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 용구

申请号 KR1020040037455 申请日 2004-05-25 公开(公告)号 KR1020040101937A 公开(公告)日 2004-12-03
申请人 다나카 다카노리; 发明人 다나카다카노리;
摘要 PURPOSE: A hairdressing appliance for simply cutting the hair of anybody in a wanted manner, is provided to simply cut the hair of any body in a wanted hair-style. CONSTITUTION: The hairdressing appliance is composed of a main body which includes: a pair of hair bunch supporting pieces(10b) whose front end is openable; a connection maintenance(11), maint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es of the hair bunch supporting pieces(10b); a convex part(12), projected approximately rectangularly IN the opening and shutting direction of the supporting pieces(10b); and a cutting unit(13),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or both sides of the facing insides of the supporting pieces(10b). The cutting unit(13) has a maintaining unit(18) which is positioned approximately in parallel to the scalp and maintains the lower hair at a determined angle in relation to the scalp.
权利要求
  • 선단부가 개폐가능한 한 쌍의 모발다발 지지편과,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기단부 상호를 연결 유지하는 연결유지부와, 상기 연결유지부로부터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개폐 방향에 대해 대략 직각방향으로 돌출시킨 볼록부와,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의 한 쪽 또는 양 쪽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커트 수단으로 기구 본체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커트 수단은, 상기 볼록부의 선단을 두피의 소정 위치에 접지시킨 커트 개시 자세로, 상기 두피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트 개시 자세에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상기 두피에 대향하는 면의 소정 위치에, 모발다발의 하측의 모발을 두피에 대해 일정 각도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용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상기 내면에 상기 커트 수단의 형성역을 따라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트 수단은, 상기 홈부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면도날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면도날은, 상기 내면에 대해 약 45도,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을 회전시키는 방향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끼워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용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날의 외측면을 따라서, 얇은 판 형상의 안전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안전 커버의, 상기 면도날의 칼날을 따른 1변은, 상기 칼날을 중심으로 요철이 형성된 파도 형상 변으로 하고, 상기 면도날을 구비시킨 커트 수단을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대향하는 내면의 양 쪽에 설치할 때, 한 쪽의 모발다발 지지편에 설치된 상기 커트 수단의 상기 안전 커버의 파도 형상변의 볼록부와 오목부는, 다른쪽의 모발다발 지지편에 설치된 상기 커트 수단의 상기 안전 커버의 파도 형상 변의 오목부와 볼록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용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기단부 근방에,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용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기단부 근방에,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용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 개시 자세에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은 두피를 따라 위치하도록 대략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용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 개시 자세에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은 두피를 따라 위치하도록 대략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용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 개시 자세에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은 두피를 따라 위치하도록 대략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용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 개시 자세에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은 두피를 따라 위치하도록 대략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용구.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기단부 사이에 탄성재료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용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기단부 사이에 탄성재료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용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기단부 사이에 탄성재료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용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기단부 사이에 탄성재료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용구.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기단부 사이에 탄성재료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용구.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기단부 사이에 탄성재료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용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기단부 사이에 탄성재료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용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기단부 사이에 탄성재료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용구.
  • 선단부가 개폐가능한 한 쌍의 모발다발 지지편과,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기단부 상호를 연결 유지하는 연결유지부와, 상기 연결유지부로부터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개폐 방향에 대해 대략 직각 방향으로 돌출시킨 볼록부와, 상기 모발다발지지편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의 한 쪽 또는 양 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빗 수단으로 기구 본체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빗 수단은, 상기 볼록부의 선단을 두피의 소정 위치에 접지시킨 빗질 개시 자세에서, 상기 두피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내면에 설치된 홈부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빗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빗질 개시 자세에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상기 두피에 대향하는 면의 소정 위치에, 모발다발의 하측의 모발을 두피에 대해 일정 각도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 용구.
  • 说明书全文

    이용 용구{HAIRDRESSING APPLIANCES}

    본 발명은, 이용 용구, 특히, 숙련자가 아니어도 용이하게 헤어 커트를 할 수 있는 이용 용구에 관한 것이다.

    모발을 비스듬히 자르듯이 커트하여 모발 전체의 부피를 낮게 하는 섀기 커트는, 모발의 양감(量感)을 억제할 뿐만아니라, 디자인성이 높은 헤어스타일을 창출하기 위해서도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래 헤어스타일은 복수로 분할된 모발다발의 겹치기로 되어 있고, 분할된 각 모발다발이 두피에 대해 모두 일정한 각도로 또한 일정한 길이로 커트됨으로써, 모든 모발 다발이 일정한 형으로 고르게 된 상태로 마무리되면, 아름답고 안정된 헤어스타일이 완성되게 된다. 이 때문에, 프로 미용사는,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모발다발(2)을 두피에 대해 약 90도로 빗으로 끌어 올리고, 한 쪽 손의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일정한 길이가 되도록, 다른쪽 손으로 가위 또는 면도날로 커트하고 있다.

