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PVC 대금을 업그레이드한 탐라 대중금(대금)

申请号 KR2020070002980 申请日 2007-02-21 公开(公告)号 KR2020070000348U 公开(公告)日 2007-03-22
申请人 김태권; 发明人 김태권;
摘要 본 고안은 전통 관악기 대금의 대중화를 위해 희귀종 고가의 쌍골죽을 대신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기존 플라스틱제 학습용 대금의 이점과 동일한 질량과 사이즈로 동일한 소리를 낼 수 있다는 장점을 살리는 반면에 실용성에서 확연히 결점을 보인 기존 플라스틱제 대금의 단점을 과감히 개선하고 보완하였다. 본 탐라 대중금은 심신 수련용이자 연습, 연주용으로서 손색이 없도록 업 그레이드한 대중성 있는 민간 관악기인 것이다. 다음과 같이 새롭게 거듭난 본 대금은 잡음발성을 방지하고 온, 반음구사와 감정표현이 용이토록 대금의 취구부분 그 형태와 크기를 입술에 알맞게 개선하였으며 떨림판 역할을 하는 청공부분에 흡착력이 있는 자연산 대나무를 부착하여 기존 흡착력이 전혀 없는 부분을 개선하여 "청" 사용이 용이토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음정을 약간 높이기 위해 취구에서 제1지공 간격을 3mm정도 단축했으며 칠성공의 크기를 조정하여 실용성 있는 최저취 중( )음을 구사하기에 자연스럽도록 조율 하였다. 나아가 내경 끝부분에 "종경"이라는 새로운 구경을 첨부함으로서 소리의 퍼짐을 방지하고 고음부분을 내는데 용이토록 하였고 음색에도 약간의 변화를 주었다. 이외에도 특별한 것은 위생상의 문제를 개선하였으며 밋밋한 플라스틱제 대금에 한층 자연미와 무게감을 더하고 심신의 안정과 애착심을 유발시키기 위해 특수 수성물감과 투명 메니큐어를 통해 대금 내경과 취구 및 각 지공에 금장도색 처리하였으며 대 자체에 사군자 이미지 삽입 코팅처리와 취구와 청공 중간점에 각인을 넣을 공간을 마련하였고 매듭처리방식을 채택하였 다.
대금, 탐라대중금, 플라스틱제대금, 개선대금, 종경, 속마게, 청공개선, 사군자삽입코팅, 각인공간확보, 매듭처리방식
权利要求
  • 동, 서 양악을 겸하여 청음기법 연주하기에 좀 더 적합한 음정과 음계로 개선한 본 관악기 대금을 통해 기존 PVC제 대금과 자연산 일반 왕대 및 쌍골죽과 오죽등 기타 대나무를 소재로 제작할 대금에까지 이 규격을 새롭게 적용하여 국제화 시대에 걸 맞는 심신 수련용이자 제주관광 브랜드화를 이루어 천혜의 섬 제주도를 찾는 내국인은 물론 전 세계민을 대상으로 국제적인 민간악기로 발전시키기 위해 본 대금을 [" 탐라대중금(耽羅大衆芩)"이라고 그 명칭을 새롭게 부여하고 ] [ 취구개선 ]과 [ 취구에서 제1지공 간격 변화로 음정개선 ],[ 각인공간확보 ],[ 청공개선보완 ],[ 칠성공축소 ],[ 종경창안 ],[ 속마게 밀봉착 ],[ 개선한 2옥타브 반 음계표 ],[ 사군자 삽입과 각 구경 금장도색방식으로 이미지 쇄신 ][ 매듭처리방식 ]등을 구성한 탐라대중금 대표도 � �1의 (가)∼ (마), 도2의(가)∼(아) 개선한 전체.
  • 청구1항에 있어서 도1의(가)-12, 도2의(가)a∼B[ 취구변형 ]
  • 청구1항에 있어서 도1의(나)-19, 도2의(나)-a∼B[ 각인공간확보 ]
  • 청구1항에 있어서 도1의(가)-4 [ 취구에서 제1지공 간격변화로 음정개선 ]
  • 청구1항에 있어서 도1의(가)-13, 도2의(다)-a∼c[ 청공개선보완 ]
  • 청구1항에 있어서 도1의(마)-10, 도2의(바)a∼B[ 칠성공 축소 ]
  • 청구1항에 있어서 도1의(다)-16, 도2의(라-a[ 종경창안 ]
  • 청구1항에 있어서 도1의(나)-18, 도2의(마)-a∼B[ 속마게 밀봉착 ]
  • 청구1항에 있어서 첨부자료에 제시한 p20∼p22[ 개선한 2옥타 반 음계표 ]
  • 청구1항에 있어서 도1의(나)-19, 도2의(아)-a,도2의(사)-B,도2의(라)-B[ 사군자 삽입과 각 구경에 금장도색 처리방식으로 이미지 쇄신 ]
  • 청구1항에 있어서 도1의(나)-21, 도2의(사)-a[ 매듭처리방식 ] 등 이상 11개항으로 한정한다.
  • 说明书全文

