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 포엽 제거장치

申请号 KR1020100039454 申请日 2010-04-28 公开(公告)号 KR1020110119992A 公开(公告)日 2011-11-03
申请人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发明人 박회만; 조광환; 홍성기; 이선호; 이현동; 오성식;
摘要 PURPOSE: An apparatus for removing corn husk is provided to reduce damage to corns an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the corn husk. CONSTITUTION: An apparatus for removing corn husk comprises: a frame consisting of an upper frame(11) and a lower frame(12) in which one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pper frame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frame; and a pair of rollers which are formed in the upper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权利要求
  •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면에 일측면이 작키로 연결되고, 상부프레임의 타측면에 타측면이 힌지로 연결되는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성되고,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설치 높이가 상이한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롤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옥수수의 포엽을 제거하고, 상기 작키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상부프레임의 기울기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는 평롤러와 길이방향과 평행한 다수의 홈이 외주면에 구성된 직선홈롤러로 구성되어;
    각각의 롤러는 옥수수의 포엽을 제거하는 정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와 이격되면서 설치 높이가 상이한 다른 한 쌍의 롤러가 마주보게 구성되어,
    옥수수의 포엽 제거 능률이 상승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와 다른 한 쌍의 롤러는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롤러의 외주면이 각각 동일하고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2개의 롤러의 외주면이 각각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와 다른 한 쌍의 롤러의 사이에 구성되면서 회전하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에 돌출 연결되고, 한 쌍의 롤러에 위치하는 옥수수를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이송장치가 구성되어;
    상기 옥수수가 이송장치의 안내에 의하여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면서 포엽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 중에서 설치 높이가 낮은 롤러와 인접하게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하부 또는 중부는 힌지에 의하여 이탈방지모터에 구성된 캠에 연결되는 이탈방지판이 구성되어;
    상기 이탈방지판이 옥수수를 주기적으로 한 쌍의 롤러 사이로 밀어주는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 지지 고정되면서 한 쌍의 롤러 사이에 분사각 약 70°로 공기가 분사되는 노즐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중앙 끝단이 이송체인에 연결되고, 좌우 끝단의 각각이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T"형상의 이송가이드와, 상기 이송가이드의 끝단에 하향방향으로 일체형으로 돌출된 이송편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한 쌍의 롤러 중에서 설치 높이가 낮은 롤러와 인접하게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이탈방지판과 이격되어 구성되는 제2이탈방지판이 구성되어;
    상기 이탈방지판과 제2이탈방지판은 이탈방지동력전달바에 의하여 서로 힌지 연결되어 이탈방지판의 주기적 작동에 의하여 제2이탈방지판도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가이드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구성되고, 중앙 끝단이 상부프레임에 연결되고, 좌우 끝단의 각각이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위치하면서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역"T"형상의 비산방지판이 구성되어;
    상기 비산방지판에 의하여 제거되는 포엽이 비산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


  • 说明书全文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A apparatus for removing a corn husk}

    본 발명은 옥수수 포엽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치에 설치 높이가 상이한 평롤러와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홈 있는 롤러 즉 직선홈롤러를 구성하고, 옥수수의 이탈방지판 및 옥수수의 이송장치를 구성하여 옥수수 포엽을 제거하고, 비산방지판으로 제거된 포엽이 비산되지 않게 하는 옥수수 포엽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옥수수는 밑동으로부터 연장된 몸체 둘레에 옥수수알이 성장되어 있고, 그 둘레에 수염과 함께 포엽이 감싸져 있는데 수염과 포엽이 있는 옥수수를 수확하여 포엽과 수염을 제거하고 옥수수알을 분리하여 식용 또는 사료용으로서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다량의 옥수수로부터 포엽 및 수염을 수작업으로 제거하는 경우, 인건비가 상승되고 생산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8464호의 옥수수 껍질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이송 유닛, 밑동절단 유닛, 포엽제거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포엽제거 유닛(100)에 관한 도면은 도 1과 같다.