    특히, 모발끝에 움직임을 부여하여 보다 입체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서 섀기 커트가 행해지는데, 이것에는,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든 모발다발(20)이 동일한 아웃라인으로 형성되도록 각 부의 길이에 주의하여 비스듬히 자르듯이 컷트해 가지 않으면 않되어, 이 작업을 가위나 전기면도기만으로 정확하게 행하는데는 상당한 숙련이 필요하여, 경험이 부족한 사람에게는 곤란한 작업이다.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1-757호나, 실용신안등록 제 3005258호 등에 개시되는 이발 기구가 발명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8-150272호 등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모발다발을 끼우고 기구를 모발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사이에 끼운 모발을 비스듬히 자르듯이 커트할 수 있는 가정용 이발 기구도 다수 발명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발명에 의해, 빗과 전기면도기와의 바꾸어 잡기의 번잡함이 해소되고, 특허문헌 2의 발명에 의해, 디자인성이 높은 커트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특허문헌 3의 발명과 같은 가정용 이발기구는, 가정에서의 다양한 커트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면도기용 기구는, 주로, 미용원에서 프로 미용사가 사용하는 기구이며, 이들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이 편리하게 되지만, 커트를 정확하게 마무리하기에는 역시 어느 정도의 숙련을 요한다. 또, 가정에서 용이하게 커트를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라도, 각 모발다발에서의 커트 개시 위치의 결정 및 기구를 움직이는 방향은, 각 모발다발마다 눈대중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커트가 불안정하게 되어, 모든 모발다발을 동일하게 커트하여, 전체로 안정된 아름다운 헤어스타일을 창출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누구에게라도 간단하게 원하는 헤어스타일로 헤어 커트 할 수 있는 이용 용구를 제안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이용 용구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 절결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이용 용구의 면도날을 구비시킨 홀더와 그것을 수용시키는 모발다발 지지편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이용 용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이용 용구로 커트한 모발다발의 형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a)는 위에서 본 것이며, (b)는 옆에서 본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이용 용구로 커트할 수 있는 헤어스타일의 베리에이션이며, (a)는 숏 커트, (b)는 레이어 커트, (c)는 밥 커트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이용 용구의 분해 부분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이용 용구의 빗부를 구비시킨 홀더의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헤어 커트의 모양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부호의 설명)

    1 기구 본체 10 모발다발 지지편

    11 연결유지부 12 볼록부

    13 면도날(커트 수단) 18 피복체(유지 수단)

    *청구항 1에 대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선단부가 개폐가능한 한 쌍의 모발다발 지지편과,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기단부 상호를 연결 유지하는 연결유지부와, 상기 연결유지부로부터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개폐 방향에 대해 대략 직각방향으로 돌출시킨 볼록부와,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의 한 쪽 또는 양 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커트 수단으로 기구 본체가 구성되어 있어,

    상기 커트 수단은, 상기 볼록부의 선단을 두피의 소정 위치에 접지시킨 커트 개시 자세에서, 상기 두피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트 개시 자세에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상기 두피에 대향하는 면의 소정 위치에, 모발다발의 하측의 모발을 두피에 대해 일정 각도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한 쪽 손으로 모발다발을 만들고, 다른쪽 손으로 상기 기구 본체를, 한 쌍의 모발다발 지지편을 개폐 가능하게 파지하면서, 상기 모발다발을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 사이에 끼운다. 상기 모발다발은 횡폭보다도 종폭이 종방향으로 길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에 설치한 커트 수단이 두피를 따라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두피에 대한 기구 본체의 각도를 조정하면서, 상기 연결유지부에 설치된 볼록부를 상기 모발다발의 하방의 두피의 소정 위치에 댄다. 이것이 기구 본체의 커트 개시 자세이다. 이 때, 상기 모발다발의 하측부분은, 상기 유지 수단에 유지되게 되어, 상기 모발다발로부터 손을 떼도 유지 수단보다도 하방으로 낙하하지 않고, 상기 모발다발의 하측부분은 두피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유지된 태양이 된다. 이 유지 수단으로 유지된 상태로부터 상기 모발다발의 하측부분의 모발은 상기 커트 수단의 형성영역으로 보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트 개시 자세로부터, 두피에 접지시킨 상기 볼록부를 회전 지지점으로 하여, 모발다발 지지편을 서서히 닫으면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이 두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기구 본체를 회전시켜 간다. 이것에 의해, 모발다발은, 모발다발 지지편의 폐쇄와 회전에 따라, 커트 수단에 접한 부분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절단되어서 비스듬히 잘려가게 되어, 섀기 커트가 완성된다. 볼록부의 접지를, 머리 정상부로부터 목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아랫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이 작업을 반복 행함으로써, 각 부위의 모발다발은 모두 동일한 아웃라인으로 마무리되어 가게 된다.