    기존 PVC 대금을 업그레이드한 탐라 대중금(대금){the existing PVC transverse bamboo flute do upgrade a Tamla masses transverse bamboo flute}

    도 1의 (가)~(마)는 대표도로서 기존 PVC 대금을 업그레이드한 완성도

    도 2의 (가)~ (자)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자재들과 각 부분별 개선도

    도 3은 개선 전, 후를 비교한 실제 완성 이미지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도 1의 (가)-(나)]

    1.대금의 총길이: 69.5cm

    2.취구우측 끝부분~ 끝(종경)부분까지: 57.5cm

    3.취구우측 끝부분~ 대의 좌측 끝부분: 12.0cm

    4.취구우측 끝부분~ 제1공 중간점: 24.2cm

    음정을 기존대금에 비해 약간 높이기 위해 3mm 정도 간격을 좁혔다.

    5.취구우측 끝부분~ 청공 중간점: 13.7cm

    6.청공 중간점~ 제1지공 중간점: 10.5cm

    7.제1지공 중간점~ 제6지공 중간점: 19.8cm

    8.각 지공 간격: 4cm

    9.제6지공 중간점~ 칠성공 중간점: 10.7cm

    [도1의 (가)-(마)]

    10.칠성공 크기: 0.7cm

    실용성 있는 최저취 중(

    )음을 자연스럽게 내기 위해 칠성공 크기를 줄임.

    11.칠성공 중간 점~ 대금 끝(종경): 2.7cm

    [도 1의 (가)-(나)]

    12.취구의 크기: 세로: 2.0cm-2.1cm 가로: 2.6cm-2.7cm

    잡음을 차단 감정표현과 온,반음 구사에 용이토록 취구형태를 개선함

    13.청공 크기: 가로: 1.7cm 세로: 2.2cm-2,5cm

    플라스틱제의 최 약점인 청공을 흡착력이 있도록 대나무를 부착하여 청공을 개선함.

    [도 1의 (라)]

    14.지공 크기: 0.9cm

    [1의 (다)]

    15.내경 크기: 직경 16mm

    16.종경 크기: 직경 13mm

    대의 울림통 효과와 내경과 칠성공을 조율 보완도록 창안 하였다.

    [도 1의 (가)-(나)]

    17.취구좌측 안쪽 속 마게 깊이: 2.5cm 고정으로 틈새 완전차단으로 세균 잠식과 악취방지등 위생상 문제를 개선을 하였다.

    18.대금의 위생상 문제: 해결하여 위생적이다

    [도1의 (나)-(라)-(마)]

    19.대의 시각적 이미지: 사군자 이미지와 각인 삽입으로 무게감과 애착심 유발

    20.내경과 취구포함 각 지공 상태: 금장 도색처리 함

    21.대의 매듭처리 유무: 매듭 처리하여 이미지부각 시킴

    * 위 방법과 규격으로 플라스틱제 대금뿐만이 아니라 자연산 대나무 대금을 탐라 대중금(대금)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개선한 각 부분별 명칭과 기능별 보충설명]

    1.취 구: [도 2의 (가)-aB] 입김을 불어 넣어 공명의 원리로 대금의 최초 소리를 만들어 내는 곳이며 저취- 평취-역취음과 감정표현 등 다양한 기교음을 구사하는 기능을 한다.

    2..각인 삽입 공간 확보: [도 2의 (나)-aB] 플라스틱제 대금에 한층 무게감을 실어 주었다.

    3.청 공: [도 2의 (다)-a] 갈대 속 막 곧 가공한 "청"을 사용하여 떨림판 역할을 하는 곳으로서 음색과 음질에 변화를 주어 장쾌한 소리 내지 맛깔스런 연주를 하는데 용이하다

    4.칠성 공: [도 2의 (바)-a] 조율 역할을 하는 기능으로서 갯 수를 늘리거나 공의 크기를 조정하여 음의 고저를 조율한다.

