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

申请号 KR1020037013861 申请日 2002-02-18 公开(公告)号 KR1020030090786A 公开(公告)日 2003-11-28
申请人 안나카 팩토리 가부시끼가이샤; 发明人 안나카시게루;
摘要 만곡의 화장보드의 둘레가장자리에 횡단면가공 등을 실시할 때, 간단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 화장보드로서의 헤드보드(A)를 구성하는 기판(1)과 화장재(2)는 평판상의 목질판재를 소정 형상으로 재단해서 형성한다. 이 후, 기판(1)과 화장재(2)는 도장해서 마무리한다. 이렇게 해서 가공된 기판(1)과 화장재(2)는 평판상태로 둘레가장자리부에 횡단면가공에 의해 모따기부(3,4)를 형성한다. 따라서 기판(1)과 화장재(2)에의 횡단면가공은 복잡한 제어를 행하지 않고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가공한 기판(1)과 화장재(2)를 접합해서 일체화한 후, 기판(1)과 화장재(2)를 프레스기 등에 의해 곡면상으로 형성한다.
权利要求
  • 평판상으로 형성된 목제 기판과, 이 기판에 접합하는 평판상의 화장재로 화장보드를 구성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기판과 화장재 중 어느 한 쪽에 횡단면가공을 실시한 후, 기판과 화장재를 접합해서 화장보드를 일체화하고, 이 화장보드를 곡면상으로 굽힘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화장재에, 횡단면가공에 의해 모따기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기판과 화장재의 표면에 도장층을 형성해서 마무리한 후, 상기 기판과 화장재를 접합해서 화장보드를 일체화하고, 이 화장보드를 곡면상으로 굽힘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화장재를 접착제로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화장재의 접합시에, 기판과 화장재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재가 상기 기판과 이질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이, 상기 기판과 상기 화장재의 접합면에 형성된 결합볼록부와, 이 결합볼록부와 결합하는 결합오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오목부가 긴 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결합볼록부가 상기 긴 홈을 따라 슬라이드가능하게 형성된 돌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상으로 굽힘가공한 곡면상 화장보드가 2개이상의 변곡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보드가 헤드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
  • 평판상으로 형성된 2장의 기판에 의해 화장보드를 구성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각 기판의 내측가장자리에 횡단면가공에 의해 단차홈을 형성한 후, 이들 기판을 접합해서 화장보드를 일체화해서 곡면상으로 굽힘가공하고, 이 곡면상으로 굽힘가공한 화장보드를 천으로 피복하였을 때, 그 천의 이면측에 형성되는 시접을 상기 단차홈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홈내에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상 화장보드의곡면형성방법.
  • 说明书全文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Method for forming curved surface of decoration board}

    종래, 각종의 가구제품에 있어서, 곡면상으로 디자인하는 경우, 가구를 제작하는 소재로서 합성수지나 금속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성형틀에 의해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곡면상의 조형이 가능하다. 그러나, 목제의 가구는 일반적으로 평판상의 판재를 가공해서 제작하는 것이므로, 가구의 일부 등에 곡면적인 디자인을 채용할 경우, 미리 소정의 사이즈로 재단한 평판상의 목재를 프레스기 등에 의해 곡면상으로 구부렸다. 그러나, 예를 들면 침대의 헤드보드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둘레가장자리부를 횡단면가공해서 모서리부를 만곡형상으로 모따기하거나, 또는 헤드보드의 디자인성을 높이기 위해서, 헤드보드의 표면을 요철상의 장식모양 등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횡단면가공이나 헤드보드의 표면의 장식모양 등은 절삭기계에 의해 가공하고, 이렇게 횡단면가공이나 헤드보드 표면의 장식모양을 실시한 헤드보드는 최종적으로 도장해서 마무리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헤드보드 전체를 곡면상으로 디자인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평판의 목재를 곡면상으로 굽힘가공을 행한 후, 둘레가장자리의 횡단면가공이나 표면의 장식가공 또는 도장을 행하기 위해서는 판재의 곡률을 따르도록 절삭가공기계나 도장용 노즐을 3차원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특히, 판재의 둘레가장자리의 횡단면가공은 헤드보드의 외곽형상을 따라, 또한 판재의 곡률을 따르도록 제어하게 되므로, 이것을 절삭기계로 자동화하게 되면, 매우 복잡한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러한 복잡한 가공을 절삭기계로 자동화하게 되면 고가인 5축 제어머신을 이용하지 않으면 행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이러한 헤드보드 등의 목질의 가구 등에 있어서 곡면적 디자인을 채용하는 경우의 대부분은, 단지 평판상의 보드를 만곡시켰을 뿐인 것이 대부분이고, 횡단면가공 등의 가공을 행하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일반적으로는 목제질계 소재인 경우에는, 소재 자체의 수분함유율에 편차가 있고, 그리고 재료의 보존상태(창고의 상태)에도 편차가 있으며, 또한 가공시의 온도·습도에서도 일정값이 유지되기 어렵기 때문에, 굽힘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어렵다. 또한 백래시(back lash)가 발생하므로, 만곡후의 가공처리는 제조상 매우 곤란하다. 단순한 원호상이면 가공가능하지만 정교한 것, 정밀도가 높은 것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간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곡면상으로 형성한 화장재에 실시하는 각종 마무리가공을 고가인 5축 제어머신을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침대의 헤드보드나 의자의 등판이나 팔걸이 등의 가구 등에 이용되는 장식패널이나 문패널이나 파티션판 등의 건축용으로서 사용되는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헤드보드의 사시도이다.

