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탄력부재를 구비한 의복

申请号 KR1020120129063 申请日 2012-11-14 公开(公告)号 KR101265185B1 公开(公告)日 2013-05-24
申请人 백종환; 发明人 백종환;
摘要 PURPOSE: A garment which includes bio elastic material is provided to provide vitality to a user and prevent the collar or sleeve from being crumpled. CONSTITUTION: A garment which includes bio elastic material comprises a top equipped with a collar and sleeve in the neck part; an adhering material(20) which forms a capacity space unit in the inside by sewing both edges of a collar of the top or inside of the sleeve; an opening unit(30) which interconnects the capacity space unit with the outside; and a bio elastic material(40) which emits far-infrared radiation by maintaining the form of the sleeve and collar. The opening unit is formed to be separated from a longitudinal end buttonhole of the adhering material for a fixed distance. A finishing material which blocks the opening is equipp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unit.
权利要求
  • 의복 상의의 카라 또는 소매의 내측에 양측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내부에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는 부착부재;
    상기 부착부재의 길이 방향 일측 테두리에 절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부와 외부가 상호 연결되게 하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를 거쳐 상기 수용공간부로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카라 및 소매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바이오 탄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부착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측 단추구멍으로부터 설정 거리(c)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부로 진입한 상기 바이오 탄력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개방부를 차단하는 마감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개방부를 덮어주어 상기 바이오 탄력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개방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개방부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오 탄력부재의 일단부를 덮어주어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탄력부재를 구비하는 의복.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탄력부재의 너비(a)와 상기 부착부재의 양측 가장자리 재봉선 사이 너비(b)의 비율은,
    상기 바이오 탄력부재가 상하로 유동하지 않으면서 견고하게 삽입되도록 1 : 1.05 ~ 1.5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탄력부재를 구비하는 의복.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거리(c)는 1 ~ 4c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탄력부재를 구비하는 의복.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탄력부재의 단면은 다각형 또는 원형이고,
    상기 바이오 탄력부재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말 상의 옥 3 ~ 15 중량부와 분말 상의 세라믹 5 ~ 20 중량부를 함유하여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탄력부재를 구비하는 의복.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접착부재에 의해 카라 또는 부착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마감부재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접착부; 및
    상기 제1접착부 접합되도록 상기 마감부재 또는 상기 카라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탄력부재를 구비한 의복.
  • 说明书全文

    바이오 탄력부재를 구비한 의복{CLOTHES HAVING BIO ELASTICITY ELEMENT}

    본 발명은 바이오 탄력부재를 구비한 의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 상의의 카라 또는 소매에 수용공간부를 형성하여 일정한 탄성력과 원적선을 방출하는 바이오 탄력부재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활력을 제공하고, 카라 또는 소매가 쉽게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바이오 탄력부재를 구비한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복 상의에는 목을 감싸주는 카라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카라는 목 주변에 닿으면서 목 주변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의복 상의의 소매부는 손목을 감싸면서 소매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의의 카라와 소매는 천을 이중으로 덧대서 형태를 유지하면서 미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천을 덧댄 상태에서 재봉 처리하여 다른 부위보다 견고함을 유지하려고 한다.

    한편, 종래의 상의의 카라 또는 소매부에 착용자의 건강을 생각하여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세라믹 돌기 등을 부착하여 착용자의 혈액순환,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건강을 증진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70098호(고안의 명칭: 세라믹돌기를 갖는 와이셔츠)가 제시된다.

