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申请号 KR1020177029437 申请日 2016-05-20 公开(公告)号 KR1020170129190A 公开(公告)日 2017-11-24
申请人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发明人 도츠카아츠시; 니시카와히로미츠; 아라이기미타카;
摘要 일실시예의화상처리장치가기록매체상에구조체를형성하기위한화성처리장치이며, 상기구조체는관찰의각도가변경됨에따라휘점의위치가변경되는특성을나타내도록구성된다. 이실시예의화상처리장치는휘점의특성에대한정보에기초하여배치데이터를생성하도록구성된생성유닛을포함하고, 상기배치데이터는, 상기기록매체상에형성될수 있으며, 적어도제1 경사각도와연관된하나이상의제1 구조체및 상기제1 경사각도와상이한제2 경사각도와연관된하나이상의제2 구조체를포함하는둘 이상의유형의상기구조체의배치를특정한다.
权利要求
  • 기록 매체 상에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화상 처리 장치로서, 상기 구조체는 관찰의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휘점의 위치가 변경되는 특성을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화상 처리 장치이며,
    휘점의 특성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으로서, 상기 배치 데이터는, 상기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제1 경사 각도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1 구조체 및 상기 제1 경사 각도와 상이한 제2 경사 각도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2 구조체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유형의 상기 구조체의 배치를 특정하는,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휘점의 크기, 수 및 강도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상기 제1 구조체 및 상기 제2 구조체가 개별적으로 사전 결정된 영역 내에 분포되도록 배치되는 배치를 특정하는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기록 재료의 도트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생성 유닛은, 각각의 제1 구조체를 형성하는 층들 사이의 도트 수의 차이와 각각의 제2 구조체를 형성하는 층들 사이의 도트 수의 차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상기 제1 구조체 및 상기 제2 구조체가 배치되는 배치를 특정하는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제1 각도로부터 관찰되는 휘점의 수를 나타내는 제1 정보 및 제1 각도와 상이한 제2 각도로부터 관찰되는 휘점의 수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 유닛은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각도에 대응하는 제1 구조체의 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각도에 대응하는 제2 구조체의 수를 결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조체 및 상기 제2 구조체의 밑면적을 결정하고, 밑면적이 동일한 크기를 갖는 상기 제1 구조체 및 상기 제2 구조체가 사전 결정된 각각의 비율로 배치되는 배치를 특정하는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적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 유닛은 상기 제1 구조체 및 상기 제2 구조체의 경사면이 향하는 복수의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생성 유닛은, 각각이 상기 복수의 방향 중 하나 이상과 연관되는 상기 제1 구조체 및 상기 제2 구조체의 배치를 특정하는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중 둘 이상과 연관된 상기 구조체를 상기 방향의 조합에 따라 재구성하도록 구성된 재구성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기록 재료의 도트를 적층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재구성 유닛은 상기 제1 구조체 및 상기 제2 구조체를 형성하는 층의 도트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구조체 및 상기 제2 구조체를 재구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구조체 및 상기 제2 구조체의 경사면의 면적을 결정하고, 경사면의 면적이 동일한 크기를 갖는 상기 제1 구조체 및 상기 제2 구조체가 사전 결정된 개별 비율로 배치되는 배치를 특정하는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면적은 상기 구조체가 형성되는 기록 매체 상에서 단위 면적당 반사되는 광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휘점의 강도이고,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휘점의 강도에 대응하는 반사 광을 발광하는 상기 경사면을 갖는 상기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휘점의 강도와 상이한 휘점 강도 값을 입력하라고 촉구하는 UI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휘점의 강도이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휘점의 강도에 대응하는 반사 광을 발광하는 상기 경사면을 갖는 상기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기록 매체와 상이한 기록 매체 재료의 유형을 특정하는 입력을 촉구하는 UI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휘점의 강도이고,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휘점의 강도에 대응하는 반사 광을 발광하는 상기 경사면을 갖는 상기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구조체와 상기 구조체 주위 영역 사이의 색 및 밝기 중 하나 이상의 콘트라스트를 보정하도록 구성되는 보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점의 복수의 특성에 대한 복수의 유형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과,
    취득된 상기 복수의 유형의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우선도를 갖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우선도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화상으로부터 상기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추출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유닛은 상기 화상을 이진화함으로써 이진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이진 화상 내의 사전 결정된 화소 값을 갖는 영역으로부터 상기 정보를 추출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모드로부터 선택된 모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선택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 유닛은 각각 선택된 상기 모드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구조체의 밑면적, 상기 구조체의 경사면 면적, 상기 구조체와 연관된 경사 각도의 분산도 및 상기 구조체와 연관된 상기 경사 각도의 범위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상에 상기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형성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제어 유닛은 투명한 기록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체를 형성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제어 유닛은 상기 기록 매체 상에 색 화상을 형성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형성된 색 화상의 상부에 상기 구조체를 추가로 형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제어 유닛은 광택재를 포함하는 금속색 잉크를 상기 구조체에 도포하는 제어를 추가로 수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제어 유닛은 고 습윤성 UV 경화성 잉크를 상기 구조체에 도포하는 제어를 추가로 수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 기록 매체 상에 구조체를 형성하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구조체는 관찰의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휘점의 위치가 변경되는 특성을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화상 처리 방법이며, 상기 화상 처리 방법은,
    휘점의 특성에 대한 정보에 기초한 배치 데이터 생성 단계로서, 상기 배치 데이터는, 상기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제1 경사 각도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1 구조체 및 상기 제1 경사 각도와 상이한 제2 경사 각도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2 구조체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유형의 상기 구조체의 배치를 특정하는, 배치 데이터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 컴퓨터가 기록 매체 상에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화상 처리 장치로 기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구조체는 관찰의 각도가 변경됨에 따라 휘점의 위치가 변경되는 특성을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며,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휘점의 특성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치 데이터는, 상기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제1 경사 각도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1 구조체 및 상기 제1 경사 각도와 상이한 제2 경사 각도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2 구조체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유형의 상기 구조체의 배치를 특정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说明书全文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금속조 질감을 인공적으로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구조체를 기록 매체 상에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귀금속 제품 등의 패키지, 카탈로그 및 견본에 사용되기 위해 금속조 질감을 인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기술에 대한 요구가 존재해 왔다. 광휘감이라고 불리는 질감이 이러한 금속조 질감 중 하나이다. 광휘감은, 각 측에서 1mm 미만이며 금속조 대상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한 휘점이 조사 각도 또는 관찰 각도의 변화에 따라 위치, 크기, 수 등이 변경될 때 야기되는 감각이다. 이러한 금속조 대상물을 관찰하는 사람은, 상기 대상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휘점이 조사 각도 또는 관찰 각도의 변화에 따라 위치, 크기 수 등에 있어서 변화될 때 질감, 특히 반짝반짝 빛나고 있는 질감 또는 입자성을 가지고 있는 질감과 같은 광휘감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광휘감을 나타내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록 장치는 광택도가 다른 영역들이 체크무늬 패턴으로 배치되는 화상을 형성한다. 광택도가 다른 영역들을 체크무늬 패턴으로 배치함으로써, 고광택도의 영역 및 저광택도의 영역은 서로 인접하여 위치된다. 따라서, 광휘감과 유사한 디자인 효과를 나타내는 화상이 취득될 수 있다(특허 문헌 1).

    [인용 목록]

    [특허 문헌]

    [PTL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12-051211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록 장치는 광택도가 다른 영역들이 체크무늬 패턴으로 배치되는 화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고광택도의 영역(이하, "고광택도 영역"으로 지칭함)은 시각적으로 휘점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이 기록 장치로부터 출력된 기록 제품 상에서, 고광택도 영역의 위치는 변화되지 않으며, 따라서 조사 각도 또는 관찰 각도가 변화될 때에도 고정된다. 이러한 이유로, 기록 제품은, 대상물이 조사 각도 또는 관찰 각도의 변화에 따라 대상물의 표면 상에 존재하는 휘점의 위치 및 수를 변화함으로써 나타내는 질감, 특히 반짝반짝 빛나고 있는 질감 또는 입자성을 가지고 있는 질감과 같은 광휘감을 나타내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졌으며, 그 대상물은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광휘감을 인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기록 매체 상에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화상 처리 장치이며, 상기 구조체는 관찰의 각도 변화에 따라 휘점의 위치가 변화되는 특성을 나타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휘점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치 데이터는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제1 경사 각도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1 구조체 및 제1 경사 각도와 상이한 제2 경사 각도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2 구조체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유형의 구조체의 배치를 특정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구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 실시예의 후속하는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는 광휘감을 갖는 견본이 관찰되는 조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b는 도 1a에서 견본이 관찰되는 방법의 세부 사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도 1a에서 견본이 관찰되는 방법의 세부 사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a는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프로세스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b는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프로세스 중 하나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c는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프로세스 중 하나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d는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프로세스 중 하나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UI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실시예 1의 휘점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실시예 1의 휘점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c는 실시예 1의 휘점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하나의 구조체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b는 하나의 구조체가 시각적으로 휘점으로 인식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실시예 1의 구조체 특성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b는 실시예 1의 구조체 수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기록 매체에 토출된 잉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b는 기록 매체에 토출된 잉크의 적층 및 그 경사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c는 기록 매체에 토출된 잉크의 적층 및 그 경사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기록 매체에 토출된 잉크의 적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b는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된 구조체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c는 변형 예에서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된 구조체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a는 화상 데이터의 2차원 좌표가 실시예 1의 기록 매체의 표면 상의 좌표와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11b는 실시예 1의 구조체의 배치를 특정하는 구조체 배치 데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의 인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a는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된 구조체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3b는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된 구조체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4a는 실시예 2의 UI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b는 실시예 2의 UI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 2의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하는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3의 구조체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4의 화상 처리 장치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4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4의 UI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예 5의 화상 처리 장치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1a는 실시예 5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1b는 실시예 5의 휘점 정보를 추출하는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실시예 5의 UI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예 6의 화상 처리 장치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4는 실시예 6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실시예 6의 UI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예 7의 UI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실시예 8의 화상 처리 장치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8a는 실시예 8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8b는 실시예 8의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하는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9는 실시예 8의 UI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a는 구조체로부터 반사된 광량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0b는 구조체로부터 반사된 광량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1은 실시예 8의 반사된 광량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실시예 8의 구조체 특성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실시예 8의 출력 조건을 변화하는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4는 실시예 8의 출력 견본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실시예 9의 화상 처리 장치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6a는 실시예 9의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6b는 실시예 9의 방위수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6c는 실시예 9의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7은 실시예 9의 방위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a는 실시예 9의 구조체에 할당된 번호의 개략도이다.
    도 38b는 실시예 9의 구조체에 할당된 번호의 특정 예이다.
    도 39는 실시예 9의 구조체의 배치 및 방위를 특정하는 구조체 배치 데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40은 실시예 10의 화상 처리 장치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1은 실시예 10의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2a는 실시예 10의 구조체에 할당된 번호의 개략도이다.
    도 42b는 실시예 10의 구조체에 할당된 번호의 특정 예이다.
    도 43은 실시예 10의 구조체 참조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4는 실시예 10의 구조체의 배치 및 방위를 특정하는 구조체 배치 데이터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단지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라는 것에 주목한다.

    우선, 후속하는 실시예에서 재현되는 광휘감은 도 1a 내지 도 1c의 개략도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a는 광휘감을 갖는 대상물인 견본(101)이 관찰되는 조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a에서, 촬상 장치 등으로 구성된 관찰 유닛(102)의 위치는 예컨대, 관찰 유닛(102)이 그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견본(101)과 대면하도록 고정된다. 도 1b 및 도 1c는 견본이 도 1a에 관찰되는 방법의 세부 사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록 매체 상에 알루미늄 편을 포함하는 수지 잉크를 적층함으로써 취득되는 대상물이 도 1b 및 도 1c의 견본(101)의 일 예로서 도시된다. 견본(101) 내에 포함된 알루미늄 편은 사전 결정된 조사 각도(θ)로 그에 적용되는 광을 거울 반사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조명(103)이 조사 각도(θ1)로 견본(101)을 조사하는 경우, 관찰 유닛(102)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점을 포함하는 포착된 화상(104)을 관찰한다. 마찬가지로, 조명(103)이 조사 각도(θ2)로 견본(101)을 조사하는 경우, 관찰 유닛(102)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점을 포함하는 포착된 화상(105)을 관찰한다. 도 1b 및 도 1c에서, 포착된 화상(104, 105) 내의 백색 영역은 휘점을 나타낸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 각도가 θ1에서 θ2로 변화됨에 따라, 포착된 화상(104) 내의 휘점은 포착된 화상(105) 내의 휘점으로 그 위치가 변화된다. 또한 휘점은 일부의 경우에 조사 각도 또는 관찰 각도의 변화와 함께 면적 및/또는 수가 변화된다. 조사 각도 또는 관찰 각도의 변화와 함께 대상물의 표면 상에 존재하는 휘점의 특성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느낌이 광휘감으로 언급될 것이다.

    [실시예 1]

    광휘감을 인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실시예가 후술될 것이다. 이 실시예는 대상물 상의 휘점의 크기에 중점을 두며,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특성이 휘점의 특성을 나타내는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예가 설명될 것이다.

    (화상 처리 장치의 개략적 구성)

    도 2는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화상 처리 장치(1)는 예컨대, 컴퓨터로 구성되고, CPU(201)는 작동 메모리로서 RAM(203)을 사용하여 ROM(202),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27) 등에 저장된 운영 체제(OS)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CPU(201)는 시스템 버스(207)를 통해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후술되는 흐름도의 프로세스에서, ROM(202) 또는 HDD(27)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는 RAM(203) 상에서 확장되고 CPU(201)에 의해 실행된다는 것에 주목한다. 범용 인터페이스(I/F)(204)는 예컨대, USB와 같은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이며, 마우스 및/또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23), 인쇄 장치(24) 등은 시리얼 버스(22)를 통해 그에 연결된다. 시리얼 ATA(SATA) I/F(205)는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이고,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대한 데이터의 독출 및 기입을 위한 HDD(27) 및 범용 드라이브(28)는 시리얼 버스(26)를 통해 그에 연결된다. CPU(201)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위한 저장 위치로서 범용 드라이브(28) 내에 장착되는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 및 HDD(27)를 사용한다. 비디오 코드(VC)(206)는 비디오 인터페이스이며, 디스플레이(25)가 그에 연결된다. CPU(201)는 디스플레이(25) 상의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하고, 입력 장치(23)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지시와 같은 입력을 수신한다.

