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식 프린터 및 광학식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

申请号 KR1020000005638 申请日 2000-02-07 公开(公告)号 KR1020000057946A 公开(公告)日 2000-09-25
申请人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나카하라도시아키; 시미즈유키히코;
摘要 PURPOSE: An optical printer and a print head thereof are provided to reduce the motion of the print head so as to reduce the whole volume of the optical printer and to simplify the control of the print head. CONSTITUTION: An optical printer includes a paint head(1), a translator, a conveyor device, a contact member and a reset device. The paint head(1)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s(10) which is set up selectively by an optical source(9). The translator transfers the print hea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conveyor device determines the filter to be allocated to the optical source. The reset device transfers the filter to its initial position by operating when the print head overruns. The optical print prints an image on a reproduction member by transferring the print hea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signal from the conveyor device.
权利要求
  • 광원과 상기 광원에 대하여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광원의 발광 부분에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복수의 필터를 갖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가지고 기록 매체에 광 기록을 하는 광학식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를 일정 이송량으로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상기 필터를 상기 광원에 설정하는 이송 수단과,
    상기 프린트 헤드의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린트 헤드가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이송 수단에 접촉하여 해당 이송 수단을 일정 이송량 작동시키는 접촉부와,
    상기 프린트 헤드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부와 같은 측에서 상기 프린트 헤드가 상기 이동 범위 이상 이동하였을 때에 작동하여 이동한 상기 필터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리셋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프린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같은 측에 구비되어 이동 범위의 다른쪽 단부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프린트 헤드를 일정 속도로 가속하기 위한 가속 영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프린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필터는 상기 소정 방향으로 소정 피치를 두도록 하여 상기 광원에 대하여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된 필터홀더로 지지되고,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필터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접촉부에 접촉하여 상기 일정 이송량으로 상기 필터홀더를 상기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필터의 소정 피치만큼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서 이동된 상기 필터홀더를 상기 탄성력에 저항하여 걸어 지지하여 원하는 상기 필터를 상기 광원에 설정한 위치로 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리셋 수단은 상기 접촉부와 같은 측에서 상기 프린트 헤드가 이동 범위 이상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필터홀더에 대한 상기 걸림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고 동시에 상기 필터홀더에 대한 상기 이송부의 관계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프린터.
  • 이동 수단에 의해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기록 매체에 대하여 광 기록하는 광학식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에 있어서,
    광원을 가지고,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서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본체와,
    상기 소정 방향으로 소정 피치를 두도록 하여 복수의 필터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필터가 상기 광원에 대하여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탄성 지지된 필터홀더와,
    상기 본체가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서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광 프린터의 일부에 접촉하여 상기 필터홀더를 상기 탄성력에 저항한 일정 이송량으로 상기 소정 방향으로 소정 피치만큼 이동시켜 걸어 지지하여 원하는 상기 필터를 상기 광원에 설정하는 이송 수단과,
    상기 본체가 상기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에서 상기 이동 범위 이상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이송 수단에서 상기 필터홀더로의 걸림을 해제하는 리셋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필터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광 프린터의 일부에 접촉하여 상기 일정 이송량으로 상기 필터홀더를 상기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필터의 소정 피치만큼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서 이동된 상기 필터홀더를 상기 탄성력에 저항하여 걸어 지지하여 원하는 상기 필터를 상기 광원에 설정한 위치로 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셋 수단은 상기 본체가 상기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에서 상기 이동범위 이상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필터홀더에 대한 상기 걸림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필터홀더에 대한 상기 이송부의 관계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
  • 说明书全文

    광학식 프린터 및 광학식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OPTICAL PRINTER AND PRINT HEAD THEREFOR}

    본 발명은 고정형 및 휴대형의 광 기록 장치의 광학식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통의 광원에 대하여 복수의 필터를 절환하여 사용하는 광학식 프린터 및 프린트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학식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는 다수의 미소한 발광 도트(dot)가 선상으로 배열된 광원을 가지며, 이 광원을 발광 도트의 배열 방향(주주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기록 매체에 도트 형상의 빛을 조사하여 원하는 화상을 기록 매체상에 형성하는 장치이다. 광원의 종류로는 여러 가지 발광 원리의 소자, 예컨대 형광 발광관이나 LED 등이 사용되고 있다.

    도 14는 종래의 광학식 프린터, 예컨대 휴대용 컬러(color) 프린터 등에 사용되고 있는 프린트 헤드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고, 도 15는 상기 프린트 헤드 구성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100)는 소정 위치에 배치된 기록 매체인 인화지(102)에 대하여 부주사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100)는 부주사 방향에 평행한 한 쌍의 가이드 축(guide shaft)(104)에 안내되어 있고, 또한, 펄스 모터(pulse motor)(106)로 구동되는 와이어(108)에 연결되어 부주사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프린트 헤드(100)는, 발광 소자(광원)(110)를 가지며, 이 발광 소자(110)는 주주사 방향으로 나란한 복수개의 발광 도트를 가지고 있다. 발광 소자(110)로부터의 광은 후술하는 필터 R, G, B를 투과하여, 반사광학 소자(미러)(112)와 등배 광학계(렌즈)(114)와 반사광학 소자(미러)(116)를 거쳐 인화지(102)에 상이 맺힌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 소자(110)의 광 조사 측에는, 빨강(R), 초록(G), 파랑(B) 각 색의 필터 R, G, B가 절환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들 3가지의 필터 R, G, B는 주주사 방향을 긴 쪽의 방향으로 한 형상이고, 부주사 방향으로 나란하게 공통의 필터홀더(118)에 장착된다. 필터홀더(118)에는 필터홀더 조작용 돌기부(120)가 부주사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 돌기부(120)는 가이드 베어링(122)과 위치 결정 베어링(124)으로 지지된다. 위치 결정 베어링(124)은 스프링(126)에 탄력 지지되어 있고, 돌기부(120)에 형성된 3개의 걸림홈(128)중 어느 하나에 맞게 걸어진다. 필터홀더(118)는 스프링(130)에 의하여 부주사 방향의 소정 방향으로 탄력지지되어 있다. 프린트 헤드(100)를 끼고 돌기부(120)측의 소정 위치에는 맞닿음부(132)가 구비되어 있고, 반대측의 소정 위치에는 리셋판(134)이 설치된다. 즉, 프린트 헤드(100)의 이동에 따라 필터홀더(118)의 돌기부(120)가 맞닿음부(132)에 부딪치면, 필터홀더(118)가 이동하여 필터 R, G, B가 절환된다. 또한, 프린트 헤드(100)가 상기한 바와 다른 역 방향으로 이동하여 리셋판(134)이 위치 결정 베어링(124)의 축(136)을 움직이면, 위치 결정 베어링(124)에 의하여 필터홀더(118)의 걸림이 해제되어, 필터홀더(118)는 스프링(130)에 의해서 맞닿음부(132)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은 상기한 구성에 따른 인화지(102)로의 기록 동작에 대하여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상기 프린트 헤드의 이동 차트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 부호 a로 나타낸 세로 열은 필터 리셋 위치를 나타내고, b∼c는 프린트 헤드의 가속 영역을 나타내고, c∼d는 광노출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영역(노광 영역)을 나타내고, d∼f는 노광 후의 필터 R, G, B의 절환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동 도면중 △ 표시는 광원(110)인 발광 도트열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프린트 헤드(100)에서는 화상을 R, G, B의 3원색으로 색 분해하고 각 색의 화상을 한 장의 인화지(102)에 중복 기록하여 전체적으로 컬러의 화상을 형성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의 a 위치까지의 이동에 수반하여 리셋판(134)이 위치 결정 베어링(124)의 축(136)을 움직인다. 필터홀더(118)는 스프링에 의해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리셋된다. 여기서, 필터 R이 발광 소자(110)의 광 조사 위치(△ 표시 위치)로 설정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가 부주사 방향을 따라서 b∼c의 가속 영역을 거쳐서 일정속도로 가속하여, c∼d의 노광 영역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동기하여, R(빨강)의 화상 신호로 발광 소자(110)를 구동한다. 인화지에는 R(빨강)의 화상이 형성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화지에 R(빨강)의 화상을 형성하면, d∼e의 절환 영역에서 필터홀더(118)의 돌기부(120)가 맞닿음부(132)에 부딪치고, 필터홀더(118)는 이동하여 필터가 R(빨강)에서 G(초록)로 절환된다.

