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물 부착방지체 및 그 형성방법

申请号 KR1020090037828 申请日 2009-04-29 公开(公告)号 KR1020100118894A 公开(公告)日 2010-11-08
申请人 정경효; 류창인; 发明人 정경효; 류창인;
摘要 PURPOSE: Coating compositions for the non-sticking of advertisements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formed on the surface on which an advertisement is attached in order to prevent the data on the surface by preventing the advertisement from being attached to the surface. CONSTITUTION: Coating compositions for the non-sticking of advertisements comprises: an adhesive layer(10) which is applied to a surface; a base layer(20) which includes an embossing pattern on the adhesive layer; a first coating layer(40) which is formed by applying a water-soluble stylene acrylic synthetic high polymer on an oily acrylic system syntheticresin paint; and a second coating layer(50) which is formed by mixing an antifouling paint with a reflective material.
权利要求
  • 노상 시설물의 지주나 건축물 및 구조물의 벽체와 같은 피착면에 형성되어 접착물의 부착을 억제하는 광고물 부착방지체에 있어서,
    피착면에 도포 형성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위에 엠보싱 패턴을 형성하여 되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위에 유성 아크릭계 합성수지 도료 또는 수용성 스칠렌 아크릭계 합성고분자 도료를 도포하여 된 1차 코팅층과;
    상기 1차 코팅층 위에 부착방지도료와 재귀반사물질을 혼합하여 이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2차 코팅층;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물 부착방지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0.01~0.5mm 두께를 가지며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침투 프라이머, 합성고무재, 변성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층은 1~2mm의 두께를 가지며 시멘트, 골재, 피그먼트(분말형 색소), 프라이머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물 부착방지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과 1차 코팅층 사이에는 아크릴 계열의 도료로 문양, 무늬, 글씨, 도안을 형성하여 된 1~2mm의 두께를 갖는 도안층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물 부착방지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팅층은 0.01~0.5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2차 코팅층은 0.01~0.5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물 부착방지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방지도료는 아릴 실리콘 계열, 에폭시 계열, 불소 계열의 수지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조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물 부착방지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물질은 야광도료, 형광도료, 축광도료, 유리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물 부착방지체.
  • 피착면을 수세척하고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단계;
    수세된 피착면 위에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침투 프라이머, 합성고무재, 변성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된 조성물을 0.01~0.5mm의 두께로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접착층 위에 시멘트, 골재, 분말형 색소, 프라이머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성하여 1~2mm의 두께를 갖도록 도포시켜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베이스층 위에 유성 아크릭계 합성수지 도료 또는 수용성 스칠렌 아크릭계 합성고분자 도료를 도포하여 0.01~0.5mm의 두께의 1차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1차 코팅층 위에 아릴 실리콘 계열, 에폭시 계열, 불소 계열의 수지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조성하여 된 부착방지도료와 유리분말을 혼합하여 도포하여 0.01~0.5mm의 두께의 2차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물 부착방지체의 형성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을 형성한 이후에 아크릴 계열의 도료로 문양, 무늬, 글씨, 도안을 형성하여 된 1~2mm의 두께를 갖는 도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물 부착방지체의 형성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 또는 도안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올록볼 록한 표면을 갖도록 엠보싱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물 부착방지체의 형성방법.
  • 说明书全文

    광고물 부착방지체 및 그 형성방법{Pollution-prevention advertisement stickernon-sticking coating compositions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노상 시설물의 지주나 건축물 및 구조물의 벽체와 같은 피착면에 접착물의 부착을 억제하고 부착된 접착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광고물 부착방지체 및 그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이 용이하면서 다양한 도안이 가능하고 접착물의 부착을 장기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광고물 부착방지체 및 그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 콘트롤박스 등의 노상 시설물이나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벽체와 같은 피착면은 평탄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설물이나 구조물의 피착면에는 다양한 광고 내용을 담은 광고지나 부착물이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 등으로 부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부착된 광고지 또는 광고물들은 시설물이나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외형을 흉물스럽게 만들어 도시 미관을 해치게 되고,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매우 지저분한 느낌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나 건물주들은 많은 시간과 인력을 동원하여 상기와 같은 불법 부착 광고지를 제거하고 있는데, 반복적인 불법 부착광고물의 제거로 인하여 시설물 자체의 변형이나 훼손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부착 광고물의 제거에 막대한 예산과 인력이 소요되는 폐단이 있는 실정이다.

