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이판의 제조방법

申请号 KR1020080008461 申请日 2008-01-28 公开(公告)号 KR1020090082601A 公开(公告)日 2009-07-31
申请人 이한국; 최긍수; 发明人 이한국;
摘要 A roasting pl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prevent generation of a crack in high temperature by improving heat resistance and generation of smoke when meat is baked and by producing the roasting plate with yellow soil emitting far infrared rays, mineral and carbon. A roasting plate includes a lower plate, an intermediate layer, and an upper plate. The lower plate is molded by mixing yellow soil and mineral powder with a rate of 3:7. The intermediate layer is molded by mixing carbon powder and the mineral powder with the rate of 5:5. The upper plate includes a layer molded by mixing the yellow soil and the mineral powder with the rate of 3:7 on the top.
权利要求
  • 황토와 생광석 분말을 3:7의 비율로 혼합반죽하여 성형된 하층과; 상기 하층 상면에 카본분말과 생광석 분말을 5:5의 비율로 혼합반죽하여 성형된 중층과; 상기 중층 상면에 황토와 생광석 분말을 3:7의 비율로 혼합반죽하여 성형된 상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 모형의 상층 내부 및 하층 내부에는 고열에 강한 재질의 메쉬가 내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
  • 황토와 생광석 분말을 3:7의 비율로 혼합반죽하여 하층을 형성하고, 상기 하층 상면에 카본분말과 생광석 분말을 5:5의 비율로 혼합반죽하여 중층을 형성하고, 상기 중층 상면에 황토와 생광석 분말을 3:7의 비율로 혼합반죽하여 상층을 형성한구이판 모형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구이판 모형을 자연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자연건조한 구이판 모형을 1000도 내지 1100도로 하루 내지 이틀동안 초벌하는 단계와;
    상기 구이판 모형 표면을 유약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유약처리된 구이판 모형을 1400도 내지 1600도로 하루 내지 이틀동안 재벌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의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 모형은 참나무 목초액을 이용하여 반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의 제조방법.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 모형의 상층 내부 및 하층 내부에는 고열에 강한 재질의 메쉬가 내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의 제조방법.
  • 说明书全文

    구이판 및 이의 제조방법{ROAST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구이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 생광석 및 카본을 주 재료로 제조하여 고기가 타지 않고 고기를 구을 때 연기가 발생하지 않으며, 고온으로 가열하여도 크랙이 가거나 깨지지 않는 구이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이판이란 버너나 숯불등 가열수단을 통해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는 판으로서, 철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철 재질의 구이판은 고기가 표면에서부터 구워지기 때문에 고기가 쉽게 타며 고기를 구을 때 연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0-50463호에서는 황토흙, 세라믹, 제오라이트, 생광석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구이기를 소개하고 있지만 상기 구이기는 황토흙, 세라믹, 제오라이트, 생광석으로 혼합하여 반죽된 구이기 모형을 600도 내지 700도로 구워서 제조하기 때문에 내화성이 약해 버너등으로 가열할 때 크랙이 생기거나 깨지는 문제점이 야기되어 훈제용으로만 사용될 뿐 직화용 구이판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 생광석 및 카본을 주 재료로 제조하여 고기가 타지 않고 고기를 구을 때 연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화성을 향상시켜 고온으로 가열하더라도 크랙이 생기거나 깨지지 않도록 한 구이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황토와 생광석 분말을 3:7의 비율로 혼합반죽하여 성형된 하층과; 상기 하층 상면에 카본 분말과 생광석 분말을 5:5의 비율로 혼합반죽하여 성형된 중층과; 상기 중층 상면에 황토와 생광석 분말을 3:7의 비율로 혼합반죽하여 성형된 상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을 제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황토와 생광석 분말을 3:7의 비율로 혼합반죽 하여 하층을 형성하고, 상기 하층 상면에 카본분말과 생광석 분말을 5:5의 비율로 혼합반죽하여 중층을 형성하고, 상기 중층 상면에 황토와 생광석 분말을 3:7의 비율로 혼합반죽하여 상층을 형성한구이판 모형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구이판 모형을 자연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자연건조한 구이판 모형을 1000도 내지 1100도로 하루 내지 이틀동안 초벌하는 단계와; 상기 구이판 모형 표면을 유약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유약처리된 구이판 모형을 1400도 내지 16000도로 하루 내지 이틀동안재벌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에 따르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황토, 생광석 및 카본을 주 재료로 제조하여 고기가 타지 않고 고기를 구을 때 연기가 발생하지 않으며, 내화성이 향상되어 고온으로 가열하여도 크랙이 가거나 깨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의 단면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의 제조방법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은 하층(11), 중층(12) 및 상층(13)으로 구성된 구이판 모형(10)을 자연건조, 초벌, 유약처리 및 재벌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층(11)은 황토와 생광석 분말을 3:7의 비율로 혼합반죽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황토와 생광석은 각각 원적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가열시 발생되는 원적외선은 고기내부로 침투하여 고기내부부터 구워지게 하기 때문에 고기가 타지 않고 연기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중층(12)은 카본 분말과 생광석 분말을 5:5의 비율로 혼합반죽한 반죽물을 상기 하층 상면에 적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카본과 생광석 분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적외선을 방출하게 되며, 특히 카본은 구이판 내부의 유해균을 살균하며 냄새를 탈취하게 하는 역할을 더불어 수행하게 된다.