    상기 이송유닛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부재들에 의해 다수의 옥수수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며, 각 옥수수의 이송시 그 옥수수가 이송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각 옥수수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안착면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밑동절단 유닛은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옥수수의 밑동을 절단하기 위한 회전칼날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포엽절개 유닛은 밑동절단 유닛으로부터 배출된 옥수수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벨트와, 이송벨트 상에서 이송되는 옥수수를 감싸고 있는 포엽에 그 옥수수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부를 형성하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회전날과, 이송되는 옥수수를 사이에 두고 제1회전날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제1회전날쪽으로 탄성 가압되어 옥수수에 절개부를 형성하는 제1보조날과, 제1보조날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며 제1보조날과 같은 구조로 배치된 제2보조날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포엽제거 유닛은 포엽절개 유닛으로부터 배출된 옥수수에 컴프레셔(104)에 발생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102)을 구비하여 그 고압의 공기가 상기 옥수수의 절개부들을 통해 그 포엽 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그 공기의 압력으로 그 옥수수로부터 포엽을 제거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옥수수로부터 제거된 포엽을 하향 배출시키는고 프레임(110)에 장착된 모터(103)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롤러(101)를 포함하며, 한 쌍의 롤러(101) 중 하나의 롤러(101)의 외주면에 그 롤러(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 식용 풋옥수수의 가공 출하를 위하여 외국에서 포엽 제거기를 도입 사용하고 있으나, 도입된 포엽제거기는 익은 옥수수를 대상으로 하는 포엽 제거기로서 풋옥수수의 가공 출하하는 우리 실정에 맞지 아니하면서 작업된 70~80%의 옥수수가 옥수수 알의 손상이 발생하여 산지 옥수수 가공 출하를 위해서는 풋옥수수의 손상율이 낮은 포엽 제거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옥수수 포엽을 절개하는 포엽절개 유닛과 옥수수 포엽을 제거하는 포엽제거 유닛이 별개의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장치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한 쌍의 롤러의 높이가 동일하여 옥수수가 롤러로부터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롤러의 외주면에 나선형 홈이 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서 롤러의 전단력이 옥수수에 직접 전달되어 포엽 제거가 양호하나 옥수수 알의 손상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롤러의 경사 및 나선형 홈에 의하여 옥수수가 이송되게 되어 옥수수의 이송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롤러의 상부로 비산되는 포엽을 방지하는 장치가 불비되어 제거된 포엽중 일부가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옥수수가 롤러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면서 롤러를 잘 통과하도록 하여 옥수수 포엽의 제거가 양호하면서 옥수수 알의 손상율이 낮고 제거된 포엽이 비산되지 아니하는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면에 일측면이 작키로 연결되고, 상부프레임의 타측면에 타측면이 힌지로 연결되는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된 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성되고,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설치 높이가 상이한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롤러가 평롤러와 길이방향과 평행한 다수의 홈이 외주면에 구성된 직선홈롤러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롤러와 이격되면서 설치 높이가 상이한 다른 한 쌍의 롤러가 마주보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롤러와 다른 한 쌍의 롤러가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롤러의 외주면이 각각 동일하고,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2개의 롤러의 외주면이 각각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롤러와 다른 한 쌍의 롤러의 사이에 구성되면서 회전하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에 돌출 연결되고, 한 쌍의 롤러에 위치하는 옥수수를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이송장치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롤러 중에서 설치 높이가 낮은 롤러와 인접하게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하부 또는 중부는 힌지에 의하여 이탈방지모터에 구성된 캠에 연결되는 이탈방지판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지지 고정되면서 한 쌍의 롤러 사이에 분사각 약 70°로 공기가 분사되는 노즐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송장치는 중앙 끝단이 이송체인에 연결되고, 좌우 끝단의 각각이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위치하는 "T"형상의 이송가이드와, 상기 이송가이드의 끝단에 하향방향으로 일체형으로 돌출된 이송편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른 한 쌍의 롤러 중에서 설치 높이가 낮은 롤러와 인접하게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면서 상기 이탈방지판과 이격되어 구성되는 제2이탈방지판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송가이드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구성되고, 중앙 끝단이 상부프레임에 연결되고, 좌우 끝단의 각각이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위치하면서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역"T"형상의 비산방지판이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는 하나의 장치에서 옥수수의 포엽을 제거할 수 있어 포엽 제거가 양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작키 및 힌지로 연결되어 작키의 작동에 따라 상부프레임의 기울기를 달리할 수 있어서 작업 높이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는 한 쌍의 롤러의 설치 높이가 상이하여 옥수수가 롤러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는 한 쌍의 롤러의 외주면이 평롤러와 직선홈롤러로 구성되어 각각의 롤러는 옥수수의 포엽의 제거를 상이하게 함으로서 포엽의 제거가 양호하면서 옥수수 알의 손상율이 낮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는 이송장치가 옥수수를 롤러를 통과하도록 안내하게 하여 포엽 제거의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는 롤러의 주위에 이탈방지판이 구비되어 주기적으로 옥수수를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위치하도록 밀어주면서 이탈되지 아니하게 하여 옥수수가 롤러로부터 이탈이 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는 롤러의 상부에 구성된 비산방지판이 제거된 포엽의 비산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는 공기분사 노즐이 한 쌍의 롤러 사이에 분사각 약 70°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포엽 제거율과 옥수수 알의 손상율이 양호한 효과가 있다.