    도2는 상기 헤드보드의 정면도이다.

    도3은 상기 헤드보드의 곡면가공시의 단면도이며, (a)는 곡면가공전, (b)는

    곡면가공후를 나타내고 있다.

    도4는 상기 헤드보드의 단면도이다.

    도5는 상기 헤드보드의 둘레가장자리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6은 상기 헤드보드의 좌우방향으로 만곡된 사시도이다.

    도7은 상기 헤드보드의 오목상으로 만곡된 사시도이다.

    도8은 상기 헤드보드의 구상으로 만곡된 사시도이다.

    도9는 상기 헤드보드의 곡률을 변경한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0은 상기 헤드보드에 직선부분과 곡면부를 형성한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1은 상기 헤드보드를 S자상으로 만곡한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헤드보드의 정면도이다.

    도13은 상기 헤드보드의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헤드보드의 정면도이다.

    도15는 상기 헤드보드의 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헤드보드의 주요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17은 상기 헤드보드의 오목홈에 장식체를 부착한 변형예를 나타낸 주요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헤드보드의 사시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헤드보드의 사시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헤드보드의 위치결정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1은 상기 긴 홈과 돌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의 확대정면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은 평판상으로 형성된 목제기판과, 이 기판에 접합되는 평판상의 화장재로 화장보드를 구성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기판과 화장재 중 어느 한쪽에 횡단면가공을 실시한 후, 기판과 화장재를 접합해서 화장보드를 일체화하고, 이 화장보드를 곡면상으로 굽힘가공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기판 또는 화장재 또는 기판과 화장재 양자를 평판의 상태로 횡단면가공을 행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도장마무리한 후, 곡면상으로 성형한다. 따라서, 기판이나 화장재의 둘레가장자리를 절삭기계 등으로 횡단면가공을 행할 경우, 기판 또는 화장재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르도록 제어하면 되므로, 기판이나 화장재의 곡면을 따르는 3차원적인 제어를 행할 필요가 없어 생산가공성이 우수하다. 또한, 곡면상으로 성형한 기판이나 화장재의 둘레가장자리에는 횡단면가공에 의해 장식가공이 실시된 가장자리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은 상기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화장재의 접합시에, 기판과 화장재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을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기판과 화장재를 접합해서 일체화한 후, 화장보드를 구부릴 때, 기판과 화장재가 어긋나지 않고, 기판에 대해서 화장재가 정확하게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은 상기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장재가 상기 기판과 이질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기판과 화장재를 이질재료로 형성함으로써 디자인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 본 발명의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은, 상기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이 상기 기판과 상기 화장재의 접합면에 형성된 결합볼록부와, 이 결합볼록부와 결합하는 결합오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결합볼록부와 결합오목부를 끼워맞춤으로써, 기판과 화장재를 접합해서 일체화한 후, 화장보드를 구부릴 때, 기판과 화장재가 어긋나지 않고, 기판에 대해서 화장재가 정확하게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은 상기 기판에 복수의 화장재를 적층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기판에 적층한 화장재에 의해, 입체적인 화장보드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곡면상 화장보드의 곡면형성방법은 평판상으로 형성된 2장의 기판에 의해 화장보드를 구성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각 기판의 내측가장자리에 횡단면가공에 의해 단자홈을 형성한 후, 이들 기판을 접합해서 화장보드를 일체화해서 곡면상으로 굽힘가공하고, 이 곡면상으로 굽힘가공한 화장보드를 천으로 피복했을 때, 그 천의 이면측에 형성되는 시접을 상기 단차홈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홈내에 수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곡면상으로 형성한 화장보드를 천으로 덮는 경우, 2장의 천을 꿰매맞춰 자루상으로 형성하고, 이것을 화장보드에 씌워서 화장보드를 피복한다. 