 또한 주형 블록(84)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테이프 카세트(30)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상단 케이스(311)의 저면도이다.
    도 26은 제1 삽입 핀(871)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제1 원통형 부재(861)와 제1 삽입 핀(871) 사이의 끼움의 정도를 도시한 테이프 카세트(30)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28은 제1 원통형 부재(861)와 제1 삽입 핀(871) 사이의 끼움의 정도를 도시한 테이프 카세트(30)의 다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1 삽입 핀(871)이 제1 원통형 부재(861) 내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테이프 카세트(30)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30은 정면에서 본 테이프 인자기(1) 내에 설치된 광폭 테이프 카세트(30)의 설명도이다.
    도 31은 좌측에서 본 테이프 인자기(1) 내에 설치된 광폭 테이프 카세트(30)의 설명도이다.
    도 32는 정면에서 본 테이프 인자기(1) 내에 설치된 협폭 테이프 카세트(30)의 설명도이다.
    도 33은 좌측에서 본 테이프 인자기(1) 내에 설치된 협폭 테이프 카세트(30)의 설명도이다.
    도 34는 도 16에 도시된 테이프 카세트(30)가 플래튼 홀더(12)와 대면할 때의 도 16에 도시된 III-III 선을 따르며 화살표의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30) 및 카세트 하우징부(8)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6은 테이프 카세트(30)가 내부에 설치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하우징부(8)의 평면도이다.
    도 37은 바닥면(302) 측에서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30)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정면에서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인자기(1) 내에 설치된 테이프 카세트(30)의 설명도이다.
    도 3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30) 및 카세트 하우징부(8)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닥 케이스(312)의 평면도이다.
    도 41은 바닥면(302) 측에서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30)의 사시도이다.
    도 4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단 케이스(311) 및 바닥 케이스(312)가 결합된 경우의 도 41에 도시된 IV-IV 선을 따르며 화살표의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3은 바닥 케이스(312)가 제조된 경우의 도 42에 도시된 바닥 케이스(312)와 주형 블록(84)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30)의 평면도이다.
    도 4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단 케이스(311)의 저면도이다.
    도 46은 상단 케이스(311)가 제조된 경우의 도 42에 도시된 상단 케이스(311)와 주형 블록(84)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은 정면에서 본, 테이프 인자기(1) 내에 설치된 제3 실시예에 따른 광폭 테이프 카세트(30)의 설명도이다.
    도 48은 정면에서 본, 테이프 인자기(1) 내에 설치된 제3 실시예에 따른 협폭 테이프 카세트(30)의 설명도이다.
    도 4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상단 케이스(311)의 저면도이다.
    도 5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단 케이스(311) 및 바닥 케이스(312)가 결합된 경우의, 도 49에 도시된 VV 선을 따르며 화살표의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1은 상단 케이스(311)가 제조된 경우의, 도 50에 도시된 상단 케이스(311)와 주형 블록(92)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도 49에 도시된 테이프 카세트(30)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53은 바닥 커버(106)가 폐쇄된 경우의, 상방에서 본 변형예에 따른 테이프 인자기(1)의 사시도이다.
    도 54는 바닥 커버(106)가 개방된 경우의, 하방에서 본 변형예에 따른 테이프 인자기(1)의 사시도이다.
    도 55는 카세트 커버(6)가 폐쇄된 경우의, 상방에서 본 다른 변형예에 따른 테이프 인자기(1)의 사시도이다.
    도 56은 테이프 카세트(30)가 설치되고 카세트 커버(6)가 개방된 경우의, 상방에서 본 다른 변형예에 따른 테이프 인자기(1)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도면에 도시된 장치의 구성, 다양한 프로세스의 흐름도 등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인자기(1) 및 테이프 카세트(30)가 도 1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제1 실시예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의 하부 좌측은 테이프 인자기(1)의 정면측이며, 도 1 및 도 2의 상부 우측은 테이프 인자기(1)의 후방측이다. 도 1 및 도 2의 하부 우측은 테이프 인자기(1)의 우측이고, 도 1 및 도 2의 상부 좌측은 테이프 인자기(1)의 좌측이다. 또한, 도 4의 하부 우측은 테이프 카세트(30)의 정면측이고, 도 4의 상부 좌측은 테이프 카세트(30)의 후방측이다. 도 4의 상부 우측은 테이프 카세트(30)의 우측이고, 도 4에서 하부 좌측은 테이프 카세트(30)의 좌측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 4 등과 같은 도면에서, 카세트 하우징부(8)의 둘레로 주연부를 형성하는 측벽은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단지 개략도일 뿐이고,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측벽은 실제의 것 보다 두껍게 도시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도 4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30) 및 카세트 하우징부(8)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에서, 기어(91, 93, 94, 97, 98, 및 101)를 포함하는 기어의 그룹은 실제로는 공동(811)의 바닥면에 의해 덮여지고 감춰진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렇지만, 설명을 위해, 공동(811)의 바닥면은 상기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8 등에서,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된 상태는 상단 케이스(311)가 제거된 상태로 도시된다. 또한, 도 17 등과 같이, 바닥면(302) 측에서 테이프 카세트(30)를 본 도면에서, 테이프 구동 롤러(46) 등은 설명을 위해 생략된다. 상기 내용은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을 위해 사용된 도면에도 적용된다.

    우선, 테이프 인자기(1)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테이프 인자기(1)는 다양한 유형의 테이프 카세트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목적의 장치이다. 테이프 카세트의 유형에는 서멀식 테이프 카세트, 리셉터식 테이프 카세트, 적층식 테이프 카세트, 및 감열 적층식 카세트가 포함된다. 서멀식 카세트는 감열 종이 테이프 만을 수납하는 테이프 카세트이다. 리셉터식 카세트는 인쇄 테이프 및 잉크 리본을 수납하는 테이프 카세트이다. 적층식 카세트는 양면 접착 테이프, 필름 테이프 및 잉크 리본을 수납하는 테이프 카세트이다. 감열 적층식 카세트는 양면 접착 테이프 및 감열 종이 테이프를 수납하는 테이프 카세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인자기(1)에는 전체적으로 평행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메인 유니트 커버(2)가 제공된다. 키보드(3)가 메인 유니트 커버(2)의 전방측 상에 제공된다. 키보드(3)는 문자(글자, 기호, 숫자 등)를 위한 문자키 및 다양한 기능키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5)가 키보드(3)의 후방측에 제공된다. 디스플레이(5)는 입력 문자를 표시한다. 카세트 커버(6)가 디스플레이(5)의 후방측에 제공된다. 카세트 커버(6)는 테이프 카세트(30)(도 4 참조)가 교체될 때 개폐될 수 있다.

    카세트 커버(6)는 평면도에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커버부이다. 메인 유니트 커버(2)의 상부 후방측의 좌우 에지부 양측에 대해서, 카세트 커버(6)는 도 2에 도시된 개방 위치와 도 1에 도시된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카세트 커버(6)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메인 유니트 커버(2)의 내측에 형성된 카세트 하우징부(8)가 노출된다. 카세트 커버(6)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카세트 커버(6)는 카세트 하우징부(8)를 덮는다. 카세트 하우징부(8)는 내부에 테이프 카세트(30)를 설치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영역이다. 카세트 하우징부(8)에는 이송 기구, 인쇄 기구 등이 장착된다. 이송 기구는 테이프 카세트(30)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테이프를 이송한다. 인쇄 기구는 테이프의 표면 상에 문자를 인쇄한다. 이들 기구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커버(6)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는 후크 형상 래칭 로크(411)가 카세트 커버(6)의 전방 에지의 전체 중심에 제공된다. 메인 유니트 커버(2)에는 래칭 로크(4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로크 홀(412)이 제공되며, 카세트 커버(6)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될 때, 래칭 로크(411)는 로크 홀(412)과 체결되며, 따라서 카세트 커버(6)가 의도하지 않게 개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카세트 커버(6)의 하부면에는 하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각기둥형 헤드 가압 부재(7) 및 주연 가압 부재(911 내지 914)가 더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여, 헤드 가압 부재(7) 및 주연 가압 부재(914)가 설명된다. 도 3에서, 래칭 로크(411) 및 주연 가압 부재(911 내지 913)와 같은, 헤드 가압 부재(7) 및 주연 가압 부재(914) 이외의 부재는 설명을 위해 생략한다. 헤드 가압 부재(7)는 좌우 방향의 전체 중심에서 카세트 커버(6)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되고 카세트 커버(6)가 폐쇄될 때, 헤드 가압 부재(7)는 테이프 카세트(30)의 상단 케이스(311) 상에 제공된 제1 압박 수용부(393)(도 4 참조) 상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제1 압박 수용부(393)를 가압한다. 주연 가압 부재(914)는 카세트 커버(6)의 하부면의 좌측 에지의 근방에서 하향으로 돌출된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되고 카세트 커버(6)가 폐쇄될 때, 주연 가압 부재(914)는 테이프 카세트(30)의 상단 케이스(311) 상에 제공된 제2 압박 수용부(398)(도 4 참조)와 상방으로부터 접촉한다. 제1 및 제2 압박 수용부(393 및 398)에 대해서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되고 카세트 커버(6)가 폐쇄될 때, 주연 가압 부재(911 내지 913)는 테이프 카세트(30)의 주연부,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3 코너부(321 내지 343)(도 4 참조)의 상부면 상의 3개 위치와 상방으로부터 접촉한다. 주연 가압 부재(911 내지 913)는 제1 내지 제3 코너부를 가압한다.

    또한, 배출 슬릿(111)이 메인 유니트 커버(2)의 좌측 후방에 제공되며, 이로부터 인쇄된 테이프가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배출 윈도우(112)가 카세트 커버(6)의 좌측 상에 형성되어, 카세트 커버(6)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 배출 슬릿(111)이 외부에 노출된다.

    다음으로, 카세트 커버(6) 아래의 메인 유니트 커버(2) 내부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하우징부(8)는 공동(811) 및 코너 지지부(812)를 포함한다. 공동(811)은 편평 바닥면을 가지는 함몰부로서 형성되며, 공동(811)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테이프 카세트(30)가 설치된 때의 (이후에 설명될) 카세트 케이스(31)의 바닥면(302)의 형상에 상응한다. 코너 지지부(812)는 공동(811)의 외측 에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편평부이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될 때, 코너 지지부(812)는 테이프 카세트(30)의 주연부의 하부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내지 제4 코너부(321 내지 324)(도 4 참조)의 하부면을 대면하여 지지한다.

    2개의 위치 설정 핀(102 및 103)이 코너 지지부(812) 상의 2개 위치에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 설정 핀(102)은 공동(811)의 좌측 상에 제공되고, 위치 설정 핀(103)은 공동(811)의 우측 상에 제공된다. 위치 설정 핀(102 및 103)은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될 때, 핀 홀(62 및 63)(도 21 참조)을 각각 대면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핀 홀(62 및 63)은 바닥 케이스(312) 내에 형성된 2개의 오목부이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될 때, 위치 설정 핀(102 및 103)은 각각 핀 홀(62 및 63) 내로 삽입되어 테이프 카세트(30)의 주연부의 좌우 위치에서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테이프 카세트(30)를 위치 설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홀더(74)가 카세트 하우징부(8)의 전방 부분에 고정되고, 인쇄 헤드인 서멀 헤드(10)가 헤드 홀더(74) 상에 장착된다. 서멀 헤드(10)는 가열 소자(10A)의 열(이하에서 가열 소자열이라 함)을 포함한다. 가열 소자열(10A)은 수직 방향으로 열을 이루며 배열된 복수의 가열 소자를 포함한다. 스테핑 모터인 테이프 이송 모터(23)가 카세트 하우징부(8)의 외측(도 4의 상부 우측)에 제공된다. 구동 기어(91)가 테이프 이송 모터(23)의 구동 샤프트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구동 기어(91)는 개구를 통해 기어(93)와 맞물리고, 기어(93)는 기어(94)와 맞물린다.

    리본 테이크업 샤프트(95)가 기어(94)의 상부면 상에 상향으로 직립하여 제공된다. 리본 테이크업 샤프트(95)는 이후에 설명될 리본 테이크업 스풀(44)의 회전을 구동한다(도 5 참조). 또한, 기어(94)는 기어(97)와 맞물리고, 기어(97)는 기어(98)와 맞물리고, 기어(98)는 기어(101)와 맞물린다. 테이프 구동 샤프트(100)가 기어(101)의 상부면 상에 상향으로 직립한다. 테이프 구동 샤프트(100)는 이후에 설명될 테이프 구동 롤러(46)의 회전을 구동한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테이프 이송 모터(2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면, 리본 테이크업 샤프트(95)는 구동 기어(91), 기어(93) 및 기어(94)를 통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리본 테이크업 샤프트(95)는 삽입에 의해 리본 테이크업 샤프트(95)와 끼워진 리본 수용 스풀(44)의 회전을 야기시킨다. 또한, 기어(94)의 회전은 기어(97), 기어(98), 및 기어(101)를 통하여 테이프 구동 샤프트(100)에 전달되고, 이로 인하여 테이프 구동 샤프트(1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테이프 구동 샤프트(100)는 테이프 구동 샤프트(100)와 끼워진 테이프 구동 롤러(46)의 회전을 야기시킨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홀더(74)의 전방측 상에 아암 형상의 플래튼 홀더(12)가 지지 샤프트(121)를 중심으로 피봇식으로 지지된다. 플래튼 롤러(15) 및 가동식 이송 롤러(14)가 모두 플래튼 홀더(12)의 선단부 상에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플래튼 롤러(15)는 서멀 헤드(10)와 대면하고 서멀 헤드(10)에 인접하게 및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가동식 이송 롤러(14)는 테이프 구동 샤프트(100)와 삽입에 의해 끼워질 수 있는 테이프 구동 롤러(46)와 대면하고, 테이프 구동 롤러(46)에 인접하게 및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카세트 커버(6)의 개폐에 응답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해제 레버(도시 안됨)가 플래튼 홀더(12)에 결합된다. 카세트 커버(6)가 개방될 때, 해제 레버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플래튼 홀더(12)가 도 5에 도시된 대기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도 5의 대기 위치에서, 플래튼 홀더(12)는 카세트 하우징부(8)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었다. 그러므로, 플래튼 홀더(12)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 테이프 카세트(30)는 카세트 하우징부(8) 내로 장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플래튼 홀더(12)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나선 스프링에 의해 대기 위치에 유지되도록 일정하게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한편, 카세트 커버(6)가 폐쇄될 때, 해제 래버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플래튼 홀더(12)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인쇄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인쇄 위치에서, 플래튼 홀더(12)는 카세트 하우징부(8)에 인접하도록 이동되었다. 인쇄 위치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식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될 때, 플래튼 롤러(15)는 필름 테이프(59) 및 잉크 리본(60)을 통하여 서멀 헤드(10)를 가압한다. 동시에, 가동식 이송 롤러(14)는 양면 접착 테이프(58) 및 필름 테이프(59)를 통하여 테이프 구동 롤러(46)를 가압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식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될 때, 플래튼 롤러(15)는 인쇄 테이프(57) 및 잉크 리본(60)을 통하여 서멀 헤드(10)를 가압하고, 가동식 이송 롤러(14)는 인쇄 테이프(57)를 통하여 테이프 구동 롤러(46)를 가압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멀식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될 때, 플래튼 롤러(15)는 감열 종이 테이프(55)를 통하여 서멀 헤드(10)를 가압하고, 가동식 이송 롤러(14)는 감열 종이 테이프(55)를 통하여 테이프 구동 롤러(46)를 가압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인쇄 위치에서, 인쇄는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된 다양한 유형의 테이프 카세트(30)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감열 종이 테이프(55), 인쇄 테이프(57), 양면 접착 테이프(58), 필름 테이프(59) 및 잉크 리본(60)에 대해서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된 테이프(50)가 이송되는 이송 경로는 테이프 카세트(30)의 테이프 배출부(49)로부터 테이프 인자기(1)의 테이프 슬릿(111)까지 연장된다(도 2 참조). 소정의 위치에서 인쇄된 테이프(50)를 절단하는 절단 기구(17)가 이송 경로 상에 제공된다. 절단 기구(17)는 고정날(18) 및 가동날(19)을 포함한다. 가동날(19)은 고정날(18)과 대면하고, 전후 방향(도 5 내지 도 8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가동날(19)은 절단 모터(24)(도 15 참조)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헤드 홀더(74)의 구조가 도 5 및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홀더(74)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며, 시트(seat)부(743) 및 헤드 고정부(744)를 포함한다. 시트부(743)는 공동(811)의 바닥면(상기 도면에 도시 안됨) 아래에 고정된다. 헤드 고정부(744)는 시트부(743)로부터 전체적으로 수직으로 절곡되고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고정부(744)는 테이프 인자기(1)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위치 설정된다. 헤드 홀더(74)는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서리될 때, 헤드 삽입부(39)에 대향하도록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배열된다. 헤드 삽입부(39)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헤드 홀더(74)의 우측 단부는 헤드 삽입부(39)의 우측 단부 보다 더욱 우측으로 연장된다. 서멀 헤드(10)는 헤드 고정부(744)의 전방면에 고정된다.

    제1 지지부(741) 및 제2 지지부(742)[이하에서 집합적으로 카세트 지지부(741 및 742)라고 지칭하기도 한다]가 헤드 고정부(744) 상에 제공된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될 때, 카세트 지지부(741 및 742)는 아래에서부터 테이프 카세트(30)를 지지한다. 제1 지지부(741)는 헤드 고정부(744)의 우측 에지부 상에 정면도에서 L자 형상으로 절결함으로써 소정의 높이 위치에 형성된 단차부이다. 제2 지지부(742)는 측면도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연장편이다. 제2 지지부(742)는 헤드 고정부(744)에 대해 전체적으로 수직으로 헤드 고정부(744)의 좌측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제2 지지부(742)는 제1 지지부(741)와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 즉, 동일한 높이 위치에 위치 설정된다.

    다시 말해서, 제1 지지부(741) 및 제2 지지부(742)는 각각 평면도에서 서로에 대해 전체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지지부(741) 및 제2 지지부(742)는 각각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서멀 헤드(10)의 상류측 및 하류측 상에서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테이프 카세트(30)를 지지한다. 제1 지지부(741) 및 제2 지지부(742)의 높이 위치는 수직 방향으로의 서멀 헤드(10)[가열 소자열(10A)]의 중심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소정 거리에서 이격된 위치로 설정된다. 따라서, 제1 지지부(741) 및 제2 지지부(742)는 수직 방향으로의 서멀 헤드(10)[가열 소자열(10A)]의 중심 위치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 카세트(30)를 위치 설정하는 기준 지점으로서 기능한다. 카세트 지지부(741 및 742)에 의한 테이프 카세트(30)의 지지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검출부(200)가 플래튼 홀더(12)의 후방 측면(122), 즉, 서멀 헤드(10)와 대면하는 측상의 면에 제공된다. 아암 검출부(200)는 후방 측면(122)의 길이 방향으로의 중심 위치의 약간 우측에 제공된다. 이하에서, 플래튼 홀더(12)의 후방 측면(122)은 카세트 대향면(122)이라고 지칭한다. 아암 검출부(200)는 복수의 검출 스위치(210)를 포함한다. 검출 스위치(210)의 스위치 단자(222)는 각각 카세트 대향면(122)으로부터 카세트 하우징부(8)를 향해 전체적으로 수평한 방식으로 돌출된다.

    다시 말해서, 검출 스위치(210)는, 검출 스위치(21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된 테이프 카세트(30)의 전방벽[보다 구체적으로 이후에 설명될 아암 전방벽(35)]과 대면하도록, 카세트 하우징부(8)에 대한 테이프 카세트(30)의 삽입 및 제거 방향(도 4에서 상하 방향)에 전체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한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적절한 위치에서 설치될 때, 검출 스위치(210)는 이후에 설명될(도 4 참조) 아암 표식부(800)와 대면하는 높이에 각각 위치 설정된다.

    플래튼 홀더(12) 내의 아암 검출 스위치(210)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관통 홀(123)이 플래튼 홀더(12)의 카세트 대향면(122)에서 수직 방향으로 3열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통 홀(123)은, 2개 홀은 상부 열에 배열되고, 2개 홀은 중간 열에 배열되고, 1개 홀은 하부 열에 배열되도록 배열된다. 관통 홀(123)의 위치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5개의 관통 홀(123)은 카세트 대향면(122)의 우측(도 12의 좌측)으로부터 이하의 순서, 즉, 하부 열, 상부 열의 우측, 중간 열의 우측, 상부 열의 좌측, 그리고 중간 열의 좌측의 순서로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열된다. 5개의 아암 검출 스위치(210)는 5개의 관통 홀(123)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아암 검출 스위치(21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 메인 유니트(221) 및 바아 형상 스위치 단자(222)를 포함한다. 메인 유니트(221)는 플래튼 홀더(12)의 내측에 위치 설정된다. 스위치 단자(222)는 메인 유니트(221)의 일 단부로부터 축선의 방향으로 신장 및 후퇴할 수 있다. 아암 검출 스위치(210)의 메인 유니트(221)의 다른 단부는 스위치 지지판(220)에 부착되고 플래튼 홀더(12) 내측에 위치 설정된다. 또한, 메인 유니트(221)의 일단부 상에, 스위치 단자(222)는 각각 플래튼 홀더(12)의 카세트 대향면(122)에 형성된 관통 홀(123)을 통해서 신장 및 후퇴할 수 있다.

    각각의 스위치 단자(222)는 메인 유니트(221)의 내부에 제공된 스프링 부재(도면에 도시 안됨)로 인해 스위치 단자(222)가 메인 유니트(221)로부터 신장된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스위치 단자(222)가 가압되지 않으면, 스위치 단자(222)는 메인 유니트(221)로부터 연장되어 오프 상태인 채로 유지된다. 한편, 스위치 단자(222)가 가압되면, 스위치 단자(222)는 메인 유니트(221) 내로 후방 가압되어 온 상태에 있게 된다.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테이프 카세트(30)가 설치된 상태에서 플래튼 홀더(12)가 대기 위치(도 5 참조)를 향해 이동하면, 아암 검출 스위치(210)는 테이프 카세트(30)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모든 아암 검출 스위치(210)는 오프 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플래튼 홀더(12)가 인쇄 위치(도 6 내지 도 8 참조)를 향해 이동하면, 아암 검출 스위치(210)는 테이프 카세트(30)의 전방벽[보다 구체적으로, 이후에 설명될 아암 전방벽(35)]을 대면한다. 이어서, 아암 검출 스위치(210)는 이후에 설명될 아암 표식부(8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된다. 테이프 타입은 아암 검출 스위치(210)의 온 및 오프 상태의 조합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아암 검출부(200)에 의한 테이프 카세트(30)의 테이프 타입의 검출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편(225)이 플래튼 홀더(12)의 카세트 대향면(122) 상에 제공된다. 래칭편(225)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 돌출부이다. 아암 검출 스위치(210)의 스위치 단자(222)와 유사한 방식으로, 래칭편(225)은 카세트 하우징부(8)를 향하여 전체적으로 수평인 방식으로 카세트 대향면(122)으로부터 돌출한다. 다시 말해서, 래칭편(225)은 래칭편(225)이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된 테이프 카세트(30)의 전방벽[보다 구체적으로 아암 전방벽(35)]을 대면하도록 돌출된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적절한 위치에서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될 때, 래칭편(225)은 테이프 카세트(30)의 아암 전방벽(35)에 형성된 래칭 홀(820)(도 4 참조)을 대면하는 높이에 위치 설정된다.

    다음에, 플래튼 홀더(12) 상의 래칭편(225)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편(225)은 플래튼 홀더(12)의 카세트 대향면(122) 상에 제공되고, 수직 방향으로 상부 열의 아임 검출 스위치(210) 상방에 위치 설정된다. 이는 좌우 방향으로 하부 열 내의 아암 검출 스위치(210)와 중첩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편(225)은, 래칭편(225)이 후방 방향(도 13의 좌측)으로 플래튼 홀더(12)의 카세트 대향면(122)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플래튼 홀더(12)와 일체로 형성된다. 카세트 대향면(122)으로부터 래칭편(225)의 돌출 길이는 카세트 대향면(122)으로부터 아암 검출 스위치(210)의 스위치 단자(222)의 돌출 길이와 전체적으로 동일하거나 이보다 약간 크다. 또한, 래칭편(225)의 하부면의 수평으로 경사진 부분인 경사부(226)가, 래칭편(225)의 두께가 선단부(도 13의 좌측)를 향해갈수록 작아지도록 래칭편(225) 상에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후크(75)가 헤드 홀더(74)의 후방측 상에 제공된다. 카세트 후크(75)에 대해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4는 도 5에 도시된 II 선을 따르며 화살표의 방향에서 본 단면도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도면이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카세트 후크(75)에는 공동(811)의 바닥면(도면에 도시 안됨)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수직 상향으로 돌출된 판형 돌출부(751)가 제공된다. 돌출부(751)의 상부 단부는 후방 방향(도 14의 좌방향)으로 돌출하며 단면도에서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갈고리부(752)이다. 돌출부(751)는 테이프 인자기(1)의 전후 방향(도 14의 좌우 방향)으로 가요성을 가진다. 갈고리부(752)는 공동(811)의 바닥면으로부터 테이프 카세트(30)의 래칭부(397)(이후에 설명함)의 높이 위치에 대응되게 제공된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될 때, 테이프 카세트(30)는 카세트 후크(75)와 체결된다. 이러한 특징은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음에, 테이프 인자기(1)의 전기적 구성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인자기(1)는 제어 보드 상에 형성된 제어 회로(500)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500)는 각 도구를 제어하는 CPU(501), ROM(502), CGROM(503), RAM(504), 및 입력/출력 인터페이스(511)를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CPU(501)에 데이터 버스(510)를 통해 연결된다.

    ROM(502)은 디스플레이 구동 제어 프로그램, 인쇄 구동 제어 프로그램, 펄스수 결정 프로그램, 절단 구동 제어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테이프 인자기(1)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 구동 제어 프로그램은 키보드(3)로부터 입력된 글자, 기호, 숫자 등의 코드 데이터와 관련하여 액정 구동 회로(LCDC)(505)를 제어한다. 인쇄 구동 제어 프로그램은 서멀 헤드(10) 및 테이프 이송 모터(23)를 구동한다. 펄스 수 결정 프로그램은 각 인쇄 도트에 대한 형성 에너지의의 양에 상응하게 인가되어야 하는 펄스의 수를 결정한다. 절단 구동 제어 프로그램은 인쇄된 테이프(50)를 소정의 절단 위치에서 절단하기 위해 커터 모터(24)를 구동한다. CPU(501)는 각 유형의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연산을 수행한다.

