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BBON CARTRIDGE AND SUBLIMATION TYPE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PRINTING QUANTITY CHECKABLE

申请号 KR20060002836 申请日 2006-01-10 公开(公告)号 KR20070074820A 公开(公告)日 2007-07-18
申请人 SAMSUNG ELECTRONICS CO LTD; 发明人 CHOI JAE HOON; LEE YONG HYUN;
摘要 A ribbon cartridge and a sublimation type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checking printing quantity are provided to perform consecutive printing by recognizing an exchange time of a ribbon cartridge during using the ribbon cartridge. A sublimation type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checking printing quantity includes a main body(100), a ribbon cartridge(200), a ribbon detector, and a controller. The ribbon cartridge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ribbon(230). The ribbon differentiates a printing area and an indication area which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inting area. The ribbon detector detects and outputs the indication area of the ribbon. The controller judges whether printing by the ribbon cartridge is possible or not, and determines printing process based on a judgment of the printing.
权利要求
  •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인쇄 페이지마다 인쇄영역과 상기 인쇄영역의 양 사이에 마련된 표시영역을 달리하도록 하는 리본을 포함하는 리본 카트리지;
    상기 리본의 표시영역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리본 감지부; 및
    상기 리본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감지값과 이 감지값에 대응하는 기 설정값으로부터 상기 리본 카트리지의 인쇄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 인쇄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수량 확인이 가능한 승화형 화상형성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한 인쇄가능 잔량값 또는 교체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수량 확인이 가능한 승화형 화상형성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은
    표시영역의 첫 번째 줄과 두 번째 줄 사이의 간격을 임의의 크기로 인쇄 페이지마다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수량 확인이 가능한 승화형 화상형성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 감지부는
    표시영역의 첫 번째 줄과 두 번째 줄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수량 확인이 가능한 승화형 화상형성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 감지부는
    표시영역의 첫 번째 줄과 두 번째 줄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라인 스캐너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수량 확인이 가능한 승화형 화상형성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본 카트리지의 인쇄가능 여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그 잔량값을 출력하거나 리본 카트리지의 교체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수량 확인이 가능한 승화형 화상형성기기.
  •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롤러; 및
    상기 복수 개의 롤러에 양단이 각각 권취되어 인쇄 페이지마다 인쇄영역과 상기 인쇄영역의 양 사이에 마련된 표시영역을 달리하도록 하는 리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수량 확인이 가능한 리본 카트리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본은
    표시영역의 첫 번째 줄과 두 번째 줄 사이의 간격을 임의의 크기로 인쇄 페이지마다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수량 확인이 가능한 리본 카트리지.
  • 说明书全文

    인쇄수량 확인이 가능한 리본 카트리지 및 승화형 화상형성기기{Ribbon cartridge and sublimation type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printing quantity checka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장치의 리본 카트리지에 설치된 리본의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0 : 리본 카트리지 210 : 케이스

    220, 220' : 롤러 230 : 리본

    240 : 가열부재 300 : 리본 감지부

    301, 302 : 제1,2 감지센서

    본 발명은 승화형 화상형성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중인 리본 카트리지(Ribbon Cartridge)의 인쇄가능 잔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리본 카 트리지의 교체시기 등을 알 수 있도록 한 인쇄수량 확인이 가능한 승화형 화상형성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화형 화상형성기기는 서멀 헤드와 용지 사이에 잉크가 도포된 필름 형태의 리본을 위치시키고, 이 서멀헤드에 의해 소정패턴으로 승화된 잉크가 리본으로부터 용지로 전사되도록 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승화형 화상형성기기의 풀 컬러 구현은 색 분해된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의 분해 화상을 중복 전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3색 인쇄가 수행된 후 표면에 보호용 오버코트(Overcoat)가 코팅되어 포토 인쇄가 완료된다.

    승화형 화상형성기기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염료와 오버코트영역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리본이 장착된 리본 카트리지를 사용하고, 리본은 화상 형성 중 계속해서 인쇄 후 방향으로 진행하여 사용된 리본이 롤러 등에 권취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리본이 모두 인쇄에 사용되어 한쪽 방향으로 감기면 해당 리본 카트리지의 수명이 끝나게 된다.

