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머니 공구

申请号 KR1020070104214 申请日 2007-10-16 公开(公告)号 KR1020080034416A 公开(公告)日 2008-04-21
申请人 빅토리녹스 에이쥐; 发明人 엘세너칼;
摘要 A pocket knife is provided to form a fork-type seat part using a guide arm to separate an implement from a pin and couple the implement and the pin with ease. A pocket knife comprises a housing, at least one receiving area, pins(11a,11b), implements(13,14,15) and cutting blades(29,40,46). The implements are exchanged by a coupling mechanism(22) on one of the pins and/or move between a transport position and a functional position through pivot supports(18,19,20). The pivot supports are supported by spring members(60,61,62), move relative to the pins in a coupling release position between the transport position and the functional position, and are removed from the pocket tool. The coupling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link strip that guides the implements along the receiving area.
权利要求
  • 하우징(2)과, 적어도 하나의 수용 영역(5, 6, 7)과, 핀(11a, 11b)과, 상기 핀(11a, 11b)들 중에 하나의 핀 상에 커플링 장치(22)에 의해 교체 가능하게 그리고/또는 피벗 지지부(18, 19, 20)를 통해 상기 수용 영역(5, 6, 7) 안으로 선회한 운반 위치와 상기 수용 영역(5, 6, 7)으로부터 밖으로 선회한 기능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기능도구(13, 14, 15)를 구비한, 주머니 공구(1), 특히 예를 들어 톱날(24) 또는 칼날(42)과 같이 하나 또는 다수의 절단날(29, 40, 46)을 갖춘 절단 공구로서,
    상기 기능도구의 피벗 지지부(18, 19, 20)가 스프링 부재(60, 61, 62)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고, 커플링 해제 위치에서 핀(11a, 11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그리고 주머니 공구(1)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커플링 해제 위치는 안으로 선회한 운반 위치와 밖으로 선회한 기능 위치 사이에 놓이고, 상기 커플링 장치(22)는 상기 기능도구(13, 14, 15)를 커플링 해제 위치에서 하우징(2)의 종축(68)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두고 커플링 해제 동작 중에 상기 수용 영역(5, 6, 7)을 따라 가이드 하는 커넥팅 링크 스트립(76)을 구비하도록 구성된, 주머니 공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이 서로 마주 놓인 측벽(3a, 3b)을 갖고, 상기 측벽들은 각각 자신의 상부면에 상기 운반 위치로 조정된 기능도구(13, 14, 15)의 외부 윤곽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는 그리고 하우징(2)의 종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된 볼록한 파지 캠(59)을 구비하며, 상기 파지 캠의 구조적인 치수는 커플링 해제 위치에서 상기 기능도구(13, 14, 15)의 한 부분 길이, 특히 절단날(들)(2, 40, 46)이 수용 영역(5, 6, 7)에 인접하여 측벽(3a, 3b)에 의해서 덮일 수 있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공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22)가 가이드 암(73, 74) 및 상기 가이드 암들 사이에 형성된, 핀(11a, 11b)을 수용하기 위한 홈(75)을 가지며, 상기 제 1 가이드 암(73)에 제 1 커넥팅 링크 스트립(76)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공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 암(74)은 핀(11a, 11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루어지는 커플링 동작 중에 상기 기능도구(13, 14, 15)를 상기 수용 영역(6, 7)을 따라 커플링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 커넥팅 링크 스트립(77)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커넥팅 링크 스트립은 상기 제 1 가이드 암(73)을 향하고 있는, 오목하게 연장되는 가이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공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지지부(18)가 커플링 장치(22) 그리고 상기 홈(75)의 종축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위·아래로 그리고 커넥팅 링크 스트립(76, 77) 내부의 홈에 배치 된 베어링부(85, 86)를 구비하며,
    안으로 선회한 운반 위치에서는 상기 커플링 장치(22)의 제 1 베어링부(85)가 스프링 부재(60, 61, 62)를 통해 상기 핀(11a, 11b)에 대하여 인접하고, 밖으로 선회한 기능 위치에서는 상기 커플링 장치(22)의 제 2 베어링부(86)가 스프링 부재(60, 61, 62)를 통해 상기 핀(11a, 11b)에 대하여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공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22) 및 상기 스프링 부재(60, 61, 62)가 커플링 위치에서 서로 결합할 수 있는 록킹 부재(72, 7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공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22)의 록킹 부재(79)가 제 1 가이드 암(73)에 배치된 록킹용 홈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공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60, 61, 62)의 록킹 부재(72)가 상기 록킹용 홈에 대하여 상보적인 록킹 노우즈(69)에 의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공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60, 61, 62)가 록킹 캠(69) 및 지지 캠(70) 그리고 상기 캠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오목한 가이드 커넥팅 링크(7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공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지지부(18)가 선회 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된 가이드 스트립부(81, 82, 8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공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도구(13)가 상기 피벗 지지부(18) 영역에 쇼울더(83)를 구비하고, 상기 쇼울더가 밖으로 선회한 기능 위치에서는 스프링 부재(60)의 정면(88)에 대하여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공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이 마주 놓인 단부 영역(9, 10)에 핀(11a, 11b)을 각각 하나씩 구비하며,
    제 2 기능도구(15)는 피벗 지지부(20)를 통해 제 2 수용 영역(6) 안으로 선회한 운반 위치와 상기 수용 영역(6) 밖으로 선회한 기능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게 상기 제 1 핀(11a, 11b) 상에 배치되어 있고, 제 3 기능도구(16)는 피벗 지지 부(21)를 통해 제 3 수용 영역(7) 안으로 선회한 운반 위치와 상기 수용 영역(7) 밖으로 선회한 기능 위치 사이에 조정 가능하게 상기 제 2 핀(11a, 11b)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 영역(6, 7)들 사이에는 분리벽(4a)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분리벽은 자신의 평면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기 기능도구(15, 16)를 록킹 및 록킹 해제하기 위한 고정 탭(50a, 50b)을 각각 자신의 기능 위치에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공구.
  • 하우징(2)과, 적어도 하나의 수용 영역(5, 6, 7)과, 핀(11a, 11b)과, 상기 핀(11a, 11b)들 중에 하나의 핀 상에서 커플링 장치(22)를 통해 교체 가능하게 지지된 기능도구(17)를 구비한 것으로서, 특히 커플링 위치에서 스프링 부재(63)에 대하여 지지된 창유리 파괴부(55)와 같은 절단 공구와 같은, 주머니 공구(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23)는 핀(11a, 11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루어지는 커플링 동작 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도구(17)를 상기 하우징(2)의 종축(68)에 대하여 30° 미만의 각으로 상기 수용 영역(5, 6, 7)을 따라 커플링 위치로 이동시키는 커넥팅 링크 스트립(98, 99, 1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공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23)가 가이드 암(96, 97) 및 상기 암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핀(11a, 11b)을 수용하기 위한 홈(95)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가이드 암(96) 이 상기 제 2 가이드 암(97) 쪽을 향한 측면에 제 1 커넥팅 링크 스트립(9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공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 암(97)이 상기 제 1 가이드 암(96) 쪽을 향한 측면에는 제 2 커넥팅 링크 스트립(99)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이드 암(96)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고 있는 측면에는 제 3 커넥팅 링크 스트립(100)을 구비하며, 상기 제 3 커넥팅 링크 스트립(100)은 볼록하게 연장하는 가이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공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도구(17)가 커플링 위치에서는 상기 측벽(3a, 3b)의 외부 윤곽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는 송곳 첨단부(5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머니 공구.
  • 피벗 지지부(19), 첨단부(36) 그리고 상기 부재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절단날(40)을 구비하는 주머니 공구(1)용의, 특히 벨트 절단기(35)와 같은 절단 공구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상기 첨단부(36)와 상기 절단날(40) 사이에 전방 캠(105a)이 제공되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피벗 지지부(19)와 상기 절단날(40) 사이에 후방 캠(105b)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캠들이 각각 상기 절단날(40)에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공구.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캠(105a)이 상기 첨단부(36) 쪽을 향하고 있는 측면에 범퍼면(106)을 형성하고, 상기 범퍼면이 상기 절단 공구의 세로 방향 연장부와 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공구.
  • 제16항에 있어서,
    절단할 대상물을 위한 지지면(108)이 상기 첨단부(36)와 상기 전방 캠(105a) 사이에서 상기 절단 공구의 세로 방향 연장부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범퍼면(106)과 지지면(108)이 90° 내지 130°, 예를 들어 110°의 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공구.
  • 说明书全文

