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장제작장치와 그의 기능전환기구, 노광장치및 인장제작 대상 물

申请号 KR1019960039455 申请日 1996-09-12 公开(公告)号 KR100421325B1 公开(公告)日 2004-06-18
申请人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发明人 투카하라에이지; 오이카와히데키; 나카지마켄이치; 쿠리야마히로시; 와타나베겐지; 카메다타카노부; 아이다치에코; 심무라토모유키;
摘要 Discloses is a stamp-making object material-detecting device for a stamp-making apparatus having a pocket (6) in which a stamp-making object material (A) in the form of a pillar is mounted. The stamp-making object material has a stamp-making surface at one end thereof, and a reverse side surface parallel to said stamp-making surface. The said stamp-making object material-detecting device detects that said stamp-making object material is mounted in said pocket. The stamp-making object material-detecting device comprises detecting means (263) arranged to face a central portion of said reverse side surface of said stamp-making object material mounted in said pocket to thereby detect whether said stamp-making object material is mounted in said pocket.
权利要求
  • 인장제작 대상물과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되는 투광성의 누름판과, 당해 누름판을 통해, 인영화상을 형성한 잉크리본을 당해 인장제작 대상물에 밀어 부치는 누름수단과, 당해 잉크리본을 마스크로서 당해 인장제작 대상물에 노광을 행하는 노광수단을 구비하는 인장제작장치에 있어서,
    한쪽끝부와 다른쪽끝부를 가지는 리본이송수단으로서, 당해 한쪽끝부의 주위에 감긴 상기 잉크리본을 감아내어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접하게 한 뒤, 당해 다른쪽끝부에 감아서 꺼내는 리본이송수단과,
    상기 누름판과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적어도 한쪽을 다른쪽에 대하여 평행이동시키고 상기 잉크리본을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밀어부치는 상기 누름수단인 평행이동수단과,
    상기 잉크리본을, 당해 잉크리본의 주행시에, 상기 누름판 및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틈에 평행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및,
    상기 평행이동수단의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잉크리본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정수단은, 상기 잉크리본의 세로주름이 없어지도록 당해 잉크리본의 장력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잉크리본에 인영화상을 형성하는 인쇄장치를 또한 구비하고, 또한 상기 리본이송수단은 권출측 이송기구과 권취측 이송기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권출측 이송기구는, 상기 인쇄장치에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리본에 인영화상을 형성하는 인쇄장치를 또한 구비하고, 또한 상기 리본이송수단은 권출측 이송기구와 권취측 이송기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권출측 이송기구는, 잉크리본의 이송방향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인쇄장치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의 양측에 배치된 잉크리본 지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이 상기 잉크리본을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밀어 부치고있는 때, 당해 잉크리본을 지지하여, 당해 잉크리본이 당해 누름판의 양쪽말단부에서 당해 인장제작 대상물과는 반대측으로 꺾여 굽도록 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원호상으로 모떼기된 양쪽말단부를 가지고, 상기 누름판이 상기 잉크리본을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밀어 부치고있는 때, 상기 잉크리본은, 당해 원호상으로 모떼기된 양쪽말단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장제작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정수단은, 상기 잉크리본을 느슨해지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재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이동기구와, 느슨해지게 한 상기 잉크리본에 세로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약간의 장력을 부가하는 텐션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이동수단은,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대하여 상기 누름판을 평행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또한 당해 누름판의 평행이동을 제동하는 제동기구를 가지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평행이동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노광면에 대응하는 상기 누름판의 부위에서 빠져나간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상기 인장제작대가물과는 반대측에 약간 휘어져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누름판을 사이에 두고 잉크리본의 주행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설치한 제 1 의 가이드부재와 제 2 의 가이드부재로 구성되고, 당해 제 1 및 제 2 의 각 가이드부재는, 상기 잉크리본에 접촉하는 리본접촉부와, 당해 리본접촉부를 지지하는 고정지지부를 가지며, 당해 리본접기접촉부는 당해 고정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잉크리본을 접어 구부려지는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장치.
  • 한쪽끝부와 다른쪽끝부를 가지는 리본이송수단으로서, 당해 한쪽끝부의 주위에 감긴 상기 잉크리본을 감아내어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접하게 한 뒤, 당해 다른쪽끝부에 감아서 꺼내는 리본이송수단 및,
    상기 리본이송수단의 상기 한쪽끝부와 상기 다른족끝부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잉크리본의 주행경로를 꺽어서 구부리는 경로변경부재를 포함하고,
    당해 경로변경부재의 리본접촉부가 가운데가 높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인장제작장치.
  • 한쪽끝부와 다른쪽끝부를 가지는 리본이송수단으로서, 당해 한쪽끝부의 주위에 감긴 상기 잉크리본을 감아내어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접하게 한 뒤, 당해 다른쪽끝부에 감아서 꺼내는 리본이송수단과,
    잉크리본을 한쪽끝으로부터 감아내어 노광대상물에 접하게 한 뒤, 다른쪽끝에 감아서 꺼내는 리본이송수단 및,
    상기 리본이송수단의 상기 한쪽끝부와 상기 다른쪽끝부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리본의 주행경로를 꺽어 구부리는 경로변경부재를 포함하고,
    당해 경로변경부재는, 리본접촉부와, 당해 리본접촉부의 양쪽말단에 설치되고 상기 잉크리본의 폭방향을 안내하는 한쌍의 플랜지부를 가지며,
    당해 각 플랜지부는, 상기 리본접촉부를 향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장치.
  • 개폐덮개와, 인쇄헤드와, 플라텐롤러와, 누름판을 구비하는 인장제작장치의 기능전환기구로서, 상기 개폐덮개를 로그ㆍ언로크하는 제 1 링크수단과, 상기 인쇄헤드를 상기 플라텐롤러에 이접시키는 제 2 링크수단과, 상기 누름판을 진퇴시키는 제 3 링크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링크수단을 작동시켜 인장제작 대상물을 상기 인장제작장치에 세트하기 위해서 당해 개폐덮개를 개방하는 오픈위치과, 상기 제 2 링크수단을 작동시켜 인쇄동작를 위해 상기 인쇄헤드를 상기 플라텐롤러에 접촉시키는 제판위치과, 상기 제 3 링크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의 노광를 위해 상기 누름판을 전진시키는 노광위치 사이로 전환가능하게 구성 된 기능전환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수단, 상기 제 2 링크수단 및 상기 제 3 링크수단을 작동시키는 단일의 조작소자; 및 상기 제 3 링크수단을 상기 노광위치에 작동시킨 때에, 상기 제 1 링크수단의 상기 오픈위치로의 작동을 저지하는 로크기구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기능 전환 기구.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또한 상기 제 2 링크수단을 상기 제판위치에 작동시킨 때에, 상기 제 1 링크수단의 상기 오픈위치에의 작동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전환기구.
  •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조작소자의 전환조작을 저지하는 저지위치와 전환조작을 허용하는 허용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여 당해 조작소자에 대하여 걸거나 벗기는 로크부재와, 상기 개폐덮개의 개방에 연동하여 상기 로크부재를 저지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폐색에 연동하여 상기 로크부재를 허용위치로 이동시키는 연동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전환기구.
  •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소자는, 상기 제판위치 및 상기 노광위치과, 상기 오픈위치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인쇄헤드를 상기 플라텐롤러로부터 이간시키는 오프위치를 또한 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전환기구.
  •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소자는,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정역회전에 의해 각 위치에 대하여 전환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전환기구.
  •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한쪽의 말단부와 다른쪽의 말단부를 가지고, 상기 조작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지점의 방향으로 정역회전하는 주링크수단으로서, 상기 한쪽의 말단부가 상기 조작소자에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다른쪽의 말단부가 상기 지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링크수단, 상기 제 2 링크수단 및 상기 제 3 링크수단과 결합하는 주링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전환기구.
  • 제 20 항에 있어서, 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링크수단은 진퇴가능하게 구성되고, 당해 캠수단을 통해 상기 주링크수단에 연결되는 것과 동시에 당해 캠수단측에 가압되고 있고, 상기 주링크수단은, 상기 캠수단을 통해 상기 제 3 링크수단을 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전환기구.
  • 노광원과, 당해 노광원에서의 빛에 의해 인영화상을 형성한 잉크리본을 마스크로서 인장제작 대상물에 노광을 행하는 노광수단을 가지는 인장제작장치의 노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광원은, 자기가열형 열음극관과,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이상을 열검출하는 원주상으로 형성된 온도퓨즈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온도퓨즈를, 그 축선이 상기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연재방향으로 교차한 상태로,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에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장치.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퓨즈는, 용수철에 의해 상기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측에 가압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장치.
  • 노광원과, 당해 노광원에서의 빛에 의해 인영화상을 형성한 잉크리본을 마스크로서 인장제작 대상물에 노광을 행하는 노광수단을 가지는 인장제작장치의 노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광원은, 자기가열형 열음극관과,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이상을 열검출하는 온도퓨즈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온도퓨즈를, 상기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말단부부근에서,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으로부터 이격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장치.
  • 노광원과, 당해 노광원에서의 빛에 의해 인영화상을 형성한 잉크리본을 마스크로서 인장제작 대상물에 노광을 행하는 노광수단을 가지는 인장제작장치의 노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광원은, 자기가열형 열음극관과,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이상을 열검출하는 온도퓨즈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온도퓨즈를, 상기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말단부부근에 위치하여 가장 고온으로 가열되는 부재로서,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이상가열에 의해 용융하는 가능성이 있는 부재의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측의 표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장치.
  • 노광원과, 당해 노광원에서의 빛에 의해 인영화상을 형성한 잉크리본을 마스크로서 인장제작 대상물에 노광을 행하는 노광수단을 가지는 인장제작장치의 노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광원은, 자기가열형 열음극관과,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이상을 열검출하는 온도퓨즈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퓨즈를 상기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에 대하여 근접하게 배치하는 것과 동시에, 당해 온도퓨즈의 배치위치에 당해 온도퓨즈 및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을 둘러싸는 퓨즈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장치.
  • 노광원과, 당해 노광원에서의 빛에 의해 인영화상을 형성한 잉크리본을 마스크로서 인장제작 대상물에 노광을 행하는 노광수단을 가지는 인장제작장치의 노광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광원은, 자기가열형 열음극관과,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이상을 열검출하는 온도퓨즈를 구비하며,
    상기 온도퓨즈를 상기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에 대하여 근접하게 배치하는 것과 동시에,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빛을 당해 온도퓨즈에 집광하는 집광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장치.
  • 제 22 항 내지 제 27 항중의 어느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인장제작면이 자외선 경화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이 자외선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장치.
  • 하나의 면에 인장제작면을 가짐과 동시에 당해 인장제작면에 평행한 배면을 가지는 기둥상의 인장제작 대상물을 장착하는 포켓을 가지는 인장제작장치의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로서,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이 상기 포켓에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에 있어서,
    장착된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배면의 중심부위치에 접하여,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그 검출말단을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부딪치게 하는 것에 의해, 당해 인장제작 대상물을 검출하는 기계적인 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
  • 하나의 면에 인장제작면을 가짐과 동시에 당해 인장제작면에 평행한 배면을 가지는 기둥상의 인장제작 대상물을 장착하는 포켓을 가지는 인장제작장치의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로서,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이 상기 포켓에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장착방향과 평행한 어느 한 항에 면에 접하여,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
  •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그 검출말단을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부딪치게 하는 것에 의해, 당해 인장제작 대상물을 검출하는 기계적인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에는 개폐덮개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개폐덮개의 폐색에 연동하여 상기 스위치가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부딪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부딪치게 되는 동시에, 스위치홀더에 진퇴가능하게 설치된 스위치톱과, 당해 스위치톱에 접촉하여 당해 스위치톱의 진퇴에 의해 ON-OFF하는 것과 동시에 스위치 베이스에 설치된 스위치본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는 상기 스위치의 부딪침을 피하는 종별검출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복수개의 상기 스위치가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부딪치게 되어있고, 복수개의 상기 스위치에 대한 상기 종별검출구멍의 대응관계가,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종별에 의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
  • 복수개의 스위치와,
    적어도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의 하나에 대응하는 폭의 마주침면을 가지는 인장제작 대상물로서,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중 상기 폭내에 있는 스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마주침면의 대응장소는, 각각, 당해 스위치가 부딪침을 피하는 구멍이 형성된 구멍이 있는 부분와, 당해 스위치가 부딪치는 구멍이 없는 부분의 어느것인가 이고, 상기 마주침면에는, 상기 마주침면의 폭에 따라서 선택되는 각각 택일적인 조합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멍이 있는 부분 및 상기 구멍이 없는 부분이 형성된 인장제작 대상물 및,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가 상기 마주침면을 향하여 부딪치게 된때에 발생하는 상기 구멍이 있는 부분을 나타내는 신호와 상기 구멍이 없는 부분을 나타내는 신호의 조합을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폭의 크기에 관계되지 않고,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택일적인 검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
  • 인장제작 대상물에 부딪치게 하는것에 의해 작동하는 n 개(n≥2)의 스위치와,
    당해 n 개의 전체 스위치에 대응하는 마주침면을 가지는 제 1 인장제작 대상물 및,
    일부의 상기 스위치의 부딪침이 벗어나 버리는 마주침면을 가지는 제 2 인장제작 대상물과,
    당해 n 개의 각 스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인장제작 대상물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상기 스위치의 부딪침을 피하는 종별검출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n 개의 스위치와 상기 각 스위치에 대응하는 종별검출구멍의 「유ㆍ무」라는 관계에 근거하는 n 비트의 판별패턴을 구성하고, 당해 판별패턴중 상기 스위치의 부딪침이 벗어나 버리는 상태를 종별검출구멍 「유」로 하고, 이 「유」를 포함하는 패턴을 상기 제 2 인장제작 대상물에 할당함과 동시에, 다른 패턴을 상기 제 1 인장제작 대상물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장치의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
  • 제 29 항 내지 제 37 항중 어느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제작장치가 노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이 당해 노광장치의 노광에 의해 인쇄면이 형성되는 인장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
  • 说明书全文

    인장제작장치와 그의 기능전환기구, 노광장치 및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Stamp maker and function switch mean, exposure device and stamp made object detector thereof}

    본 발명은, 예를들면, 인장제작 대상물에 자외선 경화수지등을 사용하는 한편, 인장의 인장영상을 구성하는 화상을 잉크리본에 인쇄하고, 잉크리본을 마스크로서, 인장제작장치에 장착한 인장제작 대상물에 자외선을 노광하여 인장을 제작하도록 한 인장제작장치, 및 그 인쇄 또는 노광등의 기능 변환을 행하는 기능전환기구, 그 노광원을 구성하는 노광장치 및 그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인장제작장치에서는, 잉크리본이 권출릴로부터 감아져서 권취릴에 감아꺼내짐과 동시에, 잉크리본의 주행경로를 사이에 두고 인장제작 대상물인 인장본체와 그 누름판이 설치되어 있다. 인장본체 및 누름판을 사이에 두고 주행방향의 전후에는, 잉크리본을 인장본체와 누름판의 사이에 평행하게 안내하는 한쌍의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노광을 행하는 경우에는, 잉크리본으로 형성한 화상부분이 인장본체에 대면하는 위치에서 잉크리본을 정지시킨뒤, 도면외의 평항이동기구에 의해, 누름판을 인장본체를 향하여 전진시키고, 잉크리본을 인장본체에 밀어부쳐 놓고, 노광을 행한다(일본 특허공개 평 6-278350호 공보).