    더욱, 커트 수단은, 모발다발 지지편의 한 쪽에만 설치되어 있어도, 양 쪽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한 쪽에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발다발은, 한 쪽이 비스듬히 잘린 아웃라인으로 마무리되고, 양 쪽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양 쪽이 동일하게 비스듬히 잘린 대략 V자 형상의 아웃라인으로 마무리된다.

    * 청구항 2에 대해서

    상기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상기 내면에, 상기 커트 수단형성역을 따라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트 수단은, 상기 홈부에게 착탈 자유롭게 넣어지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면도날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면도날은, 상기 내면에 대해 대략 45도,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을 회전시키는 방향을 향해서 경사지게 끼워 넣어져 있다』는 것에서는, 상기 청구항 1과 동일한 요령으로, 모발다발 지지편 사이에서 모발다발을 끼우면서 볼록부를 회전 지지점으로 하여 기구 본체를 회전시키면, 모발다발은, 면도날에 의해 순차적으로 컷트되어 간다. 상기 면도날은 회전방향을 향해서 약 45도 경사지게 홀더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모발다발 지지편의 회전에 따라서, 모발다발은, 종래의 전기면도기에 의한 커트와 동일한 요령으로 컷트되어 가게 된다. 또, 면도날은, 홀더마다 홈부로부터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대해서

    상기 2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날의 외측면을 따라서, 얇은 판형상의 안전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안전 커버의, 상기 면도날의 칼날을 따른 한변은, 상기 칼날을 중심으로 요철이 형성된 파(波)형상 변으로 하고, 상기 면도날을 구비시킨 커트 수단을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대향하는 내면의 양 쪽에 설치할 때, 한 쪽의 모발다발 지지편에 설치된 상기 커트 수단의 상기 안전 커버의 파형상 변의 볼록부와 오목부는, 다른쪽 모발다발 지지편에 설치된 상기 커트 수단의 상기 안전 커버의 파형상 변의 오목부와 볼록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는 것에서는, 손은 칼날보다도 먼저 안전 커버의 볼록부에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홀더의 교환시등에 손이 칼날에 직접 접촉하는 일은 없다. 또, 한 쌍의 모발다발 지지편의 양 쪽에 커트 수단을 설치하는 구성의 것에서는, 모발다발 지지편을 닫았을 때, 양자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 커버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서로 맞물리는 태양이 되기 때문에, 상기 안전 커버의 볼록부 서로가 방해되지 않고, 확실하게 모발다발 지지편을 닫을 수 있다.

    *청구항 4∼5에 대해서

    상기 각 항에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기단부 근방에,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는 것에서는, 유지 수단은, 커트 개시 자세에서, 커트 수단보다도 두피측으로 모발다발을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개폐 동작이 손상되지 않도록 장착되어 있으면 좋다. 또, 모발다발의 양이나 모발의 길이에 따라, 유지 수단의 장착 위치를 이동시키면 좋다.

    *청구항 6∼9에 대하여

    상기 각 항에서, 『상기 커트 개시 자세에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은 두피를 따라 위치하도록 대략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는 것에서는, 볼록부를 두피에 대고, 모발다발 지지편을 두피를 따라 위치시킴으로써, 커트 수단도 필연적으로 두피에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게 된다.

    *청구항 10∼17에 대하여

    상기 각 항에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기단부 사이에, 탄성재료를 개재시켰다』는 것에서는, 양 모발다발 지지편 사이를 닫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도, 상기 탄성재료에 의해, 그 힘은 완화되고, 모발다발 지지편 사이의 급격한 폐쇄는 저지된다.