    주머니 공구, 특히 주머니 칼 {POCKET TOOL, PARTICULARLY POCKET KNIFE}

    본 발명은 청구항 1, 청구항 12 및 청구항 16의 전제부에 기술된 바와 같은 주머니 공구 및 절단 공구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6,675,419 B2호에는, 핀을 통해 연결된 측벽들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들 사이에 배치된 수용 영역을 구비하며 피벗 조인트를 통해 서로 연결된 핸들들과, 그리고 상기 수용 영역 안으로 선회된 운반 위치(transport position)와 상기 수용 영역으로부터 밖으로 선회된 기능 위치(functional position) 사이에서 조절 가능하도록(움직일 수 있도록) 피벗 지지부를 통해 상기 핀 상에 장착되어 지지된 기능도구들(implement)을 포함하는 주머니 공구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기능도구들 중에서 하나의 기능도구는 핀셋(tweezers) 형태로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핀셋은 커플링 장치(coupling mechanism)를 통하여 교체 가능하게 하나의 핀 상에 배치되어 있고 스프링 부재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상기 커플링 장치는 가이드 암과, 그리고 상기 가이드 암들 사이에 형성되며 핀을 수용하기 위한 홈(recess)을 갖는다. 핀셋을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핀셋은 운반 위치로부터 180°만큼 상기 기능 위치에 상응하는 커플링 해체 위치로 선회하고, 상기 커플링 해체 위치에서는 핀셋이 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핸들의 길이 연장부와 평행하게, 상기 가이드 암들 중에서 하나의 암이 핀으로부터 결합 해체될 때까지 상기 수용 영역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핀셋 대신에 칼날(knife blade) 또는 톱날(saw blade)에도 커플링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기능도구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날이 예리한 블레이드가 노출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용자에 대한 상해 위험이 높다. 다른 한편으로, 커플링 해체 위치에서 상기 기능도구를 측면에서 가이드 하는 측면 가이드부가 없으므로, 바르게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기능도구에 대한 손상을 배제할 수가 없다.

    오스트리아 공개 특허 공보 AT 500 097 A1호에는, 전자 장치 모듈이 커플링 장치를 통해 교체 가능하게 하나의 핀 상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커플링 장치는 베어링부 및 고정 암을 가지며, 상기 고정 암은 핀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어 상기 핀을 베어링부 내부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주머니 공구가 공지되어 있다. 커플링 해제의 경우뿐만 아니라 커플링의 경우에도 전자 장치 모듈은, 상기 전자 장치 모듈의 종축이 하우징의 종축에 대하여 90°의 각으로 향할 정도로 하우징에 대하여 선회된다.