    또한, 노광원으로서, 세미핫관이라고 일컬어지는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수명이라든지 고장을 검출하기 위해서,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양쪽말단의 전극부에, 한쌍의 온도퓨즈를 각각 더하여 설치하고 있다. 즉,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온도퓨즈를,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에 평행하게 접촉시키도록 하여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 종류의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에서는, 인장본체(인장제작 대상물)의 인장형성면을 앞으로하여 가로로 누이고, 상측으로부터 포켓에 장착하게 되어있고, 인장제작장치의 포켓의 밑바닥에 설치한 센서 또는 스위치에 의해, 인장본체가 포켓에 장착된 것을 검출하게 되어있다.

    이러한 종래의 인장제작장치에서는, 잉크리본의 주행경로가 긴경우에, 느슨해짐이 생기지 않도록 잉크리본에 일정한 장력을 부가하면서 주행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수평면내에서, 잉크리본을 연직으로 세운 자세로 보내는 경우에는, 잉크리본이 느슨해지면 이송롤러등으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있고, 막히거나 걸리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강하게 당기면서 보낼 필요가 있다. 그런데, 잉크리본은 얇게 형성되고, 또한 탄력성이 없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하게 당기면서 보내면 잉크리본에 세로주름이 생긴다.

    한편, 잉크리본을 마스크로서 인장제작 대상물에 노광을 행하는 경우에는, 잉크리본을 인장제작 대상물에 밀착시키지 않으면 빛의 확산에 의해 노광의 재현성이 악화한다. 이 때문에, 투광성의 누름판에 의해 잉크리본을 인장제작 대상물에 누르는 것이 최량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장력을 부가한 잉크리본을 단순히 인장제작 대상물에 누르면, 세로주름이 생긴 상태로 또한 화상이 연장된 상태에서 노광되어 버리는 좋지않은 상태가 발생한다. 반대로, 노광의 때에 잉크리본이 느슨해지면, 인장제작 대상물에 대한 화상의 위치가 어긋나버리는 좋지않은 상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인장제작장치에서는, 인쇄를 위한 인쇄헤드의 이동이나 노광을 위한 누름판의 이동등을 모터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행하면, 구조가 복잡하게 됨과 동시에, 제어가 복잡하게 되어, 비용상승이 된다. 이 때문에 링크등을 사용하여, 이들을 직접, 기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비용의 면 및 이동의 확실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그러나, 이것들의 이동를 위해 개개에 조작부재를 설치하면, 조작이 복잡하게 됨과 동시에, 조작오류가 생기기 쉽게 된다.

    또한, 이 종류의 인장제작장치에서는, 자외선의 노광을 행하기 때문에, 인장제작 대상물을 부동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고, 또한 노광부로의 먼지등의 침입를 저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장치에 인장제작 대상물을 수용하는 장착부를 설치하고, 이것에 개폐덮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개폐덮개를 단순한 개폐구조로 하면, 노광중에 잘못하여 개폐덮개가 열어져버리고, 자외선이 외부로 새어 나가는 등의 좋지않은 상태가 발생한다.

    또한, 인쇄중에 잘못하여 개폐덮개가 열어져 버리면, 잉크리본의 정지등의 좋지않은 상태가 발생한다.

    그런데, 노광장치를 구성하는 세미핫관은, 관직경이 굵고 여열용의 회로가 복잡한 열음극관에 비하여 소형으로 여열용의 회로도 단순하고, 또한 광량이 불충분한 냉음극관에 비하여 충분한 광량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등에 탑재하는 광량이 필요한 형광관으로서는 극히 유용하다. 이러한 세미핫관에 대하여, 종래의 이상검출장치와 같이, 온도퓨즈를 더하여 선접촉의 상태로 설치하면, 점등의 시동시에 열이 세미핫관으로부터 온도퓨즈로 빠져나가기 쉽고, 광량의 시동이 느리게되는 좋지않은 상태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에서는, 형상이 다른 각종의 인장본체(인장제작 대상물)을 장착하면, 인장본체에 의해서는 포켓의 밑바닥으로부터 뜬 상태가 되어, 센서 또는 스위치가 정확하게 작동하지않게 되는 우려가 있었다. 한편, 인장본체를 포켓의 밑바닥에 누르도록 장착하면, 이번은 인장본체의 인장제작면의 위치가, 구구하게 되는 좋지않은 상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제 1 의 목적은, 잉크리본의 원활한 이송과, 노광에 있어서의 양호한 재현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인장제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의 목적은, 인쇄나 노광등의 기능변환을 간단하고 또한 잘못없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인쇄 및 노광중에 개폐덮개의 개방을 저지할 수 있는, 인장제작장치의 기능전환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의 목적은, 온도퓨즈가, 노광원인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이상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광량의 시간적인 시동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일이 없는, 인장제작장치의 노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의 목적은, 인장제작장치에 대하여 인장제작면의 위치를 일정하게하여 장착되는 각종형상의 다른 인장제작 대상물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인장제작장치의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의 변형예에 의하면,인장제작 대상물과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되는 투광성의 누름판과, 당해 누름판을 통해, 인영화상을 형성한 잉크리본을 당해 인장제작 대상물에 밀어 부치는 누름수단과, 당해 잉크리본을 마스크로서 당해 인장제작 대상물에 노광을 행하는 노광수단을 구비하는 인장제작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 의 변형예와 관계되는 인장제작장치는,

    한쪽끝부와 다른쪽끝부를 가지는 리본이송수단으로서, 당해 한쪽끝부의 주위에 감긴 상기 잉크리본을 감아내어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면하게 한 뒤, 당해 다른쪽끝부에 감아서 꺼내는 리본이송수단과,

    상기 누름판과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적어도 한쪽을 다른쪽에 대하여 평행이동시키고 상기 잉크리본을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밀어 부치는 상기 누름수단으로서의 평행이동수단과,

    상기 잉크리본을, 당해 잉크리본의 주행시에, 상기 누름판 및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틈에 평행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평행이동수단의 작동에 연동(連動)하여, 상기 잉크리본의 장력을 조정가능한 장력조정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평행이동수단을 작동시켜 누름판에 의해 잉크리본을 인장제작 대상물에 밀어 부치는 때에, 장력조정수단에 의해 잉크리본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인장제작 대상물에 밀어 부쳐지는 잉크리본은, 주름등이 생기지 않도록 인장제작 대상물에 적절히 밀어 부쳐진다. 이것에 의해, 잉크리본을, 인장제작 대상물에 적절히 밀착할 수 있어, 노광에 지장이 생기는 일이 없다. 또한 반대로, 잉크리본에 적절한 장력을 부가한 채로 이것을 주행시킬 수 있다. 즉, 잉크리본에 느슨해짐이 생기는 일이 없어, 이것을 주행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력조정수단은, 상기 잉크리본의 세로주름이 없어지도록 당해 잉크리본의 장력을 줄인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잉크리본의 세로주름이 없어지도록 잉크리본의 장력을 감소하기 때문에, 인장제작 대상물에 밀어 부쳐지는 잉크리본은, 느슨해지는 일이 없게되고 또한 그 세로주름이 해소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잉크리본에 인영화상을 형성하는 인쇄장치를 또한 구비하고, 또한 상기 리본이송수단은 권출측 이송기구와 권취측 이송기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권출측 이송기구는, 상기 인쇄장치에 설치되어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권출측 이송기구를 인쇄장치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권출측 이송기구와 인쇄장치의 잉크리본 이송기구를 겸용시킬 수 있고, 인장제작장치 전용의 권출측 이송기구를 생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잉크리본에 인영화상을 형성하는 인쇄장치를 또한 구비하고, 또한 상기 리본이송수단은 권출측 이송기구와 권취측 이송기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권출측 이송기구는, 잉크리본의 이송방향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인쇄장치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장치의 영향을 받는일 없이, 잉크리본의 이송에 있어서의 장력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잉크리본의 장력을, 리본이송수단으로서는 노광에 알맞도록 설정할 수 있고, 인쇄장치에서는 인쇄에 알맞도록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장제작장치는, 상기 누름판의 양측에 배치된 잉크리본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누름판이 상기 잉크리본을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밀어 부치고 있는 때, 당해 잉크리본을 지지하여, 당해 잉크리본이 당해 누름판의 양쪽말단부에서 당해 인장제작 대상물와는 반대측으로 꺾여 굽도록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누름판에 의해 인장제작 대상물에 밀어 부쳐진 잉크리본이, 인장제작 대상물의 말단부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잉크리본이, 인장제작 대상물의 말단부에서 인장제작 대상물측으로 꺾여굽어 설치되어 있으면, 잉크리본이 인장제작 대상물의 말단부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인장제작 대상물의 말단부와 잉크리본이 정확하게 직교하여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인장제작 대상물 자체의 형상정밀도나 장착정밀도에 의한), 인장제작 대상물의 말단부에 대하여, 잉크리본에 강하게 접하는 부분과 약하게 접하는 부분이 생기고, 잉크리본에 주름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판은, 원호상으로 모떼기된 양쪽말단부를 가지고, 상기 누름판이 상기 잉크리본을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밀어 부치고 있는 때, 상기 잉크리본은, 당해 원호상으로 모떼기된 양쪽말단부에 접촉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잉크리본과 누름판의 말단부와의 접촉에 있어서, 응력집중이 발생하기 어렵고, 잉크리본에 강하게 접하는 부분과 약하게 접하는 부분이 생기더라도, 그 차이가 완화되어, 잉크리본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력조정수단은, 상기 잉크리본을 느슨해지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재를 이동시키는 가이드 이동기구와, 느슨해지게한 상기 잉크리본에 세로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약간의 장력을 부가하는 장력기구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본이송수단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장력조정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고, 장력조정수단의 구조 및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잉크리본을 인장제작 대상물에 밀착하는 때에, 가이드부재가 빠져나가기 때문에, 잉크리본의 밀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행이동수단은,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대하여 상기 누름판을 평행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또한 당해 누름판의 평행이동을 제동하는 제동기구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누름판의 평행이동이 제동기구에 의해 제동되어 비교적 천천히 행하여지기 때문에, 이것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가이드 이동기구나 텐션기구가 그 작동을 완전히 종료한 후, 누름판을 통해 잉크리본을 노광대상물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노광대상물에 대하여 잉크리본을, 주름이 없는 상태로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판은,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평행이동수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잉크리본을 끼워 인장제작 대상물에 밀어 부쳐지는 누름판은, 탄성부재에 의해 인장제작 대상물의 마주침면에 유사하게하여 부딪치게 된다. 이 때문에, 인장제작 대상물에 대한 잉크리본의 밀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에 의해, 누름판이 인장제작 대상물에 부딪치게 된 때에, 인장제작대상물에 대하여 누름판이 바운드하는 일이 없고, 잉크리본을 인장제작 대상물에 안정하게 밀어 부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노광면에 대응하는 상기 누름판의 부위에서 빠져나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누름판이 노광이 방해되는 일이 없고, 인장제작 대상물의 노광얼룩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누름판은,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과는 반대측에 약간의 휘어짐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잉크리본을 끼워 누름판을 인장제작 대상물에 부딪치게 한때에, 누름판은, 그 중앙부에서 인장제작 대상물에 부딪치게 된다. 즉, 누름판은, 인장제작 대상물의 노광면에 잉크리본을 눌러넓히도록 하면서 누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누름판을 사이에 두고 잉크리본의 주행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설치한 제 1 의 가이드부재와 제 2 의 가이드부재로 구성되고, 당해 제 1 및 제 2 의 각 가이드부재는, 상기 잉크리본에 접촉하는 리본접촉부와, 당해 리본접촉부를 지지하는 고정지지부를 가지며, 당해 리본접기접촉부(摺接部)는 당해 고정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잉크리본을 접어 구부리는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부재의 장착정밀도가 높지않더라도, 또한 가이드부재에 제조상의 격차가 있더라도, 리본접촉부가 잉크리본으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적당히 요동하기 때문에, 주행하는 잉크리본을 누름판과 인장제작 대상물의 사이에평행하게 안내하는 때에, 잉크리본의 폭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지 않고, 또한 잉크리본이 접점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2 의 변형예에 의하면, 한쪽끝부와 다른쪽끝부를 가지는 리본이송수단으로서, 당해 한쪽끝부의 주위에 감긴 상기 잉크리본을 감아내어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접하게 한 뒤, 당해 다른쪽끝부에 감아서 꺼내는 리본이송수단과, 상기 리본이송수단의 상기 한쪽끝부와 상기 다른쪽끝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잉크리본의 주행경로를 접어 구부리는 경로변경부재를 구비하고, 당해 경로변경부재의 리본접촉부가 가운데가 높은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는 인장제작장치가 제공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경로변경부재의 리본접촉부가 가운데가 높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의 풀리에 있어서의 가운데가 높은 형상과 같이, 주행하는 잉크리본에, 리본접촉부의 중앙으로 치우쳐가는 힘이 작용하여, 잉크리본이 리본접촉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핀이나 롤러등으로 구성되는 경로변경부재가 잉크리본에 대하여 정밀도 좋게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또한 잉크리본의 주행경로가 길더라도, 잉크리본의 주행에 지장이 생기는 일이 없다. 더우기, 가운데가 높은 형상에 의해, 잉크리본의 폭방향의 중간부가 양쪽말단부보다 약간의 연장되기 때문에, 세로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3 의 변형예에 의하면, 한쪽끝부와 다른쪽끝부를 가지는 리본이송수단으로서, 당해 한쪽끝부의 주위에 감긴 상기 잉크리본을 감아내어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접하게 한 뒤, 당해 다른쪽끝부에 감아서 꺼내는 리본이송수단과, 잉크리본을 한쪽끝으로부터 감아내어 노광대상물에 접하게 한 뒤, 다른쪽끝에 감아서 꺼내는 리본이송수단과, 상기 리본이송수단의 상기 한쪽끝부와 상기 다른쪽끝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잉크리본의 주행경로를 접어 구부리는 경로변경부재를 구비하고,