    CGROM(503)은 다양한 문자를 인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쇄 도트 패턴 데이터를 저장한다. 인쇄 도트 패턴 데이터는 문자에 대한 대응 코드 데이터와 연관된다. 인쇄 도트 패턴 데이터는 폰트(고딕, 민초 등)에 의해 분류되며, 각 폰트에 대해서 저장된 데이터는 6개의 인쇄 문자 크기(예컨대, 16, 24, 32, 48, 64 및 96의 도트 크기)를 포함한다.

    RAM(504)은 텍스트 메모리, 인쇄 버퍼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저장 영역을 포함한다. 인쇄 메모리는 키보드(3)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한다. 인쇄 버퍼는 문자 등에 대한 인쇄 도트 패턴을 포함하는 도트 패턴 데이터를 저장한다. 서멀 헤드(10)는 인쇄 버퍼 내에 저장된 도트 패턴 데이터와 관련된 도트 인쇄를 수행한다. 다른 저장 영역은 다양한 연산 등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출력 인터페이스(511)는 아암 검출 스위치(210), 키보드(3),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액정 디스플레이(LCD)(5)에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RAM(도면에 도시 안됨)을 가지는 액정 구동 회로(LCDC)(505), 서멀 헤드(10)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506), 테이프 이송 모터(23)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507), 커터 모터(24)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508) 등에 각각 연결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30)의 구성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8, 도 14 및 도 16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이하에서, 일반 목적의 카세트로서 구성된 테이프 카세트(3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반 목적 카세트로서, 테이프 카세트(30)는 테이프 카세트(30) 내에 장착되는 테이프의 유형을 적절하게 변경하거나, 잉크 리본의 유무를 변경하는 것 등에 의해 전술된 서멀식, 리셉터식 및 적층식으로서 조립될 수 있다.

    우선, 테이프 카세트(30) 전체 구조의 일반적인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30)는 평면도에서 둥근 코너부를 가지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육면체 형상(상자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인 카세트 케이스(31)를 포함한다. 카세트 케이스(31)는 상단 케이스(311) 및 바닥 케이스(312)를 포함한다. 바닥 케이스(312)는 카세트 케이스(31)의 바닥면(302)을 형성하는 바닥벽(306)을 포함한다. 상단 케이스(311)는 카세트 케이스(31)의 상단면(301)을 형성하는 상단벽(305)을 포함한다. 상단 케이스(311)는 바닥 케이스(312)의 상부에 고정된다. 바닥면(302)으로부터 상면(301)까지의 거리는 테이프 카세트(30)의 높이, 또는 카세트 케이스(31)의 높이라고 지칭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 케이스(31)에서, 상단벽(305) 및 바닥벽(306)의 주연부는 측면을 형성하는 주연벽에 의해 둘러싸인다. 그렇지만, 주연부는 반드시 완전히 둘러싸일 필요는 없고, 주연벽의 일부(예컨대, 후방벽부)는 카세트 케이스(31)의 내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단벽(305)과 바닥벽(306)을 연결하는 보스부가 상기 구멍을 대면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카세트 케이스(31)는 테이프 카세트(30)의 유형에 무관하게, 동일한 폭(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을 가지는 4개의 코너부를 가진다. 이하에서, 후방 좌측 코너부를 제1 코너부(321)라고 지칭하고, 후방 우측 코너부를 제2 코너부(322)라고 지칭하고, 전방 우측 코너부를 제3 코너부(323)라고 지칭하고, 전방 좌측 코너부를 제4 코너부(324)라고 지칭한다. 제1 내지 제3 코너부(321 내지 323)는 평면도에서 봤을 때 직각을 형성하도록 각각 카세트 케이스(31)의 측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한다. 그렇지만, 전방 좌측에 위치한 제4 코너부(324)는 상기 코너에 테이프 배출부(49)를 제공하기 위해 평면도에서 봤을 때 직각을 형성하지 않는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될 때, 제1 내지 제4 코너부(321 내지 324)의 하부면은 각각 전술된 코너 지지부(812)를 대면하고 이에 의해 지지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홀(62 및 63)이 각각 제2 코너부(322)의 하부면 및 제4 코너부(324)의 하부면 내의 2개 위치에 형성된다. 핀 홀(62 및 63)은 각각 전술된 위치 설정핀(102 및 103)에 대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4 코너부(324)의 하부면 내에 형성된 오목부는 위치 설정 핀(102)이 삽입되는 핀 홀(62)이다. 제2 코너부(322)의 하부면 내에 형성된 오목부는 위치 설정 핀(103)이 삽입되는 핀 홀(63)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케이스(31)는 공통부(32)라고 부르는 부분을 포함한다. 공통부(32)는 제1 내지 제4 코너부(321 내지 324)를 포함하고, 카세트 케이스(31)의 수직(높이) 방향으로 제1 내지 제4 코너부(321 내지 324)와 동일한 위치에서 측면을 따라 카세트 케이스(31)의 전체 주연부를 포위하며, 또한 제1 내지 제4 코너부(321 내지 324)와 동일한 폭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통부(32)는 카세트 케이스(31)의 수직(높이) 방향으로 중심선(N)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대칭 형상을 가진다(도 16 및 도 18 참조). 테이프 카세트(30)의 높이는 카세트 케이스(31) 내에 장착되는 인쇄 매체[감열 종이 테이프(55), 인쇄 테이프(57), 및 필름 테이프(59)] 및 양면 접착 테이프(58)(이하에서 각각 전체적으로 테이프라고 지칭한다)의 테이프 폭에 따라 상이하다. 그렇지만, 공통부(32)의 폭(수직 방향 길이)(T)은 테이프의 폭에 무관하게 동일하게 설정된다.

    예컨대, 공통부(32)의 폭(T)이 12 mm일 때, 테이프의 폭이 더 크면(예컨대 18 mm, 24 mm, 36 mm), 카세트 케이스(31)의 높이는 따라서 더욱 커지지만, 공통부(32)의 폭(T)(도 16 및 도 18 참조)은 12 mm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테이프의 폭이 공통부(32)의 폭(T)과 동일하거나 작다면(예컨대, 6 mm, 12 mm), 카세트 케이스(31)의 높이(폭)는 공통부(32)의 폭(T)(12 mm) 더하기 소정 폭이다. 카세트 케이스(31)의 높이는 이 경우에 최소가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케이스(31)는 지지 홀(65, 66, 67, 및 68)을 가진다. 지지 홀(65, 66, 67, 및 68)은 제1 테이프 스풀(40), 제2 테이프 스풀(41), 리본 스풀(42) 및 리본 테이크업 스풀(44)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도 5 내지 도 8 참조). 각각의 스풀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도 4에는 상단 케이스(311) 내의 지지 홀(65, 66, 67, 및 68)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대응 지지 홀(65, 66, 67, 및 68)은 바닥 케이스(312)에도 제공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테이프 영역(400), 제2 테이프 영역(410), 제1 리본 영역(420), 및 제2 리본 영역(440)이 카세트 케이스(31)의 내부에 제공된다. 제1 및 제2 테이프 영역(400 및 410)은 각각 인쇄 매체로서의 테이프를 수납할 수 있는 영역이다. 제1 리본 영역(420)은 사용되지 않은 잉크 리본(60)을 수납하고, 제2 리본 영역(440)은 문자 인쇄를 위해 사용된 잉크 리본(60)을 수납한다.

    제1 테이프 영역(400)은 제1 코너부(321)에 인접하며, 대략 카세트 케이스(31)의 좌측 절반을 차지한다. 제1 테이프 영역(400)은 평면도에서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진다. 제2 테이프 영역(410)은 제2 코너부(322)에 인접하고 카세트 케이스(31) 내부의 후방 우측에 위치 설정된다. 제2 테이프 영역(410)은 평면도에서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진다. 제1 리본 영역(420)은 제3 코너부(323)와 이후에 설명될 헤드 삽입부(39)에 인접하며, 카세트 케이스(31) 내부의 전방 우측에 위치 설정된다. 제1 리본 영역(420)은 평면도에서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진다. 제2 리본 영역(440)은 평면도에서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지는 영역이며, 제1 테이프 영역(400)과 제1 리본 영역(420) 사이의 카세트 케이스(31) 내부에 위치 설정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적층식 테이프 카세트(30)의 경우에, 양면 접착 테이프(58), 투명 필름 테이프(59), 및 잉크 리본(60)이 카세트 케이스(31) 내에 장착된다. 양면 접착 테이프(58)는 한면이 해제 용지에 부착된 양면 테이프이다. 필름 테이프(59)는 인쇄 매체이다. 해제 용지가 외측을 향한 상태로 제1 테이프 스풀(40) 상에 권취된 양면 접착 테이프(58)는 제1 테이프 영역(400) 내에 수납된다. 제2 테이프 스풀(41) 상에 권취된 필름 테이프(59)는 제2 테이프 영역(410) 내에 수납된다.

    리본 스풀(42) 상에 권취된 미사용 잉크 리본(60)은 제1 리본 영역(420) 내에 수납된다. 리본 테이크업 스풀(44) 상에 권취된 사용된 잉크 리본(60)은 제2 리본 영역(440) 내에 수납된다. 리본 테이크업 스풀(44)의 역회전으로 인한 테이크업된 잉크 리본(6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리본 테이크업 스풀(44)의 하부에 클러치 스프링(도면에 도시 안됨)이 부착된다.

    도 7에 도시된 리셉터식 테이프 카세트(30)의 경우에, 인쇄 매체로서의 인쇄 테이프(57) 및 잉크 리본(60)이 카세트 케이스(31) 내에 장착된다. 제1 테이프 스풀(40) 상에 권취된 인쇄 테이프(57)는 제1 테이프 영역(400) 내에 수납된다. 리본 스풀(42) 상에 권취된 미사용 잉크 리본(60)은 제1 리본 영역(420) 내에 수납된다. 리본 테이크업 스풀(44) 상에 권취된 사용된 잉크 리본(60)은 제2 리본 영역(440) 내에 수납된다. 리셉터식 테이프 카세트(30)는 제2 테이프 스풀(41)을 포함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제2 테이프 영역(410)에는 아무것도 수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서멀식 테이프 카세트(30)의 경우에, 감열 종이 테이프(55)가 카세트 케이스(31) 내에 장착된다. 제1 테이프 스풀(40) 상에 권취된 감열 종이 테이프(55)는 제1 테이프 영역(400) 내에 수납된다. 서멀식 테이프 카세트(30)는 제2 테이프 스풀(41) 및 리본 스풀(42)을 포함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제2 테이프 영역(410), 제1 리본 영역(420) 및 제2 리본 영역(440)에는 아무것도 수납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 인쇄 매체, 즉 감열 종이 테이프(55), 인쇄 테이프(57) 또는 필름 테이프(59)를 지칭할 때는, 간략하게 테이프라고 지칭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전체적으로 반원형 형상을 가지는 반원 홈(340)이 카세트 케이스(31)의 전방벽에 제공되며, 카세트 케이스(31)의 높이 위로 연장된다[다시 말해서, 상면(301)으로부터 바닥면(302)까지 연장된다]. 반원 홈(340)은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될 때 샤프트 지지부(121)와 카세트 케이스(31)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기능하는 리세스이다. 샤프트 지지부(121)는 플래튼 홀더(12)의 회전의 중심이다.

    카세트 케이스(31)의 전방벽에서, 반원 홈(340)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는 섹션을 아암 전방벽(35)이라고 지칭한다. 아암 전방벽(35)과 아암 후방벽(37)에 의해 한정되고 테이프 카세트(30)의 우측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아암부(34)라고 지칭한다. 아암 후방벽(37)은 아암 전방벽(35)의 후방에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카세트 케이스(31)의 높이 위로 연장된다. 아암 전방벽(35)의 좌측단부는 후방 방향으로 만곡되고, 아암 전방벽(35)과 아암 후방벽(37)의 좌측 단부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간격은 아암부(34)로부터 테이프[잉크 리본(60)]이 배출되는 출구(341)이다. 또한, 아암 표식부(800) 및 래칭 홀(820)이 아암 전방벽(35)에 제공된다. 아암 표식부(800) 및 래칭 홀(820)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34)에서, 제1 테이프 스풀(40) 또는 제2 테이프 스풀(41)로부터 인출되는 테이프는 아암 전방벽(35)과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이송 경로를 따라서 지향되며 출구(341)를 통해서 배출된다. 또한 아암부(34)에서, 리본 스풀(42)로부터 인출되는 잉크 리본(60)은 테이프용 이송 경로와는 상이한 다른 이송 경로를 따라서 지향된다. 출구(341)에서, 잉크 리본(60)은 테이프와 중첩되고, 이후에 출구(341)를 통해 배출된다.

    아암 후방벽(37)과 아암 후방벽(37)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주연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헤드 삽입부(39)이다. 헤드 삽입부(39)는 또한 테이프 카세트(30)의 전방측에 제공된 개구(77)를 통해, 테이프 카세트(30)의 전방측에서 외부로 연결된다. 테이프 인자기(1)의 서멀 헤드(10)를 지지하는 헤드 홀더(74)가 헤드 삽입부(39)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서멀 헤드(10)는 잉크 리본(60)을 사용하여, 개구(77)(도 5 내지 도 8 참조)에서 아암부(34)의 출구(341)를 통해 배출되는 테이프 상에 인쇄를 수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정합하는 한쌍의 규제 부재(361 및 362)가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39)의 하류측상에 제공된다. 규제 부재(361 및 362)는 출구(341)를 통해 배출되고 위에 인쇄가 수행된 테이프를 헤드 삽입부(39)의 하류 단부의 근방의 테이프 배출부(49)를 향해 지향시킨다.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인쇄를 위해 사용된 잉크 리본(60)은 규제 부재(361 및 362)가 상류측에서 테이프로부터 분리되고, 분리 이송 경로를 따라서 이송되며, 이후에 리본 테이크업 스풀(44)에 의해 수용된다.

    지지 홀(64)(도 21 참조)이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규제 부재(361 및 362)의 하류측에 제공되며, 테이프 구동 롤러(46)가 지지 홀(64)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적층식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된 경우에, 테이프 구동 롤러(46)는 대향 가동식 이송 롤러(14)와 협력하여 운동함으로써, 제2 테이프 스풀(41)로부터 필름 테이프(59)를 인출한다. 동시에, 테이프 구동 롤러(46)는 제1 테이프 스풀(40)로부터 양면 접착 테이프(58)를 인출하고, 양면 접착 테이프(58)를 필름 테이프(59)의 인쇄면으로 안내하여 이들을 함께 접합하고, 이후에 이들을 인쇄된 테이프(50)로서 테이프 배출부(49)를 향해 이송한다.

    도 7에 도시된 리셉터식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된 경우에, 인쇄 테이프(57)는 가동식 이송 롤러(14)와 협력하여 운동하는 테이프 구동 롤러(46)에 의해 제1 테이프 스풀(40)로부터 인출된다. 서멀 헤드(10)의 하류측에서, 인쇄된 인쇄 테이프(57), 즉, 인쇄된 테이프(50)가 테이프 배출부(49)를 향해 규제 부재(361 및 362)에 의해 지향된다. 또한, 헤드 삽입부(39)를 통해 이송된 사용된 잉크 리본(60)이 규제 부재(361 및 362)의 상류측에서 인쇄 테이프(57)로부터 분리되고 리본 테이크업 스풀(44)을 향해 지향된다.

    도 8에 도시된 서멀식 테이프 카세트(30)가 설치된 경우에, 감열 종이 테이프(55)가 가동식 이송 롤러(14)와 협력하여 운동하는 테이프 구동 롤러(46)에 의해 제1 테이프 스풀(40)로부터 인출된다. 서멀 헤드(10)의 하류측에서, 인쇄된 감열 종이 테이프(55), 즉, 인쇄된 테이프(50)가 규제 부재(361 및 362)에 의해 테이프 배출부(49)를 향해 지향된다.

    테이프 배출부(49)는 카세트 케이스(31)에 이송된 테이프의 이송 경로 상의 최하류 위치에 위치된다. 테이프 배출부(49)는 상면(301)과 바닥면(302) 사이에서 연장되며 카세트 케이스(31)의 좌측벽의 전방 단부로부터 약간 분리되는 판형 부재이다. 테이프 배출부(49)는 규제 부재(361 및 362) 및 테이프 구동 롤러(46)를 통해 이송된 인쇄된 테이프(50)를 테이프 배출부(49)와 카세트 케이스(31)의 좌측벽의 전방 단부 사이에 형성된 통로내로 지향시킨다. 이후 인쇄된 테이프(50)는 통로의 하류 단부에 위치된 테이프 배출 구멍으로부터 배출된다.

    다음에, 아암부(34)의 아암 전방벽(35)에 제공된 아암 표식부(800) 및 래칭 홀(820)에 대해서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되고 플래튼 홀더(12)가 인쇄 위치(도 6 내지 도 8 참조)를 향해 이동할 때, 카세트 대향면(122)에 제공된 아암 검출부(200) 및 래칭편(225)은 각각 아암 표식부(800) 및 래칭 홀(820)과 대면한다.

    아암 표식부(800)는 테이프 카세트(30) 내에 장착된 테이프의 유형을 사람이 식별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또한, 아암 검출부(200)의 아암 검출 스위치(210)를 선택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아암 표식부(800)는 테이프 인자기(1)가 테이프 카세트(30)의 테이프 유형을 검출하게 한다. 래칭편(225)은 래칭 홀(820) 내로 삽입된다.

    아암 표식부(800)는 복수의 표식을 포함한다. 각각의 표식은 각각의 아암 검출 스위치(2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된 비가압부(801) 또는 가압부(802) 중 하나이다. 비가압부(801)는 정면도에서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스위치 홀이다. 스위치 단자(222)는 비가압부(801)를 통해 삽입되고 제거될 수 있다. 가압부(802)는 아암 전방벽(35)의 표면부이다. 그러므로, 스위치 단자(222)는 가압부(802) 내에 삽입될 수 없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아암 표식부(800)는 5개 아암 검출 스위치(210)에 상응하는 5개 위치 각각에 비가압부(801) 및 가압부(802) 중 하나를 포함한다.

    비가압부(801) 및 가압부(802)는 테이프 카세트(30)의 유형에 상응하게 특정 패턴으로 배열된다. 이하에서, "표식"은 비가압부(801)와 가압부(802)를 집합적으로, 또는 비가압부(801)와 가압부(802) 중 특정되지 않은 하나를 지칭한다.

    표식부(800) 및 래칭홀(820)의 구조에 대해서 도 4 및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16에, 테이프 카세트(30) 내에 수납된 인쇄된 테이프(50)[적층식 테이프 카세트(30)의 예에서 필름 테이프(59) 및 양면 접착 테이프(58)]의 테이프 폭이 소정 폭(예컨대, 18 mm) 보다 크거나 같을 때[이하에서 광폭 테이프 카세트(30)라고 지칭함], 아암 표식부(800) 및 래칭홀(820)의 예가 도시된다. 한편, 도 17 및 도 18에, 테이프 카세트(30) 내에 수납된 필름 테이프(59)에 대한 인쇄된 테이프(50)의 테이프 폭이 소정 폭보다 작을 때[이하에서 협폭 테이프 카세트(30)라고 지칭함], 표식부(800) 및 래칭홀(820)의 예가 도시된다.

    우선, 아암 표식부(800)를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표식부(800)의 표식[비가압부(801) 및 가압부(802)] 중 적어도 일부가 아암 전방벽(35)의 소정의 높이 범위(T1)[이하에서 소정 높이(T1)이라고 지칭함] 내에 제공된다. 소정 높이(T1)는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테이프 카세트(30) 중에 최소 높이를 가지는 테이프 카세트(30)에 대한 카세트 케이스(31)의 높이이다.

    아암 전방벽(35)의 소정의 높이(T1)의 범위 내의 영역은 공통 표식부(831)라고 지칭한다. 양호하게, 공통 표식부(831)는 카세트 케이스(31)의 수직(높이) 방향으로 아암 전방벽(35)의 중심을 지시하는 중심선(N)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대칭인 영역이다. 표식[비가압부(801) 및 가압부(802)] 중 적어도 일부는 공통 표식부(831) 내에 제공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광폭 테이프 카세트(30)의 경우에, 아암 전방벽(35)의 소정 높이(T2) 내의 공통 표식부(831)의 상방 또는 하방 중 적어도 한쪽에 추가적인 표식이 제공될 수 있다. 공통 표식부(831) 외측이며 아암 전방벽(35)의 소정의 높이(T2) 내부인 영역을 연장부(832)라고 지칭한다.

    제1 실시예에서, 각 표식의 위치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상이하다. 다시 말해서, 어떤 표식도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열을 이루지 않고, 5개의 표식이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열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표식을 연결하는 선은 테이프 카세트(30)의 삽입 및 제거 방향인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 방향과 교차한다.

    제1 실시예에서, 도 16에 도시된 광폭 테이프 카세트(30)에서, 5개의 표식 중 4개가 공통 표식부(831)의 높이(T1) 내에 2개 열로 제공되며, 나머지 하나의 표식이 공통 표식부(831) 하방의 연장부(832) 내로 연장하여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통 표식부(831) 내의 상부 열에서, 비가압부(801)가 테이프 카세트(30)의 좌측에 제공되고, 가압부(802)가 테이프 카세트(30)의 우측에 제공된다. 공통 표식부(831) 내의 하부 열에서, 가압부(802)가 테이프 카세트(30)의 좌측에 제공되고, 비가압부(801)가 테이프 카세트(30)의 우측에 제공된다. 또한, 가압부(802)가 공통 표식부(831) 하방의 연장부(832) 내로 연장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광폭 테이프 카세트(30)에서, 보다 넓은 아암 전방벽(35)에 상응하는 보다 넓은 영역에 아암 표식부(800)를 가짐으로써, 테이프 인자기(1)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테이프 유형의 수가 증가될 수 있다.

    소정의 폭 보다 같거나 큰 폭을 가지는 테이프 카세트(30)로써,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식[도 16의 최하부 열 내의 가압부(802)]이 공통 표식부(831)의 상방 및 하방의 연장부(832) 중 적어도 하나 내로 공통 표식부(831)로부터 연장하여 제공될 때,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피 홀(803)이 협폭 테이프 카세트(30) 내의 대응 위치에 제공된다. 회피 홀(803)은 대향 아암 검출 스위치(210)를 가압하지 않도록 형성된 관통 홀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회피 홀(803) 대신에, 내부를 향하여 단차식으로 절곡함으로써, 회피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구조를 가지는 아암 표식부(800)를 사용하는 테이프 카세트(30)의 유형의 검출에 대해서,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래칭홀(820)은 평면도에서 수평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관통 홀이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될 때, 래칭홀(820)은 래칭편(225)이 자유롭게 삽입 또는 제거될 수 있도록 래칭편(225)(도 5 참조)을 대면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래칭홀(820)은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 방향으로 아암 표식부(800)의 모든 표식 보다 위에, 그리고 상단 케이스(311)와 바닥 케이스(312) 사이의 결합부 아래에 형성된다. 래칭홀(820)은 좌우 방향으로 가장 우측에 위치 설정된 표식[도 16에 도시된 예에서 최하방 열 내의 가압부(802)]과 중첩된다. 래칭홀(820)의 하부 벽의 일부는 아암 전방벽(35)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상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821)이다(도 34 참조). 다시 말해서, 수직 방향으로 래칭홀(820)의 개방 폭은 아암 전방벽(35)에서 최대이고 내부를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카세트 케이스(31)의 바닥 케이스(312) 및 상단 케이스(311)의 구조에 대해서 도 19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층식 테이프 카세트(30)가 사용될 때, 필름 테이프(59), 양면 접착 테이프(58) 및 잉크 리본(60)의 배열 위치 및 이송 경로는 이점쇄선으로 도시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우선, 바닥 케이스(312)의 구조에 대해서 도 19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케이스(312)의 주연부는 바닥면(302) 및 하부 주연벽(304)으로 형성된다. 하부 주연벽(304)은 바닥면(302)을 형성하는 바닥벽(306)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부 주연벽(304)의, 아암 전방벽(35)의 하부 부분을 형성하는 섹션은 하부 아암 전방벽(352)이라고 지칭한다. 또한, 아암 후방벽(37)의 하부를 형성하는 벽은 하부 아암 후방벽(372)이라고 지칭한다. 하부 아암 후방벽(372)은 바닥벽(306)으로부터 직립하며, 하부 아암 전방벽(352)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이격된다. 하부 아암 후방벽(372)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헤드 삽입부(39)의 하부 부분을 형성하는 주연벽을 하부 헤드 주연벽(373)이라고 지칭한다.

    바닥 케이스(312) 내의 헤드 삽입부(39) 주변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지지 수용부가 바닥 케이스(312)의 헤드 삽입부(39)의 외측 주연부 상에 헤드 삽입부(39)를 대면하는 위치에서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 수용부(391) 및 제2 지지 수용부(392)가 테이프의 이송 방향으로 서멀 헤드(10)의 삽입 위치[보다 구체적으로, 인쇄 위치, 즉, 가열 소자열(10A)의 위치](도 5 내지 도 8 참조)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제공된다. 이하에서, 제1 지지 수용부(391) 및 제2 지지 수용부(392)는 때때로 지지 수용부(391 및 392)로 집합적으로 지칭된다. 지지 수용부(391 및 392)는 테이프 카세트(30)가 테이프 인자기(1) 내에 설치될 때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 카세트(3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지지 수용부(391)는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아암부(34)의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며, 또한 헤드 삽입부(39)의 상류측 단부에 접속된다. 제2 지지 수용부(392)는 헤드 삽입부(39)의 하류측 단부에 연결된다.

    각각의 제1 지지 수용부(391) 및 제2 지지 수용부(392)는 바닥면(302)으로부터 상면(301)을 향해 연장되는 오목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1 지지 수용부(391) 및 제2 지지 수용부(392)는 헤드 삽입부(39)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하부 헤드 주연벽(373)]에 연결되는 바닥벽(306)의 섹션을 상향으로 함몰시킴으로써 형성된 오목부이다. 또한, 제1 지지 수용부(391)는 아암 전방벽(35)에 평행한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39)를 대면한다. 제2 지지 수용부(392)는 아암 전방벽(35)에 수직인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39)를 대면한다. 다시 말해서, 제1 지지 수용부(391)와 제2 지지 수용부(392)는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39)를 대면한다.