    그런데, 종래의 세라믹 돌기를 갖는 와이셔츠는 카라 또는 소매의 내부에 별도의 심재를 삽입하고, 심재에 소정 두께로 돌출된 세라믹돌기를 구비함으로써, 의복 상의를 세탁할 때 세라믹돌기가 재봉선 사이 틈새로 노출되거나 카라 부위를 찢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의를 착용하는 동안 세라믹돌기가 목을 가압하여 불편함을 초래하며, 기존의 심재는 탄력성이 약하여 반복되는 세탁으로 인해 쉽게 파손되어 카라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의류 상의의 카라 또는 소매에 수용공간부를 형성하여 일정한 탄성력과 원적선을 방출하는 바이오 탄력부재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활력을 제공하고, 카라 또는 소매가 쉽게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바이오 탄력부재를 구비한 의복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개방부의 일측에 마감부재를 구비하여 개방부 내측으로 삽입하여 바이어 탄력부재의 일단부를 덮어줌으로써, 바이어 탄력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바이오 탄력부재를 구비한 의복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이오 탄력부재를 구비한 의복은, 의복 상의의 카라 또는 소매의 내측에 양측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내부에 수용공간부를 형성하는 부착부재; 상기 부착부재의 길이 방향 일측 테두리에 절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부와 외부가 상호 연결되게 하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를 거쳐 상기 수용공간부로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카라 및 소매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바이오 탄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이오 탄력부재의 너비(a)와 상기 부착부재의 양측 가장자리 재봉선 사이 너비(b)의 비율은, 상기 바이오 탄력부재가 상하로 유동하지 않으면서 견고하게 삽입되도록 1 : 1.05 ~ 1.5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방부는 상기 부착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측 단추구멍으로부터 설정 거리(c)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설정거리(c)는 1 ~ 4c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이오 탄력부재의 단면은 다각형 또는 원형이고, 상기 바이오 탄력부재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말 상의 옥 3 ~ 15 중량부와 분말 상의 세라믹 5 ~ 20 중량부를 함유하여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방부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부로 진입한 상기 바이오 탄력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개방부를 차단하는 마감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개방부를 덮어주어 상기 바이오 탄력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개방부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개방부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바이오 탄력부재의 일단부를 덮어주어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는 접착부재에 의해 카라 또는 부착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마감부재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접착부; 및 상기 제1접착부 접합되도록 상기 마감부재 또는 상기 카라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탄력부재를 구비한 의복은, 의류 상의의 카라 또는 소매에 수용공간부를 형성하여 일정한 탄성력과 원적선을 방출하는 바이오 탄력부재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활력을 제공하고, 카라 또는 소매가 쉽게 구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방부의 일측에 마감부재를 구비하여 개방부 내측으로 삽입하여 바이어 탄력부재의 일단부를 덮어줌으로써, 바이어 탄력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탄력부재를 구비한 의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탄력부재의 분해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탄력부재의 조립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타력부재가 부착부재 내에 수용딘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에 마감부재가 구비된 상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탄력부재 및 마감부재의 설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가 접착부재에 의해 부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탄력부재를 구비한 의복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탄력부재를 구비한 의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탄력부재의 분해 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탄력부재의 조립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타력부재가 부착부재 내에 수용딘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에 마감부재가 구비된 상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탄력부재 및 마감부재의 설치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가 접착부재에 의해 부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탄력부재를 구비한 의복은, 의복 상의(10), 부착부재(20), 개방부(30), 바이오 탄력부재(40)를 포함한다.

    의복 상의(10)는 상측 의복의 지칭하는 것으로서, 와이셔츠, 남방 등과 같이 목 부위에 카라(12) 및 소매(14)가 구비되는 의류를 지칭한다.

    카라(12)는 착용자의 목 주변을 감싸는 상태로 구비되고, 형태를 유지하도록 천을 이중으로 덧대어 주로 형성된다.

    카라(12)는 가장자리 부위를 재봉 처리하여 형성된다.

    소매(14)는 손목 주변을 마감 처리하는 구성이고, 상의에서 팔이 수시로 출입되는 구성임에 따라 쉽게 손상되는 부위이므로 천을 이중으로 덧대서 치리한다.

    이와 같이, 카라(12)는 목 관절에 해당하는 부위이고, 소매(14)는 손목 관절에 해당하는 부위이므로 옷의 미감을 좌우하는 구성이므로 형태를 유지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세탁하는 과정에서 카라(12)와 소매(14)는 쉽게 구겨지는 부위이므로 반복하여 의복 상의(10)를 세탁하는 경우, 구겨지거나 다름질하더라도 형태가 변형되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부착부재(20)를 추가 재봉하고, 부착부재(20) 내부에 탄력성이 있는 바이오 탄력부재(40)를 구비할 필요성이 있다.

    부착부재(20)는 의복 상의(10)의 카라(12) 또는 소매(14)의 내측에 양측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내부에 수용공간부(22)를 형성한다.

    수용공간부(22)는 부착부재(20)가 의복 상의(10)의 카라(12)에 재봉될 때, 양측 재봉선(16) 사이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수용공간부(22)의 너비는 부착부재(20)의 재봉선(16) 사이 너비(b)에 해당된다.

    바이오 탄력부재(40)의 너비(a)와 부착부재(20)의 양측 가장자리 재봉선(16) 사이 너비(b)의 비율은 바이오 탄력부재(40)가 상하로 유동하지 않으면서 견고하게 삽입되도록 1 : 1.05 ~ 1.5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부착부재(20)의 양측 가장자리 재봉선(16) 사이 너비(b), 즉 수용공간부(22)의 너비(b)는 바이오 탄력부재의 너비(a)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수용공간부(22)에 수용된 바이오 탄력부재(40)가 유동하지 않게 견고하게 잡아주면서,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바이오 탄력부재(40)는 수용공간부(22)에 삽입되기 위해 개방부(30)를 구비한다.