    5.내 경: [도 2의 (라)-B] 내경이 넓고 좁음에 따라 소리의 굵고 가는 것과 높은 음과 낮은음을 좌우하며 음계에도 영향을 미치기에 직경 16mm선이 가장 알맞 고 경우에 따라 13~17mm 선으로도 내어 사용한다.

    6.종 경: [도 2의 (라)-a] 종경은 대의 끝 부분으로서 대의 울림효과와 고음부분에 악영향을 끼치는 넓은 내경과 조율기능인 칠성공을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하며 어느 대금에서 찾아 볼 수 없는 탐라대중금에서만이 착상한 새로운 발견으로서 일반 왕대 대금과 기존 전통 관악기에 적용하면 소리가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음색에 변화를 줌으로서 보다 나은 음질의 향상을 이룰 수가 있다.

    7.속 마게: [도 2의 (마)-a] 취구좌측 2.5cm 깊이로 막은 부분인데 이는 입김이 좌측으로 새는 것을 차단하고 공명의 원리로 만들어진 소리를 음계를 좌우하는 지공쪽으로 전달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8.매듭처리방식: [도 2의 (사)-a] 플라스틱제에 자연미가 있는 대나무 대금의 이미지를 부각시켰다.

    9.제6개지공: [도 1의 (가)-8] 양손 3개씩 6개의 손가락을 이용해 여닫는 운지를 통해 7음~12음 음계를 좌우하며 연주시 다양한 주법을 구사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10.사군자 이미지 삽입코팅: [도 2의 (아)-a] 심신 안정과 플라스틱 대금에 대한 애착심을 유발 시켰다.

    11.대금의 기본 바탕색상: 황색과 백색 두 종류로 나뉜다.

    본 고안의 세부적인 상세 설명은 아래 [6개 별지문항]에 답한 이론과 기호를 겸하여 표기한 그 내용으로 각 페이지에 언급한 첨부자료를 참고하길 바란다.

    [별지문항1] 플라스틱제 대금을 탐라대중금으로 개선 그 전.후 비교는?(p14참조)

    [별지문항2] 플라스틱제 탐라대중금 12가지 장점은? (p15참조)

    [별지문항3] 탐라대중금(진악/진조대금)온,반음 안공(운지)법은? (p16∼p17참조)

    [별지문항4] 탐라대중금(진악/진조대금)의 온음 안공(운지)법은? (p17∼p18참조)

    [별지문항5] 탐라 대중금 구조와 각 부분별 명칭 및 기능은? (p19참조)

    국제화 시대에 발맞추어 현대인들의 각박한 사회 현실 속에서 받는 온갖 번뇌와 강한 스트레스를 심파식적(心波息笛)인 대중금(대금)을 통해 말끔히 해소하고 진(眞)소리를 통해 욕심을 내는 조급한 마음들을 잠재우며 더불어 사는 아름다운 사회를 건설하는데 그 선량한 바탕을 조성코자 일평생 심신 수련용으로 적합한 본 대금을 양악에 익숙한 현대인들과 세계민들에게 보급하여 선량한 문화정착을 위해 대금의 현대화! 대중화! 세계화!를 이루고자 그 개발 목적을 둔다.

    본 고안의 분야에 속하는 종래의 기술은 이미 "(주)소리사"측에서 전통 관악기 대금의 대중화를 이루기 위해 연구하고 개발을 이룬 백색과 황색 기존 PVC 대금 상품에서 개발 아이템을 얻었고 그 소재로 삼게 되었다.

    구하기 힘든 돌연변이 쌍골죽을 모방한 플라스틱제 대금으로서 같은 질량과 같은 사이즈로 동일한 음색과 음정 음계를 낼 수 있다는 점과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 고갈 위기에 처한 쌍골죽 대금을 대체할 만한 획기적인 상품인지라 오늘날 대금입문 생도들에게 연습용 대금으로 널리 보급화 중에 있지만

    취구의 크기가 크거나 작고 그 형태가 고음 발성 시와 감정 표현은 물론 온. 반음 구사에 부적합하여 개선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실용성 있는 최 저취 중(

    )음이 자연스레 발성되도록 조율과 음색 면에서도 좀 더 개선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