    다음, 프린트 헤드는 b 위치로 이동한다. 여기서는, 리셋판(134)과 위치 결정 베어링(124)의 축(136)은 접촉하지 않으므로, 필터는 리셋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가 부주사 방향을 따라서 b∼c의 가속 영역을 거쳐서 일정속도로 가속하여, c∼d의 노광 영역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동기하여 G(초록)의 화상 신호로 발광 소자(110)가 구동되어 인화지에는 G(초록)의 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16 도시하는 바와 같이, e∼f의 절환 영역에서 필터홀더(118)의 돌기부(120)가 맞닿음부(132)에 부딪치고, 필터홀더(118)는 이동하여 필터가 G(초록)에서 B(파랑)로 절환된다.

    다음, 프린트 헤드는 b 위치로 이동한다. 여기서는, 리셋판(134)과 위치 결정 베어링(124)의 축(136)은 접촉하지 않으므로, 필터는 리셋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가 부주사 방향을 따라서 b∼c의 가속 영역을 거쳐서 일정속도로 가속하여, c∼d의 노광 영역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동기하여 B(파랑)의 화상 신호로 발광 소자(110)가 구동되어 인화지에는 B(파랑)의 화상이 형성된다.

    다음, 프린트 헤드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 위치로 이동하여 리셋판(134)과 위치 결정 베어링(124)의 축(136)이 접촉하여 필터는 리셋된다. 이에 의해서 필터는 다시 R(빨강)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종래의 광학식 프린터에서는 프린트 헤드(100)는 소정 위치에 배치된 인화지(102)에 대하여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프린트 헤드(100)는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 종류의 필터 R, G, B를 프린트 헤드(100) 자체의 이동 동작에 따라 절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광학식 프린터에서는, 필터의 절환에 있어서, 프린트 헤드(100)의 이동 동작에 따라 도 15의 우측의 맞닿음부(132)에 부딪치게 하여 필터 G에서 B로 절환하고, 또한, 좌측에서는 리셋(134)판에 접촉시켜 필터 R로 리셋하고 있다. 따라서, 프린트 헤드(100)의 이동에 따른 좌, 우 양위치에 있어서 필터의 절환 영역이 발생하여 소형화를 추구하는 휴대용의 광학식 프린터에는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우측에서 필터 G, B로의 절환에서는, 필터 G, B 각각의 피치마다 도 16의 d∼e, e∼f의 독립된 절환 영역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영역에 대한 프린트 헤드의 이동량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종래 예의 경우는 3가지의 필터 R, G, B가 절환하는 경우에 한정된 것이지만, 그 이상의 복수의 필터를 절환하는 경우에는 필터 한 장 분의 피치를 제외한 다른 각 필터의 피치마다 절환 영역에 대응한 이동량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프린트 헤드(100)의 이동량은 펄스 모터(106)의 펄스수를 인식하여 제어하지만, 이 이동량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100)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할 때마다 다르기 때문에 복잡한 제어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린트 헤드의 이동량을 적게 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프린트 헤드의 이동에 따른 제어를 간소화할 수 있는 광학식 프린터 및 광학식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청구항 1에 기재된 광학식 프린터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 대하여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광원의 발광 부분에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복수의 필터를 갖는 프린트 헤드와, 상기 프린트 헤드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가지고 기록 매체에 광 기록을 하는 광학식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헤드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를 일정 이송량으로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상기 필터를 상기 광원에 설정하는 이송 수단과, 상기 프린트 헤드의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린트 헤드가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이송 수단에 접촉하여 해당 이송 수단을 일정 거리량 작동시키는 접촉부와, 상기 프린트 헤드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부와 � �은 측에서 상기 프린트 헤드가 상기 이동 범위 이상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작동하여 이동한 상기 필터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리셋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광학식 프린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광학식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같은 측에 구비되어 이동 범위의 다른 쪽 단부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프린트 헤드를 일정속도로 가속하기 위한 가속 영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광학식 프린터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광학식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각 필터는 상기 소정 방향으로 소정 피치를 두도록 하여 상기 광원에 대하여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된 필터홀더로 지지되고,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필터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접촉부에 접촉하여 상기 일정 이송량으로 상기 필터홀더를 상기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필터의 소정피치만큼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서 이동된 상기 필터홀더를 상기 탄성력에 저항하여 걸리게 하여 원하는 상기 필터를 상기 광원에 설정한 위치로 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리셋 수단은 상기 접촉부와 같은 측에서 상기 프린트 헤드가 이동 범위 이상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필터홀더에 대한 상기 걸림부의 걸 림 상태를 해제하고 동시에 상기 필터홀더에 대한 상기 이동부의 관계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청구항 4에 기재된 광학식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는, 이동 수단에 의해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기록 매체에 대하여 광 기록하는 광학식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에 있어서, 광원을 갖고,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서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본체와, 상기 소정 방향으로 소정 피치를 두도록 하여 복수의 필터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필터가 상기 광원에 대하여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탄성 지지된 필터홀더와, 상기 본체가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서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광 프린터의 일부에 접촉하여 상기 필터홀더를 상기 탄성력에 저항하여 일정 이송량으로 상기 소정 방향으로 소정피치 만큼 씩 이동시켜 걸리게 하여 원하는 상기 필터를 상기 광원에 설정하는 이송 수단과, 상 기 본체가 상기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에서 상기 이동 범위 이상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이송 수단에서 상기 필터홀더로의 걸림을 해제하는 리셋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광학식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는 청구항 4에 기재된 광학식 프린터의 프린터 헤드에 있어서,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필터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광 프린터의 일부에 접촉하여 상기 일정 이송량으로 상기 필터홀더를 상기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필터의 소정피치만큼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서 이동된 상기 필터홀더를 상기 탄성력에 저항하여 걸림시켜 원하는 상기 필터를 상기 광원에 설정한 위치로 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셋 수단은 상기 본체가 상기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에서 상기 이동범위 이상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필터홀더에 대한 상기 걸림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필터홀더에 대한 상기 이송부의 관계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식 프린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학식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의 광학계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환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환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환 기구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환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린트 헤드의 이동 차트도이고,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절환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및 절환 기구의 주요부 확대도이고,

    도 11a 내지 11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절환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절환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13a 내지 13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절환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광학식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프린트 헤드 구성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6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린트 헤드의 이동 차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린트 헤드 2 : 인화지(기록매체)

    3 : 이동 수단 8 : 본체

    9 : 광원 10 : 필터

    20 : 필터 홀더 25 : 이송 수단

    26 : 리셋(reset) 수단 34 : 걸림부

    40 : 이송부 46, 66 : 이송 접촉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식 프린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측면도이고, 도 2는 광학식 프린터의 프린트 헤드의 광학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광학식 프린터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1)를 소정 위치에 배치된 기록 매체인 인화지(2)에 대하여 이동 수단(3)에 의하여 소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동 수단(3)은 부주사 방향을 따라서 평행한 한 쌍의 가이드 축(4)을 갖고 있다. 또한, 이동 수단(3)은 부주사 방향의 한쪽 단부측과 다른 쪽 단부측에 배치된 한 쌍의 풀리(pulley)(5)를 갖고 각 풀리(5)사이에 둥근 형상의 순환형 와이어(6)가 걸려서 회전하고 있다. 또한, 풀리(5)의 한쪽은 펄스 모터(7)에 의하여 구동되고 이것에 의해서 와이어(6)가 순환한다. 프린트 헤드(1)는 가이드 축(4)에 의해 안내되고 또한, 그 일부가 와이어(6)에 고정되어 있다. 즉, 프린트 헤드(1)는, 펄스 모터(7)가 구동되어 와이어(6)가 순환하면 가이드 축(4)에 의해 안내되어 부주사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와 같이, 이동 수단(3)에 의해서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 프린트 헤드(1)는 가이드 축(4)에 안내됨과 동시에, 와이어(6)에 고정된 본체(8)를 갖고 이 본체(8)에 각 광학 소자를 배치하고 있다. 이 광학 소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9), 필터(10), 반사광학 소자(11) 및 등배 광학계(12)이다.

