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방용 황토판재의 제조방법

申请号 KR1020020066223 申请日 2002-10-29 公开(公告)号 KR1020040037649A 公开(公告)日 2004-05-07
申请人 김승환; 发明人 김승환;
摘要 PURPOSE: Provided is a method for producing a yellow soil board for heating which is useful for a heating bed or an interior element for building construction to be installed on the floor or wall. CONSTITUTION: The method include the steps of: mixing pulp, yellow soil, a thickening agent, water, gypsum and additives to form a mixture; forming a heat generating body; placing yellow hemp on a mold, disposing the heat generating body thereon, injecting the mixture on the heat generating body and covering the surface of the mixture with yellow hemp, followed by compression to form a yellow soil board; drying the board in a dry chamber; and coating the dried board with a finishing agent. The additives are jade powder and charcoal powder.
权利要求
  • 난방용 황토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펄프, 황토, 증점제, 물, 석고와 첨가제를 혼합하여 혼합물(10)을 형성하는 혼합공정(1)과;
    발열부재를 교호로 연속반복되게 형성하되, 그 교호되는 부분으로 상하관통된 유입공간부(22)가 형성되게 발열체(20)를 형성하는 발열체 형성공정(2)과;
    상기 발열체 형성공정 후 성형틀에 황마(30)를 깔고 그 상면에 상기 발열체(20)를 올려 놓은 후 그 상부로 상기 혼합물(10)을 주입하고 그 혼합물의 상면으로 다시 황마(30)를 덮은 다음 프레스로 압착하여 상기 발열체(20)와 상하부의 황마(30)가 혼합물(10)의 내부로 매입되어 상호 일체화시켜 판재 형태로 성형하는 판재 성형공정(3)과;
    상기 판재 성형공정 후 그 성형된 판재를 건조실에서 건조하여 경화된 형태의 판재로 형성하는 판재 건조공정(4)과;
    상기 판재 건조공정 후 그 경화된 판재의 표면으로 마감재를 코팅하는 코팅공정(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황토판재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공정에서 투입되는 첨가제는 옥가루 및 참숯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황토판재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 형성공정을 거쳐 형성된 발열체에는 그 발열체와 연결되는 온도감지센서와 바이메탈로 구성되어 온도에 따라 전기를 인가 및 차단하는 콘트럴부와 그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설치되는 전원부(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황토판재의 제조방법.
  • 说明书全文

    난방용 황토판재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ting board composed of yellow soil}

    본 발명은 필요한 용도에 따라 온열침대 또는 건축자재의 내장재인 방바닥이나 측벽으로 설치되는 난방용 황토판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황토판재 제조시 발열체를 그 황토판재 내부로 매입시킴과 동시에 옥가루와 참숯분말을 첨가하여 단시간 내에 열전도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최소한의 무게를 갖는 경량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난방용 황토판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토에 열을 가하게 되면 인체에 유익한 자체 내의 복사열인 바이오 원적외선 에너지가 방출되어져 건강유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 임상실험등을 통하여 입증되면서 황토를 이용하여 각종 건축자재의 내장재인 방바닥이나 측벽 및 온열침대의 온열판 등과 같은 필요로 하는 용도에 따라 판재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황토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종래 판재의 경우에는 경도가 약하다는 점과, 건조하는 데 장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긁힘이 쉽게 이루어지고 방습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미관이 좋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 제221791호 "온돌 흙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안출한 바, 이는 온돌 흙판재 제조시 혼합물 중에 실리카와 흑운모파우더를 더 첨가하여 제조하므로서, 전술한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한편, 전술한 종래의 일반적인 황토로 제조된 판재나 본 출원인의 등록권리인 흙판재의 경우, 근래 사용되는 온열침대의 온열판으로 많이 사용하게 되는 데, 이는 히팅수단인 공지의 히팅코일이나 면상발열체 등과 같은 발열체의 상부로 재치된 상태에서 히팅이 이루어지도록 사용되고 있다.

    그에 따라 종래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황토로 제조된 판재의 경우, 그 하부로 위치한 발열체에 의해 히팅되는 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그로 인해 많은 소비전력 또한 소비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판재와 발열체가 적층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짐에 따라 설치 상에 많은 번거러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두께가 자체적으로 두꺼워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으며, 황토판재의 특성상 중량도 많이 나가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의 등록권리인 특허등록 제221791호 "온돌 흙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량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황토판재 제조시 발열체를 그 황토판재 내부로 매입시킴과 동시에 옥가루와 참숯분말을 첨가하여 단시간 내에 열전도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최소한의 무게를 갖는 경량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황토판재 각각의 개별적인 난방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난방용 황토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펄프, 황토, 증점제, 물, 석고와 첨가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혼합공정과; 발열부재를 교호로 연속반복되게 형성하되, 그 교호되는 부분으로 상하관통된 유입공간부가 형성되게 발열체를 형성하는 발열체 형성공정과; 상기 발열체 형성공정 후 성형틀에 황마를 깔고 그 상면에 상기 발열체를 올려 놓은 후 그 상부로 상기 혼합물을 주입하고 그 혼합물의 상면으로 다시 황마를 덮은 다음 프레스로 압착하여 상기 발열체와 상하부의 황마가 혼합물의 내부로 매입되어 상호 일체화시켜 판재 형태로 성형하는 판재 성형공정과; 상기 판재 성형공정 후 그 성형된 판재를 건조실에서 건조하여 경화된 형태의 판재로 형성하는 판재 건조공정과; 상기 판재 건조공정 후 그 경화된 판재의 표면으로 마감재를 코팅하는 코팅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공정에서 투입되는 첨가제는 옥가루 및 참숯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체 형성공정을 거쳐 형성된 발열체에는 그 발열체와 연결되는 온도감지센서와 바이메탈로 구성되어 온도에 따라 전기를 인가 및 차단하는 콘트럴부와 그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설치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도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개략적인 황토판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판재 성형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성형 전을 나타낸 요부도.

