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HOD FOR MANUFACTURING LARGE TRANSVERSE BAMBOO FLUTE USING BAMBOO STRIPS

申请号 KR20070008753 申请日 2007-01-29 公开(公告)号 KR100753955B1 公开(公告)日 2007-09-06
申请人 NAT CT FOR KOREAN TRADITIONAL; 发明人 PARK CHOONG NYEON; CHO YOUNG JAE;
摘要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rge transverse bamboo flute using bamboo strips is provided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for the large transverse bamboo flute by using bamboo strip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rge transverse bamboo flute using bamboo strips includes the steps of cutting bamboo into board type or arc type bamboo scrolls(121) including inside and outside tissues, forming a cavity(125) on the scrolls, adhering to the endodermis tissue of the bamboo toward a direction of the cavity to form a bamboo tube(100) with the cavity as the central figure, processing internal and external surfaces of the bamboo tube, and forming an acoustic hole.
权利要求
  • 대나무를 내외 조직을 포함하여 판재형 또는 호형 죽편으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죽편들을 중공을 형성하며, 상기 중공을 중심으로 대나무의 내피 조직이 상기 중공 방향으로 향하도록 접착하여 합죽 대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합죽 대통의 내 외면을 가공하고 음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합죽 대금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죽편으로 합죽 대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호형 죽편을 펴서 합죽 대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죽 대금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죽 대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죽편을 두 개 이상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적층하여 합죽편을 만들어 합죽 대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죽 대금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죽 대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죽편들을 상기 중공을 중심으로 태극 무늬와 같이 중심을 기준으로 돌아가며 접착하여 합죽 대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죽 대금 제조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죽 대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죽편을 상기 중공을 중심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접착하여 합죽 대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죽 대금 제조 방법.
  • 대금을 포함하는 대나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관악기를 제조하기 위한 자연 대나무 형상의 인조 대나무 조립품(이하 "합죽 대통"이라 한다)에 있어서,
    상기 합죽 대통이 대나무의 내피 조직을 포함하도록 호형 또는 판재형으로 가공된 죽편 또는 상기 죽편을 복수개 접합한 합죽편이 중공을 형성하며 상기 중공을 중심으로 내피 조직이 중공을 향하도록 가압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죽 대통.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죽편을 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죽 대통.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죽편을 두 개 이상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적층하여 합죽편을 만들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죽 대통.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죽편들을 상기 중공을 중심으로 태극 무늬와 같이 중심을 기준으로 돌아가며 접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죽 대통.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죽편을 상기 중공을 중심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접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죽 대통.
  • 说明书全文

    합죽 대금 제작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large transverse bamboo flute using bamboo strips}

    도1은 종래 대금 제조를 위해 대나무 살의 판재절단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종래 대금 제조를 위해 판재를 접합하여 형성된 각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일반 대나무의 내 외피 조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4는 도2의 도면에서 대나무 조직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죽편을 제작하기 위하여 대나무를 절단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금 제작을 위하여 도5의 죽편으로 제작된 합죽 대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죽편을 제작하기 위하여 대나무를 절단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금 제작을 위하여 도7의 죽편으로 제작된 합죽 대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9는 도7의 죽편으로 제작된 합죽 대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합죽 대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등록특허 10-0298678

    본 발명은 대금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금 전용 대나무가 아닌 일반 대나무로서 대금을 제작하는 방법 및 상기 대금을 제조하기 위한 합죽 대통에 관한 것이다.

    전통 쌍골죽으로 제작된 대금은 대나무의 내 외피 조직의 물성이 자연상태로서 유지되어 그 내부에서 연주자의 호흡 등에 의해 공명 되어 소리를 내는 고유의 음향적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특히 대나무의 내피의 조건은 대금의 음색 등의 음향적 특성에서 매우 중요하다.