    광원(9)은 본 실시예에서는 형광 발광관을 채택하고 있다. 이 형광 발광관은 투광성 및 절연성을 갖는 유리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판(15)에 대하여 상자 형태의 용기부(16)를 봉착하는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내부가 고진공 상태로 유지되는 용기(envelope)(17)를 갖고 있다. 기판(15)의 내면에는 주주사 방향을 따라서 발광부인 다수의 발광 도트(18)가 소정 간격을 두고 열형상(예컨대, 갈지자 걸음형상으로 2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발광 도트(18)는 기판(15)에 설치된 양극 도체와 각 양극 도체에 부착된 ZnO : Zn 등의 형광체 층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발광 도트(18)의 아래쪽으로는 주주사 방향을 따라서 전자 소스인 선형상 음극이 설치된다. 각 발광 도트(18)의 양극 도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용기(17)의 밖으로 인출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필터(10)는 R(빨강), G(초록), B(파랑)의 3색을 갖고, 각각은 주주사 방향으로 상기 기판(15)에서 발광 도트(18)에 따르도록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하고, 필터홀더(20)에 대하여 부주사 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지지된다. 또한, 각 필터를 지지하는 필터홀더(20)는 본체(8)에 대하여 부주사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반사광학소자(11)는 소위 미러로서, 광원(9)의 발광 도트(18)로부터의 빛을 본체(8) 밖의 인화지(2)로 조사하도록 본체(8)에 설치된다. 이 반사광학 소자(11)는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도트(18)로부터의 광을 일단 부주사 방향으로 조사하고, 또한 상기 광을 본체(8) 밖의 인화지(2)(즉, 도 2의 윗쪽)로 조사하도록 두 곳에 설치된다.

    등배광학계(12)는 소위 렌즈로서, 상기 반사광학 소자(11)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본체(8)에 설치된다. 등배광학계(12)는 본 실시예서는 각 발광 도트(18)에 대응한 복수의 대략 원주 형태의 셀폭렌즈(SELFOC lens : 상표명)가 1개로 모듈화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각 광학소자에 의해 광원(9)의 발광 도트(18)로부터의 광은 필터(10)의 R, G, B 중 어느 하나를 투과하여 하나의 반사광학 소자(11) 그리고 등배광학계(12) 및 또 다른 반사광학소자(11)를 거쳐서 본체(8)(즉, 프린트 헤드(1)) 밖의 인화지(2)로 조사된다. 이에 따라, 인화지(2)에 대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라인 형상의 영상이 기록된다. 또한, 프린트 헤드(1)가 이동 수단(3)에 의해서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하여 인화지(2)에 면영상이 형성되게 된다.

    이 때, 필터홀더(20)를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켜 필터(10)의 R, G, B를 선택적으로 절환하면 각각의 노광이 행해진다. 그리고, 필터(10)를 절환하며 각 컬러에 대응한 신호로 형광 발광관을 구동하면 인화지(2)에 컬러 영상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 필터(10)를 절환하는 절환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환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환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환 기구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필터(10)의 절환 기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필터홀더(20)를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1)측에 이송 수단(25)과 리셋 수단(2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절환 기구는 프린트 헤드(1)를 상술한 이동 수단(3)에 의해서 이동시킬 때에 작동하는 구성이므로, 이동 수단(3)을 구비하는 광학식 프린터의 섀시(도시하지 않음)측에 대하여 이송 수단(25) 및 리셋 수단(26)에 관계되는 접촉 수단(27)을 구비하고 있다.

    우선, 이송 수단(25) 및 리셋 수단(2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1)의 본체(8)는 상술한 광원(9) 및 필터홀더(20)를 구비하는 하위층(8a)과 상술한 반사광학소자(미러)(11) 및 등배광학계(렌즈)(12)를 구비하는 상위층(8b)의 대략 상하 2층으로 구성된다. 하위층(8a)에는 하위층(8a)과 상위층(8b) 사이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도록 필터홀더(20)가 배치되어 있다. 필터홀더(2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0)의 한쪽 단부(30a)에 의해서 항상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3 및 4의 A방향)에 탄성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위층(8b)에는 필터(10)를 투과한 광원(9)(발광 도트(18))으로부터 광을 반사광학 소자(11) 중의 하나로 통과시키기 때문에 주주사 방향으로 긴 슬릿 형상의 통과 구멍(21)이 있다.

    이송 수단(25)은 필터홀더(20) 및 상위층(8b)과 관련하여 설치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30)(한쪽 단부(30a))에 의해서 부주사 방향의 한 방향(도 3 및 4의 A방향)에 탄성 지지된 필터홀더(20)에는, 탄성 지지된 서로 반대하는 방향인 부주사 방향의 다른 방향(도 3 및 4의 B방향)측으로 연장된 걸림편(31)이 형성된다. 걸림편(31)에는 각 필터(10)와 동일 방향 및 동일 피치로 형성된 2개의 걸림턱(31a)이 형성된다.

    하위층(8a)에는 걸쇠편(32)이 설치된다. 걸쇠편(32)에는 걸림편(31)의 각 걸림턱(31a)과 걸림하는 걸쇠(32a)가 형성된다. 이 걸쇠편(32)은 하위층(8a)에 대하여 축(33)을 중심으로 요동하도록 배치된다. 걸쇠편(32)의 요동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30)의 다른 단부(30b)에 의해서 걸쇠(32a)를 걸림편(31)의 각 걸림턱(31a)에 걸림시켜 요동할 수 있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다.

    걸쇠편(32)의 걸쇠(32a)는 필터홀더(20)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미끄럼 운동하여 걸림편(31)이 근접했을 때에 각 걸림턱(31a)에 걸린다. 이 때, 걸쇠편(32)이 걸림턱(31a)을 타고 넘도록 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요동한다(도 6참조). 또한, 필터홀더(20)가 미끄럼 운동하여 걸림편(31)이 다시 근접할 때에도 동일하게 걸쇠편(32)이 다음 걸림턱(31a)을 타고 넘도록 하여 건다(도 7참조).

    또, 걸쇠(32a)와 각 걸림턱(31a)의 걸림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쇠(32a)가 각 걸림턱(31a)이 걸리지 않고 걸쇠편(32)과 걸림편(31)이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초기 위치)에 있다. 따라서, 걸쇠(32a)와 각 걸림턱(31a)의 걸림에 관한 상태는, 초기 위치 및 걸쇠편(32)에 걸림편(31)(필터홀더(20))이 근접하여 걸쇠(32a)가 2개의 걸림턱(31a)에 각각 건 두가지 상태(도 6 및 도 7 참조)를 포함해서 총 3가지의 상태가 있다. 이 3가지의 상태는 R, G, B의 3가지의 각 필터(10)가 각각 통과 구멍(21)에 대응한 위치이다. 본 실시예서는 초기 위치에서 통과 구멍(21)에 대응한 필터(10)가 R(빨강)이 되고 걸림편(31)이 걸쇠편(32)에 근접하여 걸리는 상태의 순서대로 G(초록), B(파랑)의 필터(10)가 통과 구멍(21)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미끄럼 운동을 탄성 지지된 필터홀더(20)에 있는 걸림편(31)과, 걸림편(31)에 관계시켜 미끄럼 운동한 필터홀더(20)의 필터(10)의 R, G, B를 각각 통과 구멍(21)에 대응한 상태로 하는 걸쇠편(32)으로 이송 수단(25)에서의 걸림부(34)를 구성한다.

    그런데, 필터홀더(20)의 탄성 지지된 방향인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3 및 도 4의 A방향)측의 단부에는 걸림핀(35)이 고정되어 있다. 이 걸림핀(35)의 상면에는 도 5에 나타내는 걸쇠(35a)가 형성된다. 이 걸쇠(35a)를 갖는 걸림핀(35)의 상면은 상위층(8b) 위에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위층(8b)은 필터홀더(20)의 미끄럼 운동에 의해서 상위층(8b) 위에 돌출된 걸림핀(35)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위층(8b)에는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된 이송 아암(36)이 설치된다. 이송 아암(36)은 상기한 긴 판 형상의 대략 중앙부를 축(37)으로 지지하여 부주사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한다. 이송 아암(36)의 요동은 축(37)에 감긴 비틀림 코일 스프링(38)에 의해서 한쪽 단부(36a)가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3 및 도 4의 A방향)측으로 요동하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송 아암(36)의 다른 단부(36b)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8)에 의해서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3 및 도 4의 B방향)측으로 요동하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지만, 이 다른 단부(36b)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8)에 있는 돌기부(39)에 접촉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한 이송 아암(36)의 요동을 소정 위치로 규제하고 있다.