    (화상 처리 장치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

    도 3은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CPU(2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는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애플리케이션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절차는 도 3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화상 처리 장치(1)는 화상 처리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그 구성 요소로서, UI 표시 유닛(301), 데이터 취득 유닛(302),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 기록 장치 제어 유닛(305), 및 데이터 저장 유닛(306)을 포함한다. UI 표시 유닛(301)은 디스플레이(25)에 의해 구현되고 디스플레이(25) 상에서 사용자 입력 등을 수신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취득 유닛(302)은 그에 따라 입력된 휘점 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입력된 휘점 정보에 기초하여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구조체의 특성은 인쇄 장치(24)에 의해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될 수 있는 구조체 크기 및 인쇄 장치(24)에 의해 그러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 복수의 구조체 경사 각도이다. 세부 사항은 도 8a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배치를 특정하는 구조체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인쇄 장치 제어 유닛(305)은 구조체 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각각의 좌표에서의 적층의 수를 결정하고, 그 정보를 인쇄 장치(24)에 전송하고, 화상 형성 작동을 수행하도록 인쇄 장치(24)에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저장 유닛(306)에서, 구조체 특성을 위해 참조될 수 있는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 및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수를 위해 참조될 수 있는 구조체 수 테이블(802)과 같은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화상 처리 장치의 작동)

    도 4a 내지 도 4d는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의 세부 사항은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흐름도의 프로세스에서, ROM(202)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는 RAM(203) 상에서 확장되고, CPU(201)에 의해 실행된다는 것에 주목한다. 동일 사항이 도 4a 내지 도 4d에 후속하는 도면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된다. 후술되는 참조 부호(S)는 흐름도 내의 단계를 의미한다는 것에 주목한다.

    도 4a에 도시된 흐름도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23)를 작동함으로써 사전 결정된 지시를 입력한 후에 개시되고, CPU(201)는 입력된 지시를 수용한다. S10에서, UI 표시 유닛(301)은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재촉하는 UI를 디스플레이(25) 상에 표시한다. 도 5는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을 재촉하는 UI(5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광휘감을 갖는 대상물에 대한 휘점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영역이 입력 영역(501)이다. 여기서, 대상물을 관찰함으로써 취득되는 휘점의 크기는 휘점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화상 처리 장치(1)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 영역(501)에 입력된 휘점 정보를 수신한다. 대상물을 관찰함으로써 취득된 휘점의 크기를 사용하여, 이 실시예에서 화상 처리 장치(1)는, 휘점의 크기와 단지 작은 차이만을 갖는 구조체가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될 수 있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이 방식에서,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는 인쇄 장치(24)가 특정 수준의 품질을 갖는 대상물의 광휘감을 재현하는 광휘감을 나타내는 구조체를 형성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대상물 상에 존재하는 휘점의 면적이 휘점의 크기로 사용된다. 휘점의 면적은 예컨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부터 촬상 된 그리고 사전 결정된 각도로부터 조사된 대상물의 포착된 화상으로부터 취득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기기가 대상물을 촬상하고 그 포착된 화상을 취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포착된 화상으로부터 대상물 상에 존재하는 휘점의 면적을 취득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6a는 대상물을 촬상함으로써 취득되는 포착된 화상이며, 화소 값은 휘도와 정의 상관 관계를 갖는다. 우선, 도 6a에 도시된 포착된 화상은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기초로 이진화되어, 백색 화소 영역이 휘점에 대응하는 이진 화상을 생성한다. 도 6b는 그에 따라 생성된 이진 화상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c는 도 6b에 도시된 이진 화상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후, 도 6b에 도시된 이진 화상 내의 휘점은 라벨처리가 가해지고, 휘점 화소의 평균 수(N)가 취득된다. 마지막으로, 휘점의 면적(s1)이 화상 해상도 R dpi와 함께 아래 식으로부터 계산된다.

    s1 = N x (25400 / R)^2 (1)

    이 실시예에서, 포착된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수광 방향은 대상물에 대한 법선 방향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는 예시이다. 휘점 면적(s1)은 포착된 화상으로부터 수학식(1)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스에 의해 계산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포착된 화상은 상기 포착된 화상 상의 투영 변환(projective transformation)과 같은 원근 보정(perspective correction)을 수행함으로써 상이한 수광 각도로부터의 촬상에 의해 취득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영역(501)이 휘점 면적(s1)의 입력을 수신하는(S10) 방식을 기술하였지만, 사용자 입력 영역(501)에 입력되는 데이터의 유형은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대상물 상에 존재하는 휘점의 형상이 정사각형이라고 상정하면, 사용자 입력 영역(501)은 일 측의 길이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되는 데이터의 유형은 휘점의 면적을 나타내는 값에 제한되지 않으며, 대상물 상의 휘점의 면적이 그와 함께 계산될 수 있는 한 임의의 유형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대상물 상에 존재하는 휘점의 면적은 조사 각도에 의해 변경될 수 없다고 상정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하지만, 대상물 상에 존재하는 휘점의 면적이 조사 각도에 의해 변경되는 경우에, 수학식(1)을 사용하는 프로세스가 각 각도 조건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조사 각도에 대해 대상물 상에 존재하는 휘점의 면적을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출력 버튼(502)은 기록 매체 상에 기록을 개시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영역이다. 종료 버튼(503)은 도 4a에 도시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종결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영역이다. 절차는 사용자가 입력 영역(501)에 휘점 정보를 입력한 후 출력 버튼(502)을 누른 후에 S20으로 진행한다.

    도 4a를 다시 참조하면, S20에서 데이터 취득 유닛(302)은 S10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휘점 정보를 취득한다. S30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S20에서 취득된 휘점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한다.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하는 프로세스는 후술될 것이다. S40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S30에서 도출된 구조체의 특성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배치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조체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는 후술될 것이다. S50에서, 인쇄 장치 제어 유닛(305)은 S40에서 생성된 구조체 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좌표에서 적층의 수를 결정하고, 이 정보를 인쇄 장치(24)로 전송하고, 화상 형성 작동을 수행하도록 인쇄 장치(24)에 지시한다. 인쇄 장치 제어 유닛(305)에 의한 프로세스(S50) 및 인쇄 장치(24)에 의한 화상 형성 작동은 후술될 것이다.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의 제어 내용)

    우선, 이 실시예의 단일 구조체의 특성이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구조체의 특성은, 인쇄 장치(24)에 의해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될 수 있는 구조체 면적과, 인쇄 장치(24)에 의해 상기 면적과 함께 형성될 수 있는 구조체 경사 각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구조체의 면적인 구조체의 밑면적(702) 및 밑면적(702)과 함께 형성될 수 있는 경사 각도(701)가 구조체의 특성을 나타내지만, 구조체의 면적은 구조체의 경사면(703)의 면적일 수도 있다. 경사면(703) 상에서 적용된 광의 거울 반사의 방향이 경사면(703) 상에서 거울 반사된 광의 수광 방향과 일치하면, 구조체가 배치되는 영역은 구조체의 이러한 각도 조건 하에서 휘점으로서 시각적으로 인식된다.

    도 7b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7b는 구조체가 휘점으로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경사면(703)이 조사되는 각도가 15도이고, 광이 경사면(703)으로부터 수광되는 각도가 0도인 경우, 7.5도의 경사 각도(701)를 갖는 구조체가 배치되는 영역이 휘점으로 시각적으로 인식된다. 이후,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조사 각도 및 수광 각도에 의해 특정된 각도 조건으로부터 법선 각도를 도출할 수 있다. 도출된 법산 각도와 등가인 경사 각도(701)를 갖는 구조체가 수광 각도로부터 관찰될 때 휘점으로 시각적으로 인식된다. 그러한 경사 각도를 갖는 구조체가 사전 결정된 각도로부터 관찰되는 휘점을 재현하도록 기록 매체 상에 배치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복수의 각도 조건에 대응하는 경사 각도를 갖는 많은 구조체가 기록 매체 상에 배치된다. 상이한 경사 각도를 갖는 많은 구조체를 배치함으로써, 각도 조건에 따라 변경되는 휘점의 특성이 기록 매체 상에 재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베이스는 정사각형이고, 휘점으로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그 영역은 또한 직사각형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베이스가 정사각형인 것으로 상정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지만, 베이스의 형상은 정사각형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제,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하는 프로세스(S30)의 세부 사항이 도 4b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S30에서의 프로세스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광휘감을 나타내기 위한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한다. S31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데이터 저장 유닛(306)에 저장되는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을 참조한다. 도 8a는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 내에 인쇄 장치(2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구조체 밑면적(s2)이 상기 밑면적을 갖는 구조체 상에 형성될 수 있는 복수의 경사 각도와 각각 연관된다. 도 8a에 도시된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에서, 예컨대 60 x 60μm^2의 밑면적이 0도, 14.0도, 26.6도, 36.9도 및 45도인 복수의 경사 각도와 연관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밑면적(s2)은,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된 구조체가 광휘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상이한 경사 각도와 연관된다. 이 실시예의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 내의 경사 각도는 0도 내지 45도의 범위 내에 있는 각도이지만, 본 실시예는 이러한 범위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경사 각도의 가능한 범위는 인쇄 장치(24)의 기능에 따라 결정되며,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은 그에 따라 0도 내지 45도 범위를 벗어난 경사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체 밑면적과 이 밑면적을 갖는 구조체 상에 형성될 수 있는 복수의 경사 각도 사이의 관계는 도 9a 내지 도 9c 및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인쇄 장치(24)에 의해 기록 매체 상으로 토출되는 잉크의 예들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인쇄 장치(24)에 의해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예들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a는 인쇄 장치(24)에 의해 토출되는 단일 잉크 도트(901)의 일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단일 잉크 도트(901)는 수평 길이가 30μm이고 수직 길이가 15μm이다. 여기서, 이 실시예의 인쇄 장치(24)는 기록 매체 상에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사전 결정된 점성을 갖는 UV 경화성 잉크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UV 경화성 잉크는 UV 광으로 조사될 때 경화하는 특성을 갖는 기록 재료이다. 투명한 UV 경화성 잉크가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도 9b는 기록 매체 상에 토출된 잉크의 적층(902 내지 906) 및 그들 각각의 경사면(907 내지 911)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인쇄 장치(24)는 기록 매체의 표면의 수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도트를 토출한다. 따라서, 잉크 적층의 일 측의 길이는 잉크 도트의 폭의 정수배와 등가이다. 예컨대, 도 9b의 예에서, 각 잉크 적층의 일 측의 길이는 30μm x 2 = 60μm이다. 이 실시예에서, 인쇄 장치(24)는 수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토출되는 잉크 도트 상에 수직으로 도트를 추가 토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직으로 토출되는 도트의 수는, 경사면을 갖는 잉크 적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예컨대, 잉크 적층(906)의 경우, 5개의 잉크 도트 및 3개의 잉크 도트가 나란히 수직으로 토출되어, 경사면(911)을 갖는 잉크 적층(906)이 형성된다.

    도 9b에 도시된 경사면(907 내지 911)은 임의의 경사 각도로 형성될 수 없으며, 그들의 경사 각도는 인쇄 장치(24)의 성능에 따라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인쇄 장치(24)에 의해 토출될 수 있는 단일 잉크 도트의 크기는 잉크 적층(902 내지 906)의 각각의 일 측의 길이 및 그 수직 높이의 조합을 결정한다. 이후, 잉크 적층(902 내지 906)의 각각의 일 측의 길이 및 그 수직 높이는 당연히 경사면(907 내지 911)의 각각의 경사 각도를 결정한다. 또한, 잉크 적층(902 내지 906)의 각각의 일 측의 길이 및 경사면(907 내지 911)의 경사 각도는 도 8a의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의 s2에 대한 일 측의 길이(60μm) 및 경사 각도(0도, 14.0도, 26.6도, 36.9도 및 45도)에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인쇄 장치(24)에 의해 토출될 수 있는 단일 잉크 도트의 크기는 도 9c에 도시된 잉크 적층(912 내지 913)의 각각의 일 측의 길이(30μm x 3 = 90μm) 및 그 높이의 조합을 결정하고, 상기 조합은 당연히 경사면(914 내지 915)의 경사 각도를 결정한다. 또한, 잉크 적층(912 내지 913)의 각각의 일 측의 길이 및 경사면(914 내지 915)의 경사 각도는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 내의 s2에 대한 일 측의 길이(90μm) 및 경사 각도(0도 ··· 45도)에 대응한다.

    다음으로, 인쇄 장치(24)가 기록 매체 상의 구조체를 형성하는 방법이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10a는 기록 매체 상에 토출되는 잉크의 적층을 도시하고, 3개의 잉크 도트가 수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토출되고, 3개의 잉크 도트, 2개의 잉크 도트 및 하나의 잉크 도트가 나란히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는 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수평 방향으로의 수평 길이(X)는 30μm x 3 도트 = 90μm이고, 최고점에서의 수직 높이(Y)는 15μm x 3 도트 = 45μm이다. 인쇄 장치(24)가 UV 광으로 잉크 적층을 조사함에 따라, 먼저 잉크 적층은 용융된 후 경화되고, 도 10b에 도시된 구조체(1001)가 최종적으로 형성된다. 도 10a의 잉크 적층의 치수와 유사하게, 구조체(1001)의 베이스의 일 측의 길이(X)는 실질적으로 90μm이고, 최고점에서의 높이(Y)는 실질적으로 45μm이다.