    전술된 구성은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될 때, 헤드 홀더(74)의 서멀 헤드(10)의 가열 소자열(10A)의 위치, 즉, 인쇄 위치와 관련하여, 선택적으로 이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헤드 홀더(74)의 제1 지지부(741)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지지 수용부(391)는 가열 소자열(10A)에 대해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39)의 최상류측을 향하는 방향(제1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39)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헤드 홀더(74)의 제2 지지부(742)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지지 수용부(392)는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39)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 지지 수용부(391) 및 제2 지지 수용부(392)는 각각 제1 하부 편평면(391B) 및 제2 하부 편평면(392B)을 가진다.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및 392B)은 모두 바닥면(302)의 상방에 위치 설정된다. 각각의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및 392B)은 저면도에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편평부(오목부의 천장벽부)의 하부면이다. 바닥 케이스(312)의 수직 방향(높이 방향)으로의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및 392B)의 위치와 카세트 케이스(31) 내에 수납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방향으로의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는 테이프 카세트(30)의 유형에 무관하게 일정하다. 다시 말해서,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 방향으로의 높이가 상이한 경우에도 이 거리는 일정하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30) 내에 수납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이 클수록, 바닥벽(306) 내에 제공된 지지 수용부(391 및 392)의 오목부의 깊이는 커진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및 392B)은 동일한 거리에서 폭 방향으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중심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다. 다시 말해서,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및 392B)은 바닥 케이스(312) 내에서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다. 제1 실시예에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방향으로의 중심 위치는 수직 방향으로 카세트 케이스(31)의 중심 위치와 일치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및 392B)은 바닥 케이스(312)의 기준면이다. 기준면은 소정 부분 또는 부재의 치수를 설정하거나 측정할 때 기준 지점으로서 사용되는 표면이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및 392B)이 폭 방향으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동을 제한하는 다양한 규제부(이후에 설명함)에 대한 기준면으로서 제공된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될 때,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및 392B)은 헤드 홀더(74)에 제공된 카세트 지지부(741 및 742)에 의해 아래로부터 각각 지지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1 원통형 부재(861)가 제1 지지 수용부(391)의 상부측 상에 직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원통형 부재(861)는 제1 하부 편평면(391B)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1 하부 편평면(391B)의 상방에 제공된다. 원통 형상을 가지는 제2 원통형 부재(862)가 제2 지지 수용부(392)의 상부측 상에 직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원통형 부재(862)는 제2 하부 편평면(392B)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2 하부 편평면(392B)의 상방에 제공된다. 제1 원통형 부재(861) 및 제2 원통형 부재(862)는 각각 하부 헤드 주연벽(373)과 접촉한다. 제1 및 제2 원통형 부재(861 및 862)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그러므로, 이하에서 대표적으로 제1 원통형 부재(861)의 구조에 대해서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통형 부재(861)는 원통형 홀(891)을 가진다. 원통형 홀(891)은 테이프 카세트(30)의 바닥면(302)을 관통하지 않는 오목부이며, 평면도에서 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대체예로서 원통형 홀(891)은 테이프 카세트(30)의 바닥면(302)을 관통하는 관통 홀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원통형 홀(891)의 개구 직경은 상부 단부를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져서, 직경은 상부 단부에서 최대가 된다. 결과적으로, 상단 케이스(311)(이후에 설명됨)의 제1 삽입 핀(871)(도 25 및 도 26 참조)은 제1 원통형 부재(861)의 원통형 홀(891)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원통형 부재(861)의 원통형 홀(891) 내로 제1 삽입 핀(871)을 삽입함으로써 제1 피팅부(881)가 형성된다(도 20 내지 도 29 참조). 유사한 방식으로, 제2 원통형 부재(862)의 원통형 홀(891) 내로 상단 케이스(311)(이후에 설명됨)의 제2 삽입 핀(872)(도 25 참조)을 삽입함으로써 제2 피팅부(882)(도 20 참조)가 형성된다. 제1 및 제2 피팅부(881 및 882)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케이스(312)의 헤드 삽입부(39)의 주연부 상의 헤드 삽입부(39)와 대면하는 위치, 및 헤드 삽입부(39)의 길이 방향으로 제1 지지 수용부(391)와 제2 지지 수용부(392)의 사이에 래칭부(397)가 제공된다. 래칭부(397)는 헤드 삽입부(39)의 길이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중심 위치에서 아암 후방벽(37)과 대면하는 하부 헤드 주연벽(373)의 섹션 상에 제공된다. 래칭부(397)는 바닥면(302)으로부터 소정의 높이 위에 하부 헤드 주연벽(373) 내에 형성된 부분 절결부로서 형성된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될 때, 래칭부(397)[절결 하부 헤드 주연벽(373)의 상부 단부]가 카세트 후크(75)의 갈고리부(752)를 대면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될 때, 카세트 후크(75)는 래칭부(397)와 체결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헤드 주연벽(373)의,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39)의 하류 단부를 형성하는 좌측 벽부는 리본 가이드 벽(47)으로 지칭한다. 리본 가이드 벽(47)은 규제 부재(362)에 인접하게 그 상류측에 제공된다. 잉크 리본(60)의 이송 경로는 리본 스풀(42)이 위치 설정된 제1 리본 영역(420)으로부터, 아암부(34) 및 개구(77)를 경유하여, 리본 테이크업 스풀(44)이 위치 설정된 제2 리본 영역(440)으로 연장된다. 리본 가이드 벽(47)은 출구(341)를 통해 배출되고 인쇄에 사용된 리본(60)이 개구(77)에서 이송 경로를 따라서 절곡되게 만들고, 이를 제2 리본 영역(440)을 향해 지향시킨다. 헤드 삽입부(39)의 하류 단부에 연결된 제2 지지 수용부(392)는 리본 가이드 벽(47)으로부터 제2 리본 영역(440)으로 연장되는 잉크 리본(60)의 이송 경로의 전방에 위치 설정된다.

    다음에, 아암부(34)의 일부를 형성하는 바닥 케이스(312)의 섹션의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케이스(312)의 아암부(34)의 섹션은 하부 아암 전방벽(352), 하부 아암 후방벽(372), 및 하부 아암 전방벽(352)과 하부 아암 후방벽(372) 사이에 제공된 이격벽(33)을 포함한다. 주형 출구 홀(850)은 하부 아암 전방벽(352)의 좌측 단부 상의 절곡부의 우측 상에 제공된다. 주형 출구 홀(850)은 아암 하부 전방벽(352)의 상부를 절결함으로써, 정면도에서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단 케이스(311)가 바닥 케이스(312)와 결합될 때, 관통 홀이 아암 전방벽(35)에 형성된다(도 4 참조).

    이격벽(33)은 아암부(34)의 3개 벽 중에 가장 높게 형성되고, 이격벽(33)의 높이는 카세트 케이스(31) 내에 수납된 테이프의 폭 보다 약간 크다. 하부 아암 전방벽(352)의, 주형 출구 홀(850)의 좌측 상의 섹션은 이격벽(33)의 높이의 대략 절반의 높이를 가지며, 주형 출구 홀(850)의 우측 상의 섹션은 이격벽(33)의 높이의 대략 2/3의 높이를 가진다. 하부 아암 후방벽(372)은 이격벽(33) 보다 약간 낮으며, 그 높이는 잉크 리본(60)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또한, 평면도에서 원통 형상을 가지는 이격벽(33)의 우측 단부는 아암부(34)의 대략 중심에 위치 설정된다. 이격벽(33)의 좌측 단부는 바닥 케이스(312)의 전후 방향으로 하부 아암 전방벽(352) 상에 제공된 주형 출구 홀(850)과 대면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주형 출구 홀(850)은 바닥 케이스(312)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주형의 출구 홀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도 20에 도시된 예의 필름 테이프(59)]의 이송 경로는 하부 아암 전방벽(352)과 이격벽(33) 사이에 형성된다. 잉크 리본(60)의 이송 경로는 이격벽(33)과 하부 아암 후방벽(372) 사이에 형성된다.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방향[카세트 케이스(31)의 수직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규제부가 이들 이송 경로 상에 제공된다.

    우선, 테이프 이송 경로 상에, 하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및 382B)가 이격벽(33)의 좌측 단부의 하부 단부 상과, 이격벽(33)의 우측 단부의 하부 단부 상에 각각 제공된다.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및 382B)는 각각 바닥벽(306)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약간 돌출된다.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및 382B)는 각각 전방을 향해 연장하여 하부 아암 전방벽(352)에 도달한다. 또한, 상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격벽 규제부(383)가 이격벽(33)의 좌측 단부의 상부 단부 상에 제공된다. 이격벽 규제부(383)는 전방으로 이격벽(33)의 상부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편이다.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및 382B)와 이격벽 규제부(383) 사이의 수직 방향으로의 거리는 테이프의 폭과 동일하다.

    잉크 리본(60)의 이송 경로에서, 하향 방향으로 잉크 리본(6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387B)가 분리 벽(33)의 좌측 단부의 하부 단부 및 분리 벽(33)의 우측 단부의 하부 단부에 각각 제공된다.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387B)는 각각 바닥벽(306)의 상부면으로부터 상향 방향으로 약간 돌출한다.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는 분리 벽(33)의 좌측 단부로부터 후향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연장하여 하부 아암 후방벽(372)의 좌측 단부에 도달한다.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7B)는 분리 벽(33)의 우측 단부로부터 후향 연장하여 하부 아암 후방벽(372)에 도달한다.

    바닥 케이스(312)의 수직 방향으로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 분리 벽 규제부(383) 및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387B)의 높이 위치는 기준면으로서 지지 수용부(391, 392)의 상술된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의 돌출 단부(상단 단부)와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는 테이프 폭에 따라 설정된다. 분리 벽 규제부(383)의 바닥 단부와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도 또한 테이프 폭에 따라 설정된다.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387B)의 돌출 단부와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는 잉크 리본(60)의 폭에 따라 설정된다. 상술된 규제부의 전부는 아암부(34) 내부에 제공되고,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은 각각 헤드 삽입부(39)의 상류 단부 및 하류 단부의 부근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 규제부의 각각은 기준면으로서 사용되는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의 부근에 위치된다.

    규제부의 치수 설정 및 제조 후의 치수 측정이 실행될 때, 공지된 기술에서 사용되는 기준점 위치[예를 들면, 핀 구멍(62, 63)의 천장벽부]는 규제부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따라서 기준점 지점 및 규제부는 종종 다른 주형 블록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기준 위치의 블록이 규제부로부터 더욱 이격될수록, 제조된 테이프 카세트의 규제부의 치수 에러는 더 커진다. 더욱이, 기준점 위치 및 규제부가 동일한 블록을 사용하여 형성된 경우에도, 기준 위치 및 규제부가 분리된 위치에 있을 때, 측정 에러가 또한 발생할 수 있어 치수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규제부와 기준면 사이의 거리가 더 짧을 때, 측정 에러는 일어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규제부 및 기준면 둘다가 동일한 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을 때 더욱더 그를 것이다.

    동일한 주형 블록(84)을 사용한 규제부 및 기준면의 형성이 도 2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23에서 설명을 위해 필요하지 않은 일부 부분은 생략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하라. 예를 들면, 제1 원통형 부재(861) 등이 도시되지 않는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케이스(312)를 제조할 때, 제1 하부 편평면(391B) 및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는 동일한 주형 블록(84)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387B) 및 제2 하부 편평면(392B)도 또한 동일한 주형 블록(84)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지만,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하라.

    주형 블록(84)은 상부 인서트(841) 및 하부 인서트(842)를 포함한다. 바닥 케이스(312)의 바닥면(302)과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은 하부 인서트(842)에 의해 주형된다. 또한,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 및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387B)는 상부 인서트(841)에 의해 주형된다.

    이 방식으로,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 및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387B)는 상부 인서트(841) 및 하부 인서트(842)를 포함하는 동일한 주형 블록(84)을 사용하여 주형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 및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387B)가 개별적인 블록을 사용하여 주형되는 경우에 비해서, 치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규제부 및 기준면이 상호 근접 위치에 있기 때문에, 측정 에러가 적어질 수 있고 따라서 치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아암부(34)가 서멀 헤드(10)에 의해 인쇄가 실행되는 위치 즉, 개구(77)(도 5 참조)의 상류측의 부근에 있기 때문에, 아암부(34) 내부에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인쇄 정확도가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조 후에 각각의 규제부의 치수 제어가 기준면으로서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을 사용하여 쉽게 실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 카세트(30)에 대해 제품 검사를 수행할 때, 기준면인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는 지그의 장착면에 위치될 수 있고 각각의 규제부의 치수가 측정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규제부와 기준면이 공지된 기술에서보다 서로 가깝기 때문에, 제품 검사자는 치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된 주형 블록(84)에 의해서 주형된 테이프 카세트(30)의 경우, 몰딩 후의 바닥 케이스(312)의 제1 하부 편평면(391B)은 지그의 장착면에 위치된다. 그런 후, 수직 방향으로 제1 하부 편평면(391B)과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 사이의 거리(D)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은 카세트 케이스(31)에 수용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으로의 중앙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로 이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의 수직 위치에 대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수직 위치가 가까워질수록,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으로의 중앙 위치와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 사이의 거리는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따라서, 다양한 폭을 갖는 복수 종류의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을 각각 수용하는 테이프 카세트(30)에서,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의 위치는 균일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카세트 케이스(31)의 치수 측정 및 따라서 부품의 제어가 쉽게 이뤄질 수도 있다.

    또한, 아암부(34) 내부의 각각의 규제부는 바닥 케이스(312)의 좌우 방향으로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 사이에 위치 설정되고, 양 기준면의 부근에 위치된다. 따라서, 기준면 중 어느 하나가 치수 설정 및 치수 측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양 기준면이 치수 설정 및 치수 측정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양 기준면을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규제부의 측정 시에 치수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측정 후에 치수 제어가 더욱 정확하게 그리고 더욱 쉽게 실행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핀(327)이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아암부(34)로부터 더욱 상류측에서 제3 코너부(323)의 부근에 제공된다. 가이드 핀(327)에는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와 유사하게,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는 규제부(384B)가 제공된다.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와 유사하게, 규제부(384B)의 치수 설정 및 치수 제어도 또한 기준면으로서 제1 지지 수용부(391)의 제1 하부 편평면(391B)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하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하부 테이프 규제부(363)가 헤드 삽입부(39)의 하류 단부에 인접한 바닥 케이스(312)에 제공된 규제부(362)의 베이스부에 제공된다. 바닥 케이스(312)의 수직 방향으로 제2 하부 테이프 규제부(363)의 높이 위치는 기준면으로서 제2 하부 편평면(392B)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제2 하부 테이프 규제부(363)의 돌출 단부(상단 단부)와 제2 하부 편평면(392B) 사이의 거리는 테이프 폭에 따라 설정된다. 제2 하부 편평면(392B)은 헤드 삽입부(39)의 하류 단부에 또한 인접한 제2 지지 수용부(392) 내에 있다. 따라서, 기준면으로서 제2 하부 편평면(392B)을 사용함으로써, 제2 하부 테이프 규제부(363)의 제조 시에 치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제조 후에 치수 제어가 쉽게 실행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2 하부 테이프 규제부(363)의 돌출 단부와 제2 하부 편평면(392B) 사이의 거리는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의 돌출 단부와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다시 말해, 규제 부재(362)에 제공된 제2 하부 테이프 규제부(363)의 높이 위치는 아암부(34)에 제공된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의 높이 위치와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테이프의 이동이 각각의 규제부에 의해 하향 방향으로 제한될 수 있고,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설정이 적절하게 실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테이프는 테이프의 폭 방향으로의 중앙 라인과 평행하게 아암부(34)로부터 규제 부재(362)까지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코너부(321, 322)의 수용 파트를 형성하는 바닥 케이스(312)의 섹션과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수용 영역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케이스(312)는 제1 코너부(312)의 하부면인 제3 편평면(321B) 및 제2 코너부(322)의 하부면인 제4 하부 편평면(322B)을 포함한다. 제3 하부 편평면(321B) 및 제4 하부 편평면(322B)은 둘다 바닥면(302) 위에 위치 설정된 편평면이다.

    제3 및 제4 하부 편평면(321B, 322B)의 위치와 폭 방향으로의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중앙 위치 사이의 바닥 케이스(312)의 수직 방향(높이 방향)의 거리는 테이프 카세트(30)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한다. 즉, 거리는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 방향의 높이가 다른 경우에도 일정하다. 따라서, 카세트 테이프(30) 내에 수용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이 클수록, 바닥면(302)으로부터 제3 및 제4 하부 편평면(321B, 322B)까지의 거리가 크다.

    제1 실시예에서, 상술된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과 제3 및 제4 하부 편평면(321B, 322B)은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으로의 중앙 위치[제1 실시예에서, 카세트 케이스(31)의 수직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 제1, 제2, 제3 및 제4 하부 편평면(391B, 392B, 321B, 322B)은 모두 바닥 케이스(312)에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제3 및 제4 하부 편평면(321B, 322B)은 하향 방향으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동을 제한하는 규제부에 대한 기준면으로 사용된다.

    바닥 케이스(312)는 제1 테이프 영역(400)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1 하부 테이프 영역(400B), 제2 테이프 영역(410)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2 하부 테이프 영역(410B), 제1 리본 영역(420)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1 하부 리본 영역(420B) 및 제2 리본 영역(440)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2 하부 리본 영역(440B)을 포함한다.

    제3 원통형 부재(863)가 제3 하부 편평면(321B)의 후방면, 즉 바닥 케이스(312)의 내측면측 상에 서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3 원통형 부재(863)는 제3 하부 편평면(321B)에 직각인 방향으로 제3 하부 편평면(321B) 위에 제공된다. 제1 하부 테이프 영역(400B)의 좌측 후방측 상에서, 제3 원통형 부재(863)가 제1 주위 벽(70)와 접촉한다. 제3 원통형 부재(863)의 구조는 상술된 제1 원통형 부재(861)(도 22 참조)와 동일하다. 제1 주위 벽(70)은 제1 하부 테이프 영역(400B)을 따라 연장하는 벽이다. 제1 주위 벽(70)은 제1 하부 테이프 영역(400B)의 후방측의 약간 좌측으로부터 제1 하부 테이프 영역(400B)의 좌측의 약간 후방으로 연장하는, 평면도에서 원호 형상으로 제공된다. 제3 원통형 부재(863)는 제3 삽입 핀(873)과 결합하여(도 25 참조)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제3 피팅부(883)를 형성하다.

    제4 원통형 부재(864)는 제4 하부 편평면(322B)의 후방면, 즉 바닥 케이스(312)의 내측면측에 서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4 원통형 부재(863)는 제4 하부 편평면(322B)에 직각인 방향으로 제4 하부 편평면(322B) 위에 제공된다. 또한, 제4 원통형 부재(864)는 제2 하부 테이프 영역(410B)의 후방 우측에 제공되고 제2 주위 벽(71)과 접촉한다. 제4 원통형 부재(864)의 구조는 상술된 제1 원통형 부재(861)(도 22 참조)의 것과 동일하다. 제2 주위 벽(71)은 제2 하부 테이프 영역(410B)의 좌측으로부터 제2 하부 테이프 영역(410B)를 따라 우측 전방측까지 후방측을 통해서 연장하는, 평면도에서 원호 형상으로 제공된다. 제4 원통형 부재(864)는 제4 삽입 핀(874)과 결합하여(도 25 참조) 후에 상세하게 설명될 제4 피팅부(884)를 형성한다.

    돌출부가 바닥벽(306)의 상부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약간 돌출하도록 제1 하부 테이프 영역(400B)에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링 형상의 돌출부가 제1 테이프 스풀(40)이 수용될 제1 하부 테이프 영역(400B)의 중앙 위치에 제공된다. 또한, 3개의 라인 형상의 돌출부가 링 형상의 돌출부로부터 제1 하부 테이프 영역(400B)의 주위 에지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들 돌출부는 집합적으로 제3 하부 테이프 규제부(40B)로 참조된다. 제3 하부 테이프 규제부(40B)는 제1 테이프 스풀(40)에 감겨서 제1 테이프 영역(400) 내에 수용되는 감열지 테이프(55), 인쇄 테이프(57) 및 양면 접착 테이프(58)(도 5 내지 도 8 참조)의 하향 방향의 이동을 제한한다.

    바닥 케이스(312)의 수직 방향으로의 제3 하부 테이프 규제부(40B)의 높이 위치는 제1 코너부(321)의 인접한 제3 하부 편평면(321B)을 기준면으로 사용함으로써 설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3 하부 테이프 규제부(40B)의 돌출 단부(상단 단부)와 제3 하부 편평면(321B)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는 테이프의 폭에 따라 설정된다. 따라서, 기준면으로서 제3 하부 편평면(321B)을 사용함으로써, 제3 하부 테이프 규제부(40B)의 제조 시에 치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제조 후 치수 제어가 쉽게 실행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3 하부 테이프 규제부(40B)의 돌출 단부와 제3 하부 편평면(321B)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는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의 돌출 단부와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고, 또한 제2 하부 테이프 규제부(363)의 돌출 단부와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다시 말해, 제1 하부 테이프 영역(400B)에 제공된 제3 하부 테이프 규제부(40B)의 높이 위치는 아암부(34)에 제공된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의 높이 위치와 동일하고, 또한 규제 부재(362)에 제공된 제2 하부 테이프 규제부(363)의 높이 위치와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테이프의 이동은 각각의 규제부에 의해 하향 방향으로 제한되고, 수직 방향의 위치설정은 테이프가 이송되는 동안 바르게 실행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리셉터식 및 서멀식 테이프 카세트(30)의 경우, 인쇄 테이프(57) 또는 감열지 테이프(55)는, 제1 테이프 영역(400)으로부터 아암부(34)를 통해 규제 부재(362)까지,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중앙 라인과 평행하게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적층식 테이프 카세트(30)의 경우, 필름 테이프(59)는 아암부(34)로부터 규제 부재(362)까지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중앙 라인과 평행하게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양면 접착 테이프(58) 및 필름 테이프(59)는 이들의 위치가 수직 방향으로 일치된 상태에서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사용된 잉크 리본(60)을 위한 이송 경로는 헤드 삽입부(39)의 하류 단부에 위치설정된 리본 가이드벽(47)의 후단부로부터 제2 하부 리본 영역(440B)까지 연장한다. 격벽(48)이 사용된 잉크 리본(60)을 위한 이송 경로와 제1 하부 테이프 영역(400B) 사이에서 제1 하부 테이프 영역(400B)의 외주를 따라 제공된다. 격벽(48)은 사용된 잉크 리본(60)과 제1 테이프 스풀(40)에 감긴 양면 접착 테이프(58) 사이의 상호 접촉을 방지한다.

    하향 방향으로의 잉크 리본(6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하부 리본 규제부(388B)가 리본 가이드 벽(47)의 후단부에 제공된다. 제2 하부 리본 규제부(388B)는 바닥벽(306)의 상부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약간 돌출하고 제1 하부 테이프 영역(400B)의 전방의 소정 위치까지 후향 방향으로 연장한다.

    바닥 케이스(312)의 수직 방향으로의 제2 하부 리본 규제부(388B)의 높이 위치는 헤드 삽입부(39)의 하류 단부에 인접한 제2 지지 수용부(392)의 제2 하부 편평면(392B)을 기준면으로서 사용하여 설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하부 리본 규제부(388B)의 돌출 단부(상단 단부)와 제2 하부 편평면(392B)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는 잉크 리본(60)의 폭에 따라 설정된다. 따라서, 기준면으로서 제2 하부 편평면(392B)을 사용함으로써, 제2 하부 리본 규제부(388B)의 제조 시에 치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제조 후 치수 제어가 쉽게 실행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2 하부 리본 규제부(388B)의 돌출 단부와 제2 하부 편평면(392B)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는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387B)의 돌출 단부와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 사이의 거리와 같다. 다시 말해, 리본 가이드 벽(47)의 후단부에 제공된 제2 하부 리본 규제부(388B)의 높이 위치는 아암부(34)에 제공된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387B)의 높이 위치와 같다. 결과적으로, 잉크 리본(60)의 이동은 각각의 규제부에 의해 하향 방향으로 제한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설정이 바르게 실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잉크 리본(60)은 아암부(34)로부터 리본 가이드 벽(47)의 후단부까지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으로의 중앙 라인과 평행하게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제1 하부 테이프 영역(400B)과 마찬가지로, 돌출부는 바닥 벽(306)의 상부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약간 돌출하도록 제2 하부 테이프 영역(410B)에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링 형상의 돌출부가 제2 테이프 스풀(41)이 수용될 제2 하부 테이프 영역(410B)의 중앙 위치에 제공되고, 8개의 라인 형상의 돌출부가 링 형상의 돌출부로부터 제2 하부 테이프 영역(410B)의 주위 에지까지 반경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들 돌출부는 제4 하부 테이프 규제부(41B)로 집합적으로 참조된다. 제4 하부 테이프 규제부(41B)는 적층식 테이프 카세트(30)(도 5 및 도 6 참조)에서 제2 테이프 스풀(41)에 감기고 제2 테이프 영역(410)에 수용되는 필름 테이프(59)의 하향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바닥 케이스(312)의 수직 방향으로의 제4 하부 테이프 규제부(41B)의 높이 위치는 기준면으로서 제2 코너부(322)의 인접한 제4 하부 편평면(322B)을 사용하여 설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4 하부 테이프 규제부(41B)의 돌출 단부(상단 단부)와 제4 하부 편평면(322B)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는 테이프의 폭에 따라 설정된다. 따라서, 기준면으로서 제4 하부 편평면(322B)을 사용함으로써, 제4 하부 테이프 규제부(41B)의 제조 시의 치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제조 후 치수 제어가 쉽게 실행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4 하부 테이프 규제부(41B)의 돌출 단부와 제4 하부 편평부(322B) 사이의 거리는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의 돌출 단부와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와 동일하고, 또한 제2 하부 테이프 규제부(363)의 돌출 단부와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와 동일하다. 더욱이, 이는 제3 하부 테이프 규제부(40B)의 돌출 단부와 제3 하부 편평면(321B)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와 또한 동일하다. 다시 말해, 제2 하부 테이프 영역(410B)에 제공된 제4 하부 테이프 규제부(41B)의 높이 위치는 아암부(34)에 제공된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의 높이 위치와 동일하고, 규제 부재(362)에 제공된 제2 하부 테이프 규제부(363)의 높이 위치와 동일하고, 제1 하부 테이프 영역(400B)에 제공된 제3 하부 테이프 규제부(40B)의 높이 위치와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테이프의 이동은 각각의 규제부에 의해 하향 방향으로 제한될 수 있어, 테이프는 수직 방향으로 바르게 위치설정되는 동안 이송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적층식 테이프 카세트(30)의 경우, 필름 테이프(59)는 제2 테이프 영역(410)으로부터 아암부(34)를 통해 규제 부재(362)까지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중앙 라인과 평행하게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양면 접착 테이프(58) 및 필름 테이프(59)는 이들의 위치가 수직 방향으로 일치한 상태로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돌출부가 바닥 벽(306)의 상부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제1 하부 리본 영역(420B)에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링 형상 돌출부가 제2 테이프 스풀(41)이 수용될 제2 하부 테이프 영역(410B)의 중앙 위치에 제공된다. 이 돌출부는 제3 하부 리본 규제부(42B)로서 참조된다. 이 제3 하부 리본 규제부(42B)는 리본 스풀(42) 상에 감기고 제1 리본 영역(420)에 수용되는 미사용 잉크 리본(60)(도 5 내지 도 7 참조)의 하향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바닥 케이스(312)의 수직 방향으로의 제3 하부 리본 규제부(42B)의 높이 위치는 기준면으로서 제1 지지 수용부(391)의 인접한 제1 하부 편평면(391B)을 사용하여 설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3 하부 리본 규제부(42B)의 돌출 단부(상단 단부)와 제1 하부 편평면(391B)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는 잉크 리본(60)의 폭에 따라 설정된다. 따라서, 기준면으로서 제1 하부 편평면(391B)을 사용함으로써, 제3 하부 리본 규제부(42B)의 제조 시에 치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제조 후에 치수 제어가 쉽게 실행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3 하부 리본 규제부(42B)의 돌출 단부와 제1 하부 편평면(391B) 사이의 거리는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387B)의 돌출 단부와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와 같고, 또한 제2 하부 리본 규제부(388B)의 돌출 단부와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와 같다. 다시 말해, 제1 하부 리본 영역(420B)에 제공된 제3 하부 리본 규제부(42B)의 높이 위치는 아암부(34)에 제공된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387B)의 높이 위치와 같고, 리본 가이드 벽(47)의 후단부에 제공된 제2 하부 리본 규제부(388B)의 높이 위치와 같다.

