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윗날 교차형 가위

申请号 KR1020100087386 申请日 2010-09-07 公开(公告)号 KR101084338B1 公开(公告)日 2011-11-16
申请人 주식회사 대흥데이타통신; 发明人 정진화;
摘要 PURPOSE: Scissors having crossing blades are provided to reduce torsional stress applied to the hinge part of blades through mutual support between the blades. CONSTITUTION: Scissors(100) comprise first and second blades(110,120) and first and second handles(141,142). The first blade has a first edge(111) on the upper side thereof. The first handle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blade. The second blade is pivotally coupled with the first blade and has a second edge(121) on the lower side thereof that crosses with the first edge of the first blade. The second handle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blade.
权利要求
  • 상측에 제1 가윗날이 형성되는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블레이드 후단에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와, 상기 제1 블레이드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제1 가윗날과 교차하도록 하측에 제2 가윗날이 형성되는 제2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블레이드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가윗날 교차형 가위로서,
    상기 제1 블레이드가:
    결합부재가 관통하는 제1 관통구와;
    상기 제1 관통구가 형성된 부분과 상기 제1 가윗날이 형성된 부분을 연결하되, 상기 제1 관통구가 형성된 부분에 대해 상기 제1 가윗날이 형성된 부분이 일정 각도로 휘어지게 절곡된 제1 벤딩부와;
    상기 제1 벤딩부 일부가 절삭되어 형성되는 제1 블레이드 결합홈과;
    상기 제1 벤딩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윗날이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제1 관통구가 형성된 부분으로의 액체 흐름을 차단하는 수막 형성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레이드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제1 관통구를 통과한 상기 결합부재가 관통하는 제2 관통구와;
    상기 제2 관통구가 형성된 부분과 상기 제2 가윗날이 형성된 부분을 연결하되, 상기 제2 관통구가 형성된 부분에 대해 상기 제2 가윗날이 형성된 부분이 일정 각도로 휘어지게 절곡된 제2 벤딩부와;
    상기 제2 벤딩부 일부가 절삭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블레이드 결합홈과 끼워지는 제2 블레이드 결합홈과;
    상기 제2 벤딩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윗날이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제2 관통구가 형성된 부분으로의 액체 흐름을 차단하는 수막 형성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윗날 교차형 가위.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벤딩부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윗날 교차형 가위.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손잡이부에는 각각 손가락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윗날 교차형 가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제 1 벤딩부 및 제2 블레이드의 제 2 벤딩부는 각각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는 합성수지 성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윗날 교차형 가위.
  • 说明书全文

    가윗날 교차형 가위{Scissors having cross type blades}

    본 발명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윗날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한 쌍의 블레이드가 상호 간의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그 가윗날 형성 부위가 상호 교차되는 상태로 배열됨으로써, 절단 작업시 힌지 결합 부위에 작용하는 비틀림 응력이 한 쌍의 블레이드 간의 상호 지지에 따라 완화되는 가윗날 교차형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위는 종이, 천 등의 물건 또는 고기, 김치 등의 음식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자르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가위는 가정 및 사무실 등에서 매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필수적인 공작 도구 중의 하나이다.

    도 1은 종래 가위의 통상적인 형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위(10)는 일측에 가윗날(11a)(12a)이 형성된 한 쌍의 블레이드(11)(12)가 결합핀 등의 힌지부재(13)에 의해 서로 교차되는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블레이드(11)(12)의 후단에 손잡이부(11b)(12b)가 각각 형성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가위(10)의 손잡이부(11b)(12b)에 손가락의 엄지와 검지를 각각 끼운 후, 엄지와 검지에 힘을 주어 한 쌍의 블레이드(11)(12)를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절단의 대상물인 종이가 가윗날(11a)(12a)의 맞물림에 의해 잘라지게 된다.