    도 3b는 성형 후를 나타낸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혼합공정 2 : 발열체 형성공정

    3 : 판재 성형공정 4 : 판재 건조공정

    5 : 코팅공정

    10 : 혼합물

    20 : 발열체

    22 : 유입공간부

    30 : 황마

    40 : 전원부

    P : 황토판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항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도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개략적인 황토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판재 성형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성형 전을 나타낸 요부도이고, 도 3b는 성형 후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난방용 황토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

    본 발명은 공지된 혼합기에 부서짐 방지와 완충역할을 위해 투입되는 펄프와, 가해지는 열에 의해 복사열인 바이오 원적외선 에너지가 다량으로 방출되는 황토와, 투명한 점조액으로 물에 저농도로 분산을 시키면 매우 높은 점도를 나타내는 증점제와, 물과, 물기가 전혀 없는 석회질로 빨리 굳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투입되는 석고와 첨가제를 일정시간 동안 혼합하여 혼합물(10)을 형성하는 혼합공정(1)과;

    전기가 인가됨으로 인해 히팅되어 지는 공지된 면상발열체 등과 같은 띠형태의 발열부재를 교호로 연속반복되게 형성하되, 그 교호되는 부분으로 상하관통되어 상기 혼합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공간부(22)가 형성되게 발열체(20)를 형성하는 발열체 형성공정(2)과;

    상기 발열체 형성공정 후 황토판재를 성형하기 위한 일반적인 성형틀에 도 3a에서와 같이 황마(30)를 깔고 그 상면에 상기 발열체(20)를 올려 놓은 후 그 상부로 상기 혼합물(10)을 주입하고 그 혼합물의 상면으로 다시 황마(30)를 덮은 다음 통상적인 방식인 프레스로 압착함에 따라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발열체(20)의유입공간부와 상하부의 황마(30) 황마사 사이로 혼합물(10)이 유출되어 그 상하부 황마의 표면을 덮어 혼합물의 내부로 발열체와 황마가 매입되어 상호 일체화시켜 판재 형태로 성형하는 판재 성형공정(3)과;

    상기 판재 성형공정 후 그 성형된 판재를 통상의 건조실에서 대략 60℃에서 일정시간을 건조하여 경화된 형태의 판재로 형성하는 판재 건조공정(4)과;

    상기 판재 건조공정 후 그 경화된 판재의 표면으로 공지된 UV이나 우레탄 또는 리놀륨 등과 같은 마감재를 코팅하는 코팅공정(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혼합공정에서 투입되는 첨가제는 열전도율이 높아 빠른 열전도성을 가지게 됨은 물론 가열에 따라 황토와 함께 더욱더 많은 원적외선을 방출시키는 옥가루와, 비중이 상당히 낮아 황토판재 자체를 경량화시킬 수 있음 물론 이도 다량의 원적외선 외에 음이온을 방출함과 아울러 탈취효과가 탁월한 참숯분말을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체 형성공정을 거쳐 형성된 발열체에는 그 발열체와 연결되는 공지의 온도감지센서와 바이메탈로 구성되어 온도에 따라 전기를 인가 및 차단하는 일반적인 콘트럴부와 그에 연결되는 플러그가 설치되는 전원부(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황토판재(P)는 그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즉, 온열침대의 온열판으로 사용시에는 별도의 발열체를 구비할 필요없이 그 황토판재에 매입되어 있는 발열체에 의해 그 온열침대 자체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할수 있는 조건을 구비하게 됨과 아울러 별도의 발열체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러움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매입되어 있는 발열체로 인하여 그 황토판재가 히팅되는 데 까지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히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고, 히팅에 따른 황토와 옥가루 및 참숯분말에서 방출되는 인체에 유익한 다량의 원적외선과 음이온으로 인해 보다 건강한 신체를 유지함은 물론 참숯분말의 탈취효과로 인한 장시간 사용시에도 항시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온열침대의 온열판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건축자재의 내장재인 방바닥이나 측면으로 설치시에는 매입되어 있는 발열체로 전기를 인가하므로서, 별도의 보일러 등과 같은 난방시설 없이도 단시간 내에 실내의 난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도 구비하게 도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황토판재에는 그 자체에 구비된 전원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하나의 유니트화된 단일품으로 취급할 수 있게 되어, 온열 침대용이나 건축자재의 내장재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난방기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동절기에 구비하는 난방기기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건도 구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황토판재 제조시 발열체를 그 황토판재의 내부로 매입시킴과 동시에 옥가루와 참숯분말을 첨가하여 단시간 내에 열전도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최소한의 무게를 갖는 경향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취급 및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온열 침대용으로 사용시에는 최소한의두께를 가짐은 물론 찜질효과를 최대한 높일 수 있으며, 건축자재의 내장재로 사용시에는 별도의 난방시설 없이도 난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가열에 따른 다량으로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으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취효과로 인한 항시 쾌적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또한, 각 황토판재에 구비되는 전원부로 인하여 황토판재 하나 자체에서 직접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일반적인 난방 기기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