    중후한 맛과 멋을 자랑하는 고가의 쌍골죽 대금을 선호하는 이 시대에 시각적이면에서도 경(輕)하고 밋밋한 기존 대금의 단점들을 과감히 개선하여 플라스틱 대금에 대한 선입견을 달리하도록 유도하고 이를 대하는 현대인들의 새로운 시각과 애착심을 유발시켜 대금의 대중화를 앞당기기 위해 이미지 쇄신은 반드시 필요하며

    특히, 흡착력이 없어 "청" 사용이 부적합하여 감칠맛 나는 연주를 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면과 연주 시 취구로 내뱉는 침과 같은 이물질이 취구좌측 안쪽 유동적인 속 마게 틈새부분으로 유입되어 세균 잠식으로 인한 악취발생과 발성을 좌우하는 공명의 원리상태 저해요소와 세척 사각지대로 남아 있어 위생상에 심각한 문제를 낳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기존 플라스틱 대금은 반드시 개선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대금의 대중화를 앞당기기 위해 고전적이면서도 현대적이며 음율과 음감 면에서도 대중이 호응할 만한 시, 청각적 인 양면을 보완하고 호감을 충족시킬 만한 이미지 쇄신과 현대인들의 감각에 맞도록 기존 플라스틱제 대금의 단점들을 전반적으로 개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 공장에서 생산된 연습용 대금을 하나의 재료로 삼거나 자체 생산하여 2차적인 수작업을 통해 깎아 내기도 하고 자연산 대나무를 부착하고 특수물감과 화학성 물질 등을 이용하여 과감히 보완 개선하는 방식으로 복합적 예술성이 겸비된 업그레이드 작업 방식에 관한 것이다. 본래 종전 기술인 PVC 대금은 학습용으로 저렴하게 시판 중이지만 연주용으로선 부적합하며 음질과 음계 나아가 이미지 면에서 개선할 필요성이 다분함을 발견하였기에 먼저 취구를 [도 2의 (가)-a]에서와 같이 온, 반음구사와 감정표현이 용이하도록 그 형태와 크기를 변형하였으며 음정을 이생강류 대금보다는 낮고 기존 각 유파 대금들에 비해 아주 약간 높은 음정을 구사하기 위해 [도 1의 (가)-4]에서와 같이 취구에서 제1지공 간격을 3mm정도 좁혔으며 기존 플라스틱제의 "청" 사용이 부적합할 정도로 흡착력이 월등히 떨어지는 면을 보완코자 [도 2의 (다)-aB]에서와 같이 청공에 흡착력이 있는 자연산 대나무를 부착하여 개선 보완하였으며 특히, [도 2의 (라)-a]에서와 같이 고음부분에 악영향을 끼치는 넓은 내경과 최 역취 음 부분을 발성하기에 용이하며 대의 미세한 울림효과를 자아내고 전체적인 대금소리의 퍼짐을 방지하여 음색을 곱게 하기 위해 기존 전통 대금에서 시도하지 않은 방법을 창안하여 조율 역할을 하는 칠성공과 내경에 대한 보완차원에서 "종경(終頃)"이라는 새로운 착상을 시도하였다. [도 2의 (마)-aB]와 [도 1의 (가)-17]에서와 같이 취구좌측 안쪽 마게 틈새로 스며드는 침과 이물질로 인하여 세균 잠식으로 인한 악취가 나기 쉬운 위생상에 심각한 문제성 을 낳고 있고 그 마게 부분이 유동적인지라 소리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안고 있는 기존 대금의 취구좌측 속 마게 틈새 부위와 유동성 있는 부분을 2.5cm 깊이로 고정하여 완전 봉쇄함으로서 위생상 청결유지와 이상적인 소리를 자아내는데 효과를 이루었다.

    [도 2의 (바)-a]에서와 같이 실용성 있는 최 저취 중(

    )음의 조율을 이루기 위해 칠성공의 크기를 조정하였다.