    상기에서 포토 인쇄가 완료되면 리본에 검은 선 한 줄, 오버코트의 코팅이 끝나면 검은 선 두 줄을 넣어 센서로 이 선들을 감지하여 미디어 한 장의 인쇄가 완료했음을 확인하는데, 상기 센서가 검은 선 두 줄을 감지하면 이번 장의 인쇄가 완료되고 다음 장의 인쇄가 준비되었다고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인쇄 각 단계의 시작점을 검출할 수 있고, 다음 미디어의 인쇄시작 시점에 리본의 옐로우를 준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리본 카트리지는 리본이 케이스 안쪽에 감추어져 있기 때문에 인쇄가 가능한 잔량이 얼마인가를 확인할 수 없어 인쇄가 가능한 리본 카트리지를 미리 교체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리본 카트리지가 사용중에 갑자기 소진되어 인쇄가 중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리본 카트리지의 잔량을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 가능한 리본 카트리지의 무분별한 교체를 방지하여 리본 카트리지의 낭비를 막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중인 리본 카트리지의 교체시기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줌으로써, 인쇄의 중단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수량 확인이 가능한 승화형 화상형성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며 인쇄 페이지마다 인쇄영역과 상기 인쇄영역의 양 사이에 마련된 표시영역을 달리하도록 하는 리본을 포함하는 리본 카트리지; 상기 리본의 표시영역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리본 감지부; 및 상기 리본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감지값과 이 감지값에 대응하는 기 설정값으로부터 상기 리본 카트리지의 인쇄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 인쇄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인쇄수량 확인이 가능한 리본 카드리지는 케 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롤러; 및 상기 복수 개의 롤러에 양단이 각각 권취되어 인쇄 페이지마다 인쇄영역과 상기 인쇄영역의 양 사이에 마련된 표시영역을 달리하도록 하는 리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화형 화상형성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화상형성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 등으로 된 조작부(120) 및 표시부(121)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부(120)에는 인쇄명령의 입력과 인쇄명령의 취소를 입력하는 버튼 등이 함께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과 같은 제어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본체(100) 내부로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카세트(131)가 장착되는 급지부(130)가 구현된다. 이 급지카세트(131)는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급지카세트(131)가 설치된 본체(100) 내측으로는 급지롤러(13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급지부(130)의 상측에는 화상 형성이 완료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출부(140)가 형성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이 완료된 용지는 급지카세트(131)의 상부로 배출되어 적재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후방에는 인쇄 중 용지가 입출되는 입 출부(150)가 마련된다. 상기 입출부(150)는 본체(100)의 후면에 형성된 입출구(151)와 이 입출구(151) 내측에 설치된 입출롤러(15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범용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 USB) 포트(Port), 메모리 카드 슬롯 등과 같이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또는 사용자 컴퓨터와 같은 외부장치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설치되어 화상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리본 카트리지(200)가 구비되는데, 이 리본 카트리지(200)는 케이스(210)와 이 케이스(210)의 내부 양측에 설치된 두 개의 롤러(220, 2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두 개의 롤러(220, 220')에 양단이 각각 권취된 리본(230)과 이 리본(230)의 상측에 위치하여 화상형성을 위하여 리본(230)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재(240)는 상기 리본(230)에 직접 열을 가하는 서멀헤드 또는 리본(230)에 광을 주사하여 광/열 변환(light-to-heat conversion)으로 전사 열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광원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열부재(240)의 하부에는 플래튼 롤러(250)가 설치된다.

    상기 리본(2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영역(231)과 이 인쇄영역(231) 사이에 마련된 표시영역(232)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이어져 있다. 인쇄영역(231)은 세 가지의 다른 색상으로 된 색상 영역(231a, 231b, 231c)과 오버코트 영역(231d)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색상 영역(231a, 231b, 231c)은 서로 다른 영역에 옐로우(Yellow; 231a), 마젠타(Magenta; 231b), 시안(Cyan; 231c)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옐로우(231a), 마젠타(231b) 그리고 시안(231c) 영역 사이에는 색상 구분 줄(231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영역(232)은 두 개의 검은색 줄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첫 번째 줄(232a)과 두 번째 줄(232b)의 간격(T1, T2)을 첫 인쇄 페이지에서 마지막 인쇄 페이지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두 줄의 간격(T)을 조금씩 변화되도록 미리 설정한다.