    또한, 도 10a에 도시된 잉크 적층의 형성은, 수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잉크 도트들이 상이한 수의 적층된 잉크 도트를 갖도록 제어된다. 구조체(1001)는 적층된 잉크 도트의 수에 따라 그 높이가 변경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경사면은 잉크 적층의 최고점으로부터 최저점까지 형성된다. 도 10b의 구조체(1001) 상에는, 베이스의 일 측을 따라 실질적으로 90μm의 길이(X), 최고점에서 실질적으로 45μm의 높이(Y) 및 실질적으로 26.6도의 경사 각도(θ)를 갖는 경사면(1002)이 형성된다.

    대안적 실시예로서, 인쇄 장치(24)는 구조체 상에 UV 경화성 잉크와 다른 잉크를 추가로 적층한다. 예컨대, 인쇄 장치(24)에는 UV 경화성 잉크에 추가하여 광택재를 함유한 금속색 잉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금속색 잉크는 구조체(1001) 의 상부 또는 그 아래에 도포되어, 높은 거울 광택도(high specular glossiness)를 갖는 층을 형성한다. 구조체의 거울 광택도의 향상은, 각도 조건이 변경함에 따라, 상술된 광휘감의 특성적 특징인 휘점의 수와 같은 휘점 특성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인쇄 장치(24)는, 구조체(1001)를 형성하기 위해 고점성 UV 경화성 잉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구조체(1001) 상에 저점성 UV 경화성 잉크를 적층할 수 있는 접근법을 채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0c를 참조하여 이 대안적 실시예를 설명하면, 인쇄 장치(24)는 고점성 UV 경화성 잉크로 이루어진 구조체(1001) 상에 저점성 UV 경화성 잉크를 추가로 토출하고 UV 광으로 저점성 UV 경화성 잉크를 조사함으로써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인쇄 장치(24)가 구조체(1001) 상으로 저점성 UV 경화성 잉크를 토출함에 따라, 상위 층(1003)이 구조체(1001) 상에 형성된다. 저점성 UV 경화성 잉크가 높은 습윤성을 가지며, 구조체(1001)에 쉽게 점착되기 때문에, 저점성 UV 경화성 잉크는 더욱 매끄러운 경사면(1004)을 형성할 수 있다.

    이제,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하는 프로세스(S30)가 도 4b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S32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입력된 휘점 정보(S20) 및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을 참조한 결과(S31)에 기초하여, 인쇄 장치(24)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체의 밑면적(s2)을 도출한다. 이 실시예에서, 70 x 70μm^2의 휘점 면적(s1)이 휘점 정보로서 입력되는 경우,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휘점 면적(s1)과 구조체 밑면적(s2)을 비교하고, 휘점 면적(s1)과의 차이가 가장 적은 구조체 면적(s2)을 도출한다. 도 8a에 도시된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의 예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s2 = 60 x 60μm^2이 되도록 구조체 면적(s2)을 도출한다.

    S33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을 참조한 결과(S31) 및 구조체 밑면적(s2)의 도출 결과(S32)를 기초로, 인쇄 장치(24)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체의 경사 각도(θ)를 도출한다. 이 실시예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예컨대,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 내의 구조체 밑면적(s2)과 연관되는 0도, 14.0도, 26.6도, 36.9도 및 45도의 값을 도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도 4b의 S30의 프로세스에 의해,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기록 매체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특성(구조체의 밑면적 및 복수의 경사 각도)을 도출할 수 있다.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의 제어 내용)

    다음으로, 도 4c를 참조하여 구조체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S40)가 기술될 것이다.

    S41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이 화상 데이터의 2차원 좌표는 기록 매체의 표면 상의 2차원 좌표에 대응하며, S30에서 도출된 면적(s2)을 각각 갖는 직사각형 블록으로 화상 데이터를 분할한다. 도 11a는 S41의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1101)의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면적(s2)을 각각 갖는 복수의 직사각형 블록(1102)으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1101)를 분할한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직사각형 블록(1102)의 일 측의 길이는 베이스의 일 측의 길이(X)와 등가이다. 이후, 구조체는 후술될 프로세스에 의해 1대1 대응되도록(one-to-one basis) 분할된 직사각형 블록 내에 배치된다. 각각의 직사각형 블록(1102)이 S30에서 도출된 밑면적(s2)을 갖는 구조체가 그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그러한 크기를 갖는다면 충분하며, 따라서 직사각형 블록(1102)은 밑면적(s2)보다 클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S42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S30에서 도출된 경사 각도를 갖는 구조체의 수를 결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미리 데이터 저장 유닛(306) 내에 저장되는 구조체 수 테이블(802)을 참조함으로써 경사 각도를 갖는 구조체의 수를 결정한다.

    구조체 수 테이블(802)의 내용이 도 8b를 참조하여 이제 기술될 것이다. 이 실시예의 구조체 수 테이블(802)에서, 경사 각도는 1대1 대응되도록 구조체의 수와 연관된다. 예컨대, 도 8b에 도시된 구조체 수 테이블(802)에서, 60 x 60μm^2의 밑면적(s2)을 갖는 구조체 상에 형성될 수 있는 경사 각도는, 구조체 배치 데이터 내에 배치되는 그러한 구조체의 비율을 나타내는 4%, 12%, 20%, 28% 및 36%와 연관된다. 구조체 수 테이블(802) 내의 값들은 도 8b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값들이 요구되는 광휘감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예컨대, 일본 산업 디자인 협회(JIDA)에 의해 제공되는 표준 견본에 광이 가해지는 각각의 각도 값 및 법선 방향으로부터 촬상된 해당 견본의 포착 화상 내의 휘점의 수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구조체의 수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구조체 수 테이블(802)을 미리 데이터 저장 유닛(306)에 제공하고, 적절하게 구조체 수 테이블(802)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요구되는 광휘감을 표현하는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S43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S41에서 분할된 화상 데이터 내의 직사각형 블록에 소정의 경사 각도와 연관된 구조체를 할당하여, 구조체의 배치를 특정하는 구조체 배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S30에서 도출된 상이한 경사 각도를 갖는 둘 이상의 유형의 구조체의 조합의 배치를 특정하는 구조체 배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11b는 구조체 배치 데이터(1103)의 개략도인데, 이 데이터 내에서 구조체가 직사각형 블록에 할당된다. 상이한 경사 각도와 연관된 구조체들이 블록(1104 내지 1108)에 각각 할당된다. 구조체 배치 데이터(1103) 내에, 0도, 14.0도, 26.6도, 36.9도 및 45의 상이한 경사 각도를 갖는 5종류의 구조체의 조합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후속하는 방법에 의해 구조체를 배치한다. 이 실시예에서, 구조체를 25 블록(5 x 5)으로 분할된 화상 데이터(1101) 내에 배치하는 일 예가 기술될 것이다. 우선,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무작위 수에 기초하여 1 내지 25의 모든 블록에 번호를 매긴다. 이후, N1 내지 Nm이 경사 각도(θ1 내지 θm)에 대응하는 구조체의 수를 나타낼 때,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1 내지 N1로 번호가 매겨진 블록에 경사 각도(θ1)와 연관된 구조체를 배치한다. 도 11b의 예에서, 45.0도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는 구조체의 수는 9이다. 45.0도의 경사 각도에 연관되는 구조체는 화상 데이터(1101) 내의 25개 블록 중 1 내지 9로 번호가 매겨진 블록에 배치된다. 도 11b의 구조체 배치 데이터(1103) 내에서, 이들은 블록(1104)이 배치되는 영역이다. 이후,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경사 각도(θ2)와 연관된 구조체를 (N1 + 1) 내지 (N1 + N2)로 번호가 매겨진 블록 내에 배치한다. 상술된 방식으로 경사 각도(θ1 내지 θm)와 연관된 구조체의 배치를 결정함으로써, 구조체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상이한 경사 각도와 연관된 둘 이상의 유형의 구조체의 조합의 배치를 특정한다. 구조체의 배치 방법이 상술된 방법에 제한되지 않지만, 구조체는,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갖는 구조체가 서로 인접하게 착좌되지 않도록 분배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블록의 상기 번호 매김으로부터 구조체의 배치까지 일련의 하위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과, 서로 인접하게 착좌된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갖는 임의의 구조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것과, 서로 인접하게 착좌된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갖는 구조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하위 프로세스를 반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복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상이하지만 서로 밀접한 경사 각도를 갖는 구조체는, 관찰 조건이 변경됨에 따라 휘점의 이동이 시각적으로 더욱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서로로부터 더욱 분리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평가 지표로서 인접한 구조체들 사이의 경사 각도의 차이의 합을 계산할 수 있는데, 이는 후속하는 식에 의해 계산되고, 이 배치 후보 결정 프로세스를 사전 결정된 횟수만큼 반복하고, 가장 큰 평가 값을 갖는 배치를 선택할 수 있다.

    | θ (x, y) - θ (x + 1, y + 1) | (2)

    한편,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배치되는 구조체의 전체 수는 화상 데이터(1101)가 분할되는 블록의 수보다 크고 S42에서 취득된 구조체 전체가 화상 데이터(1101) 내에 배치될 수는 없는 경우 화상 데이터(1101) 내로 배치되는 구조체의 수를 재규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배치되는 구조체의 수의 비율을 계산하고, 구조체의 수의 계산된 비율을 화상 데이터(1101) 내의 블록의 수에 곱하여 배열되는 구조체의 수를 재규정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도 4c의 S40의 프로세스에 의해 구조체 배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인쇄 장치 제어 유닛의 제어 내용)

    이후 S50에서, 인쇄 장치 제어 유닛(305)은 구조체 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좌표에서의 적층의 수를 결정하고, 이 정보를 인쇄 장치(24)에 전송하고,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도록 인쇄 장치(24)에 지시한다. 인쇄 장치 제어 유닛(S50)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가 도 4d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S51에서, S40에서 도출된 구조체 배치 데이터게 기초하여, 인쇄 장치 제어 유닛(305)은, UV 경화성 잉크의 적층의 수가 블록 내에 배치되는 구조체의 경사 각도에 따라 화상 데이터(1101) 내의 각 블록의 각각의 좌표에 대해 설정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컨대, 도 10a에서 UV 경화성 잉크 적층(906)에 기초한 구조체를 형성하는 경우, 인쇄 장치 제어 유닛(305)은 잉크의 적층의 가장 큰 수로서 3의 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x 방향을 따라 구조체 배치 데이터(1103) 내의 후속 좌표에 대해 3의 값 또는 가장 큰 적층 값을 감소시킴으로써 취득되는 값을 설정할 수 있다.

    S52에서, 인쇄 장치 제어 유닛(305)은 UV 경화성 잉크의 적층의 수가 S51에서 각 화소에 대해 설정되는 데이터를 인쇄 장치(24)에 전송하고, 후술되는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도록 인쇄 장치에 지시한다. S51에 기술된 하위 프로세스가 인쇄 장치(24) 내에서 수행되고 S40에서 도출된 구조체 배치 데이터가 그에 직접적으로 전송되는 접근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대안적으로, 인쇄 장치(24)에 상술된 투명한 UV 경화성 잉크에 추가하여 다른 잉크가 설치되고 구조체 형성에 이용되는 잉크가 변경될 수 있는 경우에, 잉크의 유형을 특정하는 정보가 상술된 데이터와 함께 인쇄 장치(24)에 추가적으로 전송되는 접근법이 채용될 수도 있다.

    (인쇄 장치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

    인쇄 장치 제어 유닛(305)에 의해 결정된 정보에 기초한 인쇄 장치(24)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이 기술될 것이다. 우선, 인쇄 장치(24)의 구성이 도 12를 이용하여 기술될 것이다. 헤드 카트리지(1201)는 복수의 토출 포트로 형성된 기록 헤드, 기록 헤드에 잉크를 급송하기 위한 잉크 탱크 및 기록 헤드의 토출 포트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커넥터를 구비한다. 구조체 형성을 위한 UV 경화성 잉크는 잉크 탱크 내에 제공된다. 헤드 카트리지(1201) 및 UV 램프(1221)는 카트리지(1202) 상에 사전 결정된 위치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된다. 카트리지(1202)는 구동 신호 등을 커넥터를 통해 헤드 카트리지(1201) 및 UV 램프(1221)에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 홀더를 구비한다. 카트리지(1202)는 안내 샤프트(1203)를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1202)는 구동되도록 구성되며, 그 위치 및 운동은, 모터 풀리(1205), 피구동 풀리(1206) 및 타이밍 벨트(1207)와 같은 구동 기구를 통해 구동원인 주 스캔 모터(1204)에 의해 제어된다. 안내 샤프트(1203)를 따르는 이 카트리지(1202)의 운동은 "주 스캔"으로 지칭될 것이며 이 운동의 방향은 "주 스캔 방향"으로 지칭될 것이라는 것에 주목한다.