    *청구항 18에 대하여

    가위로 커트할 때에, 누구라도 간단하게 모발다발을, 두피에 대해 일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끌어 올릴 수 있는 이용 용구를 제안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 그것을 위해 강구한 기술적 수단은, 『선단부가 개폐가능한 한 쌍의 모발다발 지지편과,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기단부 상호를 연결 유지하는 연결유지부와, 상기 연결유지부로부터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개폐 방향에 대해 대략 직각방향으로 돌출시킨 볼록부와,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상호 대향하는 내면의 한 쪽 또는 양 쪽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빗 수단으로 기구 본체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빗 수단은, 상기 볼록부의 선단을 두피의 소정 위치에 접지시킨 빗질 개시 자세에서, 상기 두피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내면에 설치된 홈부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는 홀더과, 상기 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장착되어 있는 빗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빗질 개시 자세에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의 상기 두피에 대향하는 면의 소정 위치에, 모발다발의 하측의 모발을 두피에 대해 일정 각도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것은, 상기 청구항 1의 커트 수단을 빗 수단에 대신한 것이며,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홀더에, 면도날에 대신하여 빗부를 장착한 구성이다.

    청구항 1의 작용과 동일하게, 모발다발을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 사이에 끼우고,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에 설치한 빗 수단이 두피를 따라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볼록부를 상기 모발다발보다도 하방의 두피에 대고, 두피에 대한 기구 본체의 자세를 조정한다. 이것을 빗질 개시 자세라고 한다. 이 때, 상기 모발다발의 하측 부분은, 상기 유지 수단에 유지된다. 이 빗질 개시 자세로부터, 상기 볼록부를 회전 지지점으로 하여, 모발다발 지지편을 닫으면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이 두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기구 본체를 회전시켜 가면, 상기 모발다발은, 유지 수단에 의해 두피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빗 수단의 빗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빗겨지면서 끌어올려져 간다. 그리고, 기구 본체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켰을 때에,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으로부터 외방으로 튀어 나와 있는 상기 모발다발의 끝을, 가위로 커트한다. 볼록부의 접지점을, 머리 정상부에서 목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이 작업을 되풀이 함으로써, 각 모발다발의 끝은 모두 동일한 아웃라인으로 커트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것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이용 용구에 관계되는 기구 본체(1)의 측면도이며, 도 2는 그 일부 절결평면도이다.

    기구 본체(1)는, 한 쌍의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과,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 유지하는 연결유지부(11)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은, 각각 외측에 볼록한 단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연결유지부(11)의,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의 돌출 방향에 대해 약 90도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킨 소정 개소에는 볼록부(12)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의 대향하는 각 내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커트 수단으로서의 면도날(13)이 장착된 홀더(14)를 수용시키기 위한 홈부(15)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1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면도날(13)과 상기 면도날(13)에 따라 배열 설치되는 안전 커버(16)를 구비시키는 홀더 주체(14a)의 양측 단면에, 클릭부(14b)가 기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축선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홈부(15)는, 상기 홀더 주체(14a)를 수용시키는 홀더 주체 수용부(15a)와, 그 양 측면부에 형성되고, 클릭부(14b)를 원 웨이 걸어맞추는 손톱 걸어맞춤 오목부(15b)와, 홀더 주체 수용부(15a)의 개방단의 양단에 설치되고 또한 클릭부(14b)의 자유 단부인 요동조작부(14c)를 수용시키는 얕은 홈부(15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15)에 홀더(14)를, 도면에 도시한 방향으로서 강제적으로 끼워넣으면, 클릭부(14b)를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회전시키면서, 홀더 주체(14a)는 홀더 주체 수용부(15a)에 끼워넣어져 가고, 클릭부(14b)가 클길 걸어맞춤 오목부(15b)에 원웨이 걸어맞추어진 시점에서 홀더(14)는 홈부(15)에 빠짐방지 상태로 수용되게 된다.

    이 때, 요동조작부(14c)는 얕은 홈부(15c)에 수용된 상태로 되어 있어, 요동조작부(14c)를 안쪽으로 탄성변형 시키면, 상기 원웨이 걸어맞춤은 해제되므로, 홈부(15)로부터 홀더(14)를 떼어낼 수 있다.

