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

申请号 KR1020090126496 申请日 2009-12-18 公开(公告)号 KR1020110069906A 公开(公告)日 2011-06-24
申请人 조광영; 고광호; 发明人 조광영; 고광호;
摘要 PURPOSE: A nutshell removing apparatus of nuts is provided to easily and effectively remove outer shell of the nuts, and to minimize the damage on inner shells and kernels. CONSTITUTION: A nutshell removing apparatus of nuts includes an apparatus body(10), a hopper(20), a pitch board, and a rotary roller. The hopper is combined with one side of the apparatus body, for inserting the nuts to be peeled. The pitch board in an arc shape is combined with the apparatus body from the lower side of the hopper, and includes plural through-holes for passing through the peeled nuts. The rotary roller is located in between the hopper and the pitch board for removing outer shells from the nuts.
权利要求
  •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껍질 제거 대상의 견과류가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장치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껍질이 제거된 견과류가 통과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부분적인 아크(arc) 형상의 타공판; 및
    상기 타공판과의 이격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기 호퍼와 상기 타공판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타공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견과류의 껍질을 제거시키는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타공판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롤러와의 상대적인 이격간격 조절을 위해 상기 회전롤러에 대해 상기 타공판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타공판 위치 가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와 상기 타공판 사이의 이격간격에서 상기 껍질이 제거된 견과류를 상기 타공판의 통공으로 밀어내는 교체형 밀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호퍼에 연결되어 상기 장치본체에 대해 상기 호퍼를 회동 개폐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에어쇼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타공판의 통공을 통해 낙하되는 견과류가 수거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트레이를 전후진 요동시키는 전후진 요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요동부는,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 상기 트레이가 전진되는 쪽으로 상기 트레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회전캠;
    양단부는 상기 트레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블록에 지지되고 중앙 영역은 상기 장치본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록을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요동축; 및
    상기 요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가 후진되는 쪽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에 연결되되 체인에 의해 폐루프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운동과 상기 트레이의 요동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단일의 감속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와 다른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껍질 제거가 완료된 견과류를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은 상호 층상 배열되는 제1 타공판과 제2 타공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타공판에 형성되는 제1 통공과 상기 제2 타공판에 형성되는 제2 통공의 사이즈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형 밀핀부재는,
    다수의 밀핀; 및 상기 다수의 밀핀을 일체로 지지하면서 상기 회전롤러에 착 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결합판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밀핀은 상기 견과류의 조건에 따라 그 노출길이와 강성정도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형 밀핀부재는 상기 회전롤러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간 등각도 간격으로 다수 개 마련되며,
    상기 다수의 밀핀은 상호간 혹은 몇 개의 그룹씩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엇갈리게 상기 착탈결합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
  • 说明书全文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Peeling apparatus of nuts}

    본 발명은,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속껍질과 알맹이의 손상 없이 혹은 그 손상을 최대로 저지하면서 겉껍질만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단위 시간당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견과류란 단단한 과피와 깍정이에 싸여 있는 나무열매를 말하며, 소위 각과라고도 한다. 건조폐과로서 열매가 충분히 익어도 갈라지지 않는다. 보통 1개나 그 이상의 씨가 들어 있는 2개 이상의 심피로 이루어진다. 곡류나 콩 종류처럼 떡잎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밤, 은행, 잣, 호두 등의 열매가 여기에 속한다.

    참고로, 밤, 은행, 잣, 호두 등의 열매와 달리 땅콩은 땅콩 나무의 뿌리에서 나기 때문에 견과류에 속하는 지의 여부를 두고 다소 논란이 있지만, 여기에서는 땅콩이 견과류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견과류로서의 땅콩은 45∼50%의 지방과 20∼30%의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어 영양가가 매우 풍부한 식품으로 간주된다. 볶아서 간식용으로 먹기도 하고, 땅콩버터, 과자용 등으로 널리 쓰이기도 하며, 낙화생유는 식용기름, 마가린, 기계유, 윤 활유 등에 쓰이기도 한다. 특히, 먹지 않는 땅콩 껍질도 사료와 제지의 원료로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견과류로서의 땅콩은 겉껍질과 속껍질 모두를 제거하여 상품으로 판매되기도 하지만, 보통은 겉껍질만을 제거하고 속껍질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생으로, 혹은 말리거나 삶거나 볶아 상품으로 판매된다.