    인쇄를 위한 기록 매체 재료(1208)는 자동 시트 급송기(ASF)(1210) 상에 배치된다. 기록 매체(1208) 상에 화상을 형성함에 있어서, 픽업 롤러(1212)는 시트 급송 모터(121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기록 매체(1208)는 ASF(1210)로부터 하나씩 개별적으로 급송된다. 또한, 각각의 기록 매체 재료(1208)는, 기록 매체(1208)가 카트리지(1202) 상의 헤드 카트리지(1201)의 토출 포트면과 대면하는 기록 시작 위치로 반송 롤러(1209)의 회전에 의해 반송된다. 반송 롤러(1209)는 기어를 통해 구동원인 라인 급송 모터(1213)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기록 매체(1208)가 엔드 센서(1214)를 통과할 때, 기록 매체(1208)가 급송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되고 기록 매체(1208)가 급송 위치에 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카트리지(1202) 상에 장착되는 헤드 카트리지(1201)는, 그 토출 포트면이 카트리지(1202)로부터 하향 돌출하고 기록 매체(1208)에 평행하도록 유지된다. 제어 유닛(1220)은 S50에서 도출된 각각의 좌표에서 투명한 UV 경화성 잉크의 적층의 수에 기초하여 인쇄 장치(24)의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인쇄 장치(24)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사전 결정된 해상도로 잉크를 토출하는 지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2단 인쇄 장치(bilevel printing apparatus)로서 기술될 것이다. 물론, 토출되는 각 잉크 액적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인쇄 장치(24)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이 기술될 것이다. 기록 매체(1208)가 사전 결정된 기록 시작 위치로 반송된 후, 카트리지(1202)는 안내 샤프트(1203)를 따라 기록 매체(1208) 위로 이동된다. 카트리지(1202)가 이동되는 동안, 잉크는 기록 헤드의 토출 포트로부터 토출된다. 잉크 토출 직후, UV 램프(1221)가 켜져서, UV 경화성 잉크를 경화한다. 카트리지(1202)가 안내 샤프트(1203)의 일 단부로 이동된 후, 반송 롤러(1209)는 카트리지(1202)의 상기 스캔 방향에 수직한 방위로 사전 결정된 양만큼 기록 매체(1208)를 반송한다. 기록 매체(1208)의 반송은 "종이 급송" 또는 "하위 스캔"으로 지칭될 것이며, 이 반송의 방향은 "종이 급송 방향" 또는 "하위 스캔 방향"으로 지칭될 것이다. 기록 매체(1208)가 하위 스캔 방향으로 사전 결정된 양만큼 반송되는 것을 종료한 후, 카트리지(1202)는 다시 안내 샤프트(1203)를 따라 이동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종이 급송 및 카트리지(1202)에 의한 기록 헤드의 스캔을 반복함으로써, 광휘감을 나타내기 위한 구조체가 기록 매체(1208) 상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 기록 매체는, 기록 헤드가 그 위에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한 기록 종이가 아닌 다른 매체일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또한, 잉크 제트 방법이 채용된 예가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었지만, 다른 기록 방법, 예컨대 건식 복사(xerographic) 방법이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된 카트리지(1202)의 스캔은 S51에서 설정된 적층의 수와 동일한 회수로 반복되어, UV 경화성 잉크가 적층되고 구조체가 기록 매체(1208) 상에 형성된다. 화상 데이터(1101)가 인쇄 장치(24)의 해상도와 동일한 해상도를 갖도록 S30에서 생성되었지만, 상이한 해상도를 갖는 경우에 해상도 전환 프로세스가 화상 데이터(1101) 상에 적절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장치(24)에 UV 경화성 잉크에 추가하여 광택재를 포함하는 금속색 잉크가 추가로 설치되는 접근법이 채용될 수도 있다. 이 변형예에서, 인쇄 장치 제어 유닛(305)은 고광택 층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구조체의 각각의 상부 또는 그 아래에 금속색 잉크를 도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조체의 금속조 질감이 추가로 강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S50에서의 프로세스 후에, 인쇄 장치 제어 유닛(305)은 구조체의 상부에 더 매끄러운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된 구조체의 각각에 높은 습윤성을 갖는 잉크를 토출할 수 있다. 높은 습윤성을 갖는 잉크가 구조체의 각각에 토출되면, 더 높은 휘도를 갖는 휘점이 기록 매체 상에 나타내질 수 있다.

    (광휘감을 인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구조체의 형성 예)

    다음으로, 인공적으로 광휘감을 나타내기 위한 구조체의 예가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로 기술될 것이다. 도 13a 및 도 13b의 각각은 상술된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한 프로세스에 의해 기록 매체(1208) 상에 형성된 구조체의 단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경사 각도를 갖는 두 종류의 구조체의 조합이 기록 매체(1208) 상에 배치되고, 각각의 구조체는 일 측 상에 X 길이를 갖는 그 베이스로부터 계산된 밑면적을 갖는다. 또한, 기록 매체(1208) 상에 형성된 구조체의 배치는 도 13a와 도 13b 사이에서 동일하다.

    하지만, 광이 구조체가 형성된 기록 매체(1208)에 상이한 조사 각도로부터 적용되는 경우, 광은 동일한 수광 각도이지만 상이한 위치에서 구조체에 의해 거울 반사된다. 따라서, 단일 관찰점으로부터 기록 매체(1208)를 관찰하는 경우, 관찰자는 조사 각도가 도 13a에서 도 13b로 또는 도 13b에서 도 13a로 변화됨에 따라 휘점의 위치 변화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것이다. 대상의 표면 상에 존재하는 휘점의 특성이 조사 각도 또는 관찰 지점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관찰자는 반짝반짝 빛나고 있는 질감 또는 입자성을 가지고 있는 질감과 같은 광휘감에 특별한 질감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화상 처리 장치(1)는 기록 매체 상에 상이한 경사 각도와 연관된 둘 이상의 유형의 구조체의 조합을 형성함으로써 광휘감을 인공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입력 파라미터로 대상물 상에 존재하는 휘점의 크기를 이용하여,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는, 휘점과 단지 작은 크기 차이만을 갖는 구조체가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될 수 있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는 특정 수준의 품질을 갖는 대상물의 광휘감을 재현하는 광휘감을 나타내는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1은 화상 처리 장치(1)가 구조체를 실제로 형성하는 인쇄 장치(24)와 독립적인 장치로 구성되는 시스템을 예로 취함으로써 기술되었다. 하지만, 화상 처리 장치(1)는 인쇄 장치(24)에 포함될 수 있는 점에 주목한다. 이 구성의 경우, 화상 처리 장치(1)는 전용 화상 처리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기능은 회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은 대상물 상에 존재하는 휘점의 크기에 중점을 두며,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특성은 입력되는 대상물 상의 휘점의 면적에 기초하여 도출된다. 이 실시예는 대상물의 관찰 조건에 중점을 두며,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특성이 휘점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접근법에 대해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 2의 화상 처리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는 것에 주목한다. 이 실시예와 실시예 1 사이의 처리의 차이점은 UI 표시 유닛(301)에 의해 UI를 표시하는 프로세스(S10) 및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에 의해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하는 프로세스(S30)이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세스의 내용만이 후술될 것이다.

    S10에서, 화상 처리 장치(1)가 필요한 정보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기 위해, UI 표시 유닛(301)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5) 상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재촉하는 UI를 표시한다. 도 14a는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을 재촉하는 UI(14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a의 UI(1400)에서, 입력 영역(1401 내지 1404)은 대상물 상의 휘점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영역이다. 이 실시예에서, 화상 처리 장치(1)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 영역(1401 내지 1404) 내로 입력되는 휘점 정보를 수신한다. 출력 버튼(1405)은 기록 매체 상의 기록을 시작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영역이다. 종료 버튼(1406)은 도 4a에 도시된 일련의 프로세스를 종료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영역이다. 사용자가 입력 영역(1401 내지 1404) 내로 휘점 정보를 입력하고 이후 출력 버튼(1405)을 누른 후에 절차는 S20으로 진행한다. S20의 그리고 S20 후의 프로세스는 실시예 1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이 실시예의 UI(1400)는, 휘점의 면적(s1)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영역(1401), 휘점의 각도 조건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영역(1402) 및 상기 각도 조건 하에서 휘점의 수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영역(1403)을 포함한다. UI(1400)는 입력 영역(1402 및 1403) 내에 입력되는 값들이 S30의 그리고 S30 후의 프로세스에서 사용될 것인지에 대한 지시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영역(1404)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이 실시예의 각도 조건은 대상물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 즉 대상물의 관찰 도중 관찰 지점에서의 수광의 각도 및 대상물에 대한 조사의 각도를 지칭한다. 각 각도 조건 하에서 휘점의 수는 각도 조건, 즉 조사 각도 및 수광 각도가 만족되는 상태에서 대상물을 관찰함으로써 취득될 수 있는 휘점의 수이다. 휘점의 적어도 일부는 당연히 하나의 각도 조건으로부터 다른 각도 조건에서 위치가 상이하다. 이 실시예에서, 대상물 상의 휘점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을 사용함으로써, 화상 처리 장치(1)는, 대상물 상의 휘점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과 휘점으로서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된 구조체를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각도 조건 사이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는 특정 수전의 품질을 갖는 대상물의 광휘감을 재현하는 광휘감을 나타내는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각도 조건 하의 휘점의 수가 도 14a의 UI(1400)에서와 같이 직접 입력된 수치값인 접근법을 반드시 채용할 필요는 없다는 것에 주목한다. 예컨대, 도 14b의 UI(1410)에서와 같이, 수직축을 따라 설정된 휘점의 수와 수평축을 따라 설정된 그래프 지시 조사 각도(graph indicating illumination angles)(θ) 내에서 사용자가 플롯 지점(1411)을 수직으로 활주 조작하게 함으로써 휘점의 수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의 제어 내용)

    다음으로, 이 실시예의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하는 프로세스(S30)가 도 15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S1531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UI(1400)를 통해 입력되는 각도 조건으로부터,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경사 각도에 대한 목표 범위를 설정한다. 복수의 경사 각도에 대해 S1531에서 설정된 목표 범위는, 관찰 지점 및 적용된 광의 거울 반사의 방향이 서로 일치하는 목표 각도(θ)를 계산하고 목표 각도(θ)로부터 허용 가능한 오류(θd)를 커버하는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각각 취득될 수 있다. 예컨대, 목표 각도(θ)가 0도, 10도, 20도 및 25도인 것으로 계산되고 허용 가능 오류(θd)가 ±2도인 경우, 0도, 10도, 20도 및 25도의 목표 각도(θ)로부터 ±2의 범위가 목표 범위로 설정된다. 상기 예는 허용 가능한 오류(θd)가 고정된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허용 가능한 오류(θd)는 비율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허용 가능한 오류(θd)가, 허용 가능한 오류(θd)로서 목표 각도(θ)들 사이의 차이의 10%를 설정함으로써 적절하게 변경되는 접근법이 채용될 수도 있다.

    S1532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데이터 저장 유닛(306) 내에 저장되는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을 참조한다.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의 데이터 구조체는 실시예 1(도 8a)에서와 동일하다.

    S1533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입력된 각도 조건(S1531) 및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을 참조한 결과(S1532)로부터 구조체 밑면적(s2)을 설정한다.

    S1534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S1531에서 설정된 목표 범위 내의 경사 각도가 S1533에서 설정된 면적(s2)을 갖는 구조체 상에 형성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목표 범위가 예컨대, 0±2도, 10±2도, 20±2도 및 25±2도로 설정되고 구조체 면적(s2)이 S1533에서 90 x 90μm^2로 설정되는 특정 예에 기초하여 기술될 것이다.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을 참조하며, 90 x 90μm^2의 구조체 밑면적(s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 구조체 경사 각도(θ)으로서 0도, 9.5도, 18.4도, 26.6도, 33.7도, 39.8도 및 45도의 값을 선택한다. 이 경우,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상기 목표 범위 중 10±2도, 20±2도 및 25±2도의 경사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면적(s2)을 갖는 구조체 상에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목표 범위 내에 경사 각도가 존재하는 경우(S1534에서 예),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S1536으로 진행한다. 반면에, 목표 범위 내의 경사 각도가 면적(s2)을 갖는 구조체 상에 형성될 수 없는 경우(S1534에서 아니오),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S1535로 진행한다. S1534에서 목표 범위 내의 경사 각도가 형성될 수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을 참조하며, 형성될 수 있다고 결정된 복수의 경사 각도와 연관된 구조체 면적(s2)을 또한 도출한다. 이 경우,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대상물 상의 휘점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과 휘점으로서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를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각도 조건 사이의 차이가 작아지는 그러한 구조체 특성을 도출할 수 있다.

    S1535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구조체 밑면적(s2)을 업데이트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장치(2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구조체 경사 각도의 수가 증가하면, 구조체 밑면적(s2)이 더 커진다. 따라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S1533에서 설정된 구조체 밑면적(s2)을 한 사이즈가 더 큰, 예컨대 90 x 90μm^2의 밑면적(s2) 내지 120 x 120μm^2의 밑면적(s2)으로 업데이트 한다.

    S1536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구조체 특성 테이블(801)의 참조 결과(S1532) 및 상기 결정의 결과(S1534)로부터 인쇄 장치(24)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체의 경사 각도(θ)를 도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는 기록 매체 상으로의 상이한 경사 각도를 갖는 둘 이상의 유형의 구조체의 조합을 형성함으로써 광휘감을 인공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입력 파라미터로서 대상물 상의 휘점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을 이용하여,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는, 대상물 상의 휘점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과 휘점으로서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된 구조체를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각도 조건 사이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는 특성 수준의 품질을 갖는 대상물의 광휘감을 재현하는 광휘감을 나타내는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미리 데이터 저장 유닛(306)에 저장된, 구조체 수 테이블(802)(도 8b)을 참조하여 상이한 경사 각도들에 대응하는 구조체들의 수를 도출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이한 경사 각도들에 대응하는 구조체들의 수는 휘점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들 사이의 상호 관계 및 이러한 각도 조건 하에서 관찰된 휘점의 수에 기초하여 도출된다.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은 실시예 1의 것과 동일하다는 것에 주목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UI 표시 유닛(301)(S10)에 의해 UI를 표시하는 프로세스는 실시예 2의 것과 동일하다. 이 실시예와 전술한 실시예 간의 차이는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에 의해 구조체의 배치를 도출하는 프로세스(S40)이다. 따라서, 이 프로세스의 내용만이 아래에서 기술될 것이다.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의 제어 내용)

    이 실시예의 구조체의 배치를 도출하는 프로세스(S40)가 도 16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S1641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2차원 좌표가 기록 매체의 표면 상에서의 2차원 좌표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S30에서 도출된 면적(s2)을 각각 갖는 직사각형 블록에 상기 화상 데이터를 분할한다.

