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printer의 필라멘트 삽입 및 운반을 개선하기 위한 윤활 방법

申请号 KR1020130121606 申请日 2013-10-11 公开(公告)号 KR1020150042664A 公开(公告)日 2015-04-21
申请人 주식회사 로킷; 发明人 유석환;
摘要 3D 프린터는소모품인필라멘트를가열하여녹인후 저장매체에담긴디자인파일을읽어서기 디자인된파일대로출력물을만드는기기이다. 필라멘트를노즐에로딩할때가열된필라멘트끝부분이결정화가진행되어노즐막힘현상이빈번히일어나는데, 필라멘트끝 1-2cm 정도를식물성기름으로부드럽게도포해주면필라멘트표면에기름막이형성되어윤활효과가발생한다. 용융점이필라멘트를가열시키는온도범위 (190℃~260℃) 내에있는식물성기름을이용하여야하며도포시 필라멘트의막힘없는압출이가능하며출력물이끊김현상없이적층되는효과가있다.
权利要求
  • 3D printer의 재료인 필라멘트의 장비 내 공급 시 필라멘트 하단부분 (끝에서 1~2 cm) 에 위에 명시된 식물성 기름 중 하나를 발라주어 필라멘트 표면에 기름막이 형성되게 하여 표면 마찰이 줄어든 필라멘트를 설치된 모터와 기어로 하여금 부드럽게 끌어당겨 노즐부위까지 공급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는 윤활제
  • 제 1항에 있어서, 필라멘트가 유리화 되어 굳은 정도 혹은 양에 따라 그에 적절한 수준의 윤활 능력을 가진 식물성 기름을 선택하여 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방법
  • 说明书全文

    3D printer의 필라멘트 삽입 및 운반을 개선하기 위한 윤활 방법 {Lubrication method for better filament insertion and delivery for 3d printing}

    본 발명은 장비 내부로의 원활한 소모품 공급 및 가공을 위한 것으로써, 사용자가 제품을 가동할 시 장비 내부로 필라멘트 공급이 지속적으로 매끄럽게 되지 않거나 공급 후 정해진 대로 구동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부분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다.

    유체윤활은 접촉면이 윤활제에 의하여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마찰을 감소시키는 기술이다. 이 경우에 접촉표면에 걸리는 하중은 모두 접촉면의 상대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유압에 의하여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접촉 표면의 마모는 매우 작으며 마찰손실도 오직 윤활막 내에서 이루어 지게 된다. 유체 윤활시의 최소 유막두께는 0.008 - 0.020 mm 정도이며 마찰계수는 0.002 - 0.01 범위이다. 이와 같이 두 개의 마찰면 (필라멘트면과 extruder 내벽) 이 식물성 기름막에 의해서 완전히 그 사이가 막혀 있을 경우 마찰면의 단위폭 당 마찰력의 크기는 마찰속도, 마찰면적, 유막의 두께 및 기름의 점성에 의해 결정된다.

    FDM 방식의 3D printer는 제품을 만들어주는 재료로써 filament 형태의 플라스틱을 사용하는데, 필라멘트가 스텝 모터에 의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면서 extruder까지 닿게 된다. 이때 플라스틱을 녹이기 위해 190℃~260℃의 고온으로 열처리를 하게 되면 플라스틱 필라멘트가 녹으면서 제품마다 정해진 크기(0.2~0.5mm)의 노즐을 통해 압출된 필라멘트가 나오는데, 각 플라스틱이 고유하게 가지는 유리화 온도 (glass temperature)에 다다르면 플라스틱 끝부분이 녹아 결정화(crystallization) 과정이 진행되게 되고, 굳어진 플라스틱이 축적되면 노즐 막힘 현상의 원인이 된다.

    문제의 해결을 위해 윤활 과정이 필요하므로 플라스틱의 결정화가 진행되어 노즐 막힘 현상이 발생될 시 아래 항목에 있는 식물성 기름 중 하나를 선택해 1 cc를 덜어 필라멘트 하단 겉면에 문지르듯이 발라준다. 적합한 식물성 기름은 용융점 (smoke point)이 200℃~250℃ 사이에 있는 것으로써 필라멘트를 가열했을 시에도 원래 액체 기름상태의 분자구조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식물성 기름의 도포가 굳어진 필라멘트의 표면 마찰을 크게 감소시키게 되어 extruder 안으로 로딩되어 들어가는 과정에서 윤활 전에 비해 훨씬 부드럽게 들어가는 효과가 나타난다. 동물성 지방의 경우 육류의 가공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이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이것은 포화 탄화수소의 형태이기 때문에 쉽게 고체화되는 단점이 있다.

    No. Vegetable Oil Smoke point ( ℃)
    1 Almond Oil 216
    2 Avocado Oil (unrefined) 190-204
    3 Canola Oil 190-232
    4 Castor Oil 200
    5 Coconut Oil (refined) 232
    6 Corn Oil (refined) 232
    7 Cottonseed Oil 216
    8 Grapeseed Oil 216
    9 Hazelnut Oil 221
    10 Macadamia Oil 210
    11 Olive Oil
    (Virgin,Extra-Virgin,Pomas,Extra-Light)
    207
    12 Palm Oil 235
    13 Peanut Oil (refined) 232
    14 Soybean (refined) Oil 238
    15 Sesame Oil (semi-refined) 232
    16 Sunflower Oil (semi-refined) 232
    18 Walnut Oil (semi-refined) 204

    식물성 기름으로 필라멘트 도포 시 굳어있던 필라멘트 끝 부분이 extruder 안으로 부드럽게 로딩되어 가열되면서 다시 녹아 노즐 구멍을 통해 흘러나오게 된다. 굳어진 필라멘트 끝부분이 결정화가 이미 진행되어 무정형의 모양으로 굳어져 있는 경우. 필라멘트를 모터로 하여금 마찰없이 노즐까지 feeding 할 수 있게 하는 윤활 역할을 해줌으로써 사용자들이 제품 출력 시 필라멘트 공급의 끊김 현상 없이 원활하게 출력물을 layer-by-layer로 적층 할 수 있게 도와준다.

    3D프린터의 출력재료로 사용되는 필라멘트의 끊김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윤활제는 용융점이 필라멘트와 비슷한 식물성 기름을 선택하여야 한다. 이에 적합한 식물성 기름은 용융점 (smoke point)이 200℃~250℃ 사이에 있는 것으로써 필라멘트를 가열했을 시에도 원래 액체 기름상태의 분자구조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식물성 기름의 도포가 굳어진 필라멘트의 표면 마찰을 크게 감소시키게 되어 extruder 안으로 로딩되어 들어가는 과정에서 윤활 전에 비해 훨씬 부드럽게 들어가는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필라멘트의 출력중 끊김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