    도 1: 종래기술 옥수수 껍질 제거장치의 포엽제거 유닛의 개략 측면도.
    도 2: 본 발명의 정면 사시 상태도.
    도 3: 본 발명의 후면 사시 상태도.
    도 4: 본 발명의 정면 상태도.
    도 5: 본 발명의 롤러 및 노즐 상태도.
    도 6: 본 발명의 롤러 및 이송장치의 평면 상태도.
    도 7: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측면 상태도.
    도 8: 본 발명의 이탈방지장치의 상태도.

    본 발명은 줄기가 절단된 옥수수의 포엽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프레임, 롤러, 이송장치, 이탈방지판, 비산방지판의 큰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장치로서 옥수수의 포엽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수작업 또는 줄기절단장치로서 옥수수 줄기를 절단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로서 옥수수의 줄기의 절단 및 포엽의 제거를 장치에 의하여 일관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5038호의 옥수수 포엽 제거방법 및 장치에 구성된 이동수단에 의해서 좌우 이동되면서 가장자리에 톱니형 날이 형성되는 원형의 제1커팅날이 회전되면서 줄기를 절단하는 줄기절단수단을 본 발명의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에 연계 구성하거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08464호의 원반의 회전칼날로 구성되고 중심에 원반면에 수직인 회전축이 구성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칼날의 하측에 이송된 옥수수에 대하여 줄기를 절단하는 밑동절단 유닛을 본 발명의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에 연계 구성하면 된다.

