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칼

申请号 KR1020090063860 申请日 2009-07-14 公开(公告)号 KR1020110006295A 公开(公告)日 2011-01-20
申请人 권소망; 发明人 권소망;
摘要 PURPOSE: A kitchen knife with a detachable blade part is provided to ensure easy replacement of damaged blade because the blade part can be separated from the knife body. CONSTITUTION: A kitchen knife comprises a knife body(10) and a blade part(20). The knife body comprises an insertion projection(12), a coupling projection which is formed from the insertion projection along the entire bottom surface, a magnet(14) which is installed on the rear lower side, and a handle(16) which is installed on the rear upper side. The blade part comprises a concave portion(22) which is engaged with the insertion projection, a coupling groove which is formed from the concave portion along the entire top surface in order to receive the coupling projection of the knife body, a separation handle(26) which is attached to the magnet of the knife body in order to separate the blade part from the knife body, and a blade(24).
权利要求
  • 선단부에 삽입돌부(32)가 형성되고, 이 삽입돌부(32)에서부터 하단면 전체에 걸쳐 결합돌부(38)가 형성되며, 후단 하부에 자석(34)이 구비되고 후단 상부에 칼자루(36)가 마련된 몸통부(30); 및 상기 몸통부(30)의 삽입돌부(32)가 맞물리도록 선단 상부에 오목부(42)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30)의 결합돌부(32)가 삽입 결합되도록 오목부에서부터 상단면 전체에 걸쳐 결합홈(46)이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몸통부(3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손잡이(48)가 형성되고, 그 후단 상부가 상기 몸통부(30)의 자석(34)에 부착되며, 하단부에 칼날(44)이 형성된 칼날부(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칼.
  • 说明书全文

    식칼{Kitchen knife}

    본 발명은 식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칼의 칼날이 마모되거나 파손되었을 경우 칼날부만 교체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식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자르기 위한 식칼은 몸통부의 하단부에 칼날이 형성되어 있고 몸통부의 후단부에 칼자루가 구비되어있는 형상을 하고 있으나, 이러한 식칼은 칼날이 몸통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칼날이 마모되거나 파손되었을 경우식칼 전체를 폐기시켜야 하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큰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식칼의 칼날이 외부로 노출되어 위험하기 때문에 항상 주위해서 보관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식칼의 칼날을 몸통부에서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칼날이 마모되는 등 교체시 칼날부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전반적인 비용절감의 효과를 꾀할 수 있으며, 또한, 식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칼날부만 별도로 분리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칼날노출에 따른 위험요소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식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식칼의 칼날을 몸통부에서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칼날이 마모되는 등 교체시 칼날부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전반적인 비용절감의 효과를 꾀할 수 있으며, 또한,식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칼날부만 별도로 분리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칼날노출에 따른 위험요소도 상당부분 해소 할 수 있도록 하는 식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자르기 위한 식칼은 몸통부의 하단부에 칼날이 형성되어 있고 몸통부의 후단부에 칼자루가 구비되어있는 형상을 하고 있으나, 이러한 식칼은 칼날이 몸통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칼날이 마모되거나 파손되었을 경우식칼 전체를 폐기시켜야 하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큰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식칼의 칼날이 외부로 노출되어 위험하기 때문에 항상 주위해서 보관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갖고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식칼은 칼날부를 몸통부에서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칼날이 마모되는 등 교체 시 칼날부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전반적인 비용절감의 효과를 꾀할 수 있으며, 또한, 식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칼날부만 별도로 분리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칼날노출에 따른 위험요소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와 같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칼은 선단부에 삽입돌부가 형성되고, 이 삽입돌부에서부터 하단면 전체에 걸쳐 결합홈이 형성되며, 후단 하부에 자석이 구비되고 후단 상부에 칼자루가 마련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삽입 돌부가 맞물리도록 선단 상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오목부를 포함하는 상단부 전체가 일정깊이 몸통부의 결합홈으로 삽입