    결과적으로, 잉크 리본(60)의 이동은 각각의 규제부에 의해 하향 방향으로 제한될 수 있어, 잉크 리본(60)은 수직 방향으로 바르게 위치설정되면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리본(60)은 제1 리본 영역(420)으로부터 아암부(34)를 통해 리본 가이드 벽(47)까지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으로의 중앙 라인과 평행하게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단 케이스(311)의 구조에 대해 도 19 및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케이스(311)의 주위는 상단면(301) 및 상부 주위 벽(303)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 주위 벽(303)은 상단면(301)을 형성하는 상부 벽(305)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로 하향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부 주위 벽(303) 중에서, 아암 전방벽(35)의 상부를 형성하는 섹션이 상부 아암 전방벽(351)으로 참조된다. 또한, 아암 후방벽(37)의 상부를 형성하는 벽이 상부 아암 후방벽(371)으로 참조된다. 상부 아암 후방벽(371)은 상부 벽(305)으로부터 연장하고 상부 아암 전방벽(351)으로부터 후향 방향으로 분리된다. 상부 아암 후방벽(371)과 연속하고 헤드 삽입부(39)의 상부를 한정하는 주위 벽이 상부 헤드 주위 벽(374)으로 참조된다.

    상단 케이스(311) 내에서 헤드 삽입부(39) 주위의 구조가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박 수용부(393)(도 16 참조)가 상단 케이스(311)의 헤드 삽입부(39)의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상류측 단부에 연결된다. 제1 압박 수용부(393)는 상단면(301)으로부터 바닥면(302)을 향해 연장하는 오목부이다. 제1 압박 수용부(393)는 바닥 케이스(312)와 상단 케이스(311)가 함께 결합될 때 제1 압박 수용부(393)가 수직 방향으로 제1 지지 수용부(391)와 겹쳐지도록 소정 위치에 위치된다. 제1 압박 수용부(393)는 헤드 삽입부(39)의 공간을 한정하는 벽[상부 헤드 주위 벽(374)]에 연결된 상부 벽(305)의 섹션을 하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된 오목부이다. 바닥 케이스(312)의 제1 지지 수용부(391)와 마찬가지로, 제1 압박 수용부(393)는 아암 전방벽(35)에 평행한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39)에 대면한다.

    제1 압박 수용부(393)는 제1 상부 편평면(393A)을 갖는다. 제1 상부 편평면(393A)은 상단면(301) 아래에 위치된다. 제1 상부 편평면(393A)은 평면도에서 대체로 사각형 형상을 갖는 평편부(오목부의 바닥 벽부)의 상부면이다. 제1 상부 편평면(393A)의 위치와 카세트 케이스(31) 내에 수용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으로의 중앙 위치 사이의 상단 케이스(311)의 수직 방향의 거리가 테이프 카세트(30)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다시 말해,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 방향으로의 높이가 상이한 때에도 거리는 일정하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30) 내에 수용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이 클수록, 상단면(301)에 제공된 제1 압박 수용부(393)의 오목부의 깊이가 커진다.

    제1 상부 편평면(393A)은 상단 케이스(311)의 기준면이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상부 편평면(393A)은 상향 방향으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동을 제한하는 다양한 규제부(이후에 설명됨)에 대한 기준면으로 사용된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되고 테이프 인자기(1)의 카세트 커버(6)가 폐쇄될 때, 제1 상부 편평면(393A)은 헤드 가압 부재(7)에 의해 위로부터 가압되는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바닥 케이스(312)에 제공된 제1 지지 수용부(391)의 제1 하부 편평면(391B)은 제1 압박 수용부(393)의 제1 상부 편평면(393A) 바로 아래에 위치 설정된다. 즉, 제1 상부 편평면(393A) 및 제1 하부 편평면(391B)은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 방향으로 서로 겹쳐진다. 경사부(394)가 제1 상부 편평면(393A)의 후방에 제공된다. 경사부(394)는 제1 상부 편평면(393A)의 후단부로부터 후방 상향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단면(301)으로 연장하는 제1 압박 수용부(393)의 측면이다.

    하향 돌출하는 제1 삽입 핀(871)은 제1 압박 수용부(393)에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삽입 핀(871)은 제1 상부 편평면(393A)에 직각인 방향으로 제1 상부 편평면(393A) 아래에 제공된다. 더욱이, 제1 삽입 핀(871)은 바닥 케이스(312)의 제1 하부 편평면(391B) 위에 제공된 제1 원통형 부재(861)(도 20 참조)에 대면하는 위치에서 제1 상부 편평면(393A)에 제공된다. 또한,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39)의 하류측 단부의 부근에서, 제2 삽입 핀(872)은 바닥 케이스(312)의 제2 하부 편평면(392B) 위에 제공된 제2 원통형 부재(862)(도 20 참조)에 대면하는 위치에서 하향 돌출한다.

    제1 삽입 핀(871) 및 제2 삽입 핀(872)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삽입 핀(871)의 구조는 제1 삽입 핀(871) 및 제2 삽입 핀(872)을 나타내는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 핀(871)이 제공되는 제1 압박 수용부(393)는 하향 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부분을 갖는다는 것에 유의하라. 원통형 부분은 제1 원통형 부재(861)의 상부 단부와 접촉하여, 테이프 카세트(30)의 높이를 결정한다. 그러나, 제1 삽입 핀(871) 및 나머지 제2 내지 제4 삽입 핀(872 내지 874)(도 25 참조)이 제공되는 위치에 따라서, 원통형 부분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원통형 부분은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 핀(871)은 핀 바디(901) 및 돌출 부재(902)를 갖는다. 핀 바디(901)는 제1 압박 수용부(393)의 하부면[제1 상부 편평면(393A)의 후방면]으로부터 하향 방향으로 연장한다. 핀 바디(901)는 대체로 원형 컬럼 형상을 갖고 이의 직경이 수직 방향으로 중앙보다 약간 아래 위치로부터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핀 바디(901)의 하부[이하 단부(903)로 참조됨]는 직경이 이의 선단부를 향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단부(903)의 바닥면의 직경은 제1 원통형 부재(861)에 제공된 원통형 홀(891)(도 22 참조)의 직경보다 작다. 그 결과, 핀 바디(901)는 원통형 홀(891) 내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 부재(902)가 핀 바디(901)의 주위에 반경 방향으로 제공된다. 돌출 부재(902)는 수직 방향으로 핀 바디(901)의 대략 중앙의 상부측에 제공된다. 돌출 부재(902)의 상부 단부는 제1 압박 수용부(393)에 형성된 원통형 부분에 연결된다. 또한, 돌출 부재(902)는 평면도에서 원호 형상으로 핀 바디(901)로부터 돌출한다. 돌출 부재(902)를 포함한 제1 삽입 핀(871)의 직경은 제1 원통형 부재(861)의 원통형 홀(891)(도 22 참조)의 직경보다 크다.

    각각의 돌출 부재(902)의 하부는 원호의 직경이 하부 단부를 향해 점직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각각의 돌출 부재(902)의 하부는 단부가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삽입 핀(871)이 제1 원통형 부재(861)의 원통형 홀(891) 내로 삽입될 때, 돌출 부재(902)의 하부는 제1 원통형 부재(861)의 상단면에서 걸리지 않을 수 있어, 제1 삽입 핀(871)은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삽입 핀(871)과 제1 원통형 부재(861)의 피팅 모드에 대해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단 케이스(311)에 제공된 제2 압박 수용부(398)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할 것이다. 테이프 카세트(30)는 테이프 인자기(1)가 인쇄를 실행할 때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가동 요소를 포함한다. 테이프 카세트(30)의 가동 요소는 인쇄 동안 변동이 발생하기 쉬운 부분이다. 제1 실시예에서, 테이프 구동 롤러(46) 및 리본 테이크업(take-up) 스풀(44)이 가동 요소이다. 따라서, 도 19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박 수용부(393)는 리본 테이크업 스풀(44)의 부근에 제공된다. 또한, 다른 압박 수용부인 제2 압박 수용부(398)는 테이프 구동 롤러(46)의 부근에 제공된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 내에 설치될 때, 제2 압박 수용부(398)는 주연 가압 부재(914)와 접촉하여 주연 가압 부재(914)에 의해서 위로부터 가압된다.

    제1 압박 수용부(393)와 마찬가지로, 제2 압박 수용부(398)는 상부 벽(305)의 섹션을 하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된 오목부이다. 제2 압박 수용부(398)는 테이프 카세트(30)의 전방 좌측에 위치된 제4 코너부(324)의 상부에 대응한다. 제2 압박 수용부(398)의 전방(도 24의 하부측)에, 지지 구멍(64)이 제2 압박 수용부(398)의 부근에 제공된다. 지지 구멍(64)은 테이프 구동 롤러(46)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압박 수용부(398)는 제4 코너부(324)의 상부면인 편평면(398A)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 제2 압박 수용부(398)의 편평면(398A) 및 제1 압박 수용부(393)의 제1 상부 편평면(393A)은 상단 케이스(311)의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편평면(398A) 및 제1 상부 편평면(393A)의 높이 위치로부터 카세트 케이스(31) 내에 수용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으로의 중앙 위치까지의 수직 방향의 거리는 테이프 카세트(30)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다시 말해, 거리는 다양한 높이를 갖는 테이프 카세트(30)에 대해 일정하다.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된 테이프 카세트(30)를 평면도로 볼 때, 제1 압박 수용부(393) 및 리본 테이크업 스풀(44)은 전후방 방향으로 정렬된다. 또한, 테이프 구동 롤러(46) 및 제2 압박 수용부(398)는 전후방 방향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압박 수용부(393, 398)를 연결하는 제1 가상 라인(L1)은 테이프 구동 롤러(46)와 리본 테이크업 스풀(44), 즉 가동 요소(도 24에 2점선으로 참조)를 연결하는 제2 가상 라인과 교차한다. 또한, 헤드 삽입부(39)에 삽입된 서멀 헤드(10)는 제1 라인(L1)과 제2 라인(L2)이 서로 교차하는 가상 지점(P)의 부근에 위치 설정된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되고 카세트 커버(6)가 폐쇄될 때 헤드 가압 부재(7) 및 주연 가압 부재(914)에 의해 제1 및 제2 압박 수용부(393, 398)를 가압하는 것에 대해서 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으로, 아암부(34)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상단 케이스(311)의 섹셕의 구조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34)의 상단 케이스(311)의 섹션은 하부 아암 전방벽(352) 및 하부 아암 후방벽(372)에 각각 대응하는 상부 아암 전방벽(351) 및 상부 아암 후방벽(371)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부 아암 전방벽(351)의 높이는 상부 아암 후방벽(371)의 것보다 크다. 피팅 구멍(331)이 바닥 케이스(312)의 아암부(34)에 제공된 분리 벽(3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부 벽(305)에 제공된다. 피팅 구멍(331)은 평면도에서 분리 벽(33)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상단 케이스(311) 및 바닥 케이스(312)가 함께 결합될 때, 분리 벽(33)은 피팅 구멍(331)과 끼워 맞춰진다.

    아암부(34) 내의 상단 케이스(311)의 섹션에서, 테이프 이송 경로는 상부 아암 전방벽(351)과 피팅 구멍(331) 사이에서 연장한다. 한편, 잉크 리본(60) 이송 경로는 피팅 구멍(331)과 상부 아암 후방벽(371) 사이에서 연장한다. 상향 방향으로의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동을 제한하는 규제 피스가 이들 이송 경로에 제공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이송 경로에서,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가 피팅 구멍(331)의 좌측 단부의 우측에 제공된다. 또한,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2A)가 피팅 구멍(331)의 우측 단부와 접촉하여 제공된다.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382A)는 각각 상부 벽(305)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약간 돌출한다.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는 상부 아암 전방벽(351)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피팅 구멍(331)의 전방까지 연장한다.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2A)는 상부 아암 전방벽(351)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피팅 구멍(331)까지 연장한다.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382A)는 각각 상향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한다.

    잉크 리본(60) 이송 경로에서, 상향 방향으로의 잉크 리본(6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6A, 387A)가 각각 피팅 구멍(331)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와 접촉하여 제공된다.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6A, 387A)는 각각 상부 벽(305)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약간 연장한다.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6A)는 피팅 구멍(331)의 좌측 단부로부터 상부 아암 후방벽(371)의 좌측 단부까지 후방 좌측으로 비스듬히 연장한다.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7A)는 피팅 구멍(331)의 좌측 단부로부터 상부 아암 후방벽(371)까지 후향으로 연장한다.

    상단 케이스(311)의 수직 방향으로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382A) 및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6A, 387A)의 높이 위치는 기준면으로서 제1 압박 수용부(393)의 상술된 제1 상부 편평면(393A)을 사용하여 설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면(381A, 382A)의 돌출 단부(하부 단부)와 제1 상부 편평면(393A)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는 테이프 폭에 따라 설정된다.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6A, 387A)의 돌출 단부와 제1 상부 편평면(393A)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는 잉크 리본(60)의 폭에 따라 설정된다. 이들 규제부 모두는 아암부(34) 내부에 제공되고, 제1 상부 편평면(393A)은 헤드 삽입부(39)의 상류측 단부의 부근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 각각의 규제부는 기준면인 제1 상부 편평면(393A)의 부근에 위치된다.

    따라서, 기준면으로서 제1 상부 편평면(393A)을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규제부의 제조 시의 치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아암부(34)는 서멀 헤드(10)(도 5 참조)에 의해 인쇄가 실행되는 위치[개구(77)]의 상류측의 부근에 위치된다. 따라서, 아암부(34) 내부에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인쇄 정확도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바닥 케이스(312)에 더하여 상단 케이스(311)에 이 형태의 규제부를 제공함으로써,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동이 상향 및 하향 방향 둘다에서 제한될 수 있다. 그 결과, 이송 정확도 및 그에 따른 인쇄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기준면으로서 제1 상부 편평면(393A)을 사용함으로써, 제조 후에 각각의 규제부의 치수 제어가 쉽게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상부 편평면(393A)은 카세트 케이스(31) 내에 수용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제1 상부 편평면(393A)의 수직 방향 위치에 대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수직 위치는 더욱 명확해지고,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코너부(321, 322)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상단 케이스(311)의 섹션 및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수용 영역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케이스(311)는 제1 코너부(321)의 상부면인 제2 상부 편평면(321A) 및 제2 코너부(322)의 상부면인 제3 상부 편평면(322A)을 포함한다. 제2 상부 편평면(321A) 및 제3 상부 편평면(322A)은 둘다 상단면(301) 아래에 위치 설정되는 편평면이다. 상단 케이스(311)와 바닥 케이스(312)가 서로 결합될 때, 제2 상부 편평면(321A)과 제3 상부 편평면(322A)은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바닥 케이스(312)의 제3 하부 편평면(321B) 및 제4 하부 편평면(322B)에 대면하도록 위치설정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돌출하는 제3 삽입 핀(873)은 제1 코너부(321)에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3 삽입 핀(873)은 제2 상부 편평면(321A)에 직각인 방향으로 제2 상부 편평면(321A) 아래에 제공된다. 또한, 제3 삽입 핀(873)은 바닥 케이스(312)의 제3 하부 편평면(321B) 위에 제공된 제3 원통형 부재(863)(도 20 참조)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2 상부 편평면(321A) 아래에 제공된다. 제3 삽입 핀(873)의 구조는 상술된 제1 삽입 핀(871)(도 26 참조)의 것과 동일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3 피팅부(883)는 제3 원통형 부재(863)와 제3 삽입 핀(873)이 서로 끼워질 때 형성되고, 이는 후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4 삽입 핀(874)은 제2 코너부(322)에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4 삽입 핀(874)은 제3 상부 편평면(322A)에 직각인 방향으로 제3 상부 편평면(322A) 아래에 제공된다. 또한, 제4 삽입 핀(874)은 바닥 케이스(312)의 제4 하부 편평면(322B) 위에 제공된 제4 원통형 부재(864)(도 20 참조)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3 상부 편평면(322A) 아래에 제공된다. 제4 삽입 핀(874)의 구조는 상술된 제1 삽입 핀(871)(도 26 참조)의 것과 동일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4 피팅부(884)는 제4 원통형 부재(864)와 제4 삽입 핀(874)이 서로 끼워 맞춰질 때 형성되고, 이는 후에 더욱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2 및 제3 상부 편평면(321A, 322A)의 위치와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 사이의 상단 케이스(311)의 수직 방향(높이 방향)의 거리는 테이프 카세트(30)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다시 말해,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 방향의 높이가 상이한 때에도 거리는 일정하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30)에 수용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이 클수록, 상단면(301)으로부터 제2 및 제3 상부 편평면(321A, 322A)까지의 거리는 커진다.

    제1 실시예에서, 상술된 제1 상부 편평면(393A) 및 제2 및 제3 상부 편평면(321A, 322A)은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으로의 중앙 위치[제1 실시예에서, 카세트 케이스(31)의 수직 방향의 중앙 위치]로부터 이격된다. 다시 말해, 제1, 제2 및 제3 상부 편평면(393A, 321A, 322A)은 모두 상단 케이스(311)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 위치된다. 제2 및 제3 상부 편평면(321A, 322A)은 상향 방향으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동을 제한하는 규제부에 대한 기준면으로서 사용된다.

    상단 케이스(311)는 제1 테이프 영역(400)의 일부분인 제1 상부 테이프 영역(400A), 제2 테이프 영역(410)의 일부분인 제2 상부 테이프 영역(410A), 제1 리본 영역(420)의 일부분인 제1 상부 리본 영역(420A) 및 제2 리본 영역(440)의 일부분인 제2 상부 리본 영역(440A)을 포함한다.

    상부 벽(305)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약간 돌출하는 돌출부가 제1 상부 테이프 영역(400A)에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링 형상의 돌출부가 제1 테이프 스풀(40)이 수용될 제1 상부 테이프 영역(400A)의 중앙 위치에 제공되고, 3개의 라인 형상의 돌출부가 링 형상의 돌출부로부터 제1 상부 테이프 영역(400A)의 주위 에지까지 반경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들 돌출부는 제2 상부 테이프 규제부(40A)로서 집합적으로 참조된다. 제2 상부 테이프 규제부(40A)는 제1 테이프 스풀(40)에 감기고 제1 테이프 영역(400)에 수용되는 감열지 테이프(55), 인쇄 테이프(57) 및 양면 접착 테이프(58)(도 7 및 도 8 참조)의 상향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단 케이스(311)의 수직 방향으로의 제2 상부 테이프 규제부(40A)의 높이 위치는 기준면으로서 제1 코너부(321)의 인접한 제2 상부 편평면(321A)을 사용하여 설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상부 테이프 규제부(40A)의 돌출 단부와 제2 상부 편평면(321A)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는 테이프의 폭에 따라 설정된다. 따라서, 기준면으로서 제2 상부 편평면(321A)을 사용함으로써, 제2 상부 테이프 규제부(40A)의 제조 시의 치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제조 후 치수 제어도 쉽게 실행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2 상부 테이프 규제부(40A)의 돌출 단부와 제2 상부 편평면(321A) 사이의 거리는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382A)의 돌출 단부와 제1 상부 편평면(393A)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와 동일하다. 다시 말해, 제1 상부 테이프 영역(400A)에 제공된 제2 상부 테이프 규제부(40A)의 높이 위치는 아암부(34)에 제공된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382A)의 높이 위치와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테이프의 이동은 각각의 규제부에 의해 상향 방향으로 제한되고,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설정은 테이프가 이송되는 동안 바르게 실행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리셉터식 및 서멀식 테이프 카세트(30)의 경우, 인쇄 테이프(57) 및 감열지 테이프(55)는 제1 테이프 영역(400)으로부터 아암부(34)까지 테이프 폭 방향에서의 중앙 라인과 평행하게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적층식 테이프 카세트(30)의 경우, 필름 테이프(59)는 아암부(34) 내부에서 테이프 폭 방향으로 중앙 라인과 평행하게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양면 접착 테이프(58) 및 필름 테이프(59)는 그들의 위치가 수직 방향으로 일치한 상태에서 정확하게 이송된다.

    제1 상부 테이프 영역(400A)과 마찬가지로, 돌출부는 상부 벽(305)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약간 돌출하도록 제2 상부 테이프 영역(410A)에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링 형상의 돌출부가 제2 테이프 스풀(41)이 수용될 제2 상부 테이프 영역(410A)의 중앙 위치에 제공되고, 8개의 라인 형상의 돌출부가 링 형상의 돌출부로부터 제2 상부 테이프 영역(410A)의 주위 에지까지 방사상으로 연장한다. 이들 돌출부는 제3 상부 테이프 규제부(41A)로서 집합적으로 참조된다. 제3 상부 테이프 규제부(41A)는 제2 테이프 스풀(41)에 감기고 제2 테이프 영역(410)에 수용된 필름 테이프(59)(도 5 및 도 6 참조)의 상향 방향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단 케이스(311)의 수직 방향의 제3 상부 테이프 규제부(41A)의 높이 위치는 기준면으로서 제2 코너부(322)의 인접한 제3 상부 편평면(322A)을 사용하여 설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3 상부 테이프 규제부(41A)의 돌출 단부와 제3 상부 편평면(322A)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는 테이프의 폭에 따라 설정된다. 따라서, 기준면으로서 제3 상부 편평면(322A)을 사용함으로써, 제3 상부 테이프 규제부(41A)의 제조 시의 치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고, 제조 후 치수 제어가 쉽게 실행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3 상부 테이프 규제부(41A)의 돌출 단부와 제3 상부 편평면(322A) 사이의 거리는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382A)의 돌출 단부와 제1 상부 편평면(393A)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와 동일하고, 또한 제2 상부 테이프 규제부(40A)의 돌출 단부와 제2 상부 편평면(321A)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와 동일하다. 다시 말해, 제2 상부 테이프 영역(410A)에 제공된 제3 상부 테이프 규제부(41A)의 높이 위치는 아암부(34)에 제공된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382A)의 높이 위치와 동일하고, 제1 상부 테이프 영역(400A)에 제공된 제2 상부 테이프 규제부(40A)의 높이 위치와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테이프의 이동은 각각의 규제부에 의해서 상향 방향으로 제한되고, 테이프는 수직 방향으로 바르게 위치설정되는 동안 이송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적층식 테이프 카세트(30)의 경우, 필름 테이프(59)는 제2 테이프 영역(410)으로부터 아암부(34)까지 테이프 폭 방향으로 중앙 라인과 평행하게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양면 접착 테이프(58) 및 필름 테이프(59)는 이들의 위치가 수직 방향으로 일치하는 상태에서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돌출부가 상부 벽(305)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약간 돌출하도록 제1 상부 리본 영역(420A)에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리본 스풀(42)이 수용될 제1 상부 리본 영역(420A)의 중앙 위치에 제공되는 링 형상의 돌출부가 제2 상부 리본 규제부(42A)로서 참조된다. 제2 상부 리본 규제부(42A)는 리본 스풀(42)에 감기고 제1 리본 영역(420)에 수용되는 미사용 잉크 리본(60)(도 5 내지 도 7 참조)의 상향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단 케이스(311)의 수직 방향의 제2 상부 리본 규제부(42A)의 높이 위치는 기준면으로서 제1 압박 수용부(393)의 인접한 제1 상부 편평면(393A)을 사용하여 설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상부 리본 규제부(42A)의 돌출 단부와 제1 상부 편평면(393A)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는 잉크 리본(60)의 폭에 따라 설정된다. 따라서, 기준면으로서 제1 상부 편평면(393A)을 사용함으로써, 제2 상부 리본 규제부(42A)의 제조 시의 치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제조 후 치수 제어가 쉽게 실행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2 상부 리본 규제부(42A)의 돌출 단부와 제1 상부 편평면(393A) 사이의 거리는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6A, 387A)의 돌출 단부와 제1 상부 편평면(393A)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와 동일하다. 다시 말해, 제1 상부 리본 영역(420A)에 제공된 제2 상부 리본 규제부(42A)의 높이 위치는 아암부(34)에 제공된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6A, 387A)의 높이 위치와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잉크 리본(60)의 이동은 각각의 규제부에 의해 하향 방향으로 제한될 수 있어, 잉크 리본(60)은 수직 방향으로 바르게 위치설정되는 동안 이송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잉크 리본(60)은 제1 리본 영역(420)으로부터 아암부(34)까지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으로의 중앙 라인과 평행하게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30)의 상단 케이스(311)와 바닥 케이스(312)를 함께 결합하는 방법에 대해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27 내지 도 29는 제1 원통형 부재(861)와 제1 삽입 핀(871) 사이의 피팅 모드의 예를 도시하지만, 제2 내지 제4 원통형 부재(862 내지 864)와 제2 내지 제4 삽입 핀(872 내지 874) 사이의 피팅 모드도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는 것에 유의하라.

    상단 케이스(311)와 바닥 케이스(312)가 서로 결합될 때, 먼저 제1 삽입 핀(871)의 단부(903)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통형 부재(861)의 원통형 홀(891) 내로 삽입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단부(903)의 직경은 원통형 홀(891)의 직경보다 작다. 더욱이, 원통형 홀(891)의 개구 폭은 이의 상부 단부에서 더 넓다. 그 때문에, 핀 바디(903)는 원통형 홀(891) 내로 매끄럽게 안내될 수 있다. 그런 후, 핀 바디(901)는 원통형 홀(891)을 따라 삽입된다.

    다음으로, 제1 삽입 핀(871)이 제1 원통형 부재(861)의 원통형 홀(891) 내로 더욱 삽입될 때, 돌출 부재(902)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홀(891) 내로 삽입되기 시작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출 부재(902)의 하부는 단부가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더욱이, 원통형 홀(891)의 개구 폭은 이의 상부 단부에서 더 넓다. 그 이유로, 돌출 부재(902)의 하부는 제1 원통형 부재(861)의 상단면에 걸리지 않고 매끄럽게 삽입될 수도 있다.

