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피엠 절곡 내장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 및 건축 구조체 마감 방법

申请号 KR1020100084309 申请日 2010-08-30 公开(公告)号 KR101035658B1 公开(公告)日 2011-05-19
申请人 박지은; 发明人 박지은;
摘要 PURPOSE: An LPM interior material,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urniture using the same, and a finishing method of construction structure body are provided to improve esthetic sense and waterproofness. CONSTITUTION: An LPM interior material comprises: a wooden board layer(10) having a fixed thickness in order to form a bending groove according to the shape of furniture or constructive structure; a finishing material layer(30) laminated on the wooden board layer; and a bending reinforcement layer(20) for reinforcing bending rigidity of the finishing material layer. The wooden board material forming the wooden board layer is one selected among particle board, medium density fibreboard, high density fibreboard, veneer board, and edge-glued lumber.
权利要求
  • 가구 또는 건축 구조체의 형상에 따라 절곡시키도록 절곡홈을 형성할 수 있게 기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목재 판상층;
    상기 목재 판상층 상에 적층 형성되는 마감재층; 및
    상기 목재 판상층과 상기 마감재층 사이에 층을 이루며 개재되어, 상기 절곡홈이 형성된 부분의 절곡시 상기 마감재층의 굽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굽힘 보강층;을 포함하고,

    상기 목재 판상층을 이루는 목재 판상재는,
    피비(PB; PARTICLE BOARD), 엠디에프(MDF; MEDIUM DENSITH FIBERBOARD), 에이치디에프(HDF; HIGH DENSITH FIBERBOARD), 합판 또는 목재 집성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감재층을 이루는 마감재는 엘피엠 함침지 또는 일면에 멜라민수지가 도포된 멜라민 도포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굽힘 보강층을 이루는 보강재는 적어도 일측면에 접착재층이 형성되는 부직포인 것을 포함하는 엘피엠 절곡 내장재.
  • 삭제
  • 삭제
  • 제1항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목재 판상층을 이루는 목재 판상재 상측에 상기 굽힘 보강층을 이루도록 상기 목재 판상재쪽 일측면에 접착재층이 형성된 부직포를 올려 적층시키는 보강재 적층 단계;
    상기 부직포 상층에 상기 마감재층을 이루는 엘피엠 함침지를 올려 적층하는 마감재 적층 단계; 및
    상기 부직포와 상기 엘피엠 함침지를 프레스를 이용해 상기 목재 판상재 위에 열압착시켜 내장재를 완성하는 열압착 단계;를 포함하는 엘피엠 절곡 내장재 제조 방법.
  • 제1항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목재 판상층을 이루는 목재 판상재 상측에 상기 굽힘 보강층을 이루도록 양측면에 각각 접착재층이 형성된 부직포를 올려 적층시키는 보강재 적층 단계;
    상기 마감재층을 이루도록 멜라민수지가 상측에 도포된 시트지를 상기 부직포 상층에 올려 적층하는 마감재 적층 단계; 및
    상기 부직포와 상기 멜라민수지가 도포된 시트지를 프레스를 이용해 상기 목재 판상재 위에 열압착시켜 내장재를 완성하는 열압착 단계;를 포함하는 엘피엠 절곡 내장재 제조 방법.
  • 제1항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를 이용한 가구 또는 건축 구조체 마감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엘피엠 절곡 내장재를 상기 가구 또는 상기 건축 구조체의 절곡 형상에 따라 목재 판상층에 절곡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엘피엠 절곡 내장재를 가열한 후, 상기 목재 판상층의 표면과 절곡홈에 유성 접착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유성 접착재가 도포된 상기 엘피엠 절곡 내장재를 절곡 프레스 및 레핑 형태의 프레스로 가압하여 절곡된 형상의 마감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감틀을 상기 가구 또는 건축 구조체를 이루는 가틀 및 속틀에 방수 접착재를 도포한 후, 가압 접착하여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피엠 절곡 내장재를 이용한 가구 또는 건축 구조체 마감 방법.
  • 제6항에서,
    상기 절곡홈은,
    상기 굽힘 보강층을 향해 폭이 좁아지게 "V"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엘피엠 절곡 내장재를 이용한 가구 또는 건축 구조체 마감 방법.
  • 제7항에서,
    상기 가구 또는 건축 구조체를 이루는 가틀 및 속틀은 목재 재질로 이루어지는 엘피엠 절곡 내장재를 이용한 가구 또는 건축 구조체 마감 방법.
  • 说明书全文