    S1642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입력된 각도 조건 및 이러한 각도 조건 하에서의 휘점의 수(Mx)로부터 상이한 경사 각도에 대응하는 구조체의 수를 도출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역시, UI(1400)(도 14a) 내의 입력 영역(1402, 1403)을 통한 휘점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 및 이러한 각도 조건 하에서의 휘점의 수의 값을 수신하고 이 값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입력된 각도 조건 각각으로부터,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적용된 광의 거울 반사의 방향 및 관찰 지점이 서로 일치하는 구조체 경사 각도(θx)를 도출한다. 후속하는 기술에서, θx는 목표 각도를 나타낸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조사 각도 및 수광 각도가 각각 15도 및 0도인 경우, 구조체가 배치되는 영역이 휘점으로 시각적으로 인식되게 하기 위해 구조체의 목표 각도는 7.5도이다. 이후,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목표 각도(θx)에 대응하는 구조체의 수(My)를 도출한다. 경사 각도(θx)를 갖는 구조체의 수(My)는 후속하는 수학식에서, 목표 각도(θx1 및 θx2) 그리고 목표 각도(θx1 및 θx2)에 각각 대응하는 휘점의 수(M1 및 M2)의 값을 이용한 계산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데, 여기서 θx1 ≤ θx ≤ θx2이다.

    My = M1 + (M2 - M1) x (θx - θx1) / (θx2 - θx1) (3)

    상기 수학식 3을 이용하는 선형 보간에 의해 구조체의 수(My)를 추산하는 방법 외에도, 예컨대 S30에서 도출된 각각의 경사 각도 간의 차이 및 목표 각도(θx)가 구해지고 가장 작은 차이를 갖는 상기 경사 각도에 대응하는 휘점의 수가 My로서 추산되는 다른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S1643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S1641에서 분할된 화상 데이터 내의 직사각형 블록에 주어진 경사 각도와 연관된 구조체를 할당하여, 구조체의 배치를 특정하는 구조체 배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S30에서 도출된 상이한 경사 각도들을 갖는 둘 이상의 유형의 구조체의 조합의 배치를 특정하는 구조체 배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휘점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과 이러한 각도 조건 하에서 관찰되는 휘점의 수 사이의 상호 관계가, 상이한 경사 각도에 대응하는 구조체의 수가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화상 처리 장치(1)는 높은 수준의 품질을 갖는 대상물의 광휘감을 표현하는 광휘감을 나타내는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1은 대상물 상의 휘점의 크기에 중점을 두고,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특성은 입력된 휘점의 면적에 기초하여 도출된다. 반면에, 실시예 2는 대상물의 관찰 조건에 중점을 두고,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특성은 휘점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에 기초하여 도출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하는 방법이 휘점의 면적 및 휘점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에 비해 우선도를 갖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전환되는 예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와 실시예 1 내지 3 사이의 프로세스 차이는 UI 표시 유닛(301)에 의해 UI를 표시하는 프로세스(S1810) 및 우선도 결정 유닛(1701)에 의해 우선도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이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세스의 내용만이 이하에서 기술될 것이다.

    도 17은 이 실시예에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실시예 1 내지 3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과 유일하게 다른 것은 우선도 결정 유닛(1701)의 구성이다. 우선도 결정 유닛(1701)은, 구조체의 특성이 도출될 때 복수 유형의 휘점 정보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에 비해 우선도를 갖는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우선도 결정 유닛(1701)은 휘점의 각도 조건 및 크기 중 어느 하나가 우선도를 갖는 것인지를 결정한다.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

    도 18은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의 세부 사항은 도 18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S1810에서, 화상 처리 장치(1)가 필요한 정보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UI 표시 유닛(301)은 디스플레이(25) 상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사용자를 재촉하는 UI를 표시한다. 도 19는 이 실시예의 사용자 입력을 재촉하는 UI(14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실시예 4의 UI(1400)는 입력 영역(1901)의 구성을 제외하면 도 14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이 실시예와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UI(1400) 간의 차이는 입력 영역(1901)이기 때문에, 입력 영역의 내용만이 기술될 것이다. 입력 영역(1901)은 사용자로부터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휘점 정보의 유형의 입력을 수신하는 영역이다. 출력 버튼(1405)은 기록 매체 상에 기록을 개시하라는 지시를 수신하는 영역이다. 종료 버튼(1406)은 도 18에 도시된 일련의 프로세스를 종결하라는 지시를 수신하는 영역이다. 사용자가 입력 영역(1401 내지 1404)에 휘점 정보를 입력하고, 입력 영역(1901)에 휘점 정보의 유형을 추가로 입력한 다음 출력 버튼(1405)을 누른 후에 절차는 S1820으로 진행한다.

    S1820에서, 데이터 취득 유닛(302)은 S1810에서 입력된 휘점 정보 및 휘점 정보의 유형을 취득한다.

    S1830에서, 우선도 결정 유닛(1701)은 S1820에서 취득된 휘점 정보의 유형으로부터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하는데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휘점 정보의 유형을 결정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경사 각도는 인쇄 장치(24)에 의해 토출될 수 있는 잉크 도트의 크기 및 그러한 잉크 도트의 조합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이유로, 입력 파라미터로서 대상물 상의 휘점의 크기를 사용하여, 화상 처리 장치(1)는 대상물 상의 휘점과 단지 작은 크기 차이만을 갖는 구조체가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대상물 상의 휘점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과 휘점으로서 구조체를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각도 조건 사이의 차이가 커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한편, 입력 파라미터로 대상물 상의 휘점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을 사용하여, 화상 처리 장치(1)는 대상물 상의 휘점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과 휘점으로 구조체를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각도 조건 간의 차이가 작아지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대상물 상의 휘점의 크기와 구조체의 면적 간의 차이가 클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 실시예에서, S1830에서는 우선도 결정 유닛(1701)이 트레이드 오프 관계(trade-off relation) 하에서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휘점 정보의 유형을 적층되는 잉크 도트의 수 및 잉크 도트의 조합으로부터 초래된 휘점 정보의 두 유형 사이에서 결정한다. 상기 실시예는 화상 처리 장치(1)가 휘점 정보의 유형의 입력을 수신하는 접근법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예컨대, 화상 처리 장치(1)는 휘점 정보의 각각의 유형의 우선도를 수신하기 위해 슬라이드 바 등을 갖는 UI를 사용하는 접근법이 채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휘점 정보의 각 유형의 우선도에 따라 기록 매체 상에 표현되는 구조체의 정확도에 대해 허용 가능한 오차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는 접근법이 고려될 수 있다.

    S1830에서 휘점의 면적이 우선도를 갖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S1830에서 예), 절차는 S1840으로 진행하는데, 여기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S1820에서 취득된 휘점 면적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한다. S1840의 프로세스의 세부 사항은 S30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S1830에서 각도 조건이 우선도를 갖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S1830에서 아니오), 절차는 S1850으로 진행하는데, 여기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S1820에서 취득된 각도 조건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한다. S1850의 프로세스의 세부 사항은 S1531 내지 S1536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S1860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S1840 또는 S1850에서 도출된 구조체의 특성에 따라,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배치를 도출한다.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분할된 화상 데이터 내의 직사각형 블록에 소정의 경사 각도와 연관된 구조체를 할당하여, 구조체의 배치를 특정하는 구조체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다. S1860의 프로세스의 세부 사항은 S40에서와 동일하여, 그 설명이 생략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S1870에서, 인쇄 장치 제어 유닛(305)은 S1860에서 생성된 구조체 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도록 인쇄 장치(24)에 지시한다. 상기 지시를 수신하면, 인쇄 장치(24)는 기록 매체 상에 구조체를 형성한다. S1870의 프로세스의 세부 사항은 S50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이 생략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하는 방법은 휘점의 면적 및 휘점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 중 어느 것이 우선도를 갖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전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면서, 구조체의 형성에서 휘점의 크기에 중점을 두는 재현에 우선도를 제공할 것인지 또는 구조체의 형성에서 휘점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에 중점을 두는 재현에 우선도를 제공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1 내지 4 각각에서는, UI에 입력되는 정량적 값(들)의 파라미터(들)로 휘점 정보가 입력되는 접근 방법에 대해 설명되었다. 이제,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가 UI에 입력되는 정량적 값(들)의 파라미터(들) 대신에 참조 화상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참조 화상으로부터 휘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휘점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접근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는 수신되는 참조 화상의 일 예로 도 6a에 도시된 포착 화상을 이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예컨대 참조 화상이 CAD 시스템 등에 의해 생성되는 화상인 접근 방법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예와 실시예 1 내지 3 사이의 프로세스의 차이는 UI 표시 유닛(301)에 의해 UI를 표시하는 프로세스(S2110), 데이터 취득 유닛(302)에 의해 참조 화상을 취득하는 프로세스(S2120) 및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에 의해 휘점 정보를 추출하는 프로세스(S2130)이다. 이러한 프로세스의 내용만이 후술될 것이다.

    도 20은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실시예 1 내지 3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과의 유일한 차이는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의 구성이다. 이 실시예의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은 입력된 참조 화상으로부터 휘점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

    도 21a는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의 세부 사항은 도 21a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S2110에서, 화상 처리 장치(1)는 필요한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고, UI 표시 유닛(301)은 디스플레이(25) 상의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사용자를 재촉하는 UI를 표시한다. 도 22는 이 실시예의 UI(22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2의 UI(2200)에서, 입력 영역(2201)은 참조 화상의 저장 위치의 입력을 수신하는 영역이다. 파일 경로 등이 참조 화상의 저장 위치의 일 예이다. 입력 영역(2202)은, 대응하는 참조 화상이 취득되는 각도 조건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영역이다. 출력 버튼(2204)은 기록 매체 상에 기록을 개시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영역이다. 종료 버튼(2205)은 도 21a에 도시된 일련의 프로세스를 종결하라는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영역이다. 사용자가 입력 영역(2201 내지 2203)에 정보를 입력한 다음 출력 버튼(2204)을 누른 후에, 절차는 S2120으로 진행한다. 이 실시예에서 UI(2200)는, 입력 영역(2201 내지 2202)에 입력된 값들이 S2140에서 그리고 그 이후에 프로세스에 사용되는지에 대한 지시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영역(2203)을 더 포함한다.

    S2120에서, 데이터 취득 유닛(302)은 S2110에서 입력된 저장 위치로부터 휘점 정보를 추출하는 참조 화상을 취득한다. S2120에서, 데이터 취득 유닛(302)은 그 저장 위치로부터 참조 화상 각각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또는 취득된 참조 화상을 각각의 화상 데이터로 전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데이터 취득 유닛(302)도 참조 화상의 각도 조건을 취득한다. 이 실시예에서, 각 참조 화상이 예컨대, 디지털 카메라 등에 의해 포착된 화상인 경우, 그 각도 조건은 예컨대, 화상을 포착함에 있어서 조사 각도 및 수광 각도와 같은 포착 조건이다.

    S2130에서,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은 S2120에서 취득된 참조 화상의 각도 조건 및 참조 화상에 기초하여 대상물 상의 휘점 정보를 추출한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휘점 정보는 대상물을 관찰함으로써 취득되는 휘점의 면적, 대상물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 및 이러한 각도 조건 하에서 휘점을 수를 나타낸다. 휘점 정보 추출 프로세스의 세부 사항은 후술될 것이다.

    S2140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S2130에서 추출된 휘점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한다. S2140의 프로세스의 세부 사항은 S30 또는 S1531 내지 S1536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이 생략될 것이라는 것에 주목한다.

    S2150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S2140에서 도출된 구조체의 특성에 따라,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배치를 도출한다.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분할된 화상 데이터 내의 직사각형 블록에 소정의 경사 각도와 연관된 구조체를 할당하여, 구조체의 배치를 특정하는 구조체 배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S2150의 프로세스의 세부 사항은 S40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S2160에서, 인쇄 장치 제어 유닛(305)은 S2150에서 생성된 구조체 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도록 인쇄 장치(24)에 지시한다. 상기 지시를 수신하면, 인쇄 장치(24)는 기록 매체 상에 구조체를 형성한다. S2160의 프로세스의 세부 사항은 S50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휘점 정보 추출 유닛의 제어 내용)

    다음으로, 이 실시예에서 휘점 정보를 추출하는 프로세스(S2130)가 도 21b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S2131에서,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은 S2120에서 취득된 참조 화상 중 S2132 내지 S2134의 하위 프로세스가 아직 가해지지 않은 참조 화상을 독출한다. 이 실시예에서, 휘점 정보를 추출하는 참조 화상은 단일 채널 그레이스케일 화상이며, 바람직하게는 휘도 값에 양의 상관 관계를 갖는 8비트(0 내지 255) 화소 값을 보유하는 그러한 화상이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참조 화상은 Exif와 같은 화상 정보 기록 포멧으로 되어 있으며, 화상 해상도는 참조 화상의 데이터에 보유된다.

    S2132에서,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은 S2131에서 독출된 참조 화상을 이진화하여 이진 화상을 생성한다.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은 임계값 이상의 이러한 화소의 화소 값을 255로 대체하기 위해 참조 화상의 각 화소 상에 임계 처리를 수행하고 임계값 아래의 그러한 화소의 화소 값을 0으로 대체한다. 임계값은 참조 화상의 화소 값의 히스토그램을 기초로 순응적으로 결정된다. 예컨대, 임계값은 판별 분석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히스토그램의 골에서의 화소 값이 임계값으로 설정되는 모드 방법과 같은 많은 공지된 이진화 기술이 존재하며, 이진화 방법은 상기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진화에 의해 취득된 이진 화상에서, 255의 화소 값을 갖는 그러한 영역이 휘점에 대응한다.