    이때, 견과류로서의 땅콩의 겉껍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작업에 의존할 경우에는 생산량을 맞출 수 없기 때문에 보통은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를 이용하게 되는데, 기존에 공지된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속껍질과 땅콩 알맹이의 손상 없이 혹은 그 손상을 최대로 저지하면서 겉껍질만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하기에 다소 부족한 면이 많아 실질적으로 그 활용도가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속껍질과 알맹이의 손상 없이 혹은 그 손상을 최대로 저지하면서 겉껍질만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단위 시간당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껍질 제거 대상의 견과류가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장치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껍질이 제거된 견과류가 통과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부분적인 아크(arc) 형상의 타공판; 및 상기 타공판과의 이격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기 호퍼와 상기 타공판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타공판과의 사이에서 상기 견과류의 껍질을 제거시키는 회전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타공판은 적어도 상기 회전롤러의 반경을 커버할 수 있는 사이즈(size)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타공판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롤러와의 상대적인 이격간격 조절을 위해 상기 회전롤러에 대해 상기 타공판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타공판 위치 가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공판 위치 가변부는, 상기 장치본체에 결합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브래킷을 통해 단부가 상기 타공판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축부를 구비하는 스크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롤러와 상기 타공판 사이의 이격간격에서 상기 껍질이 제거된 견과류를 상기 타공판의 통공으로 밀어내는 교체형 밀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체형 밀핀부재는, 다수의 밀핀; 및 상기 다수의 밀핀을 일체로 지지하면서 상기 회전롤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결합판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밀핀은 상기 견과류의 조건에 따라 그 노출길이와 강성정도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와 상기 호퍼에 연결되어 상기 장치본체에 대해 상기 호퍼를 회동 개폐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에어쇼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공판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타공판의 통공을 통해 낙하되는 견과류가 수거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에 연결되어 상기 트레이를 전후진 요동시키는 전후진 요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후진 요동부는,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 시 상기 트레이가 전진되는 쪽으로 상기 트레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회전캠; 양단부는 상기 트레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블록에 지지되고 중앙 영역은 상기 장치본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블록을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요동축; 및 상기 요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트레이가 후진되는 쪽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에 연결되되 체인에 의해 폐루프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운동과 상기 트레이의 요동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단일의 감속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인은, 상기 감속모터의 제1 스프로켓, 상기 회전롤러의 제2 스프로켓, 상기 전후진 요동부의 제3 스프로켓을 일체로 연결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스프로켓 중 어느 일측에는 더미 스프로켓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로켓들과 상기 체인을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와 다른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껍질 제거가 완료된 견과류를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의 후방에서 상기 트레이의 전방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블로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퍼에는 상기 회전롤러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는 다수의 골조와, 상기 다수의 골조에 결합되는 다수의 측판을 구비하며, 상기 장치본체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휠이 결합되며, 상기 견과류는 속껍질은 손상 없이 보존하면서 겉껍질이 제거될 땅콩일 수 있다.