    이때, 도 1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가위를 사용하여 종이 절단시, 가위의 손잡이부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그에 따른 한 쌍의 블레이드 간의 힌지 결합 부위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엄지가 끼워지는 손잡이부(11b) 및 이와 연결된 블레이드(11)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 "A"를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하고, 검지가 끼워지는 손잡이부(12b) 및 이와 연결된 블레이드(12)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 "A"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엄지를 끼운 손잡이부(11b)에 하측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는 동시에 검지를 끼운 손잡이부(12b)에 상측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여 종이(P)에 블레이드(11)(12)의 전단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엄지를 끼운 손잡이부(11b)에 도 1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인 "L"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고, 이에 연결된 블레이드(11)에는 "R"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또한, 검지를 끼운 손잡이부(12b)에 도 1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인 "R"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가하여 이에 연결된 블레이드(12)에 "L"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종이의 절단 작업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가위(10)는 종이(P)의 전단 과정에서 한 쌍의 블레이드(11)(12) 간의 힌지 결합 부위에 비틀림 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이유로, 종래의 가위는 장기간 사용되는 과정에서 한 쌍의 블레이드 간의 힌지 결합 부위에 비틀림 응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고, 그 결과 한 쌍의 블레이드 간의 힌지 결합 부위가 변형되면서 그 전단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심한 경우 전단 기능이 상실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가위는 전단 하는 대상물의 강도가 강한 경우 한 쌍의 블레이드 간의 힌지 결합 부위에 비교적 강한 비틀림 응력이 작용하고, 그 결과 상술한 가위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힌지 결합 부위의 변형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블레이드 간의 힌지 결합 부위가 변형되면서 그 전단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상실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리고, 도 1을 통해 예시한 종래의 가위가 주방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가윗날과 한 쌍의 블레이드 간의 힌지 결합 부위가 바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음식물을 자를 때 가윗날에 묻은 양념이나 음식물의 액체 등이 한 쌍의 블레이드가 서로 접하는 힌지 결합 부위로 흘러들어 끼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미관상 흉할 뿐만 아니라 세균의 번식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가위의 가윗날을 최대한 벌려 씻어내는 것이지만, 한 쌍의 블레이드 간의 힌지 결합 부위는 각각의 블레이드가 다른 블레이드의 표면을 가리는 상태이므로, 이러한 가위의 힌지 결합 부위를 깨끗하게 닦아내는 작업이 여의치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윗날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한 쌍의 블레이드가 상호 간의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그 가윗날 형성 부위가 상호 교차되는 상태로 배열됨으로써, 절단 작업시 힌지 결합 부위에 작용하는 비틀림 응력이 한 쌍의 블레이드 간의 상호 지지에 따라 완화되는 가윗날 교차형 가위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윗날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한 쌍의 블레이드가 상호 간의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다른 블레이드의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을 구비하며, 각 블레이드의 가윗날이 형성된 일부는 이렇게 절곡된 부분을 통해 상호 간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반대쪽에 각각 배치되는 가윗날 교차형 가위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블레이드의 힌지 결합 부위 주변에 액체의 흐름을 하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홈 및 홀 형태의 커팅부가 형성됨으로써, 음식물의 양념 등 액상 물질이 손잡이 방향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가윗날 교차형 가위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는, 일측에 제1 가윗날이 형성되는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블레이드 후단에 형성되는 제1 손잡이부와, 일측에 제2 가윗날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블레이드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블레이드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블레이드는 결합부재가 관통하는 제1 관통구와, 제1 관통구가 형성된 부분과 제1 가윗날이 형성된 부분을 연결하는 제1 벤딩부와, 제1 벤딩부 일부가 절삭되어 형성되는 제1 블레이드 결합홈을 포함하고, 제2 블레이드는 제1 블레이드의 제1 관통구를 통과한 결합부재가 관통하는 제2 관통구와, 제2 관통구가 형성된 부분과 제2 가윗날이 형성된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 일부가 절삭되어 형성되며 제1 블레이드 결합홈과 끼워지는 제2 블레이드 결합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는, 제2 블레이드에는, 제2 관통구가 형성된 부분과 제2 가윗날이 형성된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에 제2 벤딩부가 형성되며, 제2 블레이드 결합홈은 제2 벤딩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는, 제1, 제2 벤딩부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는, 제1, 제2 벤딩부에는 액체 흐름을 유도하는 수막 형성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는, 제1 블레이드와 제2 블레이드는 각각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는 합성수지 성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윗날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한 쌍의 블레이드가 상호 간의 힌지 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그 가윗날 형성 부위가 상호 교차되는 상태로 배열됨으로써, 절단 작업시 힌지 결합 부위에 작용하는 비틀림 응력이 한 쌍의 블레이드 간의 상호 지지에 따라 완화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블레이드 간의 힌지 결합 부위에 과도한 비틀림 응력의 작용이 억제되면서 가위의 조속한 전단 기능 저하 내지는 전단 기능 상실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한 쌍의 블레이드의 힌지 결합 부위 주변에 액체의 흐름을 하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홈 및 홀 형태의 커팅부가 형성됨으로써, 음식물의 양념 등 액상 물질이 손잡이 방향으로 역류하는 현상이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가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의 제 1 블레이드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100: 이하 가위라 약칭함)는 제 1 블레이드(110)와 제 2 블레이드(120), 이러한 제 1 블레이드(110)와 제 2 블레이드(12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 모듈(130), 그리고 제 1 블레이드(110)와 제 2 블레이드(120)의 일단에 각각 손잡이 삽입구(141a, 142a)가 형성된 손잡이부(141)(142)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제 1 블레이드(110)는 일측에 가윗날(11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 1 블레이드(110)는 상측에 가윗날(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블레이드(110)의 가윗날(111)이 형성된 쪽을 전방측으로 정하고 손잡이부(141)가 구비되는 쪽을 후방측으로 정한다. 제 1 블레이드(110)는 회전축 모듈(130)을 기준으로 전방에 제 2 블레이드(12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1 벤딩부(112)가 형성된다.
    도 3에서, 제 1 벤딩부(112)에는 제 1 블레이드(110)와 제 2 블레이드(120)가 "X"자형으로 교차되어 배치되도록 제 1 벤딩부(112) 일부가 절삭되어 제1 블레이드 결합홈(113)이 형성된다. 제 1 벤딩부(112)에는 제1 블레이드 결합홈(113)의 형성에 따른 강도 저하를 보완할 수 있도록 보강리브(1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제 2 블레이드(120)는 일측에 가윗날(12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 2 블레이드(120)는 하측에 가윗날(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블레이드(110)의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2 블레이드(120)의 가윗날(121)이 형성된 쪽을 전방측으로 정하고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쪽을 후방측으로 정한다. 이러한 제 2 블레이드(120)는 회전축 모듈(130)을 기준으로 전방에 제 1 블레이드(11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 벤딩부(122)가 형성된다.
    도 3에서, 제 2 벤딩부(122)에는 제 1 블레이드(110)와 제 2 블레이드(120)가 "X"자형으로 교차되어 배치되도록 제 2 벤딩부(122) 일부가 절삭되어 제2 블레이드 결합홈(123)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벤딩부(122)에는 제2 블레이드 결합홈(123)의 형성에 따른 강도 저하를 보완할 수 있도록 보강리브(12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제 1 블레이드(110)와 제 2 블레이드(120) 간의 결합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블레이드(120)가 하방향으로 개방된 제2 블레이드 결합홈(123)을 제 1 블레이드(110)의 상방향으로 개방된 제1 블레이드 결합홈(113)에 삽입시키며, 이에 따라 제 1 블레이드(110)와 제 2 블레이드(120)는 제 1 벤딩부(112)와 제 2 벤딩부(122)를 "X"자형으로 교차시키면서 일면을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블레이드(110)와 제 2 블레이드(120)는 회전축 모듈(130)을 통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에서 제 1 블레이드(110)와 제 2 블레이드(120)에는 각각 제1 관통구(115)와 제2 관통구(125)가 형성된다. 제1 결합부재(131)는 제 2 블레이드(120)의 제2 관통구(125)와 제 1 블레이드(110)의 제1 관통구(115)를 통과한 후 제2 결합부재(132)와 체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의 평면도이다.