    S2133에서,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은 S2132에서 생성된 이진 화상에 라벨 처리를 수행한다.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은 이진 화상 내의 255의 화소 값을 갖는 그러한 화소 상에 4-연결-구성요소 라벨 처리를 수행한다. 그 결과, 동일한 라벨이 255의 화소 값을 가지며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그에 인접해 있으며 255의 화소 값을 갖는 이웃 화소에 동일한 라벨이 제공된다. 라벨 처리는 8-연결-구성요소 라벨 처리일 수 있는데, 이때 동일 라벨이 255의 화소 값을 갖는 화소 및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인접한 이웃 화소들에 추가하여 그에 대각선으로 인접하고 255의 화소 값을 갖는 이웃한 화소들에 제공된다.

    S2134에서는, S2133에서의 라벨 처리의 결과로부터,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이 이진 화상 내의 휘점의 수 및 휘점의 평균 면적을 취득하고, 그에 따라 취득된 휘점의 수 및 휘점의 평균 면적을 S2110에서 입력된 대응하는 각도 조건과 연관짓는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S2133에서 취득된 휘점의 형상이 정사각형이라고 상정하고,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은 그 일 측의 길이에 기초하여 휘점의 면적을 취득한다. S2133 내의 라벨 처리의 결과로부터,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은 휘점에 제공된 라벨의 수 및 화소의 라벨 처리된 그룹 중 화소의 평균 수를 취득한다. 여기서, 휘점에 제공된 라벨의 수는 휘점의 수와 동일하다. 또한,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은 화소의 라벨 처리된 그룹 중 픽셀의 평균 수 및 참조 화상의 해상도를 이용하여 수학식(1)으로 계산을 수행하여, 참조 화상에 대응하는 휘점의 면적을 취득한다. 이후,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은 휘점의 수 및 그에 따라 취득된 휘점 면적을 S2110에서 수신된 대응하는 각도 조건과 관련하여 데이터 저장 유닛(306)에 저장한다.

    S2135에서,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은 모든 참조 화상이 처리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은 모든 참조 화상이 처리되었다고 결정하면(S2135에서 예), S2136로 진행한다.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은 모든 참조 화상이 처리되지 않았다면(S2135에서 아니오), S2131의 하위 프로세스로 복귀한다.

    S2136에서,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은 데이터 저장 유닛(306)으로부터 S2134에 저장된 참조 화상에 대응하는 휘점 면적을 독출하고, 모든 참조 화상에 대한 평균 휘점 면적을 취득한다. 휘점 정보 추출 유닛(2001)은 데이터 저장 유닛(306)에 모든 참조 화상에 대한 취득된 평균 휘점 면적을 저장한다. S2136의 하위 프로세스 후, 절차는 도 21a의 흐름도의 프로세스로 복귀한다. 이후, S2130에서 추출된 평균 휘점 면적을 기초로,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특성이 도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휘점 정보는 입력된 참조 화상으로부터 추출되고, 구조체의 특성은 추출된 휘점 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다. 이 구성으로,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는, 사용자가 복잡한 작업에 시간을 소모하지 않고 대상물 등을 촬상하여 취득된 포착 화상으로부터 휘점 정보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는 특정 수준의 품질을 갖는 대상물의 광휘감을 재현하는 광휘감을 나타내는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에서, 휘점 정보가 취득되고 기록 매체 상에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화상 처리가 수행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휘점 정보에 부가하여 색 정보가 취득되고 색 화상 및 구조체가 형성되는 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와 실시예 1 내지 5 사이의 프로세스의 차이는 UI 표시 유닛(301)에 의해 UI를 표시하는 프로세스(S2401)로부터 색-잉크-양 결정 유닛(2301)에 의해 색 잉크의 양을 결정하는 프로세스(S2403)이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세스의 내용만이 후술될 것이다. 인쇄 장치(24)는 색 잉크로 CMYK 잉크를 구비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도 23은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실시예 1 내지 5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과 다른 점은 색-잉크-양 결정 유닛(2301)의 구성이다. 색-잉크-양 결정 유닛(2301)은 구조체 아래 형성되는 색 화상에 대한 잉크의 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

    도 24는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의 세부 사항은 도 24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S2401에서, 화상 처리 장치(1)가 필요한 정보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도록, UI 표시 유닛(301)은 디스플레이(25) 상의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사용자를 재촉하는 UI를 표시한다. 도 25는 이 실시예의 사용자 입력을 재촉하는 UI(25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실시예 6의 UI(2500)는, 입력 영역(2501)의 구성을 제외하면 도 5에 도시된 UI와 동일하다. 입력 영역(2501)은 색 정보를 포함하는 참조 화상의 저장 위치의 입력을 수신하는 영역이다. 파일 경로 등의 참조 화상의 저장 위치의 이례이다. 절차는, 참조 화상의 저장 위치가 입력 영역(2501)에 입력되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휘점 정보가 입력 영역(501)에 입력된 후 출력 버튼(502)이 눌려진 후에, S2402로 진행한다.

    S2402에서, 데이터 취득 유닛(302)은 S2401에서 입력된 저장 위치로부터 색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참조 화상을 취득한다. S2402에서, 데이터 취득 유닛(302)은 상기 저장 위치로부터 참조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된 참조 화상을 화상 데이터로 전환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 참조 화상은, 색 정보를 나타내는 RGB 값과 구조체를 형성하는 영역과 구조를 형성하지 않는 영역을 식별하는 이진 정보가 기록된 총 4 채널의 화상이다. 화상 포멧은 이 포멧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한다. 예컨대, RGB 값 대신에 CIELab 값을 보유하는 화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구조체를 형성하는 영역이 순응적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RGB 값만을 보유하고 상기 2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통상의 화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나타내어지는 색 정보가 좌표와 무관하게 균일한 경우, 그러한 색 정보는 RGB 값의 단일 조합을 UI에 입력함으로써 취득될 수 있다.

    S2403에서, 색-잉크-양 결정 유닛(2301)은 데이터 저장 유닛(306)으로부터 색 분해 테이블(2302)을 독출하고 참조 화상 상의 각 좌표에서의 RGB 값에 대응하는 색 잉크의 양을 결정한다. 색 분해 테이블(2302)에서, CMYK 잉크의 양은 예컨대, RGB를 9개 슬라이스로 슬라이스 처리하여 취득된 총 729 색과 연관된다. 임의의 RGB 값에 대응하는 CMYK 잉크의 양은 공지된 보간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색 분해 테이블(2302)이 미리 데이터 저장 유닛(306)에 보유된다는 것에 주목한다.

    S2404에서, 데이터 취득 유닛(302)은 S2401에 입력된 휘점 정보를 취득한다. S2404의 프로세스의 세부 사항은 S20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S2405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S2404에서 취득된 휘점 정보로부터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한다. S2405의 프로세스의 세부 사항은 S30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S2406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S2405에서 도출된 구조체의 특성에 따라 구조체 배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S2406의 프로세스의 세부 사항은 S40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여기서, 이 실시예의 S41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S2402에서 취득된 색 화상에 포함된 이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만을 커버한다.

    S2407에서, 인쇄 장치 제어 유닛(305)은 S2403에서 계산된 각 화소에서의 색 잉크의 양을 인쇄 장치(24)에 전송하고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도록 인쇄 장치(24)에 지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CMYK 잉크는 색 잉크로 사용된다. 인쇄 장치(24)는 각 화소에서의 색 잉크의 수신된 양에 따라 기록 헤드의 토출을 제어함으로써 기록 매체(1208) 상에 색 화상을 형성한다.

    S2408에서, 인쇄 장치 제어 유닛(305)은 S2406에서 생성된 구조체 배치 데이터를 기초로 각 좌표에서의 적층의 수를 결정하고, 이 정보 및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을 인쇄 장치(24)에 전송하고,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도록 인쇄 장치(24)에 지시한다. S2408의 프로세스의 세부 사항 및 인쇄 장치(24)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은 S50의 프로세스 및 실시예 1에 기술된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색 화상이 형성되고 구조체가 상기 색 하상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임의의 금속 색 및 광휘감을 갖는 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7]

    전술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휘점 정보를 직접 입력하고, 화상 처리 장치(1)는 입력된 휘점 정보에 기초하여 구조체의 특성을 결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광휘감이 다른 질감을 나타내는 명칭(이하, "모드"로 지칭됨)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이러한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휘점 정보를 간접적으로 특정 및 입력한다. 이 실시예와 전술된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은 UI 표시 유닛(301)에 의해 UI를 표시하는 프로세스(S10) 및 데이터 취득 유닛(302)에 의한 휘점 정보 취득 프로세스(S20)이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세스의 내용이 후술될 것이다.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

    S10에서, 화상 처리 장치(1)가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UI 표시 유닛(301)은 디스플레이(25) 상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사용자를 재촉하는 UI를 표시한다. 도 26은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을 재촉하는 UI(26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입력 영역(2601)은 사전 설정 모드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를 수신하는 영역이다. 예컨대, 콤보 박스 등이 입력 영역(2601)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절차는 사용자가 입력 영역(2601) 내의 모드를 선택한 후 출력 버튼(2602)을 누른 후에 S20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즉 UI 표시 유닛(301)에 의해 디스플레이(25) 상에 표시되는 UI(2600)는 선택된 모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선택 수신 유닛으로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

    S20에서, 데이터 취득 유닛(302)은, 휘점 정보의 모드 및 조각들이 서로 연관된 테이블을 참조하고, S10에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모드에 대응하는 휘점 정보를 취득한다. 휘점 정보의 모드 및 조각들 사이의 대응 관계의 가능한 일 예에서, 상기 테이블은 예컨대, 라메 질감 모드(lame texture mode) 및 금속조 질감 모드를 보유하고, 더 큰 휘점 면적이 금속조 질감 모드에 대해서라기 보다는 라메 질감 모드에 대해 설정된다. 휘점 정보의 모드 및 조각들 사이의 대응 관계의 대안적 가능 예에서, 상기 테이블은 글레어링 모드 및 글리터링 모드를 보유하는데, 글레어링 모드에서는 배치되는 구조체의 경사 각도의 빈도 분포의 분산 정도가 높고 각도 조건이 변함에 따라 휘점의 변화가 넓은 범위의 경사 각도에 대해 구조체로부터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반면에, 글리터링 모드에서는 분산의 정도가 낮고 휘점의 변화가 제한된 좁은 범위의 경사 각도에 대해 구조체로부터 시각적으로 인식된다. 데이터 저장 유닛(306) 등이, 휘점 정보의 모드 및 조각이 서로 연관된 테이블을 보유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S30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S20에 취득된 휘점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한다. S40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S30에서 도출된 구조체의 특성에 따라,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배치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S50에서, 인쇄 장치 제어 유닛(305)은 S40에서 생성된 구조체 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좌표에서의 적층의 수를 결정하고, 인쇄 장치(24)에 이 정보를 전송하고,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도록 인쇄 장치(24)에 지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는 다른 질감을 나타내는 명칭 및 휘점 정보의 대응 조각들을 미리 보유한다. 사용자는 그 명칭을 선택함으로써 광휘감이 다른 질감들 사이에서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해당 질감이 재현될 것이다.

    [실시예 8]

    전술된 실시예에서, 광휘감을 나타내기 위한 구조체는 휘점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 또는 휘점의 크기에 기초하여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특성이 휘점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강도를 표시하는 휘점 강도를 이용하여 도출되는 접근법이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 공통인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이 간략하게 되거나 생략될 것이며, 이 실시예에 고유한 특징부가 주로 기술될 것이다.

    도 27은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실시예 1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과 다른 점은 데이터 취득 유닛(302)이 반사-광-양 테이블(2701) 및 출력-조건 변경 유닛(2704)의 구성뿐만 아니라 휘점 정보로서 휘점 강도를 취득한다는 점이다. 데이터 저장 유닛(306) 내에 보유되는 반사-광-양 테이블(2701) 내에, 단위 면적당 반사된 광의 양 및 기록 매체 재료 정보의 조각이 서로 연관된다. 출력-조건 변경 유닛(2704)은, 취득된 휘점 강도에 대응하는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휘점의 외관을 제어하기 위한 출력 조건을 입력하거나 그러한 출력 조건을 변경하도록 사용자를 재촉하도록 구성된다.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

    도 28a는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의 세부 사항은 도 28a를 참조로 후술될 것이다. S2810에서, UI 표시 유닛(301)은 디스플레이(25) 상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사용자를 재촉하는 UI를 표시한다. 도 29는 이 실시예의 UI(29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9의 UI(2900)는 전술된 실시예에 기술된 입력 영역, 예컨대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휘점 정보의 유형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영역(2902) 및 참조 화상의 저장 위치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영역(2905)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UI(2900)는 기록 매체 재료의 유형을 나타내는 기록-매체-재료 정보를 수신하도록 입력 영역(2906)을 더 포함한다.

    S2820에서, 데이터 취득 유닛(302)은 S2810에서 입력된 저장 위치로부터 참조 화상을 취득한다. 데이터 취득 유닛(302)은 취득된 참조 화상에서 휘점 강도를 추출한다. 참조 화상 내의 휘점 강도를 추출하는 대신에, 데이터 취득 유닛(302)은 UI(2900)를 통해 휘점 강도를 나타내는 값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데이터 취득 유닛(302)은 또한 휘점 면적을 취득할 수도 있다. S2820에서, 데이터 취득 유닛(302)은 S2810에서 입력된 기록 매체 정보를 추가로 취득한다.