    미국 특허 416,946 A호, 독일 특허 DE 290 359 C호, U미국 특허 586,453 A호, 미국 특허 19,606 A호 및 미국 특허 1,049,931 A호는, 하나의 기능도구가 커플링 장치를 통하여 교체 가능하게 하우징의 하나의 핀 상에 지지되어 있고, 피벗 지지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안으로 선회한 운반 위치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밖으로 선회한 기능 위치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도록(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주머니 공 구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도구의 교체를 간단한 방식으로 그리고 중대한 상해 위험 없이 실시할 수 있는 주머니 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교체 동작 중에, 특히 커플링 해체 동작 중에 기능도구가 커넥팅 링크 가이드부에 의하여, 하우징의 종축에 대하여 기능면(functional surface), 특히 칼(knife)의 절단날(blade) 또는 톱의 톱니와 하우징 외부 윤곽 사이의 간극이 사용자의 손가락 횡단면보다 작은 소정의 각으로 움직인다는 것과, 사용자가 교체 동작 중에 실수로 기능면의 상부 날로부터 미끄러지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손가락 끝이 상기 기능도구의 "위험하지 않은" 측면에서 그리고 하우징에서 아래로 미끄러질 수 있어서 상기 기능면과 접촉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교체 동작 중에는 상기 기능도구가 수용 영역을 따라 측면에서 하우징을 통과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 및 추가의 기능도구로 가이드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커플링 해제력이 비교적 높은 경우에도 상기 기능도구의 손상, 예를 들어 변형이 방지된다. 파지 캠(gripping cam)에 의해서는 주머니 공구의 인체 공학 및 취급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기능도구가 커플링 해체 위치로 선회한 경우에는 절단날 또는 절단날들의 각도 범위를 국부적으로 측면에서 가리는 보호 조치도 제공된다.

    청구항 2에 따른 본 발명의 개선예도 장점이 되는데, 그 이유는 가이드 암에 의해서 포크 형태의 착좌부가 형성되고, 상기 착좌부에 의해서는 상기 기능도구를 핀으로부터 커플링 해체하는 동작 그리고 상기 기능도구를 핀에 커플링하는 동작이 특히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청구항 3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도구는 교체 동작에서, 특히 커플링 과정에서 제 2 가이드 암에 있는 커넥팅 링크 스트립(또는 가이드 트랙)을 통해 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수용부 영역 내에서 통제된 상태로 움직이고, 계속해서 하우징의 종축에 대해 비교적 긴밀하고 평행하게 지지된다. 그럼으로써, 사용자는 커플링 과정에서도 기능도구의 기능면과 접촉되는 경우가 배제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 손가락의 부상도 배제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따른 실시예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운반 위치에서뿐만 아니라 기능 위치에서도 스프링 부재에 의해서 가해진 지지력이 기능도구에 작용함으로써 베어링부들 중 하나의 베어링부가 두 가지 최종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핀에 결합 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서는, 커플링 위치에서 기능도구가 핀에 선회 동작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자동으로 풀어지는 동작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교체 가능한 기능도구가 분실되지 않게 하는 것이 신뢰성 있게 보장된다.

    기능도구를 커플링 위치에 신뢰성 있게 고정하는 것은 청구항 6 및 청구항 7에 정의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결과이다.

    청구항 8에 따른 본 발명의 개선예는 장점이 되는데, 그 이유는 운반 위치에서뿐만 아니라 기능 위치에서도 스프링 부재의 록킹(혹은 걸림) 캠이 기능도구의 상응하는 록킹 홈(locking recess)(혹은 걸림 홈)에 결합되고, 피벗 지지부의 가이드 스트립부(혹은 가이드 트랙부)가 지지 캠에 대하여 인접함으로써, 특히 기능 위치에서는 높은 지지력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기능도구를 이용하는 중에도 운반 위치로 실수로 접히는 경우가 확실하게 피해지기 때문이다.

    청구항 9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 부재에 있는 가이드 커넥팅 로드(또는 가이드 링크) 및 개별 가이드 스트립부(가이드 트랙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스프링 부재에 대한 상기 기능도구의 밖으로 선회하는 동작 및 안으로 선회하는 동작이 깔끔하게 이루어진다.

    청구항 10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높은 절단력이 기능도구에 의해서 흡수될 수 있다.

    청구항 11에 따른 실시예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기능도구들이 밖으로 선회한 기능 위치에서는 경우에 따라 스프링 부재에 추가로 분리벽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고정 탭(locking tab)에 의해서, 피벗 지지부와의 형상 결합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고, 그 때문에 심지어 사용 중에 힘 또는 모멘트가 높은 경우에도 기능도구가 원치 않게 운반 위치로 역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피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 탭이 기능도구를 해제시킨 후에야 비로소 기능도구가 통제된 방식으로 운반 위치로 역으로 선회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기능도구가 예상 외로 안으로 들어가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부상될 가능성이 크게 피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2의 특징들에 의해서도 해결된다. 바람직한 것은, 기능도구가 커넥팅 링크 가이드부(또는 가이드 트랙)에 의해서 적은 힘을 쓰고도 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기능도구의 베어링부가 커플링 위치에서는 탄성력의 작용에 의해서 핀 상에 신뢰성 있게 결합한다는 것이다. 힘을 적게 가하고도 안락한 교체 동작이 달성되므로, 사용자 자신이 다칠 위험 가능성도 아주 적다.

    청구항 13 및 14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도구의 커플링 동작은 바람직하게 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회 동작으로 변환된다.

    청구항 15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도구는 예를 들어 구조의 목적으로 차량의 창유리를 파괴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단날이 장시간 동안 사용 가능한 상대로 유지되고, 중대한 부상 위험 없이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절단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6의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무딘(dull) 캠들은 이 캠들 사이로 연장되는 절단날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로서 이용된다. 또한 후방 캠은, 주머니 공구의 사용자가 절단 공구를 사용할 때에 손잡이로 이용되는 하우징으로부터 실수로 미끄러질 경우에, 상기 주머니 공구의 사용자를 부상으로부터, 특히 절단 부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지지면 또는 파지면을 형성한다.