    특히, 노상시설물의 지주는 그 표면이 평평한 면이나 원주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벽체는 평면이기 때문에 스티커나 포스터와 같은 지류로 되어 있는 광고물이나 접착물의 부착이 용이하며, 따라서 이를 감시하고 방지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일단 접착이 된 후에는 스티커나 포스터와 같은 광고물이나 접착물이 평면상으로 견고하게 접착하여 있어 깨끗하게 제거되지 않아 거리미관과 시설물의 오염 및 훼손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광고물이나 접착물의 부착방지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광고물이나 접착물을 금지한다는 단순 경고용 문구 이외에 효과적인 방지 수단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287359호에는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판이 제안된 바 있다. 개시된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판은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탄성력을 갖도록 합성고무로 형성되며, 전면에 돌출길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된 제1돌기, 제2돌기, 제3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일측 단부에 다수개의 체결돌기가 돌출되며 이의 타측에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체결공에 체결돌기가 끼워지도록 한 판재; 및 상기 체결돌기가 끼워지도록 내부 중앙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구멍의 상부에 체결돌기를 절곡시 내부에 삽입되도록 체결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각각의 구멍과 연결된 체결홈의 양측 벽면에 다수의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체결돌기의 외주연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불법 부착물 방지판은 광고지 부착영역에 광고판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 부위에 많은 제약을 받게되어 불법 광고물의 부착방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방지판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표면에 엠보싱이 처리된 띠상의 합성수지 구조를 이루어 기둥에 나선상으로 감아 고정시키거나, 액상의 실리콘에 모래를 배합한 물질을 대상물 표면에 도장 또는 도포시키거나, 액상의 실리콘을 대상물 표면에 도장 또는 도포 후 롤러를 사용하여 표면에 엠보싱이 형성되도록 하고 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시공 후 동전, 손톱, 쇠붙이 등으로 긁거나 충격을 가하게되면 표면이 벗겨지거나 파손되어 오히려 주위의 미관을 해치게 된다.