    이하 첨부된 도 2의 본 발명의 정면 사시 상태도, 도 3의 본 발명의 후면 사시 상태도, 도 4의 본 발명의 정면 상태도, 도 5의 본 발명의 롤러 및 노즐 상태도, 도 6의 본 발명의 롤러 및 이송장치의 평면 상태도, 도 7의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측면 상태도 및 도 8의 본 발명의 이탈방지장치의 상태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에 설치 높이가 상이한 평롤러(22)와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홈 있는 롤러 즉 직선홈롤러(21)에서 포엽이 제거되면서 이송장치(30)로 옥수수(a)를 롤러(20)에 안내하여 통과시켜 포엽의 제거가 양호하게 하고, 이탈방지판(41)으로 옥수수(a)가 롤러(20)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고, 비산방지판(60)으로 제거된 포엽이 비산되지 아니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은 직육면체 형상의 상부프레임(11)과 직육면체 형상의 하부프레임(12)으로 구성되며, 하부프레임(12)은 이동이 용이하게 사방 저면에 캐스터가 구성되고 사방 저면에 캐스터와 이격되게 정치를 위한 나사 회전되는 지지부가 구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2)의 일측면의 상부에는 쟈키(13)가 결합 구성되고 타측면의 상부에는 힌지(14)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쟈키(13)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11)의 일측면 하부가 결합 구성되고 상기 힌지(14)에는 상부프레임(11)의 타측면 하부가 돌출되어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프레임은 하부프레임(12)의 일측면이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일측면과 쟈키(13)로 연결되고, 하부프레임(12)의 타측면이 상부프레임(11)의 타측면과 힌지(14)로 연결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쟈키(13)를 회전시키면 상부프레임(11)은 일측면이 힌지(14)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기울기가 변화되어 작업 높이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롤러(20)는 상부프레임(11)의 중간에 구성되되, 상부프레임(11)의 길이방향으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설치 높이가 상이하게 구성되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부 프레임에 직경이 동일한 한 쌍의 롤러(20)가 옥수수(a)의 진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어 있으면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되, 배치된 높이가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해 약간 높게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롤러(20)는 상부프레임(11)의 롤러(20) 하단부에 구성된 롤러회전모터(23)에 의하여 체인 또는 기어에 의한 동력전달에 의하여 구동되고, 한 쌍의 롤러(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한 쌍의 롤러(20) 사이에 위치하는 옥수수(a)에 대하여 옥수수(a) 포엽을 물고 회전하여 옥수수(a)의 포엽을 제거한다.

    상기 한 쌍의 롤러(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롤러의 외주면에는 홈이 형성되며, 그 홈은 롤러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과 평행한 다수가 롤러 중심방향으로 오목하게 구성되면서 롤러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롤러(20)는 하나는 표면이 평활한 평롤러(22)이고 다른 하나는 길이방향으로 직선홈이 형성된 직선홈롤러(21)로 구성되어 각각의 롤러는 옥수수(a)의 포엽을 제거하는 정도가 상이하여 옥수수(a) 포엽을 더 쉽게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롤러(20)와 이격되게 또 다른 한 쌍의 롤러(20)가 구성되는 이중 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1)의 한 쌍의 롤러(20)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다른 한 쌍의 롤러(20)를 구성하되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롤러의 외주면과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2개의 롤러의 외주면은 각각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롤러는 평롤러(22)로 하고 바깥에 위치하는 2개의 롤러는 직선홈롤러(21)로 구성하던가 또는 중앙에 위치하는 2개의 롤러는 직선홈롤러(21)로 하고 바깥에 위치하는 2개의 롤러는 평롤러(22)로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이중롤러의 구성은 한 번의 작업에 있어서 포엽 제거의 능률이 상승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송장치(30)는 한 쌍의 롤러(20)와 이격되는 다른 한 쌍의 롤러(20)의 사이에 구성되면서 회전하는 이송체인(31)에 돌출 연결되고, 한 쌍의 롤러(20)에 위치하는 옥수수(a)를 롤러(20)의 길이방향으로 안내한다.

    상기 이송체인(31)은 상부프레임(11)의 전후의 중간 일측면 및 타측면에 구성된 스프로켓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기 스프로켓은 상부프레임(11)의 하측에 구성된 이송장치모터(35)에 의하여 회전된다.