    청구항 17 및 18에 따른 실시예들도 장점이 되는데, 그 이유는 절단할 대상 물, 더욱이 예를 들어 바짝 당겨진 안전 벨트와 같이 탑승객에게 손상을 가함이 없이 절단해야 하는 대상물의 경우에도 전방 캠은 그 대상물을 위한 가이드 기능을 충족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하고 이하의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효과가 달성되는바, 그 주요 효과는 기능도구의 교체를 간단한 방식으로 할 수 있으며 그 교체를 중대한 상해 위험 없이 실시할 수 있는 주머니 공구가 제공된다는데 있다.

    각기 다른 여러 실시예에서의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 또는 동일한 부품 명칭을 가지며, 이 경우 전체 상세한 설명에 포함된 공개 내용들은 의미상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 또는 동일한 부품 명칭을 갖는 동일한 부품들에 전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머니 공구(1)를 보여준다. 상기 주머니 공구는 본 실시예에 따라 주머니 칼로 제공되었고, 하우징(2)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서로 마주 놓인 측벽(3a, 3b), 상기 측벽들 사이에 배치된 분리벽(4a, 4b) 그리고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평면에서 상기 분리벽을 적어도 국부적으로 제한하는 수용 영역(5, 6, 7)을 갖는다. 상기 측벽(3a, 3b)의 외부면은 각각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쉘(8a, 8b)로 덮여 있다. 상기 측벽 및 분리벽(3a, 3b, 4a, 4b)은 하우징(2)의 단부 영역(9, 10)에 배치된 핀(11a, 11b)에 의해서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핀들 사이에 배치된 핀(1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그 사이에서 수용 영역(5, 6, 7)을 형성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머니 공구(1)는 상이한 기능도구(13 내지 17)들을 포함하며, 이 경우 기능도구(13 내지 16)는 피벗 지지부(18 내지 21)를 각각 하나씩 포함하고, 상기 피벗 지지부를 통해 각각의 기능도구(13 내지 16)는 수용 영역(5, 6, 7) 안으로 선회한 운반 위치(도 1에 도시됨)와 상기 수용 영역(5, 6, 7)으로부터 밖으로 선회한 기능 위치(도 2에 도시됨)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고(변위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고), 핀(11a, 11b) 상에 지지되어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기능도구(13, 17)는 각각 커플링 장치(22, 23)를 통해 핀(11a, 11b) 상에 교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내용과 연관된 장점은, 상기 기능도구(13, 17)가 한편으로는 다른 기능의 기능도구로 교체되거나 또는 마모 현상 후에 새로운 기능도구로 교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주머니 공구(1)는 주로 사고 후에 차량으로부터 사람을 밖으로 구해내기 위해서 이용되며, 그에 상응하게 가능도구(13 내지 17)도 그 목적을 위해서 구성된다.

    기능도구(13)는 절단 공구에 형태로 제공되는데, 톱날(24)을 포함하며, 상기 톱날은 부상자에 대한 접근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결합 유리, 예를 들어 자동차의 측면 유리를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절단 공구는 피벗 지지부(18), 상기 피벗 지지부로부터 첨단부(25)까지 연장되는 하부 및 상부 에지(26, 27) 그리고 상기 하부 에지와 상부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측면(28)을 갖고, 상기 하부 에지(26)에서는 연이어 배치된 다수의 절단날(29) 또는 톱니를 형성한다. 상기 하부 에지 및 상부 에지(26, 27)는 피벗 지지부(18)로부터 첨단부(25)의 방향으로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좁아지고, 적어도 상기 상부 에지(27)는 오목하게 형성되었다. 톱니(24)의 첨단부(25)에는, 안으로 선회한 운동 위치에서 하우징(2)의 외부 윤곽 밖으로 돌출하는 핸들 부재(30)와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가이드 및 정지면(guide and abutment surface)(31)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및 정지면은 하부 에지(26)에서 최상부 절단날(29)과 핸들 부재(30) 사이로 연장된다. 커플링 장치(22)를 포함하는 피벗 지지부(18)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기술된다.

    기능도구(14)는 안전 벨트를 절단하기 위한 벨트 절단기(35)로 형성되었으며, 상기 벨트 절단기는 피벗 지지부(19) 및 상기 피벗 지지부로부터 첨단부(36)까지 거의 서로 평행하게 진행하는 하부 및 상부 에지(37, 38) 그리고 상기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합한 측면(39)을 갖는다. 하나의 측면(39)과 상기 하부 에지(37) 사이의 변환 영역에는, 톱니 모양의 나이프(혹은 그라인딩 날)의 형태로 된 오목한 절단날(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첨단부(36)에는 재차 기능도구(14)의 운반 위치에서 하우징(2) 외부 윤곽 밖으로 돌출하는 핸들 부재(41)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핸들 부재(41)는, 상기 기능도구(14)의 기능 위치로의 선회 동작도 손가락 끝과 다른 신체 부분에 의해서, 예컨대 무릎에 의해서 가능할 정도까지 외부 윤곽 밖으로 돌출하며, 그럼으로써 기능도구(14)가 운반 위치로 선회하는 경우에는 한 손 조작으로 기능 위치로의 선회도 가능해진다. 벨트 절단기(35)가 인명 피해 없이 바짝 당겨진 안전 벨트 아래에도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상기 상부 에지(38)는 볼록하게 형성되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에지(37)는 오목하게 형성되었다.