    즉, 종래의 광고물이나 접착물의 부착방지를 위해 제안된 기술들은 별도의 시트지나 방지판 부재를 피착면에 부착시켜야 하므로 미관을 향상시킴에 있어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시트지나 방지판이 피착면으로부터 쉽게 박리 또는 분리되는 것에 의해 오히려 미관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또한, 액상의 실리콘과 모래를 섞어 피착면에 도포시키는 방법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모래가 떨 어져 나가면서 먼지 발생의 원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모래의 균일한 도포가 곤란하여 작업성이 대단히 불량함에 따라 시공기간이 길어지고 시공품질에 대한 표준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상 시설물의 지주나 건축물 및 구조물의 벽체와 같은 피착면의 형상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광고물 부착방지체 및 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착 광고물에 대한 부착 방지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광고물 부착방지체 및 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이 간편하고 다양한 도안의 형성이 가능하여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 도시미관 향상을 기할 수 있는 광고물 부착방지체 및 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물 부착방지 체는, 노상 시설물의 지주나 건축물 및 구조물의 벽체와 같은 피착면에 형성되어 접착물의 부착을 억제하는 광고물 부착방지체에 있어서, 피착면에 도포 형성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위에 엠보싱 패턴을 형성하여 되는 베이스층과; 상기 베이스층 위에 유성 아크릭계 합성수지 도료 또는 수용성 스칠렌 아크릭계 합성고분자 도료를 도포하여 된 1차 코팅층과; 상기 1차 코팅층 위에 부착방지도료와 유리분말을 혼합하여 도포하여 형성되는 2차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접착층은 0.01~0.5mm 두께를 가지며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침투 프라이머, 합성고무재, 변성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층은 1~2mm의 두께를 가지며 시멘트, 골재, 피그먼트(분말형 색소), 프라이머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베이스층과 1차 코팅층 사이에는 아크릴 계열의 도료로 문양, 무늬, 글씨, 도안을 형성하여 된 1~2mm의 두께를 갖는 도안층이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1차 코팅층은 0.01~0.5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2차 코팅층은 0.01~0.5mm의 두께를 갖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부착방지도료는 아릴 실리콘 계열, 에폭시 계열, 불소 계열의 수지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조성하여 된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재귀반사물질은 야광도료, 형광도료, 축광도료, 유리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인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물 부착방지체 형성방법은, 피착면을 수세척하고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단계; 수세된 피착면 위에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침투 프라이머, 합성고무재, 변성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된 조성물을 0.01~0.5mm의 두께로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접착층 위에 시멘트, 골재, 분말형 색소, 프라이머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성하여 1~2mm의 두께를 갖도록 도포시켜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단계; 베이스층 위에 유성 아크릭계 합성수지 도료 또는 수용성 스칠렌 아크릭계 합성고분자 도료를 도포하여 0.01~0.5mm의 두께의 1차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1차 코팅층 위에 아릴 실리콘 계열, 에폭시 계열, 불소 계열의 수지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조성하여 된 부착방지도료와 유리분말을 혼합하여 도포하여 0.01~0.5mm의 두께의 2차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베이스층을 형성한 이후에 아크릴 계열의 도료로 문양, 무늬, 글씨, 도안을 형성하여 된 1~2mm의 두께를 갖는 도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베이스층 또는 도안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올록볼록한 표면을 갖도록 엠보싱 패턴을 형성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물 부착방지체는 현장에서 직접 시공하므로 종전의 부착형 제품들에 비해 훼손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시공 대상면인 피착면(노상 시설물의 지주나 건축물 및 구조물의 벽체)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일체감이 높이 미관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훼손의 우려가 낮은 이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컬러 이미지나 도안이 형성됨에 따라 도시 미관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차 코팅층과 2 차 코팅층에 야과, 축광, 형광, 반사물질을 혼합 적용하는 경우에는 야간 식별성을 부여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고물 부착방지체 및 그 형성방법은 시공 대상면에 제한을 받지 않고 다양한 구조물에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안 형성이 가능하므로 단순한 부착물의 방지를 위한 용도 뿐만 아니라 도시 미관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불법 부착 광고물의 제거에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물 부착방지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물 부착방지체는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 콘트롤박스 등의 노상 시설물이나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벽체와 같은 피착면(c)에 직접 시공 형성되어 부착물의 부착을 억제하면서 반사를 통한 야간 식별성을 높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착면(c)에 도포 형성되는 접착층(10)과, 상기 접착층(10) 위에 엠보싱 패턴을 형성하여 되는 베이스층(20) 그리고 상기 베이스층(20) 위에 아크릴 계열의 도료로 문양, 무늬, 글씨, 도안을 형성하여 된 1~2mm의 두께를 갖는 도안층(30) 및 이 도안층(30) 위에 형성되거나 또는 도안층(30)을 제외하고 상기 베이스층(20) 위에 직접 형성되는 것으로 유성 아크릭계 합성수지 도료 또는 수용성 스칠렌 아크릭계 합성고분자 도료를 도포하여 된 1차 코팅층(40)과, 상기 1차 코팅층(40) 위에 부착방지도료와 재귀반사물질을 혼합하여 도포하여 형성되는 2차 코팅층(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착층(10)은 부드러운 솔이나 롤러 스프레이건 또는 에어리스 등으로 된 공구를 이용하여 피착면(c)에 균일하게 도포된다.

    이때의 상기 접착층(10)의 성분은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침투 프라이머(합성고무(styrene-butadiene rubber)와 변성실리케이트)를 0.01~0.5mm의 두께로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합성고무는 동적특성, 균열저항성, 마모성, 저온특성,노화성이 우수하며, 상기 변성실리케이트는 콘크리트 표면 강화제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접착층(10)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합성고무와 변성실리케이트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베이스층(20)은 피착면(c) 즉, 콘크리트 단면에 다양한 색상으로 보강하여 표면을 강화시킨 것이다. 이러한 베이스층(20)은 1~2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시멘트, 골재, 피그먼트(분말형 색소), 프라이머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조성된 혼합물을 스프레이건으로 피착면(c)에 도포하여 형성되며, 색상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상기 피그먼트 성분을 제외하면 된다.

    도안층(30)은 상기 베이스층(20)과 달리 구체적이고 세밀한 디자인이 필요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안층(30)의 형성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스텐실(문양지)으로 작업(밑그림-전체적인 디자인의 기본이 되는 밑그림)하고, 좀더 세밀한 작업 (예 : 꽃, 나무 등 실사 느낌이 날 수 있는 도안)을 할시 벽화용 아크릴 물감으로 작업을 하고 아크릴 물감 위에 아크릴 코팅을 한다. 이러한 도안층(30)은 1~2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코팅층(40)은 시공제품의 광택과 보존유지, 오염방지를 위한 층으로서, 0.01~0.5mm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러한 1차 코팅층(40)은 스프레이건으로 균일하게 도포하여 형성되며, 유성 아크릭계 합성수지 또는 수용성 스칠렌 아크릭계 합성고분자로 이루어진 도료가 사용된다.