    상기 상층(13)은 하층(11)과 동일하게 황토와 생광석 분말을 3:7의 비율로 혼합반죽한 반죽물을 중층 상면에 적층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층(11), 중층(12) 및 하층(13)을 반죽하여 형성될 때 사용되는 반죽액은 물이어도 무방하나 참나무 목초액을 이용하여 반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나무 목초액은 참나무를 태울 때 발생하는 연기가 공기와 접촉하여 떨 어지거나 연기를 포집하여 급속냉각시켜 생성되는 것으로서, 목초액 자체에는 균성장억제 기능이 있기 때문에 반죽물로 적용하면 구이판에 서생하는 유해균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독특한 독특한 스모크향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하층, 중층 및 상층으로 형성된 구이판 모형(10)은 대략 하루 내지 이틀 정도 자연건조된 다음 가마에 투입되어 초벌공정, 유약처리공정 및 재벌공정을 거쳐 구이판으로 제조된다.

    상기 초벌공정은 자연건조한 구이판 모형을 1000도 내지 1100도로 하루 내지 이틀 동안 가마에서 일차로 굽는 공정을 말한다.

    이와 같이 초벌공정을 거친 다음에는 상기 구이판 모형 표면을 유약처리하는 데 이는 구이판 표면에 광택을 주게 하며 강도를 향상시키며 흡수성을 저하시켜 물이나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와 같은 유약에는 생광석 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유약처리공정을 거친 다음에는 재벌공정을 거친다. 상기 재벌공정은 유약처리된 구이판 모형(10)을 1400도 내지 1600도로 하루 내지 이틀 동안 가마에서 굽는 공정으로, 이와 같이 초벌을 가한 다음 초벌보다 더 고온으로 재벌을 하게 되면 내열/내화성이 크게 증가하여 고온으로 가열하더라도 크랙이 발생하거나 깨지는 현상을 없앨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구이판 모형의 상층(13) 내부 및 하층(11) 내부에는 고열에 강한 재질, 예를 들면 철재질의 메쉬(14)를 내삽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층(13)과 하층(11)을 각각 반죽물을 통해 형성할 때 상층 내부와 하층 내부에 각각 메쉬(14)를 삽입시켜 형성되며, 이와 같이 메쉬(14)를 내삽하면 구이판의 강도가 향상되어 구이판을 떨어뜨리더라도 충격에 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의 단면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판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