이 때, 자루상으로 꿰매맞춰진 천의 이면측에 시접이 형성된다. 이 시접은 각 기판의 단차홈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홈내에 수용되므로, 천의 표면측에 주름 등이 생기지 않고 깔끔한 외관이 얻어진다. 또, 이 천의 시접을 수용하는 오목홈은 각 기판이 평판한 상태로 형성하므로, 기판이나 화장재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르도록 제어하면 되므로, 기판이나 화장재의 곡면을 따르게 하는 3차원적인 제어를 행할 필요가 없어 생산가공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보드로서 침대의 헤드보드(A)를 나타내고 있다. 이 헤드보드(A)는 기판(1)과, 그 표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일체화된 화장재(2)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기판(1)과 화장재(2)는 합판, 파티클보드, MDF(중질섬유판) 등의 목질판재로 이루어지며, 평판상의 목질판재를 재단함으로써 기판(1)과 화장재(2)를 성형하고 있다. 또, 기판(1)의 둘레가장자리부는 횡단면가공에 의해 모따기부(3)가 형성되어 기판(1)의 모서리부를 둥글게 하고 있다. 한편, 화장재(2)에 대해서도, 횡단면가공에 의해 둘레가장자리부에 테이퍼상의 모따기부(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화장재(2)는 아크릴계수지, 우레탄계수지 등에, 안료, 착색제, 내마모재, 희석제 등을 혼합해서 조제한 합성수지도료에 의해 표면에 도장층(5)을 형성하고 있다. 또, 기판(1)은 아크릴계나 우레탄계 등의 톱클리어에 의해 도장층(6)을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평판상의 목질판재를 재단해서 형성되는 기판(1)과 화장재(2)는 횡단면가공에 의해 모따기부(3,4)가 형성되고, 또한, 기판(1)과 화장재(2)의 표면에 도장층(5,6)을 형성해서 마무리한 후, 접착제에 의해 접합한다. 또, 기판(1)과 화장재(2)는 접합했을 때, 기판(1)과 화장재(2)를 서로 위치결정하기 위해, 위치결정수단으로서 기판(1)에 소위 맞춤핀이라고 불리는 복수의 결합볼록부(10)를 조립하고, 이 결합볼록부(10)를 화장재(2)에 형성된 결합오목부(11)와 결합시켜 기판(1)과 화장재(2)를 서로 위치결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접합한 기판(1)과 화장재(2)를 프레스기 등의 한 쌍의 틀(7)로 끼움으로써 상하방향으로 만곡된 헤드보드(A)를 형성하고 있다. 또, 화장재(2)와 기판(1)은 같은 사이즈로 재단되어 있지만, 양자를 접합해서 굽힘가공한 후에는, 기판(1)의 표면측에 접합한 화장재(2)의 외측둘레가장자리가 기판(1)의 외측둘레가장자리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목질판재의 재단공정을 거쳐 기판(1)과화장재(2)를 형성한다. 이 후, 기판(1)과 화장재(2)의 가장자리부를 횡단면가공해서 기판(1)과 화장재(2)의 둘레가장자리부에 모따기부(3,4)를 형성하고, 또한, 기판(1)과 화장재(2)의 표면을 도장처리한다. 이들 기판(1)과 화장재(2)의 횡단면가공이나 도장은 기판(1)과 화장재(2)가 평판인 상태로 행해지므로, 기판(1)과 화장재(2)의 횡단면가공시에, 기판(1)과 화장재(2)의 모따기부(3,4)를 형성하는 절삭가공기계는 기판(1)과 화장재(2)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평면적으로 이동하기만 하면 된다. 또, 화장재(2)의 도장에 대해서도 평판상의 헤드보드의 제조공정과 마찬가지로, 기판(1)과 화장재(2)에 대해서 평행하게 이동시켜 도장함으로써 균일적인 도장층(5,6)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평판상의 기판(1)과 화장재(2)에 횡단면가공 및 도장처리를 실시한 후, 기판(1)과 화장재(2)를 접착제에 의해 접합해서 일체화하고, 그 접합한 기판(1)과 화장재(2)로 구성되는 헤드보드(A)를 틀(7)에 끼워서 곡면상의 굽힘가공을 행한다. 이렇게 해서, 헤드보드(A)를 구성하는 기판(1)과 화장재(2)의 가장자리부에는 횡단면가공에 의해 모따기부(3,4)가 형성되고, 또, 화장재(2)에 도장처리된 곡면적인 헤드보드(A)가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 이러한 곡면상으로 형성되는 헤드보드(A)에 있어서 횡단면가공이나 도장처리는 헤드보드(A)의 곡면을 따르는 3차원적인 제어가 요구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과 화장재(2)의 횡단면가공 및 도장처리는 굽힘가공을 행하기 전의 평판한 상태로 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것을 자동화할 경우, 고가인 5축제어기계를 이용하는 일없이, 일반적인 NC라우터 등으로 가공할 수 있으므로, 헤드보드(A)의 제조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생산가공성도 우수하다. 또, 기판(1)과 화장재(2)는횡단면가공에 의해, 그 가장자리부를 자유로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헤드보드(A)로서의 디자인의 자유도도 높아진다. 또, 화장재(2)와 기판(1)에 처리되는 도장층(5,6)에 대해서도, 이것을 기계에 의해 자동화할 경우, 평판인 상태에서 화장재(2) 및 기판(1)에 분사하므로, 헤드보드(A)의 곡면을 따라 분사한다라는 복잡한 제어가 불필요하여, 간단하며 또한 균일적인 도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화장재(2)와 기판(1)을 각각 개별로 도장한 후, 접합했기 때문에, 이들 화장재(2)와 기판(1)을 다른 색으로 도장할 경우, 마스킹 등의 처리도 불필요하며, 또, 화장재(2)와 기판(1)을 다른 색으로 도장함으로써 투톤컬러로 되어, 색채적으로도 컬러풀한 디자인으로 할 수 있다.