    당해 경로변경부재는, 리본접촉부와, 당해 리본접촉부의 양쪽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리본의 폭방향을 안내하는 한쌍의 플랜지부를 가지고, 당해 각 플랜지부는, 상기 리본접촉부를 향하여 경사하고 있는 인장제작장치가 제공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행시에 잉크리본을 적절히 가이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행정지시에 잉크리본이 느슨해지는 일이 있더라도, 잉크리본이 리본접촉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가 리본접촉부를 향하여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주행시에 잉크리본이 폭방향으로 어긋나더라도, 이 경사부분의 작용으로 잉크리본에 원래로 돌아가는 힘이 작용하고, 잉크리본을 정밀도 좋고 또한 안정하게 주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4 의 변형예에 의하면, 개폐덮개와, 인쇄헤드와, 플라텐롤러와, 누름판을 구비하는 인장제작장치의 기능전환기구로서, 상기 개폐덮개를 로크ㆍ언로크하는 제 1 링크수단과, 상기 인쇄헤드를 상기 플라텐롤러에 접촉시켰다가 이격시키는 제 2 링크수단과, 상기 누름판을 진퇴시키는 제 3 링크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 1 링크수단을 작동시켜 인장제작 대상물을 상기 인장제작장치에 세트하기 위해서 당해 개폐덮개를 개방하는 오픈위치과, 상기 제 2 링크수단을 작동시켜 인쇄동작을 위해 상기 인쇄헤드를 상기 플라텐롤러에 접촉시키는 제판 위치과, 상기 제 3 링크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의 노광을 위해 상기 누름판을 전진시키는 노광위치과의 사이에서 전환자유자재하게 구성된 기능전환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 의 변형예와 관계되는 기능전환기구는, 상기 제 1 링크수단, 상기 제 2 링크수단 및 상기 제 3 링크수단을 작동시키는 단일의 조작소자, 및 상기 제 3 링크를 상기 노광위치에 작동시킨 때에, 상기 제 1 링크수단의 상기 오픈위치로의 작동을 저지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일의 조작소자에 의해, 제 1 링크수단, 제 2 링크수단 및 제 3 링크수단을 통해, 각각 오픈위치, 제판위치 및 노광위치의 기능변환을 행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위치의 동시변환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로크기구에 의해, 제 3 링크수단을 노광위치에 작동시키는 때에, 제 1 링크수단의 오픈위치의 작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노광중에 개폐덮개가 개방되지 않도록 로크해둘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크기구는, 또한 상기 제 2 링크수단을 상기 제판위치에 작동시킨 때에, 상기 제 1 링크수단의 상기 오픈위치의 작동을 저지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링크를 제판위치에 작동시킬 때, 제 1 링크수단의 오픈위치에의 작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인쇄중에 개폐덮개가 개방되지 않도록 로크해둘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크기구는, 상기 조작소자의 전환조작을 저지하는 저지위치와 전환조작을 허용하는 허용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여 당해 조작소자에 대하여 걸거나 벗기는 로크부재와, 상기 개폐덮개의 개방에 연동하여 상기 로크부재를저지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폐색에 연동하여 상기 로크부재를 허용위치로 이동시키는 연동부재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의 로크가, 개폐덮개의 개방에 연동하는 조작소자의 전환조작의 저지에 의해 행하여지기 때문에, 로크기구를 단순한 구조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하는 사람에게 조작의 잘못을 재빠르게 느끼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쇄중 및 노광중에 개폐덮개가 개방되지 않도록 로크해둘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덮개가 개방되어 있는 때에는, 반대로, 제판위치 및 노광위치의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어, 개폐덮개의 개방시에 인쇄동작 및 노광동작을 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소자는, 상기 제판위치 및 상기 노광위치과, 상기 오픈위치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인쇄헤드를 상기 플라텐롤러로부터 이간시키는 오프위치를 또한 취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장제작장치를 구동시키지 않은 때에, 오프위치로 하여 놓으면, 개폐덮개를 닫은 상태에서, 인쇄헤드를 플라텐롤러로부터 이간시켜 놓을 수 있고, 플라텐롤러의 변형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프위치로부터 제판위치 및 노광위치에의 조작과, 오프위치로부터 오픈위치의 조작이 역방향이 되기때문에, 조작의 잘못을 인간공학적으로 적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소자는,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정역회전에 의해 각 위치에 대하여 전환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손잡이의 회전조작에 의해 각 위치에의 전환조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직선적인 조작등과 다르고, 원하는 위치를 오버런하는 등의 오류 조작을 적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전환기구는, 한쪽의 말단부와 다른쪽의 말단부를 가지고, 상기 조작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지점의 주위에 정역회전하는 주링크수단으로서, 상기 한쪽의 말단부가 상기 조작소자에 결합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다른쪽의 말단부가 상기 지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링크수단, 상기 제 2 링크수단 및 상기 제 3 링크수단와 결합하는 주링크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링크수단과 각 제 1 내지 제 3 링크수단과의 위치, 및 결합상태를 적절하게 변경함에 의해, 각 위치에 대한 조작소자의 조작량을 일정하게 하더라도, 각 제 1 내지 제 3 링크수단에 원하는 움직임(작동)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즉, 주링크와 각 제 1 내지 제 3 링크수단을 캠적인 결합상태로 하여놓으면, 주링크수단이 회전하더라도 원하는 링크수단을 정지시켜 놓을 수 있고, 또한, 주링크수단의 회전을 방향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고, 또한 그 작동 스트로크를 장단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기능전환기구는, 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링크수단은 진퇴자유자재으로 구성되고, 당해 캠수단을 통해 상기 주링크수단에 연결되는 것과 동시에 당해 캠수단측에 가압되어 있고,상기 주링크수단은, 상기 캠수단을 통해 상기 제 3 링크수단을 진퇴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링크수단에 의해, 캠을 통해 제 3 링크수단을 진퇴시키는 것에 의해, 주링크수단의 회전스트로크가 짧더라도, 제 3 링크수단의 진퇴스트로크를 길게 조정할 수 있다. 즉, 지레의 원리에 의해 조작손잡이의 조작을 가볍게하기 위해서, 주링크수단의 지점을 제 3 링크수단측으로 치우쳐도, 캠에 의해 제 3 링크수단의 진퇴스트로크를 길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 3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5 의 변형예에 의하면, 노광원과, 당해 노광원에서의 빛에 의해 인영화상을 형성한 잉크리본을 마스크로서 인장제작 대상물에 노광을 행하는 노광수단을 가지는 인장제작장치의 노광장치에서, 상기 노광원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과,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이상을 열검출하는 원주상으로 형성된 온도퓨즈를 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온도퓨즈를, 그 축선이 상기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에 연결되는 방향으로 교차한 상태로,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에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장치가 제공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과 온도퓨즈가 점접촉의 상태가 되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열이 온도퓨즈내에서 확산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온도퓨즈의 열검출성능이 손상되는 일이 없고, 또한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으로부터 온도퓨즈의 급격한 열전도가 억제된다. 이 때문에, 온도퓨즈에 의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광량이 시동이 억제되는 일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퓨즈는, 용수철에 의해 상기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교환에 의한 장착위치가 약간의 어긋남이나 진동등에 대하여, 온도퓨즈를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에 항상 접촉시켜 놓을 수 있다.

    상기 제 3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6 의 변형예에 의하면,노광원과, 당해 노광원에서의 빛에 의해 인영화상을 형성한 잉크리본을 마스크로서 인장제작 대상물에 노광을 행하는 노광수단을 가지는 인장제작장치의 노광장치에서, 상기 노광원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과,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이상을 열검출하는 온도퓨즈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온도퓨즈를, 상기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말단부부근에서,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으로부터 이간시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장치가 제공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온도퓨즈에 대한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열전도에 의한 열손실이 없고, 그 만큼 자기가열이 촉진되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광량의 시동이 양호하게 된다.

    상기 제 3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7 의 변형예에 의하면, 노광원과, 당해 노광원에서의 빛에 의해 인영화상을 형성한 잉크리본을 마스크로서 인장제작 대상물에 노광을 행하는 노광수단을 가지는 인장제작장치의 노광장치에서, 상기 노광원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과,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이상을 열검출하는 온도퓨즈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온도퓨즈를, 상기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말단부부근에 위치하여 가장 고온으로 가열되는 부재로서,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이상가열에 의해 용융할 가능성이 있는 부재의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측의 표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장치가 제공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온도퓨즈에 대한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열전도에 의한 열손실이 없고, 그 만큼 자기가열이 촉진되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광량의 시동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이상 가열에 의해, 그 말단부의부근에 위치하는 용융가능성이 있는 부재가, 용융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3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8 의 변형예에 의하면, 노광원과, 당해 노광원에서의 빛에 의해 인영화상을 형성한 잉크리본을 마스크로서 인장제작 대상물에 노광을 행하는 노광수단을 가지는 인장제작장치의 노광장치에서, 상기 노광원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과,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이상을 열검출하는 온도퓨즈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온도퓨즈를 상기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에 대하여 근접하여 배치하는 것과 동시에, 당해 온도퓨즈의 배치부위에 당해 온도퓨즈 및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을 에워싸는 퓨즈커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광장치가 제공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에 대하여 온도퓨즈가 비접촉상태가 되기 때문에,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으로부터 온도퓨즈로 직접, 열이 빠져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온도퓨즈의 부위에서는, 퓨즈커버에 의해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에 대하여 온도퓨즈를 열적으로 추종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9 의 변형예에 의하면 노광원과, 당해 노광원에서의 빛에 의해 인영화상을 형성한 잉크리본을 마스크로서 인장제작 대상물에 노광을 행하는 노광수단을 가지는 인장제작장치의 노광장치에서,

    상기 노광원은, 자기가열형 열음극관과,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이상을열검출하는 온도퓨즈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온도퓨즈를 상기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에 대하여 근접하여 배치하는 것과 동시에, 당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빛을 당해 온도퓨즈에 집광하는 집광판을 설치한 것를 특징으로 하는 노광장치가 제공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으로부터 온도퓨즈로 직접,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온도퓨즈의 부위에서는, 집광판에 의해 주위의 열을 온도퓨즈에 집열할 수 있고,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에 대하여 온도퓨즈를 열적으로 추종시킬 수 있다.

    상기 제 5 내지 9의 변형예와 관계되는 노광장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인장제작면은, 자외선 경화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이 자외선관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광량의 시동이 양호하게 되기 때문에, 자외선 경화수지의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인장제작 대상물에 단시간에 인장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 4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0 의 변형예에 의하면, 하나의 면에 인장제작면을 가짐과 동시에 당해 인장제작면에 평행한 배면을 가지는 기둥상의 인장제작 대상물을 장착하는 포켓을 가지는 인장제작장치의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로서,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이 상기 포켓에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0 의 변형예와 관계되는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는, 장착된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배면의 중심부위치에 접하고,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장제작 대상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위치가, 인장제작 대상물의 배면의 중심부위치가 되기 때문에, 각종 형상의 다른 인장제작 대상물을 받아 들이더라도, 그것들의 인장제작면의 중심위치가 동일위치인 한, 검출수단의 위치가 인장제작 대상물의 배면에서 빠지는 일이 없고, 그 장착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즉, 인장제작면의 중심위치가 동일위치에 오도록 장착되는 각종 형상이 다른 인장제작 대상물에 대하여, 그 검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4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1 의 변형예에 의하면, 하나의 면에 인장제작면을 가짐과 동시에 당해 인장제작면에 평행한 배면을 가지는 기둥상의 인장제작 대상물을 장착하는 포켓을 가지는 인장제작장치의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로서,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이 상기 포켓에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1 의 변형예와 관계되는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는,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장착방향과 평행한 어느쪽인가의 면에 접하고,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장제작 대상물을 포켓의 최내부까지 삽입하지 않더라도, 인장제작 대상물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인장제작면의 장착방향 선단 이외의 부위를 기준으로서 장착되는 각종 형상의 다른 인장제작 대상물에 대하여, 그 검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수단은, 그 검출말단을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부딪치게 하는 것에 의해, 당해 인장제작 대상물을 검출하는 기계적인 스위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계적인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장제작 대상물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즉, 인장제작 대상물이 장착되는 인장제작장치의 포켓은, 외부로 개방되는 부분이고, 먼지등이 머물더라도, 광학적인 센서등과 달리, 인장제작 대상물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켓에는 개폐덮개가 설치되고 있고, 당해 개폐덮개의 폐색에 연동하여 상기 스위치가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부딪치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장제작 대상물의 포켓으로의 착탈에 처하여, 스위치가 방해되는 일이 없고, 인장제작 대상물을 원활히 착탈할 수 있다. 또한, 개폐덮개가 인간적인 폐색조작을 이용하여, 스위치를 인장제작 대상물에 부딪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부딪침과 동시에, 스위치홀더에 진퇴가능하게 설치된 스위치톱과, 당해 스위치톱에 접촉하여 당해 스위치등의 진퇴에 의해 ON -OFF하는 것과 동시에 스위치 베이스에 설치된 스위치본체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위치톱의 형상을 적절하게 변경함에 의해, 스위치톱의 부딪침말단의 설치패턴을 액세스 대상물등에 의존시켜, 스위치본체의 설치패턴을 스위치 베이스등에 의존시킬 수 있다. 즉, 스위치본체의 설치패턴에 자유도를 갖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는 상기 스위치의 부딪침을 피하는 종별검출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복수개의 상기 스위치가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에 부딪치게되어 있고, 복수개의 상기 스위치에 대한 상기 종별검출구멍의 대응관계가,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종별에 따라 다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개의 스위치에 대한 종별검출구멍의 대응관계가, 인장제작 대상물의 종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스위치에 의해, 장치한 인장제작 대상물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착한 인장제작 대상물의 종별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 4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2 의 변형예에 의하면, 적어도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의 하나에 대응하는 폭의 마주침면을 가지는 인장제작 대상물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중 상기 폭내에 있는 스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마주침면의 대응장소는, 각각, 당해 스위치가 부딪침을 피하는 구멍이 형성된 부분과 당해 스위치가 부딪치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어느것인가이고, 상기 마주침면에는, 상기 마주침면의 폭에 따라서 선택되는 각각 택일적인 조합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멍이 있는 부분 및 상기 구멍이 없는 부분이 형성된 인장제작 대상물과,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가 상기 마주침면을 향하여 부딪치게 된 때에 발생하는 상기 구멍이 있는 부분을 나타내는 신호와 상기 무공개수를 나타내는 신호의 조합을 판별하는 판 별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폭의 크기에 관계되지 않고,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의 택일적인 검출이 가능한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각 다양한 폭을 가지는 다양한 인장제작물을 그 종류에 따라서, 틀림없게 검출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4 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3 의 변형예에 의하면, 인장제작 대상물에 부딪치게 하는 것에 의해 작동하는 n 개(n≥2)의 스위치와, 당해 n 개의 전체 스위치에 대응하는 마주침면을 가지는 제 1 인장제작 대상물과, 일부의 상기 스위치의 부딪침이 벗어나 버리는 마주침면을 가지는 제 2 인장제작 대상물과, 당해 n 개의 각 스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인장제작 대상물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상기 스위치의 부딪침을 피하는 종별검출구멍을 구비하고,상기 n 개의 스위치와 상기 각 스위치에 대응하는 종별검출구멍의 「유ㆍ무」라는 관계에 근거하는 n 비트의 판별패턴을 구성하고, 당해 판별패턴중 상기 스위치의 부딪침이 벗어나 버리는 상태를 종별검출구멍 「유」로 하고, 이 「유」를 포함하는 패턴을 상기 제 2 인장제작 � ��상물에 할당함과 동시에, 다른 패턴을 상기 제 1 인장제작 대상물에 할당한 인장제작장치의 인장제작 대상물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n 비트의 판별패턴을, 형상등이 다른 각종의 인장제작 대상물에 할당하는 것에 의해, 인장제작 대상물의 종별을 판별할 수 있다. 그 때, 판별패턴중 스위치의 부딪침이 벗어나 버리는 상태를 종별검출구멍 「유」로 하고, 이 「유」를 포함하는 패턴을 제 2 인장제작 대상물에 할당함과 동시에, 다른 패턴을 제 1 인장제작 대상물에 할당하는 것에 의해, 일부의 스위치의 부딪침이 벗어나 버리는 것 같은 마주침면을 가지는 인장제작 대상물이라도, 판별패턴의 전체수를 감소하는 일없이, 이것을 판별할 수 있다. 이것은, n 개의 스위치의 설치영역보다작은 마주침면을 가지는 인장제작 대상물을 판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반대로 스위치의 설치영역을 넓게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어느 한 항에 1 개의 스위치가 종별검출구멍 「무」의 작동이면, 인장제작 대상물 자체의 존재도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장제작장치가 노광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인장제작 대상물이 당해 노광장치의 노광에 의해 인쇄면(印面)이 형성되는 인장본체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종의 형상이 존재하는 인장본체의 종별을 검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인장본체가 포켓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그 때, 노광장치에 대하여, 인쇄면의 중심을 동일한 위치에 오도록 장착한 다종의 인장본체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것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에 근거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층더 분명히 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와 관계되는 기능전환기구를 구비한 인장제작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B는, 상기 인장제작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인장제작장치의 기계장치부의 내부구조도.