    이송 아암(36)의 한쪽 단부(36a)는 걸림핀(35)의 걸림턱(35a) 위에 있다. 그리고, 이송 아암(36)의 한쪽 단부(36a) 하면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턱(35a)에 걸림하는 이송 걸쇠(36c)가 형성된다. 이송 걸쇠(36c)는 각 필터(10)와 동일한 방향, 동일한 피치가 되도록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송 아암(36)의 각 이송 걸쇠(36c)와 걸림핀(35)의 걸림턱(35a)은 이송 아암(36)의 한쪽 단부(36a)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5중 B방향)으로 요동하였을 때에 걸림한다. 즉, 이송 아암(36)의 한쪽 단부(36a)에서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으로 요동하는 이송 걸쇠(36c)와 걸림턱(35a)의 걸림에 의해 걸림핀(35)이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으로 눌러지고 필터홀더(20)는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이동한 필터홀더(20)는 상술한 걸림부(34)의 작용에 의해,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된 위치에서 걸림된다(도 6참조).

    또한, 각 이송 걸쇠(36c)와 걸림턱(35a)은 이송 아암(36)의 한쪽 단부(36a)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서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5의 A방향)으로 되돌아가도록 요동하는 경우, 서로 경사 부분이므로 걸리지 않는다. 이 때, 이송 아암(36)의 한쪽 단부(36a)가 윗쪽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송 걸쇠(36c)가 걸림턱(35a)을 타고 넘어가게 된다. 즉, 이송 아암(36)은 필터홀더(20)를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시킨 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쪽 단부(36b)가 돌설부(39)에 접촉하는 소정 위치로 되돌아간다.

    또, 각 이송 걸쇠(36c)와 걸림턱(35a)의 걸림은 도 5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5의 A방향)에 있는 이송 걸쇠(36c)가 걸림턱(35a)에 걸림하려고 하는 상태는 상술한 걸쇠편(32)의 걸쇠(32a)와 걸림편(31)의 각 걸림턱(31a)이 걸림하여 있지 않은 도 3 및 도 4로 나타내는 초기 위치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10)의 R(빨강)이 통과 구멍(21)에 대응한다.

    또한,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5의 A방향)에 있는 이송 걸쇠(36c)가 걸림턱(35a)에 걸림하여 이송 아암의 한쪽 단부(36a)가 도 5의 B방향으로 요동한 후, 이송 아암(36)이 상기 소정 위치로 되돌아간 상태에서는 상술한 걸림부(34)의 작용으로 필터홀더(20)가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하여 걸리게 되어(도 6참조) 필터(10)의 G(초록)가 통과 구멍(21)에 대응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걸림핀(35)이 필터홀더(20)의 이동에 따라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하고 있으므로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5의 B방향)에 있는 이송 걸쇠(36c)가 걸림턱(35a)에 걸리도록 한다.

    계속해서,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5의 B방향)에 있는 이송 걸쇠(36c)가 걸림턱(35a)에 걸림하여 이송 아암(36)의 한쪽 단부(36a)가 도 5의 B방향으로 요동한 후, 이송 아암(36)이 상기 소정 위치로 되돌아간 상태에서는 상술한 걸림부(34)의 작용으로 재차 필터홀더(20)가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하여 걸림되어(도 7참조) 필터(10)의 B(파랑)가 통과 구멍(21)에 대응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걸림핀(35)이 필터홀더(20)의 이동에 따라 재차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하고 있으므로,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5의 B방향)에 있는 이송 걸쇠(36c)가 걸림턱(35a)에서 필터(10)의 1피치만큼 떨어져 위치한다.

    이와 같이, 이송 아암(36)은 왕복 요동하는 일정량의 동작으로 필터홀더(20)를 필터(10)의 1피치만큼 띄어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 동작을 하기 위한 걸림핀(35)과 이송 아암(36)으로 이송 수단(25)에서의 이송부(40)를 구성한다.

    리셋 수단(26)은 상술한 걸쇠편(32)과 이송 아암(36)의 한쪽 단부(36a)에 관여하는 상위층(8b)과 연결하여 설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쇠편(32)에는 본체(8)로부터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3 및 도 4의 B방향)으로 연장하는 조작 레버(32b)가 설치된다. 이 조작 레버(32b)가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3 및 도 4의 A방향)으로 눌러지면 걸쇠편(32)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요동하여 걸림편(31)의 걸림턱(31a)과 걸쇠(32a)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필터홀더(2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서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3 및 도 4의 A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여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려고 한다.

    이송 아암(36)의 한쪽 단부(36a)의 하면에 관계하는 상위층(8b)측에는 이송 아암(36)의 한쪽 단부(36a)의 하면과 접촉하는 조작면(41)이 설치된다. 이 조작면(41)은 이송 아암(36)의 한쪽 단부(36a)가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홀더(20)를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시키는 일정량의 요동 범위에 상응하는 부위에서는 평탄면(41a)을 하고 있다. 또한, 조작면(41)은 이송 아암(36)의 한쪽 단부(36a)가 상기 일정량의 요동 범위로부터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3 및 도 4의 B방향)으로 요동한 위치에 대응하는 부위에서는, 평탄면(41a)에서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3 및 도 4의 B방향)으로 향하여 위쪽으로 경사진 경사면(41b)를 하고 있다. 즉, 경사면(41b)은 일정량의 요동 범위로부터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3 및 도 4의 B방향)으로 재차 요동한 이송 아암(36)의 한쪽 단부(36a)를 위쪽으로 밀어 올려 휘게 한다. 이 때, 이송 아암(36)의 각 이송 걸쇠(36c)는 동시에 위쪽으로 오르기 때문에 그 하측에 있는 걸림핀(35)의 걸림턱(35a)에 걸림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술한 걸쇠편(32)의 조작 레버(32b)의 작용과 조작면(41)의 경사면(41b)에 의한 작용이 동시에 발생하여 필터홀더(20)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해제함과 동시에, 이에 따라 이동하는 걸림핀(35)에서의 걸림턱(35a)과 이송 걸쇠(36c)의 걸림을 없애 필터홀더(20)의 이동을 저지하지 않고 초기 위치로 되돌린다(도 8참조).

    다음은 접촉 수단(27)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촉 수단(27)은 상술한 이동 기구(3)를 구비하는 광학식 프린터의 섀시(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3의 B방향)측 프린트 헤드(1)의 왕복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으로 고정된 접촉 기초부(45)에 설치된다.

    이 접촉 기초부(45)에 있어서 프린트 헤드(1)와 대면하는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3의 A방향)측에는 이송 접촉부(46)가 설치된다. 이송 접촉부(46)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린트 헤드(1)의 이동 범위측으로 연장 설치된다. 이송 접촉부(46)의 선단(46a)은 이송 수단(25)의 이송부(40)를 구성하는 이송 아암(36)의 다른 쪽 단부(36b)에 접촉한다. 이송 접촉부(46)의 선단(46a)이 이송 아암(36)의 다른쪽 단부(36b)에 접촉하는 타이밍은, 프린트 헤드(1)가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3의 B방향)측으로 이동하여 프린트 헤드(1)의 왕복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으로 도달하였을 때에 접촉한다. 그리고, 이송 접촉부(46)는 프린트 헤드(1)를 이동함으로써 이송 아암(36)을 일정량 요동시킨다. 이에 따라, 필터홀더(20)가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한다. 또한, 이송 접촉부(46)는 프린트 헤드(1)가 이송 아암(36)을 일정량 요동시키는 부위보다도 재차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3의 B방향)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이송 아암(36)의 한쪽 단부(36a)를 경사면(41b)에 의해서 위쪽으로 올리는 상술한 동작을 하게 한다.