    상기 이송장치(30)는 상부프레임(11)의 중간의 일측면에 구성되는 스프로켓과 타측면에 구성되는 스프로켓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이송체인(31)에 연결되어 구성되되, 한 쌍의 롤러(20)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면서 한 쌍의 롤러(20)보다 길이가 다소 길게 구성되어 양단 지지보 형태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이송장치(30)는 "T"형상의 이송가이드(33)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구성되는데, 상기 이송가이드(33)는 중앙 끝단이 이송체인(31)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좌우 끝단의 각각이 한 쌍의 롤러(20) 사이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상기 이송가이드(33)의 끝단에는 하향방향으로 일체형으로 돌출된 이송편(34)이 구성되는데, 상기 이송편(34)은 이송가이드(33)의 높이가 한 쌍의 롤러(20)의 전체 높이 보다 높게 구성되어 이송가이드(33)가 한 쌍의 롤러(20)에 위치하는 옥수수(a)의 굵기에 따라 접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송가이드(33)의 좌우 끝단 또는 이송편(34)은 한 쌍의 롤러(20)의 외측롤러 중심축까지 돌출되어 이송장치모터(35)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는 이송체인(31)과 연동되어 평롤러(22) 및 직선홈롤러(21)의 사이에 위치하는 옥수수(a)를 이송하게 된다.

    상기 이송장치(30)는 체인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체인과 연동하여 옥수수(a)를 롤러(20)의 길이방향으로 통과하게 하면서 한 쌍의 롤러(20)가 옥수수(a)의 포엽의 제거하는데 기여를 하게 한다.

    즉, 이송장치(30)가 구성되지 아니하면 옥수수(a)는 한 쌍의 롤러(20) 사이에서 자전하면서 하측 방향으로의 진행이 용이하지 아니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송장치(30)에 의하여 옥수수(a)가 하측방향으로 이송되게 됨으로써 옥수수(a)는 자전과 이송이 원활하게 되어 포엽이 완전하게 제거되게 된다.

    상기 이송장치모터(35)는 이송장치(30)보다 하측에 구성 즉 상부프레임(11)의 하부측에 구성되며, 이송장치(30)에 구성되는 체인은 이송장치모터(35) 축에 구성된 스프로켓과 이송장치(30)의 스프로켓과 회전되게 연결된 동력이송체인(31)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이송장치(30)는 이송장치모터(35)의 동력을 체인 대신에 기어에 의한 동력을 전달되어 구동될 수도 있으며, 이송장치모터(35)에서 이송체인(31)으로의 동력전달은 직접 전달할 수도 있고, 이송장치모터(35)와 이송체인(31)의 사이에 이송장치동력전달바(36)에 의하여 간접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간접 전달이 이송장치모터(35)의 회전수를 감속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판(41)은 한 쌍의 롤러(20) 중에서 설치 높이가 낮은 롤러와 인접하게 롤러(20)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가 낮은 롤러의 외주면 상부에 이탈방지판(41)의 하부가 이격되게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판(41)은 상부가 상부프레임(11)에 힌지 결합되고 하부는 자유단이 되면서 하부 또는 중부는 힌지에 의하여 이탈방지모터에 구성된 캠에 연결된다.

    상기 이탈방지판(41)은 이탈방지모터가 회전하면 캠의 타원회전에 의하여 상부는 힌지에 의하여 고정되고 하부 또는 중부는 왕복운동을 하게 되어 높이가 낮은 롤러의 방향으로 이탈되러고 하는 옥수수(a)를 주기적으로 평롤러(22)와 직선홈롤러(21) 사이에 위치하도록 밀어주면서 이탈되지 아니하게 하여 옥수수(a)가 롤러(20)로부터 이탈이 되지 않게 한다.

    상기 이탈방지판(41)의 하부 또는 중부 힌지는 이탈방지모터에 구성된 회전 캠에 직결될 수도 있고 간접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간접연결은 이탈방지모터의 감속을 위하여 중간에 스프로켓을 구성하여 이탈방지모터와 스프로켓을 체인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하고 이 스프포캣의 회전축의 회전을 전달하는 이탈방지작동바(43)에 이탈방지판(41)의 하부 또는 중부 힌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간접연결의 경우에는 이탈방지모터에서 회전 캠이 타원 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고 중간 스프로켓에서 캠을 설치하여 이 캠이 타원 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결합된 이탈방지작동바(43)가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격 거리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나 옥수수(a)가 이격된 틈새로 이탈되지 아니하면서 이탈방지판(41)이 옥수수(a)를 미는 작동을 할 때 끼이지 아니하도록 옥수수(a)의 평균 직경의 1/5 정도로 한다.