    돌출 부재(902)를 포함하는 제1 삽입 핀(871)의 직경은 원통형 홀(891)의 직경보다 크다. 그 결과, 제1 삽입 핀(871)은 돌출 부재(902)가 제1 원통형 부재(861)에 의해 가압되어 뭉개지는 동안 원통형 홀(891) 내로 삽입된다. 제1 삽입 핀(871)이 원통형 홀(891) 내로 하향 삽입되면서, 제1 원통형 부재(861)는 돌출 부재(902)에 의해 가압되어 외향으로 넓어진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 핀(871)이 원통형 홀(891) 내로 더욱 삽입될 때, 제1 원통형 부재(861)의 상단면이 핀 바디(901)의 베이스 단부에 연결된 제1 압박 수용부(393)의 원통형 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이로써, 제1 삽입 핀(871)은 원통형 홀(891) 내로 완전히 삽입된다. 그 때, 돌출 부재(902)는 제1 원통형 부재(861)에 의해 가압되어 뭉개지고, 제1 원통형 부재(861)는 돌출 부재(902)에 의해서 가압되어 외향으로 넓어진다. 이 방식으로, 제1 삽입 핀(871)은 제1 원통형 부재(861) 내로 가압 삽입되고, 따라서 제1 원통형 부재(861) 및 제1 삽입 핀(871)은 함께 견고하게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피팅부(881)는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내지 제4 삽입 핀(872 내지 874)은 또한 제2 내지 제4 원통형 부분(862 내지 864) 내에 각각 삽입되어, 제2 내지 제4 피팅부(882 내지 884)(도 20 참조)를 형성한다. 바닥 케이스(312)와 상단 케이스(311)는 제1 내지 제4 피팅부(881 내지 884)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제1 피팅부(881)는 제1 하부 편평면(391B)에 직각인 방향으로 기준면으로서 제1 하부 편평면(391B) 위에 제공된다. 또한, 제1 피팅부(881)는 제1 하부 편평면(391B)과 제1 상부 편평면(393A)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상단 케이스(311)와 바닥 케이스(312)는 제1 피팅부(881)에 의해 함께 적절하게 결합된다. 그 결과, 기준면인 제1 하부 편평면(391B)과 제1 상부 편평면(393A)은 각각 수직 방향으로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부 편평면(391B) 및 제1 상부 편평면(393A)의 부근에 제공된 규제부의 위치는 각각 개별적으로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들 규제부는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 분리 벽 규제부(383),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387B), 제3 하부 리본 규제부(42B),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382A) 및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6A, 387A)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정확도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피팅부(882)는 제2 하부 편평면(392B)에 직각인 방향으로 기준면으로서 제2 하부 편평면(392B) 위에 제공된다. 따라서, 상단 케이스(311)와 바닥 케이스(312)는 제2 피팅부(882)에 의해서 함께 적절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끼움부(882)의 부근에 제공되는 제2 하부 테이프 규제부(363) 및 제2 하부 리본 규제부(388B)의 위치는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좌우 방향으로 제1 피팅부(881)와 제2 피팅부(882) 사이에 제공된 규제부의 위치도 또한 적절하게 유지된다. 이들 규제부는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 분리 벽 규제부(383),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387B),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382A) 및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6A, 387A)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정확도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3 피팅부(883)가 제3 하부 편평면(321B)에 직각인 방향으로 제3 하부 편평면(321B) 위에 제공된다. 또한, 제3 피팅부(883)는 제3 하부 편평면(321B)과 제2 상부 편평면(321A)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상단 케이스(311)와 바닥 케이스(312)는 제3 피팅부(883)에 의해서 함께 적절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3 하부 편평면(321B)과 제2 상부 편평면(321A)은 각각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하부 편평면(321B)과 제2 상부 편평면(321A)의 부근에 제공되는 제3 하부 테이프 규제부(40B)와 제2 상부 테이프 규제부(40A)의 높이 위치는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정확도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4 피팅부(884)는 제4 하부 편평면(322B)에 직각인 방향으로 제4 하부 편평면(322B) 위에 제공된다. 또한, 제4 피팅부(884)는 제4 하부 편평면(322B)과 제3 상부 편평면(322A)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상단 케이스(311)와 바닥 케이스(312)는 제4 피팅부(884)에 의해서 적절하게 함께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4 하부 편평면(322B)과 제3 상부 편평면(322A)은 적절한 위치에서 개별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하부 편평면(322B) 및 제3 상부 편평면(322A)의 부근에 제공된 제4 하부 테이프 규제부(41B)와 제3 상부 테이프 규제부(41A)의 높이 위치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정확도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하부 편평면(391B, 392B, 321B, 322B)은 모두 바닥 케이스(312) 내의 동일 높이 위치에 위치된다. 상단 케이스(311)와 바닥 케이스(312)를 함께 결합할 때, 기준면인 제1 내지 제4 하부 편평면(391B, 392B, 321B, 322B)은 지그의 장착면에 위치된다. 그런 후, 상단 케이스(311)가 하향 가압되어, 상단 케이스(311)와 바닥 케이스(312)가 제1 내지 제4 피팅부(881, 882, 883, 884)에 의해서 함께 결합된다. 지그에서, 제1 내지 제4 하부 편평면(391B, 392B, 321B, 322B)과 접촉하는 장착면의 수직 방향의 치수는 제1 내지 제4 하부 편평면(391B, 392B, 321B, 322B)의 치수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하부 편평면(391B, 392B, 321B, 322B)의 높이 위치는 동일 높이로 설정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하부 편평면(391B, 392B, 321B, 322B)이 놓이는 지그의 장착면은 지그의 동일한 높이 위치로 설정된다. 지그 장착면은 장착면이 상이한 높이 위치로 설정되는 경우에 비해서 이들이 동일 높이 위치로 설정될 때 더욱 정밀한 치수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지그의 장착면의 수직 방향의 치수는 제1 내지 제4 하부 편평면(391B, 392B, 321B, 322B)의 치수에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 결과, 상단 케이스(311)와 바닥 케이스(312)는 제1 내지 제4 피팅부(881, 882, 883, 884)에 의해 함께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하부 편평면(391B, 392B, 321B, 322B)과 제1 내지 제3 상부 편평면(393A, 321A, 322A)은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내지 제4 하부 편평면(391B, 392B, 321B, 322B) 및 제1 내지 제3 상부 편평면(393A, 321A, 322A)의 부근에 제공된 각각의 규제부는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고,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정확도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이하, 테이프 카세트(30)가 테이프 인자기(1)에 설치될 때, 제1 실시예에 따르는 테이프 카세트(30) 및 테이프 인자기(1)의 조작이 설명될 것이다.

    우선, 테이프 카세트(30)를 설치하는 모드가 설명될 것이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될 때, 테이프 카세트(30)의 바닥면(302)이 공동(811)의 바닥면(미도시)에 대면하도록, 테이프 카세트(30)가 위로부터 수직으로 끼워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홀더(74), 리본 테이크업 샤프트(95) 및 테이프 구동 샤프트(100)는 공동(811)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따라서, 이들 부재가 헤드 삽입부(39), 리본 테이크업 스풀(44) 및 테이프 구동 롤러(46)의 샤프트 홀로 각각 삽입되는 중에, 테이프 카세트(30)가 끼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741) 및 제2 지지부(742)는 각각 헤드 홀더(74)의 우측 단부 및 좌측 단부에 제공된다. 또한, 제1 지지 수용부(391) 및 제2 지지 수용부(392)는 각각 제1 지지부(741) 및 제2 지지부(74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테이프 카세트(30)에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지지 수용부(391) 및 제2 지지 수용부(392)는 각각 테이프의 이송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39)의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에, 바닥 케이스(312)의 헤드 삽입부(39)의 외측 주연부에 제공된다. 제1 압박 수용부(393)는, 상단 케이스(31)의 헤드 삽입부(39)의 외측 주연부에 리본 테이크업 스풀(44)의 지지 홀(68)의 전방으로 상단 케이스(311)에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압박 수용부(393)는 헤드 삽입부(39)의 상류측에 제공된다. 또한, 제2 압박 수용부(398)는 상단 케이스(31)의 코너부(324)의 상부에 테이프 구동 롤러(46)의 지지 홀(64)의 후방에 제공된다.

    사용자가 하향 방향으로 테이프 카세트(30)를 밀어 넣을 때,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302)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인, 제1 지지 수용부(391)의 천장벽부는 헤드 홀더(74)의 헤드 고정부(744)에 제공된 제1 지지부(741)와 접촉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 하부 편평면(391B)은 제1 지지부(741)와 접촉하고, 따라서 제1 지지 수용부(391)가 하향 방향으로 그 지점 이상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또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302)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오목부인 제2 지지 수용부(392)의 천장벽부는 헤드 홀더(74)의 헤드 고정부(744)에 제공되는 제2 지지부(742)와 접촉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2 하부 편평면(392B)은 제2 지지부(742)와 접촉하고, 따라서 제2 지지 수용부(392)가 하향 방향으로 그 지점 이상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환언하면, 테이프 카세트(30)는, 기준면인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및 392B)이 서멀 헤드(10)의 중심 위치에 대해 수직 방향의 기준점인 카세트 지지부(741 및 742)에 의해 하부로부터 지지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카세트 커버(6)가 인쇄하기 위해 닫힐 때, 헤드 가압 부재(7) 및 주연 가압 부재(914)는 각각 제1 압박 수용부(393)의 제1 상부 편평면(393A) 및 제2 압박 수용부(398)의 편평면(398A)과 접촉하고 위로부터 테이프 카세트(30)를 가압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커버(6)는 테이프 인자기(1)의 후방면의 상부 단부의 좌측 및 우측 단부 양쪽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카세트 커버(6)가 닫힐 때, 헤드 가압 부재(7)와 주연 가압 부재(914)의 선단부는 설치된 테이프 카세트(30)의 상단면(301)에 수직으로 접근하지 않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예각으로 상단면(301)에 접근한다.

    여기서, 제1 압박 수용부(393)의 제1 상부 편평면(393A)의 후방에 제공되는 경사부(394)(도 24 참조)는, 헤드 가압 부재(7)가 제1 상부 편평면(393A)에 접근할 때,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회피부로서 기능을 한다. 제1 실시예에서, 경사부(394)는 제1 압박 수용부(393)에만 제공된다. 그러나 유사한 경사부가 제2 압박 수용부(398)의 후방에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인자기(1) 및 테이프 카세트(30)에 의해, 인쇄 매체[열 감지 테이프 종이 테이프(55), 인쇄 테이프(57) 또는 필름 테이프(59) 중 하나]인 테이프의 수직 방향의 위치 설정은, 인쇄를 실행하는 서멀 헤드(10) 부근에서 정확하게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서멀 헤드(10)에 의한 인쇄의 수직 방향 중심 위치와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 중심 위치가 정확하게 정합될 수 있다. 그 결과, 테이프로의 인쇄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30)는 인쇄 위치인 서멀 헤드(10)의 삽입 위치에 대해 양측에서 지지된다. 테이프 카세트(30)는 인쇄 매체인 필름 테이프(59)의 이송 방향의 인쇄 위치의 상류 및 하류측 양쪽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방향은 서멀 헤드(10)의 배열 방향(수직 방향)에 수직으로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은 안정적인 방식으로 이송될 수 있고, 또한 인쇄의 수직 방향 중심 위치와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 중심 위치는 훨씬 더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될 때, 제1 내지 제4 코너부(321 내지 324)는 코너 지지부(812)에 의해 하부로부터 지지된다. 환언하면,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및 392B)에 추가로, 또한 기준면인 제3 및 제4 하부 편평면(321B 및 322B)이 또한 지지된다. 그러므로, 예컨대 카세트 케이스(31)의 휨 또는 유사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복수의 위치에 있는 기준면은 테이프 인자기(1)의 하부로부터 각각 지지되고, 따라서 높이 위치가 교정될 수 있다. 그 결과,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은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인쇄 위치는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되고, 카세트 커버(6)가 닫힐 때, 리본 테이크업 스풀(44) 부근에 위치된 제1 압박 수용부(393)는 헤드 가압 부재(7)에 의해 위로부터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리본 테이크업 샤프트(95)에 의해 회전되는 리본 테이크업 스풀(44)의 진동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구동 롤러(46) 부근에 위치된 제2 압박 수용부(398)는 주연 가압 부재(914)에 의해 위로부터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테이프 구동 샤프트(100)에 의해 회전되는 테이프 구동 롤러(46)의 진동이 억제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테이프 카세트(30)는 헤드 삽입부(39)에 삽입된 서멀 헤드(10)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서 위로부터 가압된다. 그러므로 헤드 삽입부(39) 부근의 가동 부품[리본 테이크업 스풀(44) 및 테이프 구동 롤러(46)]의 진동 영향이 억제될 수 있다. 그 결과, 테이프 카세트(30)의 가동 부품에 발생된 진동은, 테이프 인자기(1)가 인쇄를 실행하는 동안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테이프의 이송 실패와 인쇄 품질의 열화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30)는, 기준면인 제1 하부 편평면(391B)과 제1 상부 편평면(393A)이 헤드 홀더(74)의 제1 지지부(741)와 헤드 가압 부재(7) 사이에서 위아래로 샌드위치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30)는, 제4 코너부(324)의 하부면과 제2 압박 수용부(398)의 편평면(398A)이 카세트 지지부(812)와 주연 가압 부재(914) 사이에서 위아래로 샌드위치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테이프 카세트(30)의 가동 부품에 발생된 진동은, 테이프 인자기(1)가 인쇄를 실행하는 동안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30)가 인쇄 위치 부근에 적절하게 위치 설정된 후에, 가동 부품의 진동으로 인하여 테이프 카세트(30)가 상향 방향으로 이동(소위, 기립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그 결과, 서멀 헤드(10)에 의한 인쇄의 수직 방향 중심 위치와 필름 테이프(59)의 테이프 폭 방향 중심 위치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고, 테이프 이송 및 인쇄가 안정적인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멀 헤드(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라인(L1)과 제2 라인(L2)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P) 부근에 위치 설정된다. 따라서, 테이프 인자기(1)에 설치된 테이프 카세트(30)는, 중심과 같이 서멀 헤드(10)의 부근에서 균형적으로 가압된다. 그러므로 테이프 구동 롤러(46) 및 리본 구동 롤러(44)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에 더하여, 서멀 헤드(10)에 의한 인쇄의 수직 방향 중심 위치와 필름 테이프(59)의 테이프 폭 방향 중심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의 이송 및 인쇄가 안정적인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주연 가압 부재(911, 912 및 913)는, 제1 코너부(321)의 제2 상부 편평면(321A), 제2 코너부(322)의 제3 상부 편평면(322A) 및 제3 코너부(323)의 상부면과 접촉하고, 이들을 위로부터 가압한다. 환언하면, 테이프 카세트(30)는 적어도 3개의 위치에서 위아래로 샌드위치된다. 3개의 위치를 연결하는 라인에 의해 둘러싸인 표면 영역은 넓은 범위로 연장된다. 그러므로 테이프 카세트(30)는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카세트 케이스(31)의 휨이나 유사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각 기준면의 높이 위치는 정확하게 교정될 수 있다. 그 결과,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능력과 인쇄 위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테이프 카세트(30)의 제1 지지 수용부(391) 및 제2 지지 수용부(392)는, 서멀 헤드(10)의 가열 소자 열(10A)의 위치인 인쇄 위치에서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39)에 대면한다. 만입된 부분인 양 지지 수용부(391 및 392)는 내부에 삽입된 카세트 지지부(741 및 742)에 의해 지지된다. 카세트 지지부(741 및 742)는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테이프 카세트(30)의 이동은 수직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으로도 제한될 수 있다. 그 결과, 서멀 헤드(10)와 헤드 삽입부(39) 사이에서 적절한 위치 관계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테이프 카세트(30)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될 때, 지지 수용부(391 및 392)[더욱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및 392B)]는 각각,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지지부(741 및 742)와 접촉하고 이에 의해 지지된다. 카세트 커버(6)가 닫힐 때, 헤드 가압 부재(7) 및 주연 가압 부재(914)는 각각 제1 압박 수용부(393)의 제1 상부 편평면(393A) 및 제2 압박 수용부(398)의 편평면(398A)과 접촉하고, 위로부터 테이프 카세트(30)를 가압한다.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테이프 카세트(30)에 있어서, 바닥면(302)에 제공된 만입된 부분인 지지 수용부(391 및 392)는,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테이프 카세트(30)에서 보다 더 얕은 깊이를 갖는다. 지지 수용부(391 및 392)의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및 392B)의 위치와 카세트 케이스(31)에 수납된 테이프의 수직 방향 중심 위치(N)[카세트 케이스(31)의 수직 방향의 중심 라인] 사이에서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높이) 방향의 거리(H2)는, 테이프 카세트(30)의 종류와 상관없이 일정하다.

    또한,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테이프 카세트(30)에 있어서, 상단면(301)에 제공된 만입된 부분인 제1 및 제2 압박 수용부(393 및 398)는,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테이프 카세트(30)에서 보다 얕은 깊이를 갖는다. 제1 상부 편평면(393A) 및 편평면(398A)의 위치와 카세트 케이스(31)의 수직 방향의 중심 라인(N) 사이에서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높이) 방향의 거리(H1)는 또한, 테이프 카세트(30)의 종류와 상관없이 일정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테이프 카세트(30)의 종류와 상관없이, 환언하면 수직 방향으로 테이프 카세트(30)의 높이가 상이할 때에도, 거리(H1) 및 거리(H2)는 일정하다. 그러므로 상이한 높이를 갖는 복수 종류의 테이프 카세트(30)가 동일한 테이프 인자기(1)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폭을 갖는 테이프가 사용될 때에도, 테이프는, 테이프 폭 방향으로 테이프의 중심이 정합되는 위치에서 이송될 수 있다. 그러므로 테이프의 중심이 테이프 폭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 테이프 폭 방향으로 테이프에 인가된 압력의 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테이프가 이리저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테이프 카세트(30)의 종류와 상관없이, 거리(H1) 및 거리(H2)는 동일하게 설정된다. 환언하면, 카세트 커버(6)가 닫힐 때 헤드 가압 부재(7)의 하부 단부와 서멀 헤드(10)의 수직 방향 중심 위치[가열 소자 열(10A)]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가, 제1 및 제2 지지부(741 및 742)의 높이 위치와 서멀 헤드(10)의 수직 방향 중심 위치 사이의 수직 방향의 거리와 같다. 이러한 상황에서, 테이프 카세트(30)의 하부로부터의 지지와 테이프 카세트(30)의 상부로부터의 가압이 균형적으로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서멀 헤드(10)에 의한 인쇄의 수직 방향 중심 위치와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 중심 위치 사이의 적절한 위치 관계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음에, 카세트 후크(75)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30)의 결합이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사용자에 의해 카세트 하우징부(8)로 삽입되어 하향으로 밀려질 때, 우선, 테이프 카세트(30)의 바닥면(302)은 카세트 후크(75)의 갈고리부(752)의 상부와 접촉하게 된다. 갈고리부(752)의 상부는 후방으로(도 14의 좌측으로) 경사진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테이프 카세트(30)를 하향 방향으로 더 가압했을 때, 가요성 돌출부(751)는 바닥면(302)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전방으로(도 14의 우측으로) 만곡된다.

    사용자가 테이프 카세트(30)를 하향으로 더 가압하면, 갈고리부(752)의 가장 돌출된 위치가 하부 헤드 주연 벽(373)을 따라 상향 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칭부(397)에 도달한다. 그 후, 돌출부(751)는 최초의 위치로 다시 되돌아오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부(752)는 래칭부(397)와 결합한다. 이때, 테이프 카세트(30)는 지지 수용부(391 및 392)에서 지지된다. 그러므로 헤드 가압 부재(7)와 주연 가압 부재(914)에 의해 제1 및 제2 압박 수용부(393 및 398)에 인가된 압력과 유사하게, 카세트 후크(75)에 의한 결합은, 테이프 카세트(30)가 테이프 인자기(1)에 설치된 후 테이프 카세트(30)의 상향 방향으로의 이동인, 테이프 카세트(30)의 임의의 기립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그 결과, 테이프 이송 및 인쇄가 안정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아암 검출부(200)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30)의 종류의 검출과 래칭편(225)에 의한 래칭 홀(820)로의 래칭이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가 테이프 카세트(30)를 카세트 하우징부(8)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고 카세트 커버(6)가 닫힐 때, 플래튼 홀더(12)는 도 5에 도시된 대기 위치에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인쇄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이런 일이 일어날 때, 플래튼 홀더(12)의 카세트 대향면(122)에 제공된 아암 검출부(200) 및 래칭편(225)은 테이프 카세트(30)의 아암 전방벽(35)에 제공된 아암 표식부(800) 및 래칭 홀(820)에 각각 대면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카세트 대향면(122)으로부터 돌출하는 5개의 아암 검출 스위치(210)의 각 스위치 단자(222)는, 아암 표식부(800)의 대응 위치에 제공된 비가압부(801) 또는 가압부(802)에 대면한다. 따라서, 5개의 아암 검출 스위치(210)의 스위치 단자(222)는 선택적으로 가압된다. 도 4 및 도 16에 도시된 광폭 테이프 카세트(30)에 따르면, 공통 표식부(831)의 높이(T1) 내의 상부 열에 있어서, 비가압부(801)는 좌측에 제공되고 가압부(802)는 우측에 제공된다. 높이(T1) 내의 하부 열에 있어서, 가압부(802)는 좌측에 제공되고 비가압부(801)는 우측에 제공된다. 그 후, 가압부(802)는 공통 표식부(831) 아래의 소정의 높이(T2) 내의 공통 표식부(831)를 너머 연장되어 제공된다.

    따라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표식부(831)의 상부 열에서 우측의 가압부(802)에 대면하는 스위치 단자(222), 공통 표식부(831)의 하부 열에서 좌측의 가압부(802), 및 공통 표식부(831)로부터 공통 표식부(831) 아래의 연장부(832)로 연장되는 가압부(802)가, 가압부(802)인 아암 전방벽(35)의 표면부에 의해 가압된다. 그 결과, 이들 스위치 단자(222)를 갖는 아암 검출 스위치(210)는 온(on) 상태로 된다. 한편, 공통 표식부(831)의 높이(T1)의 범위 내에서 하부 열의 우측의 비가압부(801)와 상부열의 좌측의 비가압부(801)를 대면하는 스위치 단자(222)가 비가압부(801)인 스위치 홀 내로 삽입되고, 따라서 이들 스위치 단자(222)를 갖는 아암 검출 스위치(210)는 오프(off) 상태로 된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협폭 테이프 카세트(30)에 의해, 회피 홀(803)은 공통 표식부(831)에 제공된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될 때, 회피 홀(803)에 대면하는 스위치 단자(222)는 가압되지 않고, 이 스위치 단자(222)를 갖는 아암 검출 스위치(210)는 계속 오프 상태로 있는다. 테이프 카세트(30)의 종류는, 이러한 방식으로 얻은 5개의 아암 검출 스위치(210)의 온 오프 상태의 조합을 기초로 식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카세트 식별 테이블은 ROM(502)에 미리 저장된다(도 15 참조). 카세트 식별 테이블에 있어서, 아암 검출 스위치(210)의 온 오프 조합은 각각 테이프 카세트(30)의 종류와 관련되어 있다. CPU(501)(도 15 참조)는 카세트 식별 테이블을 참조하여, 아암 검출 스위치(210)의 온 오프 상태의 조합에 대응하는 테이프 카세트(30)의 종류를 식별한다.

    도 16에 도시된 광폭 테이프 카세트(30)의 예에 있어서, 최하부 열의 표식[가압부(802)]는 공통 표식부(831)로부터 공통 표식부(831) 아래의 연장부(832)로 연장되어 제공된다. 그러나 표식[가압부(802)]은 공통 표식부(831) 내로 연장되지 않고 연장부(832)에 완전히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협폭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될 때, 아암 전방벽(35)의 하부 에지는 표식부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 위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회피 홀(803) 또는 회피 단차부를 협폭 테이프 카세트(30)에 제공할 필요가 없다. 또한, 표식(들)은 광폭 테이프 카세트(30)의 공통 표식부(831) 위의 연장부(832)에만 제공될 수 있고, 또는 공통 표식부(831)의 위 아래의 연장부(832)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 방향 위치 설정을 위해 사용되는 지지 수용부(391 및 392)는, 아암 표식부(800)가 제공되는 아암부(34)에 인접한 위치인, 테이프 인자기(1)에 테이프 카세트(30)가 설치될 때 헤드 삽입부(39)에 대면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그 결과, 테이프 카세트(30)가 테이프 인자기(1)에 설치될 때, 아암 검출 스위치(210) 및 아암 표식부(800) 사이의 위치 관계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고, 따라서 아암 검출 스위치(210)에 의한 잘못된 검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광폭 테이프 카세트(30)의 경우에 있어서, 표식(들)은 또한 아암 전방벽(35)의 소정 영역[연장부(832)]에 형성될 수 있다. 소정 영역은 공통 표식부(831)로부터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장부(832)를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테이프 인자기(1)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테이프 카세트(30)의 종류들의 개수가 증가될 때에도, 검출 정확도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래칭편(225)의 돌출 길이는 통상적으로 각 스위치 단자(222)의 돌출 길이 이상이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때, 래칭편(225)은 래칭 홀(820) 내로 삽입된다. 한편,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지 않고, 따라서 래칭편(225)이 래칭 홀(820)에 대면하지 않고 대신 아암 전방벽(35)의 표면부에 대면할 때, 어떤 스위치 단자(222)도 아암 전방벽(35)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서,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 방향 위치 설정은 지지 수용부(391 및 392)와 제1 및 제2 압박 수용부(393 및 398)에 의해 정확하게 실행될 수 있다. 하향 방향으로의 삽입이 불충분하고, 테이프 카세트(30)가 이러한 방식으로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지 않을 때, 래칭편(225)은 각 스위치 단자(222)와 아암 표식부(800) 사이의 접촉을 방해한다. 그 결과, 아암 검출 스위치(210)는 모두 오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술한 카세트 식별 테이블에 있어서, 아암 검출 스위치(210) 전부가 오프 상태로 있는 조합을, 테이프 카세트(30)가 부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로 정의하면, 테이프 카세트(30)의 설치 상태가 검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래칭편(225)의 단부의 두께는, 래칭편(225)의 하부면에 형성된 경사부(226)에 의해 감소된다. 래칭 홀(820)의 개구 폭은 래칭 홀(820)의 하부 벽에 형성된 경사부(821)에 의해 아암 전방벽(35)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래칭편(225)의 위치가 하향 방향으로 래칭 홀(820)에 대해 극소하게 오정렬되면[카세트 케이스(31)가 카세트 하우징부(8)의 적절한 위치에 대해 미소하게 기립된 위치에 있으면], 플래튼 홀더(12)가 인쇄 위치를 향해 이동할 때, 경사부(226)와 경사부(821)의 상호 작용은 래칭 홀(820) 내로 래칭편(225)을 안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세트 케이스(31)가 카세트 하우징부(8)의 적절한 위치에 대해 미소하게 기립된 위치에 있으면, 래칭편(225)은 래칭 홀(820) 내로 적절하게 삽입될 수 있고, 아암 검출 스위치(210)은 아암 표식부(800)에 대면하도록 정확하게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암 표식부(800)에 제공되는 표식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열되고, 따라서 어떤 표식도 수직 방향의 동일한 라인에 정렬되지 않는다. 환원하면, 래칭편(225)이 테이프 인자기(1)에 제공되지 않고, 래칭 홀(820)이 테이프 카세트(30)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테이프 카세트(30)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때, 유사하게, 모든 아암 검출 스위치(210)는 온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런 유형의 검출 결과가 얻어졌을 때, 테이프 인자기(1)는 테이프 카세트(30)가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지 않은 것을 인식할 수 있고, 따라서 잘못된 검출의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30)가 수직 방향으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될 때, 테이프 구동 샤프트(100)는 테이프 구동 롤러(46) 내로 꼭 맞게 삽입되고, 리본 테이크업 샤프트(95)는 리본 테이크업 스풀(44) 내로 꼭 맞게 삽입된다. 그 후, 카세트 커버(6)가 닫힐 때, 플래튼 홀더(12)가 인쇄 위치로 이동하고, 플래튼 롤러(15)가 서멀 헤드(10)에 대면한다. 동시에, 가동식 이송 롤러(14)는 테이프 구동 롤러(46)를 가압한다. 따라서, 테이프 인자기(1)는 인쇄 매체인 테이프 상에 인쇄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30)의 종류가 아암 검출부(200)에 의해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적층식 테이프 카세트(30)가 설치되고, 테이프 인자기(1)에 의해 인쇄가 실행될 때, 테이프 구동 샤프트(100)를 통해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테이프 구동 롤러(46)는 가동식 이송 롤러(14)와 협력하여 이동함으로써 제2 테이프 스풀(41)로부터 필름 테이프(59)를 인출한다. 또한, 리본 테이크업 샤프트(95)를 통해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리본 테이크업 스풀(44)은 인쇄 속도와 동기하는 리본 스풀(42)로부터 미사용 잉크 리본(60)을 인출한다.