    기능도구(14)는 또한 하부 에지(37) 영역에서 한편으로는 첨단부(36)와 절단날(40) 사이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피벗 지지부(19)와 절단날(40) 사이에, 상기 절단날(40)에서 돌출하는 전방 캠(105a) 및 상기 절단날(40)에서 돌출하는 후방 캠(105b)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 캠(105a)은 하부 에지(37)로부터 상부 에지(38)의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진행하는 범퍼면(106) 및 가이드면(107)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면이 절단날(40)에 연결된다. 첨단부(36)와 캠(105a) 사이에서는 지지면(108)이 연장되며, 이 경우 상기 범퍼면(106)과 지지면(108)은 90° 내지 130°, 예컨대 110°의 각을 형성하고, 상기 범퍼면과 지지면(106, 108) 사이의 변환 영역에는 예를 들어 2 mm 내지 6 mm의 반경을 갖는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능도구(14)가 자신의 기능 위치로 선회하면, 상기 지지면(108) 및 하우징(2)의 종축(68)은 10° 내지 30°, 예컨대 15°의 각을 형성한다.

    대상물, 특히 안전 벨트가 절단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첨단부(36)가 절단할 대상물 아래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대상물은 지지면(108) 위로 가이드 되고, 그 다음에 범퍼면(106)을 통해 가이드면(107)까지 상승하며, 상기 가이드면에 의하여 대상물이 절단날(40) 위로 미끄러져서 절단된다.

    따라서, 인명 피해를 부가하지 않으면서 대상물이 절단되어야만 하고 예를 들어 바짝 당겨진 안전 벨트까지도 절단될 수 있는 경우에는, 전방 캠(105a)이 대 상물을 위한 가이드 기능을 충족한다.

    후방 캠(105b)은 하부 에지(37)로부터 상부 에지(38)의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기울어져서 진행하는 지지면 또는 파지면(109)을 형성하며, 주머니 공구의 사용자가 기능도구(14)를 사용할 때에 손잡이로서 이용되는 하우징으로부터 실수로 미끄러지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면 또는 파지면이 주머니 공구(1)의 사용자를 부상으로부터, 특히 절단 부상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상기 파지면(109)은 기능도구(14)의 사용시에 손가락 끝을 지지할 수 있다. 그밖에 무딘 캠(105a, 105b)은 상기 캠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절단날(40)의 보호부로서 이용된다.

    기능도구(15)는 칼날(knife blade)(42)(절단 공구)로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칼날은 피벗 지지부(20) 및 상기 피벗 지지부로부터 첨단부까지 연속으로 진행하는 하부 및 상부 에지(43, 44) 그리고 상기 상부 에지와 하부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조화되는 측면(congruent side face)(45)을 갖는다. 상기 측면(45)과 상기 하부 에지(43) 사이의 변환 영역에서는 절단날(46)이 톱니형 나이프(그라인딩 날)의 형태로 형성되었다. 상기 칼날(42)의 상부 에지(44)에서 피벗 지지부(20)로 변환되는 영역에는 상기 블레이드 위로 돌출하는, 눈(eye) 형태의 핸들 개구(47)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핸들 개구(47)의 치수는, 한편으로는 특히 우수한 취급성에 의하여 칼날(42)이 단지 엄지 손가락에 의해서만 운반 위치로부터 기능 위치로 밖으로 선회할 수 있거나 또는 그 반대로 선회할 수 있도록,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두꺼운 장갑을 사용해서도 상기 칼날(42)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정되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는 한 손 조작이 가능하다.

    기능도구(16)는 피벗 지지부(21), 스크루 드라이버(48) 및 캡슐 리프터(49)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2)은 추가로 기능 위치에 상기 칼날(42)을 록킹하고 그리고 록킹 해제할 목적으로 단부 영역(9)에서는 상기 칼날(42)의 피벗 지지부(20)에 할당된 고정 탭(50a)을 구비하고, 기능 위치에 톱날(24)을 록킹하고 그리고 록킹 해제할 목적으로 단부 영역(10)에서는 상기 톱날(24)의 피벗 지지부(18)에 할당된 고정 탭(50b)을 구비한다.

    주머니 공구(1)의 특히 콤팩트한 구성은, 고정 탭(50a, 50b)이 상기 톱날(24)과 상기 칼날(42) 사이에 배치된 분리 벽(40a)과 일체로, 천공 및 변형에 의해서 제조됨으로써 성취된다. 상기 고정 탭(50a, 50b)이 상기 분리벽(4a)의 평면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꺾임으로써, 결과적으로 톱날(24) 또는 칼날(42)이 기능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 상기 고정 탭(50a, 50b)은 자동으로 록킹 해제 상태(도 1 참조)로부터 록킹 상태(도 2 참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 탭(50a, 50b)이 밖으로 선회된 록킹 상태로부터 탄성력에 대항하여 거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분리벽(4a)에 록킹 해제력을 가하면, 상기 분리벽은 톱날(24) 또는 칼날(42) 옆 측면에서 록킹 해제 상태로 움직이고, 그 다음에 상기 톱날(24) 또는 칼날(42)이 기능 위치로부터 운반 위치로 안으로 선회할 수 있게 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상기 분리벽(4a)은 반대로 배치된 정면(52)으로부터 연속으로 축소하는, 크로스 브리지(53)에 의하여 상기 정면의 최종 단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파형의 접합부(joint)를 갖는다.

    추가의 기능도구(17)는 커플링 장치(23)를 통해 교체 가능하게 핀(11b) 상에 배치된 창유리 파괴부(55) 또는 절단 공구로서 마련되었으며, 상기 절단 공구는 창유리를 깨기 위한 송곳 첨단부(56)를 구비한다.