    상기 타공판은 상호 층상 배열되는 제1 타공판과 제2 타공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타공판에 형성되는 제1 통공과 상기 제2 타공판에 형성되는 제2 통공의 사이즈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타공판과 상기 제2 타공판의 곡률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교체형 밀핀부재는 상기 회전롤러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간 등각도 간격으로 다수 개 마련되며, 상기 다수의 밀핀은 상호간 혹은 몇 개의 그룹씩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엇갈리게 상기 착탈결합판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속껍질과 알맹이의 손상 없이 혹은 그 손상을 최대로 저지하면서 겉껍질만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단위 시간당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해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이하, 견과류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밤, 은행, 잣, 호두 등의 열매를 비롯하여 땅콩을 포함하는 것인데, 아래에서는 편의를 위해 견과류를 땅콩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땅콩은 땅콩 알맹이와, 땅콩 알맹이를 둘러싸는 얇은 막 형태의 속껍질과, 속껍질보다 두꺼운 상태로 외관을 이루는 겉껍질로 이루어져 있고, 이하의 장치는 속껍질과 땅콩 알맹이의 손상 없이 혹은 그 손상을 최대로 저지하면서 겉껍질만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견과류를 땅콩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측판을 제거한 상태에서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들, 도 7 및 도 8은 호 퍼의 동작을 도시한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의 측면도들, 도 9는 호퍼, 회전롤러 및 타공판 간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부분 결합 배면 사시도, 그리고 도 11의 (a) 및 (b)는 회전롤러에 대한 타공판의 상대적인 이격간격을 조절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땅콩의 겉껍질을 제거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껍질 제거장치는, 장치본체(10), 호퍼(20), 타공판(30), 회전롤러(50), 트레이(60) 및 블로워(70, blower)를 포함한다.

    장치본체(10)는, 땅콩의 겉껍질을 제거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껍질 제거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장치본체(10)는 다수의 골조(11, 도 4 내지 도 8 참조)와, 다수의 골조(11)에 결합되는 다수의 측판(12, 도 1 내지 도 3 참조)을 구비한다. 골조(11)는 강성이 있는 사각 프레임, 그리고 측판(12)은 강성이 있는 얇은 금속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측판(12)은 내부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되나 반드시 마련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장치본체(10)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휠(13)이 결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껍질 제거장치는 원하는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휠(13)에는 정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는 브레이커가 함께 적용될 수 있다.

    호퍼(20)는, 겉껍질이 제거될 대상의 땅콩이 투입되는 장소로서 장치본체(10)의 상부 영역에 결합되며, 일정한 부피를 갖는 통 구조를 갖는다. 호퍼(20) 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롤러(50)의 상부 곡률과 대응되는 곡면부(21)가 형성된다. 곡면부(21)의 상부 영역에는 다수의 관통홀(22)이 형성된다.

    이러한 호퍼(20)는 도 7에서 도 8처럼 장치본체(10)에 대해 회동 개폐될 수 있다. 도 8의 그림이 호퍼(20)가 개방된 상태인데, 이러한 동작을 통해 호퍼(20) 혹은 내부 구조물들을 청소하거나 유지보수할 수 있다. 호퍼(20)가 장치본체(10)에 대해 회동 개폐될 수 있도록 장치본체(10)와 호퍼(2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에어쇼바(23)가 결합된다.

    타공판(30)은, 호퍼(20)의 하부 영역에서 장치본체(10)에 결합된다. 회전롤러(50)의 하부 곡률과 대응될 수 있도록 부분적인 아크(arc) 형상을 가지며, 판면에는 회전롤러(5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겉껍질이 제거된 땅콩이 통과되는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된다. 통공(31)의 사이즈에 따라 겉껍질이 제거된 땅콩의 사이즈가 선별될 수 있다.

    이러한 타공판(30)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회전롤러(50)의 반경을 커버할 수 있는 사이즈(size)를 갖는다. 즉 후단부(30a, 도 11 참조)가 장치본체(10)의 내의 후방에서 회전롤러(50)의 대략 3시 방향(도 11 참조)에 이르는 위치까지 배치될 수 있는 수준으로 그 사이즈가 결정된다. 이는 회전롤러(50)의 회전에 따른 껍질 제거 시에 부하를 줄이기 위한 방안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므로 반드시 타공판(30)의 후단부(30a, 도 11 참조)가 장치본체(10)의 내의 후방에서 회전롤러(50)의 대략 3시 방향(도 11 참조)에 이르는 위치까지 배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회전롤러(50)는, 호퍼(20)의 곡면부(21)와 타공판(30) 사이에서 회전되면서 타공판(30)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땅콩의 겉껍질을 제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회전롤러(50)는 타공판(30)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땅콩의 겉껍질을 제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회전롤러(50)와 타공판(30)이 상호 접촉되어서는 아니 되고 그 사이의 이격간격이 관리되어야 한다.