    도 3은, 기계장치부에 구비되는 리본이송장치의 평면도.

    도 4는, 기계장치부에 구비하는 기능링크기구의 「OFF」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기계장치부에 구비되는 기능링크기구의 「OPEN」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기계장치부에 구비되는 기능링크기구의 「입력/제판」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기계장치부에 구비되는 기능링크기구의 「노광」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기능링크기구의 덮개오픈링크 주위의 측면도.

    도 9A 및 도 9B는, 기능스위치의 구조 및 움직임을 나타내는 내부구조도.

    도 10은, 기능스위치의 다이얼을 제거한 로크기구주위의 평면도.

    도 11은, 기능스위치 및 로크기구부분의 단면도.

    도 12는, 기계장치부의 인쇄장치 부분의 확대평면도.

    도 13은, 기계장치부의 노광장치 부분의 평면도.

    도 14는, 기계장치부의 노광장치 부분의 확대평면도.

    도 15A는, 노광장치의 자외선광원 부분의 정면도.

    도 15B는, 노광장치의 자외선광원 부분의 측면도.

    도 16은, 노광장치의 자외선광원 부분의 평면도.

    도 17A 내지 17C는, 각각 자외선광원의 광량의 시동에 관한 실험의 실험조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도 17A 내지 17C의 조건하에 행하여진 자외선광원의 광량의 시동에 관한 실험의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선도.

    도 19는, 노광장치의 누름판부위의 평면도.

    도 20은, 노광장치의 누름판 및 누름판홀더부위의 확대측면도.

    도 21은, 잉크리본의 경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경로도.

    도 22A는, 리본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22B는, 도 22A의 리본카트리지를 꺼낸 상태의 리본카트리지 장치 본체의 평면도.

    도 23은, 리본카트리지 장치본체에 장착한 리본카트리지의 확대측면도.

    도 24는, 리본카트리지를 장착한 직후의 기능스위치를 제외하는 기계장치부의 평면도.

    도 25A는, 제 2 경로핀의 부분사시도.

    도 25B는, 장력핀의 부분사시도.

    도 26은, 개폐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포켓부위의 평면도.

    도 27A는, 각형인(型印)의 인장본체를 포켓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구조설명도.

    도 27B는, 사업인의 인장본체를 포켓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조설명도.

    도 28은, 포켓 및 검출장치 부위의 단면도.

    도 29는, 포켓 및 검출장치 부위의 정면도.

    도 30은, 포켓 및 검출장치 부위의 평면도.

    도 31은, 검출장치의 검출동작(1)을 나타낸 단면도.

    도 32은, 검출장치의 검출동작(2)을 나타낸 단면도.

    도 33A는, 작은 각형인 본체의 판별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3B는, 큰 각형인 본체의 판별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3C은, 성명인 본체의 판별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3D는, 작은 사업인 본체의 판별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3E는, 큰 사업인 본체의 판별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3F는, 주소인 본체의 판별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3G은, 가장 큰 인장본체의 판별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4는, 인장본체의 구조도.

    도 35는, 제판시트의 구조도.

    도 36은, 제 2 실시형태의 리본이송장치를 적용한 경우의 잉크리본의 경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경로도.

    도 37은, 평행이동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8은, 장력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인장제작장치

    2: 장치케이스

    3: 전자장치부

    4: 기계장치부

    5: 장치본체

    6: 포켓

    7: 개폐덮개

    8: 기능스위치

    10: 유지커버

    11: 리본카트리지

    13: 권취릴

    14: 권출릴

    이하, 첨부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와 관계되는 기능전환기구를 가지런히 하는 인장제작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인장제작장치는, 인쇄면을 자외선 경화수지로 형성한 인장본체에, 잉크리본에 인쇄(인쇄)한 인장문자(그림을 포함하는 인장화상)을 마스크로서 자외선을 노광하여, 원하는 인장(stamp)을 제작하는 것이다. 도 1A는 인장제작장치의 평면도, 도 1B는 인장제작장치의 정면도이다.

    양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인장제작장치(1)는, 상하 2 분할의 장치케이스(2)에 의해 그 외각이 형성되어, 앞 부분에 전자장치부(3)를, 후부에 기계장치부(4)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계장치부(4)의 중앙부에는, 장치본체(5)에 인장제작 대상물인 인장본체(A)를 장착하기위한 포켓(6)이 형성되고, 포켓(6)에는 창문부착 개폐덮개(7)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장치부(4)의 좌측부에는, 인장제작장치(1)를 제판(인쇄)동작이나 노광조작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개폐덮개(7)를 개방시키는 기능스위치(조작손잡이: 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계장치부(4)의 우측부에는, 인장제작장치(1)에, 후술하는 인장문자 라벨제작용의 제판시트(B)를 위한, 삽입입구(9a) 및 인출입구(9b)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기계장치부(4)에는, 포켓(6)의 외측에 위치하여, 유지커버(1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지커버(10)의 내부에는, 잉크리본(C)을 탑재한 리본카트리지(11)가 장착되어 있다.

    전자장치부(3)에는, 상면에 조작부(21)가 형성되고, 내부에 정보처리장치가 내장되고있다. 조작부(21)에는, 정보처리장치의 입력부를 구성하는 푸시버튼군(22) 및 조작다이얼(23)과, 출력부를 구성하는 표시기(24)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다이얼(23)은, 중심부에 원형으로 설치된 실행키(31)와, 그 외측에 고리형상으로 설치된 4 개 분할의 커서/변환키(32)와, 또한 그 외측에 고리형상으로 설치된 문자입력키(33)로 8 중구조를 가지고 있고, 문자입력키(33)의 표면에는 50음의 히라가나가 인쇄되어 있다(도시생략). 인장문자의 입력은, 우선 문자입력키(33)를 삼각마크(25)에 합쳐 회전시키고, 실행키(31)를 눌러 히라가나입력을 행하고, 이 히라가나입력을 적절하게, 커서/변환키(32)에 의해 한자변환한다. 그리고, 원하는 인장문자를 표시기(24)상에 제작한 바로, 푸시버튼군(22)의 소정의 버튼(22a)을 눌러 이것을 확정한다. 또, 조작다이얼(23)은, 문자입력키(33)만이, 정역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인장을 제작하는 경우의 일련의 조작에 대하여, 도 1A 및 1B 및 도 2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기능스위치(8)를 조작하여 개폐덮개(7)를 개방하고, 포켓(6)에 인장본체(A)를 세트한다. 이 인장본체(A)의 세트에 수반하여 후술하는 검출장치(66)에 의해 인장본체(A)의 종별이 검출되고, 이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정보처리장치가 입력부 및 출력부를 제어한다. 다음에, 기능스위치(8)를 조작하여 제판동작에 기능을 이행시키고, 푸시버튼군(22) 및 조작다이얼(23)을 조작하여 인장문자를 입력한다. 인장문자의 입력이 완료하면, 인장문자라벨이 제조된 제판시트(B)를, 삽입입구(9a)에 삽입하여 세트한다.

    다음에, 푸시버튼군(22)의 소정의 버튼(22a)를 조작하여, 제판동작, 즉 인쇄를 행하게 한다. 이 인쇄는, 잉크리본(C)과 제판시트(B)에 동시에 행해진다. 인쇄가 완료하면, 잉크리본(의 인쇄부분: C)은 노광를 위해 저쪽편으로 이송되고, 동시에 제판시트(B)는 인출입구(9b)에서 외부로 보내여진다. 여기에서, 보내여진 제판시트(B)에 의해, 인장문자에 잘못이 없는 것을 확인하면, 다음에 기능스위치(8)를 조작하여 노광동작에 기능을 이행시켜, 노광을 행하게 한다. 또한 상기의 경우, 기능스위치(8)의 조작후, 푸시버튼군(22)의 소정의 버튼(22a)를 조작하는 것으로, 노광을 행하게 하도록 해도 된다.

    노광이 완료하면, 기능스위치(8)를 조작하여 개폐덮개(7)를 개방하여,포켓(6)로부터 인장본체(A)를 꺼내어, 이것을 세정한다. 이 세정에 의해 인장이 완성하지만, 인장이 완성한 쯤, 상기의 제판시트(B)에서 인장문자라벨을 벗기고, 이것을 인장의 배면에 점착한다.

    다음에, 인장제작장치(1)의 구성장치에 대하여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기계장치부(4)에 설치한 기능스위치(8)는, 대기위치가 되는 「OFF」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OPEN」위치까지 회전되는 것과 동시에, 「OFF」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입력/제판」위치, 그위에 「노광」위치까지 회전된다(도 1A 참조). 반대로, 「OPEN」위치에서 「OFF」위치로는, 용수철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자동복귀하고, 「입력/제판」위치 및 「노광」위치에서 「OFF」위치로는, 수동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OPEN」위치에서는 포켓(6)에 설치한 개폐덮개(7)가 뛰어 오르게되고, 개폐덮개(7)의 개방이 가능하게 되어, 「입력/제판」위치 및 「노광」위치에서는, 후술하는 인쇄부 및 노광부에서의 기계적인 조작이 각각 행하여진다. 또한 동시에, 기능스위치(8)는 전기적인 모드변환의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이 전환조작에 의해, 기능스위치(8)의 옆에 설치한 램프(12: 「OFF」위치에는 없다)가 점등하여, 전환위치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기능스위치(8)를 회전식으로 하는 것에 의해, 직선식등에 비하여 조작이 하기쉽게됨과 동시에, 오버런등의 오류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OFF」위치에서 「OPEN」위치에의 조작과, 「OFF」위치에서 「입력/제판」위치 및 「노광」위치에의 조작이, 역방향이 되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오류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오류 조작방지의 다른 방법으로서, 예를들면, 「OFF」위치에서 「입력/제판」위치 및 「노광」위치에의 조작을 한방향만으로 하고, 「노광」위치에서 「OFF」위치에의 복귀를, 기능스위치(8)를 거의 1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행하도록 해도 된다.

    리본카트리지(11)는, 장치본체(5)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잉크리본(C)의 소모의 시기에 케이스마다 교환할 수 있게 되어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본카트리지(11)에는, 한쪽끝에 권취릴(13)이, 다른쪽끝에 권출릴(14)이 각각 설치되고, 잉크리본(C)은, 권출릴(14)로부터 감아내어 도면중 거의 역 「L」자를 회전한 형으로 굴곡하여 권취릴(13)에 감아서 꺼내여진다. 이 역 「L」자를 회전한 형으로 굴곡한 잉크리본 C의 주행경로에는, 그 짧은변부분에 인쇄부가 접하고, 긴변부분에 노광부가 접하고 있다. 상기의 경우, 인쇄부에는, 이 잉크리본 C과 상기의 제판시트(B)가 동시에 접하고, 노광부에는 인쇄후의 잉크리본(C)이 접한다.

    잉크리본(C)은, 투명한 리본테이프와 이것에 도포한 잉크로 이루어지고, 실시형태로서는, 6㎛두께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인쇄부에서 이 잉크리본C에 인쇄가 행하여지면, 잉크의 부분이 제판시트(B)에 전사한다. 이것에 의해, 잉크리본(C)의 리본테이프에는, 잉크의 문자의 부분이 박리한 네가티브화상이 형성되고, 제판시트(B)에는, 잉크의 문자의 부분이 부착한 포지티브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잉크리본(C)은, 이것을 마스크로서 이용하기위해 저쪽편의 노광부로 이송되는 한편, 제판시트(B)는, 인장문자의 확인을 위해, 또한 이것을 제작한 인장에 점착하기위해, 장치외부로 보내여진다.

    제판시트(B)는,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시트(Ba)와 접착시트(Bb)를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전체가 단책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점착시트(Bb)에는 방형(方形)으로 절선(切線: bc)이 형성되고, 이 절선(Bc)을 따라서 베이스시트(Ba)에서 박리한 점착시트(Bb)의 방형부분이, 상기의 인장의 배면에 점착하는 인장문자라벨(Bd)로 된다. 인장본체(A)는, 인장으로서의 용도에 합쳐서, 형상이 다른 수종의 것이 준비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제판시트(B)도, 그 인장문자라벨(Bd)의 부분의 형상(절선의 형상)이 다른 수종류의 것이 준비되어 있다.