    한편,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리본(230)의 위치를 감지하는 리본 감지부(300)가 마련된다. 이 리본 감지부(300)는 하나 혹은 복수 개의 감지센서가 리본(23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설치되는데, 도 3은 복수 개의 감지센서가 구비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리본(230)의 표시영역(232)을 감지하여 리본(230)의 현재 위치와 사용 상태 등을 감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리본(230)의 표면 일측에 위치하며 리본(230)의 표시영역(232)을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301)와, 제1 감지센서(301)와 평행하게 위치하여 리본(230)의 표시영역(232) 중 제1 감지센서(301)가 감지하지 않은 다른 위치를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302)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1,2 감지센서(301, 302)는 기 설정한 임의의 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하도록 한 표시영역(232)의 첫 번째 줄(232a)과 두 번째 줄(232b)의 간격(T1, T2)을 실시간으로 읽어들여 상기 제어부(110)로 출력하는데, 상기 감지센서로는 바코드 인식용으로 사용하는 라인 스캐너, 포토센서 등을 사용한다.

    이하, 인쇄수량을 확인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승화형 화상형성장치로 인쇄명령이 입력되면 급지롤러(132)가 동작하여 급지카세트(131)의 용지(P)를 가열부재(240)의 아래까지 급지한다.

    이후, 상기 용지(P) 상에 리본(230)의 색상 영역(231a, 231b, 231c)인 옐로우, 마젠타 그리고 시안 색상을 반복적으로 전사하여 화상을 형성시킨다. 그런 다음 최종적으로 오버코트 영역(231d)을 통하여 보호층을 형성한다. 이때 용지(P)는 반복적으로 입출구(151)로 일부 노출되며 왕복 이동한다. 그리고 전사동작을 진행할 때 플래튼 롤러(250) 또는 가열부재(240)가 이동하여 용지와 가열부재(240) 그리고 플래튼 롤러(250)가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용지에 대한 인쇄가 완료되면 배출부(140)를 통해 배출하는데, 상기 전사동작 진행 후 상기 리본 감지부(230)의 제1,2 감지센서(301, 302)는 표시영역(232)의 첫 번째 줄(232a)과 두 번째 줄(232b)의 간격을 실시간으로 읽어들여 상기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현재 감지값(T1, T2)과 이 감지값(T1, T2)에 대응하는 기 설정한 값으로 현재 리본의 인쇄 가능한 잔량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표시영역(232)의 첫 번째 줄(232a)과 두 번째 줄(232b)의 간격을 '1'의 크기로 순차적으로 커지도록 한 경우, 감지센서의 감지값인 T1 및 T2가 각각 '1', '2'이고, 이 '1', '2'에 대응하는 설정값이 각각 '19', '18'라 하고, 리본이 모두 소진했을 때를 '0'이라 가정하면 먼저 감지한 값인 '1'에 해당하는 설정값 '19'를 인쇄 가능한 잔량으로 판단하게 되고, 제어부(110)는 상기 표시부(121)에 그 남은 잔량인 '19'를 표시한다. 이후, 감지값 '2'가 입력되면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계속해서 인쇄 가능 잔량을 판단하여 설정값인 '18'을 표시부(121)에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잔량이 모두 소진한 경우 즉, 감지값에 해당하는 설정값이 '0'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110)는 카트리지 교환메시지를 상기 표시부(121)로 출력함과 동시에 인쇄동작을 중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어부는 교체메시지 출력과 동시에 인쇄중지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교체시기를 소리로 알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청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수량 확인이 가능한 승화형 화상형성기기는 리본 카트리지의 잔량을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 가능한 리본 카트리지의 무분별한 교체를 방지하여 리본 카트리지의 낭비를 막고, 또한 사용중인 리본 카트리지의 교체시기를 인지할 수 있어 인쇄의 중단없이 계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