    예컨대, 회전롤러(50)와 타공판(30) 사이의 이격간격이 과도하게 좁으면 겉껍질은 물론 속껍질이나 땅콩 알맹이가 손상되거나 부스러질 수 있어 상품 가치가 하락될 수 있다. 반대로 회전롤러(50)와 타공판(30) 사이의 이격간격이 과도하게 넓으면 겉껍질이 잘 제거될 수 없다. 이에, 회전롤러(50)와 타공판(30) 사이의 이격간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타공판 위치 가변부(40)가 마련된다.

    즉 타공판 위치 가변부(40)는, 장치본체(10)와 타공판(30)에 결합되며, 회전롤러(50)와의 상대적인 이격간격 조절을 위해 회전롤러(50)에 대해 타공판(3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타공판 위치 가변부(40)는, 장치본체(10)에 결합되는 브래킷(41)과, 브래킷(41) 및 타공판(30)에 연결되는 스크루(42)를 포함한다. 스크루(42)는 브래킷(41)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헤드부(41a)와, 헤드부(41a)와 연결되고 브래킷(41)을 통해 단부가 타공판(3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축부(42b)를 구비한다.

    이에, 스크루(42)의 헤드부(41a)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도 11의 (a) 상태에서 도 11의 (b) 상태로 타공판(30)의 위치가 가변되면서 회전롤러(50)와의 이격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절을 통해 겉껍질의 제거 수율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 게 된다.

    한편, 회전롤러(50)와 타공판(30)의 상호작용에 의해 겉껍질이 제거된 땅콩은 타공판(30)의 통공(31)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는데, 이때는 제거된 겉껍질 역시 함께 낙하될 수 있다.

    하지만, 겉껍질이 제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타공판(30)의 통공(31)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적절히 해결하기 위해 회전롤러(50)에는 교체형 밀핀부재(80)가 더 결합되어 함께 동작된다.

    교체형 밀핀부재(80)는, 회전롤러(50)와 타공판(30) 사이의 이격간격에서 껍질이 제거된 땅콩을 타공판(30)의 통공(31)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교체형 밀핀부재(80)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밀핀(81)과, 다수의 밀핀(81)을 일체로 지지하면서 회전롤러(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결합판(82)을 구비한다. 착탈결합판(82)은 볼트 등에 의해 손쉽게 회전롤러(5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교체형 밀핀부재(80)를 선택함에 있어 밀핀(81)의 노출길이와 강성정도가 중요한 요인일 수 있다. 예컨대 노출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것은 소프트한 재질, 예컨대 우레탄 등으로 제작되어 타공판(30)의 통공(31)으로 땅콩을 밀어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강성이 강한 것은 그 노출길이가 짧도록 하여 제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껍질이 제거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작업자가 선택할 수 있다.

    트레이(60)는, 타공판(3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교체형 밀핀부재(80)에 의해 밀리거나 아니면 자연적으로 타공판(30)의 통공(31)을 통해 낙하되는 땅콩이 수거되는 장소이다. 상부가 개방된 일정 부피의 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트레이(60)에는 트레이(60)와 다른 방향으로 연결되어 껍질 제거가 완료된 땅콩을 배출시키는 배출로(6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배출로(61)를 개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트레이(60)에 수거되는 것들을 살펴보면, 겉껍질이 제거된 상품성 있는 땅콩일 수도 있고, 제거된 겉껍질일 수도 있으며, 과도하게 작은 사이즈의 상품성 없는 땅콩일 수도 있고, 혹은 이물질일 수도 있다. 겉껍질이 제거된 상품성 있는 땅콩을 제외하고 후자의 것들은 모두가 폐기되거나 선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트레이(60)의 후방에는 블로워(70)가 배치되어 트레이(60)의 전방을 향해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겉껍질, 상품성 없는 작은 땅콩들, 그리고 이물질을 제거한다.

    한편, 블로워(70)가 동작되어 겉껍질, 상품성 없는 작은 땅콩들, 그리고 이물질이 제거될 때는, 트레이(60)가 정지되어 있는 것보다 전후진 요동되는 것이 효율적면에서 더욱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껍질 제거장치에는 전후진 요동부(62)가 더 갖춰진다.