    상기 이중롤러가 구성되면 즉 한 쌍의 롤러(20)와 이격되는 다른 한 쌍의 롤러(20)가 구성되면 다른 한 쌍의 롤러(20)에서 포엽이 제거는 옥수수(a)가 롤러(20)에서의 이탈되지 아니하게 제2이탈방지판(46)이 구성된다.

    상기 제2이탈방지판(46)은 상기 다른 한 쌍의 롤러 중(20)에서 설치 높이가 낮은 롤러와 인접하게 롤러(20)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이탈방지판(46)은 상부가 이탈방지판(41)의 상부와 이격되고 상부프레임(11)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이탈방지판(41)과 마주보면서 한 쌍의 롤러(20)와 다른 한 쌍의 롤러(20)의 거리에 의하여 이격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이탈방지판(46)의 자체의 구성, 상부가 상부프레임(11)에 힌지 결합되는 구성, 높이가 낮은 롤러의 외주면 상부와 이탈방지판(41) 하부의 이격 구성은 이탈방지판(41)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탈방지판(41)과 제2이탈방지판(46)은 중간의 양 끝단에서 이탈방지동력전달바(42)로 힌지 연결 즉 이탈방지판(41)의 중간의 양 끝단이 힌지로 구성되고, 제2이탈방지판(46)의 중간의 양 끝단이 힌지로 구성되어 이탈방지판(41)의 양 끝단의 힌지와 제2이탈방지판(46)의 양 끝단의 힌지를 이탈방지동력전달바(42)로 힌지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판(41)과 제2이탈방지판(46)이 서로 힌지 연결되어 이탈방지판(41)의 주기적 작동에 의하여 제2이탈방지판(46)도 연동하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이탈방지판(41)이 상부 힌지를 중심으로 하부가 왕복운동을 하면 이탈방지동력전달바(42)도 왕복운동을 하여 이탈방지동력전달바(42)의 왕복운동에 하여 제2이탈방지판(46)도 상부 힌지를 중심으로 하부가 왕복운동을 한다.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판(41)과 제2이탈방지판(46)은 같은 방향으로 운동하게 되면서 상기 제2이탈방지판(46)도 이탈방지판(41)과 같이 옥수수(a)가 다른 한 쌍의 롤러(20)로부터 이탈이 되지 않게 한다.

    상기 비산방지판(60)은 상기 이송가이드(33)의 상부에 이송가이드(33)와 일정간격으로 이격 구성되고, 중앙 끝단이 상부의 프레임에 연결되고 좌우 끝단의 각각이 한 쌍의 롤러(20) 사이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상기 비산방지판(60)은 역"T"형상으로서 중간의 끝단이 상부프레임(11)의 상부측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좌우 끝단의 각각이 한 쌍의 롤러(20) 또는 다른 한 쌍의 롤러의 상부에 위치하는데 즉, 이송가이드(33)의 상부에 이송가이드(33)와 이격되게 구성된다.

    상기 비산방지판(60)은 상기 롤러(20)의 길이방향으로 그 길이가 롤러(20)의 길이와 비슷하게 구성되어 롤러(20)에서 제거되는 옥수수(a) 포엽이 롤러(20)의 상부로 통하여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비산방지판(60)의 수평 끝단과 이격되고 상부프레임(11)에 지지 고정되는 노즐(50)이 일정간격으로 롤러(20)의 길이방향 즉 옥수수(a)의 진행방향으로 다수개가 구성되며, 상기 노즐(50)은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장치로서 평롤러(22)와 직선홈롤러(21) 사이에 공기가 분사되게 구성된다.

