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

申请号 KR2020080007045 申请日 2008-05-29 公开(公告)号 KR2020090012326U 公开(公告)日 2009-12-03
申请人 이상민; 发明人 이상민;
摘要 본 고안은,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손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실질적으로 해당 기능별로 사용하기 충분하기에 사용자의 기능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음식을 집거나 자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메인 툴(main-tool); 상기 메인 툴과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보조 툴(sub-tool); 및 상기 메인 툴에 대하여 상기 보조 툴이 사용위치와 보관위치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툴과 상기 보조 툴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크, 숟가락, 젓가락, 나이프, 도구, 식사도구, 회전, 겸용
权利要求
  • 음식을 집거나 자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메인 툴(main-tool);
    상기 메인 툴과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보조 툴(sub-tool); 및
    상기 메인 툴에 대하여 상기 보조 툴이 사용위치와 보관위치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툴과 상기 보조 툴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툴의 내부에는 상기 보관위치 시 상기 보조 툴이 수용되는 툴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툴 수용부는 상기 메인 툴을 판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툴 수용부의 내면과 상기 보조 툴의 외면 중에서 어느 일측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돌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메인 툴과 상기 보조 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회전돌기홈; 및
    상기 메인 툴과 상기 보조 툴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돌기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회전돌기홈 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 툴과 상기 보조 툴을 일체로 지지하는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의 판면에는 미끌림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툴의 일측에는 걸이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툴과 상기 보조 툴은, 포크, 숟가락, 젓가락 및 나이프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
  • 说明书全文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AUXILIARY TOOL OF REVOLVING TYPE FOR HANDLING FOOD}

    본 고안은,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손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실질적으로 해당 기능별로 사용하기 충분하기에 사용자의 기능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에 관한 것이다.

    음식을 집거나 자르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 보조 도구에는 포크, 숟가락, 젓가락, 나이프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포크, 숟가락, 젓가락, 나이프 등의 식품 보조 도구는 대부분 용도별로 개별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용도별로 각각 개별적으로 구입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포크, 숟가락, 젓가락, 나이프 등이 선택된 것끼리 결합된 방식의 식품 보조 도구가 개발된 바 있기는 하지만, 180도 접이식 방식의 경우에는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고, 숟가락과 포크가 일체로 구성된 경우에는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 보관 및 휴대가 불편하며, 숟가락과 포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경우에는 실질적 인 사용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기존에 공지된 기술들에서 벗어나 파손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실질적으로 해당 기능별로 사용하기 충분하기에 사용자의 기능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의 목적은, 파손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실질적으로 해당 기능별로 사용하기 충분하기에 사용자의 기능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음식을 집거나 자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메인 툴(main-tool); 상기 메인 툴과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보조 툴(sub-tool); 및 상기 메인 툴에 대하여 상기 보조 툴이 사용위치와 보관위치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툴과 상기 보조 툴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툴의 내부에는 상기 보관위치 시 상기 보조 툴이 수용되는 툴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툴 수용부는 상기 메인 툴을 판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툴 수용부의 내면과 상기 보조 툴의 외면 중에서 어느 일측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돌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연결부는, 상기 메인 툴과 상기 보조 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회전돌기홈; 및 상기 메인 툴과 상기 보조 툴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돌기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회전돌기홈 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 툴과 상기 보조 툴을 일체로 지지하는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의 판면에는 미끌림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툴의 일측에는 걸이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툴과 상기 보조 툴은, 포크, 숟가락, 젓가락 및 나이프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파손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실질적으로 해당 기능별로 사용하기 충분하기에 사용자의 기능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에 대한 사 시도로서 보조 툴의 사용위치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대한 보조 툴의 보관위치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할 때,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100)는, 크게 메인 툴(110, main-tool), 보조 툴(120, sub-tool) 및 회전연결부(130)를 구비한다.

    제1 실시예에서 메인 툴(110)은 음식을 집는 포크로 되어 있고, 보조 툴(120)은 음식을 자르는 나이프로 되어 있다.