    가위(100)는 위의 도 3을 참조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블레이드(110)와 제 2 블레이드(120)가 회전축 모듈(130)을 기준으로 "X"자형으로 교차되는 배치 상태를 이루며 접힌다. 이는, 제 1 블레이드(110)의 제1 블레이드 결합홈을 형성한 제 1 벤딩부(112)와 제 2 블레이드(120)의 제1 블레이드 결합홈을 형성한 제 2 벤딩부(122)에 의해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는 위의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 있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의 전단 동작시의 힘의 작용 방향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손잡이부(141)의 손가락 삽입구(141a)에 엄지가 끼워지는 제 1 블레이드(11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 "B"를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하고, 손잡이부(142)의 손가락 삽입구(142a)에 검지가 끼워지는 제 2 블레이드(12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 "B"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엄지를 끼운 손잡이부(141a)에 하측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는 동시에 검지를 끼운 손잡이부(142a)에 상측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여 절단 대상물에 블레이드(110)(120)의 전단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엄지를 끼운 손잡이부(141)에 도 2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고, 이에 연결된 블레이드(110)에는 우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또한, 검지를 끼운 손잡이부(142)에 도 2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가하여 이에 연결된 블레이드(120)에 좌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여기서, 회전축 모듈(130)을 기준으로 제 1 블레이드(110)의 후방부와 제 2 블레이드(120)의 후방부가 상호 지지하게 된다. 즉, 제 1 블레이드(110)의 회전축 모듈(130)을 기준으로 한 후방부가 제 2 블레이드(120)의 회전축 모듈(130)을 기준으로 한 후방부의 우측 방향 이동에 대해 저항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제 2 블레이드(120)의 회전축 모듈(130)을 기준으로 한 후방부가 제 1 블레이드(110)의 회전축 모듈(130)을 기준으로 한 후방부의 좌측 방향 이동에 대해 저항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가위(100)의 제 1 블레이드(110)와 제 2 블레이드(120)의 각 후방부가 상호 간의 접촉 면을 통해 회전축 모듈(130)에서 발생되는 비틀림 응력을 상호 보완하게 되는 것이므로, 가위(100)를 이용한 절단 대상물의 절단 작업시 회전축 모듈(130)에 작용하는 비틀림 응력이 감소된다. 즉, 가위(100)를 이용한 절단 대상물의 절단시, 제 1 블레이드(110) 및 제 2 블레이드(120) 간의 회전축 모듈(130)에 과도한 비틀림 응력이 작용하는 현상이 방지되며, 결과적으로 가위(100)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회전축 모듈(130)에 대한 비틀림 응력의 지속적 작용 내지는 절단 대상물의 강한 강도로 인한 회전축 모듈(130)의 손상 현상이 방지되어 가위(100)의 조속한 전단 기능저하 내지는 전단 기능 상실 현상이 방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의 제 1 블레이드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블레이드(110)의 제 1 벤딩부(112)에는 액체 흐름을 유도하는 수막 형성홈(112a)이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위가 주방용으로 사용시 가위의 손잡이부 방향으로 음식물의 양념 등 액상 물질의 역류현상을 방지한다.