    또한, 홀더(14)에는, 수평한 바닥면으로부터 기울기 45도 경사지도록, 지지판(1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17)을 따르도록, 면도날(13) 및 안전 커버(16)가 끼워넣어져서, 커트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안전 커버(16)는, 면도날(13)에 대략 일치하는 크기의 엷은 판체이며, 면도날(13)의 칼 끝이 형성되어 있는 1변을 따른 부분은, 요철을 갖는 파도 형상 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도 형상 변의 볼록부(16a)는 면도날(l3)의 칼날보다도 높고, 오목부(16b)는 그것보다도 낮게 구성되어 있어, 볼록부(16a)와 볼록부(16a)와의 사이(오목부(16b)의 상방)에 면도날(13)의 칼날이 노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서 채용하는 안전 커버(16)는,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을 닫았을 때, 한 쪽의 모발다발 지지편(10a)에 구비되어 있는 안전 커버(16)의 볼록부(16a)가, 다른쪽의 모발다발 지지편(10b)에 구비되어 있는 안전 커버(16)의 오목부(16b)에 대응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고,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을 닫을 때에 볼록부(16a)가 방해되지 않도록 연구되어 있다.

    상기 홀더(14)를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에 각각 세팅한 상태에서, 상기 면도날(13) 및 안전 커버(16)는, 기구 본체(1)의 볼록부(12)가 돌출해 있는 방향과 반대측을 향하여, 기울기 45도로 경사진 자세로 돌출하도록, 상기 지지판(17)의 경사 방향은 설정되어 있다.

    또,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의 기단부 근방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발다발(21)의 하측 부분의 모발(2la)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으로서, 합성수지제의 고리 형상의 피복체(18)가 장착되어 있다. 이 피복체(18)는, 개방 상태에 있는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에 씌워져 있으므로, 피복체(18)의 장착이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의 개폐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이 피복체(18)는,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어느 정도 이동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이 기구 본체(1)를 사용하여 모발을 자르는 커트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머리 정상부에서 방사선 형상으로 모발을 복수로 분할하고, 그 나누어진 각 부분을 헤어스타일에 따라, 종방향으로 더욱 복수로 구획한다. 각 구획된 부분에 속하는 모발을 하나의 모발다발(21)로 한다.

    각 모발다발(21)은, 폭 약 2cm, 세로 약 5∼6cm 정도의 길이로 집어올려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머리 정상부의 모발다발(21)로부터 하방(목측)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작업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한 쪽의 손으로 머리 정상부의 하나의 모발다발(21)을 집고, 다른 손(주로 쓰는 손)으로 기구 본체(1)를 잡고, 상기 모발다발(21)을 하측으로부터 받듯이,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 사이에 끼운다. 이 때, 볼록부(12)는 두피(22)측을 향해져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을, 상기 두피(22)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위치시킨 시점에서, 상기 볼록부(12)를 두피(22)에접지시킨다. 이것이, 커트 개시 자세이다. 이 자세에서, 모발다발(21)의 하측에 위치하는 모발은, 피복체(18)의 둘레 가장자리에 걸어지게 되어, 그것보다도 연결유지부(11)측으로 늘어뜨려지지 않는다. 도면의 것에서는, 모발다발(21)의 상기 하측 부분의 모발(21a)은, 두피(22)에 대해 약 90도 끌어올려진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일단, 피복체(18)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유지된 후에, 면도날(13) 형성역으로 자연히 보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모발다발(21)을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사이에 끼운 시점에서 하측 부분의 모발(21a)이 중력에 의해 아랫쪽으로 늘어뜨려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면도날(13) 형성역으로 직접 보내져서 모발다발(21)의 하측이 부주의하게 짧게 절단되어서 형태가 정돈되지 않게 되어버리는 문제나,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의 기단부의 커트 수단 비형성역에까지 늘어뜨려져서 절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없다.

    한편, 상기 커트 개시 자세로부터, 모발다발(21)의 하측 부분의 모발(21a)은, 피복체(18)에 걸어지는 것에 의한 두피(22)에 대하는 각도는, 60도로부터 90도정도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커트 개시 자세로부터, 상기 볼록부(12)와 두피(22)와의 접지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을 서서히 폐쇄시키면서,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을, 두피(22)로부터 이반하는 방향(동도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 사이에 끼워져 있는 모발다발(21)은, 면도날(13)에 접촉한 부분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커트되어 가고,모발다발(21)은, 위에서 보면,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퍼진 아웃라인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모발다발(21)의 하측 부분의 모발(21a)이 필요 이상으로 짧게 잘리지 않기 때문에, 옆에서 보면, 동 도면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발다발(21)의 상측 부분의 모발(21b)의 선단으로부터 하측 부분의 모발(21a)의 선단에 걸쳐서 약 3∼5cm의 자연스러운 단차(23)가 계속되는 아름다운 섀기 커트로 마무리할 수 있다.