    한편, 인장본체(A)는,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목(실시형태는 수지제: Aa)의 선단에 얇은 스폰지(발포우레탄: Ab)가 점착되는 것과 동시에, 스폰지(Ab)에 자외선의 영향을 받지않은 수지베이스(Ac)가 점착되고, 또한 수지베이스(Ac)에 인쇄면(Ad)를 구성하는 자외선 경화수지가 점착되어 있다. 이 인장본체(A)의 자외선 경화수지(인쇄면: Ad)의 부분에, 잉크리본(C)을 마스크로서 자외선을 노광함에 의해, 인쇄면(Ad)의 인장문자에 상당하는 부분이 경화한다. 이 상태로 인장본체(A)를, 포켓(6)으로부터 꺼내어 세정함에 의해, 수용성의 미경화부분이 선별되고, 인장이 완성한다. 도면중의 부호(Ae)는, 수지제의 캡이다. 또, 상기의 자외선 경화수지를 대신하여 자외선 연화수지를 이용해도 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잉크리본(C)과 제판시트(B)의 포지티브ㆍ네가티브를 반대로 하면, 실시형태와 동일한 인장을 제작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인장제작장치(1)에서는, 권출릴(14)로부터 이것에 두루 감은 잉크리본(C)이 제 1 경로핀(51)을 통해 인쇄부에 이끌어지고, 또한 제 2 경로핀(52) 및 제 1 가이드핀(53)을 통해 노광부로 이끌어지고, 노광부에서제 2 가이드핀(54) 및 텐션핀(55)을 통해, 권취릴(13)에 감아서 꺼내어진다. 인쇄부에서는, 잉크리본(C)을 끼우도록 설치한 인쇄헤드(56)와 플라텐롤러(57)에 의해, 잉크리본(C)을 밀어내면서 이것에 인쇄가 행하여진다. 또한, 노광부에서는, 누름판(58)에 의해 잉크리본(C)을 인장본체(A)의 사이에 끼우고, 인장본체(A)에의 자외선에 의한 노광이 행하여진다. 또, 상기의 제 2 경로핀(52) 및 텐션핀(55)이, 노광부에 대한 경로변경부재로서 기능하고, 또한 제 1 가이드핀(53) 및 제 2 가이드핀(54)이 노광부에 대한 가이드부재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장치부(4)에는, 권취릴(13) 및 플라텐롤러(57)를 회전시키고, 잉크리본(C)을 주행시키는 리본이송장치(리본이송수단: 61)가 내장되어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장치부(4)에는, 개폐덮개(7)를 로크ㆍ언로크하는 덮개오픈링크(제 1 링크: 62a)와, 인쇄부의 인쉐헤드(56)를 플라텐롤러(57)에 이접하는 헤드이동링크(제 2 링크: 62b)와, 노광부의 누름판(58)을 진퇴시키는 리본누름링크(제 3 링크: 62c)와, 이들 덮개오픈링크(62a), 헤드이동링크(62b) 및 리본누름링크(62c)를 작동시키는 주링크(62d)로 이루어지는 기능링크기구(62)가 내장되어있다. 또한, 이 기능링크기구(62)와 기능스위치(8)에 의해서, 기능전환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리본이송장치(6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리본이송장치(61)는, 기능스위치(8)의 하측에 내장된 구동모터(101)를 동력원으로서, 권취릴(13)에 맞물리는 릴축(102)과, 플라텐롤러(57)에 맞물리는 롤러축(103)을 회전시키게 되어있다. 즉, 이 릴축(102)측에서 잉크리본(C)을 감아서 꺼내는 권취측 이송기구가, 또한 롤러축(103)측(실제로는 플라텐롤러(57) 및 인쇄헤드(56))에 잉크리본(C)을 감아내는 권출측 이송기구가, 각각 구성되어 있다. 구동모터(101)의 출력축(104)에는 출력기어(105)가 고정되고, 출력기어(105)에는 동력전달기어106가 맞물리고, 동력전달기어(106)에는 주기어(107)가 맞물리고 있다. 그리고, 주기어(107)로부터, 한쪽은 릴감속기어열(108)을 통해 릴축(102)에, 다른쪽은 롤러감속 기어열(109)을 통해 롤러축(103)에 동력이 전달된다.

    구동모터(101)의 출력축(104)에는, 클러치아암(110)이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고, 이 클러치아암(110)에 동력전달기어(106)가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아암(110)은, 출력축(104)의 회전에 수반하여 따라서 회전(회전운동)하고, 동력전달기어(106)를 주기어(107)에 대하여 이접가능하게 맞물리게 한다. 즉, 구동모터(101)가 회전하면, 클러치아암(110)이 회전하고, 동력전달기어(106)가 주기어(107)에 맞물리고, 구동모터(101)의 동력이, 권취릴(13) 및 플라텐롤러(57)에 전달된다. 반대로, 구동모터(101)가 정지하고 있는 때에, 권취릴(13)이나 플라텐롤러(57)로부터 회전동력이 입력하면, 동력전달기어(106)는, 주기어(107)에서 튀어 그 맞물림을 푼다. 이것에 의해, 예를들면, 잘못하여 삽입한 제판시트(B)를 뽑는 경우에, 플라텐롤러(57)가 구동모터(101)의 부하를 받는일 없이 간단히 회전(역회전)하여, 잉크리본(C)에 영향을 주는 일없이, 제판시트(B)만을 간단히 뽑을 수 있다. 다만, 클러치아암(110)을 기능스위치(8)가 전환하러 연동하여 회전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릴축(102)은 미끄러짐축으로 되어 있고, 권취릴(13)에 잉크리본(C)이 감아서 꺼내어져감에 따라서 증가하는주위속도(周速)의 변화를, 미끄러짐이 생기는 것에 의해 흡수하고 있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의 기능링크기구(6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기능링크기구(62)는, 프레임(121)과, 프레임(121)에 세워설치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덮개오픈링크(62a)와, 프레임(121)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판상의 헤드이동링크(62b)와, 프레임(121)상에 진퇴가능하게 지지된 판상의 리본누름링크(62c)와, 프레임(121)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판상의 주링크(62d)와, 주링크(62d)와 리본누름링크(62c)의 사이에 개재시킨 리본누름캠(12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리본이송장치(61)의 각종의 기어는, 프레임(121)과 리본누름링크(62c)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주링크(62d)는, 프레임(121)의 하측에 이것을 따르게 하고 설치되어 있다.

    주링크(62d)는, 입력측이 기능스위치(8)의 편심핀(123)과 결합하고 있고, 지축(124)을 중심으로 기능스위치(8)의 정역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주링크(62d)의 출력측에는, 선단에 설편(舌片: 125)이 형성되고, 앞말단에 제 1 축(126)이 설치되고, 설편(125)의 기초부에 제 2 핀(12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설편(125)이 덮개오픈링크(62a)의 하부와 결합하고, 제 1 축(126)이 헤드이동링크(62b)와 결합하고, 또한 제 2 핀(127)이 리본누름캠(122)을 통해 리본누름링크(62c)와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능스위치(8)와 각 링크(62a,62b,62c)와의 사이에 주링크(62d)를 개재시키고, 주링크(62d)와 각 링크(62a,62b, 62c)와의 결합형태를 적절하게 규정함에 의해, 기능스위치(8)의 일정한 조작에 대하여, 각 링크(62a,62b,62c)에 원하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덮개오픈링크(62a)는, 오픈링크본체(128)와, 오픈링크본체(128)의 긴쪽 방향의 양쪽말단부에 각각 돌출설치한 한쌍의 지축(129)과, 오픈링크본체(128)의 양쪽말단부에서 개폐덮개(7)를 향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훅부(130)와, 상기의 주링크(62d)의 설편에 대용하도록 오픈링크본체(12B)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레버부(131)와, 오픈링크본체(128)로부터 전방으로 굴곡하여 연장되는 스위치작동부(132)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8참조). 레버부(131)와 프레임(121)과의 사이에는 코일용수철(133)이 건너질러지고 있고, 덮개오픈링크(62a)는, 그 훅부(130)의 선단이 개폐덮개(7)의 훅받이부(7a)에 걸어두게되는 방향으로 회전가압되어 있다.

    기능스위치(8)를 「OFF」위치에서 「OPEN」위치로 회전시키면, 주링크(62d)의 설편(125)이 전방으로 회전하여, 덮개오픈링크(62a)의 레버부(131)를 코일용수철(133)에 저항하여 누르고, 훅부(130)의 훅받이부(7a)에 대한 걸어두기가 해제된다. 한편, 개폐덮개(7)의 이면에는, 포켓(6)에 수용한 인장본체(A)를 안정하게 누르기위한 판용수철(7b)이 설치되고 있고, 훅부(130)가 빠지면, 개폐덮개(7)는 포켓(6)에 수용되어 있는 인장본체(A)를 평판으로 하여, 상방으로 뛰어오르게 된다(도 5 및 도 8 참조). 또한, 포켓(6)에 인장본체(A)가 수용되어 있지않은 경우라도, 기능스위치(8)의 「OPEN」에 의해, 후술하는 로크기구(63)의 로크부재(171)에 의해, 개폐덮개(7)는 뛰어 오르게된다(도 10 참조).

    또한, 이 덮개오픈링크(62a)의 걸어두기해제에 의해, 스위치작동부(132)는,후술하는 검출장치(66)의 검출말단을 포켓(6)내로 돌출하게 한다. 그리고, 「OPEN」위치로 회전한 기능스위치(8)로부터 손을 떼면, 코일용수철(133)에 의해, 덮개오픈링크(62a) 및 주링크(62d)를 통해, 기능스위치(8)가 「OPEN」위치에서 「OFF」위치로 자동복귀한다. 한편, 개폐덮개(7)를 닫을 때는, 상기의 판용수철(7b)에 저항하여 개폐덮개(7)를 포켓(6)측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덮개오픈링크(62a)의 레버부(131)가 개폐덮개(7)의 레버받이부(7a)를 타고넘도록하여 걸어두게된다.

    헤드이동링크(62b)는, 그 앞단부에 인쇄헤드(56)를 탑재한 상태로, 인쇄헤드(56)의 유지부에 설치한 지축(135)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헤드이동링크(62b)의 꼬리말단부에는, 주링크(62d)의 제 1 축(126)이 접촉하는 결합면(136)이 형성되고, 또한 프레임(121)의 사이에 코일용수철(137)이 건너지르게 되어있다. 코일용수철(137)은, 지축(135)을 중심으로 헤드이동링크(62b)의 선단을 플라텐롤러(57)측으로 회전가압함과 동시에, 결합면(136)을 제 1 축(126)에 누르도록 회전가압하고 있다. 결합면(136)은, 경사면(138)을 사이에 두고, 주링크(62d)의 지축(124)과 동심의 원호로 되는 선단측의 제 1 정지면(139) 및 꼬리말단측의 제 2 정지면(140)을 가지고, 주링크(62d)가 회전하여, 그 제 1 축(126)이 제 2 정지면(140)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인쇄헤드(56)가 플라텐롤러(57)로부터 이간하고, 제 1 정지면(139)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인쇄헤드(56)가 플라텐롤러(57)에 접촉한다. 또한, 리본카트리지(11)를 착탈하는 경우에는, 도면외의 치구(治具)를 사용하여, 인쇄헤드(56)를 또한 플라텐롤러(57)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크게 회전시키게 되어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능스위치(8)를 「OFF」위치에서 「입력/제판」위치로 회전시키면, 주링크(62d)의 제 1 축(126)이 제 2 정지면(140)로부터 경사면(138)을 내려가 제 1 정지면(139)로 이동하고, 코일용수철(137)에 의해 헤드이동링크(62b)가 회전하고, 인쇄헤드(56)가 플라텐롤러(57)에 누르게 된다. 반대로, 기능스위치(8)를 「입력/제판」위치에서 「OFF」위치로 회전시키면, 제 1 축(126)이 제 1 정지면(139)로부터 경사면(133)을 올라가 제 2 정지면(140)로 이동하고, 코일용수철(137)에 저항하여 헤드이동링크(62b)가 회전하고, 인쇄헤드(56)가 플라텐롤러(57)로부터 떨어진다.

    또한, 기능스위치(8)를 「입력/제판」위치에서 또한 「노광」위치로 회전시키면, 제 1 축(126)이 제 1 정지면(139)의 저쪽편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인쇄헤드(56)의 플라텐롤러(57)에의 접촉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도 7 참조). 마찬가지로, 기능스위치(8)를 「OFF」위치에서 「OPEN」위치로 회전시키면, 제 1 축(126)이 제 2 정지면(140)의 앞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인쇄헤드(56)의 플라텐롤러(57)에의 이간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도 5참조). 또한, 코일용수철(137)에 의해, 인쇄헤드(56)가 플라텐롤러(57)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실제로는, 제 1 축(126)이 제 1 정지면(139)으로부터 약간 떠있고, 인쇄헤드(56)의 플라텐롤러(57)에의 접촉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되어있다.

    리본누름링크(62c)는, 전체가 약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좌우의 양쪽말단부와 앞말단부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142)이, 프레임(121)에 세워설치한 3 개의 돌기(143)에 각각 결합하고, 프레임(121)상에 약간 뜬 상태로 진퇴가능하게설치되고있다. 각 가이드홈(142)은 열쇠구멍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돌기(143)의 상단에는 원판상의 뽑기정지부가 형성되어 있고(도시생략), 리본누름링크(62c)는, 가이드홈(142)의 원형부분을 이 뽑기정지부에 위치맞춤하여 억지로 들어 갈 수 있는 것에 의해 프레임(121)에 장착되고, 가이드홈(142)의 긴구멍부분에서 돌기(143)에 진퇴가능하게 안내된다. 또한, 가이드홈(142)을 빠져나간 리본누름링크(62c)의 양쪽말단부에는, 각 2개의 지지핀(144)이 세워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핀(144)에 상기의 누름판(58)과, 제 1 및 제 2 가이드핀(53,54)이 설치되어있다(도 13참조).

    리본누름링크(62c)의 중간위치에는, 선단을 접어구부린 용수철 장착편(145)이 후방에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 용수철 장착편(145)과 프레임(121)과의 사이에 코일용수철(146)이 건너지르게 되어있다. 코일용수철(146)은, 리본누름링크(62c)를 전방, 즉 전진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리본누름링크(62c)의 앞 부분에는, 분기하도록 결합부(147)가 연장하여 설치되어있고, 이 결합부(147)에는 상기의 리본누름캠(122)이 접촉하고 있다.

    리본누름캠(122)은, 2 매의 판캠을 중첩한 상부캠부(149)와 하부캠부(150)를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지축(151)에 의해 프레임(121)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있다. 하부캠부(150)는, 일부를 부채상으로 노치를 이룬 원형형상을 가지고, 상부캠부(149)는 반달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부캠부(149)의 주위말단부분에 리본누름링크(62c)의 결합부(147)가 접촉하고, 하부캠부(150)가 노치한 부분에 주링크(62d)의 제 2 핀(127)이 결합하고 있다(도 6 참조).

    이 도 6의 상태는, 기능스위치(8)가 「입력/제판」위치에 있는 상태이고, 이상태로부터 기능스위치(8)를 「노광」위치로 회전시키면, 주링크(62d)의 제 2 핀(127)이 하부캠부(150)의 노치의 한쪽의 끝을 누르고, 리본누름캠(12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의해, 리본누름링크(62c)의 결합부(147)가, 상부캠부(149)의 주위말단부로부터 활줄부분으로 떨어지고, 리본누름링크(62c)가, 코일용수철(146)에 가압되어 전진한다. 그 때, 리본누름캠(122)은 자유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용수철(146)에 가압되어, 상부캠부(149)의 활줄부분과 리본누름링크(62c)의 결합부(147)의 접촉면이 전면적으로 접하는 위치까지, 순간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이 회전에 의해, 하부캠부(150)의 노치의 다른쪽의 끝이 제 2 핀(127)에 거의 접촉하는 위치까지 회전한다(도 7 참조).

    이와 같이, 리본누름캠(122)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주링크(62d)가 짧은 이동스트로크를, 리본누름링크(62c)에 긴 이동스트로크로서, 동력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스위치(8)의 각 기능위치에의 전환각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가이드홈(142)은, 리본누름링크(62c)의 전진말단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겸하고 있고, 각 가이드홈(142)의 긴구멍부분의 끝이 각 돌기(143)에 서로 부딪치는 것에 의해, 리본누름링크(62c)가 전진말단위치에 정지한다. 따라서, 상술한 상부캠부(149)의 활줄부분에 대하여, 리본누름링크(62c)의 결합부(147)가 전면적으로 접하고 있는 상태는, 실제로는, 이 부분에 코일용수철(146)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고, 결합부(147)의 접촉면은 상부캠부(149)의 활줄부분에서 약간 이간하고 있다.