    대금은 우리나라 전통악기로서 대나무의 일종인 쌍골죽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쌍골죽은 자연산 대나무의 기형으로 매우 희귀하여 구하기 힘들며 또한 매우 고가이다. 따라서 대금의 제작 가격이 매우 고가가 되어 전통악기로서의 대금이 일반 대중에게 보급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리하여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대나무로서 대금을 제작할 필요성이 있고 이를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예로서 특허 제10-0298678호에서는 쌍골죽이 아닌 다른 대나무를 이용하여 대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첨부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대나무 살(21)을 절단 가공하여 얇은 판재(22)를 형성하여, 폭이 약 40mm, 두께가 약 3mm 가 되는 판재(22)를 얇은 기계톱 등을 사용하여 대나무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고, 이와 같이 절단 가공된 판재(22)를 접착하여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략 정사각형의 각재(24)를 형성한다. 접착 작업은 각각의 판재(22)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서로 접착시킨 후 접착제가 충분히 굳을 때까지 바이스 등으로 압착시켜 유지시킴으로서 판재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고 확실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접착제가 완전히 굳은 후, 목공 선반 등을 사용하여 각재를 선삭함으로써 원기둥형 몸체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대금 제조방법은 대나무의 내부 조직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나무(20)는 내외피의 조직의 차이를 갖는데 외피로 갈수록 조직이 치밀하게 된다. 그 단면을 보면 중심에서 외부방향을 향하면서 방사상으로 조직이 치밀해지며 기공(29)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대나무를 도1과 같이 대나무를 판재로 만들어 도2와 같이 각재(24)를 만들게 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재(24)가 형성된다. 도4에 도시된 각재(24)는 대나무의 내 외피 조직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내 외피의 조직의 특성을 살린 전통 대금의 음색이나 성질 면에서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도4에서 각재(24)는 기공(29)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각재(24)에서 가공되어 대금으로 되는 부분은 큰 원(31)과 작은 원(32) 부분이 된다. 두 원(31,32)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는 전부 내피조직으로 되어 있으며 대금을 제작하기 위하여 작은 원(32) 부분 가공되어 제거되게 된다. 따라서 도3에 나타난 전통 대금이 대나무의 내 외피 조직이 방사상으로 외부 방향으로 치밀해지는 천연적 조직의 대금과는 달리 상기 각재(24)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대금의 내부는 내피가 아닌 대나무의 중간 조직 부분이 내부를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존 대나무의 조직의 물성을 살려서 전통 쌍골죽 대나무로 제작된 대금과 유사한 내피 구조를 갖는 대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대금과 같은 대나무를 이용한 관악기를 제조하기 위한 자연 대나무의 형상 및 내부 조직과 유사한 인조 대나무 조립품인 합죽 대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대금은 종래의 쌍골죽이 아닌 일반 대나무를 절단 가공하여 중공 내부에서는 대나무의 내부조직이 최대한 많이 남아 있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통 대금은 자연산 대나무를 절단하여 절단된 대나무에 음공을 형성하고 외관 처리 및 장식을 함으로써 제작이 된다.

    이와 같이 대금에 사용되는 쌍골죽은 자연산 대나무의 기형으로서 매우 희귀하여 대금의 대중화 및 일반 보급화에 어려움이 따라서 이를 해소 하고자 쌍골죽 대신 조달이 쉬운 일반 대나무를 사용하여 쌍골죽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호형 다각형 또는 사각형 합죽 대통을 제작하고, 상기 합죽 대통을 자연산 대나무처럼 가공 하여 대금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합죽 대통은 대나무 내피의 특성을 최대한 살린 형태로 대통을 합죽 제작하면 자연산 대나무와 유사한 형태 및 내부 조직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전통 대금 외에 자연산 대나무로 제작되는 관악기들을 만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일반 대나무를 절단 가공하여 판재 또는 호 형태(방사형 형태)의 죽편을 만들어 이들 죽편의 내피가 중심으로 향하도록 접착하여 합죽 대통을 만들고 상기 합죽 대통을 가공해서 대금을 제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금을 제작하기 위한 합죽 대통은 크게 호형 다각형 대통과 4각형 대통 두 가지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죽편은 호형 또는 판재 형으로 제작이 되며 상기 죽편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합죽 대통을 제작할 수 있다.