    상기 면도날(13)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의 회전방향을 향하여 기울기 45도 경사시킨 상태에서 홀더(14)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기구 본체(1)를 회전시킴으로써, 면도날(13)은 모발다발(21)에 대해 기울기 약 45도로 닿게 된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전기면도기로 비스듬히 잘린 것과 동일한 단면이 된다.

    본 발명의 것은, 두피(22)에 접지시킨 볼록부(12)를 회전 지지점으로 하여, 기구 본체(1)를 회전시켜서 커트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항상 안정한 상태로 커트할 수 있다. 이 작업을, 머리 정상부에서 목측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반복해 감으로써, 모든 모발다발(21)을, 동일한 입체형상으로 커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숙련을 요하지 않고, 누구나 간단하게 게다가 단시간에 섀기 커트가 가능하게 된다. 또, 머리 정상부로부터 커트해 가기 때문에, 전체의 길이나 마무리 상태를 보면서 커트해 갈 수 있어, 지금까지 이상으로 이미지대로의 헤어스타일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커트하는 위치는, 모발다발에 대한 볼록부(12)의 설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숏 헤어를 창출하는데는, 집어올린 모발다발(21)의 바로 아래쪽의 두피(22)에 기구 본체(1)의 볼록부(12)를 접지한 커트 개시 자세를 취하고, 이 자세로부터, 기구 본체(1)를 회전시킨다. 이 작업을 반복해 감으로써, 동일한 아웃라인으로 비스듬히 잘린 모발다발이 방사상으로 또한 종방향으로 중첩되게 되어, 전체적으로 아름답게 정리된 숏 커트 헤어를 창출할 수 있다.

    모발의 길이를 내는데는, 기구 본체(1)를 상기 커트 개시 자세로 세팅한 상태로부터,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 사이에 모발다발(21)을 낀 채, 볼록부(12)를 두피에 접촉시키면서 두피를 따라서 강하시켜서 가고, 모발다발(21)의 길이를 결정한 시점에서, 볼록부(12)를 지지점으로 하여 기구 본체(1)를 회전시켜서 커트한다. 또한, 볼록부(12)를 두부의 어느 위치에 접지시킨 경우에도, 면도날(13)이 두피에 대해 항상 대략 평행하게 위치시킨 상태로부터 기구 본체(1)를 회전시킴으로써, 모발의 길이에 상관없이, 안정한 모발다발이 형성된다. 모발다발(21)에 소정의 길이를 냄으로써, 도 6의 (b)와 같은 레이어 커트나, 동 도면 (c)와 같은 밥 커트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확실한 칼 드는 정도를 확보하려면, 면도날(13)은, 1인분의 커트마다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기에는, 상기 요령으로 홀더(14)마다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으로부터 떼내어서 교환한다. 이 때, 면도날(13)의 칼 끝부분보다도 안전 커버(16)의 볼록부(16a)가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홀더(14)의 교환시에, 손이 면도날(13)의 칼끝부분에 닿을 위험은 없다.

    또,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의 기단부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쿠션 부재(19)를 장전해 두어도 좋다. 이렇게 함에 따라,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에 대한 힘의 부여 상태를 가감할 수 있게 되어, 대체로 지나치게 자를 염려가 없는데다, 보다 섬세한 커트가 가능하게 된다.

    도 7에 도시하는 것은,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이용 용구의 분해 상태의 부분사시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구 본체는, 한 쌍의 기구 반쪽체(1a, 1b)로 이루어지고, 기구 반쪽체(1a, 1b)는, 각각,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과, 각각 연달아 설치되어 있는 연결유지부(11, 1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유지부(11)는,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돌출시키고 있는 동시에, 그 돌출단을 회전지지점이 되는 볼록부(12)로서 기능시킨다.