    또한, 접촉 기초부(45)에 있어서 프린트 헤드(1)와 대면하는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3의 A방향)측에는 리셋 접촉부(47)가 설치된다. 리셋 접촉부(47)의 선단(47a)은 프린트 헤드(1)가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3의 B방향)측으로 이동하여 왕복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으로 도달하였을 때에 리셋 수단(26)을 구성하는 걸쇠편(32)의 조작 레버(32b)에 접촉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송 접촉부(46)가 이송 아암(36)을 일정량 요동시키고 있을 때에는 접촉하지 않고 프린트 헤드(1)가 이송 아암(36)을 일정량 요동시키는 부위 이상으로 부주사 방향의 다른쪽(도 3의 B방향)측으로 이동하여 이송 아암(36)의 한쪽 단부(36a)를 경사면(41b)에 의해서 위쪽으로 올리는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때 동시에 접촉한다.

    따라서, 이송 접촉부(46)는 프린트 헤드(1)의 왕복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으로 이동하여 이송 아암(36)을 일정량 요동시켜 필터홀더(20)를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시킨다 (도 6 및 도 7 참조). 또한, 이송 접촉부(46) 및 리셋 접촉부(47)는 프린트 헤드(1)의 왕복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에서 프린트 헤드(1)가 이동 범위 이상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리셋 수단(26)을 작동시켜 필터홀더(20)를 도 3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필터(10)가 R(빨강)로 절환된 위치)로 한다(도 8참조).

    또, 접촉 수단(27)은 상기 접촉 기초부(45)에 구비된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광학식 프린터의 일부로써 이송 접촉부(46) 및 리셋 접촉부(47)를 구성하면 좋다.

    다음은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광학식 프린터의 노광 동작과 필터 절환 동작을 도 9에 도시된 프린트 헤드의 이동 차트도와 결부시켜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부호 a로 나타낸 세로 열은 필터(10)의 리셋 위치를 나타내고, b∼c는 프린트 헤드의 가속 영역을 나타내고, c∼d는 노광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영역(노광 영역)을 나타내고, c∼e는 필터(10)의 R, G, B로의 절환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동 도면의 △ 표시는 광원인 발광 도트열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프린트 헤드에서는 화상을 R, G, B의 3원색으로 색분해하여 각 색의 화상을 한 장의 인화지에 중복 기록하여 전체 컬러의 화상을 형성한다.

    우선, 필터(10)를 R(빨강)로 절환하는 노광을 수행한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 헤드(1)를 a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a 위치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 접촉부(46) 및 리셋 접촉부(47)가 리셋 수단(26)을 작동시켜, 필터(10)가 R(빨강)로 절환된 필터홀더(20)의 초기 위치이다. 그리고, a 위치로부터 프린트 헤드(1)를 부주사 방향의 한쪽(A방향)으로 이동시키고, b∼c의 가속 영역을 거쳐서 일정 속도로 가속하여 c∼d의 노광 영역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동기하여 R(빨강)의 화상 신호로 광원(9)을 구동한다. 인화지(2)에는 R(빨강)의 화상이 형성된다.

    다음, 필터(10)를 G(초록)로 절환하는 노광을 수행한다. 이 경우 전술한 R(빨강)의 노광 후, 프린트 헤드(1)를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B방향)으로 d∼e까지 이동시킨다. c∼e의 절환 영역에서는 이송 접촉부(46)가 프린트 헤드(1)를 이동시켜 이송 아암(36)을 일정량 요동시켜 필터홀더(20)를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e 위치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10)가 G(초록)로 절환된다. 그리고 e 위치에서부터 프린트 헤드(1)를 부주사 방향의 한쪽(A방향)으로 이동시키고, b∼c의 가속 영역을 거쳐서 일정속도로 가속하여 c∼d의 노광 영역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동기하여 G(초록)의 화상 신호로 광원(9)을 구동한다. 인화지(2)에는 G(초록)의 화상이 형성된다.

    다음, 필터(10)를 B(파랑)로 절환하는 노광을 수행한다. 이 경우, 전술한 G(초록)의 노광 후 프린트 헤드(1)를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B방향)으로 d∼e까지 이동시킨다. c∼e의 절환 영역에서는 이송 접촉부(46)가 프린트 헤드(1)를 이동시켜 이송 아암(36)을 일정량 요동시켜 필터홀더(20)를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e 위치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10)가 B(파랑)로 절환된다. 그리고, e 위치에서부터 프린트 헤드(1)를 부주사 방향의 한쪽(A방향)으로 이동시키고, b∼c의 가속 영역을 거쳐서 일정속도로 가속하여 c∼d의 노광 영역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동기하여 B(파랑)의 화상 신호로 광원(9)을 구동한다. 인화지(2)에는 B(파랑)의 화상이 형성된다.

    다음, 프린트 헤드(1)를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B방향)으로 a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술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 접촉부(46) 및 리셋 접촉부(47)가 리셋수단(26)을 작동시켜 필터(10)가 다시 R(빨강)로 절환된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프린터에 의하면, R(빨강)로의 리셋을 포함하는 각 필터(10)의 모든 절환을 프린트 헤드(1)의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A 측)에 대해 실행함과 동시에 프린트 헤드(1)의 가속 영역도 프린트 헤드(1)의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A측)에 수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속 영역을 필터(10)의 절환 영역내에 공통으로 설정하게 되어 프린트 헤드(1)의 총이동량을 적게 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필터(10)의 G에서 B로의 절환은, 이송 수단(25)에 의해서 프린트 헤드(1)의 도 9의 c∼e의 일정량 이동하여, 필터홀더(20)를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필터 G, B의 각 피치마다 독립된 절환 영역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고 공통의 절환 영역을 형성하기 때문에 프린트 헤드(1)의 총이동량을 더욱 적게 함에 따라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9로 나타내는 이동 차트도에서는 도 16에 나타난 종래의 이동 차트도 대하여 프린트 헤드(1)의 이동에 있어서 노광 영역, 가속 영역, 필터의 1피치만큼의 이동량, 리셋에 필요한 이동량을 동일하게 하여 기재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도 9와 종래예에 따른 도 16을 비교하여 명백하게 알 수 있듯이, 프린트 헤드(1)의 총이동량이 가속 영역분, 필터의 1피치만큼의 이동량 단위씩 적어지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프린트 헤드(1)의 이동량은 이동 수단(3)에서의 펄스 모터(7)의 펄스수로 인식하여 제어하고 있다. 이 이동량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트 헤드(1)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리셋 시킬 때 이외에는 전부 동일하게 된다. 이 때문에, 펄스 모터(7)의 제어를 간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필터의 절환 기구에서의 이송 수단(25)의 이송부(40)와, 이송부(40)에 관한 리셋 수단(26)의 조작면(41)에 관한 구성이 다르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해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0a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절환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10b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절환 기구의 주요부 확대도이고, 도 11a∼11c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절환 기구의 동작도이다.

    우선,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송 수단(25)의 이송부(40)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터홀더(20)의 탄성 지지된 방향인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10의 A방향)측의 단부에는 걸림핀(50)이 고정되어 있다. 이 걸림핀(50)은, 상위층(8b) 상에 돌출하고 있다. 또한, 상위층(8b)은 필터홀더(20)의 미끄럼 운동에 의해서 상위층(8b) 상에 돌출된 걸림핀(50)이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절결부(5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위층(8b)에는 이송 아암(52)이 설치된다. 이송 아암(52)은 대략 중앙부가 축(37)으로 지지되어 부주사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송 아암(52)의 요동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하여 한쪽 단부(52a)가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10의 A방향)측으로 요동하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송 아암(52)의 다른 쪽 단부(52b)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하여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10의 B방향)측에 요동하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지만, 다른 쪽 단부(52b)가 본체(8)에 있는 돌기부(39)에 접촉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이송 아암(52)의 요동을 소정 위치로 규제하고 있다.

    이송 아암(52)의 한쪽 단부(52a)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고 평면에서 볼 때 대략 J 자형상으로 형성되어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10의 B방향)측으로 반달 모양 형상의 선단을 향하고 있다. 이 선단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이송 걸쇠(52c)가 형성되어 있다.