    상기 노즐(50)은 포엽의 제거율을 높이고 옥수수 알의 손상율이 적게 되게 평롤러(22)와 직선홈롤러(21) 사이 즉 한 쌍의 롤러 사이에 분사각 약 70°로 공기가 분사되게 구성된다.

    상기 노즐(50)의 분사각이 70°이하가 되면 옥수수 알의 손상율은 비슷하나 포엽의 제거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노즐(50)의 분사각이 70°이상이 되면 포엽의 제거율이 낮아지면서 옥수수 알의 손상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즉, 상기 노즐(50)의 분사각이 70°일때 포엽의 제거율도 양호하면서 옥수수 알의 손상율도 낮기 때문이다.

    상기 노즐(50)은 옥수수(a)의 상측에 배치되어 컴프레셔(미도시)에서 발생한 압축공기를 옥수수(a)에 분사하여 압축 공기가 옥수수알과 포엽 사이에 불어 들어 감으로서 옥수수(a)의 포엽이 더 잘 벌어지게 유도하면서 벌어진 포엽이 롤러(20)에 잘 물리게 함으로서 옥수수(a) 포엽이 잘 제거되게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한 쌍의 롤러(20)는 노즐(50)에 의해 분사된 압축공기에 의해 벗겨진 옥수수(a) 포엽을 물고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각각의 롤러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옥수수(a) 포엽 제거의 능률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 컴프레셔는 호스로서 노즐(50)에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노즐(50)에 공급하게 구성되고, 상기 노즐(50)의 개폐 즉,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기 위해 밸브(미도시)가 구성된다.

    상기 옥수수(a)의 포엽의 제거가 한층 원할하게 이행되도록 상기 노즐(50)에서 공기와 함께 물도 분사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노즐(50)과 상기 밸브 사이에 "T"자 관을 구성하여 "T"자 관의 출구측에 호스로 노즐(50)과 연결하고, 출구측의 반대편의 입구측에 호스로 컴프레셔와 연결하고, 타 입구측에 호스로 물탱크와 연결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컴프레스의 고압공기는 "T"자 관을 통과하면서 물탱크 내의 물을 빨아 들러서 고압공기와 물이 "T"자 관에서 혼합되어 노즐(50)을 통하여 옥수수(a) 포엽으로 분사되면 물은 대기중으로 방출하면 급팽창 하면서 작은 물방울로 분사되어 옥수수(a) 포엽에 닿게 되어 옥수수(a) 포엽이 물방울에 의하여 부드럽게 되어 롤러(20)가 옥수수(a) 포엽을 제거를 더욱 촉진하게 된다.

    상기 노즐(50)에서 첫 번째로 구성되는 노즐(50)의 앞에 즉, 롤러(20)의 입구측의 옥수수(a)가 롤러(20)의 상부에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70)를 구성한다.

    상기 센서(70)는 롤러(20)의 상부에 옥수수(a)가 있는 것이 감지되면 이를 제어장치에 전송하고, 제어장치는 감지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노즐(50)의 밸브를 작동하게 하여 콤프레스의 고압공기가 노즐(50)을 통하여 소정시간 동안 분사되게 한다.

    상기 소정시간은 임의 조정이 가능하지만 감지된 옥수수(a)가 롤러(20)의 끝까지 이송되는 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면 이렇게 함으로서 고압공기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센서(70), 제어장치, 컴프레셔 및 밸브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어서 이에 대한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는 옥수수(a) 줄기가 제거된 옥수수(a)가 한 쌍의 롤러(20)에 안치되면 이탈방지장치모터(44)의 작동에 의하여 한 쌍의 롤러(2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옥수수(a)의 포엽을 물어 제거하여 롤러(20)의 하향 방향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20)가 포엽을 제거하는 동안에 이송장치모터(35)의 작동에 의하여 이송체인(31)의 회전에 의하여 이송장치(30)가 수평으로 전진하면서 포엽이 제거 중인 옥수수(a)를 롤러(20)의 후편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이탈방지장치(40)의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이탈방지판(41)이 주기적으로 반복운동을 하면서 롤러(20)에서 이탈되려고 하는 옥수수(a)를 롤러(20)의 중앙으로 밀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옥수수(a)가 롤러(20)에 안치되면 센서(70)에서 이를 감지하게 되고 제어장치에서 밸브를 작동하게 되어 노즐(50)에서 공기만 분사하거나 공기와 물을 동시에 포엽제거 중인 옥수수(a)에 분사하게 된다.