    한편, 기능스위치(8)를 「노광」위치에서 「입력/제판」위치를 거쳐서 「OFF」위치로 회전시키면, 제 2 핀(127)이 하부캠부(150)의 노치의 다른쪽의 끝을 누르고, 리본누름캠(12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의해, 리본누름링크(62c)의 결합부(147)가, 상부캠부(149)의 활줄부분에서 주위말단부분으로 상대적으로 복귀하고, 리본누름링크(62c)가, 코일용수철(146)에 저항하여 후퇴한다. 이 상태에서는, 코일용수철(146)에 가압된 리본누름링크(62c)에 대하여, 자유회전가능한 리본누름캠(122)이 버티고 있어, 리본누름링크(62c)는 후퇴위치에 유지된다(도 4참조). 또한, 기능스위치(8)를 이 「OFF」위치에서 「OPEN」위치로 회전시키면, 제 2핀(127)이 접촉하고 있는 하부캠부(150)의 노치의 다른쪽의 끝이, 제 2 핀(127)의 이동방향으로 거의 평행하게 되기 때문에, 리본누름캠(122)이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기만 해도, 리본누름링크(62c)는 후퇴위치에 그대로 유지된다(도 5참조).

    이와 같이, 기능스위치(8)를 「OFF」위치에서 「OPEN」위치로 회전시키면, 훅부(130)가 빠져 개폐덮개(7)가 개방가능한 상태가 되고, 「OFF」위치에서 「입력/제판」위치로 회전시키면, 인쇄헤드(56)가 잉크리본(C)을 플라텐롤러(57)에 눌러 인쇄가능한 상태가 되고, 또한 「입력/제판」위치에서 「노광」위치로 회전시키면, 누름판(58)이 잉크리본(C)을 인장본체(A)에 눌러 노광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노광의 때에 잘못하여 개폐덮개(7)를 열거나, 개폐덮개(7)를 열은 채로 노광을 행하면, 자외선이 외부로 새어 나가게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인쇄의 때에 개폐덮개(7)를 열면 잉크리본(C)의 재밍의 원인이 된다. 그리하여, 실시형태에서는, 인쇄동작 및 노광동작일 때에는, 개폐덮개(7)를 폐색상태로 로크함과 동시에, 개폐덮개(7)가 개방하고 있는 때에는, 인쇄동작 및 노광동작으로 이행할 수 없도록하는 로크기구(63)가 설치되어있다.

    로크기구(63)는, 기능스위치(8)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이해를 쉽게하기 위해서 기능스위치(8)의 구조로부터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능스위치(8)는, 상면로 설정위치를 지시하는 마크(162)를 형성한 다이얼(161)과, 다이얼(161)의 안쪽공간에 설치한 클릭부재(163)와, 상기의 주링크(62d)와 결합하는 편심핀(123)을 구비하고 있고, 다이얼(161)의 축부(164)의 부분에서, 장치케이스(2)의 좌판부(2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있다. 클릭부재(163)는, 다이얼(161)의 직경방향으로 만곡하여 연장되고, 점대칭으로 위치하는 한쌍의 클릭아암(165,165)을 가지고, 각 클릭아암(165)이 가지는 용수철성에 의해 그 앞단의 원형부(165a)를, 좌판부(2a)로 형성한 각 클릭결합부(166)에, 각각 누르게 되어있다.

    각 클릭결합부(166)는, 클릭아암을 향하여 4개의 볼록부(166a)와 3개의 오목부(166b)를 늘어놓은 형상을 가지고, 8개의 오목부(166b)에 각 클릭아암(165)의 원형부(165a)가 들어간(결합한) 상태가, 상기의 「OFF」위치, 「입력/제판」위치 및 「노광」위치에 대응하고 있다(도 9A 참조).

    또한, 최외단의 볼록부의 중간위치가 「OPEN」위치에 대응하고 있고, 「OPEN」위치에서는 클릭적인 결합은 행하여지지 않는다(도 9B 참조). 이것에 의해, 상기한 「OPEN」위치에서 「OFF」위치에의 자동복귀가 원활히 행하여진다. 또한, 「OFF」위치와 「OPEN」위치와의 사이은 15도의 회전각도가 되고있고, 「OFF」위치와 「인쇄」위치와 「노광」위치의 사이는, 각각 30도의 회전각도로 되어있다.

    한편, 로크기구(63)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능스위치(8)와 포켓(6)과의 경계부분에 설치한 로크부재(171)를 구비하고, 로크부재(171)는, 로크용수철(172)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장치케이스(2)의 좌판부(2a)에 상하 동작가능하게 설치되어있다. 로크부재(171)는, 좌판부(2a)에 상하 동작가능하게 안내된 부재본체(173)와, 부재본체(173)로부터 포켓(6)측에 연장되어 굴곡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푸시아암부(174)와, 부재본체(173)로부터 기능스위치(8)측으로 연장되어 굴곡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로크아암부(175)로 구성되어있다.

    푸시아암부(174)는, 포켓(6)의 덮개부착자리부(6a)에 하측에서 접하고 있고, 개폐덮개(7)를 개방하면 덮개부착자리부(6a)에서 돌출하고, 닫으면 눌러져 덮개부착자리부(6a)에 몰입한다. 즉, 개폐덮개(7)를 개방하면 로크용수철(172)에 의해 로크부재(171)가 위로 이동하여, 닫으면 로크용수철(172)에 저항하여 로크부재(171)가 아래로 이동한다. 한편, 로크부재(171)가 위로 이동하면, 로크아암부(175)가, 기능스위치(8)의 몸체측부에 형성한 걸림홈(176)으로 들어가고, 기능스위치(8)의 회전을 저지한다. 반대로, 로크부재(171)가 아래로 이동하면, 로크아암부(175)가, 기능스위치(8)의 걸림홈(176)로부터 빠져, 기능스위치(8)의 회전저지를 해제한다.

    상기의 경우, 걸림홈(176)은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긴홈으로 되어있고, 기능스위치(8)를 「OFF」위치와 「OPEN」위치의 사이로 회전시키는 경우(통상은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지만)에는, 그 회전이 허용된다. 반대로, 기능스위치(8)를 「OFF」위치에서 「입력/제판」위치나 「노광」위치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그 회전이저지된다. 이 구성에 의해, 개폐덮개(7)가 개방하고 있는 때에는, 기능스위치(8)의 회전이 저지되고, 인쇄동작 및 노광동작에의 이행이 불가능하여진다.

    또한, 인쇄동작 및 노광동작의 시기에 개폐덮개(7)를 폐색상태로 로크하는 기구는, 상기의 주링크(62d) 및 덮개오픈링크(62a)에 의해, 달성된다. 즉, 기능스위치(8)가 「입력/제판」위치나 「노광」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덮개오픈링크(62a)에 의해, 개폐덮개(7)가 폐색로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개폐덮개(7)가 열려져있는 상태에서 노광이 행하여지는 일이 없고, 또한 노광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에서 개폐덮개(7)가 열리는 일이 없다. 따라서, 자외선이 장치외부로 새어나가는 일이 일체없고,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12을 참조하여, 인쇄부에 구비되는 인쇄장치(64)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장치(64)는, 잉크리본(C)에 인장문자를 인쇄하는 인쇄헤드(56)와, 인쇄헤드(56)의 인쇄동작에 대응하여 잉크리본(C)을 보내는 플라텐롤러(5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인쇄헤드(56)와 플라텐롤러(57)와의 접점부분을 향하여 장치케이스(2)에는, 상기의 제판시트(B)가 보내지는 이송통로(181)와, 제판시트(B)가 보내여지는 송출통로(182)가 형성되어있다. 이송통로(181)의 상류단에는 외부에 개방된 상기의 삽입입구(9a)가 형성되고, 송출통로(182)의 하류단에는 외부에 개방된 상기의 인출입구(9b)가 형성되어있다.

    플라텐롤러(57)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롤러이고, 잉크리본(C)을 권출릴(14)로부터 감아냄과 동시에, 인쇄헤드(56)의 사이에 제판시트(B)를 끌어들여, 잉크리본(C)과 제판시트(B)를 포갠 상태로 인쇄헤드(56)에 접하게 한다. 인쇄헤드(56)는 서멀헤드이고, 열전사에 의해 잉크리본(C)의 리본테이프에 도포된 잉크를 제판시트(B)에 전사한다. 이 전사에 의해, 잉크리본(C)에서 인장문자에 상당하는 부분이 벗겨지고, 그 부분에 투명한 리본테이프의 바탕이 나타나는 한편, 제판시트(B)에는 벗겨진 잉크가 인장문자로서 부착한다.

    이송통로(181)에는, 제판시트(B)의 삽입 및 이송기준위치를 검출하는 센서(183)가 접하고 있고, 이송통로(181)에 끼워넣어진 제판시트(B)는, 이 센서(183)의 검출결과에 의해, 플라텐롤러(57)에 의해 이송되고, 그 인장문자라벨(Bd: 도 35참조)의 선단부 위치로부터 인쇄가 시동되도록 되어있다. 송출통로(182)를 구성하는 도 12에서 좌측의 벽에는, 그 선단(상류단)에 분리클릭(184)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분리클릭(184)에 의해, 포갠 상태로 이송되어온 잉크리본(C)과 제판시트(B)가 떼어진다. 그리고, 잉크리본(C)은 저쪽편의 노광부로 이송되고, 제판시트(B)는 송출통로(182)를 통해 장치외부로 보내여진다.

    다음에,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여, 노광부에 구비하는 노광장치(65)에 대하여 설명한다. 노광장치(65)는, 포켓(6)에 세트한 인장본체(A)의 인쇄면 Ad에 대시하도록 설치한 자외선광원(191)과, 자외선광원(191)과 인장본체(A)의 인쇄면(Ad)의 사이에 설치한 누름판(58)을 구비하고 있다. 인장본체(A)의 인쇄면(Ad)과 누름판(58)과 자외선광원(191)과는, 각각 이 존재하게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있고, 이 인쇄면(Ad)과 누름판(58)의 사이에 잉크리본(C)이 설치되어 있다. 누름판(58)은 투명한 수지등으로 구성되고, 전진하여 잉크리본(C)을 인장본체(A)의 인쇄면(Ad)에 밀어부치게 되어있다. 즉, 노광의 때에는, 누름판(58)에 의해 인장본체(A)의 인쇄면(Ad)에 잉크리본(C)을 밀어 부친뒤, 자외선광원(191)을 점등하여, 누름판(58) 너머로 잉크리본(C)을 마스크로 한 노광이 행하여진다(도 13 참조).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자외선광원(191)의 노광시간은, 90초 정도이다.

    자외선광원(191)은, 세미핫관이라고 불리는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이고, 도 15의 정면도 및 도 16의 평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192)상에 설치한 형광관홀더(193)에 지지되어 있다. 자외선광원(191)의 좌우의 말단부에는, 자외선광원(191)의 수명 및 고장을 검출하는 한쌍의 온도퓨즈(194)가 설치되어 있다. 말할 필요도 없지만, 온도퓨즈(194)는, 자외선광원(191)이 수명 또는 고장등으로 이상가열한 때에, 그 전원을 차단한다. 각 온도퓨즈(194)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자외선광원(191)의 긴쪽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것에 하측에서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온도퓨즈(194)는, 형광관홀더(193)로부터 연장되는 유지아암(195)에 의해 하측에서 유지되는 것과 동시에, 용수철성을 가지는 유지아암(195)에 의해 자외선광원(191)에 밀어부쳐지고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광원(191)에 대하여, 온도퓨즈(194)를 직교하도록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자외선광원(191)로부터 온도퓨즈(194)에의 열전도가 억제되고, 자외선광원(191)의 자기가열이 온도퓨즈(194)에 영향하는 것을 강하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광원(191)의 광량이 시동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일없이, 그 수명 및 고장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것은, 온도퓨즈(194)에 의한 노광시간에의 영향을 강하게 억제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자외선광원(191)의 후방에 반사판을 설치하고, 자외선을 전방에 집중하여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온도퓨즈(194)를, 자외선광원(191)로부터 이간시켜 설치하여, 자외선광원(191)의 열이 온도퓨즈(194)에 열전도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온도퓨즈(194)를 자외선광원(191)로부터 떼어, 형광관홀더(193)의 부분에 설치한다. 상기의 경우, 형광관홀더(193)는 수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형광관홀더(193)의 이상가열로 용해할 우려가 있고, 또한 자외선광원(191)의 양극부분이 가장 고온이 된다. 따라서, 온도퓨즈(194)를, 자외선광원(191)의 양전극부분에 가장 가까운 형광관홀더(193)의 부위의 표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하면, 자외선광원(191)로부터 온도퓨즈(194)에의 열전도가 차단되고, 한쪽에 이상가열에 의한 형광관홀더(193) 용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자외선광원(191)에 대한 온도퓨즈(194)의 열적영향이 없어지고, 자외선광원(191)의 광량의 시동이 양호하게 되어, 노광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상가열의 검출을 우선하게하기 위한 경우에는, 자외선광원(191)의 전극부분과 온도퓨즈(194)를 퓨즈커버로 에워싸고, 자외선광원(191)과 온도퓨즈(194)의 주위온도와의 차이를 매우 적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온도퓨즈(194)의 배치스페이스가 제약을 받는 경우에는, 집광판(반사판)등에 의해, 온도퓨즈(194)를 향하여 자외선을 집광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도 17A 내지 17C 및 도 18을 참조하여, 온도퓨즈(194)의 배치위치와 자외선광원(191)의 광량의 시동상황과의 관계를, 실험결과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 실험에서는, 온도퓨즈(194)를 자외선광원(191)에, 평행하게 더하여 설치한 경우(도 17A), 직교하는 것 같게 더하여 설치한 경우(도 17B) 및 이간시켜 설치한경우(도 17C)의 3 종류에 대하여, 자외선광원(191)의 휘도의 시동을 측정하였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선(a)는, 거의 휘도 100%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 가장길고, 시동이 가장 느리다. 곡선(b)는 시동이 빠르고, 곡선(c)은 또한 시동이 빠르다. 즉, 온도퓨즈(194)를 자외선광원(191)에 평행히 더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그 광량의 시동이 극단적으로 느리고, 직교하는 것 같이 더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빠르고, 이간시켜 설치한 경우에는 또한 빠르게 된다.

    인장본체(A)의 인쇄면(Ad)에의 노광에 있어서, 휘도의 시간적누적이 광량이 되기 때문에, 도 18에 있어서, 시동곡선으로 획정되는 면적이 광량이 되고, 이 면적이 클수록, 노광시간은 짧게 끝난다. 따라서, (도 17B)인 본 실시형태의 노광시간이 상술한 바와 같이 90초정도라고 하면, (도 17A)에서는 120초이상 시간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도 17C에서는 80초정도가 된다. 이 결과, 온도퓨즈(194)를 자외선광원(191)에 직교하는 것 같게 더하여 설치하는 것, 및 이간시켜 설치하는 것이, 노광시간의 단축에 크게 기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누름판(58)은,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형으로 형성된 투명한 수지등으로 구성되고, 긴쪽방향의 양쪽말단부에서 좌우의 누름판홀더(201)에 설치되어있다. 또한, 각 누름판홀더(201)는, 상기의 리본누름링크(62c)의 각 말단부에 세워설치한 2 개의 지지핀(144)에 끼워넣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도 14 참조). 누름판(58)은, 인장본체(A)의 인쇄면(Ad)에 밀어 부쳐지는 누름판본체(202)와, 누름판본체(202)의 각 말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한 상하한쌍의 가이드클릭(203)과, 상하한쌍의 가이드클릭(203) 사이에 누름판본체(202)로부터 연장하여 설치한 플레이트부(204)로 구성되고, 플레이트부(204)에는 누름판(58)의 상하의 중간에 위치시켜, 누름판(58)의 전후방향의 요동을 안내하는 축돌기(205)가 외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누름판본체(202)는 긴쪽방향에 있어서, 인장본체(A)와는 반대측에, 즉 자외선광원측에 약간 휘어져있고, 누름판(58)에 의해 잉크리본(C)을 인장본체(A)의 인쇄면(Ad)에 밀어부친 때에, 인쇄면(Ad)에 대하여 잉크리본(C)이 눌러 넓혀지게 되어있다. 이것에 의해, 인쇄면(Ad)과 잉크리본(C)과의 밀착성이 높여짐과 동시에, 잉크리본(C)을 인쇄면(Ad)에 주름이 생기지않도록 밀어부칠 수 있다.