    결합되어 그 후단 상부가 상기 몸통부의 자석에 부착되며, 하단부에 칼날이 형성된 칼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칼에 있어서, 상기 칼자루는 상방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고, 선단 일측부에는 엄지손가락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지지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식칼은 선단부에 삽입돌부가 형성되고, 이 삽입돌부에서부터 하단면 전체에 걸쳐 결합돌부가 형성되며, 후단 하부에 자석이 구비되고 후단 상부에 칼자루가 마련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삽입돌부가 맞물리도록 선단 상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의 결합돌부가 삽입 결합되도록 오목부에서부터 상단면 전체 에 걸쳐 결합홈이 형성되며, 그 후단 상부가 상기 몸통부의 자석에 부착되고, 하단부에 칼날이 형성된 칼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칼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의 후단부에 이 칼날부를 몸통부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손잡이가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칼은 선단부에 삽입돌부(12)가 형성되고, 이 삽입돌부

    (12)에서부터 하단면 전체에 걸쳐 결합홈(13)이 형성되며, 후단 하부에 자석(14)이 부착되고 후단 상부에 칼자루(16)가 구비된 몸통부(10)와, 선단 상부에 오목부(22)가 형성되고 후단 상부가 상기 몸통부(10)의 자석(14)에 부착되며 하단부에 칼날(24)이 형성된 칼날부(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몸통부(10)는 선단이 뾰족한 장방형 판재 형상으로, 그 선단부에는 칼날부(20)의 오목부(22)로 삽입되는 뾰족한 형상의 삽입돌부(1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단 하부에는 칼날부(20)의 후단 상면이 부착되도록 하는 자석(14)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석(14)은 결합돌부(18) 상단부의 일측면 몸통부(10)를 절취하고 그 절취된 부분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자석(14)의 상단 일부분을 접착시키며 접착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하방으로 노출되어 칼날부(20)의 상단부가 직접 부착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밖에 몸통부의 양측면을 동일 형상으로 절취하여 그 양측면에 각각 자석을 설치할 수도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10)의 후단 상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다리미용 손잡이 형상을 한 칼자 루(16)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칼자루(16)에는 이 칼자루(16)를 파지하였을 때 엄지손가락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지지홈(1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통부(10)의 삽입돌부(12)에서부터 몸통부(10)의 하단면 전체에 걸쳐 칼날부(20)의 상단부가 일정길이 삽입되도록 하는 결합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칼날부(20)는 몸통부(10)의 하단면에 결합될 수 있게 선단부가 약간 휘어진 장방형 칼날 형상으로, 그 선단 상부에는 몸통부(10)의 삽입돌부(12)가 맞물려 결합될 수 있게 이 삽입돌부(12)의 상하부를 감싸면서 밀착되는 형상의 오목부(22)

    가 형성되어 있고, 후단 상부가 상기 몸통부(10)의 자석에 부착되며 하단부에는 칼날(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칼날부(20)의 후단부에는 이 칼날부(20)를 몸통부(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고 하방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돌기 형상으로 돌출된 분리손잡이(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식칼은 몸통부(1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칼날부(20)를 몸통부(10)에 부착시키기 위해 우선 몸통부(10)의 삽입돌부(12)를 칼날부(20)의 오목부(22)와 맞물려 결합시키는 동시에 몸통부(10)의 결합홈(13)으로 칼날부(20)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칼날부(20)의 후단 상면이 몸통부(10)의 자석(14)에 부착되면서 상기 몸통부(10)와 칼날부(20)의 결합이 완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식칼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장시간 경과 후 식칼의 칼날(24)이 마모되거나 파손되었을 경우 또는 필요에의해 칼날부(20)를 몸통부(10)에서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 상기 칼날부(20)의 분리손잡이(26)를 잡고 하방으로 당기면칼날부(20)가 몸통부(10)로부 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식칼을 나타낸 것으로서, 몸통부(30)의 삽입돌부(32)에서부터 몸통부(30)의 하단면 전체에 걸쳐 결합돌부(38)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칼날부(40) 상에는 상기 몸통부(30)의 결합돌부(38)

    가 삽입 결합되도록 오목부(42)에서부터 칼날부(40) 상단면 전체에 걸쳐 오목하게 패인 결합홈(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결합돌부(32)와 결합홈(46)이 서로 결합되어 식칼 조립이 완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몸통부(30) 후단의 자석(34)은 결합돌부(32)와 같은 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되고, 칼날부(40)의 후단 상부는 일부절취되어 있어, 상기 몸통부(30)와 칼날부(40) 결합시 자석(34)이 칼날부(40)의 후단 절취부위로 삽입 부착되면서 상기 몸

    통부(30)와 칼날부(40)의 결합이 견고히 되도록 한다. 미 설명부호 36은 칼자루이고, 44는 칼날이며, 48은 분리손잡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