    제2 테이프 스풀(41)로부터 인출된 필름 테이프(59)는 리본 스풀(42)의 외측 에지를 통과하여, 아암부(34) 내의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된다. 그 후, 필름 테이프(59)는, 잉크 리본(60)이 필름 테이프(59)의 표면에 접합된 상태에서 헤드 삽입부(39)[개구(77)]를 향하여 출구(341)를 통해 배출된다. 그 후, 필름 테이프(59)는 테이프 인자기(1)의 플래튼 롤러(15)와 서멀 헤드(10) 사이로 이송된다. 또한, 이 기간 중에, 지지 수용부(391 및 392), 헤드 가압 부재(7) 및 주연 가압 부재(914), 및 카세트 후크(75)는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 후, 서멀 헤드(10)에 의한 인쇄의 수직 방향 중심 위치와 필름 테이프(59)의 테이프 폭 방향 중심 위치가 서로 정확하게 정합되는 상태로, 서멀 헤드(10)에 의해 필름 테이프(59)의 인쇄면 상으로 문자가 인쇄된다. 이 후에, 사용된 잉크 리본(60)은 리본 안내 벽(47)에서 인쇄된 필름 테이프(59)로부터 분리되고 리본 테이크업 스풀(44) 상으로 권취된다.

    한편, 양면 접착 테이프(58)는, 가동식 이송 롤러(14)와 협력하여 이동하는 테이프 구동 롤러(46)에 의해 제1 테이프 스풀(40)로부터 인출된다. 테이프 구동 롤러(46)와 가동식 이송 롤러(14) 사이로 안내되어 잡혀 있는 동안, 양면 접착 테이프(58)는 인쇄된 필름 테이프(59)의 인쇄면 상에 도포되어 부착된다. 그 후, 양면 접착 테이프(58)가 부착되어 있는 인쇄된 필름 테이프(59)[즉, 인쇄된 테이프(50)]는 테이프 배출부(49)를 향해 이송되고, 테이프 배출부(49)로부터 배출되고, 절단 기구(17)에 의해 절단된다.

    도 7에 도시된 리셉터식 테이프 카세트(30)가 설치된 경우에, 테이프 구동 샤프트(100)를 통해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테이프 구동 롤러(46)는, 가동식 이송 롤러(14)와 협력하여 이동함으로써 제1 테이프 스풀(40)로부터 인쇄 테이프(57)를 인출한다. 또한, 리본 테이크업 샤프트(95)를 통해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리본 테이크업 스풀(44)은 인쇄 속도와 동기하여 리본 스풀(42)로부터 미사용 잉크 리본(60)을 인출한다. 제1 테이프 스풀(40)로부터 인출된 인쇄 테이프(57)는 카세트 케이스(31)의 전방 우측부의 좌측 방향으로 만곡되어, 아암부(34) 내의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된다.

    그 후, 인쇄 테이프(57)는, 잉크 리본(60)이 인쇄 테이프(57)의 표면에 접합된 상태로 헤드 삽입부(39)를 향해 출구(341)를 통해 배출된다. 그 후, 인쇄 테이프(57)는 테이프 인자기(1)의 플래튼 롤러(15)와 서멀 헤드(10) 사이로 이송된다. 그 후, 서멀 헤드(10)에 의해 인쇄 테이프(57)의 인쇄면 상으로 문자가 인쇄된다. 그 다음에, 사용된 잉크 리본(60)은 리본 안내 벽(47)에서 인쇄된 인쇄 테이프(57)로부터 분리되고 리본 테이크업 스풀(44) 상으로 권취된다. 한편, 인쇄된 인쇄 테이프(57)[환언하여, 인쇄된 테이프(50)]는 테이프 배출부(49)를 향해 이송되고, 테이프 배출부(49)로부터 배출되고, 절단 기구(17)에 의해 절단된다.

    도 8에 도시된 서멀식 테이프 카세트(30)가 설치된 경우에, 테이프 구동 샤프트(100)를 통해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테이프 구동 롤러(46)는, 가동식 이송 롤러(14)와 협력하여 이동함으로써 제1 테이프 스풀(40)로부터 열 감지 종이 테이프(55)를 인출한다. 제1 테이프 스풀(40)로부터 인출된 열 감지 종이 테이프(55)는 카세트 케이스(31)의 전방 우측부의 좌측 방향으로 만곡되어, 아암부(34) 내의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된다.

    그 후, 열 감지 종이 테이프(55)는 개구(77)를 향해 아암부(34)의 출구(341)를 통해 배출되고, 그 후 서멀 헤드(10)와 플래튼 롤러(15) 사이로 이송된다. 그 후, 서멀 헤드(10)에 의해 열 감지 종이 테이프(55)의 인쇄면 상으로 문자가 인쇄된다. 그 다음에, 인쇄된 열 감지 종이 테이프(55)[즉, 인쇄된 테이프(50)]는 가동식 이송 롤러(14)와 협력하여 이동하는 테이프 구동 롤러(46)에 의해 테이프 배출부(49)를 향해 더 이송되고, 테이프 배출부(49)로부터 배출되고, 절단 기구(17)에 의해 절단된다.

    서멀식 테이프 카세트(30)에 있어서, 인쇄가 실행될 때, 리본 테이크업 스풀(44)은 또한 리본 테이크업 샤프트(95)를 통해 회전하도록 구동된다는 점을 유의하라. 그러나 서멀식 테이프 카세트(30)에 수납되는 리본 스풀은 없다. 그 이유로, 리본 테이크업 스풀(44)은 미사용 잉크 리본(60)을 인출하지 않고, 사용된 잉크 리본(60)을 권취하지 않는다. 환언하면, 서멀식 테이프 카세트(30)가 리본 테이크업 샤프트(95)를 장착한 테이프 인자기(1)에 사용될 때에도, 리본 테이크업 샤프트(95)의 회전 구동은 열 감지 종이 테이프(55)의 인쇄 작업에 영향을 주지 않아, 인쇄가 바르게 실행될 수 있다. 서멀식 테이프 카세트(30)에서, 리본 테이크업 스풀(44)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고, 리본 테이크업 샤프트(95)는 유사한 방식으로 지지 홀(68) 내측에서 아이들 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범용 테이프 카세트(30)는 범용 테이프 인자기(1)에 사용된다. 그러므로 단일 테이프 인자기(1)는, 서멀식, 리셉터식, 적층식 및 서멀 적층식 등과 같은 각종 테이프 카세트(30)에 사용될 수 있고, 각 종류에 대해 상이한 테이프 인자기(1)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30)는 통상 복수의 결합된 주형 내로 플라스틱을 주입함으로써 형성된다. 동일한 테이프 폭에 대응하는 테이프 카세트(30)의 경우에, 아암 표식부(800)를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주형을 제외하고, 공통 주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이 현저하게 저감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카세트 케이스(31)는 본 발명의 "하우징"에 대응한다. 제1 테이프 스풀(40)과 제2 테이프 스풀(41) 중 하나에 권취되는 열 감지 종이 테이프(55), 인쇄 테이프(57) 및 필름 테이프(59)는 각각 본 발명의 "테이프"에 대응한다. 헤드 삽입부(39)는 "인자기 헤드 홀더 삽입부"에 대응한다. 제1 지지 수용부(391)는 "인자기 제1 지지 수용부"에 대응하고, 테이프 인자기(1)의 제1 지지부(741)는 "테이프 인자기"의 "제1 지지부"에 대응한다. 제2 지지 수용부(392)는 "인자기 제2 지지 수용부"에 대응하고, 테이프 인자기(1)의 제2 지지부(742)는 "제2 지지부"에 대응한다.

    래칭부(397)는 "인자기 후크 결합부"에 대응하고, 테이프 인자기(1)의 카세트 후크(75)는 "후크"에 대응한다. 제1 압박 수용부(393)는 "인자기 압박 수용부"에 대응한다. 테이프 인자기(1)의 카세트 커버(6)는 "커버부"에 대응하고, 헤드 가압 부재(7)는 "가압 부재"에 대응한다. 아암 표식부(800)는 "아암 표식부"에 대응하고, 비가압부(801)와 가압부(802) 각각은 "표식"에 대응한다. 테이프 배출부(49)는 "배출 안내부"에 대응한다. 규제 부재(361 및 362)는 "테이프 안내부"에 대응한다.

    제1 하부 편평면(391B)은 "제1 하부 편평면"에 해당한다.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및 382B)는 각각 "제1 하부 규제부"에 대응한다. 제2 하부 편평면(392B)은 "제2 하부 편평면"에 대응한다. 제2 하부 테이프 규제부(363)는 "제2 하부 규제부"에 해당한다.

    <제2 실시예>

    도 35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36에 도시된 테이프 카세트(30)는 상단 케이스(311)가 제거된 상태로 도시된 적층식 테이프 카세트(30)의 일례인 점을 유의하라. 제1 실시예에서, 테이프 인자기(1)의 헤드 홀더(74)는 서멀 헤드(10)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양 위치에서 2개의 카세트 지지부(741 및 742)를 구비한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30) 상에, 헤드 삽입부(39)에 대면하는 2개의 위치에 카세트 지지부(741 및 742)에 대응하는 지지 수용부(391 및 392)가 제공된다. 제2 실시예에서, 테이프 카세트(30)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헤드 홀더(74)의 상류측에만 제공되는 일례가 설명될 것이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30) 상에, 헤드 삽입부(39)에 대면하는 단 하나의 위치에 지지 수용부가 제공된다. 이하에, 제1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에만 설명을 집중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우선,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인자기(1)가 설명될 것이다.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헤드 홀더(74)는 테이프 인자기(1)의 좌우 방향을 따라 카세트 하우징부(8)의 전방측에 기립하고 있는 플레이트형 부재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헤드 홀더(74)는 공동(811)의 바닥면의 하부에 고정된 시트부(743)와, 시트부(743)로부터 통상 수직으로 만곡되어 상향 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 고정부(744)를 구비한다. 헤드 홀더(74)는,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될 때, 헤드 삽입부(39)에 대면하도록 카세트 하우징부(8)에 배열된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도 4 참조)와는 대조적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헤드 홀더(74)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그 길이(좌우)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39)의 길이보다 짧고, 헤드 홀더(74)는 헤드 삽입부(39) 내측에 완전히 수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제2 실시예에서,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 방향으로 위치 설정하고 테이프 카세트(30)를 하부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어떤 지지부도 헤드 홀더(74) 그 자체에 제공되지 않는다. 대신,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 지지 핀(104)이 헤드 홀더(74)의 우측 단부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상류 지지 핀(104)은 상류 방향으로 공동(811)으로부터 기립하고 있는 실린더형 부재이다. 테이프 카세트(30)가 테이프 인자기(1)에 설치될 때, 실린더의 상단면은 테이프 카세트(30)의 제1 지지 수용부(391)의 제1 하부 편평면(391B)과 접촉하고,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30)를 하부로부터 지지한다. 따라서,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 지지 핀(104)의 직경은 저면도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제1 하부 편평면(391B)의 짧은 쪽보다 약간 더 작다.

    다음에,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30)가 설명될 것이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지지 수용부(391)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 케이스(312)에 제공된다. 제1 지지 수용부(391)는 테이프 이송 방향의 서멀 헤드(10)의 상류측에 위치하여, [헤드 삽입부(39)의 외측 주연부에서] 헤드 삽입부(39)에 대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지지 수용부(391)는 테이프 이송 방향의 헤드 삽입부(39)의 상류 단부에 연결된다. 상술한 배열은,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될 때, 헤드 홀더(74)의 서멀 헤드(10)의 가열 소자 열(10A)의 위치인, 인쇄 위치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지지 핀(104)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1 지지 수용부(391)는, 헤드 삽입부(39)에 면하기 위한 위치와, 가열 소자 열(10A)에 대해 테이프 이송 방향의 헤드 삽입부(39)의 가장 상류측을 향하는 방향(제1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1 압박 수용부(393)는, 평면도에서 제1 지지 수용부(391)와 중첩하도록 카세트 케이스(31)의 수직 방향으로 제1 지지 수용부(391) 위의 위치에서 상단 케이스(311)에 제공된다(도 38 참조). 제1 압박 수용부(393)의 제1 상부 편평면(393A)은 수직 방향으로 제1 하부 편평면(391B)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한다.

    한편, 제1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바닥 케이스(312)에 있어서, 지지부로서 기능을 하는 오목부는 헤드 삽입부(39)의 하류측에 제공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아암부(34)의 내측에 제공된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및 382B)의 수직 방향의 높이 위치는 기준면으로서 제1 하부 편평면(391B)만을 사용하여 설정된다.

    이하에서, 테이프 카세트(30)가 테이프 인자기(1)에 설치될 때,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인자기(1)와 테이프 카세트(30)의 작동이 도 3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가 카세트 하우징부(8)로 테이프 카세트(30)를 삽입하고 하향 방향으로 테이프 카세트(30)를 가압할 때,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수용부(391)의 제1 하부 편평면(391B)은 상류 지지 핀(104)의 상부면과 접촉하고, 따라서 제1 지지 수용부(391)가 하향 방향으로 그 지점 이상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그 후, 테이프 카세트(30)는, 제1 하부 편평면(391B)이 상류측 지지 핀(104)에 의해 하부로부터 지지되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헤드 가압 부재(7)는 제1 하부 편평면(391B)의 바로 위에 위치 설정되는 제1 상부 편평면(393A)과 접촉하여, 제1 상부 편평면(393A)을 위로부터 가압한다. 따라서, 상술한 기준면을 사용하여 인쇄 위치의 부근에 적절하게 위치 설정되어 있는 테이프 카세트(30)는 적소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 결과, 서멀 헤드(10)에 의한 인쇄의 수직 방향 중심 위치와 필름 테이프(59)의 폭 방향 중심 위치는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고, 테이프 이송 및 인쇄가 안정적인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30)에서, 인쇄 매체로서의 필름 테이프(59) 상으로 인쇄가 실행되기 전에, 제1 지지 수용부(391)는 즉각 어떤 위치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 방향 위치 설정은, 서멀 헤드(10)에 의해 인쇄의 수직 방향 중심 위치와 필름 테이프(59)의 테이프 폭 방향 중심 위치를 정합시킬 때, 가장 효율적인 위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 결과, 테이프 카세트(30)를 테이프 인자기(1)에 설치할 때, 아암 검출 스위치(210)와 아암 표식부(800) 사이의 위치 관계는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고, 따라서 아암 검출 스위치(210)에 의한 잘못된 검출이 방지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하, 도 39 내지 도 48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1 및 제2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에 있어서, 헤드 홀더(74)의 제1 지지부(741)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1 지지 수용부(391)의 편평면[제1 하부 편평면(391B)]이 바닥 케이스(312)에 제공된다. 제3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741)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1 지지 수용부(391)의 편평면이 상단 케이스(311)에 제공되는 일례가 설명될 것이다. 테이프 인자기(1)가 제1 실시예의 테이프 인자기(1)와 거의 동일하다는 점을 유의하라. 그러나 제1 실시예에서 카세트 커버(6)에 제공되는, 헤드 가압 부재(7)와 주연 가압 부재(911 내지 914)는 제3 실시예에서 제공되지 않는다. 다음의 설명은 제1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며, 반면에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할당하고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우선, 제3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의 바닥 케이스(312) 및 상단 케이스(311)의 구조가 도 39 내지 도 4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40에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층식 테이프 카세트(30)가 사용될 때, 필름 테이프(59), 양면 접착 테이프(58) 및 잉크 리본(60)의 배열과 이송 경로가 2점 쇄선으로 도시된다는 점을 유의하라.

    우선, 카세트 케이스(31)에 제공된 지지 수용부가 설명될 것이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지지 수용부가 헤드 삽입부(39)에 대면하는 위치에서 헤드 삽입부(39)의 외측 주연에 제공된다. 지지 수용부는, 테이프 카세트(30)가 테이프 인자기(1)에 설치될 때,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 방향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지지 수용부(391)과 제2 지지 수용부(392)는 각각 테이프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서멀 헤드(10)의 삽입 위치[더욱 구체적으로, 인쇄 위치, 즉 가열 소자 열(10A)의 위치]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제공된다(도 4 내지 도 7 참조).

    제1 지지 수용부(391)는 테이프 이송 방향의 상류측에서 아암부(34)의 단부에 연결되고, 테이프 이송 방향의 헤드 삽입부(39)의 상류측 단부에도 연결된다. 제2 지지 수용부(392)는 헤드 삽입부(39)의 하류측 단부에 연결된다. 환언하면, 제1 지지 수용부(391)와 제2 지지 수용부(392)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위치에 제공된다. 제2 지지 수용부(392)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반대로, 제1 지지 수용부(391)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상이하므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30)를 저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제1 지지 수용부(391)는 바닥면(302)에서 상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이다. 제1 지지 수용부(391)는 아암 전방벽(35)을 따르는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39)에 연결된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의 천장벽부의 하부면은 제1 상부 편평면(396A)이다. 또한, 오목부의 측벽은, 바닥 케이스(312)의 바닥 벽(306)의 상부면에서 상향으로 돌출하는 벽인 제1 하부 돌출부(395)에 의해 형성된다. 환언하면, 제3 실시예의 제1 지지 수용부(391)는 상단 케이스(311)의 제1 상부 편평면(396A)과 바닥 케이스(312)의 제1 하부 돌출부(395)를 포함한다. 제1 상부 편평면(396A)이 도 40에 도시되지 않지만, 제1 지지 수용부(391)의 위치가 설명하기 용이하게 도시되어 있다는 점을 유의하라.

    다음에, 바닥 케이스(312)의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 돌출부(395)는, 테이프 이송 방향의 하류측에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단부가 아닌 단부(이하 하류측 단부로 지칭함)에 대향하도록 바닥 벽(306)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제1 하부 돌출부(395)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U자 형상을 갖는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될 때, 제1 하부 돌출부(395)가 헤드 홀더(74)의 우측 단부 둘레에 배열되도록, 제1 하부 돌출부(395)는 헤드 홀더(74)의 우측에 위치 설정된다. 환언하면, 제1 하부 돌출부(395)는 헤드 홀더(74)와 접촉하지 않는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부 편평면(395B)은 제1 하부 돌출부(395)의 상부 단부에 제공된다. 제1 하부 편평면(395B)은 하류측 단부가 아닌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단부와 접촉하는 편평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하부 편평면(395B)은, 테이프 이송 방향의 가장 하류측에 위치된 면 이외에, 저면도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3개의 면에 접촉한다. 제2 지지 수용부(392)의 제1 하부 편평면(395B)과 제2 하부 편평면(392B)(도 20 및 도 21 참조)은,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 중심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다. 환언하면,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5B 및 392B)은 바닥 케이스(312)에서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다. 본 실시예에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 중심 위치가 카세트 케이스(31)의 수직 방향 중심 위치와 정합한다는 점을 유의하라. 제1 하부 돌출부(395)[더욱 구체적으로, 제1 하부 편평면(395B)]는 하류측 단부 이외의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모든 단부(3개의 면)에 대향할 필요가 없다. 구체적으로, 제1 하부 돌출부(395)는, 단부가 하류측 단부가 아닌 한,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단부들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도록 바닥 벽(306)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부 돌출부(395)는 테이프의 이송 방향의 상류측에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단부에만 대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하부 편평면(395B)은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상류측 단부에만 접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5B 및 392B)은 바닥 케이스(312)의 기준면이다. 제3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5B 및 392B)은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다양한 규제 부재에 대한 기준면이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되는 경우에, 제2 하부 편평면(392B)은 헤드 홀더(74)에 제공되는 제2 지지부(742)에 의해 하부로부터 지지되는 부분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린더형 부재(861)는 제1 하부 돌출부(395)의 후방측에 상향으로 기립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1 실린더형 부재(861)는, 제1 실시예에서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서, 제1 하부 돌출부(395)의 부근에 제공된다. 제2 실린더형 부재(862)는 제2 지지 수용부(392)의 상부측에 상향으로 기립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2 실린더형 부재(862)는 제2 하부 편평면(392B) 바로 위에 수직 방향으로 제공된다. 제2 실린더형 부재(862)는 하부 헤드 주연 벽(373)과 접촉한다. 제1 실린더형 부재(861) 및 제2 실린더형 부재(862)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34)의 일부를 형성하는 바닥 케이스(312)의 섹션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규제부는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카세트 케이스(31)의 수직 방향] 이동을 각각 제한하는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경로 상에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테이프 이송 경로 상에, 하향 방향으로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및 382B)가 분리 벽(33)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의 하부 에지부에 각각 제공된다. 상향 방향으로 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는 분리 벽 규제부(383)는 제1 분리 벽(33)의 좌측 단부의 상부 에지에 제공된다. 잉크 리본(60)의 이송 경로 상에, 하향 방향으로 잉크 리본(6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하부 리본 규제판(386B 및 387B)은 분리 벽(33)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의 하부 에지부에 각각 제공된다. 규제부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및 382B),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및 387B)와 분리 벽 규제부(383)가 바닥 케이스(312)의 수직 방향으로 위치 설정되는 높이는, 기준면으로서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5B 및 392B)을 사용하여 설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및 382B)의 돌출 단부(상단 단부)와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5B 및 392B) 사이의 수직 방향 거리는 테이프 폭에 따라 설정된다. 분리 벽 규제부(383)의 바닥 단부와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5B 및 392B) 사이의 수직 방향 거리도 역시 테이프 폭에 따라 설정된다.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및 387B)의 돌출 단부(상단 단부)와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5B 및 392B) 사이의 수직 방향 거리는 잉크 리본(60)의 폭에 따라 설정된다.

    상술한 모든 규제부는 아암부(34) 내측에 제공되고,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5B 및 392B)은 각각 헤드 삽입부(39)의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의 부근에 있다. 환언하면, 아암부(34) 내측의 각 규제부는 기준면인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5B 및 392B)에 근접한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측정 에러가 더욱 적어지고, 규제부와 기준면이 동일한 주형 블록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암부(34) 내측의 규제부와 바닥 케이스(312)의 기준면이 단일 주형 블록(84)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경우가 도 4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43에서, 설명이 필요하지 않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되었음을 유의하라.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케이스(312)의 제조에 있어서, 제1 하부 편평면(395B)과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및 382B)는 동일한 주형 블록(84)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및 387B)와 제2 하부 편평면(392B)이, 도 43에서는 생략되었지만, 또한 동일한 주형 블록(84)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는 점을 유의하라.

    주형 블록(84)은 상부 인서트(841) 및 하부 인서트(842)를 포함한다. 하부 벽(306)의 바닥면(302)과 제2 하부 편평면(392B)은 하부 인서트(842)에 의해 성형된다. 또한, 바닥 벽(306)의 상부면, 제1 하부 편평면(395B),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및 382B), 및 제1 하부 리본 조정부(386B 및 387B)는 상부 인서트(841)에 의해 성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5B 및 392B),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및 382B), 및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및 387B)는, 상부 인서트(841)와 하부 인서트(842)를 포함하는 동일한 주형 블록(84)을 사용하여 성형된다. 이는,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5B 및 392B),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및 382B), 및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및 387B)가 분리된 주형 블록을 사용하여 성형되는 경우보다 치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규제부와 기준면이 서로 근접하여 있기 때문에, 측정 에러가 더욱 적어지고, 또한 치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하부 편평면(395B),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및 382B), 및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및 387B)는 동일한 상부 인서트(841)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이는, 이들 부분이 상부 인서트(841)와 하부 인서트(842)로 분리하여 형성된 경우에서보다 보다 좋은 치수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서멀 헤드(10)에 의해 인쇄를 실행하는 위치[개구(77)]의 상류측 부근에 아암부(34)가 있기 때문에, 아암부(34) 내측의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향상된 이송 정확도는 또한 인쇄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조 후,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5B 및 392B)은 기준면으로서 사용되고, 따라서 각 규제부의 치수 제어는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테이프 카세트(30)가 검사될 때, 각 규제부의 치수는 기준면인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5B 및 392B)을 기준으로 사용하여 측정된다. 이때, 각각의 규제부와 기준면 사이의 거리는 공지 기술에서보다 더 짧아서, 제품 검사기는 정확하게 치수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3에 도시된 주형 블록(84)을 사용하여 형성된 테이프 카세트(30)의 경우에, 제1 하부 편평면(395B)과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및 382B) 사이의 수직 방향 거리(D1)는, 기준으로서 바닥 케이스(312)의 형성된 제1 하부 편평면(395B)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5B 및 392B)은, 카세트 케이스(31)에 수납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 중심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5B 및 392B)의 수직 방향 위치에 대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수직 위치가 더욱 분명해지기 때문에,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는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 중심 위치와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5B 및 392B) 사이의 거리는,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과는 상관없이 일정하다. 따라서, 상이한 테이프 폭을 갖는 복수 종류의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을 수납하는 테이프 카세트(30)에 있어서,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5B 및 392B)의 위치는 일정한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카세트 케이스(31)의 치수 측정과 부품 제어가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아암부(34) 내측의 각 규제부는 바닥 케이스(312)의 좌우 방향의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5B 및 392B) 사이에 위치 설정되고, 각각의 기준면에 근접한다. 환언하면, 치수 설정 및 치수 측정을 실행하는데 기준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기준면 양쪽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기준면 양쪽을 사용하는 것은 다양한 규제부를 제조할 때 치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규제부가 제조된 후, 치수 제어가 더욱 정확하고 더욱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 케이스(312)에 제공된 다른 기준면[제3 하부 편평면(321B), 제4 하부 편평면(322B)]과,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카세트 케이스(31)의 수직 방향] 이동을 각각 제한하는 다른 규제부[제2 하부 테이프 규제부(363), 제3 하부 테이프 규제부(40B), 제4 하부 테이프 규제부(41B), 제2 하부 리본 규제부(388B), 제3 하부 리본 규제부(42B)]의 구조와 이들 사이의 관계는 제1 실시예와 모두 동일하다. 또한, 기준면과 규제부 이외의 부분의 구조도 역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이들 부분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다음에, 상단 케이스(311)의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도 42 및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돌출부(396)는 상단 케이스(311)의 헤드 삽입부(39)의 테이프 이송 방향의 상류측 단부에 연결된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돌출부(396)는 상부 벽(305)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고, 제1 상부 편평면(396A)은 그 하부 단부에 제공된다. 바닥 케이스(312) 및 상단 케이스(311)가 서로 접합될 때, 하류측 단부 이외의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단부는 바닥 케이스(312)의 제1 하부 편평면(395B)과 접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저면도(도 45 참조)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제1 상부 편평면(396A)은, 테이프 이송 방향의 가장 하류측에 위치된 면 이외의 3개의 면에서 제1 하부 편평면(395B)과 접촉한다. 제1 하부 돌출부(395)와 함께, 제1 상부 편평면(396A)은 제1 지지 수용부(391)를 형성한다.