    또, 접착제로 접합한 기판(1)과 화장재(2)는 기판(1)에 형성된 결합볼록부(10)를 화장재(2)에 형성된 결합오목부(11)에 끼워맞추고 있으므로, 기판(1)과 화장재(2)가 서로 위치결정되어, 접합된 기판(1)과 화장재(2)를 곡면가공할 때, 기판(1)과 화장재(2)가 어긋나지 않고, 정확하게 위치결정된다.

    또,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헤드보드(A)를 상하방향으로 만곡한 예를 나타냈지만, 도6에 나타내듯이 좌우방향으로 만곡하거나, 도7에 나타내듯이, 오목한 형상으로 만곡한 것, 또는 도8에 나타내듯이, 구면상으로 만곡해도 좋다. 또한, 1개의 변곡점을 가지고 일정한 곡률로 만곡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2개이상의 변곡점을 가지고 헤드보드(A)를 만곡시켜도 좋다. 즉, 도9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곡면(R1,R2)의 조합이나 도10에 나타내듯이 편평한 직선부분(H)과 곡면(R)의 조합, 또는 도11에 나타내듯이 오목상으로 만곡된 곡면(R3)과 볼록 원호상으로 만곡된 곡면(R4)을연속시킨 형상 등 여러가지 형상으로 적용가능하다.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며,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기능을 갖는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헤드보드(A)를 구성하는 기판(1)과 화장재(2)를 각각 목질판재로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목질판재로 형성한 기판(1)의 표면에 화장재로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격자상의 펀칭메탈(15)을 접합해서 헤드보드(A)를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목질판재로 형성한 기판(1)에 금속소재의 펀칭메탈(15)을 접합함으로써 이종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헤드보드(A)로 되고, 새로운 디자인의 헤드보드(A)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판(1)이 평판인 상태로 횡단면가공에 의해 기판(1)의 둘레가장자리에 만곡상의 모따기부(3)가 형성되며, 이 후, 이 기판(1)과 격자상의 펀칭메탈(15)을 도장해서 마무리한다. 이렇게 해서 가공한 기판(1)과 펀칭메탈(15)을 접합해서 일체화하고, 그 일체화한 기판(1)과 펀칭메탈(15)을 프레스기 등에 의해 곡면상으로 형성해서 만곡한 헤드보드(A)를 성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판(1)의 횡단면가공은 일반적인 NC라우터 등으로 가공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적으로 곡면상으로 형성된 헤드보드(A)의 제조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또, 이종의 소재를 조합한 새로운 디자인의 헤드보드(A)를 간단히 제작할 수 있다.

    