    이 실시형태의 것에서는, 기구 본체를 상기 볼록부(12)를 두피에 댄 커트 개시 자세로 세팅했을 때에,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이 상기 두피를 따라서 위치하도록,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 전체는 두피에 따른 대략 원호 형상으로 만곡시킨 외형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내면 상호의 대응하는 각 위치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홀더를 수용시키기 위한 홈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이 실시형태의 것에서는,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의 기단부 근방이고 또한 홈부(15)보다도 내측(커트 개시 자세에서 두피측)에, 오목홈(31)이 상기 홈부(15)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목홈(31)의 바닥면(30)은, 들쭉날쭉한 파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구 반쪽체(1a, 1b)를 내면 상호가 대향하도록 조립했을 때, 상기 파도형상 부분의 산부 및 계곡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오목홈(31) 사이에는, 대향하는 계곡부 상호에 동시에 걸 수 있는 1쌍의 스프링편(3a, 3b)을 구비하는 스토퍼(3)가 개입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편(3a, 3b)은, 상기 오목홈(31)의 깊이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각 선단부는 상기 파도 형상 부분의 산부 및 계곡부를 구성하고 있는 사면을 따라서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스토퍼(3)는, 상기 오목홈(31)내에 개입시킨 상태에서, 스프링편(3a, 3b)을 오목홈(31)의 깊이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오목홈(31)의 길이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 실시형태의 것에서는, 상기 스토퍼(3)가,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 사이에 끼운 모발다발의 하측 부분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모발다발의 양이나 길이에 따라서, 상기 스토퍼(3)를 오목홈(3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에 대해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사용방법과 동일하고, 연결유지부(11)의 돌출단인 볼록부(12)를 두피에 댄 커트 개시 자세로부터, 상기 볼록부(12)를 중심으로,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을 두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특히, 이 실시형태의 것에서는,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을 머리의 형태에 따른 원호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기구 본체(1)를 커트 개시 자세로 세팅하기 쉬워, 한층더 정확한 섀기 커트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의 것에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쿠션 부재(19) 대신에,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의 선단부에, 고무제의 돌기(32)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을 닫을 때에 힘의 부여 상태를 가감할 수 있어, 모발다발을 부주의하게 지나치게 자를 염려가 없다.

    상기 각 실시형태의 것에서는, 면도날(13)로 이루어지는 커트 수단을 대향하는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의 양 쪽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어느 한 쪽에 설치해 두어도 좋다. 이 경우, 모발다발은 한 쪽만이 비스듬히 잘린 아웃라인으로 마무리되게 된다.

    또, 면도날(13)이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전동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실시형태의 안전 커버(16)는,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을 닫았을 때에, 한 쪽의 모발다발 지지편(10a)에 구비되어 있는 안전 커버(16)의 볼록부(16a)가, 다른쪽의 모발다발 지지편(10b)에 구비되어 있는 안전 커버(16)의 오목부(16b)에 대응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안전 커버(16)를, 홀더(14)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함으로써, 한 쪽의 모발다발 지지편(10a)에 구비되어 있는 안전 커버(16)의 볼록부(16a)가, 다른쪽의 모발다발 지지편(10b)에 구비되어 있는 안전 커버(16)의 볼록부(16a)에 대응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을 닫았을 때, 볼록부(16a) 서로가 서로 맞닿으므로, 면도날(13) 상호간에 소정의 간극이 생긴다. 이것은, 모발다발의 양이 많은 경우에 유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안전 커버(16)를 슬라이드 시켜서, 서로 대향하는 볼록부(16a)와 오목부(16b)와의 관계를 조절함으로써, 모발다발(21)의 양에 따른 기구 본체(1)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트 수단으로서, 면도날(13)을 채용했지만, 조금도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레이저광선에 의한 커트도 생각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의 이용 용구는, 섀기 커트를 실시하기 위한 사용예를 들었지만, 기구 본체를 회전시키지 않고, 모발다발의 소정 위치에서,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을 완전하게 닫으면, 가위로 모발끝을 똑바로 자르는 블런트 커트도 가능하다.

    도 8에 도시하는 것은, 제 3 실시형태의 이용 용구를 제시하는 것이며, 제 1 실시형태의 이용 용구에서 도 3에 도시한, 상기 홀더(14)의 지지판(17)에 따르도록 끼워넣어진 상기 면도날(13)과 안전 커버(16)의 조합을, 빗부(4)에 대체하여, 빗 수단을 구성한 것이다.

    상기 빗부(4)는, 상기 안전 커버(16) 및 면도날(13)에 대략 일치하는 크기의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얇은 판체이며, 상기 지지판(17)보다도 바깥쪽에 돌출해 있는 1변을 따라서, 톱니 형상의 빗 이빨(4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빗부(4)를 구비시킨 홀더(14)를,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의 한 쪽 또는 양 쪽의 홈부(l5)에 수납한다. 이것에 의해,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의 대향면에 빗 이빨(40)이 돌출하는 이용 용구가 완성된다.

    이 이용 용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하는 사용 태양과 동일하게, 모발다발(2l)을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 사이에 끼우고, 두피에 댄 볼록부(12)를 회전 지지점으로 하여 동 도면의 화살표의 방향에 기구 본체(1)를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모발다발(21)은,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 사이에 돌출하는 빗 이빨(40)에 의해, 상기 두피에 대해 일정 각도를 유지한 채로 빗어올려지고, 소정의 각도 회전시킨 시점에서, 모발다발 지지편(10a, 10b) 사이로부터 바깥쪽으로 튀어나와 있는 모발다발(21)의 선단을, 다른 손으로 든 가위로 커트한다.