    즉 가위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절단시 음식물의 액상 물질이 수막 형성홈(112a)에 채워지고, 이렇게 음식물의 액상 물질이 채워진 수막 형성홈(112a)은 그 주변에 수막이 형성되어 액상물질의 흐름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제 1 블레이드(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흐르면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역류하려는 음식물의 액상 물질이 수막 형성홈(112a) 주변의 수막에 의해 그 역류가 저지되는 동시에 하방향으로 유도된다.수막에 의해 그 역류가 저지되는 동시에 하방향으로 유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블레이드(110)에 수막 형성홈(112a)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블레이드(120)에도 수막 형성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200:이하, 가위라 약칭함)는 제 1 블레이드(210)와 제 2 블레이드(220), 제 1 블레이드(210)와 제 2 블레이드(22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 모듈(230), 제 1 블레이드(210)와 제 2 블레이드(220)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는 손잡이부(241)(24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위(200)는 제 2 블레이드(220)에만 벤딩부(222)가 형성된다.
    벤딩부(222)에는 제 1 블레이드(210)와 제 2 블레이드(220)가 교차되어 배치되도록 블레이드 결합홈(223)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벤딩부(222)에는 제2 블레이드 결합홈(223) 형성에 따른 강도 저하를 보완할 수 있도록 보강리브(2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블레이드(210)에는 회전축 모듈(230)을 기준으로 전방에 그 가윗날(211)이 제 2 블레이드(220)의 가윗날(221)과 교차되어 배치되도록 블레이드 결합홈(212)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블레이드(210)에는 블레이드 결합홈(212) 형성에 따른 강도 저하를 보완할 수 있도록 보강리브(21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300: 이하 가위라 약칭 함)는 제 1 블레이드(310)와 제 2 블레이드(320), 제 1 블레이드(310)에 결합되는 제 1 벤딩부(312)와 제 2 블레이드(320)에 결합되는 제 2 벤딩부(322), 제 1 벤딩부(312)와 제 2 벤딩부(322)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 모듈(330), 그리고 제 1 벤딩부(312)와 제 2 벤딩부(322)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는 손잡이부(361)(36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 1 블레이드(310)와 제 2 블레이드(320)는 각각 일측에 가윗날(311)(32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 1 블레이드(310)는 상측에 가윗날(311)이 형성되고, 제 2 블레이드(320)는 하측에 가윗날(3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블레이드(310) 및 제 2 블레이드(320)의 가윗날(311, 321)이 형성된 쪽을 전방측으로 정한다.

    제 1 벤딩부(312)와 제 2 벤딩부(322)는 제 1 블레이드(310)와 제 2 블레이드(320)의 후방 쪽 일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벤딩부(312)와 제 2 벤딩부(322)가 합성수지 성형물로서 제 1 블레이드(310)와 제 2 블레이드(320)의 후방 쪽 일단에 각각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벤딩부(312)와 제 2 벤딩부(322)는 합성수지 내지는 합성수지와 같이 성형이 용이한 소재로 사전 제작되어 제 1 블레이드(310)와 제 2 블레이드(320)의 후방 쪽 일단에 각각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위(300)는 제 1 블레이드(310)와 제 2 블레이드(320)의 가윗날 형성 부위를 교차 배치되게 하기 위한 제 1 벤딩부(312) 및 제 2 벤딩부(322)가 합성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그 성형이 비교적 용이한 동시에 인서트 사출을 통해 제 1 블레이드(310) 및 제 2 블레이드(320)와 일체를 이루게 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가윗날 교차형 가위를 제작하는 공정이 더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가윗날 교차형 가위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가윗날 교차형 가위
    110: 제 1 블레이드
    111: 가윗날 112: 제 1 벤딩부
    113: 제1 블레이드 결합홈 114: 보강리브
    120: 제 2 블레이드
    121: 가윗날 122: 제 1 벤딩부
    123: 제1 블레이드 결합홈 124: 보강리브
    130: 회전축 모듈
    141a, 142a: 손잡이 삽입구
    141, 142: 손잡이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