    또한, 누름판본체(202)의 양쪽말단부에는, 상측으로 연장하여 설치한 가이드편(206)이 각각 형성되고, 각 가이드편(206)은 경사후방으로 꺾여 구부려져 있다. 이것에 의해, 리본카트리지(11)의 장착의 때에, 잉크리본(C)이 누름판(58)과 인장본체(A)의 사이에 적절히 안내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누름판본체(202)의 양쪽말단은 원호상으로 모떼기되어 있고, 노광의 때에 이 모떼기부분(207)에서 잉크리본(C)이, 주름이 생기지않도록 꺽여 구부려진다(도 13 참조). 또한, 도 19 및 도 20중의 부호(208)는, 누름판본체(202)의 강성을 높이도록 설치한 상하한쌍의 리브이다.

    한편, 각 누름판홀더(201)에는, 누름판(58)의 상하한쌍의 가이드클릭(203)을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는 상하한쌍의 V 홈(210)이 형성되고, 또한 축돌기(205)를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안내하는 홈(211)이 형성되어있다. 즉, 누름판(58)은 그 양쪽말단부에서, 가이드클릭(203)을 V 홈(210)에, 축돌기(205)를 오목홈(211)에 각각 결합하도록 하고, 좌우의 누름판홀더(201)에, 미소거리 전후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또한 전후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있다. 또한, 이 상태로, 누름판(58)의 각 외부말단부에는, 각 누름판홀더(201)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상하한쌍의 용수철편(212)이, 후방으로 밀어부쳐지고 있고, 누름판(5B)은 이 용수철편(212)에 의해, 이 가이드클릭(203)의 클릭분이 V 홈(210)의 홈밑바닥부분에 접촉하는 전진말단위치를 향하고 가압되어 있다.

    도 14(도 2)의 상태로부터, 리본누름링크(62c)가 전진하면, 이것에 따라 양누름판홀더(201)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누름판(58)이 인장본체(A)의 인쇄면(Ad)을 향하여 평행이동하여 간다. 리본누름링크(62c)의 이동스트로크는, 누름판(58)과 인장본체(A)의 인쇄면(Ad)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길게되어 있고, 리본누름링크(62c)가 전진위치에 도달한 때에는, 이미 누름판(58)과 인장본체(A)의 인쇄면(Ad)이 접촉하거나, 누름판(58)은 인쇄면(Ad)에서의 반력을 받아, 각 누름판홀더(20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약간 후퇴한다. 이 누름판(58)의 후퇴는, 인쇄면(Ad)에서의 반력에 의하기 때문에, 반력과 누름판(58)의 각부의 가압력이 길항하여, 누름판(58)은, 인장본체(A)의 인쇄면(Ad)에 유사하게 접촉한다(도 13 참조). 즉, 누름판(58)은, 잉크리본(C)을 끼워, 이것을 인장본체(A)의 인쇄면(Ad)에 틈없게 밀착시킨다.

    또한, 상기의 용수철편(212)은, 인장본체(A)의 인쇄면(Ad)에 의해 확정되는(실제로는 마스크로서의 잉크리본(C)에 의해 확정된다) 노광면에서 빠져나간 위치에 설치되고, 용수철편(212)에 의해 노광에 지장이 생기지않게 되어있다. 다만, 용수철편(212)이 노광면내로 돌출하더라도, 이것을 투명한 부재나 백색의 부재로 구성하면, 대개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누름판홀더(201)에는, 또한 한쪽의 지지핀(144)이 통과하는 가이드핀 유지부(214)가 일체로 형성되어있고, 이 가이드핀 유지부(214)에는 리본접기접촉부재(215)가 설치되어있다. 리본접기접촉부재(215)는 횡단면 반달형으로 형성되고, 그 원호면을 누름판(58)측를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리본접기접촉부재(215)의 상하의 중간부에는, 각각 둥근구멍을 가지는 좌우한쌍의 지지편(216)이 형성되고, 이 지지편(216)의 둥근구멍이, 가이드핀 유지부(214)에 형성한 한쌍의 축돌기(217)에 외측에서 각각 끼워넣음에 의해, 리본접기접촉부재(215)가 가이드핀 유지부(214)의 축부에 대하여 회전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있다.

    이 가이드핀 유지부(214) 및 리본접기접촉부재(215)는, 누름판(58) 및 인장본체(A)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고(도 14 및 도 19 참조), 우측에 위치하는 가이드핀 유지부(214) 및 리본접기접촉부재(215)가 상기의 제 1 가이드핀(53)을, 좌측에 위치하는 가이드핀 유지부(214) 및 리본접기접촉부재(215)가 상기의 제 2 가이드핀(54)을 각각 구성하고 있다. 즉, 이 제 1 가이드핀(53)과 제 2 가이드핀(54)에 의해, 누름판(5B)과 인장본체(A)의 인쇄면(Ad)과의 사이에 주행하는 잉크리본(C)이, 이들에 간섭하지않고, 이들에 평행하게 안내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세한 것은 후술하였지만, 가이드핀 유지부(214)가 누름판홀더(20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누름판(58: 리본누름링크(62c))의 전진에 의해, 제 1 가이드핀(53) 및 제 2 가이드핀(54)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은,제 1 및 제 2 가이드핀(53,54) 사이로 당겨건네준 잉크리본(C)의 당김을 느슨하게 하게되어, 잉크리본(C)은, 그 장력을 줄인 상태로, 즉 세로주름이 생기지 않은 상태에서 인장본체(A)의 인쇄면(Ad)에 밀어 부쳐진다.

    이 상태를, 도 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서술하면, 도 2에 있어서 주행하는 잉크리본(C)은 권취릴(13)에 의해 강한 장력이 작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리본(C)은 매우 얇은 테이프이기 때문에 세로주름이 생기고 있다. 따라서, 이대로 잉크리본(C)을 인장본체(A)의 인쇄면(Ad)에 누르면, 잉크리본(C)은 세로주름이 생긴채로 인쇄면(Ad)에 눌러지고, 인장문자가 비뚤어져 노광되어 버린다. 한편, 잉크리본(C)이 느슨해지면, 인장문자가 위치가 어긋나 노광되어 버린다. 그리하여,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판(58)의 전진에 따라, 제 1 가이드핀(53) 및 제 2 가이드핀(54)도 전진시켜서, 잉크리본(C)의 당김을 느슨하게 함과 동시에, 그 때에 텐션핀(55)에 의해, 잉크리본(C)에 세로주름이 생기지 않을 정도의 약한 힘으로 당김을 주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리본누름링크(62c)와 누름판홀더(201)에 의해, 누름판(58)을 평행이동시키는 평행이동수단이 구성되고, 또한 리본누름링크(62c), 제 1 가이드핀(53), 제 2 가이드핀(54) 및 텐션핀(55)에 의해, 잉크리본(C)의 장력을 줄이는 장력조정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구성부품에 의해, 잉크리본(C)이 주름이 없는 상태로 인장본체(A)의 인쇄면(Ad)에 밀착하여 노광이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인장문자가 재현성 좋게 인쇄면(Ad)에 노광되어, 손색이 없는 인장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노광상태에 있어서의 잉크리본(C)은, 텐숀핀(55) 및 제 2 경로핀(52)에 의해, 누름판(58)의 양쪽말단으로 후방으로 구부려지고, 누름판(58)의 양쪽말단에 형성한 모떼기부분207의 작용에 의해, 잉크리본(C)에 필요없는 주름이 생기지 않게 되어있다. 즉, 잉크리본(C)과 누름판(58)의 양쪽말단이 직교하고, 또한 이 부분이 모떼기되어있기 때문에, 잉크리본(C)이 폭방향에 있어서, 균일한 힘으로 누름판(58)에 접하여, 주름이 생기는 일이 없다.

    다음에, 도 37을 참조하여, 평행이동수단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능스위치(8)를 「입력/제판」위치에서 「노광」위치로 회전시키면, 코일용수철(146)에 의해 리본누름링크(62c)가 전진하고, 누름판홀더(201)를 통해 누름판(5B)이 인장본체(A)에 누르게 된다. 이 일련의 동작은, 기능스위치(8)의 회전조작을 트리거로서 순간적으로 행하여진다. 이것에 대하여, 이 변형예에서는, 누름판(58)의 전진(평행이동)을 천천히 행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본누름링크(62c)의 전방연장설치편(153)에는, 그 측면에 판용수철(154)이 밀어부쳐지고 있다. 판용수철(154)은, 기초부가 프레임(121)에 고정되고, 선단부에서 전방연장설치편(153)의 측면에 접기접촉하게 되어있다. 리본누름링크(62c)가 전진하면, 판용수철(154)이 전방연장설치편(153)에 접기접촉하여, 누름판(58)의 전진을 제동하여 그 이동속도를 줄인다. 즉, 판용수철(154)에 의해, 평행이동수단의 제동기구가 구성되어있다. 또한, 동 도면중의 부호(155)는, 전진말단위치에서 판용수철(154)의 선단부가 들어가는 삽입홈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누름판(58)이 천천히 전진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 텐션핀(55)이 잉크리본(C)에 당김을 주게된다. 즉, 텐션핀(55)이 잉크리본(C)에 당김을 주는 타이밍을 기다려, 잉크리본(C)을 인장본체(A)에 밀어 부칠 수 있다. 따라서, 텐션핀(55)의 제조상의 오차의 유무나 장착정밀도의 양부에 불구하고, 잉크리본(C)을 인장본체(A)에 안정하여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누름판(58)이 인장본체(A)에 밀어 부쳐지는 순간에는, 텐션핀(55)이 수축하고 잉크리본(C)이 인쇄장치(64)측에 약간 끌린다. 그러나, 누름판(58)이 천천히 인장본체(A)에 밀어 부쳐지기 때문에, 잉크리본(C)이 느슨해져 주름이 생기는 등의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구로서, 상기의 판용수철를 대신하여 덤퍼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들면, 리본누름링크(62c)의 전방연장설치편(153)에 래크를 형성하여, 이것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프레임(1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이 피니언을 오일덤퍼부착한 것으로 구성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도 21을 참조하여, 잉크리본(C)의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권출릴(14)로부터 감겨진 잉크리본(C)은, 제 1 경로핀(51)에 의해 인쇄장치(64)에 적절히 이끌어지고, 또한 인쇄장치(64)로부터 제 2 경로핀(52)에 의해 크게 외곡되고, 계속되는 제 1 가이드핀(53) 및 제 2 가이드핀(54)에 의해 노광장치(65)에 적절히 이끌어지고, 마지막에 텐션핀(55)을 통해, 권취릴(13)에 감아서 꺼내여진다. 이 경로는 잉크리본(C)의 주행시 및 주행대기시에 있어서의 것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노광시의 경로는 이것과는 다른게되어, 또한 리본카트리지(11)로서 운반하는 경우도 다른 것으로 된다. 여기에서, 리본카트리지(11)운반시에 있어서의 경로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각 릴이나 각 핀을 포함하는 리본카트리지(11) 자체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A 및 22B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본카트리지(11)는, 역 「L」자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222)와, 베이스 플레이트(222)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다리부(223)로 구성된 카트리지 케이스(221)에, 각 릴이나 각 핀을 한쪽지지하여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리본카트리지(11)는, 베이스 플레이트(222)를 위에 하여, 장치본체(5)의 수용부(5a)에 그 각 다리부(223)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장치본체(5)에 장착된다. 또한, 다리부(223)는, 도 2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221)의 각 각부(角部)에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22)의 짧은변측의 말단부에는, 권출릴(14)이 회전가능하게 늘어뜨려 설치됨과 동시에, 긴변측의 말단부에는 권취릴(13)이 회전가능하게 늘어뜨려 설치되어있다. 또한, 권출릴(14)의 저쪽편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22)로부터 수직하강한 보강리브부착 제 1 경로핀(51)이 설치되고, 또한 그 앞쪽에는, 전후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구성된 경로변경부재(224)가 설치되어 있다. 권취릴(13)의 앞에는, 텐션핀(55)이, 코일용수철(225)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베이스 플레이트(222)에 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본체(5)의 수용부(5a)에는, 권출 및 권취릴(13,14)의 릴축(102,226), 인쇄헤드(56), 플라텐롤러(57), 이송 및 송출통로(181,182), 제 2 경로핀(52), 제 1 및 제 2 가이드핀(53,54), 누름판(58), 자외선광원(191)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출릴(14: 권취릴(13)도 완전히 동일)은, 잉크리본(C)이 감겨지는 원통형의 축부(223)와, 축부(223)의 상단에 연장설치된 상부결합부(229)와, 축부(223)의 하단에 연장설치된 하부결합부(230)를 가지며, 상부결합부(229)로 베이스 플레이트(22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하부결합부(230)에서 장치본체(5)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부결합부(229)는, 원통부(231)와, 원통부(231)의 상측에 연속해있는 플랜지상의 관부(冠部: 232)로 이루어지고, 이것에 대응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22)에는, 원통부(231)이 회전가능하게 접기접촉하는 베어링부(233)와, 관부(232)의 하면이 착석하는 계단부(234)가 형성되어 있다. 관부(232)의 하면 및 계단부(234)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되고, 관부(232)가 계단부(234)에 접촉(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권출릴(14)이 한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경우, 리본카트리지(11)을 장치본체(5)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권출릴(14)이 약간 밀어 올려지고, 관부(232)와 계단부(234)의 결합이 풀어지고, 권출릴(14)은 회전가능하게 된다. 한편, 리본카트리지(11)가 장치본체(5)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권출릴(14)이 그 자기무게로 밀려 내려가고, 관부(232)와 계단부(234)가 결합하고, 권출릴(14)에 역회전멈춤이 작용한다. 이 역회전멈춤은, 잉크리본(C)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고, 권취릴(13)에서는 잉크리본(C)의 주행방향과 역방향으로, 권출릴(14)에서는 잉크리본(C)의 주행방향으로 회전이 저지된다. 물론, 권취릴(13), 권출릴(14) 모두, 잉크리본(C)을 당기는 방향으로는 회전가능하다. 또한, 교환를 위해 제공되는 리본카트리지(11)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22)의 상면에 관부(232)를 계단부(234)에 밀어붙이는 판(도시생략)이 설치되고, 이 상태로 포장되어 제공된다.