    이송 아암(52)을 지지하는 축(37)에는 종동(從動) 아암(53)의 기초단(基端)이 요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종동 아암(53)은 이송 아암(52)의 한쪽 단부(52a)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종동 아암(53)의 선단(53a)은 걸림핀(50)을 끼워 관통하게 하여 지지하고 있다. 이 걸림핀(50)은 필터홀더(20)의 이동에 따라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종동 아암(53)의 선단(53a)은 걸림핀(50)의 이동 및 자신의 요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긴 구멍(53b)를 거쳐서 걸림핀(50)을 끼워 통하게 하여 지지하고 있다.

    또한, 종동 아암(53)은, 이송 아암(52) 선단의 이송 걸쇠(52c)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53c)을 갖고 있다. 종동 아암(53)의 걸림턱(53c)은 이송 아암(52)의 한쪽 단부(52a)의 선단의 반달 모양 형상에 따라 나있고 각 필터(10)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방향, 동일한 피치가 되도록 2개 형성되어 있다.

    이송 아암(52)의 이송 걸쇠(52c)와 종동 아암(53)의 각 걸림턱(53c)은 이송 아암(52)의 한쪽 단부(52a)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부주사 방향의 다른쪽 측(도 10의 B방향)으로 요동하였을 때에 걸린다. 즉, 이송 아암(52)의 한쪽 단부(52a)에서의 부주사 방향의 다른쪽 측으로의 요동에 따른 이송 걸쇠(52c)와 걸림턱(53c)의 걸림에 의해 종동 아암(53)의 선단(53c)에 끼워 통하도록 지지된 걸림핀(50)이 부주사 방향의 다른쪽 측으로 눌러져 필터 홀더(20)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이동한 필터홀더(20)는 걸림부(34)의 작용에 의해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된 위치에서 걸린다(도 11a참조).

    또한, 이송 걸쇠(52c)와 각 걸림턱(53c)은 이송 아암(52)의 한쪽 단부(52a)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10의 A방향)측으로 되돌아가도록 요동한 경우, 이송 아암(52)에서의 이송 걸쇠(52c)를 갖는 한쪽 단부(52a)가 축(37)측으로 휘기 때문에 이송 걸쇠(52c)가 걸림턱(53c)을 타고 넘어가게 된다. 즉, 이송 아암(52)은 필터홀더(20)를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시킨 후,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쪽 단부(52b)가 돌설부(39)에 접촉하는 소정 위치로 되돌아간다.

    또, 이송 걸쇠(52c)와 각 걸림턱(53c)의 걸림은 도 10a 및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 걸쇠(52c)가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10의 B방향)에 있는 걸림턱(53c)에 걸리려고 하는 상태가 걸림부(34)에서의 걸쇠편(32)의 걸쇠(32a)와 걸림편(31)의 각 걸림턱(31a)이 걸리지 않는 초기 위치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10)의 R(빨강)이 통과 구멍(21)에 대응한다.

    또한, 이송 걸쇠(52c)가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10의 B방향)에 있는 걸림턱(53c)에 걸림하여 이송 아암의 한쪽 단부(52a)가 B방향으로 요동한 후, 이송 아암(52)이 상기 소정 위치로 되돌아간 상태에서는 도 11a와 같이, 상술한 걸림부(34)의 작용으로 필터홀더(20)가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하여 걸리게 되면 필터(10)의 G(초록)가 통과 구멍(21)에 대응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걸림핀(50)이 필터홀더(20)의 이동에 따라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하고 또한, 종동 아암(53)이 걸림핀(50)의 이동에 따라 요동하고 있으므로 이송 걸쇠(52c)가 부주사 방향의 한쪽(A방향)에 있는 걸림턱(53c)에 걸린다.

    계속해서, 이송 걸쇠(52c)가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10의 A방향)에 있는 걸림턱(53c)에 걸려 이송 아암(52)의 한쪽 단부(52a)가 B방향으로 요동한 후, 이송 아암(52)이 상기 소정 위치로 되돌아간 상태에서는 도 11b와 같이, 상술한 걸림부(34)의 작용으로 재차 필터홀더(20)가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하여 걸리게 되어 필터(10)의 B(파랑)가 통과 구멍(21)에 대응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걸림핀(50)이 필터홀더(20)의 이동에 따라 재차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하고 또한, 종동 아암(53)이 걸림핀(50)의 이동에 따라 요동하고 있으므로 이송 걸쇠(52c)가 부주사 방향의 한쪽(A방향) 집합에 있는 걸림턱(53c)으로부터 필터(10)의 1피치만큼 떨어져 위치한다.

    이와 같이, 이송 아암(52)은 왕복 요동하는 일정량의 동작으로 필터홀더(20)를 필터(10)의 1피치만큼씩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걸림핀(50)과 이송 아암(52)과 종동 아암(53)으로 이송 수단(25)에서의 이송부(40)를 구성한다.

    다음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셋 수단(26)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셋 수단(26)은 상술한 걸쇠편(32)과 이송 아암(52)의 한쪽 단부(52a)에 관계하는 상위층(8b)과 연결하여 설치된다.

    걸쇠편(32)과 관계되는 리셋 수단(26)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작 레버(32b)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레버(32b)는 걸쇠편(32)을 비틀림 코일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요동시켜 걸림편(31)의 걸림턱(31a)과 걸쇠(32a)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필터홀더(20)를 초기 위치로 되돌린다.

    상위층(8b) 위에 있어서, 이송 아암(52)의 한쪽 단부(52a)가 요동할 수 있는 범위내에는 한쪽 단부(52a)의 선단과 접촉하는 조작면(54)이 설치된다. 이 조작면(54)은 한쪽 단부(52a)의 선단이 요동하기 이전에 선단과 대면하고 있다. 조작면(54)은 이송 아암(52)의 한쪽 단부(52a)가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홀더(20)를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시키는 일정량의 요동 범위에 있을 때에는 한쪽 단부(52a)의 선단에 접촉하지 않은 위치에 있다. 조작면(54)은 이송 아암(52)의 한쪽 단부(52a)가 상기 일정량의 요동 범위로부터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10의 B방향)으로 요동한 경우에 한쪽 단부(52a)의 선단에 접촉한다. 또한, 조작면(54)은 일정량의 요동 범위로부터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10의 B방향)으로 재차 요동한 이송 아암(52)의 한쪽 단부(52a)를 휘어, 선단에 있는 이송 걸쇠(52c)를 종동 아암(53)의 각 걸림턱(53c)에서 멀어지도록 적절한 경사진 면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걸쇠편(32)의 조작 레버(32b)의 작용과 조작면(54)에 의한 작용이 동시에 발생하여 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터홀더(20)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해제함과 동시에, 이에 따라 요동하는 종동 아암(53)에서의 걸림턱(53c)과 이송 걸쇠(52c)의 걸림을 해제하여 필터홀더(20)의 이동을 저지하지 않고 초기 위치로 되돌린다.

    또, 접촉 수단(27)은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송 접촉부(46)와 리셋 접촉부(47)를 갖고 있다. 이송 접촉부(46)는 프린트 헤드(1)의 왕복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으로 이동하여 도 11a 및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송 아암(52)을 일정량 요동시키고 필터홀더(20)를 필터(10)의 1피치만큼씩 이동시킨다. 또한, 이송 접촉부(46) 및 리셋 접촉부(47)는 프린트 헤드(1)의 왕복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에서 프린트 헤드(1)가 이동 범위 이상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도 1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셋 수단(26)을 작동시켜 필터홀더(20)를 도 10a 및 10b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필터(10)가 R(빨강)로 절환된 위치)로 보낸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프린터의 노광 동작과 필터 절환 동작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이동 차트도로 나타내는 동작과 동일하게 실행된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식 프린터에 의하면,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R(빨강)로의 리셋을 포함하는 각 필터(10)의 모든 절환을 프린트 헤드(1)의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A측)에서 실행함과 동시에 상기 절환 영역내에 프린트 헤드(1)의 가속 영역을 공통으로 설정하여 프린트 헤드(1)의 총이동량을 적게 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또한, 필터(10)의 G에서 B로의 절환도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이송 수단(25)에 의해 프린트 헤드(1)를 일정량 이동하여 필터홀더(20)를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시키도록 한 공통의 절환 영역을 형성하고 프린트 헤드(1)의 총이동량을 더욱 적게 함에 따라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또한, 펄스 모터(7)의 제어도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간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필터의 절환 기구에서의 이송 수단(25)과 리셋 수단(26)과 접촉 수단(27)에 관한 구성이 다르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절환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13a ∼ 13c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절환 기구의 동작도이다.