    이와 같이, 빗 수단을 구비시킨 기구 본체(1)를 사용함으로써, 빗으로 빗어 올린 모발다발을 손가락과 손가락의 사이에 끼우고 두피에 대해 일정 각도로 지지하고, 그 손가락의 간극으로부터 튀어나와 있는 모발끝을 가위로 커트하는 프로 미용사와 동일한 커트 기술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빗 이빨(4)을 구비시킨 홀더(14)와, 면도날(13)과 안전 커버(16)를 구비시킨 홀더(14)를 대체 가능하게 설정해 둠으로써, 하나의 기구 본체(1)를, 빗으로 해도 헤어커터로 해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이기 때문에 다음의 특유한 효과를 갖는다.

    모발다발 지지편 사이에 끼우는 모발다발의 잡기 방법과, 볼록부의 두피에의 접지 위치, 기구 본체의 커트 개시시의 자세, 모발다발 지지편에의 힘의 부여 상태를 거의 동일하게 하여 두피에 접지시킨 볼록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기구 본체를 두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는 것 만으로, 모든 모발다발을 동일한 아웃라인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볼록부를 두피에 접지시키고 있음으로써, 안정한 상태에서 커트 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여 행하는것만으로, 숙련을 요하지 않고, 누구라도 간단하게, 섀기가 들어간 동일한 모발다발군을 정확하게 만들 수 있고, 이미지대로의 헤어스타일을 창출할 수 있다.

    커트 수단을 한 쌍의 모발다발 지지편의 양 쪽에 설치한 것에서는, 모발다발을 비스듬히 치는 효율이 좋아져, 커트에 요하는 시간이 짧아진다. 또, 모발다발의 양측이 비스듬히 쳐짐으로써, 보다 입체적인 모발다발을 구성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모발다발의 하측 부분은, 상기 유지 수단에 유지됨으로써 두피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유지된 후, 커트 수단에 반송되어서 커트되는 태양으로 되기 때문에, 모발다발의 하측 부분의 모발이 부주의하게 짧게 절단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커트후의 모발다발의 끝에, 모발다발의 상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하측 부분에 걸쳐서 자연스러운 단이 형성되는 숙련자에 의한 커트와 동일한 커트로 마무리할 수 있다.

    또, 모발다발은 머리 정상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헤어스타일 전체의 아웃라인을 알기 쉽게, 이미지대로의 헤어스타일을 한층더 정확하게 창출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것에서는, 상기 효과에 더하여, 종래의 전기면도기를 사용한 커트와 동일한 감각으로 커트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리성이 좋고, 그 취급도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커트 수단의 교환은, 면도날을 구비시킨 홀더의 교환만으로 끝나기 때문에, 낭비가 없다.

    청구항 3의 것에서는, 홀더의 교환시 등에 칼날로 손을 손상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쌍의 모발다발 지지편의 양 쪽에 커트 수단을 설치하는구성으로 한 것에서도, 안전 커버의 볼록부가 방해되지 않고, 확실하게 모발다발 지지편을 닫을 수 있으므로, 안전 커버가 모발다발 지지편을 닫을 때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청구항 4 또는 5의 것에서는, 유지 수단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데다, 모발다발의 위치나 양, 또는 모발의 길이에 의해 피복체의 상기 모발다발 지지편상에서의 장착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했기 때문에, 한층더 사용편리성이 좋은 것이 된다.

    청구항 6에서 9의 것에서는, 기구 본체를 커트 개시 자세로 용이하게 세팅할 수 있으므로, 한층더 용이하게 누구에게라도 정확한 커트를 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청구항 10에서 17의 것에서는, 기구 본체를 회전시킬 때에, 모발다발 지지편에 힘이 지나치게 들어가도, 탄성재료에 의해 그 힘이 완화되므로, 부주의하게 대체로 지나치게 자를 염려가 없어지고, 보다, 섬세한 커트가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8의 것에서는, 기구 본체를 빗질 개시 자세로 세팅하고, 모발다발 지지편 사이에 모발다발을 끼우고 볼록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기구 본체를 회전시키는 것 만으로, 프로 미용사가, 빗으로 빗어 올리는 것과 같이, 각 모발다발을 두피에 대해 일정한 각도에서 일정한 길이 끌어 올릴 수 있어, 그 각도를 유지한 채 모발 끝을 자를 수 있다.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