도14 및 도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며,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기능을 갖는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2장 합쳐서 헤드보드(A)를 나타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에 박판상의 화장재(30)를 복수적층해서 헤드보드(A)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판(1)에 복수의 화장재(30)를 접합함으로써, 입체감이 우수하고, 또한 만곡된 헤드보드(A)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장보드로서 헤드보드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소파나 의자의 등판이나 팔걸이 또는 체스트의 앞면판, 테이블 등 각종의 가구제품에 적용가능하며, 또, 가구제품에 한정되지 않고, 문패널이나 파티션판 등의 건축용 등의 각종 제품에 적용가능하다. 또, 기판(1) 또는 화장재(2)의 형상은 사용하는 부위에 따라 예를 들면 원형으로 형성하는 등, 적절히 선정하면 된다. 이렇게 기판(1)과 화장재(2)를 원형으로 할 경우, 그 전체둘레에 횡단면가공해서 모따기부(3,4)를 형성하면 좋다. 또, 기판(1)과 화장재(2)에 형성하는 모따기부(3,4)의 형상도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기판(1)과 화장재(2)의 가장자리부에 임의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이종의 소재의 조합으로서 목질판재의 기판(1)과 금속제의 펀칭메탈(15)을 나타냈지만, 목질판재의 기판(1)의 표면에 천 또는 가죽을 붙여도 좋다. 또, 천접합의 경우, 도 16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나타내듯이, 2장의 기판(1)을 접합해서 헤드보드(A)를 형성하고, 이 헤드보드(A)를 천(B)으로 피복한다. 천(B)은 2장의 천(B1)을 자루상으로 꿰매맞춰 구성됨과 아울러, 천(B)의 내면측에는 얇은 쿠션재(H)를 개재시킨다. 그리고, 2장의 천(B1)을 자루상으로 꿰매맞춰 헤드보드(A)를 피복할 경우, 자루상으로 꿰매맞춘 천(B)의 이면측에 시접(C)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헤드보드(A)에 천(B)을 씌웠을 때, 시접(C)의 부분이 들떠서 주름이 생기는 등 모양이 나빠진다. 이것을 해소하기 위해, 헤드보드(A)를 구성하는 각 기판(1)의 내측가장자리에 단차홈(31)을 형성하고, 2장의 기판(1)을 접합했을 때, 각 기판(1)의 겹쳐진 면의 둘레가장자리에는 상기 각 기판(1)의 단차홈(31)에 의해 상기 천(B)의 시접(C)을 수용하는 오목홈(32)을 형성하고 있다. 또, 각 단차홈(31)은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기판(1)이 평판한 상태일 때, 모따기부(3)와 함께 횡단면가공에 의해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단차홈(31) 및 모따기부(3)의 가공을 일반적인 NC라우터 등으로 가공할 수 있어, 헤드보드(A)의 제조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생산가공성도 우수하다. 그리고, 단차홈(31) 및 모따기부(3)를 형성한 2장의 기판(1)을 접합해서 일체화한 헤드보드(A)를 프레스기 등으로 굽힘가공해서 곡면상으로 형성한다. 이 때, 자루상으로 꿰매맞춘 천(B)으로 헤드보드(A)를 피복하지만, 이 때, 천(B)의 이면측에 형성되는 시접(C)이 각 기판(1)의 단차홈(31)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홈(32)의 내부에 수용되므로, 그 시접(C)이 요철상의 주름 등의 발생이 없고, 외관적으로도 모양이 좋다. 또, 횡단면가공에 의해 각 기판(1)에 형성되는 단차홈(31)(오목홈(32))은 도16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와 같이, 천접합할 때의 시접을 수용하는 이외에도, 도17에 나타내듯이, 헤드보드(A)의 외주를 트리밍하는 알루미늄 등에 의해 형성된 트리밍상 장식재(33)를 끼워넣는 것도 가능하다.