    보조 툴(120)의 일측에는 걸이공(121)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100)를 벽 등에 걸어두기에 편리하다. 하지만, 걸이공(121)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형성된다 하더라도 굳이 보조 툴(120)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도면에 보면, 메인 툴(110)과 보조 툴(120)이 납작한 형태의 판상체 모양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편의를 위해 그렇게 도시된 것일 뿐 주변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른 형상의 포크와 나이프일 수도 있는 것이다.

    회전연결부(130)는 메인 툴(110)과 보조 툴(120)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회전연결부(130)는 메인 툴(110)에 대하여 보조 툴(120)이 사용위치(도 1 참조)와 보관위치(도 2 참조)로 회전될 수 있도록 메인 툴(110)과 보조 툴(120)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대 회전이라 함은, 메인 툴(110)에 대해 보조 툴(120)이, 아니면 보조 툴(120)에 대해 메인 툴(110)이 회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과 같은 사용위치에서 도 2와 같은 보관위치로 보조 툴(120)이 회전된 경우, 보조 툴(120)이 적당한 위치에 수용될 수 있도록, 메인 툴(110)의 내부에는 보조 툴(120)이 수용되는 툴 수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툴 수용부(112)는 일면이 막힌 홈의 형태여도 무방하지만, 이와 같을 경우에는 보조 툴(120)이 360도 회전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툴 수용부(112)는 메인 툴(110)을 판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의해 형성된다. 이 때, 관통공의 크기와 면적은 특별하게 정해질 필요가 없으며, 단지 보조 툴(120)의 형상에 맞게 보조 툴(120)이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메인 툴(110)과 보조 툴(120) 간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툴 수용부(112)의 내면에는 돌기홈(112a)이, 그리고 보조 툴(120)의 외면에는 돌기홈(112a)에 끼워지는 돌기(120a)가 형성된다. 하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므로, 돌기홈(112a)이 보조 툴(120)에, 그리고 돌기(120a)가 툴 수용부(112)에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메인 툴(110)과 보조 툴(120) 간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연결부(130)는, 메인 툴(110)의 단부에 형성되는 회전돌기홈(131)과, 보조 툴(120)의 단부로부터 중앙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회전돌기홈(131)에 대응 배치되며 회전돌기홈(13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회전돌기홈(131) 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돌기(132)를 포함한다.

    회전돌기홈(131)과 회전돌기(132)의 구조는 회전은 용이하게 하면서도 상호간 분해 및 결합이 쉬운 이점이 있다. 즉, 보조 툴(120)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예컨대, 제1 실시예에서는 보조 툴(120)이 나이프로 되어 있지만, 만약 보조 툴(120)로서 숟가락을 사용하고 싶다면 회전연결부(130)의 구조를 분해하여 숟가락을 보조 툴(120)로 조립하면 된다.

    이러한 회전연결부(130)의 구조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툴(110)에 대해 보조 툴(120)이, 아니면 보조 툴(120)에 대해 메인 툴(110)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회전연결부(130)의 구조는 핀 결합 방식이나 아니면 힌지 결합 방식으로 변경 적용되어도 좋다. 후자의 경우라면, 메인 툴(110)에 형성된 제1 힌지보스(미도시)와, 보조 툴(120)의 단부로부터 중앙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제1 힌지보스에 대응 배치되는 제2 힌지보스(미도시)와, 제1 및 제2 힌지보스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미도시)으로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처럼 회전연결부(130)는 메인 툴(110)과 보조 툴(120) 간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는 역할 외에도 메인 툴(110)과 보조 툴(120)의 용도를 바꿀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겸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의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에 적용되는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할 때, 도 1의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100)에는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된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141,142)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141,142)은 메인 툴(110)에 결합되어 메인 툴(110)과 보조 툴(120)을 상호간 일체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141,142)은 손잡이의 역할, 또한 임의로 메인 툴(110)과 보조 툴(120)이 상호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여 해당 툴을 사용함에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141,142)은 메인 툴(110)과 보조 툴(12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형태 또는 구조이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대략 'ㄷ'자 형태의 구조면 그 기능을 하기에 충분하다.