    개방부(30)는 부착부재(20)의 길이 방향 일측 테두리에 절개 형성되어 수용공간부(22)와 외부가 상호 연결되게 구성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개방부(30)는 부착부재(20)의 길이 방향 단부측 단추구멍(24)으로부터 설정 거리(c)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설정거리(c)는 1 ~ 4cm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설정거리(c)는 제한되지 않는다.

    개방부(30)는 바이오 탄력부재(40) 출입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테두리에 실을 재봉으로 감거나 덧댐부재를 부착하여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댐부재는 개방부(30)내측 테두리의 상하면을 감싸는 상태로 덧댄 후 부착부재(20)와 재봉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바이오 탄력부재(40)는 개방부(30)를 거쳐 수용공간부(22)로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카라(12) 및 소매(14)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바이오 탄력부재(40)의 단면은 다각형 또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다각형 중에 직사각형 단면이 가장 바람직하다.

    바이오 탄력부재(40)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말 상의 옥 3 ~ 15 중량부와 분말 상의 세라믹 5 ~ 20 중량부를 함유하여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오 탄력부재(40)에는 자석 성분을 함유하여 자기력을 발생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자기력은 신체에 활성을 촉진하며, 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바이오 탄력부재(40)는 음이온, 원적외선 및 자기력을 방출함에 따라 착용자에게 혈액 순환 및 원기를 회복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개방부(30)의 일측에는 수용공간부(22)로 진입한 바이오 탄력부재(40)의 이탈을 방지하고 개방부(30)를 차단하는 마감부재(50)를 구비한다.

    마감부재(50)는 개방부(30)를 덮어줌으로써 바이오 탄력부재(40)의 이탈을 방지한다. 마감부재(50)는 개방부(30)의 내측 또는 외측을 덮어줄 수 있다.

    마감부재(50)는 개방부(30)의 일측 테두리에 일체로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재봉 또는 접합에 의해 개방부(30)의 일측 테두리에 구비될 수 있다.

    마감부재(50)는 개방부(30)의 일측에 구비되되, 개방부(30)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개방부(30)로 삽입된 상태에서 바이오 탄력부재(40)의 일단부를 덮어주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오 탄력부재(40)는 의복 상의(10) 세탁시 개방부(30)를 통해 수용공간부(22)에서 인출됨으로써, 파손이 방지된다.

    바이오 탄력부재(40)는 의복 상의(10)를 세탁 후 개방부(30)를 통해 수용공간부(22)에 삽입되므로 카라(12) 및 소매(14)의 형태를 유지한다.

    마감부재(50)는 접착부재(60)에 의해 카라(12), 소매(14) 또는 부착부재(60)에 부착된다.

    접착부재(60)는 마감부재(50)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접착부(62)와, 제1접착부(62) 접합되도록 카라(12), 소매(14) 또는 부착부재(60)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접착부(64)를 포함한다.

    접착부재(60)는 암수 벨크로 테이프, 접착제 또는 접착 가능한 부재들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바이오 탄력부재(40)를 개방부(30)를 통해 인출하여 의복 상의(10)를 세탁한 후 다시 조립하는 상태를 살펴본다,

    도 6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50)를 젖힌 상태에서, 개방부(30)를 통해 수용공간부(22)로 진입하여 카라(12) 또는 소매(14)의 형태를 유지한다.

    연이어, 도 6의 두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50)의 자유단부를 개방부(30)에 삽입하도록 한다.

    그 다음, 도 6의 세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50)의 자유단부를 개방부(30)에 완전하게 삽입하여 바이오 탄력부재(40)의 일단부를 덮어주고, 개방부(30)를 차단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접착부재(60)가 구비된 경우, 마감부재(50)의 일면에 구비된 제1접착부(62)가 카라(12)에 구비된 제2접착부(64)에 부착됨으로써 마감부재(50)가 견고하게 부착되고, 바이오 세라믹부재(4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수 있다.

    도 7에서는 제2접착부(64)가 카라(12)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소매(14) 또는 부착부재(6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의복 상의 12 : 카라
    14 : 소매 20 : 부착부재
    22 : 수용공간부 24 : 단추구멍
    30 : 개방부 40 : 바이오 탄력부재
    50 : 마감부재 60 : 접착부재
    62 : 제1접착부 64 : 제2접착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