    엘피엠 절곡 내장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 및 건축 구조체 마감 방법{LPM INTERIONR METERIALS, MANUFACTURING METHODE THEREOF, AND FINISHING METHODE OF FURNITURE AND CONSTRUTION STRUCTURE BOD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엘피엠 절곡 내장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 및 건축 구조체 마감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엘피엠 함침지 또는 엘피엠 도포지를 마감재로 사용하여 심미감과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굽힘 보강층을 이용해 절곡이 가능하도록 굽힘 강성을 보강하여 가구 및 건축 구조체의 마구리부를 일체로 마감할 수 있는 엘피엠 절곡 내장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 및 건축 구조체 마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엘피엠 내장재는 엘피엠 함침지(LPM; LOW PRESSURE MELRAMIN) 함침지를 마감재로 사용한 내장재를 의미한다.

    엘피엠 함침지는 여러 가지 문양이 인쇄된 시트지에 멜라민수지를 저압으로 함침시켜 만든 마감재의 일종으로 가구나 문짝/문틀과 같은 건축 구조체의 외적 심미감을 높일 수 있고 아울러 방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처럼, 종래 엘피엠 내장재는 바닥재로 널리 사용될 만큼 가구나 건물용 구조체에 사용되는 내장재이기는 하나 쉽게 부러지는 특성상 평평한 표면부분만 사용하며, 가구나 건물용 구조체의 마구리부분은 별도의 에이치피엠(HPM: HIGH PRESSURE MELRAMIN), 합성수지 엣지재 또는 알루미늄 등을 열가소성 접착재를 이용하여 저압으로 부착하여 제작해 왔다.

    따라서, 가구나 건물 구조체의 표면부와 마구리부분에 사용되는 내장재가 서로 다르게 사용되기 때문에 전면부와 마구리부의 불일체감에 의해 미감을 저하시키게 되고, 접착재의 접착력 및 방수성이 부족하여 물, 습기, 열 등에 취약하여 접착재층으로부터 내장재가 박리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엘피엠 함침지 또는 엘피엠 도포지를 마감재로 사용하여 심미감과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굽힘 보강층을 이용해 절곡이 가능하도록 굽힘 강성을 보강하여 가구 및 건축 구조체의 마구리부를 일체로 마감할 수 있는 엘피엠 절곡 내장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 및 건축 구조체 마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는, 목재 판상층; 상기 목재 판상층 상에 적층 형성되는 마감재층; 및 상기 목재 판상층과 상기 마감재층 사이에 층을 이루며 개재되어 절곡시 상기 마감재층의 굽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굽힘 보강층;을 포함하고, 상기 마감재층을 이루는 마감재는 엘피엠 함침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목재 판상층은 목재 판상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목재 판상재는 피비(PB; PARTICLE BOARD), 엠디에프(MDF; MEDIUM DENSITH FIBERBOARD), 에이치디에프(HDF; HIGH DENSITH FIBERBOARD), 합판 또는 목재 집성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굽힘 보강층을 이루는 보강재는 적어도 일측면에 접착재층이 형성되는 부직포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의 제조 방법은상기 목재 판상층을 이루는 목재 판상재 상측에 상기 굽힘 보강층을 이루도록 상기 목재 판상재쪽 일측면에 접착재층이 형성된 부직포를 올려 적층시키는 단계; 상기 부직포 상층에 상기 마감재층을 이루는 엘피엠 함침지를 올려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와 상기 엘피엠 함침지를 프레스를 이용해 상기 목재 판상재 위에 압착시켜 내장재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 제조 방법은, 상기 목재 판상층을 이루는 목재 판상재 상측에 상기 굽힘 보강층을 이루도록 양측면에 각각 접착재층이 형성된 부직포를 올려 적층시키는 단계; 상기 마감재층을 이루도록 멜라민수지가 상측에 도포된 시트지를 상기 부직포 상층에 올려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부직포와 상기 멜라민수지가 도포된 시트지를 프레스를 이용해 상기 목재 판상재 위에 압착시켜 내장재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를 이용한 가구 또는 건축 구조체 마감 방법은, 상기 엘피엠 절곡 내장재를 상기 가구 또는 상기 건축 구조체의 절곡 형상에 따라 목재 판상층에 절곡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엘피엠 절곡 내장재를 가열한 후, 상기 목재 판상층의 표면과 절곡홈에 유성 접착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유성 접착재가 도포된 상기 엘피엠 절곡 내장재를 절곡 프레스 및 레핑 형태의 프레스로 가압하여 절곡된 형상의 마감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감틀을 상기 가구 또는 건축 구조체를 이루는 가틀 및 속틀에 방수 접착재를 도포한 후, 가압 접착하여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절곡홈은 상기 굽힘 보강층을 향해 폭이 좁아지게 "V"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구 또는 건축 구조체를 이루는 가틀 및 속틀은 목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에 따르면, 엘피엠 함침지를 마감재로 사용하여 내장재의 심미감과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굽힘 보강층을 이용해 절곡이 가능하도록 굽힘 강성을 보강하여 가구 및 건축 구조체의 마구리부를 일체로 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엘피엠 절곡 내장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엘페엠 절곡 내장재의 제조 과정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를 이용한 가구 또는 건축 구조체 마감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엘피엠 절곡 내장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1)는 목재 판상층(10), 굽힘 보강층(20) 및 마감재층(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목재 판상층(10)은 엘피엠 내장재의 베이스 플레이트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기설정된 내구성 및 강성을 갖도록 피비(PB; PARTICLE BOARD), 엠디에프(MDF; MEDIUM DENSITH FIBERBOARD), 에이치디에프(HDF; HIGH DENSITH FIBERBOARD), 합판 또는 목재 집성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성 목재 집성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굽힘 보강층(20)은 목재 판상층(10) 위에 적층 형성되어 엘피엠 절곡 내장재를 절곡시켜 사용시 마감재층(30)을 이루는 마감재의 굽힘 강성을 보강하도록 한다.