    경로변경부재(224)는,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22)의 코너부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236)와, 슬라이더(236)에 일체로 제조된 경로변경핀(237)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236)의 상면은, 외부에 노출함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222)의 상면과 면하나로 설치되어 있다. 경로변경핀(237)은, 슬라이더(236)의 슬라이드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후방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에서는, 권취릴(13)과 권출릴(14)의 사이에 건너지른 잉크리본(C)을 거의 직각으로 당기도록 되어있다. 상기의 경우, 리본카트리지(11)를 장치본체(5)에 장착할 때까지는, 잉크리본(C)을 직각으로 당기는 상태로 하여두고, 장치본체(5)에 장착하면, 경로변경핀(237)을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시키도록 한다(도 24참조).

    이것에 의해, 리본카트리지(11)을 장착하는 때에는, 경로변경핀(237)과 텐션핀(55)이 함께 작용하여, 잉크리본(C)의 경로를 누름판(58)이나 인장본체(A), 제 2 경로핀(52)등에 간섭하지 않도록 규제하고, 또한 경로변경핀(237)과 제 1 경로핀(51)이 함께 작용하여, 잉크리본(C)의 경로를 인쇄헤드(56)나 플라텐롤러(57)등에 간섭하지 않도록 규제한다. 그리고, 리본카트리지(11)를 장착한 뒤, 경로변경핀(237)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잉크리본(C)의 경로가 상기의 주행시 및 주행대기시의 상태가 된다.

    텐션핀(55)은, 단면반원형의 접기접촉부(239)와, 접기접촉부(239)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부(240)로 이루어지고, 베이스 플레이트(222)의 사이에 개재시킨코일용수철(225)에 의해, 잉크리본(C)을 당기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코일용수철(225)의 스프링력은, 당기는 잉크리본(C)에 세로주름이 생기지않을 정도로 약한 것이고, 텐션핀(55)은, 잉크리본(C)에 느슨해짐이 생기지 않도록 기능한다. 즉, 교환을 위한 리본카트리지(1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권취릴(13) 및 권출릴(14)이 역회전멈춰 상태에 있어서, 양릴(13,14) 사이에 잉크리본(C)이 건너지르게 되어있고, 이 잉크리본(C)에 부딪치게 되어있는 텐션핀(55)은, 진동등에 의한 잉크리본(C)의 느슨해짐을 방지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노광동작에 있어서, 누름판(58)과 제 1 및 제 2 가이드핀(53,54)이, 인장본체(A)측 전방으로 동시에 이동하는 때에, 텐션핀(55)은, 잉크리본(C)에 느슨해짐이 생기지 않도록, 또한 세로주름이 생기지 않는 정도로 이것을 당긴다. 또한, 텐션핀(55)에 전자의 기능을 요구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텐션핀(55)을 장치본체(5)측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하면, 텐션핀(55)의 텐션기능이 보다 안정하게 된다.

    또한, 도 25A 및 2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경로핀(52)의 접기접촉부(242) 및 텐션핀(55)의 접기접촉부(239)는, 일반의 풀리등과 같이 중고(中高)형상으로 형성되고, 테이프폭이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주행하는 잉크리본(C)이, 각 접기접촉부(239,242)로부터 하측으로 탈락하지 않게 되어있다. 또한, 각 접기접촉부(239,242)와 잉크리본(C)이 정확하게 직교하고 있지 않아도, 잉크리본(C)이 치우쳐 주행하는 등의 좋지않은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주행하는 잉크리본(C)은, 장력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옆으로 이동한다.따라서, 가운데가 높은 형상의 정수리부에 잉크리본(C)의 폭방향의 중심이 오도록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이 때문에, 각 접기접촉부(239,242)에 대하여, 잉크리본(C)이 치우쳐 주행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것들의 접기접촉부(239,242)에 접촉하는 잉크리본(C)은, 그 폭방향의 중간부가 약간 올라가도록하여 주행하고, 잉크리본(C)에 생기는 세로주름을 방지하는 기능도 더불어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 2 경로핀(52) 및 텐션핀(55)의 각 접기접촉부(242,239)와, 요동자유자재으로 구성된 상기의 제 1 및 제 2 가이드핀(53,54)의 각 리본접기접촉부재(215)에 의해서, 잉크리본(C)이, 항상 일정한 높이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노광장치(65)에 평행하게 접하게 되어있다.

    다음에, 도 38을 참조하여, 텐션핀(55)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텐션핀(55)에는, 가운데가 높은 형상으로 형성된 접기접촉부(239)의 양쪽말단에 한쌍의 플랜지부(245)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각 플랜지부(245)의 접기접촉부(239)측의 면은, 접기접촉부(239)를 향하여 경사면(245a)으로 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양 플랜지부(245)에 의해, 잉크리본(C)의 주행을 안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잉크리본(C)이 느슨해져 버리는 일이 있더라도, 잉크리본(C)이 텐션핀(55)로부터 탈락하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잉크리본(C)이 폭방향으로 어긋나서, 그 끝이 플랜지부(245)의 경사면(245a)에 실리면, 이것을 되돌리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잉크리본(C)을 항상 일정한 높이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보낼 수 있다. 또한, 제 2 경로핀(52)도 같은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개폐덮개(7)의 개폐에 연동하는 검출장치(66)에 대하여 설명한다.이 검출장치(66)는, 포켓(6)에 인장본체(A)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것과 동시에, 인장본체(A)의 종별을 판별하는 것이다. 인장본체(A)에는, 각형인용, 성명인용, 사업인용, 주소인용등의 각종 형상의 다른 것이 준비되고, 이들 각종의 인장본체(A)는, 길이는 동일하지만, 폭 및 두께가 다르다. 이러한 폭 및 두께가 다른 각종의 인장본체(A)를 폭방향 및 두께방향에 있어서, 포켓(6) 내의 일정한 위치에 세트하기 위해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켓(6)의 저면(6b)에 장단 4 개의 보스(251)가 세워설치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인장본체(A)에는, 보스(251)가 결합하는 결합구멍(Af)이 형성되어 있다(도 34참조).

    4개의 보스(251)는 「T」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예를들면 각형인으로서는 2개의 결합구멍(Af)이(도 27A), 사업인으로서는 4 개의 결합구멍(Af)이 (도 27B), 형성되어있다. 이와 같이, 인장본체(A)의 결합구멍(Af)의 수 및 깊이는, 인장본체(A)의 종별에 의해 구구하고, 이 결합구멍(Af)과 보스(251)의 조합에 의하여, 포켓(6)에 장착한 각종의 인장본체(A)의 인쇄면(Ad)의 중심이, 항상 동일한 위치에 오도록 위치결정된다.

    또한, 인장본체(A)의 인쇄면(Ad)과 반대의 배면(Ag)에는, 중심부위치에, 즉 두께방향의 중간위치로서 좌우대칭으로 횡 및 복수개의 문자구멍(Ah: 종별검출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검출장치(66)의 스위치 어레이(262)의 함께 작용함에 의해, 인장본체(A)의 종별이 판별된다(도 33 참조). 또한, 인장본체(A)의 배면(Ag)에는, 인쇄후에 잉크리본(C)에서 분리하여 장치외부로 보내여진 제판시트(B)의 인장문자라벨(Bd)이 점착되고, 이것에 의해 문자구멍(Ah)이 숨겨지게 되어있다.

    검출장치(66)는, 도 28,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본체(A)의 배면(Ag)에 대향하도록 설치한 스위치홀더(261: 포켓(6)의 벽면을 겸하고있다)와, 스위치홀더(261)에 지지시킨 6 개의 검출스위치(263)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어레이(262)를 구비하고 있다. 각 검출스위치(263)는, 푸시스위치등으로 구성된 스위치본체(264)와, 선단이 포켓(6) 내에 접하는 스위치톱(265)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톱(265)온, 평판부(266)와, 평판부(266)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검출돌기부(267)로 이루어지고, 평판부(266)의 하부에서 스위치홀더(261)에 형성한 가이드돌기(268)에, 또한 검출돌기부(267)로 스위치홀더(261)에 형성한 가이드구멍(269)로 안내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스위치본체(264)는 기판(270)의 이면에 고정되고, 그 플런저(271)를 스위치톱(265)의 평판부(266)에 부딪치게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경우, 플런저(271)는 그 탄성력으로 스위치톱(265)을 포켓(6)측에 가압하고 있고, 이 가압에 의해 검출돌기부(267)의 선단이 스위치홀더(261)의 가이드구멍(269)로부터 포켓(6)내로 돌출하는 상태와, 이 가압에 저항하여 가이드구멍(269)에 몰입하는 상태가, 검출스위치(263)의 ON-OFF에 대응하고 있다.

    한편, 스위치홀더(261)의 평판부(266)에는, 덮개오픈링크(62a)의 스위치 작동부(132)가, 플런저(271)의 탄성력에 저항하도록 부딪치게 되어있고, 덮개오픈링크(62a)의 회전에 따라, 모든 스위치톱(265)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있다. 또한, 스위치 작동부(132)와 스위치톱(265)을 일체로 형성해도 되고, 또한 스위치톱(265)과 검출스위치(263)를 일체로 형성하여, 스위치 작동부(132)에 의해 기판(270)을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덮개오픈링크(62a)가 도시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덮개(7)가 개방하고 있는 때에는, 스위치톱(265)은 전방(기판(270)측)으로 이동하고, 그 검출돌기부(267)가 포켓(6)내에서 퇴피한다(도 28참조). 이것에 의해, 검출장치(66)의 검출모드가 해제되고, 또한 검출돌기부(267)에 간섭하지않게 인장본체(A)를 착탈할 수 있다. 한편, 덮개오픈링크(62a)가 도시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덮개(7)가 폐색하고 있는 때에는, 스위치톱(265)은 후방(포켓(6)측)으로 이동하여, 그 검출돌기부(267)가 포켓(6)내로 돌출한다. 이것에 의해, 검출장치(66)가 검출모드로 되지만, 이 때 포켓(6) 내에 인장본체(A)가 장착되어 있으면, 스위치톱(265)이 이것에 서로 부딪친 상태가 되어, 검출스위치(263)가 OFF하여 인장본체(A)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다(도 31 참조). 반대로, 인장본체(A)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스위치톱(265)이 최대한 돌출한 상태가 되어, 검출스위치(263)가 ON하여 인장본체(A)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된다.

    실제로는, 스위치 어레이(262)의 내의 어느것인가 1 개의 검출스위치(263)가, OFF상태가 된 때에, 인장본체(A)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고, 모든 검출스위치(263)가, ON상태가 된 때에, 인장본체(A)가 장착되어있지 않은 것이 검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켓(6)에 장착한 다종의 인장본체(A)는, 보스(251)에 의해, 그 인쇄면(Ad)의 중심이 항상 동일한 위치에 오도록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인장본체(A)의 배면(Ag)의 중심부위치에 검출스위치(263)를 부딪치게 하는 것에 의해, 어떠한 인장본체(A)에 대하여도 검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개폐덮개(7)의 개폐에 연동시켜, 검출스위치(263)를 인장본체(A)에 부딪치게 하도록 하고있기 때문에, 인장본체(A)의 착탈의 때에 포켓(6)에 검출스위치(263: 검출돌기부(267))가 돌출하고 있는 일이 없고, 인장본체(A)의 착탈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또한, 검출모드의 모드전환에 대신하여, 도 28에 나타낸, 스위치톱(265)의 검출돌기부(267)가 포켓(6) 내에서 퇴피하는 것으로, 개폐덮개(7)가 개방한 것을 검출하도록 해도 되고, 또한 이것을 노광저지의 우선검출신호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스위치 어레이(262)의 각 검출스위치(263)는, 대응하는 인장본체(A)의 소구멍(Ah)의 유무에 의해, 도 31 또는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ON 또는 OFF중의 어느 상태가 된다. 따라서, 6 개의 검출스위치(263)의 ON-OFF의 패턴에 의해, 인장본체(A)의 종별이 판별된다.

    도 33은, 인장본체(A)의 소구멍(Ah)과, 6 개의 검출스위치(263: 검출돌기부)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6개의 검출스위치(263)와 소구멍(Ah)의 유무의 관계로부터, 2n-1종류, 즉 63종의 판별패턴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상기의 경우, 각형인등의 폭이 좁은 인장본체(A)에 대하여는, 양 외부말단의 2개의 검출스위치(263,263)에 대한 소구멍(Ah)이 없고, 이 2 개의 검출스위치(263,263)는, 인장본체(A)의 양측의 공간을 향하여 돌출한다. 즉, 각형인등의 폭이 좁은 인장본체(A)에서는, 인장본체(A)의 최외부말단에 가공한의 소구멍(Ah)이 있는 판별패턴으로서, 인식된다.

    바꿔 말하면, 63종의 판별패턴 중의, 최외부말단에 소구멍(Ah)이 있는 판별패턴을, 각형인등의 폭이 좁은 인장본체(A)에 할당함에 의해, 판별패턴의 수를 감소하는 일없이, 모든 검출스위치(263)가 대응할 수 없는 폭의 인장본체(A)를 판별할 수 있게 되어있다. 또한, 6개의 검출스위치(263)는, 예정 가격을 포함하는 것이고, 실제로는 4 개의 검출스위치(263)로 충분하다.

    다음에, 도 36을 참조하여, 도 21에 대응하는 리본이송장치(61)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경로핀(52)의 부분에 제 2 경로핀(52)에 밀어 부치도록 이송롤러(71)가 설치되어 있다. 이송롤러(71)는, 상기의 구동모터(101)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이고, 두루마리측의 권취릴(13: 릴축(102))의 사이에서 잉크리본(C)의 장력을 조정하면서 이것을 보낸다. 또한, 이송롤러(71)는, 도시하지 않지만, 용수철등에 의해 제 2 경로핀(52)으로의 누르는 힘을 미세조정할 수 있게 되어있다. 또한, 제 2 경로핀(52)을, 이송롤러(71)에 굴려 접하는 종동롤러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노광장치(65)에 접하는 잉크리본(C)의 장력은, 릴축(102: 미끄러짐축)에 개재시킨 슬립용수철에 의해 그 장력이 결정되고, 인쇄장치(64)로부터 노광장치(65)에 이르는 잉크리본(C)의 장력은, 이송롤러(71)에 의해 그 장력이 결정된다. 이 때문에, 릴축(102: 미끄러짐축)측에서는, 잉크리본(C)에 주름이 생기지 않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고, 장력의 설정을 행할 수 있고, 이송롤러(71)측에서는, 인쇄가 양호하게 행하여지고 또한 제판시트(B)가 벗겨지기 쉽게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고,장력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장력조정수단을, 권취릴의 축부분등에 만들어 넣도록 해도 된다. 또한, 누름판을 향하여 노광대상물(인장본체)을 이동시키는 구조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로크기구를 주링크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자기가열형 열음극관의 이상검출장치는, 노광시간의 단축이 과제가 되는 각종의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리고 또한, 상기의 인장본체의 검출방법은, 이 인장본체 및 인장제작장치에 한정되지않고, 다른 액세스 대상물을 받아 들이는 각종의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