    S2830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S2820에서 취득된 기록 매체 정보 및 휘점 강도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한다. S2830의 프로세스의 세부 사항은 후술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S2840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S2830에서 도출된 구조체의 특성에 따라 구조체 배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분할된 화상 데이터 내의 직사각형 블록에 소정의 경사 각도와 연관된 구조체를 할당하여, 구조체의 배치를 특정하는 구조체 배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S2840의 프로세스의 세부 사항은 S40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S2850에서, 인쇄 장치 제어 유닛(305)은 S2840에서 생성된 구조체 배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도록 인쇄 장치(24)에 지시한다. 상기 지시를 수신하면, 인쇄 장치(24)는 기록 매체 상에 구조체를 형성한다. S2850의 프로세스의 세부 사항은 S50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의 제어 내용)

    도 28b는 이 실시예의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의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의 세부 사항은 도 28b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S2831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데이터 저장 유닛(306)에 저장된 반사-광-양 테이블(2701)을 참조하고, S2820에서 특정된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단위 면적당 반사된 광의 양을 취득한다. 이 실시예의 단위 면적당 반사된 광의 양이 이제 도 30a 및 도 30b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인쇄 장치(24)는 기록 매체 상에 투명한 UV 경화성 잉크를 적층하여 구조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투명한 구조체(3001)에 적용되는 광은 구조체(3001)를 통해 이동하여 기록 매체(1208)에 도달한다. 또한, 기록 매체(1208)에 도달한 광은 기록 매체(1208) 상에서 반사되어 구조체(3001)의 경사면으로부터 발광된다. 여기서, 구조체(3001)의 경사면으로부터 발광되는 상기 반사된 광은 구조체(3001)의 경사면의 면적 및 기록 매체(1208)의 반사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예컨대, 도 30a를 참조하면, 단위 면적(예컨대, 1 mm^2) 당 반사된 광의 양이 기록 매체(1208) 상에서 20이고 1 mm^2의 면적을 갖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구조체(3001)가 기록 매체(1208) 상에 형성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 구조체(3001)에 적용되는 광의 양이 100이면, 구조체(3001)의 경사면으로부터 발광되는 반사 광의 양은 20이다. 구조체(3001)가 인쇄 장치(2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가장 작은 구조체인 경우, 이는 5 mm^2의 면적을 갖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구조체가 100의 휘점 강도(100의 반사된 광의 양)를 재현하기 위해 기록 매체(1208) 상에 존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도 30b를 참조하면, 단위 면적당 반사된 광의 양이 기록 매치(1208) 상에서 100이고 1 mm^2의 면적을 갖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구조체(3001)가 기록 매체(1208) 상에 형성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 구조체(3001)에 적용되는 광의 양이 100이면, 구조체(3001)의 경사면으로부터 발광되는 반사된 광의 양은 100이다. 구조체(3001)가 인쇄 장치(2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가장 작은 구조체인 경우, 이는 단지 1 mm^2의 면적을 갖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구조체가 100의 휘점 강도(100의 반사된 광의 양)를 재현하기 위해 기록 매체(1208) 상에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단위 면적당 반사된 광의 양은 사전 결정된 면적(예컨대, 1 mm^2)을 갖는 구조체의 경사면으로부터 발광된 반사 광의 양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31은 반사-광-양 테이블(2701)의 일 예를 도시한다. 데이터 저장 유닛(306)에 저장된 이 실시예의 반사-광-양 테이블(2701)에는, 구조체가 형성되는 기록 매체 재료 및 구조체의 경사면의 면적과 동일한 단위 면적(예컨대, 1 mm^2) 당 반사된 광의 양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 반사된 광의 이러한 양의 값은, 사진 광택지와 같은 기본적으로 백색인 기록 매체 재료,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의 증착에 의해 형성된 기록 매체 재료 등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로부터의 반사된 광의 양에 대해 미리 수행되는 측정의 결과로서 데이터 저장 유닛(306)에 존재한다.

    도 28b를 다시 참조하면, S2832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S2831에서 취득된 단위 면적당 반사된 광의 양 및 S2820에서 취득된 휘점 강도로부터, 요구되는 휘점 강도를 재현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체 경사면 면적(s3)을 도출한다. 이 실시예에서, S2820에서 취득된 휘점 강도를 재현하는데 필요한 구조체 경사면 면적(s3)은 아래 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경사면 면적(s3) = 휘점 강도 ÷ 단위 면적당 반사된 광의 양 (4)

    S2833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데이터 저장 유닛(306) 내에 저장되는 구조체 특성 테이블(2702)을 참조한다. 도 32는 이 실시예의 구조체 특성 테이블(2702)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구조체 특성 테이블(2702) 내에는, 인쇄 장치(2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구조체 경사면 면적(s3)들이 상기 경사면 면적을 갖는 구조체 상에 형성될 수 있는 복수의 경사 각도와 각각 연관되어 있다. 도 32에 도시된 구조체 특성 테이블(2702)에는, 예컨대 Aμm^2의 경사면 면적(s3)이 75.0도, 45.0도 및 15도인 복수의 경사 각도와 연관되어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경사면 면적(s3)은,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된 구조체가 광휘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둘 이상의 상이한 경사 각도와 연관된다. 구조체 특성 테이블(2702) 내의 경사 각도는 도 32에 도시된 각도에 제한되지 않는다.

    S2834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경사면 면적(s3)과 연관된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입력된 휘점 강도가 클수록 경사면 면적(s3)도 커진다. 여기서, 구조체 배치 데이터 내에 배치되는 구조체의 수가 큰 경우, 경사면 면적(s3)과 연관된 구조체의 크기(밑면적)가 너무 크면 요구되는 수의 구조체가 구조체 배치 데이터 내에 배치될 수 없다. 이러한 측면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상한으로서 사전 결정된 면적 내에 배치될 수 있는 구조체의 경사면 면적(s3)을 사용하여 S2834에서의 결정을 할 수 있다. 사전 결정된 면적은 예컨대, 배치되는 구조체의 수로 화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취득된다. 반면에, 경사면 면적(s3)과 연관된 구조체의 크기(밑면적)가 작은 경우, 구조체가 인쇄 장치(24)의 성능에 따라 요구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없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하한으로서 인쇄 장치(24)에 의해 출력될 수 있는 가장 작은 구조체와 연관되는 경사면 면적(s3)를 이용하여 S2834에서의 결정을 할 수 있다.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경정되면(S2834에서 예), S2835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경사면 면적(s3)(S2832) 및 구조체 특성 테이블(2702)에 대한 참조 결과(S2833)로부터 구조체 경사 각도(θ)를 도출한다. 이 실시예에서,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구조체 특성 테이블(2702) 내의 Aμm^2의 구조체 경사면 면적(s3)과 연관된 75.0도, 45.0도 및 15.0도의 값을 도출한다. S2835에서 도출된 구조체 경사 각도(θ)는 구조체 수 테이블(2703)에 설정된 비율에 따라 구조체 배치 데이터 내의 블록에 할당된다. 후속하는 프로세스는 실시예 1의 프로세스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결정된 경우(S2834에서 아니오), 출력-조건 변경 유닛(2704)은 휘점의 외관을 제어하기 위한 출력 조건을 입력하고 그러한 출력 조건을 변경할 것을 사용자에게 재촉한다. 도 33은 이 실시예에서 출력-조건 변경 유닛(2704)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의 출력-조건 변경 유닛(2704)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의 세부 사항은 도 33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S2861에서, 출력-조건 변경 유닛(2704)은 휘점 강도(S2820), 기록 매체 정보(S2820) 및 단위 면적당 반사된 광의 양(S2831)을 취득한다.

    S2862에서, 출력-조건 변경 유닛(2704)은 S2820에서 취득된 휘점 정보의 유형으로부터 구조체의 특성을 도출하는데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휘점 정보의 유형을 결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출력-조건 변경 유닛(2704)은 휘점 면적 및 휘점 강도로부터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휘점 정보의 유형을 결정한다. 실시예 4에서 상술된 방법이 S2862의 하위 프로세스에 사용될 수 있다.

    휘점 강도가 우선도를 갖지 않는다고 결정한 경우, 즉 기록 매체 재료의 선택된 유형을 사용하는 것이 우선도를 갖는 경우(S2862에서 아니오), S2863에서 출력-조건 변경 유닛(2704)은 선택된 기록 매체 재료와 함께 재현될 수 있는 휘점 강도의 범위를 도출한다. 상기 휘점 강도 범위는 가장 작은 구조체의 경사면 면적(s3)으로부터 발광되는 반사된 광의 양(S2834)과 가장 큰 구조체의 경사면 면적(s3)으로부터 발광된 반사된 광의 양(S2834) 사이의 범위로부터 구해질 수 있다.

    S2864에서, 출력-조건 변경 유닛(2704)은 UI 표시 유닛(301)을 통해 디스플레이(25) 등에 의해 S2863에서 도출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S2864 후의 후속 프로세스(S2840, S2850)가 생략되고, 도 28a의 절차가 재시작된다. 상기 재시작된 절차의 S2810에서도, S2863에서 도출된 결과가 UI 표시 유닛(301)을 통해 디스플레이(25) 등 상에 표시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선택된 기록 매체 재료와 함께 재현될 수 있는 휘점 강도를 입력하도록 사용자를 재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휘점 강도가 우선도를 갖는 것이 결정되면(S2862에서 예), 출력-조건 변경 유닛(2704)은 S2865에서 휘점 강도를 재현하는 기록 매체를 선택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기록 매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S2865에서 예), 출력-조건 변경 유닛(2704)은 S2866으로 진행하는데, 여기서 S2865의 결과 및 UI 표시 유닛(301)을 통해 디스플레이(25) 등에 의해 기록 매체 재료의 선택 가능한 유형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이 실시예에서, S2866 후의 후속 프로세스(S2840, S2850)는 생략되고 도 28a의 절차가 재시작된다. 재시작된 절차의 S2810에서도, 상기 선택 가능한 유형의 기록 매체 재료는 UI 표시 유닛(301)을 통해 디스플레이(25) 상에 표시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록 매체를 특정하기 위한 입력 동작을 수행하도록 사용자를 재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록 매체를 선택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S2865에서 아니오), 출력-조건 변경 유닛(2704)은 S2867로 진행한다. S2867에서, S2810에서 수신된 참조 화상으로부터 출력-조건 변경 유닛(2704)은 휘점의 강도와 휘점 주위의 영역에서 반사된 광의 강도 사이의 비율(콘트라스트)을 구한다.

    S2868에서, 출력-조건 변경 유닛(2704)은 선택된 기록 매체 재료와 함께 재현될 수 있는 휘점 강도의 범위를 도출한다. 휘점 강도 범위는 가장 작은 구조체의 경사면 면적(s3)으로부터 발광된 반사된 광의 양(S2834)과 가장 큰 구조체의 경사면 면적(s3)으로부터 발광된 반사된 광의 양(S2834) 사이의 범위로부터 구해질 수 있다.

    S2869에서, 출력-조건 변경 유닛(2704)은 S2867에서 구해진 비율(콘트라스트)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1208)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 주위 영역에서의 색 및/또는 밝기를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기준으로 S2868에서 구해진 휘점 강도의 범위 내의 상한 또는 하한 휘점 강도를 사용하여, 출력-조건 변경 유닛(2704)은 휘점을 나타내기 위한 구조체 주위의 영역에 S2867에서 구해진 비율(콘트라스트)를 적용한다. 화상 처리 분야에 널리 공지된 보정 방법은 상술된 색 및/또는 밝기의 보정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한편, 실시예 1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인쇄 장치(24)는 기록 매체 상에 투명한 UV 경화성 잉크를 적층함으로써 구조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이유로, 출력-조건 변경 유닛(2704)은 실시예 6의 방법에 의한 구조체 아래에 형성되는 색 화상에 대해 상기 보정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S2860 후에, 구조체 특성 도출 유닛(303)은 S2835로 진행하는데, 여기서 S2869에서 취득된 상한 또는 하한 휘점 강도에 기초하여 경사면 면적(s3)에 대응하는 구조체 경사 각도(θ)가 도출된다.

    도 34는 인쇄 장치(24)로부터의 출력 견본(3401 내지 3413)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출력 견본(3401 내지 3403)은 경사면 면적(s3)의 변화와 휘점의 외관의 변화 사이의 상관 관계를 도시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매체 재료의 유형이 동일한 경우, 경사면 면적(s3)이 클수록, 재현되는 휘점의 강도가 높아진다.

    또한, 출력 견본(3411 내지 3413)은 휘점 주위의 영역의 색 및/또는 밝기의 변화와 휘점의 외관의 변화 사이의 상관 관계를 도시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 면적(s3)이 동일한 경우, 휘점 주위 영역이 어두울수록 재현되는 휘점의 강도가 높아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는 도 28a의 S2830의 프로세스에 의해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특성(구조체의 경사면 면적 및 복수의 경사 각도)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는 구조체 경사면 면적(s3)을 변경할 뿐만 아니라 기록 매체 재료의 유형 또는 휘점 강도를 변경하도록 사용자를 재촉함으로써 휘점 강도를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는 색 및/또는 바라기의 콘트라스트를 조절함으로써 휘점 강도를 재현할 수 있다.

    [실시예 9]

    전술된 실시예에서, 광휘감을 나타내기 위한 구조체는 휘점을 관찰하기 위한 각도 조건 또는 휘점의 크기에 기초하여 형성된다. 하지만, 전술된 실시예는, 구조체의 경사면이 반사된 광을 발광하는 방향과 관찰자가 구조체를 관찰하는 관찰 방향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관찰자는 구조체의 관찰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광휘감을 경험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구조체가 구조체의 관찰 방향이 고려되어 배치되는 접근법이 설명될 것이다. 아래에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8에 공통인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략하게 되거나 생략될 것이며, 이 실시예에 고유한 특징부만이 기술될 것이다.

    도 35는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실시예1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과의 차이점은 방위수 결정 유닛(3501)의 구성이다. 방위수 결정 유닛(3501)은 구조체의 특성 중 하나에 기초하여 재현 가능한 방위의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

    도 36a는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의 세부 사항은 도 36a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S3610 내지 S3630의 프로세스는 실시예 1의 S10 내지 S30의 프로세스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S3640에서는, S3630에서 도출된 구조체의 특성 중 하나를 기초로, 방위수 결정 유닛(3501)이 후술되는 프로세스에 의해 구조체가 형성될 수 있는 방위수를 결정한다. S3650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S3630에서 도출된 구조체의 특성 및 S3640에서 결정된 구조체 방위의 수에 따라 기록 매체 상에 형성되는 구조체의 배치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조체 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는 후술될 것이다. S3660에서, 인쇄 장치 제어 유닛(305)은 S3650에서 생성된 구조체 배치 데이터에 기초한 각 좌표에서의 적층의 수를 결정하고, 인쇄 장치(24)에 이 정보를 전송하고,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도록 인쇄 장치(24)에 지시한다.