    전술된 기능도구(13 내지 17)들은 각각 피벗 지지부(18 내지 21)에 의하여, 상응하는 수용 영역(5, 6, 7) 내부로 돌출하는 스프링 부재(60 내지 63)에 대하여 지지되고, 스프링 하중을 받아서 도 1에 도시된 운반 위치로부터 180°만큼 도 2에 도시된 기능 위치로 밖으로 선회할 수 있다.

    공통으로 기술된 도 4 내지 도 8은 기능도구(13)를 핀(11a)으로부터 결합 해제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상기 기능도구(13) 및 스프링 부재(60)에 대한 상세도를 보여준다. 절단 공구의 피벗 지지부(18)가 스프링 부재(60)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안으로 선회한 운반 위치(도 4)에서뿐만 아니라 밖으로 선회한 기능 위치(도 9)에서도 지지력이 작용한다. 교체 동작이 반복되는 경우에도 핀(11a)의 마모 현상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핀 상에는 베어링 부시(58)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베어링 부시에는 절단 공구의 피벗 지지부(18), 특히 베어링부가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60)는 레버에 의해서 지지되며, 핀(11b)에 대하여 지지된 지지 몸체(64) 그리고 상기 지지 몸체에서 앞으로 돌출하는 및 핀(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가요성의 탄성 스프링 암(65)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 몸체(64)는 안으로 선회한 자신의 절단 공구 쪽을 향하고 있는 상부면에 상기 가이드 및 정지면(31)에 대하여 상보적인 가이드면(66) 및 정지 스톱(67)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면 및 정지 스톱은 한 평면에 놓여 있고, 하우징(2)의 종축(68)과 30° 미만의 각, 특히 10° 내지 20°의 각을 형성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3a, 3b)은 각각 자신의 상부면에 운반 위치 안으로 조정된 기능도구(13)의 외부 윤곽 밖으로 돌출하는 및 종축(68)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된 볼록한 파지 캠(59)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파지 캠의 높이 및 폭은, 커플링 해제 위치에서 절단날(29)을 포함한 하부 에지(26)의 부분 길이가 측벽(3a, 3b)에 의하여 측면에서 오버랩 되도록 설정되었다.

    스프링 부재(60) 또는 스프링 암(6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자유 단부에 록킹(혹은 걸림) 캠(69), 지지 캠(70) 및 상기 캠들 사이에서 스프링 부재(60)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가이드 커넥팅 링크(71)를 구비한다. 상기 록킹 캠(69)은 록킹 부재(72)를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장치(22)는 가이드 암(73, 74) 그리고 상기 가이드 암 사이에 형성된, 핀(11a)과 베어링 부시(58)를 수용하기 위한 홈(75)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암(73, 74)은 서로 마주 놓인 면에 커넥팅 링크 스트립(또는 가이드 트랙)(76, 77)을 각각 하나씩 형성하며, 이 경우 절단 공구의 운반 위치에서 상기 평탄한 커넥팅 링크 스트립(76)은 주머니 공구(1)의 종축(68)과 소정의 각을 형성하며, 상기 각은 절단 공구가 도 7에 도시된 커플링 해제 위치에서 안으로 선회한 운반 위치와 밖으로 선회한 기능 위치 사이에서 선회하도록 그리고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축(68)에 대하여 30° 미만의 각(78), 특히 7° 내지 15°의 각으로 핀(11a)으로부터 미끄러질 수 있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기능도구(13)가 운반 위치로 선회한 경우에, 상기 기능도구(13)의 종축 및 커넥팅 링크 스트립(76)은 30° 미만의 각, 특히 7° 내지 15°의 각을 형성한다.

    플레이트 형태의 피벗 지지부(18)는 외부 둘레에서 선회 방향으로 약 180°만큼 변위 배치된 록킹 부재(79, 80)를 구비하며, 톱날(24)의 커플링 위치(도 4) 또는 운반 위치 및 기능 위치에서는 상기 스프링 부재(60)에 배치된 록킹 캠(69)이 상기 록킹 부재 내부에 결합된다. 그럼으로써, 운반 위치에서뿐만 아니라 기능 위치에서도 지지력은 현저하게 개선된다. 상기 록킹 부재(79, 80) 사이에서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스트립부(81, 82)가 연장되며, 이때 톱날(24)이 운송 또는 커플링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 가이드 암(73)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한 상기 가이드 스트립부(81)는 지지 캠(70) 상에 놓이게 된다. 상기 록킹 부재(79)는 제 1 가이드 스트립부(81) 내에 배치된 록킹 홈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피벗 지지부(18)는 또한 외부 둘레에 선회 방향으로 쇼울더(83), 록킹 부재(80)로부터 상기 쇼울더(83)까지 연장되면서 가이드 암(74)으로부터 떨어져 마주한 제 3의 가이드 스트립부(84), 그리고 홈(75)의 단부에 위·아래로 중첩 배치된 베어링부(85, 68)를 구비한다. 상기 록킹 부재(80)는 상기 제 3 가이드 스트립부(84) 내부에 배치된 록킹 홈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도 6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 지지부(18)는 가이드 스트립부(81, 82) 사이의 변환 영역에 또한 평탄부(87)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평탄부는 제 1 커넥팅 링크 스트립(76)과 거의 평행으로 배치된 상태로 진행하며, 톱날(24)이 커플링 해제 위치에서 상기 평탄부(87)와 지지 캠(70)에 대하여 인접하도록 그리고 하우징(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각(78)을 두고 지지 되도록 할 수 있다.

