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질 모탕

申请号 KR1019810004480 申请日 1981-11-19 公开(公告)号 KR1019830007247A 公开(公告)日 1983-10-19
申请人 로버트한난; 发明人 로버트한난;
摘要 내용없음
权利要求
  • 두 떨어져 있는 대(臺)와, 그 위에 지지된 작업대상 물과 재합하기 위해 상기 대들사이에 위치해 있는 악재와, 악재 개방상태와 악재폐합(廢合) 상태간에 이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악제와, 상기가동(可動)악재 또는 악제들을 상기 폐합상태쪽으로 압압하는 스프링 수단과, 작동하면 상기 악재 또는 악재들을 상기 스프링 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상기 개방상태 쪽으로 이행시킬 수 있는 레버기구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톱질 모탕.
  • 제1항에 있어서 각대가, 하향으로 벌어지는 한쌍의 다리와, 상기 작업대상물을 위한 V상 지지재를 한정하는 상향으로 벌어지는 한쌍의 아암과를 마련해 주는 X형의 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질 모탕.
  • 제2항에 있어서, 각쌍의 다리의 상단이 고정된 지지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질모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재가 브레이스부재에 의하여 견고하게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질모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악재가 브레이스 부재에 의하여 받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질 모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악재들이 동시에 움직이고, 각 악재가 상기 브레이스 부재의 플랜지에 피보트 연결된 비임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질 모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가 통상적으로 상기 브레이스 부재의 상부로 횡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질 모탕.
  • 제1항 내지 제 7항중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악재가 이 모양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진 모탕.
  • 제1항 내지 제8항중의 하나에 있어서, 상기 톱질모탕이 상기 톱질모탕의 사용시에는 상기 떨어져 있는 위치에 그리고 그의 불사용시에는 인접위치에 상기 대를 고정하기에 적합한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질 모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톱질 모탕이 사용않을시 접혀져서 납작한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질 모탕.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이 1차 지지재와 이지지재보다 길이가 짧은 2차 지지재로써 구성되고, 이 각 지지재는 상기대와 계합하기에 적당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질 모탕.
  • 제11항에 있어서, 각대에 단재(端材)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지재들은 상기 단재의 하나에 마련되어 있는 소켓트와 계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질 모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재들은, 상기 단재들중의 다른쪽 단재에 피보트 고정되어 있는 L상 부재의 아암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질 모탕.
  •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질 모탕.
  • 제14항에 있어서, 안정화다리 또는 각 안정화다리가 상기 톱질모탕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질 모탕.
  • 제14항에 있어서, 안정화다리 또는 각 안정화다리가 상기 톱질 모탕에 고정되고 겹쳐 끼울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질 모탕.
  • 첨부한 제1도 내지 제3도 또는 제4도 내지 제7도에 관해서 설명된 바와 사실상 같은, 또 거기에 예시된 바와 사실상 같은 톱질 모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 说明书全文

    톱질모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제1실시예의 측면도.

    제2도는 닫힌 상태의 악재(藥材)(jaw)를 나타내는 제1도의 II-II에 대한 단면도.

    제4도는 사용중에 있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한쪽으로부터 본 투시도.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