    상단 케이스(311)의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수직 방향(높이 방향) 위치와 카세트 케이스(31)에 수납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는, 테이프 카세트(30)의 종류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환언하면,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 방향의 높이가 상이할 때에도, 상기 거리는 일정하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30)에 수납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이 크면 클수록, 상단면(301)에서 제1 상부 편평면(396A)까지의 거리는 길어진다.

    제1 상부 편평면(396A)은 상단 케이스(311)의 기준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상부 편평면(396A)은,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상향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후술될 다양한 규제부에 대한 기준면이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되는 경우에, 제1 상부 편평면(396A)은, 헤드 홀더(74)에 제공되는 제1 지지부(741)에 의해 하부로부터 지지되는 부분으로서 기능을 한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 핀(871)은 제1 상부 돌출부(396)의 후방측에서 하향 돌출한다. 환언하면, 제1 삽입 핀(871)은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부근에 제공된다. 제1 삽입 핀(871)은 바닥 케이스(312)에 제공되는 제1 실린더형 부재(861)(도 40 참조)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상부 편평면(396A)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제1 삽입 핀(871)의 배열 위치는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또한, 테이프 이송 방향의 헤드 삽입부(39)의 하류측 단부의 부근에서, 제2 삽입 핀(872)은, 바닥 케이스(312)의 제2 하부 편평면(392B)에 제공된 제2 실린더형 부재(862)(도 40 참조)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향 돌출한다. 제1 삽입 핀(871) 및 제2 삽입핀(872)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34)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단 케이스(311)의 섹션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규제부는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상향 방향의 이동을 각각 제한하는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경로 상에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테이프 이송 경로 상에,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가 피팅 홀(331)의 좌측 단부의 우측에 제공된다. 또한, 다른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2A)가 피팅 홀(331)의 우측 단부와 접촉한 상태로 제공된다. 잉크 리본(60) 이송 경로 상에, 잉크 리본(60)의 상향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6A 및 387A)는 피팅 홀(331)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와 각각 접촉한 상태로 제공된다.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및 382A)와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6A 및 387A)의 상단 케이스(311)의 수직 방향의 높이 위치는, 기준면으로서 제1 상부 돌출부(396)의 제1 상부 편평면(396A)을 사용하여 설정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및 382A)의 돌출 단부(바닥 단부)와 제1 상부 편평면(396A) 사이의 수직 방향 거리는 테이프 폭에 따라서 설정된다.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6A 및 387A)의 돌출 단부와 제1 상부 편평면(396A) 사이의 수직 방향 거리는, 잉크 리본(60)의 폭에 따라 설정된다. 이들 모든 규제 부재는 아암부(34) 내측에 제공되고, 제1 상부 편평면(396A)은 헤드 삽입부(39)의 상류측 단부의 부근에 있다. 환언하면, 각 규제부는 기준면인 제1 상부 편평면(396A)에 근접한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측정 에러가 더욱 적어지고, 규제부와 기준면이 동일한 주형 블록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단 케이스(311)의 아암부(34) 내측에 규제부와 기준면이 단일 주형 블록(92)을 사용하여 형성된 경우가 도 4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46에서, 설명이 필요하지 않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되었다는 점을 유의하라.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케이스(311)의 제조에 있어서, 제1 상부 편평면(396A)과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및 382A)가 동일한 주형 블록(92)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6A 및 387A)도 또한, 도 46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동일한 주형 블록(92)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된다는 점을 유의하라.

    주형 블록(92)은 상부 인서트(921) 및 하부 인서트(922)를 포함한다. 상부 벽(305)의 상단면(301)은 상부 인서트(921)에 의해 성형된다. 또한, 상부 벽(305)의 하부면, 제1 상부 편평면(396A),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및 382A), 및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6A 및 387A)는 하부 인서트(922)에 의해 성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상부 편평면(396A),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및 382A), 및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6A 및 387A)는, 상부 인서트(921) 및 하부 인서트(922)를 포함하는 동일한 주형 블록(92)을 사용하여 성형된다. 이는, 제1 상부 편평면(396A),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및 382A), 및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6A 및 387A)가 분리된 주형 블록을 사용하여 성형된 경우보다 치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규제부와 기준면이 서로 근접하여 있기 때문에, 측정 에러가 더욱 적어지고, 또한 치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제1 상부 편평면(396A),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및 382A) 및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6A 및 387A)는 동일한 하부 인서트(922)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이는, 이들 부분이 하부 인서트(922) 및 상부 인서트(921)에 의해 분리되어 형성되는 경우보다 나은 치수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기준면으로서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사용하는 것은, 다양한 규제부의 제조시 치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서멀 헤드(10)에 의해 인쇄를 실행하는 위치[개구(77)]의 상류측 부근에 아암부(34)가 있기 때문에, 아암부(34) 내측의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를 향상키시는 것은 또한 인쇄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규제부는 바닥 케이스(312) 및 상단 케이스(311) 양쪽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동은 하향 방향 및 상향 방향 양쪽으로 제한될 수 있어서, 이송 정확도와 인쇄 정확도가 한층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조 후, 각 규제부의 치수 제어는, 기준면으로서 제1 상부 편평면(396A)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테이프 카세트(30)가 검사될 때, 각 규제부는 기준으로서 제1 상부 편평면(396A)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때, 기준면에서 각 규제부까지의 거리가 짧으므로, 제품 검사기는 정확하게 치수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6에 도시된 주형 블록(92)을 사용하여 형성된 테이프 카세트(30)의 경우에, 제1 상부 편평면(396A)과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및 382A) 사이의 수직 방향 거리(D2)는, 기준으로서 상단 케이스(311)의 형성된 제1 상부 편평면(396A)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제1 상부 편평면(396A)은, 카세트 케이스(31)에 수납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 중심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다. 그러므로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수직 방향 위치에 대해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수직 위치가 더욱 분명해지기 때문에,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단 케이스(311)에 제공되는 다른 기준면[제2 상부 편평면(321A), 제3 상부 편평면(322A)]들의 구조 및 그것들 사이의 관계, 및 상향으로의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동을 각각 억제하는 다른 규제부[제2 상부 테이프 규제부(40A), 제3 상부 테이프 규제부(41A), 제2 상부 리본 규제부(42A)]는 제1 실시예와 모두 동일하다. 또한, 기준면 및 규제부 이외의 부분의 구조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런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단 케이스(311) 및 바닥 케이스(312)는 제1 내지 제4 삽입핀(871 내지 874)을 제1 내지 제4 원통형 부재(861 내지 864)에 피팅함으로써 테이프 카세트(30)를 형성하도록 함께 결합된다.

    제1 피팅부(881)는 기준면인 제1 하부 편평면(395B) 및 제1 상부 편평면(396A) 부근에서 바닥 케이스(312)와 상단 케이스(311) 사이에 제공된다. 상단 케이스(311) 및 바닥 케이스(312)는 제1 피팅부(881)에 의해 적절하게 함께 결합된다. 따라서, 기준면인 제1 하부 편평면(395B) 및 제1 상부 편평면(396A)은 서로 적절한 접촉을 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적절한 위치에 각각 유지될 수 있다.

    제1 하부 편평면(395B) 및 제1 상부 편평면(396A) 부근에 제공되는 다양한 규제부의 위치 또한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고, 다양한 규제부는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 분리 벽 규제부(383),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387B), 제3 하부 리본 규제부(42B),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382A), 및 제1 상부 리본 규제부(386A, 387A)이다. 결과적으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는 향샹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정확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피팅부(882 내지 884)의 피팅 모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아래에서는, 도 31, 도 33, 및 도 47 내지 도 48을 참고하여, 테이프 카세트(30)가 테이프 인자기(1)에 설치될 때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카세트(30) 및 테이프 인자기(1)의 작동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테이프 카세트(30)를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하고 테이프 카세트(30)를 하향으로 밀면, 바닥면(302)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오목부인 제1 지지 수용부(391)의 천장벽부는 헤드 홀더(74)의 헤드 고정부(744)에 제공된 제1 지지부(741)와 접촉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상부 편평면(396A)은 제1 지지부(741)와 접촉하고, 따라서 제1 지지 수용부(391)가 하방향으로 그 지점 이상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302)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오목부인 제2 지지 수용부(392)의 천장벽부는 헤드 홀더(74)의 헤드 고정부(744)에 제공되는 제2 지지부(742)와 접촉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2 하부 편평면(392B)은 제2 지지부(742)와 접촉하고, 추가적인 하향 이동이 억제된다. 즉, 테이프 카세트(30)는, 기준면인 상단 케이스(311)의 제1 상부 편평면(396A) 및 바닥 케이스(312)의 제2 하부 편명면(392B)이 서멀 헤드(10)의 중심 위치를 위한 수직 방향으로의 기준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카세트 지지부(741, 742)에 의해 아래로부터 지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테이프 인자기(1) 및 테이프 카세트(30)에 따르면,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인쇄 매체[시온 테이프 종이 테이프(55), 인쇄 테이프(57) 또는 필름 테이프(59) 중 하나]인 테이프의 위치 설정은 인쇄를 실행하는 서멀 헤드(10) 부근에 있는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정확하게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 중심 위치는 서멀 헤드(10)에 의한 인쇄를 위한 수직 방향 중심 위치와 정확하게 조화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에의 인쇄 품질은 향상될 수 있다.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되는 테이프 카세트(30)가 도 47 및 도 31에 나타내는 테이프 카세트(30)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경우, 제1 상부 편평면(396A) 및 제2 하부 편평면(392B)은 도 48 및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 지지부(741, 742)와 접촉하고 이 카세트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도 48 및 도 33에 나타낸 테이프 카세트(30)에서, 바닥면(302)으로부터 제1 상부 편평면(396A) 및 제2 하부 편명면(392B)까지의 수직 방향으로의 거리는 도 47 및 도 31에 나타내는 테이프 카세트(30)에서보다 짧다. 제1 상부 편평면(396A) 및 제2 하부 편평면(392B)의 위치와 카세트 케이스(31)에 수납되는 테이프의 수직 방향 중심 위치(N)[카세트 케이스(31)의 수직 방향 중심을 잇는 라인] 사이의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 방향(높이 방향)의 거리(H2)는 테이프 카세트(30)의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또한, 제2 상부 편평면(321A) 및 제3 상부 편평면(322A)의 위치와 카세트 케이스(31)의 수직 방향 중심 라인(N) 사이의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높이) 방향으로의 거리도 테이프 카세트(30)의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이는 동일한 테이프 인자기(1)에서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여러 형태의 테이프 카세트(30)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이한 폭을 가지는 테이프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테이프는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중심이 조화되는 위치에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의 중심이 테이프 폭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을 때, 테이프 폭 방향으로 테이프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로 인해 테이프가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상부 돌출부(396)는 본 발명의 "제1 상부 돌출부"에 대응한다. 제1 상부 편평면(396A)은 "상부 편평면"에 대응한다.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382A)는 각각 "상부 규제부"에 대응한다. 바닥 케이스(312)의 제1 하부 돌출부(395)는 "하부 돌출부"에 대응한다.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는 각각 "하부 규제부"에 대응한다.

    <제4 실시예>

    도 49 내지 도 52를 참고하여 제4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상단 케이스(311)의 기준면인 제1 상부 편평면(396A) 및 바닥 케이스(312)의 기준면인 제1 하부 편평면(395B)은 서로 접촉한다.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상단 케이스(311) 및 바닥 케이스(312)가 접촉하고 있는 위치가 상이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제3 실시예와 상이한 구조에 집중되고,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할당되며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예의 상단 케이스(311)의 제1 상부 편평면(396A) 주위 구간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9 및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돌출부(396)는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상단 케이스(311)의 헤드 삽입부(39)의 상류측 단부에 연결된다. 제1 상부 돌출부(396)에는 그 하단부에 제1 상부 편평면(396A)이 제공된다.

    제2 상부 돌출부(399)는, 하류측 단부가 아닌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상부 벽(305)으로부터 하향 돌출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상부 돌출부(399)는 최하류측에 위치한 측부 이외의 3 측부에 연결된다.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면도에서, 제2 상부 돌출부(399)는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되는 U형상을 갖는다. 제2 상부 돌출부(399)에는 그 하단부에 편평면인 상부 접촉 편평면(399A)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 방향으로의 상부 접촉편평면(399A)의 위치는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위치보다 낮다. 상단 케이스(311)가 바닥 케이스(312)와 함께 결합되면, 상부 접촉 편평면(399A)은 바닥 케이스(312)의 제1 하부 편평면(395B)과 접촉한다. 제4 실시예에서, 제1 지지 수용부(391)는 도 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상부 편평면(396A), 제1 하부 돌출부(395), 및 제2 상부 돌출부(399)를 포함한다. 제2 상부 돌출부(399)는 하류측 단부 이외의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모든 단부(3측부)에 반드시 연결될 필요는 없다. 구체적으로, 단부가 하류측 단부가 아닌 한, 제2 상부 돌출부(399)는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단부 중 어느 한 단부에 연결되도록 상부 벽(305)으로부터 하향 돌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상부 돌출부(399)는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의 상류측에서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단부에만 연결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하부 돌출부(395)는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상류측 단부에만 인접하게 위치 설정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단 케이스(311)의 수직 방향(높이 방향)의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위치와 카세트 케이스(31)에 수납되는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 방향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는 테이프 카세트(30)의 형태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즉, 테이프 카세트(30)의 수직 방향으로의 높이가 상이한 경우에도 거리는 일정하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30)에 수납되는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폭이 클수록, 상단면(301)으로부터 제1 상부 편평면(396A)까지의 거리는 길다.

    제1 상부 편평면(396A)은 상단 케이스(311)의 기준면이다. 제4 실시예에서는, 제3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1 상부 편평면(396A)이 상방향으로의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동을 억제하는 다양한 규제부를 위한 기준면이다. 제1 상부 편평면(396A)은 또한 상부 접촉 편평면(399A)을 위한 기준면이다. 테이프 카세트(30)가 카세트 하우징부(8)에 설치되는 경우, 제1 상부 편평면(396A)은 헤드 홀더(74)에 제공되는 제1 지지부(741)에 의해 아래로부터 지지되는 부분으로서 작용한다.

    상부 접촉 편평면(399A) 및 규제부로부터 기준면까지의 거리는 짧기 때문에, 상부 접촉 편평면(399A), 규제부, 및 기준면은 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주형 블록(92)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 여지가 더 클 수 있다. 주형 블록(92)을 이용한 상단 케이스(311)의 제조 방법은, 상부 접촉 편평면(399A)이 하부 인서트(922)에 의해서도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테이프 카세트(30)를 위한 기준면으로서 제1 상부 편평면(396A)을 사용하는 것은, 제3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다양한 규제부의 제조 동안 치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 및 인쇄 정확도는 모두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조 후에, 제1 상부 편평면(396A)은 기준면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규제부 및 상부 접촉 편평면(399A) 각각의 치수 제어는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테이프 카세트(30)가 검사될 때, 규제부 및 상부 접촉 편평면(399A) 각각은 기준면으로서 제1 상부 편평면(396A)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때, 기준면으로부터 규제부 및 상부 접촉 편평면(399A) 각각까지의 거리는 짧기 때문에, 생산물 검사자는 치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1에 나타낸 주형 블록(92)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테이프 카세트(30)의 경우에, 수직 방향으로의 제1 상부 편평면(396A)과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382A) 사이의 거리(D2)는 성형된 상단 케이스(311)의 형성된 제1 상부 편평면(396A)을 기준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수직 방향으로의 제1 상부 편평면(396A)과 상부 접촉 편평면(399A) 사이의 거리(D3) 또한 제1 상부 편평면(396A)을 기준으로써 사용함으로써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이런 방식에서, 기준면으로서 제1 상부 편평면(396A)을 사용하는 것은 상부 접촉 편평면(399A)의 치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제1 하부 편평면(395B)은 바닥 게이스(312)의 기준면이다. 따라서, 제1 하부 편평면(395B)을 치수 제어가 실행된 제1 상부 편평면(396A)과 접촉 상태에 두는 것은 제1 상부 편평면(396A)에 대해 규제부를 정확하게 위치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테이프 이송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제4 실시예의 바닥 케이스(312)의 제1 하부 편평면(395B) 주위 구간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바닥 케이스(312)에서, 헤드 삽입부(39)의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의 상류측 단부는 헤드 삽입부(39)로부터 상단 케이스(311)의 상부 접촉 편평면(399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만입된다. 또한, 만입된 영역의 측벽은 바닥 케이스(312)의 바닥벽(306)으로부터 상향 돌출하는 제1 하부 돌출부(395)에 의해 형성된다. 평면도에서의 제1 하부 돌출부(395)의 형상은 제3 실시예에서의 형상(도 40 참고)과 동일하다. 하류측 단부가 아닌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단부에 인접한 편평면인 제1 하부 편평면(395B)은 제1 하부 돌출부(395)의 상단 단부에 제공된다.

    상단 케이스(311) 및 바닥 케이스(312)가 함께 결합되면, 상부 접촉 편평면(399A)은 바닥 케이스(312)의 제1 하부 편평면(395B)과 접촉한다. 즉, 제3 실시예의 제1 하부 돌출부(395)(도 42 참고)와 비교할 때, 도 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하부 돌출부(395)의 높이는 상이하고, 수직 방향으로의 제1 하부 편평면(395B)의 위치는 상이하다. 그러나, 제4 실시예의 테이프 카세트(30)의 상단면(301)으로부터 바닥면(302)까지의 거리는 제3 실시예의 거리와 동일하다.

    제4 실시예의 바닥 케이스(312)에서 규제부와 기준면 사이의 거리 또한 짧기 때문에, 규제부 및 기준면이 동일한 주형 블록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 여지가 더 클 수 있다. 제4 실시예의 바닥 케이스(312)의 제조에서는, 규제부 및 기준면은 제3 실시예(도 43 참고)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일한 주형 블록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치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이는 다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의 이송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인쇄 정확도 또한 따라서 향상될 수 있다.

    도 50에서, 상부 접촉 편평면(399A)의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는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위치보다 낮지만, 상부 접촉 편평면(399A)은 또한 예컨대 도 5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상부 편평면(396A)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하부 돌출부(395)의 높이는 상부 접촉 편평면(399A)의 위치에 따라 증가된다.

    제4 실시예에서, 제1 상부 돌출부(396)는 본 발명의 "제1 상부 돌출부"에 대응한다. 제1 상부 편평면(396A)은 "상부 편평면"에 대응한다. 제2 상부 돌출부(399)는 "제2 상부 돌출부"에 대응한다. 상부 접촉 편평면(399A)은 "상부 접촉 편평면"에 대응한다. 제1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382A) 각각은 "상부 규제부"에 대응한다. 바닥 케이스(312)의 하부 규제부(395)는 "하부 돌출부"에 대응한다. 제1 하부 편평면(395B)은 "하부 편평면"에 대응한다.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 각각은 "하부 규제부"에 대응한다.

    제3 실시예에서, 테이프 카세트(30)가 테이프 인자기(1)에 삽입될 때, 테이프 인자기(1)의 하방향은 테이프 카세트(30)의 하방향에 조화된다. 그러나, 테이프 인자기(1)의 하방향은 항상 테이프 카세트(30)의 하방향에 조화될 수는 없다. 예컨대, 도 53 및 도 54는 변형예에 따른 테이프 인자기(1)를 나타낸다. 테이프 카세트(30)가 도 53 및 도 34에 나타내는 테이프 인자기(1)에 삽입될 때, 테이프 인자기(1)의 하방향은 테이프 카세트(30)의 상방향과 동일하다. 즉, 도 53의 테이프 인자기(1)에 의해 인쇄가 실행될 때의 테이프 카세트(30)의 상하 배향은 테이프 카세트(30)가 도 1의 테이프 인자기(1)에 있을 때의 배향과 반대이다.

    도 53 및 도 54를 참고하여 변형예에 따른 테이프 인자기(1)를 설명한다. 도 53에서, 지면의 하부 좌측, 상부 우측, 하부 우측, 및 상부 좌측은 각각 테이프 인자기(1)의 전방측, 후방측, 우측, 및 좌측에 대응한다. 또한, 지면의 전방측은 테이프 인자기(1)의 상측에 대응하고, 지면의 후방측은 테이프 인자기(1)의 바닥측에 대응한다.

    변형예에 따른 테이프 인자기(1)의 구성의 개요를 설명한다. 테이프 인자기(1)는, 서멀식, 리셉터식, 적층식, 시온 적층식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테이프 카세트가 사용될 수 있는 범용 테이프 인자기이다.

    도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인자기(1)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인쇄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5), 세팅 스크린 등이 상단면의 후방부(도 53에서 상부 우측)에 제공된다. 테이프 인자기(1)를 작동시키기 위한 키보드(3)가 상단면의 전방부(도 53에서 하부 좌측)에 제공된다. 인쇄된 테이프(50)가 배출되는 배출 슬릿(111)이 테이프 인자기(1)의 후방면(도 54 참조)에 제공된다. 인쇄된 테이프(50)를 폭 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 버튼(4)이 테이프 인자기(1)의 후방면의 우측 부분에 제공된다.

    도 53에 나타내는 테이프 인자기(1)의 바닥측에는 바닥 커버(106)가 제공된다. 바닥 커버(106)가 제거될 때, 사용자는 테이프 카세트(30)를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다. 즉,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하우징부(8)는, 테이프 카세트(30)가 테이프 인자기(1)의 바닥측으로부터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사용자가 테이프 인자기(1)를 사용할 때, 테이프 인자기(1)의 작동은, 키보드(3) 등이 제공되는 상단측이 상향하도록 테이프 인자기(1)를 배향시킴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30)의 상방향은 테이프 인자기(1)에서는 하방향이 된다. 즉, 인쇄가 실행될 때의 테이프 카세트(30)의 상하 방향은 도 1에 나타내는 테이프 인자기(1)가 사용될 때의 배향과 반대가 된다.

    이 경우에도, 테이프 카세트(30)의 상단 케이스(311)의 다양한 규제부는 제1 상부 편평면(396A) 등을 기준으로서 사용하여 정확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은 우수한 정확도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품질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규제부가 바닥 케이스(312)에 제공되기 때문에, 테이프 및 잉크 리본(60)은 훨씬 더 우수한 정확도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품질은 훨씬 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테이프 인자기(30)에서, 카세트 커버(6)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후방 쪽으로 개방된다(도 1 및 도 2 참조). 그러나, 카세트 커버(6)는 상이한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5 및 도 56은 다른 변형예에 따른 테이프 인자기(1)를 나타낸다. 도 55 및 도 56에서, 상부 우측은 테이프 인자기(1)의 우측이고, 하부 좌측은 테이프 인자기(1)의 좌측이고, 상부 좌측은 테이프 인자기(1)의 후방측이며, 하부 우측은 테이프 인자기(1)의 전방측이다.

    이 변형예에 따른 테이프 인자기(1)는,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범용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는 형태이며,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가 제공되지 않는다. 여기서, 카세트 커버(6)는 테이프 인자기(1)의 상단면의 우단부의 축에 의해 지지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한다. 따라서, 카세트 커버(6)는 우측 방향으로 개방된다. 헤드 가압 부재(7) 및 주연 가압 부재(914)의 형상은, 카세트 커버(6)가 닫힐 때 헤드 가압 부재(7) 및 주연 가압 부재(914)가 테이프 카세트(30)의 제1 압박 수용부(393)의 제1 상부 편평면(393A) 및 제2 압박 수용부(398)의 편평면(398A)을 위로부터 접촉하고 누를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도 5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변형예에서, 헤드 가압 부재(7) 및 주연 가압 부재(914)는 카세트 커버(6)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돌출하는 원통형 부재이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4개의 주연 가압 부재(911 내지 914)가 제공되지만, 변형예에서는 단지 3개의 주연 가압 부재(911, 912, 914)만 제공된다.