    우선,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송 수단(25)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초에, 필터홀더(20)는 인장 코일 스프링(60)에 의해서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12의 B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 필터홀더(20)에는 탄성 지지된 방향인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B방향)측으로 연장된 걸림편(61)이 설치된다. 걸림편(61)에는 도 12의 주주사 방향의 상 하단 둘레에 각 필터(10)와 동일한 방향, 동일한 피치로 형성된 각각 2개의 걸림턱(61a)(상측) 및 2개의 걸림턱(61b)(하측)이 형성된다.

    하위층(8a)에는 걸쇠편(62)이 설치된다. 걸쇠편(62)에는 걸림편(61)의 하측에 있는 각 걸림턱(61b)에 걸리는 걸쇠(6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쇠편(62)은 하위층(8a)에 대하여 축(33)을 중심으로 요동이 자유롭도록 배치된다. 걸쇠편(62)의 요동은 필터홀더(20)를 탄성 지지하는 인장 코일 스프링(60)에 의해서 걸쇠(62a)를 걸림편(61)의 각 걸림턱(61b)에 걸리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다.

    걸쇠편(62)의 걸쇠(62a)는 필터홀더(20)가 인장 코일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미끄럼 운동하였을 때에 걸림편(61)의 각 걸림턱(61b)에 걸림한다. 이 때, 걸쇠편(62)이 걸리는 걸림턱(61b)을 타고 넘어가도록 하여 인장 코일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요동한다(도 13a참조). 또한, 필터홀더(20)가 재차 미끄럼 운동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걸쇠편(62)이 다음 걸럼턱(61b)을 타고 넘어가도록 하여 걸림한다(도 13b참조).

    또, 걸쇠(62a)와 각 걸림턱(61b)의 걸림에 관해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쇠(62a)와 각 걸림턱(61b)이 걸려 있지 않고 걸쇠편(62)과 걸림편(61)이 가장 근접하게 있는 상태(초기 위치)가 있다. 따라서, 걸쇠(62a)와 각 걸림턱(61b)의 걸림에 관한 상태는,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걸림편(61)(필터홀더(20))가 걸쇠편(62)으로부터 멀어져 걸쇠(62a)가 2개의 걸림턱(61b)에 각각 걸린 상술한 2가지 상태(도 13a 및 도 13b 참조)를 포함해서 총 3가지의 상태가 있다. 이 3가지의 상태는 R, G, B의 3가지의 각 필터(10)가 각각 통과 구멍(21)에 대응하는 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초기 위치로 통과 구멍(21)에 대응한 필터(10)가 R(빨강)로 되어 걸림편(61)이 걸쇠편(62)으로부터 멀어지는 걸림 상태의 순서대로 G(초록), B(파랑)의 필터(10)가 통과 구멍(21)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미끄럼 운동을 탄성 지지된 필터홀더(20)에 있는 걸림편(61)과, 걸림편(61)에 관계하여 미끄럼 운동한 필터홀더(20)의 필터(10)의 R, G, B를 각각 통과 구멍(21)에 대응한 상태로 하는 걸쇠편(62) 등으로 이송 수단(25)에 있어서의 걸림부(34)를 구성한다.

    또한, 상위층(8b)에는 이송 아암(63)이 설치된다. 이송 아암(63)은 한쪽 단부(63a)가 필터홀더(20)측을 바라보게 하고 다른 쪽 단부(63b)가 본체(8)의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12의 B방향)측의 단부로부터 돌출시켜 부주사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송 아암(63)의 미끄럼 운동은 압축 코일 스프링(64)에 의해서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B방향)측으로 미끄럼 운동하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 이송 아암(63)의 미끄럼 운동은 다른 쪽 단부(63b)가 본체(8)의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B방향)측의 단부로부터 도 12의 길이(L)만큼 돌출한 소정 위치에서 부주사 방향의 다른쪽(B방향)으로의 미끄럼 운동은 규제되어 있다.

    이송 아암(63)의 한쪽 단부(63a)는 주주사 방향으로 가요성(可撓性)을 갖고 있고, 그 선단에 걸림편(61)의 각 걸림턱(61a)에 걸리는 이송 걸쇠(63c)가 형성된다. 이송 아암(63)의 이송 걸쇠(63c)와 각 걸림턱(61a)은 이송 아암(63)이 압축 코일 스프링(64)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12의 A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였을 때에 걸린다. 즉, 이송 아암(63)의 부주사 방향의 한쪽(A방향)측으로의 미끄럼 운동에 따르는 이송 걸쇠(63c)와 걸림턱(61a)의 걸림에 의해 필터홀더(20)가 부주사 방향의 한쪽(A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이동한 필터홀더(20)는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걸림부(34)의 작용에 의해서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된 위치에 걸린다.

    또한, 이송 걸쇠(63c)와 각 걸림턱(61a)은 이송 아암(63)이 압축 코일 스프링(64)의 탄성력에 의해서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12의 B방향)측으로 되돌아가도록 미끄럼 운동한 경우, 상호의 경사 부분이므로 걸리지 않는다. 이 경우, 이송 아암(63)의 한쪽 단부(63a)가 위쪽으로 휘어 이송 걸쇠(63a)가 걸림턱(61a)을 타고 넘어가게 된다. 즉, 이송 아암(63)은 필터홀더(20)를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시킨 후,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쪽 단부(63b)가 본체(8)의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B방향)측의 단부로부터 길이(L)만큼 돌출한 소정 위치로 되돌아간다.

    또, 이송 걸쇠(63c)와 각 걸림턱(61a)의 걸림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 걸쇠(63c)가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12의 A방향)에 있는 걸림턱(61a)에 걸리려고 하는 상태가 상술한 걸쇠편(62)의 걸쇠(62a)와 걸림편(61)의 각 걸림턱(61b)이 걸리지 않는 초기 위치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10)의 R(빨강)이 통과 구멍(21)에 대응한다.

    또한, 이송 걸쇠(63c)가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12의 A방향) 집합에 있는 걸림턱(61a)에 걸림하여 이송 아암(63)이 A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한 후 이송 아암(63)이 상기 소정 위치로 되돌아간 상태에서는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걸림부(34)의 작용으로 필터홀더(20)가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하여 걸리게 되어 필터(10)의 G(초록)가 통과 구멍(21)에 대응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의 이송 걸쇠(63c)는 필터홀더(20)가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하고 있으므로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B방향)에 있는 걸림턱(61a)에 걸린다.

    계속해서, 이송 걸쇠(63c)가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12의 B방향) 에 있는 걸림턱(61a)에 걸려 이송 아암(63)이 A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한 후 이송 아암(63)이 상기 소정 위치로 되돌아간 상태에서는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걸림부(34)의 작용으로 필터홀더(20)가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하여 걸려 필터(10)의 B(파랑)가 통과 구멍(21)에 대응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의 이송 걸쇠(63c)는 필터홀더(20)가 다시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하고 있으므로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B방향)에 있는 걸림턱(61a)에 필터(10)의 1피치만큼 떨어져 위치한다.

    이와 같이, 이송 아암(63)은 왕복 미끄럼 운동하는 일정량의 동작으로 필터홀더(20)를 필터(10)의 1피치만큼 띄어서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걸림편(61)의 걸림턱(61a)과 이송 아암(63)이 이송 수단(25)에서의 이송부(40)를 구성한다.

    다음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셋 수단(26)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셋 수단(26)은 상술한 걸쇠편(62)과 이송 아암(63)의 한쪽 단부(63a)에 관계하는 상위층(8b)과 연결되어 설치된다.

    걸쇠편(62)에 관계하는 리셋 수단(26)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작 레버(62b)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레버(62b)는 걸쇠편(62)을 인장 코일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요동시켜 걸림편(61)의 각 걸림턱(61b)과 걸쇠(62a)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필터홀더(20)를 초기 위치로 되돌린다.