    (방위수 결정 유닛의 제어 내용)

    도 36b는 이 실시예의 방위수 결정 유닛(3501)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의 방위수 결정 유닛(3501)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의 세부 사항은 도 36b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S3641에서, 방위수 결정 유닛(3501)은 S3630에서 도출된 구조체의 특성 중 하나인 구조체 밑면적(s2)을 취득한다. S3642에서, 방위수 결정 유닛(3501)은 구조체가 S3641에서 취득된 구조체 밑면적(s2)으로부터, 기록 매체(1208) 상에 형성될 수 있는 방위수를 결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방위수가 후속하는 계산 식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예가 도시된다. 아래 식 (5)에서, W는 방위수를 나타내며, Ndot는 구조체의 베이스의 일 측 상의 도트의 수를 나타낸다.

    [수식 1]

    (5)

    이제, 이 실시예의 방위수를 결정하는 방법이 도 37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37은 구조체 방위의 수가 60 x 60μm^2의 밑면적(s2)을 갖는 잉크 도트의 그룹(3701)으로부터 결정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밑면적(s2)은 잉크 도트(3702)의 집속(cluster)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집속의 일 측의 길이는 대략 60μm이고, 각각의 단일 도트의 길이는 30μm이다. 이 경우, 구조체의 베이스의 일 측 상의 도트의 수는 "2"이고, 방위수는 상기 식(5)으로부터 "8"로 계산된다. 인쇄 장치(24)가 선택적으로 잉크 도트를 토출하게 함으로써,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는 방위 1 내지 8 중 하나에서 경사면(3703)을 각각 포함하는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체에 적용된 광은 반사 방향(3704)으로 경사면(3703)으로부터 반사 광으로 발광된다.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의 제어 내용)

    도 36c는 이 실시예의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의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의 세부 사항은 도 36c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S3651 및 S3652에서의 하위 프로세스는 실시예 1의 S41 및 S42에서의 하위 프로세스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S3653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구조체의 총 수를 계산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후속하는 계산식이 구조체의 총 수를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일 예가 도시된다. 아래 식(6)에서, Nsum은 구조체의 총 수를 나타내며, Nθn은 경사 각도(θn)를 갖는 구조체의 수를 나타내며, W는 방위수를 나타낸다.

    [수식 2]

    (6)

    S3654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S3651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 내의 직사각형 블록의 총 수와 S3653에서 계산된 구조체의 총 수를 비교한다. 직사각형 블록의 총수가 더 작은 경우(S3654에서 아니오),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아래 식(7)을 이용하여 Nθ를 변경하고 S3653으로 복귀한다.

    [수식 3]

    (7)

    반면에, 직사각형 블록의 총 수가 더 큰 경우(S3654에서 예),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총 수가 S3653에서 계산되는 모든 구조체에 번호 할당한다.

    도 38a는 구조체에 할당된 번호의 리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a에서, D는 경사 각도를 나타내고, Nθn은 경사 각도(θn)와 연관된 구조체의 수를 나타내고, W는 방위수를 나타낸다. 도 3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위 1, 방위 2, … 및 방위 W와 같이, 복수의 방위에 걸쳐 구조체에 대해 연속된 번호가 할당된다.

    도 38b는, 0도, 14.0도, 26.6도, 36.9도 및 45도의 경사 각도와 연관되고 방위 1 내지 8의 각각에서 형성되는 구조체에 할당된 번호의 특정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연속 번호(1 내지 25)가 방위 1에 형성되는 구조체에 할당된다. 연속 번호(26 내지 50)는 방위 2에 형성되는 구조체에 할당된다. 후속하여, 연속 번호가 방위 3, … 및 방위 W에 형성되는 구조체에 마찬가지로 할당된다. 그 결과, 구조체에는 그들 고유의 번호가 부여된다.

    S3655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구조체의 배치를 규정하는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S3651에서 분할된 화상 데이터 내의 직사각형 블록에 구조체를 할당한다. 이 실시예의 상기 마스크 패턴 상에는, 구조체가 배치되는 방법에 따라 미리 번호가 부여된다.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구조체에 할당된 번호가 마스크 패턴에 부여된 번호와 부합하는지에 기초하여 구조체를 직사각형 블록(i)에 할당할 수 있다.

    도 39는 S3655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에 의해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3901)의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실시예 1의 도 11a 및 도 11b에서와 같이, 화상 데이터(3901)에는, 0도, 14.0도, 26.6도, 36.9도 및 45도의 상이한 경사 각도와 연관된 5개 유형의 구조체가 각각 블록(1104 내지 1108)에 배치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블록 내에 배치되는 구조체는 방위와 각각 연관된다. 도 39에서, 화살표는 구조체의 방위를 도시한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방위에서 상이한 경사 각도와 연관된 구조체가 블록(1104 내지 1108)에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는 구조체의 특성 중 하나에 따라 구조체의 방위를 구하고 각 방위에 대해 복수의 경사 각도와 연관되는 구조체를 할당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는 관찰 방향이 변하는 경우에도 광휘감을 재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방위의 최대 수가 구조체의 특성 중 하나에 따라 구해지는 예가 설명되었다. 하지만, 변형예로서, 화상 처리 장치(1)는 디스플레이(25) 상에 UI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 UI를 통해 특정 방위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1)는 UI를 통해, 재현되는 휘점의 특정 수, 즉 각 경사 각도에 대한 구조체의 특정 수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9에서는, 구조체의 방위가 구조체의 특성 중 하나에 따라 구해지고, 복수의 경사 각도와 연관된 구조체가 각 방위에 대해 할당되는 예가 설명되었다. 여기서, 구조체가 실시예 9의 방위 사이에서 균일하게 할당된다. 따라서, 방위수 및 경사 각도가 증가하면, 광휘감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일부 구조체는 일부의 경우에 기록 매체 상에 할당될 수 없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실시예에서는 방위수 및 경사 각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광휘감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구조체가 할당될 수 있는 예가 기술될 것이다. 이하에서, 실시예 1 내지 9에 공통인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이 간략하게 되거나 생략될 것이며, 이 실시예에 고유한 특징부만이 기술될 것이다.

    도 40은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실시예 9의 화상 처리 장치(1)의 소프트웨어 기능 구성과의 차이점은 구조체 재구성 유닛(4001)의 구성 및 구조체 참조 테이블(4002)이다. 구조체 재구성 유닛(4001)은 복수의 방위가 i번째 직사각형 블록에 할당되는 경우에 i번째 직사각형 블록의 구조체를 재구성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저장 유닛(306) 내에 저장된 구조체 참조 테이블(4002)에는,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에 의해 할당된 방위의 조합 및 구조체 형상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의 동작)

    도 41은 이 실시예의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의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에 의한 프로세스의 절차의 세부 사항은 도 41을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 41의 흐름도의 프로세스는 실시예 9의 S3650의 하위 흐름도의 프로세스에 대응한다. 또한, S4151 내지 S4153의 하위 프로세스는 실시예 9의 S3651 내지 S3653의 하위 프로세스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S4154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총 수가 S4152에서 계산되는 모든 구조체에 번호를 할당한다. 도 42a는 구조체에 할당된 번호의 리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2a에서, D는 경사 각도를 나타내고, Nθn은 경사 각도(θn)와 연관된 구조체의 수를 나타내고, W는 방위수를 나타낸다. 도 42b는 0도, 14.0도, 26.6도, 36.9도 및 45도의 경사 각도와 연관되고 방위 1 내지 8의 각각에 형성되는 구조체에 할당된 번호의 특정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연속 번호(1 내지 25)가 방위 1에 형성되는 구조체에 할당된다. 후속하여, 연속 번호(1 내지 25)가 마찬가지로 방위 2 … 및 방위 W에 형성되는 구조체에 할당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9와는 다르게, 방위 1, 방위 2 … 및 방위 W에 형성되는 구조체에 공통의 번호가 할당된다.

    S4155에서,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구조체의 배치를 규정하는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S4151에서 분할된 화상 데이터 내의 직사각형 블록(i)에 구조체를 할당한다. 이 실시예의 마스크 패턴 상에는, 구조체가 할당되는 방법에 따라 미리 번호가 부여된다.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은, 구조체에 할당된 번호가 마스크 패턴에 부여된 번호와 부합하는 지에 기초하여 직사각형 블록(i)에 구조체를 할당한다. 상기 실시예 9와 달리, 이 실시예는 방위 1 내지 8 각각에 대해 상이하게 구조체의 배치를 규정하는 마스크 패턴을 사용한다.

    S4156에서, 구조체 재구성 유닛(4001)은, 복수의 방위가 i번째 직사각형 블록에 할당되는 경우에 i번째 직사각형 블록의 구조체를 재구성한다. 도 43은 이 실시예의 구조체 참조 테이블(4002)의 일 예를 도시한다. 데이터 저장 유닛(306)에 저장되는 이 실시예의 구조체 참조 테이블(4002)에는, 배치 데이터 생성 유닛(304)에 의해 할당되는 방위의 조합 및 구조체 형상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 도 37을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1)는 구조체를 형성하는 각 층에 잉크 도트를 선택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소정의 방위(들)로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구조체 재구성 유닛(4001)은 S4155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탐색하고, 복수의 방위가 i번째 직사각형 블록에 할당되는 경우에 i번째 직사각형 블록의 도트 배치를 변경한다. 구조체 참조 테이블(4002)에서, "O"는 방위가 할당된 것을 나타내며, "x"는 방위가 할당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위 1 및 방위 2는 i번째 직사각형 블록에 할당되고, i번째 직사각형 블록의 도트 배치가 변경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7에 기술 및 도시된 예에서, 밑면적(s2)은 60 x 60μm^2이고, 구조체의 베이스의 일 측 상의 도트의 수는 "2"이다. 하지만, 도트의 수는 이 값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기술된 예에서, 일 측 상의 도트의 수는 편의상 "4"이다.

    도 44는 S4156에서 구조체 재구성 유닛(4001)에 의한 재구성 후에 화상 데이터(4401)의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실시예 1의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4401)에는, 0도, 14.0도, 26.6도, 36.9도 및 45도의 상이한 경사 각도와 연관된 구조체의 5개 유형이 각각 블록(1104 내지 1108)에 배치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에 배치된 구조체는 구조체의 경사면(들)으로부터 반사 광이 발광되는 방위(들)와 각각 연관된다. 도 44에서, 화살표는 구조체의 방위를 도시한다. 복수의 방위가 i번째 직사각형 블록에 할당되는 경우, i번째 직사각형 블록의 도트 배치가 변경된다. 따라서, 방위가 상이한 복수의 구조체가 조합된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단일 방위만이 할당된 경우에 i번째 직사각형 블록에는 단일 경사면을 포함하는 구조체가 형성되는 반면에, 복수의 방위가 할당되는 경우의 i번째 직사각형 블록에는 상이한 방위를 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구조체들이 조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4157에서, 구조체 재구성 유닛(4001)은, 화상 데이터 내의 모든 직사각형 블록이 재구성에 대해 확인되었는지를 결정한다. 모든 직사각형 블록이 재구성을 위해 확인되지 않았다면(S4157에서 아니오), 구조체 재구성 유닛(4001)은 1 내지 i를 추가하고 S4156으로 복귀한다. 화상 데이터 내의 모든 직사각형 블록이 재구성에 대해 확인된 경우(S4157에서 예), 구조체 재구성 유닛(4001)은 이 흐름도에서 프로세스를 종결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는 상이한 방위에 대해 상이한 마스크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직사각형 블록에 구조체를 할당한다. 복수의 방위가 하나의 직사각형 블록에 할당되는 경우, 복수의 방위에서 경사면들을 포함하는 구조체가 조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1)는, 방위의 수 및 경사 각도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구조체 배치 데이터에 광휘감을 재현하는데 필요한 구조체를 할당할 수 있다.

    [변형예]

    전술된 실시예에 기술된 방법에서, UV 경화성 잉크를 적층함으로써 구조체가 형성된다. 하지만, 구조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이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구조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템플릿이 구조체를 형성하도록 기록 매체에 대해 가압되는 나노임프린트 기술에 의해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기록 재료 상에 인쇄되는 화상이 법선 방향으로부터 관찰될 때 휘점의 면적이 조사 각도와 무관하게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구조체가 형성된다. 하지만, 형성되는 구조체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동일한 경사면 면적 또는 사전 결정된 범위의 경사면 면적을 갖는 구조체가 형성되도록, 밑면적 대신에 구조체의 경사면 면적에 중점을 둔 접근법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에 기술된 방법에서, 구조체의 인터페이스로부터 거울 반사된 광의 방향이 제어된다. 하지만, 구조체가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거울 반사된 광의 방향을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거울 반사된 광의 방향이 작은 흡수 및 산란 계수를 갖는 클리어 잉크로 이루어진 구조체의 인터페이스에서 굴절되어, 거울 반사된 광의 방향을 제어하는 접근법이 채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1) 대신에, 인쇄 장치(24)에 내장된 엔진이 전술된 실시예에서 기술된 일부 또는 모든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 형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저장 매체(더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고도 함)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하여 실행하고/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 형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그리고,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예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고/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상기 실시 형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한 개별 컴퓨터 또는 개별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지령들은, 예컨대,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컨대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된 연산 시스템들의 스토리지,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또는 BD(Blu-ray Disc) TM 와 같은) 광학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광휘감을 인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술된 예시적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후속하는 청구항의 범주는 모든 그러한 변형예 및 등가의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은,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되는 2015년 5월 22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15-104459 및 2016년 4월 26일 출원된 특허 출원 번호 2016-088486의 이익을 청구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