    호형 죽편은 대표적인 예로서 맹종죽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맹종죽은 쌍골죽처럼 두께는 두꺼우나 중공이 너무 커서 그대로 대금을 만들기에는 부적합하다. 그러나 맹종죽으로부터 폭이 작은 여러 개의 죽편을 만들어 상기 죽편을 실제 대나무와 같이 중앙에 중공을 형성하며 상기 중공의 중심으로 대나무의 내피가 중앙을 향하도록 접합하여 합죽 대통을 만들기는 어렵지 않다.

    일반 대나무는 우리나라에 많이 분포되어 있으나 그 두께가 얇아 쌍골죽과 같은 두께의 대금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장을 겹쳐 제작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께가 얇든 일반 대나무도 몇 개의 죽편으로 쪼개고 가공 접착하여 판재 형태로 만든 뒤 이를 이용하여 합죽 대통을 제작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5는 호형 죽편을 만들어 합죽 대통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맹종죽과 같은 대나무를 호형으로 절단 가공하는 것이다.

    도5에 도시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대금 제작 방법으로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대나무(120)를 호형으로 길이방향으로 절단하는 것이다. 도5에서는 절단 예로서 30도 간격으로 12 등분하여 절단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12 등분된 죽편(121)을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6은 상기 죽편(121)들을 8개를 모아서 중앙에 중공(125)을 형성하며 내피 부분이 상기 중공(125)부분에 형성되도록 합죽 대통(100)을 만든 것이다.

    도5 및 도6은 호형 합죽 대통(100)을 만든 것으로 가공 대상 대나무가 쌍골죽과 비교했을 때 가공 대상 대나무의 중공은 크고 두께는 같거나 큰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상기 예에서 죽편을 만들기 위하여 반드시 위의 예처럼 등분을 구분할 필요는 없고, 절단되는 대나무의 두께를 고려하여 등분을 정해서 합죽 대통을 제작하면 된다.

    대금 제작을 위한 상기 합죽 대통(100)은 외경을 약 34-37mm, 내경을 13-15mm, 그리고 길이를 약 900mm 정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두 번째 실시예로서, 두께는 얇고 중공은 큰 대나무(220)를 사용하여 합죽 대통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7에서와 같이 대나무(220)를 적당한 크기로 방사상으로 절단하여 호형 죽편(221)을 만든다. 상기 죽편(221)을 펴서 판재형태로 만든다. 상기 판재형 죽편을 2장 이상 접착하여 합죽편(223)으로 만든다. 도8은 상기 합죽편(223)을 접착하여 합죽 대통(200)을 만든 것이다. 도8에서 상기 합죽편(223)을 가운데 중공(225)이 형성되고 태극 형태와 유사하게 돌려가면서 합죽 대통(200)을 만든 것이다.

    도7 및 도8의 실시예에서 중공(225)은 제작될 대금의 내경(228)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야 하며, 합죽편(223)은 두 개의 죽편(221)을 붙혀서 만들었으나 대금의 외경(229)보다 크면 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합죽편(223) 대신에 죽편(221) 자체만으로 제작이 가능해 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죽편(221)은 펴져서 판재를 형성해야 하므로 너무 두꺼우면 판재를 만들기 어려워지므로 가공될 대나무의 성질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반대로 두께가 얇은 경우는 죽편을 펴기가 쉬어질 수 있으므로, 대나무의 두께가 얇은 경우는 3장 이상의 죽편(221)을 붙여서 합죽편(223)을 만들 수도 있다.