    이송 아암(63)의 한쪽 단부(63a)에는 해제 레버(63d)가 설치된다. 이 해제 레버(63d)는 가요성을 갖는 한쪽 단부(63a)의 중도부에서 대략 L 자형상으로 연장하여 그 앞단을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12의 A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또한, 상위층(8b) 상에서 이송 아암(63)의 한쪽 단부(63a)가 미끄럼 운동할 수 있는 범위내에는 한쪽 단부(63a)에 있는 해제 레버(63d)의 선단과 접촉하는 조작면(65)이 설치된다. 이 조작면(65)은 해제 레버(63d)의 선단의 미끄럼 운동 이전에 상기 선단과 대면하고 있다. 조작면(65)은 이송 아암(63)이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홀더(20)를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시키는 일정량의 미끄럼 운동범위에 있을 때라면, 해제 레버(63d)의 선단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있다. 조작면(65)은 이송 아암(63)이 상기 일정량의 미끄럼 운동 범위로부터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12의 B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한 경우에 해제 레버(63d)의 선단에 접촉한다. 또한, 조작면(65)은 일정량의 미끄럼 운동 범위로부터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B방향)에 재차 미끄럼 운동한 이송 아암(63)의 한쪽 단부(63a)를 휘어, 그 선단에 있는 이송 걸쇠(63c)를 걸림편(61)의 각 걸림턱(61a)에서 멀리하도록 하여 적절하게 경사진 면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걸쇠편(62)의 조작 레버(62b)의 작용과 조작면(65)에 의한 작용이 동시에 발생하여 도 1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터홀더(20)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해제함과 동시에, 이송 걸쇠(63c)와 각 걸림턱(61a)의 걸림을 해제하여 필터홀더(20)의 이동을 저지하지 않고 초기 위치로 되돌린다.

    다음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접촉 수단(27)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촉 수단(27)은 프린트 헤드(1)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3)를 구비하는 광학식 프린터의 섀시(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12의 B방향)측에서 프린트 헤드(1)의 왕복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으로 고정된 접촉 기초부(45)(제 1 실시예와 동일, 도 3 참조)로 하여 설치된다.

    이 접촉 기초부(45)에 있어서 프린트 헤드(1)와 대면하는 부주사 방향의 한쪽(도 3의 A방향)측의 면이 접촉부(66)로서 구성되어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의 이송 접촉부 및 리셋 접촉부를 구성한다.

    접촉부(66)는 이송 수단(25)의 이송부(40)를 구성하는 이송 아암(63)의 다른 쪽 단부(63b)에 접촉한다. 접촉부(66)가 이송 아암(63)의 다른 쪽 단부(63b)에 접촉하는 타이밍은 프린트 헤드(1)가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12의 B방향)측으로 이동하여 프린트 헤드(1)의 왕복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으로 도달한 때이다. 그리고, 접촉부(66)는 프린트 헤드(1) 이동시 이송 아암(63)을 일정량 미끄럼 운동시킨다. 이에 따라, 필터홀더(20)가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한다. 또한, 접촉부(66)는 프린트 헤드(1)가 이송 아암(36)을 일정량 미끄럼 운동시키는 부위보다도 더욱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B방향)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이송 아암(63)의 한쪽 단부(63a)를 해제 레버(63d) 및 조작면(65)에 의해서 위쪽으로 올리는 동작을 하게 한다.

    또한, 접촉부(66)는 프린트 헤드(1)가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도 12의 B방향)측으로 이동하여 왕복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으로 도달하였을 때에 리셋 수단(26)을 구성하는 걸쇠편(62)의 조작 레버(62b)에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송 아암(63)을 일정량 미끄럼 운동시키고 있을 때에는 접촉하지 않고 프린트 헤드(1)가 이송 아암(63)을 일정량 미끄럼 운동시키는 부위보다도 더욱 부주사 방향의 다른 쪽(B방향)측으로 이동하여 이송 아암(63)의 한쪽 단부(63a)를 해제 레버(63d) 및 조작면(65)에 의해서 위쪽으로 올리는 동작을 하게 할 때에 동시에 접촉한다.

    따라서, 접촉부(66)는 프린트 헤드(1)의 왕복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으로 이동하여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송 아암(63)을 일정량 요동시켜 필터홀더(20)를 필터(10)의 1피치만큼 이동시킨다. 또한, 접촉부(66)는 프린트 헤드(1)의 왕복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에서 프린트 헤드(1)가 이동범위 이상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도 1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셋 수단(26)을 작동시켜 필터홀더(20)를 초기 위치(필터(10)가 R(빨강)로 절환된 위치)로 한다.

    또,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학식 프린터의 노광 동작과 필터 절환 동작은 제 1 실시예에서의 도 9의 이동 차트도로 나타내는 동작과 동일하게 실행된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학식 프린터에 의하면, 제 1실시예서와 같이 R(빨강)로의 리셋을 포함하는 각 필터(10)의 모든 절환을 프린트 헤드(1)의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A측)에서 실행함과 동시에, 상기 절환 영역내에 프린트 헤드(1)의 가속 영역을 동시에 설정하여 프린트 헤드(1)의 총이동량을 적게 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필터(10)의 G에서 B로의 절환도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송 수단(25)에 의해 프린트 헤드(1)를 일정량 이동하여 필터홀더(20)를 필터(10)의 1피치만큼 씩 이동시키도록 한 공통의 절환 영역을 형성하고 있고, 프린트 헤드(1)의 총이동량을 더욱 적게 함에 따라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펄스 모터(7)의 제어도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간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학식 프린터는 이송 수단(25), 리셋 수단(26)에 의한 구성이 필터홀더(20)의 한쪽 측(부주사 방향의 다른쪽 측)에 집약되어 있다. 따라서, 구성부품의 조립 등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학식 프린터는, 이송 수단(25), 리셋 수단(26)에 따른 구성이 프린트 헤드(1)의 상하 방향(두께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성이 아니고 전부 부주사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프린트 헤드(1)의 두께를 얇게 하여 프린트 헤드(1)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제 1 ,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는 가속 영역, 리셋을 포함하는 각 필터(10)의 모든 절환을 하는 절환 영역내(프린트 헤드(1)의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A측))에 설정하고 있지만, 이 가속 영역이 프린트 헤드(1)의 이동 범위의 다른 쪽 단부측(B측)에 설정되어 있었다고 하여도 상술한 종래 예와 비교하면 필터(10)의 1피치만큼의 총이동량이 적어져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속 영역을 프린트 헤드(1)의 이동 범위의 다른 쪽 단부측(B측)으로 설정하고 있더라도 프린트 헤드(1)가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A측)과 다른 쪽 단부측(B측)을 왕복하는 이동량은 리셋시킬 때 이외에는 전부 동일하기 때문에 펄스 모터(7)의 제어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광학식 프린터는 복수의 필터를 일정량 이송시킴에 있어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필터를 광원에 설정하는 이송 수단을 프린트 헤드의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에서 일정 이송량 작동시켜 또한, 이송 수단이 작동하는 상기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에서 필터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리셋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즉, 필터의 절환은 이송 수단이 일정량 이송함에 있어 원하는 필터를 광원에 설정(1피치만큼씩 절환하도록)하고 이것을 프린트 헤드의 한쪽 단부측으로 이동시켜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필터를 절환하기 위해서 이동하는 프린트 헤드의 절환 영역이 각 필터 공히 이송 수단에서의 일정 이송량(필터의 1피치만큼)만으로 되기 때문에 프린트 헤드(1)의 총 이동량이 적어져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수단이 일정량 이송함에 있어서 필터를 1피치만큼씩 절환하도록 하고, 이것을 프린트 헤드의 이동에 따라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필터를 절환하기 위해서 이동하는 프린트 헤드의 절환 영역이 각 필터 공히 필터의 1피치만큼만으로 되어, 각 필터로 절환하는 프린트 헤드의 각 이동량이 리셋 때를 제외하고 전부 같아지기 때문에 프린트 헤드의 이동 제어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수단 및 리셋 수단이 작동하는 프린트 헤드의 이동 범위의 한쪽 단부측에서 상기 이동 범위의 다른 쪽 단부측으로 이동하는 프린트 헤드를 일정 속도로 가속하기 위한 가속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속 영역을 필터의 절환 영역내에 공통으로 설정할 수 있어 프린트 헤드의 총 이동량을 더욱 적게 함에 따라 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