    운송 또는 커플링 위치(도 4)에서, 톱날(24)의 제 1 가이드 스트립부(또는 가이드 트랙부)(81)는 피벗 지지부(18)에서 지지 캠(71) 상의 스프링 부재(60)에 놓여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60) 및 피벗 지지부(18)의 록킹 부재(72, 79)는 서로 맞물려 있다. 따라서, 지지 캠(70)의 크기 및 탄성력에 따라 운송 또는 커플링 위치에서 상응하는 지지력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톱날(24)을 파지하여서 지지력을 극복하기 위해 힘을 가하게 되어서 결과적으로 록킹 캠(69)이 록킹 홈으로부터 밖으로 꺼내지면, 상기 가이드 스트립부(82)는 피벗 지지부(18)의 외측 단부에서 가이드 커넥팅 링크(71)를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커넥팅 링크 가이드부는 스프링 부재(60)에 대한 톱날(24)의 더욱 깔끔한 선회 동작을 야기한다. 마지막으로, 피벗 지지부(18)에 있는 록킹 부재(80)는 스프링 부재(60)의 록킹 캠(69)에 도달하게 되며, 이곳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결합하고, 톱날(24)은 쇼울더(83)를 통해 스프링 부재(60)의 정면(88)에 대하여 인접한다. 이와 같이 밖으로 선회된 위치에서는 기능 위치(도 9)에 도달하게 되며, 상기 기능 위치에서는 톱날(24)이 스프링 부재(60)의 상응하는 지지력에 의해서 고정되고, 사용시에는 의도치 않은 역방향으로의 접힘 동작(folding back)이 최대로 광범위하게 제거될 수 있다.

    결합 해제 위치(도 7)에서는 상기 제 1 커넥팅 링크 스트립(76)의 가이드 평면 및 종축(69)이 거의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록킹 부재(72, 79)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톱날(24)은 탄성력에 대항하여 인출 축의 방향으로(화살표 90으로 나타냄) 핀(11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핀(11a)은 가이드 암(73)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인출 축(90)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커플링 해 제 동작에서는 바람직하게 한편으로는 상기 톱날(24)의 제 1 커넥팅 링크 스트립(76)이 핀(11a)에서 수직으로 가이드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하우징(2)을 통과해서, 특히 측벽(3b)에서 그리고/또는 스프링 부재(60)가 그리고/또는 벨트 절단기(35)의 측면(39)에서 측면으로 가이드 된다.

    도 10은 핀(11a)에서 커플링 장치(22)를 통해 이루어지는 톱날(24)의 커플링 과정을 보여준다. 커플링 해제 과정과 마찬가지로, 상기 커플링 과정도 또한 최고의 안전 규정 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톱날(24)을 연결할 때에는, 상기 톱날이 하우징(2)의 종축(68)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지지되고, 상기 수용 영역(5)을 따라 삽입 축의 방향으로(화살표 91로 나타냄) 상기 핀(11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커플링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커플링 위치에서는 베어링부(85)에 있는 핀(11a) 및 록킹 부재(79, 80)가 결합된다.

    톱날(24)이 커플링 위치로 커플링 되는 동작 중에, 가이드면(31)은 스프링 부재(60)의 가이드면(66)에 미끄럼 방식으로 올려지며, 핀(11a)은 원호 형태의 제 2 커넥팅 링크 스트립(또는 가이드 트랙)(77)을 따라서 그리고 피벗 지지부(18)는 탄성력에 대항하여 스프링 부재(60)로부터 베어링부(85, 86)까지 움직이며, 그곳에서 스프링 부재(60)에 이웃하는 상기 피벗 지지부(18)의 베어링(85)이 탄성력에 의하여 핀(11a)에 결합하게 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플링 해제 위치에서뿐만 아니라 커플링 위치에서도 홈(75)의 개구측은 수용 영역(5) 쪽을 향하고 있다.

    공통으로 기술된 도 11 내지 도 13에는, 커플링 장치(23)를 통해 핀(11b) 상 에 교체 가능하게 지지된 창유리 파괴부(55)의 교체 동작이 아래와 같은 단계들로 도시되어 있다. 창유리 파괴부(55)는 플레이트 형태의 기본 몸체(92), 상기 기본 몸체상에 배치된 송곳 첨단부(56)를 포함하고, 상기 송곳 첨단부에 마주 놓인 상기 커플링 장치(23)의 측면에는 록킹용 노우즈(93) 그리고 베어링부(94)를 구비한다. 상기 커플링 장치(23)는 핀(11b)을 수용하기 위한 홈(95)을 통해 상호 분리 배치된 가이드 암(96, 97)을 포함한다. 스프링 부재(63)에 이웃하는 가이드 암(96) 및 상기 가이드 암에 마주 놓인 가이드 암(97)은 서로 마주 향하는 자신들의 측면에 섹션 방식으로 평평한 커넥팅 링크 스트립(또는 가이드 트랙)(98, 99)을 갖는다. 상기 제 1 가이드 암(96)은 추가로 스프링 부재(63)를 향하고 있는 측면에 원호 형태의 제 3 커넥팅 링크 스트립(100)을 구비하며, 상기 커넥팅 링크 스트립은 스프링 부재(63)에 있는 가이드 스트립(101)에 대하여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63)는 핀(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스프링 암(102, 103)을 구비하며, 그 중에서 제 1 스프링 암(102)은 창유리 파괴부(55)에 할당되어 있고, 제 2 스프링 암(103)은 기능도구(16)에 할당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암에 대하여 한편으로는 기능도구(16)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창유리 파괴부(55)가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능도구(16)는 안으로 선회한 운반 위치에서뿐만 아니라 밖으로 선회한 기능 위치에서도 지지력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때 창유리 파괴부(55)가 핀(11b)에 커플링 되어야 한다면, 상기 창유리 파괴부는 우선 상기 핀(11b)이 홈(95) 내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우징(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치 설정된다. 상기 커플링 동작 중에 가이드 암(96)은, 도 12에 화살 표(104)로 지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63)의 탄성력의 작용에 대항하여 핀(11b)을 중심으로 아래로 선회한다. 이때 커넥팅 링크 스트립(100)은 가이드 커넥팅 링크(101)에서 미끄러지고, 창유리 파괴부(55)는 탄성력에 대항하여 스프링 부재(63)로부터 베어링부(94)까지 움직이며, 이 경우 핀(11b)은 베어링부(94)에 결합되어 커플링 위치(도 13)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커플링 위치에서는 가이드 암(96)이 스프링 부재(63)의 가이드 커넥팅 링크(101) 상에 놓이고, 스프링 부재(63)의 상응하는 지지력을 창유리 파괴부(55)에 가한다.