    다만, 도면과 같을 경우,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141,142)은 약간의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141,142)의 일단부는 약간 내측으로 휘어지도록 형성하여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141,142)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물론,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141,142)의 내부에 돌기나 홈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메인 툴(110)이나 보조 툴(120)에 홈이나 돌기를 형성하여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141,142)의 결합을 유도하여도 좋다.

    이러한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141,142)은 손잡이의 기능도 있기 때문에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141,142)을 파지할 경우, 미끄러지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141,142)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끌 림방지부(141a,142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미끌림방지부(141a,142a)는 돌출된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그 방향은 도 3 및 도 4 중에서 어떠한 방향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141,142)의 크기에 있어, 도 3과 같이 메인 툴(110)의 대부분 영역을 둘러싸는 크기일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메인 툴(110)의 일부에만 결합되는 크기일 수도 있다. 도 4와 같을 경우에는 도 4의 A 방향 및 B 방향을 따라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142)을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위치로 옮겨 사용하면 된다.

    다만, 도 3 및 도 4와 같이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141,142)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보조 툴(120)이 나이프이거나 아니면 도 5와 같이 포크이어야 할 것인데, 만약에 보조 툴(120)이 숟가락이라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형태 그대로의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141,142)을 사용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툴(120)이 숟가락이라면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141,142)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도 3 및 도 4의 모양과 형상에서 벗어난, 예컨대 고무링 형태의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이라면 경우에 따라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 보면, 보조 툴(120)이 숟가락이라면 그 크기가 작아 실용성이 다소 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작은 숟가락은 예컨대 티 스푼(tea spoon)으로 사용하면 무방하지만 밥이나 국을 떠먹는 용도로는 사용하기는 부담스럽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지만, 다양한 도구 중에서 적어도 숟가락만큼 은 메인 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굳이 숟가락이 보조 톨이 되어야 한다면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141,142)을 사용하지 않는 편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에 대한 사시도로서 보조 툴의 사용위치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대한 보조 툴의 보관위치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200)는, 메인 툴(210)이 숟가락으로, 그리고 보조 툴(220)이 포크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할 뿐 나머지는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300) 역시, 메인 툴(310)이 젓가락으로, 그리고 보조 툴(320)이 포크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 및 제2 실시예와 상이할 뿐 나머지는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300)의 경우, 메인 툴(310)이 젓가락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함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메인 툴(310)이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이 아닌 일정한 경사진 막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만약 돌기와 돌기홈이 직선형태를 갖는다면 상호간 결합이 쉽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320a) 는 보조 툴(320)의 측면 일 영역에서 약간 튀어나온 반구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홈(31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툴(310)의 내측면에 길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메인 툴(310)에 대해 보조 툴(320)이 결합된 도 8을 보면, 돌기(320a)는 보이지 않는 형태가 될 것이다. 하지만,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므로 상대적인 위치가 정확하다면 돌기(320a)와 돌기홈(312a)이 직선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파손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실질적으로 해당 기능별로 사용하기 충분하기에 사용자의 기능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100~300) 들의 재질은 일회용 재질일 수도 있지만, 반영구적으로 쓸 수 있는 고강도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이 적용되는 경우 파손 없이 오래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100~300) 들은 특히, 두 개의 툴(tool)이 용도별로 결합되되 한 쪽이 다른 쪽에 대해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용기의 뚜껑 속에 넣어 보관하거나 혹은 단독으로 휴대하고 다니기에 편리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포크와 나이프, 숟가락과 포크, 젓가락과 포크의 조합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생략된 다른 조합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에 대한 사시도로서 보조 툴의 사용위치에 대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대한 보조 툴의 보관위치에 대해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의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에 적용되는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에 대한 사시도로서 보조 툴의 사용위치에 대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대한 보조 툴의 보관위치에 대해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00 : 회전식 식품 보조 겸용도구 110,210,310 : 메인 툴

    120,220,320 : 보조 툴 130 : 회전연결부

    141,142 : 안전손잡이 겸용 이탈방지캡 141a,142a : 미끌림방지부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