    카세트 커버(6)가 우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테이프 인자기(1)에서는, 헤드 가압 부재(7)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인 헤드 삽입부(39)를 따라 제1 압박 수용부(393)에 도달한다는 점을 유념하라. 따라서, 헤드 가압 부재(7)는 테이프 카세트(30)가 제1 상부 편평면(393A)에 접촉하기 전에는 테이프 카세트(30)를 간섭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1 상부 편평면(393A)의 후방에 경사부(394)를 제공함으로써, 테이프 카세트(30)는 양 형태의 테이프 인자기(1), 즉 카세트 커버(6)가 우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형태(도 1 및 도 2 참조) 및 카세트 커버(6)가 우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형태(도 55 및 도 56 참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테이프 카세트(30) 및 테이프 인자기(1) 의 다양한 기술적인 특징 중 하나의 특징이 단독으로 채용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기술적인 특징이 채용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30) 및 테이프 인자기(1)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는 몇몇 변형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지지 수용부(391, 392)의 형상 및 배치 위치는 실시예에서 예시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지지부(391, 392)의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은 저면도에서 각각 직사각형이다. 그러나,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은 삼각형 등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압박 수용부(393)의 형상은 실시예에 예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그것은 지지부(391, 392)의 제1 및 제2 하부 편평면(391B, 392B)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테이프 인자기(1)는 카세트 후크(75)를 포함하며, 테이프 카세트(30)는 랫칭부(latching portion; 397)를 포함한다. 그러나, 테이프 인자기(1)는 항상 카세트 후크(75)를 구비하지는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30)는 항상 랫칭부(397)를 구비하지는 않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테이프 인자기(1)는 아암 검출부(200)를 포함하고, 테이프 카세트(30)는 아암 표식부(800)를 포함한다. 그러나, 테이프 인자기(1)는 항상 아암 검출부(200)를 구비하지는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30)는 항상 아암 표식부(800)를 구비하지는 않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 363, 40B, 41B)는 바닥 케이스(312)에 제공되고, 제1 내지 제3 상부 테이프 규제부(381A, 382A, 40A, 41A)는 상단 케이스(311)에 제공된다. 그러나, 테이프 카세트(30)는 바닥 케이스(312)의 아암부(34) 내측에 단일의 규제부를 구비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30)는 상단 케이스(311)의 아암부(34) 내측에 단일 규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아암부(34) 내측에 규제부가 제공되는 위치는 실시예에서 설명한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테이프 카세트(30)는 다른 구간에 규제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바닥 케이스(312)와 상단 케이스(311) 양자에 규제부가 제공되는 경우, 상단 케이스(311)에 제공된 규제부는 수직 방향으로 바닥 케이스(312)에 제공된 규제부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수직 방향으로의 규제부의 쌍이 상하 방향 양자에서의 테이프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수직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억제하는 규제부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의 잉크 리본(60)의 이동을 억제하는 규제부[제1 내지 제3 하부 리본 규제부(386B, 387B, 388B, 42B), 및 제1 및 제2 상부 리본 규제부(386A, 387A, 42A)]가 테이프 카세트(30)에 제공된다. 그러나, 테이프 카세트(30)는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억제하는 규제부만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바닥 케이스(312)에서는, 기준면인 제1 내지 제4 하부 편평면(391B, 392B, 321B, 322B) 모두가 폭 방향으로 테이프의 중심 위치로부터 동일 거리에 있다. 즉, 이것들은 모두 동일 평면에 있다. 이는 규제부 각각의 용이한 치수 설정 및 치수 제어를 허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폭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중심 위치와 제1 내지 제4 하부 편평면(391B, 392B, 321B 및 322B) 사이의 거리 각각이 모두 동일할 필요는 없다. 유사하게, 상단 케이스(311)에서, 기준면인 제1 내지 제3 상부 편평면(393A, 321A, 322A)과 폭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 각각은 반드시 모두 동일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테이프 카세트(30)에서, 제1 내지 제4 피팅부(881 내지 884)는 기준면인 제1 내지 제4 하부 편평면(391B, 392B, 321B, 322B) 위에 각각 제공된다. 그러나, 테이프 카세트(30)는 항상 이러한 피팅부를 구비하지는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피팅부(881 내지 884) 적어도 하나가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하부 편평면(391B, 392B, 321B, 322B) 중 적어도 하나 위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테이프 카세트는 하우징, 인쇄 매체로서의 테이프, 아암부, 제1 하부 오목부, 제1 하부 규제부, 및 제1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상단면, 하부면, 전방면, 및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한다. 하우징은 상단 케이스 및 바닥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케이스는 상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벽을 포함할 수 있고, 바닥 케이스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벽을 포함한다. 테이프는 하우징에 수납될 수 있다. 아암부는, 출구 및 전방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방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미리 결정된 이송 경로의 구간을 따라 테이프를 출구로 지향시킬 수 있다. 제1 하부 오목부는, 바닥면의 일부를 상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된 오목부일 수 있으며, 테이프의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아암부의 상류측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부 오목부는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제1 하부 편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아암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바닥 케이스의 구간 및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수직 방향으로 제1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하방향으로의 테이프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는 제1 하부 편평면에 수직 방향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결합부는 상단 케이스 및 바닥 케이스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케이스에서, 테이프 카세트의 제1 하부 규제부 및 제1 하부 편평면은 아암부를 기준점으로하여 서로 가까운 위치에 제공된다. 수직 방향으로의 제1 하부 규제부의 위치는 제1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결정된다. 제1 결합부는 제1 하부 편평면에 수직 방향으로 상단 케이스 및 바닥 케이스를 결합시킨다. 결과적으로, 제1 하부 편평면의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는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하부 편평면 부근에 제공된 제1 규제부는 적절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는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인쇄 정확되 또한 향상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다른 편평면 부근에 제공된 다른 규제부[상기 실시예에서, 제2 내지 제4 하부 테이프 규제부(363, 40B, 41B)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다른 규제부의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는 다른 편평면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는 다른 편평면에 수직 방향에 제공된 다른 결합부[상기 실시예에서, 제2 내지 제4 결합부(882 내지 884)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예컨대 헤드 홀더 삽입부, 제2 하부 오목부, 및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 홀더 삽입부는 그 후부에서 아암부에 인접한 공간일 수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하우징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헤드 홀더 삽입부는 하우징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오목부는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하류측의 단부 부근과 헤드 홀더 삽입부의 주변에서 바닥 케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하부 오목부는 바닥면의 일부를 상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된 오목부일 수 있다. 제2 하부 오목부는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제2 하부 편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는 제2 하부 편평면에 수직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결합부는 상단 케이스 및 바닥 케이스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부 오목부는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상류측의 단부 부근과 헤드 홀더 삽입부의 주변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 제1 하부 편평면과 제2 하부 편평면 사이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제1 하부 편평면 및 제2 하부 편평면은 폭 방향 테이프 중심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케이스에서, 제1 하부 규제부의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는 제1 하부 편평면 및 제2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결정된다. 제1 하부 편평면 및 제2 하부 편평면은 헤드 홀더 삽입부의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 부근에 각각 제공되며, 제1 하부 규제부를 사이에 두고 있다. 제1 결합부는 제1 하부 편평면에 수직 방향으로 상단 케이스 및 바닥 케이스를 결합시킨다. 제2 결합부는 제2 하부 편명면에 수직 방향으로 상단 케이스 및 바닥 케이스를 결합시킨다. 따라서, 제1 및 제2 편평면의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는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결합부 사이에 배치된 제1 하부 규제부는 더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는 더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인쇄 정확도 또한 더 향상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테이프 안내부 및 제2 하부 규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 안내부는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하류측과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하류의 단부 부근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테이프 안내부는 출구로부터 배출되어 노출된 테이프를 안내할 수 있다. 제2 하부 규제부는, 테이프의 형태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수직 방향으로 제2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와 테이프 안내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바닥 케이스의 구간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하부 규제부는 하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케이스에서, 제2 하부 규제부는 제2 하부 편평면 부근에 제공되고, 수직 방향으로의 제2 하부 규제부의 위치는 제2 편평면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제2 결합부는 제2 편평면에 수직 방향으로 상단 케이스 및 바닥 케이스를 결합시킨다. 따라서, 제2 편평면의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는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고, 제2 하부 편평면 부근에 제공된 제2 규제부는 적절하게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는 더 향상될 수 있고, 인쇄 정확도 또한 따라서 더 향상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지지 수용부(391)는 "제1 하부 오목부"에 대응하고, 제1 하부 편평면(391B)은 상기 실시예의 "제1 하부 편평면"에 대응한다. 제1 하부 테이프 규제부(381B, 382B)는 각각 "제1 하부 규제부"에 대응한다. 제2 지지 수용부(392)는 "제2 하부 오목부"에 대응하고, 제2 하부 편평면(392B)은 "제2 하부 편평면"에 대응한다. 제2 하부 테이프 규제부(363)는 "제2 하부 규제부"에 대응한다.

    테이프 카세트(30)는 인쇄 매체로서의 테이프 없이 잉크 리본만이 장착되는 리본 카세트로서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리본 카세트는 하우징, 인쇄를 위한 잉크 리본, 아암부, 제1 하부 오목부, 및 제1 하부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상단면, 바닥면, 전방면, 및 한쌍의 측면을 갖는다. 하우징은 상단 케이스 및 바닥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케이스는 상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벽을 포함할 수 있고, 바닥 케이스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벽을 포함할 수 있다. 잉크 리본은 하우징에 수납될 수 있다. 아암부는 출구 및 전방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이송 경로의 구간을 따라 잉크 리본을 출구로 지향시킬 수 있다. 이송 경로는 사용되지 않은 잉크 리본이 수납되는 제1 영역으로부터 사용된 잉크 리본이 수납되는 제2 영역으로 연장된다. 이송 경로의 구간은 전방면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하부 오목부는, 바닥면의 일부는 상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된 오목부일 수 있고, 잉크 리본의 이송 방향으로 아암부의 상류측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부 오목부는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제1 하부 편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과 아암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바닥 케이스의 구간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잉크 리본의 폭에 따라 결정되는 거리만큼 수직 방향으로 제1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하방향으로의 잉크 리본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케이스에서, 리본 카세트의 제1 하부 편평면 및 제1 하부 규제부는 아암부를 기준점으로 하여 서로 가까운 위치에 제공된다. 수직 방향으로의 제1 하부 규제부의 위치는 제1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1 하부 규제부가 제조될 때 치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잉크 리본의 이송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조 후에 제1 하부 규제부의 치수 제어는 제1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서 사용하여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아암부에 제공된 제1 하부 규제부[상기 실시예에서,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86B, 387B)]뿐만 아니라, 리본 카세트는 하방향으로의 잉크 리본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다른 규제부[상기 실시예에서, 제2 하부 리본 규제부(388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직 방향으로의 다른 규제부의 위치는 기준면으로서 작용하는 다른 편평면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리본 카세트는 헤드 홀더 삽입부, 리본 안내부, 및 제2 하부 오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 홀더 삽입부는 그 후부에서 아암부에 인접한 공간일 수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하우징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헤드 홀더 삽입부는 하우징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리본 안내부는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하류 단부의 단부와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하류측에서 하우징에 제공될 수 있다. 리본 안내부는 잉크 리본이 이송 경로를 따라 제2 영역 쪽으로 구부러지도록 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제2 하부 오목부는 리본 안내부 부근에서 헤드 홀더 삽입부의 주변에서 바닥 케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하부 오목부는 또한 리본 안내부 및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이송 경로의 구간의 전방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제2 하부 오목부는 바닥면의 일부를 상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된 오목부일 수 있다. 제2 하부 오목부는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제2 하부 편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부 오목부는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상류측의 단부 부근과 헤드 홀더 삽입부의 주변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 제1 하부 편평면과 제2 하부 편평면 사이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제1 하부 편평면 및 제2 하부 편평면은 폭 방향으로의 잉크 리본의 중심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케이스에서, 제1 하부 규제부의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는 제1 하부 편평면 및 제2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하부 편평면 및 제2 하부 편평면은 헤드 홀더 삽입부의 상류측 단부 및 하류측 단부 부근에 각각 제공되며, 제1 하부 규제부를 사이에 두고 있다. 따라서, 제1 하부 규제부가 제조될 때 치수 정확도는 더 향상될 수 있고, 잉크 리본의 이송 정확도가 따라서 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조 후에, 제1 하부 규제부의 치수 제어는 제1 하부 편평면 및 제2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써 사용하여 훨씬 더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리본 카세트는 제2 하부 규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부 규제부는 리본 안내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바닥 케이스의 구간 및 잉크 리본의 폭에 따라 결정되는 거리만큼 수직 방향으로 제2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하부 규제부는 하방향으로의 잉크 리본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 케이스에서, 제2 하부 편평면 및 제2 하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하류측의 헤드 홀더 삽입부의 단부 부근에 제공된다. 수직 방향으로의 제2 하부 규제부의 위치는 제2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서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하부 규제부의 제조시의 치수 정확도는 더 향상될 수 있고, 제조 후, 치수 제어는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부 편평면 및 제2 하부 편평면은 잉크 리본의 폭 방향 중심 위치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의 제1 하부 규제부 및 제2 하부 규제부의 위치는 동일하다. 따라서, 하방향으로의 잉크 리본의 이동은 규제부 각각에 의해 억제될 수 있고, 잉크 리본은 잉크 리본의 폭 방향 중심 위치와 평행하게 아암부로부터 리본 안내부로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테이프 카세트(30)는 상기 예의 "리본 카세트"에 대응한다. 사용되지 않은 잉크 리본(60)을 수납하는 제1 리본 영역(420)은 "제1 영역"에 대응한다. 사용된 잉크 리본(60)을 수납하는 제2 리본 영역(440)은 "제2 영역"에 대응한다. 제1 지지 수용부(391)는 "제1 하부 오목부"에 대응하고, 제1 하부 편평면(391B)은 "제1 하부 편평면"에 대응한다. 제1 하부 리본 규제부(396B, 387B)는 "제1 하부 규제부"에 각각 대응한다. 헤드 삽입부(39)는 "헤드 홀더 삽입부"에 대응한다. 리본 안내벽(47)은 "리본 안내부"에 대응한다. 제2 지지 수용부(392)는 "제2 하부 오목부"에 대응하고, 제2 하부 편평면(392B)은 "제2 하부 편평면"에 대응한다.

    상기 예의 리본 카세트에서, 아암부에 제공된 규제부의 위치는 실시예에 예시된 위치로 제한될 수 없다. 예컨대, 일 규제부는 아암부(34)의 잉크 리본(60)의 이송 경로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규제부의 위치는 출구(341)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출구(341)에서 잉크 리본(60)이 구겨질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규제부는 좌우 방향으로의 아암부(34)의 길이의 적어도 절반의 거리만큼 출구(341)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실시예에 예시된 테이프 인자기(1)는 인쇄 헤드, 테이프 구동 샤프트, 및 리본 구동 샤프트를 포함한다. 인쇄 헤드는 잉크 리본을 사용하여 인쇄 매체로서의 테이프에 인쇄를 실행한다. 테이프 구동 샤프트는 인쇄 헤드를 경유하여 테이프를 이송한다. 리본 구동 샤프트는 인쇄 헤드를 경유하여 잉크 리본을 이송한다. 이러한 테이프 인자기가 테이프 인자기에 설치될 수 있는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하여 인쇄를 실행하는 경우, 테이프 카세트의 이동가능한 부품에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테이프 카세트는 다음과 같이 진동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테이프 카세트는, 잉크 리본을 사용하여 인쇄 매체로서의 테이프에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헤드, 인쇄 헤드를 경유하여 테이프를 이송하는 테이프 구동 샤프트, 및 인쇄 헤드를 경유하여 잉크 리본을 이송하는 리본 구동 샤프트를 구비하는 테이프 인자기에 설치 및 제거될 수 있으며, 테이프 카세트는 하우징, 테이프, 잉크 리본, 헤드 삽입부, 테이프 구동 롤러, 리본 구동 롤러, 제1 압박 수용부, 및 제2 압박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상단면, 바닥면, 전방면 및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한다. 하우징은 상단면을 갖는 상단 케이스 및 바닥면을 갖는 바닥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는 하우징의 테이프 수납 영역에 수납될 수 있다. 잉크 리본은 하우징의 리본 수납 영역에 수납될 수 있다. 헤드 삽입부는 수직 방향으로 하우징을 통해 연장되는 공간일 수 있다. 인쇄 헤드는 하우징의 바닥면측으로부터 헤드 삽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테이프 구동 롤러는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테이프 구동 샤프트는 하우징의 바닥면측으로부터 테이프 구동 롤러에 삽입될 수 있다. 테이프 구동 롤러는 테이프의 이송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의 인쇄 헤드의 삽입 위치의 하류측에 제공될 수 있다. 테이프 구동 롤러는 테이프 하우징 영역으로부터 테이프를 당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테이프 구동 샤프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리본 구동 롤러는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 리본 구동 샤프트는 하우징의 바닥면측으로부터 리본 구동 롤러에 삽입될 수 있다. 리본 구동 롤러는 테이프의 이송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의 인쇄 헤드의 삽입 위치의 상류측에 제공될 수 있다. 리본 구동 롤러는 리본 하우징 영역으로부터 잉크 리본을 당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리본 구동 샤프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1 압박 수용부는 테이프 구동 롤러 부근의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위로부터 눌릴 수 있다. 제1 가압 부재는 테이프 인자기의 커버에 제공될 수 있다. 커버는 테이프 인자기에 설치된 테이프 카세트의 상단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압박 수용부는 리본 구동 롤러 부근의 제2 가압 부재에 의해 위로부터 눌릴 수 있다. 제2 가압 부재는 테이프 인자기의 커버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프 카세트가 테이프 인자기에 설치되고 커버가 닫힐 때, 커버에 제공된 제1 및 제2 가압 부재는 제1 및 제2 압박 수용부를 위로부터 각각 누른다. 제1 압박 수용부가 테이프 구동 롤러 부근에서 눌리기 때문에, 테이프 구동 샤프트에 의해 회전되는 테이프 구동 롤러의 진동이 감소될 수 있다. 제2 압박 수용부가 리본 구동 롤러 부근에서 눌리기 때문에, 리본 구동 샤프트에 의해 회전되는 리본 구동 롤러의 진동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는 헤드 삽입부에 삽입된 인쇄 헤드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눌리기 때문에, 헤드 삽입부 부근의 이동가능한 부품의 진동의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테이프 인자기가 인쇄를 실행하는 동안 테이프 카세트의 이동가능한 부품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감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테이프의 이송 고장 및 인쇄 품질의 악화가 방지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테이프 영역(400) 및 제2 테이프 영역(410)은 이 예의 "테이프 수납 영역"에 각각 대응한다. 제1 리본 영역(420)은 "리본 수납 영역"에 대응한다. 헤드 삽입부(39)는 "헤드 삽입부"에 대응한다. 테이프 구동 롤러(46)는 "테이프 구동 롤러"에 대응한다. 리본 권취 스풀(44)은 "리본 구동 롤러"에 대응한다. 테이프 구동 샤프트(100)은 "테이프 구동 샤프트"에 대응한다. 리본 테이크업 샤프트(95)은 "리본 구동 샤프트"에 대응한다. 주연 가압 부재(914)에 의해 눌리는 제2 압박 수용부(398)는 "제1 압박 수용부"에 대응한다. 헤드 가압 부재(7)에 의해 눌리는 제1 압박 수용부(393)는 "제2 압박 수용부"에 대응한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는 서멀 헤드(10)의 가열 요소 열(10A) 및 지지 수용부(391, 392)가 다음의 관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테이프 카세트는 열에 배치된 가열 요소의 열을 갖는 인쇄 헤드를 포함하는 테이프 인자기에 설치 및 제거될 수 있으며, 테이프 카세트는 하우징, 인쇄 매체로서의 테이프, 헤드 삽입부, 및 제1 지지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상단면, 바닥면, 전방면 및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테이프는 하우징 내에 권취될 수 있으며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헤드 삽입부는 테이프 카세트가 테이프 인자기에 설치될 때 인쇄 헤드를 지지하는 헤드 홀더가 삽입되는 공간일 수 있다. 헤드 삽입부는 수직 방향으로 하우징을 통해 연장될 수 있고 평면도에서 타원형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타원형 직사각형 형상은 전방면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지지 수용부는 테이프 카세트가 테이프 인자기에 설치될 때 테이프 인자기에 제공된 제1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지지 수용부는 헤드 삽입부를 대면하는 위치에서 가열 요소의 열에 대해 테이프 이송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의 최상류측을 향하여 제1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프 카세트는 인쇄 매체로서의 테이프에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 헤드 부근에서 테이프 인자기의 제1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가 테이프 인자기에 설치될 때, 수직 방향으로의 테이프 카세트의 위치는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방향으로의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의 중심 위치와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중심 위치는 정확하게 조화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수용부는 인쇄 헤드의 삽입 위치의 상류측, 즉 테이프에서 인쇄가 실행되기 직전의 위치에 제공된다.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의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의 중심 위치와 테이프 폭 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중심 위치를 조화시킬 때 수직 방향으로의 테이프 카세트의 위치 설정은 매우 효율적인 위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테이프 인자기의 제2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제2 지지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 수용부는 테이프 카세트가 테이프 인자기에 설치될 때 인쇄 헤드의 가열 요소의 열에 대해 제1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지지 수용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단면을 향해 연장되는 오목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 수용부는 인쇄 헤드의 가열 요소의 열에 대해 제2 방향으로 헤드 삽입부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수직하다. 제2 지지 수용부는 또한 바닥면으로부터 상단면을 향해 연장되는 오목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테이프 인자기의 제1 및 제2 지지부는 각각 제1 및 제2 지지 수용부를 지지한다. 결과적으로, 인쇄 헤드의 가열 요소의 열과 헤드 삽입부 사이의 적절한 위치 관계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는 서로 가까운 위치에서 기준면 및 규제부를 구비하는 테이프 카세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테이프 카세트는 하우징, 테이프, 아암부, 제1 하부 오목부, 및 제1 하부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상단면, 바닥면, 전방면 및 한 쌍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은 상단 케이스 및 바닥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케이스는 상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벽을 포함할 수 있고, 바닥 케이스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벽을 포함한다. 테이프는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아암부는 출구 및 전방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이송 경로를 따라 테이프를 출구로 지향시킬 수 있으며, 이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는 전방면과 평행하다. 제1 하부 오목부는 바닥면의 일부를 상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바닥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고 테이프의 이송 방향으로 아암부의 상류측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부 오목부는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제1 하부 편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아암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바닥 케이스의 구간에 그리고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된 거리만큼 제1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하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테이프 카세트에 따르면, 바닥 케이스에서, 테이프 카세트의 제1 하부 규제부 및 제1 하부 편평면은 아암부를 기준점으로 해서 서로 가까운 위치에 제공된다. 수직 방향으로의 제1 하부 규제부의 위치는 제1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제1 하부 규제부가 제조될 때 치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따라서 테이프의 이송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조 후에, 제1 하부 규제부의 치수 제어가 제1 하부 편평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30)의 특징의 역할을 고려할 때, 테이프 카세트(30)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인쇄 헤드를 구비하는 헤드 홀더를 포함하는 테이프 인자기에 설치 및 제거될 수 있고, 하우징, 권취된 테이프, 헤드 홀더 삽입부, 제1 지지 수용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카세트. 하우징은 상단면, 바닥면, 전방면 및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한다. 테이프는 하우징 내에 권취되고 장착된다. 헤드 홀더는 헤드 홀더 삽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 헤드 홀더 삽입부는 수직 방향으로 하우징을 통해 연장되는 공간이며 평면도에서 타원형 직사각형 형상을 구비하고, 타원형 직사각형 형상은 전방면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1 지지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전방면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를 대면한다. 제1 단부는 테이프의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상류측에 위치 설정된 단부이다. 제1 지지 수용부는 상단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오목부이며 테이프 인자기의 제1 지지부에 의해 제1 오목부의 천장벽부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테이프 카세트는 제2 지지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제2 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를 대면할 수 있다. 제2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하류측에 위치 설정된 다른 단부이다. 제2 지지 수용부는 상단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오목부일 수 있으며 테이프 인자기의 제2 지지부에 의해 제2 오목부의 천장벽부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후크 결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크 결속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를 대면할 수 있으며 헤드 홀더 삽입부의 종방향으로 제1 지지 수용부와 제2 지지 수용부 사이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후크 결합부는 테이프 인자기에 제공된 후크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압박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박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제1 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를 대면할 수 있다. 압박 수용부는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단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오목부일 수 있다. 압박 수용부는 수직 방향으로 제1 지지 수용부 위에 위치 설정될 수 있고 제1 지지 수용부와 겹칠 수 있다. 압박 수용부는 테이프 인자기의 커버에 제공된 부재를 누름으로써 제3 오목부의 바닥 벽부에 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는 테이프 카세트의 상단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아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암부는 그 전방측에서 헤드 홀더 삽입부에 인접할 수 있고, 출구 및 전방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부는 테이프를 전방면과 평행하게 출구로 지향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은 상단 케이스 및 바닥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케이스는 상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벽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케이스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수용부로서의 제1 오목부는 바닥벽을 상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이송 방향으로 아암부의 상류측의 단부에 연결된다. 제1 지지 수용부는 제1 하부 편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편평면은 제1 오목부의 천장벽부의 하부면일 수 있으며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1 하부 편평면은 테이프 프린터의 제1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일 수 있다. 바닥 케이스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의 아암부에 제공된 제1 하부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되는 거리만큼 제1 하부 편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하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닥 케이스는 제2 지지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수용부는 헤드 홀더 삽입부의 제2 단부 부근에서 헤드 홀더 삽입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단부는 이송 방향으로 헤드 홀더 삽입부의 하류측에 위치 설정된 다른 단부이다. 제2 지지 수용부는 바닥벽을 상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된 제2 오목부일 수 있다. 제2 지지 수용부는 제2 하부 편평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하부 편평면은 제2 오목부의 천장벽부의 하부면일 수 있으며 하우징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2 하부 편평면은 테이프 인자기의 제2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하부 규제부는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 제1 하부 편평면과 제2 하부 편평면 사이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1 하부 편평면 및 제2 하부 편평면은 테이프의 수직 중심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의 바닥 케이스가 제1 하부 규제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단 케이스는 압박 수용부 및 상부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압박 수용부는 이송 방향으로 상류측의 아암부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압박 수용부는 상단벽을 하향으로 만입시킴으로써 형성된 제3 오목부일 수 있다. 압박 수용부는 상부 편평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편평면은 제3 오목부의 바닥 벽부의 상부면일 수 있으며 제1 하부 편평면 위에 위치 설정될 수 있고 평면도에서 제1 하부 편평면과 중첩될 수 있다. 상부 편평면은 테이프 인자기의 커버에 제공된 가압 부재에 의해 눌리는 부분일 수 있다. 커버는 하우징의 상단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의 아암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부 규제부는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되는 거리만큼 상부 편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익격될 수 있다. 상부 규제부는 상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테이프 카세트는 아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암부는 그 전방측에서 헤드 홀더 삽입부에 인접할 수 있으며 출구 및 전방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부는 테이프를 전방면과 평행하게 출구로 지향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은 상단 케이스 및 바닥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케이스는 상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벽을 포함할 수 있고, 바닥 케이스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케이스는 제1 상부 돌출부 및 상부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상류측의 아암부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상단벽으로부터 하향 돌출할 수 있다. 제1 상부 돌출부는 그 하단부에 상부 평평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지지 수용부로서의 제1 오목부는 천장벽부의 하면으로서 상부 편평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평평면은 테이프 인자기의 제1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부 규제부는 이송 방향으로 출구의 상류측의 아암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부 규제부는 상부 편평면으로부터 테이프의 폭에 따라 결정되는 거리만큼 하우징의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부 규제부는 상방향으로의 테이프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