    커넥팅 링크 스트립(98 및/또는 99)은 주머니 공구(1)의 종축(68)과 소정의 각을 형성하며, 상기 각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창유리 파괴부(55)가 종축(68)에 대하여 30° 미만, 특히 7° 내지 15°의 각으로 핀(11b)에 연결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되었다. 따라서, 기능도구(17)가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기능도구(17)의 종축과 커넥팅 링크 스트립(98; 99)이 30° 미만, 특히 7° 내지 15°의 각을 형성한다.

    결합 해제 과정에서는, 창유리 파괴부(55)가 파지되고 파워 소모에 의해서 지지력을 극복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핀(11b)은 베어링부(94)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커넥팅 링크 스트립(98, 99)을 따라 밖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63)가 정면 단부에서는 록킹 노우즈(93)에 의하여 후방 결합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용시에는 창유리 파괴부(55)와 스프링 부재(63) 사이의 형상 결합 덕분에, 핀(11b)이 실수로 베어링부(94)로부터 인출되고 창유리 파괴부(55)가 핀(11b)으로부터 커플링 분리될 수 있 는 상황이 피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부가할 내용은, 벨트 절단기(35) 또는 칼날(42)에도 또한 커플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배열 상태와 관련하여 마지막으로 언급할 내용은, 주머니 공구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주머니 공구 또는 상기 공구의 구성 부품들은 부분적으로 척도에 맞지 않게 그리고/또는 확대된 상태로 그리고/또는 축소된 상태로 도시되었다는 것이다.

    다른 무엇보다도, 도 1 내지 도 13에 개별적으로 도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독자적인 해결책들의 대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수용 영역 안에서 운반 위치로 안으로 선회한 기능도구들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주머니 공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수용 영역 밖에서 기능 위치로 밖으로 선회한 기능도구들을 구비한 도 1에 따른 주머니 공구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주머니 공구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운반 위치로 안으로 선회한 또는 커플링 위치에 있는 기능도구 그리고 상기 기능도구와 상호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스프링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기능도구의 피벗 지지부 및 커플링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7은 수용 영역으로부터 밖으로 국부적으로 선회한 커플링 해체 위치에 있는 도 4에 따른 기능도구 및 스프링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기능도구를 핀으로부터 커플링 해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기능 위치로 밖으로 선회한 기능도구 그리고 상기 기능도구와 상호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기능도구를 핀 상에 커플링 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핀으로부터 제거된 창유리 파괴부 및 안으로 선회한 캡슐 리프터(capsule lifter) 및 상기 부재들과 상호 작용하는 스프링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커플링 과정에서 창유리 파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핀 상에서의 창유리 파괴부의 커플링 위치, 스프링 부재 및 캡슐 리프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주머니 공구 2: 하우징

    3a, 3b: 측벽 4a, 4b: 분리벽

    5, 6, 7: 수용 영역 8a, 8b: 쉘

    9, 10: 단부 영역 11a, 11b, 12: 핀

    13 ~ 17: 기능도구 18-21: 피벗 지지부

    22, 23: 커플링 장치 24: 톱날

    25: 첨단부 26: 하부 에지

    27: 상부 에지 28: 측면

    29: 절단날 30: 핸들 부재

    31: 가이드 및 정지면 35: 벨트 절단기

    36: 첨단부 37: 하부 에지

    38: 상부 에지 39: 측면

    40: 절단날 41: 핸들 부재

    42: 칼날 43: 하부 에지

    44: 상부 에지 45: 측면

    46: 절단날 47: 핸들 개구

    48: 스크루 드라이버 49: 캡슐 리프터

    50a, 50b: 고정 탭 52: 정면

    53: 크로스 브리지 54: 접합부

    55: 창유리 파괴부 56: 송곳 첨단부

    58: 베어링 부시 59: 파지 캠

    60 ~ 63: 스프링 부재 64: 지지 몸체

    65: 스프링 암 66: 가이드면

    67: 정지 스톱 68: 종축

    69: 록킹 캠 70: 지지 캠

    71: 가이드 커넥팅 링크 72: 록킹 부재

    73, 74: 가이드 암 75: 홈

    76, 77: 커넥팅 링크 스트립 78: 각

    79, 80: 록킹 부재 81, 82: 가이드 스트립부

    83: 쇼울더 84: 가이드 스트립부

    85, 86: 베어링부 87: 평탄부

    88: 정면 90: 인출 축

    91: 삽입 축 92: 기본 몸체

    93: 록킹용 노우즈 94: 베어링부

    95: 홈 96, 97: 가이드 암

    98 ~ 100: 커넥팅 링크 스트립 101: 가이드 커넥팅 링크

    102, 103: 스프링 104: 화살표

    105: 캠 106: 범퍼 면

    107: 가이드면 108: 지지면

    109: 파지면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