    [도 2의 (사)-a],[도 1의 (나)-21]에서와 같이 쌍골죽 대금처럼 매듭처리 방식을 적용함으로서 업그레이드한 대금임을 한층 더 부각시켰다. 뿐만 아니라 대금 연주의 기본 바탕인 심신의 안정과 기혈작용의 원할 함을 돕기 위해

    [도 2의 (아)-a], [도 1의 (나)-19]에서와 같이 기존 플라스틱제 대금의 단순 밋밋한 부분에 사군자 이미지를 삽입하여 코팅 처리하였고 가치성을 높이기 위해

    [도 1의 (나)-20], [도 2의 (가)-B],[도 2의 (다)-c],[도2의 (라)-B],[도 2의 (바)-B],[도 2의 (사)-a]에서와 같이 취구 속과 내경 나아가 각 지공과 칠성공에 금장 도색을 하였다. 나아가 경하게 보이는 플라스틱 대금에 중후한 멋을 더해 주기 위해

    [도 2의 (나)-aB]에서와 같이 각인을 부착할 만한 공간을 마련하였고 플라스틱제 대금이라는 그릇된 선입견을 버리고 애착심을 갖도록 대금의 이미지를 더더욱 새롭게 하였다. 그 개선 작업 완성도는 개선 전, 후를 비교한 자료

    [도 3의 실제 이미지] 와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구성을 간략하고도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가)]는 대금의 취구개선 부분이며 [도 2의 (나)]는 중후한 멋을 더 하기 위해 각인을 삽입할 공간을 마련했다. [도 2의 (다)]는 흡착력 있는 청공으로 개선한 부분이며 [도 2의 (라)]는 조율역할을 하는 칠성 공에 변화를 주었고 미세한 울림통 효과와 내경과 칠성공 보완차원에서 창안한 종경부분이며 [도 2의 (마)]는 공명의 원리작용 저해 요소와 세균 잠식과 악취 발생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저지하기 위한 취구 좌측 속 마게 개선부분이며 [도 2의 (바)]는 대금 이미지를 한층 부각시키기 위해 매듭처리를 하였고, 각 지공을 비롯하여 취구 속과 내경 나아가 구경 내에 금장 도색한 것이며 끝으로 [도 2의 (아)]는 대금에 대한 애착심 유발과 이미지 쇄신을 위한 사군자 삽입 후 코팅처리한 부분이다.

    [도 2의 (자)]는 부분적으로 개선 작업한 그 완성 단계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전체 면을 안 밖으로 도면화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해 얻은 효과는 아래 12가지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본 "탐라 대중금(대금)"의 장점들이기도하다.

    1. 음계와 음정 나아가 음질에 있어서 기존 플라스틱제 대금과 쌍골죽 대금보다는 동일한 소리를 발할 수 있게 되어 레슨과 기타 합주하는데 실용성이 있으며 일반 가곡, 가요, 동요, 민요, 산조, 기타 명상곡 등등 동,서양악을 겸하여 연주하기에 기존 대금보다 적합하게 되었다.

    2. 칠성공을 좁히고 그 간격에 미세한 변화를 줌으로서 최저음이 반음 정도 낮아 실용성 있는 최저취 중[

    ]음이 비교적 잘 나는 편이다.

    3. 음정은 이생강류에 비해 약간 낮고 기존 플라스틱제 포함 타 유파 산조 대금에 비해 반음 가까이 높은 편이다.

    4. 취구와 종경의 개선으로 음색이 나아졌으며 고음 즉 역취부분이 개선 전보다 잘 난다.

    5. 취구개선으로 입김의 부딪침으로 나는 거친 소리가 훨씬 감소하였으며 반음구사와 감정표현이 개선 전보다 월등히 용이하여 연습을 겸한 연주용으로서 아주 적합하게 되었다.

    6. 기존 대금에선 찾아 볼 수 없는 "종경"이라는 부분을 새롭게 개발 첨부하여 미세한 울림효과와 음질향상을 이루었다.

    7. 청공부분에 자연산 대나무를 부착하여 흡착력을 키움으로서 청사용이 요이하게 되었다.

    8. 대에 내경에 금장도색과 사군자 이미지를 삽입 코팅 처리함으로서 플라스틱 대금에 대한 애착심과 심신 안정감을 유발시켰다.

    9. 대에 매듭처리 함으로서 대금의 이미지를 한층 부각시켰다.

    10. 취구와 청공 사이 대 일부분을 깎아내어 각인 자리를 추가함으로서 한층 무게감을 실어 주었다.

    11. 취구좌측 안쪽 속 마게 깊이를 알맞게 고정하고 그 틈새를 밀봉 처리함으로서 소리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완전제거하고 음질을 향상시켰으며 침과 이물질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여 위생상 악취와 세균잠식을 차단하였다.

    12. 전반적으로 밋밋한 기존 (주)피리사 PVC대금의 이미지 쇄신과 실용성이 있도록 개선함으로서 대금의 대중화를 이루는데 그 효율성과 가치성을 한층 높였 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