    도9는 도8의 변형 실시예로서, 위의 실시예의 합죽편(223)을 사다리꼴로 만들어서 이를 직접 접합시킨 것이다. 이 경우도 내부에 중공(225)을 형성하면 된다. 도9의 예는 도8과 달리 죽편(221)들을 이용해 합죽편(223)을 반드시 만들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도8의 실시예에서는 두께가 두꺼워야 합죽 대통을 만들기가 쉬우나 도9의 실시예는 내부에 먼저 죽편(221)을 이용해 직사면체 형상을 만들고 두께가 부족한 경우 다시 그 위에 더 접착하면 되기 때문이다. 다만 가공 편의를 위해 미리 판재 형태의 합죽편(223)을 형성하고 각 판재를 사다리꼴로 만들어 한번에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죽편을 만드는 방법으로는 대나무를 가공하여 만들어지며 가공 후 약 200도 정도에서 가열하며 산소제거를 위해 질소 등과 같은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여 건조 시킨다. 그 후 서서히 냉각시킴으로써 대나무의 응력을 제거한다. 그리고 목공용 본드 등을 이용하여 죽편들을 가압 접착한다.

    4각형태의 합죽 대통은 가로 39-40mm, 세로 39-40mm, 그리고 길이 900mm 정도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형으로 가공된 죽편을 평탄화하는 방법은 죽편을 가열함과 동시에 압축하여 평판화하는 방법을 사용하면되고, 평판화된 죽편 두 장을 합죽편으로 만드는 방법은 하나의 죽편은 외피를 절삭하고 다른 하나는 내피를 절삭하여 두 절삭면이 만나도록 겹쳐 가압 접착하면 된다. 그리고 접착제로는 아교를 사용하거나 목공 본드를 사용하면 된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금 제작을 위한 합죽 대통(30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7 내지 도9의 실시예에서 죽편(221)을 펴는 작업을 통하여 합죽 대통(200)을 형성하였으나 죽편을 평탄하게 펴는 것이 두께에 따라서는 쉽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죽편을 작게 쪼개면 평탄면이 보다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2 및 도4와 같이 대나무를 그대로 판재처럼 만드는 작업이 편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죽편을 작게 높이와 폭을 작게 만들어 붙여서 판재를 만들거나 직접 합죽 대통을 만들 수 있다.

    도10은 도8의 실시예를 기본으로 한 것으로서 각 죽편(321)을 붙여서 도8 형태의 합죽 대통(300)을 만든 것이다. 도10의 예에서도 제작될 대금의 내경(328)의 크기를 고려하여 중공(325)을 만들어야 하며 그 외의 합죽 대통(300)의 방법은 도8의 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유사한데, 제작될 대금의 외경(329)의 크기를 고려해서 각 죽편(321)을 접착하거나 죽편(321)들을 위의 실시예의 판재 형태의 합죽편(223)과 같이 미리 만들고 이를 이용해서 합죽 대통(300)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도10의 실시예의 합죽편을 이용하여 도9의 형태의 합죽 대통으로 만드는 것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 방법은 도9의 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작 가능하다.

    위의 실시예들은 대나무의 내피 조직을 합죽 대통의 중공부분에 그대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을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일반 대나무를 호형으로 가공하거나 호형으로 제작된 대나무를 펴서 작업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합죽 대통을 만들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작업은 호형으로 절단된 죽편을 평탄하게 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2와 같이 가공된 판재를 이용해서 중공을 형성하며 상기 중공 부분에는 내피와 가장 가까운 부분이 배치되도록 하면 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합죽 대통과 유사한 합죽 대통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죽 대통은 중공 부분에 가급적 내피 부분의 가공이 덜 된 죽편 을 사용하며 대금의 중공 부분에 맞도록 최대한 합죽 대통의 중공부분을 덜 가공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대금의 중공 부분의 죽편 조직이 전통 대금의 중공 부분의 대나무 조직과 최대한 유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합죽 대통을 이용하여 내 외면을 가공 후 전통적인 대금 제작과 같이 음공이나 손잡이 등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관악기 처럼 보관시는 분리하고 연주할 때는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요철부를 만들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금 제작 방법으로 제작된 대금은 전통 대금과 유사한 대나무 조직을 가짐으로써 음향적 특성이 전통 대금과 유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금 제작 방법을 이용하면 다양한 소재의 대나무를 이용하여 대금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금 제작 방법을 사용하면 대금의 제작 가격이 낮아져 대금의 일반 보급이 증대될 수 있어 국악기의 대중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합죽 대통으로 다양한 관악기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