    여기서, 굽힘 보강층(20)을 이루는 보강재는 적어도 일측면에 접착재층이 형성되는 부직포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접착재층은 굽힘 보강층(20)을 이루는 부직포와 목재 판상층(10)을 이루 목재 판상재와 마감재층(30)을 이루는 마감재가 서로 접합될 수 있도록 유성 접착재(즉, 핫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마감재층(30)은 상기한 굽힘 보강층(20) 상측에 적층 형성되며, 마감재층(30)을 이루는 마감재는 멜라민수지를 저압에서 함침시켜 형성한 엘피엠 함침지 또는 멜라민수지가 상측면에 도포하여 형성한 멜라민 도포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마감재를 엘피엠 함침지를 사용하는 경우 굽힘 보강층(20)을 이루는 보강재는 목재 판상층(10)을 이루는 목재 판상재쪽 일측면에 접착재층이 형성된 부직포를 사용하게 되며, 엘피엠 함침지에 함침된 멜라민수지와 부직포 일측면에서 접착재층을 형성하는 유성 접착재에 의해 엘피엠 함침지와 부직포가 목재 판상재 상측에 열압착되 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마감재를 엘피엠 도포지를 사용하는 경우 굽힘 보강층(20)을 이루는 보강재는 양측면에 접착재층이 형성된 부직포를 사용하게 되며. 함침된 멜라민수지와 부직포 양측면에서 접착재층을 형성하는 유성 접착재에 의해 엘피엠 도포지와 부직포가 목재 판상재 상측에 열압착되어 부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1)는 엘피엠 함침지를 마감재로 사용하여 내장재의 심미감과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굽힘 보강층을 이용해 절곡이 가능하도록 굽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에 대한 제조 과정을 도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의 제조 과정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1)의 제조 과정은, 보강재 적층 단계(ST11), 마감재 적층 단계(ST12), 열압착 단계(ST13) 및 완성 단계(ST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엘피엠 함침지(21)를 사용하여 엘피엠 절곡 내장재(1)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보강재 적층 단계(ST11)에서는 목재 판상층(10)을 이루는 목재 판상재(11) 상측에 굽힘 보강층(20)을 이루도록 목재 판상재(11)쪽 일측면에 접착재층(22)이 형성된 부직포(21)를 올려 적층한다.