    본 발명을 위하여 옥수수의 포엽 제거 요인 시험은 롤러의 형상별 요인, 노즐의 각도별 요인으로 시험하였다.

    가. 롤러 표면 형상별 옥수수 포엽 제거시험

    롤러 표면 형상별 포엽 제거시험에서의 롤러는 평롤러와 직선홈롤러 및 나선홈롤러의 조합으로 하여 롤러의 원주속도 0.7m/sec에서 시료 개체당 30초씩 시험하였으며 포엽 제거율과 옥수수 알의 손상율은 표 1과 같다.

    나선홈롤러가 포함된 요인에서 롤러의 회전시 나선홈의 모서리에서 전단력이 옥수수에 직접 전달되어 포엽 제거가 잘되면서 손상도 많이 발생하여 포엽 제거율과 옥수수 알의 손상율이 높았다.

    평롤러와 평롤러의 조합은 롤러와 옥수수의 접촉면이 넓어 전단력이 분산되어 포엽 제거율이 낮으면서 옥수수 알의 손상율도 낮았다.

    평롤러와 직선홈롤러의 조합은 평롤러와 옥수수의 접촉면이 넓어 전단력이 분산되면서 직선홈의 모서리에서 전단력이 옥수수에 직접 전달되어 포엽 제거율이 중간 정도되면서 옥수수 알의 손상율이 낮았다.

    롤러 표면 형상별 옥수수 포엽 제거 시험

    구분 평롤러+평롤러(A) 평롤러+
    나선홈롤러(B)
    평롤러+
    직선홈롤러(C)
    나선홈롤러+
    나선홈롤러(D)
    제거율(%) 48 76 52 100
    손상율(%) 2 34 4 100

    나. 노즐의 공기 분사각도별 포엽 제거율

    노즐의 공기 분사각도별 요인시험은 옥수수 알의 손상율이 낮으면서 포엽을 제거할 수 있는 평롤러+직선홈롤러를 선정하여 구경 2.5mm인 공기분사 노즐의 분사 압력 0.4MPa으로 구성한 장치를 사용하여 전처리한 시료를 노즐을 1회 통과하여 공기 분사각 별로 포엽 제거율과 옥수수 알의 손상율을 조사하였는바 표 2와 같이 노즐에서 분사한 공기의 가장 효과적인 분사각은 최소유의차 검정(LSD 5%) 결과 70°로 나타나는바 포엽 제거율과 옥수수 알의 손상율은 분사각 70°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그림 1. 분사각도별 공기가 포엽에 작용하는 상태

    노즐의 분사각도별 포엽 제거율

    구 분 분사각도(°) LSD(5%)
    45 a 70 b 90 a
    제거율(%) 54 66 56 0.75
    손상율(%) 4.0 4.0 6.0 -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에 벗어나지 아니할 것이다.

    11: 상부프레임 12: 하부프레임
    13: 쟈키 14: 힌지
    20: 롤러 21: 직선홈롤러
    22: 평롤러 23: 롤러회전모터
    30: 이송장치 31: 이송체인
    33: 이송가이드 34: 이송편
    35: 이송장치모터 36: 이송장치동력전달바
    40: 이탈방지장치 41: 이탈방지판
    42: 이탈방지동력전달바 43: 이탈방지작동바
    44: 이탈방지장치모터 46: 제2이탈방지판
    50: 노즐 60: 비산방지판
    70: 센서 a: 옥수수

    QQ群二维码
    意见反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