    트레이(60)를 전후진 요동시키는 전후진 요동부(62)는, 회전축(62a)에 결합되어 회전축(62a)의 회전 시 트레이(60)가 전진되는 쪽으로 트레이(6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회전캠(62b)과, 양단부는 트레이(6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블록(62c)에 지지되고 중앙 영역은 장치본체(10)에 결합되는 어느 한 제2 블록(62d) 을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요동축(62e)과, 요동축(62e)에 결합되어 트레이(60)가 후진되는 쪽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62f)를 구비한다. 탄성부재(62f)는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이에, 회전축(62a)이 동작되면 회전축(62a)에 편심되게 연결된 회전캠(62b)이 1회전할 때마다 트레이(60)가 전진되는 쪽으로 트레이(60)를 가압하게 되고, 반대로 탄성부재(62f)는 트레이(60)가 후진되는 쪽으로 탄성바이어스함에 따라 회전캠(62b)과 탄성부재(62f)의 상호 반대적인 힘에 의해 트레이(60)는 전후진 반복되면서 요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회전롤러(50)는 회전운동을 수행해야 하고, 트레이(60)는 요동운동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동력원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단일의 감속모터(90)를 이용하고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모터(90)의 제1 스프로켓(91), 회전롤러(50)의 제2 스프로켓(92), 전후진 요동부(62)의 제3 스프로켓(93)이 체인(95)에 의해 폐루프 형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회전롤러(50)의 회전운동과 트레이(60)의 요동운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때, 회전롤러(50)의 회전운동은 속도보다는 강한 힘이 제공되어야 하고, 트레이(60)의 요동운동은 힘보다는 빠른 속도가 제공되는 것이 효율면에서 유리하므로 스프로켓(91~94)들과의 기어열 차이 등을 통해 회전롤러(50)의 회전운동은 대략 60 rpm, 그리고 트레이(60)의 요동운동은 대략 80 rpm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의 수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체인(95) 상에는 더미 스프로켓(94)이 더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스프로켓(91~94)들과 체인(95)은 장치본체(10)에 결합된 보호커버(15)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장치본체(10)의 상부 일측에는 제어반(98)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껍질 제거장치의 동작을 통해 땅콩의 겉껍질이 제거되는 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감속모터(90)가 동작되어 체인(95)에 의해 스프로켓(91~94)들이 동작되는 상태에서 호퍼(20)에 껍질 제거 대상의 땅콩을 투입하면, 투입된 땅콩들은 아래로 낙하하여 타공판(30)과 회전롤러(50) 사이로 배치된다.

    그러면, 타공판(30)과 회전운동을 하는 회전롤러(5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그 사이의 이격간격에서 땅콩의 겉껍질이 제거되며, 겉껍질이 제거된 땅콩과 겉껍질, 그리고 상품성 없는 작은 땅콩 등은 타공판(30)의 통공(31)을 통해 하부의 트레이(60)로 낙하된다. 이때는 교체형 밀핀부재(80)의 밀핀(81)들이 땅콩이나 겉껍질을 타공판(30)의 통공(31)으로 밀어냄에 따라 효율을 높인다.

    한편, 트레이(60)로 낙하된 땅콩이나 겉껍질은 트레이(60) 상에서 전후진 요동부(62)에 의해 요동되면서, 즉 흔들리게 되는데, 이때 후방에서 블로워(70)의 에어가 공급되면 겉껍질이나 혹은 이물질, 혹은 상품성 없는 작은 땅콩들은 바람에 날려 폐기될 수 있게 된다.

    최종적으로 상품성이 있는 땅콩들은 트레이(60)에 그대로 남겨진 다음에 배출로(61)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에서 회전롤 러와 제1 및 제2 타공판의 배치 상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 도 14는 도 12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교체형 밀핀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둘에서는 타공판(30, 도 9 참조)이 한 겹으로 되어 있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호간 층상 배열되는 제1 타공판(131)과 제2 타공판(132)으로 형성된다.