    또, 기판이나 화장재 등에 실시하는 가공도 예를 들면 도18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5실시예와 같이, 화장재(2)의 표면에 요철상의 장식부(30)를 형성하거나, 도19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6실시예와 같이, 기판(1)과 화장재(2)에 경사상의 구멍부(35)를 평행하게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화장재(2)의 표면에 절삭에 의해 요철상의 장식부(30)나 구멍부(35)를 형성할 경우, 기판(1)과 화장재(2)가 평판인 상태로 장식부(30)나 구멍부(35)를 가공함으로써 매우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고, 이렇게 해서 장식부(30)나 구멍부(35)를 형성한 기판(1)과 화장재(2)를 접합한 후, 기판(1)과 화장재(2)를 만곡시킴으로써, 장식가공이 실시된 곡면상의 헤드보드(A)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 기판(1)과 화장재(2)에 구멍부(35)를 형성할 경우, 기판(1)과 화장재(2)를 서로 다른 색으로 도장함으로써 구멍부(35)를 통해서 배면측에 위치하는 기판의 색채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들의 콘트라스트에 의해, 보다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또, 기판(1)과 화장재(2)를 접합하는 수단인 접착이외에도 나사 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접합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위치결정수단으로서 헤드보드(A)를 구성하는 기판(1)에 원주상의 결합볼록부(10)를 형성하고, 화장재(2)에 결합오목부(11)를 형성하여, 이들 결합볼록부(10)와 결합오목부(11)의 끼워맞춤에 의해 기판(1)과 화장재(2)를 서로 위치결정한 예를 나타냈지만, 기판(1)과 화장재(2)를 서로 겹쳐서 헤드보드(A)를 곡면상으로 형성할 때, 헤드보드(A)의 판두께가 두껍게 됨에 따라 외측에 위치하는 화장재(2)와 내측에 위치하는 기판(1)의 곡률반경의 차가 크게 된다. 이 때문에, 헤드보드(A)를 곡면상으로 형성할 때, 기판(1)과 화장재(2)에 어긋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곡면성형시의 기판(1)과 화장재(2)의 어긋남을방지하는 위치결정수단으로서, 도20,도21에 나타내듯이, 기판(1)과 화장재(2)의 일단측은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결합볼록부(10)와 결합오목부(11)에 의해 위치결정되고, 기판(1)과 화장재(2)의 타단측에 대해서는, 화장재(2)에 긴 홈(40)을 형성하고, 기판(1)에 긴 홈(40)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돌기(41)를 고정한다. 이렇게 해서 긴 홈(40)과, 이 긴홈(40)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돌기(41)에 의해 기판(1)과 화장재(2)의 타단측을 위치결정하면 기판(1)과 화장재(2)를 겹쳐서 프레스기 등에 의해 곡면상으로 형성할 때, 화장재(2)와 기판(1)의 곡률반경의 차에 의해 화장재(2)와 기판(1)에 어긋남이 발생해도, 긴 홈(40)을 따라 돌기(41)가 슬라이드하므로, 헤드보드(A)를 구성하는 기판(1)과 화장재(2)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