    2차 코팅층(50)은 광고물 부착 방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0.01~0.5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2차 코팅층(50)은 광고물 부착 방지를 위한 부착방지도료와 반사제품인 재귀반사물질을 혼합하여 부드러운 솔이나 롤러, 스프레이건, 에어리스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도포 형성된다.

    이때의 상기 부착방지도료는 크실렌(xylene) 계열, 아릴 실리콘 계열, 에폭시 계열, 불소 계열의 수지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조성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조성물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재귀반사물질은 공지의 야광도료, 형광도료, 축광도료, 유리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된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유리분말이 사용되는 것을 제안한다. 즉, 상기 부착방지도료와 유리분말을 혼합하여(유리분말30~60%, 부착방지도료 40~70%) 공구를 사용하여 도포시킴으로써 2차 코팅층(50)을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은 광고물 부착방지를 위해 엠보싱 패턴을 부가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엠보싱 패턴은 상기 베이스층(20) 또는 도안층(3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프레이건으로 올록볼록한 표면을 갖도록 베이스층(20) 또는 도안층(30)이 형성되며, 이후에 형성되는 1차 코팅층(40)이나 2차 코팅층(50) 역시 균일한 두께로서 형성됨에 따라 엠보싱 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고물 부착방지체의 형성방법을 설명한다.

    첫째, 피착면(c)을 수세척하고 스크래치를 형성한다. (s10)

    즉, 피착면(c)에 물청소를 하여 기존의 광고물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피착면(c)에 고압세척기나 연마기 등을 이용하여 스크래치 작업을 하여 미세한 글킴 구조를 만든다. 이 과정을 통해광고물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피착면(c)의 매그러운 표면을 거칠게 하여 시공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함이다.

    둘째, 수세된 피착면(c) 위에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침투 프라이머, 합성고무재, 변성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된 조성물을 0.01~0.5mm의 두께로 도포하여 접착층(10)을 형성한다.(s20)

    이때의 상기 접착층(10)의 형성은 피착면(c) 위에 후술할 베이스층(20)을 비롯한 도안층(30) 및 1차 코팅층(40)과 2차 코팅층(50)의 시공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상기 피착면(c)의 부착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프라이머 등이 사용된다.

    셋째, 상기 접착층(10) 위에 시멘트, 골재, 분말형 색소, 프라이머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성하여 1~2mm의 두께를 갖도록 도포시켜 베이스층(20)을 형성한다.(s30)

    즉, 상기 베이스층(20)의 형성은 시공할 면 위에 바탕색을 뿌려 도장하는 것으로 일예로, 그림을 그릴 때 흰색 도화지를 형성하는 것에 해당된다.

    넷째, 상기 베이스층(20)을 형성한 후에 아크릴 계열의 도료로 문양, 무늬, 글씨, 도안을 형성하여 된 1~2mm의 두께를 갖는 도안층(30)을 형성한다. 즉, 상기 도안층(30)의 형성은, 다양한 무늬나 그림, 이미지를 표현하여 단순히 광고물의 부착 방지를 위한 기능뿐만 아니라 미관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섯째, 상기 도안층(30) 위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도안층(30)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층(20)에 형성되는 것으로, 유성 아크릭계 합성수지 도료 또는 수용성 스칠렌 아크릭계 합성고분자 도료를 도포하여 0.01~0.5mm의 두께의 1차 코팅층(40)을 형성한다.(s40)

    즉, 상기 1차 코팅층(40)의 형성은, 전신주와 같은 피착면(c)의 이미지를 형성한 상태에서 보존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섯째, 상기 1차 코팅층(40) 아릴 실리콘 계열, 에폭시 계열, 불소 계열의 수지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 조성하여 된 부착방지도료와 유리분말을 혼합하여 도포하여 0.01~0.5mm의 두께의 2차 코팅층(50)을 형성한다.(s60) 즉, 상기 2차 코팅층(50)의 형성은, 직접적인 광고물 부착 방지를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층(20) 또는 도안층(30)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올록볼록한 표면을 갖도록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다. 이러한 엠보싱 패턴 형성은 작업자가 일정한 간격으로 도료를 집중 분사하여 돌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시공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물 부착방지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물 부착방지체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고물 부착방지체

    10 : 접착층

    20 : 베이스층

    30 : 도안층

    40 : 1차 코팅층

    50 : 2차 코팅층

    c : 피착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