    도 12 내지 도 15 도면을 참조하면, 제1 타공판(131)과 제2 타공판(132)에는 각각 제1 통공(131a)과 제2 통공(132a)이 형성되는데, 제1 통공(131a)과 제2 통공(132a)의 사이즈는 서로 같거나 또는 다르게 마련 될 수 있다. 제1 통공(131a)과 제2 통공(132a)이 서로 공통적으로 겹치는 공간을 통해서 견과류가 통과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통공(131a)과 제2 통공(132a)이 서로 공통적으로 겹치는 공간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견과류의 껍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제1 통공(131a)과 제2 통공(132a)의 사이즈가 서로 같게 마련되는 경우, 제1 타공판(131)과 제2 타공판(132)의 곡률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다. 제1 타공판(131)과 제2 타공판(132)의 곡률이 서로 다르므로, 제1 타공판(131)과 제2 타공판(132)이 동시에 이동되더라도, 제1 통공(131a)과 제2 통공(132a)이 공통적으로 겹치는 공간의 크기가 달라지므로 다양한 크기의 견과류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통공(131a)과 제2 통공(132a)의 사이즈가 서로 다르게 마련되는 경우는, 제1 타공판(131)과 제2 타공판(132)의 곡률이 서로 다르게 구성하거나 또는 같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1 타공판(131)과 제2 타공판(132)이 동시에 이동되더라도, 제1 통공(131a)과 제2 통공(132a)이 공통적으로 겹치는 공간의 크기가 달라지므로 다양한 크기의 견과류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회전롤러(15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나 본 실시예의 회전롤러(150)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간 등각도 간격으로 교체형 밀핀부재(180)가 결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 교체형 밀핀부재(180)는 나사홀(183)이 형성된 착탈결합판(182)과, 착탈결합판(182)에 결합되는 다수의 밀핀(181)을 구비하고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밀핀(181)은 상호간 혹은 몇 개의 그룹씩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엇갈리게 착탈결합판(182)에 결합된다. 이러한 경우, 보다 많은 영역에서 땅콩과 접촉될 수 있어 땅콩을 하방으로 밀어내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밀핀(181)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우레탄 등의 연질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밀핀(181)은 착탈결합판(182)에 하나씩 끼워지면서 결합될 수도 있고, 착탈결합판(182)을 엮는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제1 타공판(131)과 제2 타공판(132)을 동시에 움직이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구성으로서 그러한 구성에만 본원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타공판(131)과 제2 타공판(132) 중 어느 하나만 이동시킴으로써 제1 통공(131a)과 제2 통공(132a)이 공통적으로 겹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5에서는, 타공판 위치 가변부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롤러(50)와 타공판(30) 사이의 이격간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설치되는 타공판 위치 가변부(40)를 도 12의 실시예에도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속껍질과 땅콩 알맹이의 손상 없이 혹은 그 손상을 최대로 저지하면서 겉껍질만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단위 시간당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측판을 제거한 상태에서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들,

    도 7 및 도 8은 호퍼의 동작을 도시한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의 측면도들,

    도 9는 호퍼, 회전롤러 및 타공판 간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부분 결합 배면 사시도,

    도 11의 (a) 및 (b)는 회전롤러에 대한 타공판의 상대적인 이격간격을 조절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견과류의 껍질 제거장치에서 회전롤 러와 제1 및 제2 타공판의 배치 상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

    도 14는, 도 12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교체형 밀핀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장치본체 11 : 골조

    12 : 측판 13 : 휠

    20 : 호퍼 23 : 에어쇼바

    30 : 타공판 31 : 통공

    40 : 타공판 위치 가변부 50 : 회전롤러

    60 : 트레이 62 : 전후진 요동부

    70 : 블로워 80 : 교체형 밀핀부재

    90 : 감속모터

    131 : 제1 타공판 131a : 제1 통공

    132 : 제2 타공판 132a : 제2 통공

    150 : 회전롤러 180 : 교체형 밀핀부재

    181 : 밀핀

    182 : 착탈결합판 183 : 나사홀

    QQ群二维码
    意见反馈