    마감재 적층 단계에서는 목재 판상재(11) 상측에 적층된 부직포(21) 상층에 마감재층(20)을 이루는 엘피엠 함침지(21)를 올려 적층한다.

    그리고, 열압착 단계(ST13) 및 마감 단계(ST14)에서는 부직포(21)와 엘피엠 함침지(21)를 프레스를 이용해 상기 목재 판상재(11) 위에 열압착시켜 엘피엠 절곡 내장재(1)를 완성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엘피엠 도포지(25)를 이용하여 엘피엠 절곡 내장재(1)를 제조하는 경우, 상기한 보강재 적층 형성 단계(ST11)에서는 목재 판상층(10)을 이루는 목재 판상재(11) 상측에 굽힘 보강층(20)을 이루도록 양측면에 각각 접착재층(26, 27)이 형성된 부직포(25)를 올려 적층시키고, 마감재 적층 단계(ST)에서는 상기 마감재층을 이루는 멜라민 도포지(35)를 상기 부직포(25) 상층에 올려 적층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 제조 방법은 프레스를 이용해 한 번의 열압착 과정만으로 목재 판상층을 이루는 목재 판상재 위에 엘피엠 마감재층을 이루는 엘피엠 함침지 또는 엘피엠 도포지과 굽힘 보강층을 이루는 부직포를 압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1)를 이용해 가구 또는 문짝/문틀과 같은 건축 구조체를 마감하는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를 이용한 가구 또는 건축 구조체 마감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1)를 이용한 가구 또는 건축 구조체 마감 과정은 절곡홈 형성 단계(ST21), 유성 접착재 도포 단계(ST22), 마감틀 형성 단계(ST23) 및 마감 단계(ST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절곡홈 형성 단계(ST21)에서는 커터를 이용해 엘피엠 절곡 내장재(1)를 상기한 가구 또는 상기 건축 구조체의 형상에 따라 목재 판상층(10)에 절곡홈(50)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절곡홈(50)은 엘피엠 절곡 내장재(1)의 일측 단부가 "V"자 형상을 가지고 절곡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을 가지며 대략 상기 굽힘 보강층(20)을 향해 폭이 좁아지게 대략 90°를 이루며 "V"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구 또는 건축 구조체의 형상에 대응되게 직각 또는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고 절곡시킬 수 있도록 절곡홈(50)의 형상, 각도, 크기, 및 간격 등을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유성 접착재 도포 단계(ST22)에서는, 상기한 엘피엠 절곡 내장재(1)의 목재 판상층(10)의 표면과 상기한 절곡홈(50)이 형성된 내부에 유성 접착재(60)를 도포한다.

    마감틀 형성 단계(ST23)에서는 유성 접착재(60)가 도포된 상기 엘피엠 절곡 내장재(1)를 절곡 프레스 및 레핑 형태의 프레스로 가압하여 절곡된 형상의 마감틀을 형성하게 된다.

    마감 단계(ST24)에서는 마감틀을 가구 또는 건축 구조체를 이루는 가틀 또는 속틀(100)에 방수 접착재(70)를 도포한 후, 가압 접착하여 가구 또는 건축 구조체의 전면과 마구리면(측면)을 단일 내장재로 연속하며 감싸 마감하도록 한다.

    여기서, 엘피엠 절곡 내장재(1)의 굽힘 보강층(30)에 의해 굽힘 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가구 또는 건축 구조체를 이루는 가틀 및 속틀은 단가가 낮으나 수분 함수성이 높은 목재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엘피엠 절곡 내장재(1)에 절곡홈(50)을 형성하여 가구 및 건축 구조체의 형상에 따라 절곡시킴과 아울러 굽힘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원하는 규격, 디자인 및 내구성 등에 대한 맞춤 제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엘피엠 절곡 내장재 10: 목재 판상층
    11: 목재 판상재 20: 굽힘 보강층
    21, 25: 부직포 22, 26, 27: 접착재
    31: 엘피엠 함침지 35: 엘피엠 도포지
    36: 멜라민층 50: 절곡홈
    60, 70: 접착재 100: 가구 및 건축 구조체 속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